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823A - 밀폐캔 개봉안전공구 - Google Patents
밀폐캔 개봉안전공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68823A KR20200068823A KR1020180155630A KR20180155630A KR20200068823A KR 20200068823 A KR20200068823 A KR 20200068823A KR 1020180155630 A KR1020180155630 A KR 1020180155630A KR 20180155630 A KR20180155630 A KR 20180155630A KR 20200068823 A KR20200068823 A KR 202000688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body
- sealed
- opening
- safety tool
- groov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40—Devices for engaging tags, strips, or tongues for opening by tearing, e.g. slotted keys for opening sardine t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면 보관캔을 비롯하여 개봉보조철편이 구비된 밀폐캔 개봉안전공구로서, 그 밀폐캔 개봉안전공구는 전기드릴의 척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 되고 일단이 드릴에 결합될 수 있는 원통형 회전체; 회전체의 일부를 회전체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양쪽으로 나누는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제1 홈부에 상기 개봉보조철편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전기드릴이 작동하여 상기 회전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밀폐된 보관캔이 개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캔 개봉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신체 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캔 개봉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신체 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독면 보관캔을 비롯한 개봉보조철편이 구비된 밀폐캔 개봉안전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확하고 신속한 개봉을 가능하게 하며,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공구에 관한 것이다.
군내 사용중인 방독면은 밀폐캔에 장기보관된다. 보관 중에 성능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1년에 한번씩 밀폐캔을 개봉하거나 전시에 밀폐캔을 개봉하게 된다. 이때 방독면 밀폐캔의 옆면에 부착된 개봉보조철편을 손가락을 이용해 옆면을 따라서 한바퀴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개봉하게 된다.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개봉방식의 경우, 보관상자 1개를 개봉하는데 약 2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개봉하는 과정에서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했고, 작업자의 손가락 피로가 발생하며 장시간 작업시 골절을 입는 경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날카로운 절단면으로 인해 작업자의 신체부위에 상해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고, 불균일한 절단면으로 인해 보관상자의 재활용이 제한되는 경우도 있었다. 개봉보조철편이 중간에 끊어져버리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발생되는 안전사고는 작업을 기피하게 만들고, 보관상자를 개봉하는데 불필요한 인력과 시간이 낭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과 신속성을 구비하고, 모든 종류의 드릴과 호환이 가능한 밀폐캔 개봉안전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방독면 보관캔을 비롯한 개봉보조철편이 구비된 밀폐캔 개봉안전공구에 있어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밀폐캔 개봉안전공구는 전기드릴의 척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 되고 일단이 상기 드릴에 결합될 수 있는 원통형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부를 상기 회전체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양쪽으로 나누는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홈부에 상기 개봉보조철편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전기드릴이 작동하여 상기 회전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밀폐캔이 개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홈부 주변의 상기 회전체의 일부는 직경이 점차 작아져서, 상기 타단의 직경이 상기 회전체 내에서 가장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홈부 주변의 상기 회전체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홈부, 제2 홈부에 끼워지는 고정링, 상기 회전체의 원주를 둘러싸는 베어링조립체, 상기 회전체에 끼워지는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조립체는 상기 고정링에 걸려서 상기 타단쪽으로 빠지지 않고, 고정부재에 걸려서 상기 일단 쪽으로 빠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조립체는 베어링과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과 상기 와셔에는 상기 회전체가 관통할 수 있는 축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와셔와 고정결합되며, 상기 와셔는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개봉보조철편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시켜 전기드릴 작동시에 상하 흔들림을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밀폐캔 개봉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체 상해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이 간편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밀폐캔이 재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전기드릴에 사용가능하여 호환성이 좋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캔 개봉안전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캔 개봉안전공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캔 개봉안전공구가 전기드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전기드릴에 결합된 밀폐캔 개봉안전공구가 밀폐캔을 개봉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전기드릴에 결합된 밀폐캔 개봉안전공구가 밀폐캔을 개봉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캔 개봉안전공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캔 개봉안전공구가 전기드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전기드릴에 결합된 밀폐캔 개봉안전공구가 밀폐캔을 개봉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전기드릴에 결합된 밀폐캔 개봉안전공구가 밀폐캔을 개봉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present invention)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 가운데 “제 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본 발명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 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캔 개봉안전공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밀폐캔 개봉안전공구(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밀폐캔 개봉안전공구(100)가 전기드릴(300)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전기드릴(300)에 결합된 밀폐캔 개봉안전공구(100)가 밀폐캔(200)을 개봉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전기드릴(300)에 결합된 밀폐캔 개봉안전공구(100)가 밀폐캔(200)을 개봉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밀폐캔 개봉안전공구(100)는 회전체(110), 베어링조립체(120), 고정부재(130), 고정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밀폐캔 개봉안전공구(100)는 전기드릴(300) 척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 되고 일단이 전기드릴(300)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체(110)는 전기드릴(300)이 작동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베어링조립체(120)는 회전체(110)의 원주를 둘러싸 회전체(110)가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하며 회전체(1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고정부재(130)는 베어링조립체(120)가 회전체(110)의 일단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정링(140)은 제2 홈부(112)에 끼워져 베어링조립체(120)가 회전체(110)의 타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체(110)가 부식될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밀폐캔(200) 개봉 후에 제1 홈부(111) 주변의 회전체(110)의 일부에 감겨있는 개봉보조철편(210)을 빼낼 때, 부식물질로 인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회전체(110)가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인해 변형될 경우 균일하게 회전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110)로 연마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연마봉은 모든 표준드릴에 결합하여 사용 할 수 있어 호환성 또한 뛰어나다. 회전체(110)는 지름이 9mm, 길이는 150mm인 원통형 일 수 있다. 회전체(110)의 일부를 회전체(110)의 전기드릴(300)에 결합되지 않은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양쪽으로 나누는 제1 홈부(111)가 회전체(1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111) 주변의 회전체(110)의 원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제2 홈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111)에 개봉보조철편(210)이 끼워진 상태로 전기드릴(300)이 작동하여 회전체(110)가 회전함에 따라 밀폐캔(200)이 개봉될 수 있다. 개봉보조철편(210)은 방독면 보관캔을 비롯한 밀폐된 캔의 개봉을 위해 밀폐캔(200)에 구비된다. 전기드릴(300)이 작동하게 되면, 회전체(110)가 회전하면서 고정된 밀폐캔(200)의 옆면을 따라 한 바퀴 돌아 밀폐캔(200)을 개봉하게 된다. 이때 회전체(110)의 회전하는 힘이 개봉보조철편(210)을 당기게 되고 제1 홈부(111) 주변의 회전체(110)의 일부에는 개봉보조철편(210)이 감기게 된다. 제1 홈부(111)는 길이방향으로 25mm의 깊이와 2mm의 폭으로 파일 수 있다.
제1 홈부(111) 주변의 회전체(110)의 일부는 직경이 점차 작아져서, 회전체(110)의 타단의 직경이 회전체(110) 내에서 가장 작을 수 있다. 이는 밀폐캔(200) 개봉 후에 제1 홈부(111) 주변의 회전체(110)의 일부에 감겨있는 개봉보조철편(21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개봉보조철편(210)은 회전체(110)를 중심에 두고 원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감기게 된다. 개봉보조철편(210)제거 시에 회전체(110)의 전기드릴(300)에 결합되지 않은 타단방향으로 당겨서 제거하게 되는데, 회전체(110)의 타단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진다면 감겨진 개봉보조철편(210)과 회전체(110)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므로, 개봉보조철편(210)은 보다 수월하게 빠질 수 있다.
제2 홈부(112)는 제1 홈부(111)에서의 끝에서 회전체(110)의 전기드릴(300)에 결합된 일단쪽으로 1mm~2mm정도 떨어진 위치에 0.5~1mm 깊이와 1mm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112)에는 고정링(140)이 끼워질 수 있다.
베어링조립체(120)는 회전체(110)의 원주를 둘러싸며 베어링(121)과 와셔(12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121)과 와셔(122)에는 회전체(110)가 관통할 수 있는 9mm 정도의 축구멍(123)이 형성되어 회전체(1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베어링(121)과 와셔(122)는 고정결합 될 수 있다. 베어링(121)과 와셔(122)에 결합구멍(124)이 형성되어 볼트, 너트 결합방식에 의해 고정결합 되거나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결합 될 수 있다.
베어링(121)은 회전체(110)가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게 하면서 부하가 걸리지 않고 원활히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베어링(121)은 마름모플랜지형의 볼 베어링 유닛일 수 있다. 마름모플랜지형의 볼 베어링 유닛은 결합구멍(12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구멍(124)이 형성된 와셔(122)와 볼트, 너트 결합방식에 의해 고정결합 될 수 있다.
와셔(122)는 제1 홈부(111)와 상기 개봉보조철편(210)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시켜 전기드릴(300) 작동시에 상하 흔들림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기드릴(300) 작동시에는 제1 홈부(111)에 개봉보조철편(210)이 끼워진 상태로 와셔(122)를 밀폐캔(200)의 윗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전기드릴(300)을 작동하면서 전기드릴(300)을 아랫방향으로 눌러줄 경우, 윗방향으로의 흔들림은 아랫방향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방지될 수 있고, 아랫방향으로의 흔들림은 와셔(122)가 밀폐캔(200)의 윗면에 밀착되어 있음으로 인해 방지될 수 있다. 만일 와셔(122)가 없다면, 전기드릴(300)의 진동 혹은 손의 미세한 떨림에 의하여 절단면이 불균일하게 나오게 된다. 절단면이 불균일 할 경우, 작업자가 신체에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또한 최단거리 절단이 아니므로 작업시간이 더 소요되며, 절단의 시작점과 끝점이 일치하지 않아 밀폐캔(200)이 완전히 개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밀폐캔 개봉안전공구(100)를 밀폐캔(200) 주위를 따라 한 바퀴 더 회전시켜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더 소요될 것이다.
고정부재(130)는 베어링조립체(120)가 회전체(110)의 일단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고정부재(130)로 연결너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재(130) 축구멍(123)의 직경이 회전체(110)의 직경에 비해서 미세하게 크게할 수 있다. 고정부재(130) 축구멍(123)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0mm 일 것이다. 고정부재(130)의 일측에는 조임볼트(131)의 수나사부가 나사결합하여 관통할 수 있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 조임볼트(131)를 풀어서 고정부재(130)를 제거 할 수 있고 조임볼트(131)를 조여서 고정부재(130)를 설치할 수 있는데, 스패너,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쓰지 않고 결합, 해체 할 수 있어 간편하다. 조임볼트(131)는 나비볼트일 수 있다.
고정링(140)은 베어링조립체(120)가 회전체(110)의 타단 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홈부(112)에 고정링(140)이 끼워지게 되면 직경이 베어링조립체(120)의 축구멍(123) 보다 커지기 때문이다. 고정링(140)이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인해 변형될 경우 고정링(140)이 빠지거나, 헐거워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링(140)은 열팽창계수가 작은 실리콘, 티타늄, 니켈, 철, 구리등의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밀폐캔 개봉안전공구(100)의 구동과정을 살펴보면, 밀폐캔 개봉안전공구(100)의 일단을 전기드릴(300)에 결합한다. 제1 홈부(111)에 밀폐캔(200)의 개봉보조철편(210)을 끼워준 후, 회전축은 밀폐캔(200)의 옆면에 밀착시키고 와셔(122)는 밀폐캔(200)의 윗면에 밀착시킨다.
전기드릴(300)을 작동하게 되면, 회전체(110)가 회전하면서 고정된 밀폐캔(200)의 옆면을 따라 한 바퀴 돌아 밀폐캔(200)을 개봉하게 된다. 이때 회전체(110)의 회전하는 힘이 개봉보조철편(210)을 당기게 되고 제1 홈부(111) 주변의 회전체(110)의 일부에는 개봉보조철편(210)이 감기게 된다. 개봉보조철편(210)은 회전체(110)를 중심에 두고 원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감기게 된다.
밀폐캔(200) 개봉 후에는 제1 홈부(111) 주변의 회전체(110)의 일부에 감겨진 개봉보조철편(210)을 제거해주게 되는데 이때, 회전체(110)의 전기드릴(300)에 결합되지 않은 타단방향으로 개봉보조철편(210)을 당겨서 제거해주면 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발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발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밀폐캔 개봉안전공구
110: 회전체
111: 제1 홈부
112: 제2 홈부
120: 베어링조립체
121: 베어링
122: 와셔
123: 축구멍
124: 결합구멍
130: 고정부재
131: 조임볼트
140: 고정링
200: 밀폐캔
210: 개봉보조철편
300: 전기드릴
110: 회전체
111: 제1 홈부
112: 제2 홈부
120: 베어링조립체
121: 베어링
122: 와셔
123: 축구멍
124: 결합구멍
130: 고정부재
131: 조임볼트
140: 고정링
200: 밀폐캔
210: 개봉보조철편
300: 전기드릴
Claims (4)
- 방독면 보관캔을 비롯한 개봉보조철편이 구비된 밀폐캔 개봉안전공구에 있어서,
상기 밀폐캔 개봉안전공구는
전기드릴의 척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 되고 일단이 상기 드릴에 결합될 수 있는 원통형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일부를 상기 회전체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양쪽으로 나누는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홈부에 상기 개봉보조철편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전기드릴이 작동하여 상기 회전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밀폐된 보관캔이 개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캔 개봉안전공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 주변의 상기 회전체의 일부는 직경이 점차 작아져서, 상기 타단의 직경이 상기 회전체 내에서 가장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캔 개봉안전공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 주변의 상기 회전체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홈부;
제2 홈부에 끼워지는 고정링;
상기 회전체의 원주를 둘러싸는 베어링조립체; 및
상기 회전체에 끼워지는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조립체는 상기 고정링에 걸려서 상기 타단쪽으로 빠지지 않고, 상기 고정부재에 걸려서 상기 일단 쪽으로 빠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캔 개봉안전공구.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조립체는 베어링과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과 상기 와셔에는 상기 회전체가 관통할 수 있는 축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와셔와 고정결합되며,
상기 와셔는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개봉보조철편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시켜 전기드릴 작동시에 상하 흔들림을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캔 개봉안전공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5630A KR102139332B1 (ko) | 2018-12-06 | 2018-12-06 | 밀폐캔 개봉안전공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5630A KR102139332B1 (ko) | 2018-12-06 | 2018-12-06 | 밀폐캔 개봉안전공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8823A true KR20200068823A (ko) | 2020-06-16 |
KR102139332B1 KR102139332B1 (ko) | 2020-07-29 |
Family
ID=7114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5630A KR102139332B1 (ko) | 2018-12-06 | 2018-12-06 | 밀폐캔 개봉안전공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933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286039A (en) * | 1941-11-08 | 1942-06-09 | Sanford Solarz | Vacuum can opener |
US2958441A (en) * | 1958-04-02 | 1960-11-01 | Gadget Of The Month Club Inc | Strip-type can opener |
US3081903A (en) * | 1962-02-08 | 1963-03-19 | John J Karalus | Coffee can opener |
KR200352278Y1 (ko) * | 2004-02-27 | 2004-06-04 | 서봉식 | 버섯 재배용 식균공을 형성키 위한 드릴공구 |
-
2018
- 2018-12-06 KR KR1020180155630A patent/KR1021393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286039A (en) * | 1941-11-08 | 1942-06-09 | Sanford Solarz | Vacuum can opener |
US2958441A (en) * | 1958-04-02 | 1960-11-01 | Gadget Of The Month Club Inc | Strip-type can opener |
US3081903A (en) * | 1962-02-08 | 1963-03-19 | John J Karalus | Coffee can opener |
KR200352278Y1 (ko) * | 2004-02-27 | 2004-06-04 | 서봉식 | 버섯 재배용 식균공을 형성키 위한 드릴공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9332B1 (ko) | 2020-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314424A1 (en) | Tool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US6561063B1 (en) | Hand-held rotary cut-off tool | |
CN107407319A (zh) | 分段螺母 | |
CN203542563U (zh) | 副把手及采用该副把手的电动工具 | |
KR20140079377A (ko) | 마모부 및 그 지지체간의 연결 장치를 구비하는 기계 시스템, 건설 중장비 기계 버킷, 및 상기 시스템을 구동하는 방법 | |
KR102139332B1 (ko) | 밀폐캔 개봉안전공구 | |
CN107848105B (zh) | 作业机 | |
TW201417961A (zh) | 增加強度之套筒 | |
JP2006118676A (ja) | アイボルト | |
US2782883A (en) | Replaceable insert | |
US11027407B2 (en) | Rotating grip for a pneumatic tool | |
JP2022177747A (ja) | ハンドル後付け具 | |
US7137633B1 (en) | Wrench-free manual chuck turbine | |
US20210283763A1 (en) | Assembly having a captive screw | |
KR20180002669U (ko) | 핸들 조립체 | |
KR102526694B1 (ko) | 전동공구 | |
JP2020028945A (ja) | ドライバー | |
JPH068325Y2 (ja) | ブレ−クアウエイボルト | |
CN211029867U (zh) | 自锁夹具和修边机 | |
JP2019183907A (ja) | スプリングロックスクリュー | |
EP3708302B1 (en) | Adapter for turning a knob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adapter | |
JP6697152B1 (ja) | ダブルナット締結補助装置 | |
US20160318094A1 (en) | Swivel adjustment system for fastener pulling heads | |
JP2574721Y2 (ja) | オイルシール装着用保護具 | |
EP2811207A1 (en) | Valve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