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123A - T세포의 면역기능 강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T세포의 면역기능 강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123A
KR20200071123A KR1020207014957A KR20207014957A KR20200071123A KR 20200071123 A KR20200071123 A KR 20200071123A KR 1020207014957 A KR1020207014957 A KR 1020207014957A KR 20207014957 A KR20207014957 A KR 20207014957A KR 20200071123 A KR20200071123 A KR 20200071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teroides
composition
cancer
pragilis
in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쳥 증
구?? 증
Original Assignee
쉔젠 웨야오 라이프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65384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07112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쉔젠 웨야오 라이프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쉔젠 웨야오 라이프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71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12R1/0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유기체의 T세포 면역기능을 강화하거나, 또는 종양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T세포의 면역기능 강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생명의학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T세포의 면역기능 강화를 위한 조성물, 종양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악성종양은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제1 사망원인"이며, 인류의 사망원인 중, 악성종양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이미 1위로 상승하였다. 전세계적으로 매년 대략 870만명이 악성종양을 앓고, 약 690만명이 사명하며, 중국에서만도 매년 105만명이 말기 악성종양으로 사망한다. 현재 악성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은 매우 제한적이다.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Bacteroides fragilis, 약칭 B.fragilis)는 일종의 그람염색 음성이고, 막대형(rod-shaped)이며, 양단이 뭉뚝하고 진하게 염색되며, 피막(capsule)이 있고, 아포(spore)가 없으며, 동력이 없는 절대혐기성균(obligate anaerobic bacterium)으로서, 이는 장독소형(enterotoxigenic)과 비 장독소형(non-enterotoxigenic)으로 구분된다.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사람 및 동물의 장내 정상균의 일부분으로서, 주로 결장에 존재하며, 또한, 호흡기도, 위장관 및 비뇨생식관에서도 정식(定植) 생장이 가능하다. 많은 연구에서,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급만성 장염, 장내세균 이상(dysbacteriosis), 상기도 감염과 신경증 등의 예방과 치료에 대해 양호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유기체의 T세포 면역기능을 강화하고 종양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유기체의 T세포 면역기능 강화에의 응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종양 예방 및/또는 치료에의 응용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유기체의 T세포 면역기능을 강화하는 약물 제조에의 응용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종양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약물 제조에의 응용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Bacteroides fragilis)를 포함하는, 유기체의 T세포 면역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조성물을 더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불활성화, 독성 완화, 저감염성 또는 비감염성이며, 또한 천연구조의 세균 단백질 성분을 함유하여, T세포의 고갈분자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킴으로써 T세포의 면역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생균체; 불활성화, 유전자 재조합, 개조 또는 변성, 독성 완화, 화학처리, 물리처리 또는 불활성화를 거친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용해물; 및/또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액체배양 상청액 중의 하나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건열, 습열, 여과, 유기용매, 화학시약, 자외선 또는 적외선, 발효, 동결건조,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변성 또는 개조 방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불활성화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약물 조성물, 식품, 영양제 또는 식품첨가제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유기체의 T세포 면역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더 제공하며, 그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살아있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배양물을 수집한다;
(2) 15% 글리세롤/생리식염수 용액으로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세척한다;
(3)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상기 15% 글리세롤/생리식염수 용액에 재현탁시킨다.
(4) 70℃의 수욕을 통해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30분 동안 가열하여 불활성화 균체를 획득한다.
상기 15% 글리세롤/생리식염수 용액이란 생리식염수 중 15%(부피 백분율)의 글리세롤이 함유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포함하는, 종양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더 제공한다.
상기 종양은 바람직하게는 유선암, 결장직장암,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방광암, 흑색종, 폐암, 위암, 간암, 담관암, 신경교종, 머리 목 편평세포암, 자궁경부암, 신세포암, 갑상선암, 급성 골수성 백혈병, 골수종, 식도암, 림프종, 피부암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불활성화, 독성 완화, 저감염성 또는 비감염성이며, 또한 천연구조의 세균 단백질 성분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건열, 습열, 여과, 유기용매, 화학시약, 자외선 또는 적외선, 발효, 동결건조,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변성 또는 개조 방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불활성화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약물 조성물, 식품, 영양제 또는 식품첨가제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유기체의 T세포 면역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1) 불활성화되거나 또는 비감염성인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2) 환자에게 유효량의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환자에게 불활성화된, 저감염성 또는 비감염성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T세포 중 분자 Tim-3의 발현을 억제하고 T세포의 면역기능을 강화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종양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더 제공하며, 그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살아있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배양물을 수집한다;
(2) 15% 글리세롤/생리식염수 용액으로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세척한다;
(3)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상기 15% 글리세롤/생리식염수 용액에 재현탁시킨다.
(4) 70℃의 수욕을 통해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30분 동안 가열하여 불활성화 균체를 획득한다.
실험 결과,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기능 강화를 통해, 종양의 생장을 감소 또는 억제하는 효과가 생리식염수 또는 장내 세균을 불활성화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40%에 달하거나 또는 초과하였고, 심지어 40~9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기능 강화를 통해 특히 T세포 기능 억제분자 또는 T세포 고갈분자라고도 칭하는 T-cell immunoglobulin and mucin-domain containing-3(T세포 면역글로불린 뮤신 단백질 분자 3)(약칭: Tim-3 또는 Tim3)을 포함하되 단 Tim-3에 한정되지 않는 면역세포의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능이 강화된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가 Tim-3 등의 T세포 고갈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생리식염수 또는 장내 세균을 불활성화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35~65%에 달하거나 또는 초과할 수 있다.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기능 강화를 통해, CD4+ T세포와 CD8+ T세포인 가장 중요한 두 항종양 면역 세포의 Tim-3를 포함하되, 단 Tim-3에 한정되지 않는 T세포 고갈분자 발현을 동시에 감소시킴으로써 CD4+ T세포와 CD8+ T세포의 항종양 면역기능을 동시에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및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마우스의 흑색종에 대한 치료 및/또는 예방 작용 검출 실험 흐름도이다.
도 2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및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마우스의 체내 종양 생장 억제 작용에 대한 마우스의 원위 검출(in situ detection)로서, 점선의 원 표시는 종양의 위치와 크기이다. 원의 직경이 클수록 종양의 생장속도가 빠르고 종양의 부피가 더욱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면 중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불활성화 처리한 마우스의 종양 부피가 다른 두 그룹의 마우스의 종양보다 현저하게 작은 것을 볼 수 있다.
도 3은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및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마우스 체내 종양 생장에 대한 억제작용의 종양 검출 사진이다. 도면에서, 생리식염수 또는 미불활성화 대조군에 비해,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로 처리된 마우스의 종양 부피가 대폭 감소하였음을 볼 수 있다.
도 4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및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예방 및/또는 치료 후의 마우스 체내 종양 부피 비교 통계 분석도이다. 생리식염수 또는 미불활성화 대조군과 비교하여,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가 종양의 생장 부피를 억제하는 효과가 40~90%에 달하거나 또는 초과하였다. *는 student t-test p<0.05를 나타내고, **는 student t-test p<0.01을 나타낸다. p<0.05 또는 p<0.01은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각 처리군마다 12마리의 마우스가 있다.
도 5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및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흑색종 예방 및/또는 치료 후, CD4+ T세포 중 억제분자인 Tim-3이 발현된 각 처리그룹 중 각각 한 마리의 마우스의 유세포분석도이다. 우상부의 숫자가 나타내는 것은 Tim-3+CD4+ T세포(즉 Tim-3도 발현되고 CD4도 발현된 T세포)가 비장 총체의 CD4+ T세포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다. 유세포분석 상한도를 통해, 생리식염수 또는 미불활성화 대조군에 비해,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Tim-3 분자 발현 감소 효과가 38~65%에 달하거나 또는 초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및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흑색종 예방 및/또는 치료 후, CD4+ T세포 중 억제분자인 Tim-3이 발현된 상황의 통계분석도이다. 통계도를 통해, 생리식염수 또는 미불활성화 대조군에 비해,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가 CD4+ T세포 중 Tim-3 분자의 발현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계분석도 중 **는 student t-test p<0.01을 나타낸다. p<0.01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며, 각 처리군마다 12마리의 마우스가 있다.
도 7은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및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흑색종 예방 및/또는 치료 후, CD8+ T세포 중 억제분자인 Tim-3이 발현된 상황의 유세포분석도이다. 우상부의 숫자가 나타내는 것은 Tim-3+CD8+ T세포(즉 Tim-3도 발현되고 CD8도 발현된 T세포)가 비장 총체의 CD8+ T세포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다. 유세포분석 상한도를 통해, 생리식염수 또는 미불활성화 대조군에 비해,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Tim-3 분자 발현 감소 효과가 35~60%에 달하거나 또는 초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및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흑색종 예방 및/또는 치료 후, CD8+ T세포 중 억제분자인 Tim-3이 발현된 상황의 통계분석도이다. 통계도를 통해, 생리식염수 또는 미불활성화 대조군에 비해,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가 CD8+ T세포 중 Tim-3 분자의 발현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계분석도 중 *는 student t-test p<0.05를 나타낸다. p<0.05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며, 각 처리군마다 12마리의 마우스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나, 단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 중의 유기체의 T세포 면역기능을 강화하고 종양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불활성화된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또는 본 발명의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함유한 약물 조성물, 식품, 영양제 및 식품첨가제를 피실험자에게 투여한 후, 모두 윗글에서의 상기 적응증에 응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윗글의 상기 기능이 발휘될 수 있었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모든 제형은 모두 이미 시험을 거쳤음을 언급해둔다. 아래에서는 단지 설명을 위해, 실시예에서 그 중 일부만 묘사하였으나, 이를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불활성화, 독성 완화, 저감염성 또는 비감염성이며, 또한 CD4+ T세포 및/또는 CD8+ T세포의 T세포 고갈분자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건열, 습열, 여과, 유기용매, 화학시약, 자외선 또는 적외선, 발효, 동결건조,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변성 또는 개조 방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불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양/암은 고형 종양/암을 포함하되,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상기 종양/암은 유선암, 결장직장암,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방광암, 흑색종, 폐암, 위암, 간암, 담관암, 신경교종, 머리 목 편평세포암, 자궁경부암, 신세포암, 갑상선암, 급성 골수성 백혈병, 골수종, 식도암, 림프종, 피부암 등 종양 또는 이러한 종양의 조합일 수 있다.
실시예 1: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배양
배양방법
단계 1: 동결건조 보존된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Bacteroides fragilis) 균종(ATCC 공식 웹사이트에서 구매) 하나를 취하여, 200μL의 TSB 배지에 투입하고, 재용출(redissolution)한 후, 혈액 평판 배지에 도말하고, 혐기조의 기체 제어 시스템의 공기를 뺀 후 생화학 인큐베이터에서 37℃로 48시간(h)동안 혐기 배양한다;
단계 2: 단일 클론 균락을 선별하여 10ml의 TSB 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12h 동안 혐기 배양한다;
단계 3: 1병의 500ml TSB 배지를 취하여, 1%(v/v) 균종을 접종하고, 37℃에서 48h 동안 혐기 배양한다;
단계 4: 균액을 취하여, 6000rpm으로 10min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생리식염수로 2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생리식염수로 박테리아 슬러지를 재용출하여 준비해두고 생균을 계수한다.
실시예 2: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마우스 종양(예를 들어 흑색종)에 대한 치료작용 실험
도 1은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및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마우스 종양(흑색종)에 대한 치료 및/또는 예방 작용 검출 실험 흐름도이다.
1. 배양방법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배양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2. 샘플 준비
1)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ZY-312 생균체의 제조
단계 1: 동결건조 보존된 균종(ATCC 공식 웹사이트에서 구매) 하나를 취하여, 200μL의 동결건조 보존균 배지에 투입하여, 재용출하고, 20μL을 흡취하여 혈액 평판 배지에 도말한 후, 혐기조의 기체 제어 시스템에서 공기를 뺀 후 생화학 인큐베이터에서 37℃로 48시간(h)동안 혐기 배양한다;
단계 2: 단일 클론 균락을 선별하여 10ml의 TSB 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12h 동안 혐기 배양한다;
단계 3: 1병의 500ml TSB 배지를 취하여, 1%(v/v) 균종을 접종하고, 37℃에서 48h 동안 혐기 배양한다;
단계 4: 균액을 취하여 원심분리기로 원심분리하며, 원심분리 조건은 6000rpm, 10min이다. 생리식염수로 2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생리식염수로 박테리아 슬러지를 재용출하여 준비해두고 생균을 계수한다.
2)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불활성화 균체
온도가 70℃인 수욕기(water bath kettle)에서 30분(min) 동안 가열하여 불활성화 균액을 획득한다.
실험 동물: 정신상태가 양호한 C57BL/6 마우스 3~4주령 36마리를 중산대학 실험동물센터로부터 구입하였다. 마우스를 무작위로 그룹당 12마리씩 각 그룹의 성별을 일치시켜 3그룹으로 나누었으며, 3 그룹은 각각 생리식염수 대조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위관투여군(또는 생균군 또는 미불활성화군으로 약칭),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위관투여군(또는 불활성화군으로 약칭)이다.
실험과정과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그룹의 마우스에 대해 각각 1*109CFU의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1*109CFU의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및 생리식염수를 위관투여하여 비교하였으며, 연속으로 2주 동안 위관투여하고, 매일 체중을 측정하였다. 이후 마우스의 종양(흑색종) B16세포가 대수기(log phase)까지 생장 후, TE로 세포를 소화시키고, 배지를 중화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집하고, DPBS로 2회 세척한 후 잔류 혈청을 제거하고, DPBS로 세포를 재현탁하였다. 세포를 계수하여, 1*106개의 B16세포를 모든 마우스의 우측 겨드랑이 피하에 접종하였다. 또한 지속적으로 마우스에 대해 각각 위관투여 치료를 진행하였으며, 2주 후 종양 보유 마우스를 사망시키고, 피하 종양 덩어리를 해부하여 종양 크기를 측정하였다.
CD4+ T세포와 CD8+ T세포는 유기체의 항종양에 극히 핵심적인 두 가지의 T세포 하위군으로서, anti-CD3, anti-CD4, anti-CD8 및 anti-Tim-3 단일 클론 형광 항체 마커를 동시에 이용하여 마우스 비장으로부터 림프세포를 분리한 후,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마우스 비장 내의 CD4+ T세포와 CD8+ T세포의 Tim-3 발현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및 그것의 불활성화 균은 모두 마우스의 종양 형성 및 생장에 대해 뚜렷한 억제 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및 도 3, 도 2 중 화살표는 종양 부위). 그러나, 도 2, 도 3 및 도 4의 실험 결과, 생리식염수 대조군 중의 마우스 종양(흑색종)은 시간 경과에 따라 종양 덩어리가 점차 커졌고, 불활성화된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군의 종양 덩어리는 대조군인 식염수군 및 미불활성화군보다 현저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다). 이러한 결과(도 2, 도 3 및 도 4)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가 불활성화를 거친 후 유기체의 항종양 효과가 현저하게 강화되어, 종양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으며, 종양(예를 들어 흑색종)의 예방과 치료에 대해 더욱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설명한다.
Tim-3은 T세포의 항종양 효과를 억제하는 기능의 고갈분자로서, Tim-3의 발현이 높을수록 유기체의 T세포 항종양 면역기능이 억제되거나, 저하되거나 및/또는 고갈되는 상태에 처한다. 따라서 Tim-3의 T세포에서의 발현을 제어하여 감소시키는 것이 유기체의 T세포의 항종양 면역기능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강화하는 관건이며, Tim-3의 발현이 낮을수록 T세포의 항종양 면역기능이 더욱 강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의 결과는 불활성화된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가 생리식염수 또는 미불활성화된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에 비해 효율이 더욱 높고, CD4+ T세포 및/또는 CD8+ T세포 중의 Tim-3의 발현이 현저하게 억제될 수 있으며(Tim-3 발현 억제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다), 나아가 T세포 면역기능을 강화하고 유기체의 항종양 면역 능력이 강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어째서 불활성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가 생리식염수 또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생균군보다 더 강한 항종양 효과가 있는지를 더욱 분명하게 설명해준다.
이상의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을 결합하여 제공된 기술방안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가 상기 설명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소속 기술분야의 보통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약간의 간단한 추단과 연역 또는 교체를 더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유기체의 T세포의 면역기능 강화를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Bacteroides fragili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생균체; 불활성화, 유전자 재조합, 개조 또는 변성, 독성 완화, 화학처리, 물리처리 또는 불활성화를 거친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용해물; 및/또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액체배양 상청액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건열, 습열, 여과, 유기용매, 화학시약, 자외선 또는 적외선, 발효, 동결건조,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변성 또는 개조 방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불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물 조성물, 식품, 영양제 또는 식품첨가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살아있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배양물을 수집하는 단계;
    (2) 생리식염수 중 부피 백분율이 15%인 글리세롤이 함유된 15% 글리세롤/생리식염수 용액으로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세척하는 단계;
    (3)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상기 15% 글리세롤/생리식염수 용액에 재현탁시키는 단계;
    (4) 70℃의 수욕을 통해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30분 동안 가열하여 불활성화 균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종양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생균체; 불활성화, 유전자 재조합, 개조 또는 변성, 독성 완화, 화학처리, 물리처리 또는 불활성화를 거친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용해물; 및/또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액체배양 상청액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는 건열, 습열, 여과, 유기용매, 화학시약, 자외선 또는 적외선, 발효, 동결건조,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변성 또는 개조 방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불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물 조성물, 식품, 영양제 또는 식품첨가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은 유선암, 결장직장암,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방광암, 흑색종, 폐암, 위암, 간암, 담관암, 신경교종, 머리 목 편평세포암, 자궁경부암, 신세포암, 갑상선암, 급성 골수성 백혈병, 골수종, 식도암, 림프종, 피부암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6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살아있는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배양물을 수집하는 단계;
    (2) 생리식염수 중 부피 백분율이 15%인 글리세롤이 함유된 15% 글리세롤/생리식염수 용액으로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세척하는 단계;
    (3)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상기 15% 글리세롤/생리식염수 용액에 재현탁시키는 단계;
    (4) 70℃의 수욕을 통해 상기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를 30분 동안 가열하여 불활성화 균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유기체의 T세포 면역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성물 제조에의 용도.
  13.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종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제조에의 용도.
KR1020207014957A 2017-11-17 2017-12-26 T세포의 면역기능 강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711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144522.9A CN109793761B (zh) 2017-11-17 2017-11-17 一种用于增强t细胞免疫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201711144522.9 2017-11-17
PCT/CN2017/118590 WO2019095508A1 (zh) 2017-11-17 2017-12-26 一种用于增强t细胞免疫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123A true KR20200071123A (ko) 2020-06-18

Family

ID=6653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957A KR20200071123A (ko) 2017-11-17 2017-12-26 T세포의 면역기능 강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353014A1 (ko)
EP (1) EP3712246A4 (ko)
JP (1) JP2021503504A (ko)
KR (1) KR20200071123A (ko)
CN (1) CN109793761B (ko)
AU (1) AU2017440014A1 (ko)
CA (1) CA3082716A1 (ko)
WO (1) WO20190955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0063A (zh) * 2017-06-29 2019-01-15 中山大学 脆弱拟杆菌在制备用于治疗和预防结核病的药物中的应用
CN110496140B (zh) * 2018-05-18 2022-05-31 瑞微(深圳)生物科技有限公司 脆弱拟杆菌或阿克曼粘细菌在制备用于预防或治疗肿瘤的药物中的应用
CN114306616B (zh) * 2022-01-12 2023-04-28 广州知易生物科技有限公司 脆弱拟杆菌和免疫检查点抑制剂的新应用
CN114344339B (zh) * 2022-01-12 2023-07-25 广州知易生物科技有限公司 脆弱拟杆菌联合免疫检查点抑制剂在治疗皮肤肿瘤中的应用
CN114469987B (zh) * 2022-01-12 2023-07-14 广州知易生物科技有限公司 脆弱拟杆菌两性离子荚膜多糖与免疫检查点抑制剂联合用药治疗生殖泌尿系统肿瘤的应用
CN114344325B (zh) * 2022-01-12 2023-07-14 广州知易生物科技有限公司 脆弱拟杆菌及其两性离子荚膜多糖在制备用于防治生殖泌尿系统肿瘤的药物中的应用
CN114344338B (zh) * 2022-01-12 2023-08-04 广州知易生物科技有限公司 脆弱拟杆菌和/或其两性离子荚膜多糖的新应用
CN114344340B (zh) * 2022-01-12 2023-07-25 广州知易生物科技有限公司 脆弱拟杆菌与pd-1及pd-l1抗体联合用药治疗呼吸系统肿瘤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57C (zh) * 1990-05-03 1995-09-27 张季阶 拟杆菌微生态制剂的制备方法
EP1765391B1 (en) * 2004-06-07 2013-03-06 Qu Biologics Inc Bacteri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U2011261528A1 (en) * 2010-06-01 2013-01-10 Moore Research Enterprises Llc Cellular constituents from Bacteroides, compositions thereof, and therapeutic methods employing Bacteroides or cellular constituents thereof
EP2994161B1 (en) * 2013-05-10 2020-10-2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Probiotic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lon cancer
CN103750341A (zh) * 2014-01-13 2014-04-30 苏州万生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灭活拟杆菌微生态制剂及其制备方法
EP3012270A1 (en) * 2014-10-23 2016-04-27 Institut Gustave Roussy Products for modulating microbiota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efficacy of a cancer treatment with an immune checkpoint blocker
EP3250215A4 (en) * 2015-01-29 2018-08-08 Oxyrase, Inc. Methods for inhibiting tumor growth
CN106399141B (zh) * 2015-07-31 2019-07-05 广州知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脆弱拟杆菌及其应用
CN105434477B (zh) * 2015-10-29 2019-03-05 广州普维君健药业有限公司 脆弱拟杆菌在抗水产病原菌中的应用
CN106727730A (zh) * 2016-12-31 2017-05-31 健务(上海)生物科技有限公司 调节机体免疫力抗癌的生物菌液及其制备方法
CN109528775A (zh) * 2017-09-22 2019-03-29 中山大学 脆弱拟杆菌在制备用于治疗和预防肿瘤的药物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2246A4 (en) 2020-12-23
EP3712246A1 (en) 2020-09-23
CA3082716A1 (en) 2019-05-23
JP2021503504A (ja) 2021-02-12
CN109793761B (zh) 2021-03-05
CN109793761A (zh) 2019-05-24
AU2017440014A1 (en) 2020-06-18
WO2019095508A1 (zh) 2019-05-23
US20200353014A1 (en)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1123A (ko) T세포의 면역기능 강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496140B (zh) 脆弱拟杆菌或阿克曼粘细菌在制备用于预防或治疗肿瘤的药物中的应用
US20200384040A1 (en) Use of bacteroides fragilis in preparation of medicament for treating and preventing tumor
CN110638838B (zh) 阿克曼粘细菌或普氏菌在制备用于增强抗肿瘤免疫功能的药物中的应用
CN104224851B (zh) 动物双歧杆菌乳酸亚种CGMCC No.9273的应用
CN106148282B (zh) 一种自然杀伤细胞的培养方法
CN111004757B (zh) 一种罗伊氏乳杆菌、微生物菌剂及食物制品
CN103937716A (zh) 人源发酵乳杆菌grx07及其应用
CN106222141A (zh) Nk细胞培养液和细胞培养方法
Culpepper The effects of kefir and kefir components on immune and metabolic physiology in pre-clinical studies: A narrative review
CN105505871B (zh) 一种有效扩增cik且提高其特异性杀瘤能力的方法
Xu et al. Lactobacillus casei JY300-8 generated by 12C6+ beams mutagenesis inhibits tumor progression by modulating the gut microbiota in mice
CN109153706A (zh) 源自乳酸菌的蛋白质及其制备方法
KR101037101B1 (ko) 신규한 바실러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뽕잎발효물
CN105505872B (zh) 一种致敏nk细胞的方法及组合物
CN111450124B (zh) 阿克曼粘菌或普氏菌在增加肿瘤微环境γδT细胞积累并增强抗肿瘤免疫功能药物中的应用
CN105274032B (zh) 一种拮抗空肠弯曲杆菌及抑制其flaA基因表达的罗伊氏乳杆菌
CN115806893B (zh) 普通拟杆菌及其组合物在辅助癌症免疫治疗中的应用
Aminaei et al. Primary evidence on the potential of Lactobacillus paracasei in treat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Muhammad Shireen. Antibacterial Approach of Lacto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Exterior of Fruits
Srivastava et al. ROLE OF PROBIOTICS IN CONTROL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Teng et al. Pasteurized Akkermansia muciniphila improves immunity and relieves other toxic effects in 5-fluorouracil treated BALB/c mice
Suthar et al. Postbiotics: an exposition on next generation functional food compounds-opportunities and challenges
EP3967317A1 (en) Use of intestinal bacteria in preparation of drug for promoting tcr ??+t cell proliferation
CN117987297A (zh) 一株肠道菌及其在抗肿瘤免疫治疗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