KR20160061775A - 해상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상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775A
KR20160061775A KR1020140164614A KR20140164614A KR20160061775A KR 20160061775 A KR20160061775 A KR 20160061775A KR 1020140164614 A KR1020140164614 A KR 1020140164614A KR 20140164614 A KR20140164614 A KR 20140164614A KR 20160061775 A KR20160061775 A KR 20160061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ull
skid
ballast water
bal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4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1775A/ko
Publication of KR2016006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해상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은, 평형수 탱크를 구비하는 선체와, 일단부가 선체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해저에 고정된 앵커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와,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장력값이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평형수 탱크에 평형수를 유입하거나 유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상구조물{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와 육상시설의 높이 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선박을 구성하는 블록 등의 구조물은 육상시설에서 건조된 후, 바지선(barge)에 의해 해상으로 진수된다. 그러나, 육상시설로부터 바지선에 로드아웃(load out) 작업을 할 때, 시간의 변화에 따른 조수간만의 차 또는 다양한 해상 조건으로 인하여 해수면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해상에 부유하는 바지선 또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바지선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육상시설과 바지선 사이의 높이 차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육상시설과 바지선에 각각 설치된 스키드(skid)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여 육상시설에 위치한 구조물을 바지선에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바지선에 형성된 평형수 탱크에 평형수를 유출입하여 육상시설과 바지선 사이의 높이 차를 일부 조정한다. 그러나, 평형수 탱크에 평형수를 유출입하는 것만으로는 정밀한 제어가 힘들어 로드아웃 작업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바지선의 위치제어가 용이하지 않아 구조물 또는 바지선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42821호 2002.06.0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체와 육상시설의 높이 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은, 평형수 탱크를 구비하는 선체와, 일단부가 상기 선체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해저에 고정된 앵커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장력값이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평형수 탱크에 평형수를 유입하거나 유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체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윈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장력값이 상기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평형수 탱크 또는 상기 윈치부를 동작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선체는 상면에 제1 스키드가 설치되고, 상기 선체가 접안하는 육상시설은 상면에 제2 스키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형수 탱크 또는 상기 윈치부를 동작하여 상기 제1 스키드와 상기 제2 스키드를 동일 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을 이루며,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체와 해저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장력값을 바탕으로 평형수 탱크에 평형수를 유출입하거나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함으로써, 선체의 흘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선체와 육상시설의 높이 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하역작업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이 육상시설에 접안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해상구조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해상구조물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이 육상시설에 접안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해상구조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1)은 육상시설(100)에 접안하여 화물(200)을 하역받아 운반하는 선박으로, 예를 들어, 바지선(barge)일 수 있다. 그러나, 흘수 조절이 용이한 해상구조물(1)이 화물(200)을 하역받아 운반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육상시설(100)에 접안하는 모든 구조물을 통칭할 수 있다.
해상구조물(1)은 선체(10)와 해저(F)를 연결하는 와이어(20)의 장력값을 바탕으로 평형수 탱크(10a)에 평형수를 유출입하거나 와이어(20)를 권취 또는 권출하여, 선체(10)의 흘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선체(10)와 육상시설(100)과의 높이 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하역작업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역작업 시 선체(10), 육상시설(100), 및 화물(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1)은 선체(10)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20)와, 센서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선체(10)는 해상구조물(1)의 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평형수 탱크(10a)를 구비하여 능동적으로 흘수 조절이 가능하다. 즉, 선체(10)는 평형수 탱크(10a) 내에 평형수를 유출입시키며 해상구조물의 균형 및 적정 흘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선체(10) 내부에 하나의 평형수 탱크(10a)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통상, 평형수 탱크(10a)는 선체(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선체(10)의 좌우 균형을 맞출 수 있다. 평형수 탱크(10a)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펌프유닛(11)이 설치되어 평형수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도어부(1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부(12)는 선체(10)와 평형수 탱크(10a)에 각각 형성된 개폐홀(도시되지 않음)을 동시에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평형수의 유출입을 제어한다.
선체(10)는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20)가 결합된다. 와이어(20)는 여러 가닥의 강철 철사를 합쳐 꼬아 만든 줄 형태의 부재로, 일단부가 선체(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해저(F)에 고정 설치된 앵커(2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와이어(20)는 일단부가 선체(10)에 결합된 윈치부(22)에 고정되어 권취 또는 권출되며, 타단부는 앵커(2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때, 와이어(20)는 잠수부의 투입에 의해 인력으로 앵커(21)에 착탈될 수 있다. 선체(10)에 결합된 와이어(20)가 앵커(21)에 고정됨으로써, 선체(10)가 일정 위치에 계류될 수 있어 하역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20)가 여러 가닥의 강철 철사를 꼬아 만들어진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와이어(20)는 쇠로 만든 고리를 여러 개 이어 만든 체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와이어(20)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윈치부(22)와 앵커(21)는 와이어(20)의 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와이어(20)는 독립적으로 일단부가 윈치부(22)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앵커(2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면 상에는, 와이어(20)와 윈치부(22) 및 앵커(21)가 각각 4개씩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와이어(20)와 윈치부(22) 및 앵커(21)의 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체(10)의 크기가 클 경우, 와이어(20)와 윈치부(22) 및 앵커(21)의 수는 증가할 수 있으며, 선체(10)의 크기가 작을 경우, 와이어(20)와 윈치부(22) 및 앵커(21)의 수는 감소할 수 있다.
각각의 윈치부(22)는 선체(10)의 외곽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앵커(21)는 각각의 윈치부(22)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2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와이어(20)가 선체(10)에 접하는 면, 특히, 모서리 부분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보호부재(50)가 설치되어 반복되는 접촉으로 인한 와이어(20) 및 선체(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와이어(20)의 일 측에는 탄성부재(23)가 위치한다. 탄성부재(23)는 와이어(20)의 일부분을 이루며, 와이어(20)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여 와이어(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20)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탄성부재(23)는 와이어(20)의 길이 방향으로 일부 이완되며 와이어(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반대로, 와이어(20)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해제된 경우, 탄성부재(23)는 원래의 상태로 수축하며 와이어(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23)가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여 와이어(20)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탄성부재(23)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신축 방향이 변경되어 와이어(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23)는 인장력에 의한 충격뿐만 아니라 와이어(20)에 작용하는 모든 외력, 예를 들어, 해류 등으로 인한 충격도 흡수할 수 있다. 탄성부재(23)가 와이어(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와이어(20)에 의해 일정 위치에 계류된 선체(10)가 요동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와이어(20)의 손상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어 와이어(20)의 수명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선체(10) 또는 와이어(20)에는 센서부(30)가 결합될 수 있다. 센서부(30)는 와이어(20)에 작용하는 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와이어(20)의 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30)는 공지된 기술로서, 본 명세서 상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센서부(30)가 와이어(20)에 결합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센서부(30)는 각각의 와이어(20)에 결합되어 와이어(20)에 작용하는 장력을 측정한다. 센서부(30)는 앵커(21)에 고정되는 타단부에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센서부(30)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각각의 센서부(30)는 측정된 와이어(20)의 장력값을 제어부(40)에 전달한다.
제어부(40)는 선체(10)의 일 측에 설치되며, 센서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30)로부터 측정된 장력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40)는 센서부(30) 뿐만 아니라 평형수 탱크(10a)의 펌프유닛(11)과 도어부(12), 및 윈치부(22)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센서부(30)로부터 입력받은 장력값이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평형수 탱크(10a) 또는 윈치부(22)를 동작하여 와이어(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0)는 와이어(20)의 장력값이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평형수 탱크(10a)에 평형수를 유입하거나 유출시킬 수 있으며, 윈치부(22)를 동작하여 와이어(20)를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범위라 함은, 평형수의 유입 또는 유출, 및 와이어(20)의 권취 또는 권출 없이도 하역작업이 가능한 흘수를 유지하기 위한 와이어(20)의 장력범위를 의미하며, 와이어(20)의 기본 장력, 인장강도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센서부(30)로부터 측정된 와이어(20)의 장력값이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면, 별다른 대응없이 육상시설(100)로부터 선체(10)로, 또는 선체(10)로부터 육상시설(100)로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40)는 각각의 센서부(30)로부터 측정된 장력값을 입력받아, 각각의 장력값이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평형수 탱크(10a)에 평형수를 유출입시키고, 각각의 와이어(20)를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다. 제어부(40)가 센서부(30)로부터 측정되는 장력값을 바탕으로 선체(10)의 흘수를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급변하는 해상 환경에서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여 하역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역작업 도중에 해수면의 변화에 따라 선체(10)가 갑자기 하강 또는 상승한 경우, 제어부(40)는 변경된 장력값이 다시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평형수 탱크(10a)에 평형수를 유출입시키고 와이어(20)를 권취 또는 권출하여 선체(10)와 육상시설(100)의 높이 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가 평형수 탱크(10a)와 윈치부(22)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와이어(20)의 장력을 조절하고 선체(10)의 흘수를 조절함으로써, 평형수 탱크(10a)만으로 선체(10)의 흘수를 조절하는 종래의 해양구조물에 비해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선체(10)는 상면에 제1 스키드(13)가 설치되고, 선체(10)가 접안하는 육상시설(100)은 상면에 제2 스키드(10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스키드(13)와 제2 스키드(101)는 화물(200)을 적재한 이송부(102)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레일(rail) 형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1 스키드(13)와 제2 스키드(101)가 I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송부(102)는 제1 스키드(13)와 제2 스키드(10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화물(200)을 육상시설(100)로부터 선체(10)로, 또는 선체(10)로부터 육상시설(100)로 이송한다. 이 때, 제1 스키드(13)와 제2 스키드(101)가 서로 어긋날 경우, 이송부(102)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없으므로, 제어부(40)는 평형수 탱크(10a) 또는 윈치부(22)를 동작하여 제1 스키드(13)와 제2 스키드(101)를 동일 선상에 위치시킨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해상구조물(1)의 동작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해상구조물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1)은 선체(10)와 해저(F)를 연결하는 와이어(20)의 장력값이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평형수 탱크(10a)에 평형수를 유출입하거나 와이어(20)를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다. 따라서, 선체(10)의 흘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선체(10)와 육상시설(100)과의 높이 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화물(200)의 하역작업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3의 (a)는 해상구조물이 육상시설에 입항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해상구조물이 육상시설에 접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의 (c)는 해상구조물과 육상시설의 높이 차를 조절하여 하역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면, 선체(10)는 내부에 평형수 탱크(10a)가 구비되며, 평형수 탱크(10a)는 선체(10)의 균형 및 적정 흘수 유지를 위하여 내부에 평형수가 일부 유입된 상태일 수 있다. 선체(10)는 상면에 복수의 윈치부(22)와 제1 스키드(13)가 설치되며, 와이어(20)는 윈치부(22)에 권취된 상태로 배치된다. 선체(10)는 육상시설(100)을 향하여 입항한다.
육상시설(100)은 상면에 제2 스키드(101)가 설치되며, 제2 스키드(101)의 상부에는 이송부(102)가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 때, 이송부(102)의 상면에는 선체(10)에 하역할 화물(200)이 적재될 수 있다.
육상시설(100)과 근접한 해저(F)에는 와이어(20)의 고정을 위한 앵커(21)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3의 (b)를 참조하면, 선체(10)는 입항하여 육상시설(100)에 접안한다. 선체(10)가 육상시설(100)에 접안하면, 제어부(40)는 윈치부(22)를 동작하여 와이어(20)를 권출하고, 권출된 와이어(20)는 해상에 내려져 잠수부에 의해 앵커(21)에 고정된다. 와이어(20)의 일단부가 윈치부(22)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앵커(21)에 고정됨으로써, 와이어(20)에는 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탄성부재(23)는 와이어(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일부 흡수하며, 센서부(30)는 실시간으로 와이어(20)의 장력을 측정하여 제어부(40)로 전송한다. 이 때, 선체(10)와 육상시설(100)은 상면이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스키드(13)와 제2 스키드(101)는 서로 어긋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키드(13)는 제2 스키드(101)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와이어(20)에 작용하는 장력은 설정범위를 벗어나 하역작업이 가능한 흘수를 유지하기 위한 와이어(20)의 최소 장력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이어서, 도 3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40)는 센서부(30)로부터 입력받은 장력값이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평형수 탱크(10a) 또는 윈치부(22)를 동작한다. 제어부(40)는 먼저 평형수 탱크(10a)를 동작한 후에 윈치부(22)를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키드(13)가 제2 스키드(101)보다 낮게 배치되는 경우, 제어부(40)는 평형수 탱크(10a)를 개폐하는 도어부(12)를 개방하고, 펌프유닛(11)을 동작하여 평형수 탱크(10a)에 저장된 평형수를 일부 유출시킬 수 있다. 평형수 탱크(10a)로부터 평형수가 유출됨으로써, 선체(10)는 일부 상승하게 된다. 제어부(40)는 센서부(30)로부터 전송된 장력값이 설정범위 내에 위치한 경우, 평형수의 유출을 중단하고, 윈치부(22)에 권취된 와이어(20)를 일부 감거나 풀어 제1 스키드(13)와 제2 스키드(101)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스키드(13)와 제2 스키드(101)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면, 이송부(102)는 제2 스키드(101)로부터 제1 스키드(13)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화물(200)을 하역할 수 있다.
하역작업이 완료되면, 잠수부를 투입하여 와이어(20)와 앵커(21)를 분리하고, 선체(10)를 해상으로 출항시킨다.
도 4의 (a)는 해상구조물과 육상시설의 높이 차가 증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해상구조물과 육상시설의 높이 차를 조절하여 하역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면, 해수면의 증가로 인하여 선체(10)가 상승하면, 제1 스키드(13)는 제2 스키드(10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 와이어(20)에 작용하는 장력은 설정범위를 벗어나 하역작업이 가능한 흘수를 유지하기 위한 와이어(20)의 최대 장력값보다 클 수 있다. 와이어(20)에 작용하는 장력이 증가함으로써, 탄성부재(23)는 와이어(20)의 길이 방향으로 일부 이완되며 와이어(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센서부(30)는 실시간으로 와이어(20)의 장력을 측정하여 제어부(40)로 전송한다.
이어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40)는 센서부(30)로부터 입력받은 장력값이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평형수 탱크(10a)를 동작한 후에, 윈치부(22)를 동작하여 정밀 제어를 한다.
제1 스키드(13)가 제2 스키드(101)보다 높게 배치되는 경우, 제어부(40)는 도어부(12)를 개방하고, 펌프유닛(11)을 동작하여 평형수 탱크(10a) 내부에 평형수를 일부 유입시킨다. 평형수 탱크(10a)로 평형수가 유입됨으로써, 선체(10)는 일부 하강하게 되며, 이완되었던 탄성부재(23)는 원래의 상태로 수축된다. 제어부(40)는 센서부(30)로부터 전송된 장력값이 설정범위 내에 위치한 경우, 평형수의 유입을 중단하고, 와이어(20)를 일부 감거나 풀어 제1 스키드(13)와 제2 스키드(101)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1 스키드(13)와 제2 스키드(101)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면, 이송부(102)는 슬라이딩 이동하며 화물(200)을 하역하며, 하역작업이 완료되면 잠수부를 투입하여 와이어(20)와 앵커(21)를 분리한다.
제어부(40)가 와이어(20)의 장력값을 바탕으로 평형수의 유출입과 와이어(20)의 권취 또는 권출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선체(10)의 흘수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해상구조물 10: 선체
10a: 평형수 탱크 11: 펌프유닛
12: 도어부 13: 제1 스키드
20: 와이어 21: 앵커
22: 윈치부 23: 탄성부재
30: 센서부 40: 제어부
50: 보호부재 100: 육상시설
101: 제2 스키드 102: 이송부
200: 화물 F: 해저

Claims (4)

  1. 평형수 탱크를 구비하는 선체;
    일단부가 상기 선체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해저에 고정된 앵커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장력값이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평형수 탱크에 평형수를 유입하거나 유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윈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장력값이 상기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평형수 탱크 또는 상기 윈치부를 동작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해상구조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상면에 제1 스키드가 설치되고, 상기 선체가 접안하는 육상시설은 상면에 제2 스키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형수 탱크 또는 상기 윈치부를 동작하여 상기 제1 스키드와 상기 제2 스키드를 동일 선상에 위치시키는 해상구조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을 이루며,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KR1020140164614A 2014-11-24 2014-11-24 해상구조물 KR20160061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614A KR20160061775A (ko) 2014-11-24 2014-11-24 해상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614A KR20160061775A (ko) 2014-11-24 2014-11-24 해상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775A true KR20160061775A (ko) 2016-06-01

Family

ID=5613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614A KR20160061775A (ko) 2014-11-24 2014-11-24 해상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17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766B1 (ko) * 2019-10-30 2021-03-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 스테이션
CN117227901A (zh) * 2023-11-08 2023-12-15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拖轮用伸缩式起抛锚装置以及拖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821A (ko) 1999-09-01 2002-06-07 빈씨 컨스트럭션 그랜즈 프로젝츠 중간 깊이에서의 해상작업을 위한 장력 스트러트를 구비한이동 가능한 바지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821A (ko) 1999-09-01 2002-06-07 빈씨 컨스트럭션 그랜즈 프로젝츠 중간 깊이에서의 해상작업을 위한 장력 스트러트를 구비한이동 가능한 바지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766B1 (ko) * 2019-10-30 2021-03-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 스테이션
CN117227901A (zh) * 2023-11-08 2023-12-15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拖轮用伸缩式起抛锚装置以及拖轮
CN117227901B (zh) * 2023-11-08 2024-02-23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拖轮用伸缩式起抛锚装置以及拖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6948B2 (ja) スラスタシステム及びそれを含む船舶
KR101984917B1 (ko) 펜더 대빗 장치
KR100796410B1 (ko) 탠덤 건조공법에 적용되는 침수공법
KR20120091816A (ko) 부유체의 계류 안정화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9000757A1 (zh) 一种船舶过驳中的加水方法
KR20160061775A (ko) 해상구조물
KR101785080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KR101599026B1 (ko) 선박 계류 장치
EP3044084B1 (en) Floating cage launch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RU2483969C1 (ru) Разборный судоподъемный понтон
JP2012051555A (ja) 海洋または潜水機械装置の回収用装置
KR101411946B1 (ko) 정선장비
KR102662433B1 (ko) 웨더베이닝 다점계류 방법
KR20160000290U (ko)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KR102050794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KR100988124B1 (ko) 스트랜드 잭을 이용한 계류 장치
KR20150104734A (ko) 도르래를 이용한 선박 계류장치
EP1829781B1 (en) Mooring system for a floatable unit
WO2015034351A1 (en) Method for arranging a pile on a vessel
KR101692778B1 (ko) 부유식 해양원전 핵연료 장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566522B1 (ko) 대형 블록 탑재 방법
KR102629003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펜더 장치
RU2792033C1 (ru) Судо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основе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шагового тросового домкрата
NL2024241B1 (en) Vessel and method for offshore cable laying
KR100953487B1 (ko) 탠덤 건조공법에 적용되는 고박을 이용한 침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