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578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578A
KR20200067578A KR1020180154589A KR20180154589A KR20200067578A KR 20200067578 A KR20200067578 A KR 20200067578A KR 1020180154589 A KR1020180154589 A KR 1020180154589A KR 20180154589 A KR20180154589 A KR 20180154589A KR 20200067578 A KR20200067578 A KR 20200067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vehicle lamp
optic
e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호
조진호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4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7578A/ko
Publication of KR20200067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생성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을 전방으로 가이드 하여 출사시키는 광 가이드부 및 상기 광 가이드부에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제1 파트, 상기 복수의 제1 파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파트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광이 입사되는 입사부와 입사된 광 중 일부가 출사되는 제1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입사부에서 입사된 광 중 일부가 출사되는 제2 출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등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테일 램프(Tail lamp), 브레이크 램프(Brake lamp),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헤드 램프는,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대향 차량의 운전자 또는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 유발을 예방하도록 평상 시에는 주로 로우 빔 패턴을 유지하고, 고속 주행 시 또는 주변 밝기가 어두운 곳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테일 램프는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는 리어 램프로서, 테일-브레이크 램프(Tail-Brake lamp)와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및 백업 램프(Back up l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테일-브레이크 램프는 야간 주행 시 후방 차량에게 자기 차량의 위치를 알리는 기능을 하는 후미등(Tail light)과, 후방 차량에게 자기 차량이 감속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지등(Stop light)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턴 시그널 램프는 자기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진로의 방향을 바꾸고자 운전자가 방향 지시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점멸됨에 따라 후방 차량에게 주행 방향의 변경을 인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백업 램프는 후진을 위하여 변속 단을 후진으로 하는 경우, 점등됨에 따라 차량이 후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후진등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45393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램프에서 형성되는 점등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또한, 차량용 램프에 보석감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생성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을 전방으로 가이드 하여 출사시키는 광 가이드부 및 상기 광 가이드부에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제1 파트, 상기 복수의 제1 파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파트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광이 입사되는 입사부와 입사된 광 중 일부가 출사되는 제1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입사부에서 입사된 광 중 일부가 출사되는 제2 출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 가이드부의 제1 옵틱 및 제2 옵틱을 통해 보석감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3 옵틱에 의하여 균일한 점등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옵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옵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3 옵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이다.
본 발명에서 차량용 램프는 전조등 또는 브레이크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된 램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는 타측 차량용 램프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거나 좌우 대칭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100), 광 가이드부(200), 광학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00)는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원(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원(110)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LED(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광원(110)은 벌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는 광원부(100)에서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가이드하여 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광 가이드부(200)는 복수의 광원(110)에 대응하여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제1 파트(210)와 복수의 제1 파트(210) 사이에 위치하여 복수의 제1 파트(21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파트(220)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트(210)는 광원(110)에서 발생한 광이 입사되는 입사부(212)와 입사된 광 중 일부를 출사시키는 제1 출사면(2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파트(220)는 입사부(212)에서 입사된 광 중 일부를 출사하는 제2 출사면(2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부(100)에서 발생한 광은 광 가이드부(200)의 입사부(212)에 입사되어 제1 파트(210)의 제1 출사면(214)과 제2 파트(220)의 제2 출사면(224)을 통하여 출사되고, 이후 광학 부재(300)에 입사 및 출사됨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점등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광학 부재(300)는 렌즈, 프리즘, 미러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가이드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광 가이드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부(100)에서 입사된 광을 전방에 위치한 광학 부재(300)로 가이드 하는 역할로 제1 파트(210)와 제2 파트(220)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파트(210)의 입사부(212)는 광원(110)에서 발생한 광을 효율적으로 집광하기 위하여 TIR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파트(210)의 측벽에는 입사부(212)에서 입사된 광 중 일부를 제1 출사면(214) 및 제2 출사면(2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옵틱(2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옵틱(216)은 입사부(212)에서 입사된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제1 파트(210)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옵틱(216)은 이등변삼각형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사부(212)에서 입사된 광을 제1 출사면(214) 및 제2 출사면(224)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입사부(212)의 내측 면에도 제1 옵틱(21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복수의 제1 옵틱(216)이 제1 파트(210)의 좌우 측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1 파트(210)의 상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220)의 제2 출사면(224)에는 제1 옵틱(216)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전방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옵틱(2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옵틱(226)은 광을 효율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제2 파트(220)의 외측인 전방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옵틱(226)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옵틱(226)에 의하여 확산되는 광이 확산되더라도 제1 출사면(214)에서 출사되는 광을 교란하는 것을 방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2 옵틱(226)은 광이 제1 출사면(214)에서 출사된 광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이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사부(212)에 입사된 광 중 제1 광(L1)은 제1 출사면(214)에서 출사되어 광학 부재(300)로 입사되고, 제2 광(L2)은 제1 옵틱(216)에 적어도 한번 반사되어 제1 출사면(214)에서 출사되고, 제3 광(L3)은 제1 옵틱(216)에 적어도 한번 반사되어 제2 출사면(224)에서 출사됨에 따라 제2 옵틱(226)에 의해 확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출사면(214)에서 출사된 제1 광(L1)과 제2 광(L2)은 광학 부재(300)에 입사 및 출사됨에 따라 균일한 점등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고, 제3 광(L3)은 제2 옵틱(226)에 의하여 제2 출사면(224) 영역에서 균일하게 확산됨에 따라 보석감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1 파트(210)의 제1 출사면(214)은 제2 파트(220)의 제2 출사면(224)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제1 광(L1)과 제2 광(L2)이 효율적으로 광학 부재(300)에 입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출사면(214)이 제2 출사면(224)보다 전방에 위치함에 따라 제2 옵틱(226)에 의하여 확산되는 광이 제1 출사면(214)에서 출사되는 광을 교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사면(214) 영역에서 출사된 광이 광학 부재(300)에 입사 및 출사됨에 따라 균일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광학 부재(300)의 입사면(310)에는 제3 옵틱(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옵틱(312)은 제1 출사면(214)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하여 광학 부재(300)에 입사 및 출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을 효율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제2 옵틱(226)과 유사하게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옵틱(312)을 통하여 광을 확산되어 광학 부재(300)에 입사됨에 따라 균일한 점등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파트(210)에 형성된 제1 옵틱(216)과 제2 파트(220)의 제2 옵틱(226) 및 광학 부재(300)의 제3 옵틱(312)에 의하여 균일한 점등 이미지를 형성함과 동시에 보석감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원부 110: 광원
200: 광 가이드부 210: 제1 파트
212: 입사부 214: 제1 출사면
216: 제1 옵틱 220: 제2 파트
224: 제2 출사면 226: 제2 옵틱
300: 광학 부재 310: 입사면
312: 제3 옵틱

Claims (8)

  1. 광을 생성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을 전방으로 가이드 하여 출사시키는 광 가이드부; 및
    상기 광 가이드부에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제1 파트;
    상기 복수의 제1 파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파트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광이 입사되는 입사부와 입사된 광 중 일부가 출사되는 제1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입사부에서 입사된 광 중 일부가 출사되는 제2 출사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의 제1 출사면은 상기 제2 파트의 제2 출사면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의 측벽에는 상기 광 중 일부를 상기 제1 출사면 및 제2 출사면 중 어느 하나로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옵틱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옵틱은 상기 제1 파트의 내측으로 돌출된 이등변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의 제2 출사면에는 상기 광 중 일부를 전방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옵틱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옵틱은 전방 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사면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광학 부재에 입사 및 출사되어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부에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상기 광학 부재의 입사면에는 제3 옵틱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180154589A 2018-12-04 2018-12-04 차량용 램프 KR20200067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589A KR20200067578A (ko) 2018-12-04 2018-12-04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589A KR20200067578A (ko) 2018-12-04 2018-12-04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578A true KR20200067578A (ko) 2020-06-12

Family

ID=7108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589A KR20200067578A (ko) 2018-12-04 2018-12-04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75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936B1 (ko) 2014-03-14 2014-10-2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936B1 (ko) 2014-03-14 2014-10-2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1977B2 (ja) 車両用灯具
JP6777432B2 (ja) 車両用灯具
JP2013008674A (ja) 隠れた光源を備えるリフレクタ信号ランプ
JP2019079635A (ja) 車両用灯具
JP2021002449A (ja) 車両用灯具
JP2019023965A (ja) 車両用灯具
KR102145189B1 (ko) 차량용 램프
JP6737644B2 (ja) 車両用灯具
JP6183650B2 (ja) 車両用前照灯
KR102475703B1 (ko) 차량용 램프
KR20200067578A (ko) 차량용 램프
KR101987295B1 (ko) 차량용 램프
KR102555372B1 (ko) 차량용 램프
KR102475706B1 (ko) 차량용 램프
KR101917209B1 (ko) 차량용 램프
KR102328515B1 (ko) 차량용 램프
KR20200071473A (ko) 차량용 램프
JP7023779B2 (ja) 車両用灯具
KR101987290B1 (ko) 차량용 램프
KR102673137B1 (ko) 차량용 램프
KR102663436B1 (ko) 차량용 램프
KR102409832B1 (ko) 차량용 램프
KR102446507B1 (ko) 차량용 램프
KR20200073037A (ko) 차량용 램프
KR101856366B1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비구면렌즈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