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669U -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669U
KR20180002669U KR2020170001015U KR20170001015U KR20180002669U KR 20180002669 U KR20180002669 U KR 20180002669U KR 2020170001015 U KR2020170001015 U KR 2020170001015U KR 20170001015 U KR20170001015 U KR 20170001015U KR 20180002669 U KR20180002669 U KR 201800026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assembly
handle
rotary shaft
hole
v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일도
Original Assignee
우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일도 filed Critical 우일도
Priority to KR2020170001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669U/ko
Publication of KR201800026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1/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6Bench 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기존의 핸들과 대비하여 가공물을 바이스에 고정함에 있어서 조(jaw)의 조임정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핸들부, 회전축부, 조임부로 구성된 선반등에 사용하는 바이스에 착탈 가능한 핸들 조립체로서, 핸들부는 중앙에 회전축부를 결합하기 위한 관통 홀이 형성된다. 회전축부의 일측 단부는 핸들부 중앙의 관통 구멍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조임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핸들 조립체 {Handle assembly}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선반 등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의 고정에 사용되는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절삭장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소재의 가공물 재료를 일정 형상 및 치수로 정밀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장치이다.
상기 절삭장치의 종류로는 선반(lathe), 밀링기,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 드릴링기, 보링기, 연삭기, 기어가공기, 특수가공기 등이 있다.
상기 절삭장치로 공작물을 가공하거나 다듬질하기 위하여 위치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공구로 바이스가 사용되며, 상기 바이스는 작동시키는 힘에 따라서 수동바이스와 유압바이스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상기 가공물을 바이스의 조(jaw)에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별도의 핸들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핸들에는 라쳇 핸들(ratchet handle), 크랭크 핸들(crank handle) 등이 사용되어 왔으며, 대형 가공물 등의 조임에는 문제가 없으나 미세 조작이 필요한 소형 가공물 등에 적용하기에는 힘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개시된 내용은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선반 등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의 고정에 사용되는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미세한 조작이 가능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 개시 내용은, 핸들부, 회전축부, 조임부로 구성된 선반 등에 사용하는 바이스에 착탈 가능한 핸들 조립체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핸들부는 중앙에 회전축부를 결합하기 위한 관통 홀이 형성된다. 회전축부의 일측 단부는 핸들부 중앙의 관통 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조임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핸들 조립체는, 가공물을 바이스에 고정함에 있어서 조(jaw)의 조임정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의 사용상태도.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의 사시도.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의 단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가 추가된 핸들 조립체의 단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 조임부의 단면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사용 상태도, 도 2는 사시도 도 3 내지 5는 단면도이다.
이하에는 도 1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바이스(10)는 고정조(jaw)(20)와 이동조(jaw)(30)로 구성되고 스크류바를 통해 이동조(30)가 수평 이동하면서 작업물을 고정하게 된다. 핸들 조립체(100)는 이 스크류바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40)에 핸들 조립체(100)의 조임부(400)가 착탈되는데 그 체결 방법은 스크류바의 어저스트 노브(adjust knob)(50)를 풀고 핸들 조립체(100)의 조임부(400)를 바이스(10)의 결합부(40)에 결합한 후, 어저스트 노브(50)를 돌려서 체결하게 된다.
이하에는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핸들 조립체(100)는 선반 등에서 가공물은 고정하는 바이스(10)의 조(jaw)를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핸들부(200), 회전축부(300), 조임부(400)로 구성된다. 핸들 조립체(100)는 금속으로 제조되며, 하이크롬강(Hi-Cr)일 수 있다.
전술한 핸들부(200)는 그 중앙에 회전축부(300)와 결합하기 위한 관통된 홀(23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홀(230)의 일측에는 회전축부기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홈(250)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300)는 전술한 관통 홀(230)의 일측에 형성된 홈(250)에 삽입되고, 타측의 홀로부터 고정부재(21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볼트일 수 있다. 볼트는 관통 홀(230)을 통과하여 회전축부(300)의 일측 단부(310)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에 볼트가 조임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회전축부(300)의 일측 단부(310)는 관통 홀(23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330)에는 조임부(40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조임부(400)가 바이스(10)에 결합하여 조절된다. 회전축부(300)의 형상은 원통형 형상일 수 있고, 회전축부(300)가 핸들부(200)에 결합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일측 단부(310)에서 타측 단부(330)까지의 길이(L)는 바이스가 사용되는 선반의 크기 및 그 사용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CNC 선반의 경우 가공물의 절삭 시 발생하는 칩 및 절삭유의 튐 방지를 위하여 여닫이 커버를 구성하게 되는데 핸들 조립체를 결합한 상태로 커버를 닫을 시 커버와 적당한 이격 거리 유지를 위해 길이(L)가 제한 될 수 있다. 또한 바이스 결합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충분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핸들 조립체의 회전축부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 15mm < L < 40mm 일 수 있다.
전술한 조임부(400)는 외경이 회전축부(300)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조임부가 바이스의 체결부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할 수 있도록 조임부(400)의 외경은 회전축부(300)에서 돌출이 시작되는 단부(410)에서 돌출부의 끝단부(430)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4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핸들 조립체(100)는 바이스(10)의 결합부(40)에 삽입 고정된 상태로 가공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여타 진동 등에 의해 고정부재(210)에 의해 결합된 양 핸들부(200)와 회전축부(300)가 풀릴 수 있고, 이는 정밀 가공에 있어 원하는 가공물을 얻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핸들부(200)의 관통 홀(230) 일측에 형성된 홈(250)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70)를 삽입하여 고정부재(210)의 조임과 동시에 탄성부재(270)의 수축으로 인한 탄성력으로 회전축부(300)를 핸들부(200)에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210)는 볼트일 수 있고, 볼트의 조임으로 인한 탄성부재(270)의 수축으로 축 방향의 탄성력이 발생하며, 이 탄성력으로 볼트와 회전축부(300)의 일측 단부(310)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강하게 압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5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조임부(400)는 단면 형상이 육각(450)형인 것이 일반적이나, 바이스(10)의 핸들 조립체(100) 결합부(40)의 형상에 따라 그 단면 형상이 사각(470) 또는 삼각(490)일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바이스
20 : 고정조
30 : 이동조
40 : 결합부
50 : 어저스트 노브
100 : 핸들 조립체
200 : 핸들부
210 : 고정부재
230 : 관통 홀
250 : 홈
270 : 탄성부재
300 : 회전축부
310 : 일측 단부
330 : 타측 단부
400 : 조임부
410 : 시작 단부
430 : 끝단부
450 : 육각
470 : 사각
490 : 삼각

Claims (5)

  1. 피고정물을 죄어서 고정하는 고정조(20)와 이동조(30)를 갖고,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조(30)를 고정조(20)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스크류바를 갖는 바이스(10)에 적용되며, 이 스크류바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조립체(100)에 있어서;
    중앙부에 관통 홀(230)이 형성된 핸들부(200);
    일측이 상기 관통 홀(230)에 삽입 고정되는 회전축부(300);
    상기 회전축부의 타측 단부(330)에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바의 결합부(40)와 체결되는 조임부(400)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300)는 원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400)는 상기 회전축부(300)보다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100).
  4. 제1항에 있어서, 핸들부(200)의 관통 홀(230) 일측에 형성된 홈(250)에 탄성부재(270)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400)는 단면 형상이 육각(450), 사각(470), 삼각(490)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100).
KR2020170001015U 2017-03-03 2017-03-03 핸들 조립체 KR201800026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015U KR20180002669U (ko) 2017-03-03 2017-03-03 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015U KR20180002669U (ko) 2017-03-03 2017-03-03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69U true KR20180002669U (ko) 2018-09-12

Family

ID=6358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015U KR20180002669U (ko) 2017-03-03 2017-03-03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66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069B1 (ko) 2022-11-23 2023-05-08 정경진 다중 볼트 체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069B1 (ko) 2022-11-23 2023-05-08 정경진 다중 볼트 체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4155B2 (en) C frame clamping device having non-rotating anvils
KR101803542B1 (ko) 드릴비트의 깊이 조절식 스톱퍼
KR20160038731A (ko) 기계 공구들에서 절삭 인서트 카트리지들의 향상된 양방향의 미세 조정을 위한 메카니즘
JP2009115166A (ja) 締結装置
US8753048B2 (en) Hole saw
US20190151959A1 (en) Hole saw and component thereof
RU2028878C1 (ru) Державка для установки закрепления инструмента
CA2848189C (en) Wrench for rotary tool
US20190039262A1 (en) Hole saws
KR101999424B1 (ko) 선반용 척 조의 이동 장치
CN106964813A (zh) 一种精密小孔加工机构及手动加工精密小孔的方法
JP6057547B2 (ja) 工作機械用のタレット及び工具ホルダ
KR20180002669U (ko) 핸들 조립체
CA2822356A1 (en) Cutting tool having a shank-mounted adjustment ring
US7128501B1 (en) Lathe tool assembly
DE502004005633D1 (de) Schnellspannmutter für scheibenförmige Werkzeuge
JP3138577U (ja) 面取り工具
US10201864B2 (en) Guide attachment for a rotary power tool
KR101982908B1 (ko) 선반용 보조 척 조
JP2008161989A (ja) ボーリングバーの加工径調整装置および方法
JP2008114340A (ja) 工作機械用ワーク取り付け治具
JP6630307B2 (ja) スクロールチャック用の生爪及びチャック装置
JP2010179447A (ja) 円筒状穿孔工具
EP3491257B1 (en) A connection system
US6454277B1 (en) Fastening chuck device for machin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