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238A -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238A
KR20200067238A KR1020180009124A KR20180009124A KR20200067238A KR 20200067238 A KR20200067238 A KR 20200067238A KR 1020180009124 A KR1020180009124 A KR 1020180009124A KR 20180009124 A KR20180009124 A KR 20180009124A KR 20200067238 A KR20200067238 A KR 20200067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character string
file name
file
n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7606B1 (ko
Inventor
준야 아라카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67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4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extracted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computer file, document page or paper sheet, e.g. a fax cover sh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40Softwar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ttern recognition, e.g. user interfaces or toolboxes therefor
    • G06F18/41Interactive pattern learning with a human teach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8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ontext analysis, e.g. recognition aided by known co-occurring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7Processing image or video features in feature spaces; using data integration or data reduction, e.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r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CA] or self-organising maps [SOM]; Blind source separation
    • G06V10/778Active pattern-learning, e.g. online learning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7784Active pattern-learning, e.g. online learning of image or video features based on feedback from supervisors
    • G06V10/7788Active pattern-learning, e.g. online learning of image or video features based on feedback from supervisors the supervisor being a human, e.g. interactive learning with a human teach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 G06V30/414Extracting the geometrical structure, e.g. layout tree; Block segmentation, e.g. bounding boxes for graphic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501Tailoring a user interface [UI] to specific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58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a detachable storage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04N2201/32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further additional information (metadata) being compris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H04N2201/322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further additional information (metadata) being compris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urther additional information (metadata) being comprised in the file name (including path, e.g. directory or folder names at one or more higher hierarchical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haracter Inpu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화상처리장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문자인식 처리를 실행하는 문자인식 처리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문자열 블록들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문자열 블록들 중에서, 파일명의 설정에 사용되는 문자열 블록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문자열 블록에 대한 상기 문자인식 처리부의 문자인식 결과를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의 상기 파일명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장표(business form)등의 종이문장(원고)을 독취 장치로 독취하고, 그 원고의 디지털화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얻는 업무 플로우가 존재한다. 이 플로우에서는, 그 디지털화한 화상 데이터에 그 원고의 종류나 내용에 따른 파일명을 부여하고, 소정의 폴더에 격납한다. 이 처리에서, 유저가 파일명을 손입력으로 부여하면, 원고의 종류와 매수가 많아져, 유저에 있어서 상당한 부담이 된다. 특히, 유저 인터페이스(UI)의 제약으로 인해, 유저가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사용해서 파일명을 입력할 경우에, 유저의 부담은 커진다. 또한, 유저가 이렇게 해서 작성한 파일의 격납처를 지정할 경우, 새로운 폴더를 작성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어, 이것도 유저의 부담을 커지게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법으로서, 일본 특허공개 2011-15348호 공보에는 이하의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우선, 원고의 종류와, 파일 명명 룰(rule)과 격납처 룰 등의 그 밖의 정보를, 서로 연관되게 만들어서 등록해둔다. 원고가 독취되면, 그 독취된 원고의 종류를 인식하고, 그 독취된 원고에 대응하는 명명 룰과 격납처 룰을 사용하여서, 자동적으로 파일명과 격납처를 유저에게 권고한다. 그러므로, 유저는, 한번, 원고의 종류마다 파일 명명 룰과 격납처 룰을 설정하는 것만으로, 그 이후의 파일의 명명과 격납처를 특정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유저의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다.
상술한 관련 기술에 의하면, 권고 설정을 유저가 미리 등록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복잡한 파일 명명 룰을 등록하려고 하는 유저에 있어서 상당한 부담이 된다. 이 복잡한 명명 룰의 등록 부담은, 그 복잡한 명명 룰을 규정하기 위한 많은 유저 조작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상처리장치는,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열을 사용해서 파일을 명명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구성을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문자인식 처리를 실행하는 문자인식 처리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문자열 블록들을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문자열 블록들 중에서, 파일명의 설정에 사용되는 문자열 블록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문자열 블록에 대한 상기 문자인식 처리수단의 문자인식 결과를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의 상기 파일명을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첨부 도면은, 그에 대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가 원고를 독취하고, 그 원고의 화상 데이터에 파일명을 부여하고, 그 파일명을 파일 명명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일 명명 장치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파일의 명명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는 도 2의 단계 S201에서 독취되는 원고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의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파일의 명명용의 유저 인터페이스(UI)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a 및 6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의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파일의 명명용의 UI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의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파일에 명명용의 UI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일 명명 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파일 명명 룰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OCR영역 1>의 룰의 갱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일 명명 룰의 OCR설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일 명명 장치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파일의 명명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따른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또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특징의 조합의 모두가 본 발명의 해결에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스캐너 등의 디바이스로 원고를 광학적으로 독취해서 그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화상 데이터의 파일에 파일명을 부여하는 시스템으로서 설명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시스템은, 화상처리장치(100) 및 파일 명명 장치(12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화상처리장치(100)와 파일 명명 장치(120)(또한, 화상처리장치)는, 네트워크(150)를 통해서 서로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화상처리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UI)(104), 중앙처리유닛(CPU)(105),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6), 기억부(107), 화상독취부(108), 화상출력부(109) 및 표시부(110)를 구비한다. 이것들은, 제어부(101)를 통해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01)는, 장치 제어부(102)와, 화상처리부(103)를 갖는다. 장치 제어부(102)는, 화상처리장치(100) 전체를 제어한다. 화상처리부(103)는, 화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CPU(105)은, 화상처리장치(100)의 전원이 온 되면, 기억부(107)의 초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서, 메인 프로그램을 기억부(107)로부터 판독하여 RAM(106)에 로딩한다. RAM(106)은 프로그램의 격납용으로서 사용되고, 워크용의 메인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CPU(105)은, 그 RAM(106)에 로딩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이 화상처리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문에, 제어부(101)의 장치 제어부(102)와 화상처리부(103)등의 기능은, CPU(105)가 상술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구현한다.
화상독취부(108)는, 예를 들면 스캐너다. 화상독취부(108)는, 종이문서(원고)를 독취하고, 그 원고의 디지털화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제어부(101)는, 화상독취부(108)로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07)에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후술하는 명명 처리를 실행할 때에, 그 기억부(107)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파일 명명 장치(120)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파일에 명명하기 위한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하여, 파일 명명 장치(120)로부터 수신한다. 이 파일에 명명하기 위한 정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제어부(101)는, 기억부(107)에 기억된 원고의 화상 데이터와, 파일 명명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파일에 명명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하여서, 파일에 명명하기 위한 UI화면을 생성한다. 제어부(101)는, 그 생성된 UI화면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기억부(107)에 기억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출력부(109)에 공급한다. 화상출력부(109)는, 여러 가지의 형식으로 그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화상출력부(109)는, 그 원고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기억한다. 혹은, 화상출력부(109)는, 종이매체등의 매체에, 그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을 인쇄한다.
UI(104)는,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등록상표), 기타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각종의 설정 값 또는 지정 값을 입력해서 설정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UI(104)는, 유저가 파일의 명명을 행하는데도 이용된다. 명명한 파일명은, 제어부(101)가 네트워크(150)를 통하여, 파일 명명 장치(120)에 송신한다.
이상 설명한 화상처리장치(100)는 어디까지나 일례다. 화상처리장치(100)는, 화상독취부(108) 및 화상출력부(109)를 구비하지만, 화상출력부(109)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을 가져도 좋다.
파일 명명 장치(120)는, CPU(127), RAM(128), 기억부(129), 표시부(130), 및 UI(131)를 구비한다. 이것들은, 제어부(121)를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21)는, 장치 제어부(122)와 파일 명명부(123)를 갖는다. 장치 제어부(122)는, 파일 명명 장치(120) 전체를 제어한다. 파일 명명부(123)는, 파일 명명을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일 명명부(123)는, 광학 문자 인식(OCR)부(124), 매칭부(125) 및 파일명 추정부(126)를 갖는다. OCR부(124)는, 화상 데이터의 광학 문자 인식을 행한다. 매칭부(125)는, 화상 데이터끼리의 매칭을 행한다. 파일명 추정부(126)는,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을 추정한다.
UI(131)는,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등록상표), 기타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여, 각종의 설정 값 또는 지정 값을 입력할 수 있다. CPU(127)은, 파일 명명 장치(120)의 전원 온시에 기억부(129)의 초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서, 메인 프로그램을 기억부(129)로부터 판독하여 RAM(128)에 로딩한다. RAM(128)은 프로그램의 격납용으로서 사용되고, 워크용의 메인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CPU(127)은, 그 RAM(128)에 로딩한 프로그램을 실행 함에 의해, 이 파일 명명 장치(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부(121)의 기능은, CPU(127)가 상술한 프로그램을 실행 함에 의해 구현한다. 또한, 제어부(121)는, 기억부(129)에 기억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21)는, 화상처리장치(100)로부터 송신되어 파일 명명 장치(120)의 기억부(129)에 보존된 화상 데이터를, 파일 명명부(123)에 제공한다.
파일 명명부(123)는, 그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고, 파일에 명명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21)는, 생성된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화상처리장치(100)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21)는, 화상처리장치(100)로부터 수신한 파일의 명명의 결과를 파일 명명부(123)에 공급한다. 파일 명명부(123)는, 최종적인 파일의 명명의 결과를 이용하여서, 파일 명명 룰을 갱신한다. OCR부(124)는, 그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문자인식 처리를 행함으로써, 그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정보를 추출한다. 매칭부(125)는, 화상 데이터끼리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파일명 추정부(126)는, 과거의 파일의 명명의 결과의 이력에 근거한 파일 명명 룰을 추정하고,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적합한 파일명을 생성한다.
이상 설명한 파일 명명 장치(120)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은 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파일 명명 장치(120)는, 서버 등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지만, 기억부(129)와 파일 명명부(123)의 기능은, 클라우드라고 불리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연결된 리모트의 계산 자원으로 구현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화상처리장치(100)는, 화상처리장치(100)가 파일 명명 장치(120)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현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파일 명명 장치(120)는, 상기 화상처리장치(100)의 기능들을 갖는 화상처리장치로서 동작하여도 된다.
다음에,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100)가 원고를 독취하고, 그 원고의 화상 데이터에 파일명을 부여하고, 그 파일명을 파일 명명 장치(120)에 송신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UI(104)가 유저로부터의 원고의 독취 지시를 수신하면 개시한다. CPU(105)은 기억부(107)로부터의 프로그램을 RAM(106)에 로딩하여 실행함으로써, 이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를 구현한다.
우선, 단계 S201에서, CPU(105)은 장치 제어부(102)로서 기능하고, 화상독취부(108)를 제어하여 원고를 독취하고, 그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CPU(105)은, 그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처리부(103)에 의해 색 변환처리, 계조보정등의 보정처리를 행해서 RAM(106)에 격납한다. 그리고, CPU(105)은, RAM(106)에 격납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07)에 보존한다.
그 후, 단계 S20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202에서, CPU(105)은 장치 제어부(102)로서 기능하고, 기억부(107)에 보존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파일 명명 장치(120)에 송신한다. 그 후, CPU(105)은 파일 명명 장치(120)로부터, 파일 명명을 위한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그 처리를 정지한다(나중에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프로세스). 그 후, 단계 S2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203에서, CPU(105)은 장치 제어부(102)로서 기능하고, 파일의 명명용의 UI화면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파일 명명 장치(120)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되는 정보는, 화상 데이터의 OCR의 결과, 및 권고 파일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OCR결과에 관한 정보는, OCR처리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OCR결과에 관한 정보는, 그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모든 문자열 블록들의 각각의, 문자열 블록ID, 문자열 블록 위치, 문자열 블록 크기, 및 문자열 블록의 문자열을 포함한다. 그 원고를 스캐닝하여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서의 일련의 문자 블록을 문자열 블록이라고 한다. 권고 파일명 정보는, 이 화상 데이터의 내용으로부터 권고된, 그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에 관한 정보다. 권고 파일명 정보는, 구체적인 파일명의 정보이어도 좋거나, 파일 명명용의 UI화면에 따른 정보이어도 좋다. 후자는, 예를 들면, 문자열 블록 식별번호(ID) "2"와, 문자열 블록ID "5"에 포함된 문자열을 조합해서 파일명을 형성하는 등, 간접적으로 파일명을 권고하는 정보다.
그리고, 단계 S2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204에서, CPU(105)은 장치 제어부(102)로서 기능하고, 단계 S203에서 파일 명명 장치(120)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서 파일의 명명용의 UI화면을 생성한다. 그리고, CPU(105)은 그 생성한 UI화면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그 후, CPU(105)은 UI(104)를 통하여 입력된 유저 지시에 의거하여 파일의 명명 지시를 접수한다. 여기서, CPU(105)은, UI(104)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적절하게 파일의 명명용의 UI화면을 갱신한다. CPU(105)가 UI(104)로부터, 파일명의 확정을 나타내는 통지를 받으면, 단계 S205의 처리로 진행된다.
여기서, 파일에 명명하기 위한 UI화면의 예를 도 4∼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단계 S201에서 독취되는 원고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주문서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5a 내지 도 6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100)의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파일의 명명용의 UI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도 4에 나타낸 원고를 독취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권고 파일명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최초에, UI화면으로서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OCR처리된 문자열의 블록이 그레이 배경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화상은, 비록 문자열 부분일지라도 그레이 배경색에 있지 않는 영역을 포함한다. 이것은, OCR에서 인식되지 않은 문자열 블록을 가리킨다. 그레이 배경색의 문자열 블록을 선택함으로써, 유저는, 그 문자열을 파일의 명명에 이용하는 문자열 블록으로서 특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유저는,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열 블록을 사용하여서, 파일명을 부여할 수 있다.
도 5b는, 유저가 "주문서"로서 기록된 문자열 블록(501)을 선택한 일례를 나타낸다. 문자열 블록(501)이 선택되면, 이 UI화면을 갱신하고, 문자열 블록(501)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원숫자 "1"을 문자열 블록(501)의 좌상부 위에 표시한다. 이 원숫자 "1"은, 1번째로 선택되는 문자열 블록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문자열 블록(501)에 포함되고 OCR에서 인식된 문자열 "주문서"를, 파일 명명(파일 명칭)의 텍스트 박스(502)에 표시한다.
도 6a는, 유저가 추가로, "가부시키가이샤 니시토리데 하쿠산 상회 귀중"으로서 기록된 문자열 블록(503)을 선택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문자열 블록(503)이 선택되면, UI화면을 갱신하고, 문자열 블록(503)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원숫자 "2"를 문자열 블록(503)의 좌상부 위에 표시한다. 이 원숫자 "2"는 2번째로 선택된 문자열 블록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문자열 블록(503)에 포함되고 OCR에서 인식된 문자열 "가부시키가이샤 니시토리데 하쿠산 상회 귀중"을, 파일 명명의 텍스트 박스(502)에, "_"를 사용하여서 이미 표시되어 있는 문자열 "주문서"와 연결하여 표시한다.
이 처리에서는, 유저가 문자열 블록(503)을 특정하여서 회사명만을 추가하기를 바라는 경우에도, "가부시키가이샤 니시토리데 하쿠산 상회"를 독취하는 문자열 블록과 "귀중"을 독취하는 문자열 블록을 결합하여, OCR에서 하나의 문자열 블록으로서 인식한다. 이 때문에, 텍스트 박스(502)에는, "귀중"을 독취하는 문자열 도 표시된다.
도 6b는, 유저가 텍스트 박스(502)를 선택하고 나서, 그 내용을 편집해서 "귀중"을 소거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6b에 있어서, 텍스트 박스(502)에 포함된 문자열은 "주문서_가부시키가이샤 니시토리데 하쿠산 상회"가 된다. 이 상태에서 유저가 파일 명명 버튼(504)을 누르면, 이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으로서, 텍스트 박스(502)에 포함된 문자열 "주문서_가부시키가이샤 니시토리데 하쿠산 상회"가 결정된다. 이렇게 하여, 유저는, 파일명을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고, 원고를 독취해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의 문자인식 결과를 활용하여서, 파일에 명칭을부여할 수 있다. 그렇지만, 아직 다소의 작업이 필요하다. 여기서 행해진 유저 조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의 명명에 관한 정보는, 후술하는 플로우에 따라 화상처리장치(100)로부터 파일 명명 장치(120)에 송신된다. 이 정보는, 권고 파일명을 생성하기 위해서 활용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파일 명명 장치(120)로 작성된 권고 파일명이 존재할 경우, 예를 들면, 도 6b의 화면이 처음부터 표시된다. 이 경우에, 유저는, 도 6b의 화면에서 파일 명명 버튼(504)을 누르는 것만으로 파일에 명칭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파일의 명명을 위한 작업이 크게 경감된다.
여기에서, 상기 권고 파일명에 관한 정보는, 파일의 명명에 이용하는 문자열 블록에 관한 정보다. 구체적으로는, 문자열 블록(501)이 1번째의 문자열, 문자열 블록(503)이 2번째의 문자열로서, 파일의 명명에 이용되는 것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한다. 더욱, 문자열 블록(503)에 포함된 문자열은, 실제의 OCR결과에 해당하는 "가부시키가이샤 니시토리데 하쿠산 상회 귀중"으로부터, "가부시키가이샤 니시토리데 하쿠산 상회"로 수정된다. 이것은, 과거의 유저의 파일의 명명 결과를 이용해서 추정된 파일 명명 룰에 따라, "귀중"을 삭제하여서 얻어진다. 그렇지만, 파일 명명 장치(120)에서는, 추정한 파일 명명 룰이 간단할 경우, "귀중"이 그대로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권고 파일명의 품질은, 추정한 파일 명명 룰에 좌우된다. 이 파일 명명 룰의 추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른 UI예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100)의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파일에 명명하기 위한 UI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도 도 4에 나타낸 원고를 독취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는, 파일의 명명에, OCR의 결과뿐만 아니라, 다른 정보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도 7의 UI의 각 기능부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필드 701∼703에서는, 문자가 표시 및 편집될 수 있다. 이 필드들의 문자열을 조합해서 파일명을 작성할 수 있다. 유저는, 이 필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기동하고 나서, 이용되는 텍스트 부분(문자열 블록501, 503)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서, 유저는, 그 선택된 텍스트 부분이 유지하는 문자열을 입력하고, 그 입력된 문자열을 편집할 수 있다. 필드 701, 702 및703에서, 유저는, 각각, 소거 버튼704, 705 및 706을 사용하여서 그 내용을 소거할 수 있다. 또한, 파일명을 작성할 때, 유저는, 각 필드의 문자열의 사이에 구분 문자를 지정할 수 있다. 그 구분 문자를 지정하는데, 구분 문자 지정 풀(pull) 다운(707, 708)이 각각 사용된다. 도 7의 예에서, 유저는, "구분 문자 없음", "_", "(", ")", "-", "#"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소거 버튼704∼706 중 어느 하나로 필드의 내용이 소거되었을 경우에는, 그 소거된 필드에 대응하는 구분 문자 지정 풀다운 707 또는 708의 내용도 소거된다. 필드 추가 버튼(709)이 눌리면, 파일명을 작성하는 새로운 필드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드701, 필드702와 아울러 구분 문자 지정 풀다운(707)만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필드 추가 버튼(709)이 눌린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새로운 필드 및 그 필드에 대응하는 새로운 구분 문자 지정 풀다운이 추가된다.
문자열은, OCR에서 인식된 문자열 블록, 메타 정보 버튼 및 임의 문자열 버튼에 의해, 각 필드에 입력된다. OCR에서 인식된 문자열 블록은, 도 5a 내지 도 6b와 같이, 유저가, 인식된 문자열 블록을 선택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필드701을 기동한 후, 도 7의 문자열 블록(501)을 누르면, 문자열 블록(501)에 포함된 문자열 "주문서"가 필드701에 입력된다.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유저는, 문자열 블록(503)에 포함된 문자열 "가부시키가이샤 니시토리데 하쿠산 상회 귀중"을 필드702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예에서는, 메타 정보 버튼으로서, 각각 날짜 버튼(710)과 유저명 버튼(711)이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필드703을 기동한 후, 유저가 날짜 버튼(710)을 누르면, 그 날짜 버튼(710)을 누른 현재의 날짜가 필드703에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유저가 필드703을 기동한 후, 유저명 버튼(711)을 누르면, 필드703에 그 조작하고 있는 유저의 명칭이 입력된다. 이 경우에, 유저에 대한 인증 처리는, 미리 화상처리장치(100)에서 행해져 있다. 임의 문자열 버튼(712)은, 유저가 임의의 문자열을 입력하는데 이용한다. 예를 들면, 필드703을 기동한 후 임의 문자열 버튼(712)을 누르면, 유저는, 필드703에, 임의의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문자열은, UI(104)를 사용해서 입력된다.
이렇게 해서 각 필드에 입력된 문자열을, UI(104)를 사용해서 유저가 편집할 수 있다. 도 7의 UI의 특징은, 유저가 파일명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시스템이 파일 명명 룰을 추정하기 위한 유효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시스템은, 유저가, 어떤 정보를 조합하여, 파일명을 작성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유저가 모두 수동으로 파일명을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시스템은, 어떤 정보를 조합해서 파일명을 작성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없다. 또한, OCR의 결과의 문자열 블록과, 임의의 문자열만을 이용할 수 있을 경우는, 유저명 등의 메타 정보를 임의의 문자열로서 입력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 문자열을 룰 추정시에 "메타 정보"로서 인식하는 것이 어렵다. 즉, 도 7과 같이, 파일명의 구성 요소를 유저가 선택하면, 파일 명명 룰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다른 파일명의 구성 요소를 유저가 선택할 수 있게 해도 좋다.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이상 설명한 UI화면을 사용하여서, 유저는 파일의 명명을 행한다.
도 2에 되돌아가 계속 설명한다. 단계 S205에서, CPU(105)은 장치 제어부(102)로서 기능하고, 단계 S204에서 결정된 파일명을 그 화상 데이터에 부여한다. 그리고, CPU(105)은, 네트워크(150)를 통하여, UI(104)을 통한 유저로부터 제공된 지시에 근거하는 적절한 격납처에, 그 화상 데이터를 그 파일명으로 격납한다. 그리고, 단계 S206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206에서, CPU(105)은, 파일의 명명의 결과를 파일 명명 장치(120)에 송신한다. 여기서 송신되는 정보는, 최종적으로 결정된 파일명, 파일명에 이용한 OCR의 문자열 블록의 정보, 및 OCR의 문자열 블록의 문자열을, 화상처리장치(100)의 유저가 수정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 그 송신되는 정보는, 파일명에 이용한 날짜등의 메타 정보에 관한 정보, 및 유저가 입력한 임의의 문자열의 정보도 포함한다. 또한, 권고 파일명이 존재했을 경우에는, 그 이름이, 그대로 파일명으로서 이용된 것인가 아닌가의 정보도 포함된다. 이 경우를 상세하게 후술한다.
다음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일 명명 장치(120)에 있어서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일 명명 장치(120)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파일의 명명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화상처리장치(10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개시된다. 한편, 이 흐름도에서 나타낸 처리는, CPU(127)가 기억부(129)로부터 RAM(128)에 로딩한 프로그램을 실행 함에 의해 구현된다.
우선, 단계 S301에서, CPU(127)은 장치 제어부(122)로서 기능하고, 네트워크(150)를 통해 화상처리장치(10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CPU(127)은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29)에 격납한다. 그 후, 단계 S30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02에서, CPU(127)은 OCR부(124)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CPU(127)은, 그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29)로부터 판독하여 RAM(128)에 로딩한다. CPU(127)은, 그 로딩한 화상 데이터에 OCR처리를 행하고, 인식된 문자열 블록의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에서의 문자열 블록의 정보는, 문자열 블록의 위치, 문자열 블록의 크기, 및 문자열 블록에 포함된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다. 그 후, 단계 S3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03에서, CPU(127)은 매칭부(125)로서 기능하고, 그 화상 데이터의 특징량을 추출한다. 여기서 특징량이 추출되는 화상의 특징은, OCR에서 얻어진 문자열 블록의 정보이어도 좋다. CPU(127)은 이렇게 해서 얻어진 특징량을, 문자열 블록의 정보와 세트로 해서 기억부(129)에 보존한다.
그 후, 단계 S3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04에서, CPU(127)은 매칭부(125)로서 기능하고, 단계 S303에서 얻어진 특징량과, 과거의 화상 데이터의 특징량과의 매칭을 행한다. 여기에서의 매칭은, 특징량에 적합한 방식으로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크기 불변 특징 변환(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의 국소특징량을 이용하는 경우에, 각각의 2개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국소특징량군끼리의 매칭을 행하고, 그 일치한 개수를 일치도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문자열 블록의 정보를 특징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2개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열 블록간의 중복 정도를 일치도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이 중복 정도는, 예를 들면 자카드 유사도(Jaccard index)이 이용가능하다. 여기서 이용된 매칭 방법은, 이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공지의 수법이 이용가능하다.
그 후, 단계 S30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05에서, CPU(127)은 매칭부(125)로서 기능하고, 단계 S304에서 산출한 과거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일치도를 평가하여서, 과거의 유사한 화상 데이터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판정한다. CPU(127)은 유사한 화상 데이터가 있었다고 판정하면(단계 S305에서, YES), CPU(127)은 유사한 과거의 화상 데이터의 화상 클러스터ID를 할당하고, 단계 S306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여기에서, 화상 클러스터ID는, 유사한 화상 데이터를 그룹으로서 관리하기 위한 ID(식별 정보)다. 이러한 그룹은, 유사한 화상 데이터가 동일한 파일 명명 룰을 채용할 가능성이 아주 높기 때문이다. 여기서, 파일 명명 룰은, 이 화상 클러스터ID의 단위로 관리된다. 한편, CPU(127)은 상기 유사한 화상 데이터가 없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305에서 NO)는, CPU(127)은 그 화상 데이터에 새로운 화상 클러스터ID를 할당하고, 단계 S310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306에서, CPU(127)은 파일명 추정부(126)로서 기능하고, 그 화상 데이터에 할당된 화상 클러스터ID와 연관된 파일 명명 룰을 선택한다. 그 후, 단계 S30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07에서, CPU(127)은 파일명 추정부(126)로서 기능하고, 단계 S306에서 선택한 파일 명명 룰에 근거하여, 그 화상 데이터에 대한 권고 파일명을 생성한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일 명명 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파일 명명 룰은, 예를 들면, 도 8의 파트(1)과 같은 것으로 나타내어진다. 도 8의 파트(1)은, 파일명의 템플릿을 나타낸다. 이 템플릿은, 도 7의 UI에서 표시된 내용(구분 문자 지정 풀다운(707, 708)에서 "_"을 선택한다)에서, 유저가 파일명을 결정할 때에 생성된다. 괄호 < 및 >로 둘러싸여진 항목은, 화상 데이터마다 룰에 따라서 치환되고, 도 7에 나타낸 UI화면의 필드에 대응한다. 다시 말해, 도 7의 필드701이, 템플릿의 <OCR영역 1>(801)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에서, 치환 대상으로서 제공된 OCR영역 1은, 유저에 의해 필드701과 연관된 문자열 블록(501)이다. 또한, 도 7의 필드702는, 템플릿의 <OCR영역 2>(802)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에서, 치환 대상으로서 제공된 OCR영역 2는, 유저에 의해 필드702와 연관된 문자열 블록(503)이다. 더욱, 도 7의 필드703이 템플릿의 <날짜>(803)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에서, 치환 대상으로서 "날짜"가 제공되는 것은, 도 7에서 유저가, 필드703과 "날짜"의 메타 정보를 나타내는 날짜 버튼(710)을 서로 연관시켰기 때문이다. 그 이외의 부분 "_"은, 지정된 구분 문자에 대응하고 있다. 도 7의 구분 문자 지정 풀다운 707은, 템플릿의 구분 문자 "_"(804)에 대응하고, 도 7의 구분 문자 지정 풀다운 708은, 템플릿의 구분 문자 "_"(805)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pdf"는,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고 있는 파일의 확장자다. 다음에, 각각의 괄호 < 와 >의 각 쌍의 치환 룰에 대해서 설명한다. <OCR영역 1>은, 화상 데이터의 특정한 문자열 블록내의 문자열로 치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룰의 예를 도 8의 파트(2)에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파트(2)의 서브 룰ID(810)는, OCR영역 1의 서브 룰ID를 나타낸다. 서브 룰ID는, 룰이 갱신될 때마다 증분되고, 서브 룰의 이력의 관리에 이용된다. 문자열 블록ID(811)는, 유사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문자열 블록ID를 가리킨다. 여기에서는, 과거의 유사 화상 데이터의 OCR영역 1이, 문자열 블록ID "0001"에 해당한다. 이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 우선,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문자열 블록을, 과거의 화상 데이터의 문자열 블록ID와 연관시킨다. 그 후,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문자열 블록에 문자열 블록ID를 할당한다. 이 대응한 영역의 결정은, 문자열 블록의 위치간의 유사성, 또는 OCR결과의 문자열간의 유사성 등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OCR영역 1(문자 블록ID "0001")이 결정되면,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OCR영역 1에 포함된 OCR결과의 문자열에, 룰로 정해진 소정의 처리를 추가하여, 파일명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결정한다. 그 룰의 예를, 도 8의 파트(2)의 OCR설정(812)으로 나타낸다. 이 경우, OCR설정(812)에서, 문자열이 고정 문자열 "주문서"로서 정의되어 있다. 이 때문에, OCR결과의 문자열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적으로 "주문서"라고 하는 문자열을 출력한다. 이것은, 과거의 유사한 화상 데이터의 파일의 명명 결과로부터, 고정 문자열 "주문서"라고 룰을 추정하고, 이 부분에 가변적인 문자열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OCR영역 1은 OCR의 정밀도에 의존하지 않는다.
도 8의 파트(3)은, <OCR영역 2>의 서브 룰을 나타내고 있다. OCR영역 1의 서브 룰과의 차이점은, 문자열 블록ID(820)와 OCR설정(821)이다. OCR영역 2는, 문자열 블록ID(820)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열 블록ID "0003"이라고 대응한다. 이 때문에,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문자 블록ID "0003"의 문자열 블록의 문자열이, 치환 대상이다. 또한, 그 처리 대상의 문자열에 대하여, OCR설정(821)을 적용한다. 여기서 적용하는 OCR설정(821)은, 말미의 문자열 "귀중"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가부시키가이샤 니시토리데 하쿠산 상회 귀중"을 "가부시키가이샤 니시토리데 하쿠산 상회"로 변경하도록 설정한다.
도 8의 파트(4)는, <날짜>의 서브 룰을 나타낸다. <날짜>는, 상세 룰로 정의되는 날짜이고 파일명에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도 8의 파트(4)에서는, 상세 룰(830)로 정의되어 있는 것처럼, 화상 데이터가 스캔되었을 때의 날짜를 "YYYYMMDD"의 형식으로 변환하고, 파일명으로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2016년 07월 25일이 "20160725"로 변환된다.
도 8의 파트(5)는, 이상 설명한 룰을 도 7에 표시된 화상 데이터에 적용할 때에 생성되는 파일명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단순하게 유저가 적용한 파일명이 재생성되는 것 뿐이다. 그렇지만, 동일한 화상 클러스터ID를 갖는 다른 유사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같은 룰이 적용되고, 그 생성된 파일명이 권고된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파일 명명 룰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다른 파일 명명 룰을, 도 9를 참조하여 도 8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의 파트(1)은, 도 8의 파트(1)과 같이, 파일명의 템플릿이며, OCR영역, 날짜, 임의의 문자열, 및 유저명의 4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는, 도 9의 파트(1)에 대응하는 UI는 도시하지 않지만, 도 7과 비교하여, 구분 문자 지정 풀다운을 1개, 필드를 1개 추가하고, 각 필드의 연관을 변경한다. 각각의 영역의 서브 룰을 도 9의 파트(2)∼(5)로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파트(2)는, <OCR영역 1>의 상세 룰을 나타낸다. OCR영역 1의 OCR결과인 문자열은, OCR설정(901)에 있어서, 말미의 "날짜"라고 하는 문자열을 삭제하여서 형성된 16개 문자의 문자열로 수정되도록 정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OCR에 있어서의 문자 타입이 지정되지 않는다. 또한, 과거의 유사한 화상 데이터의 OCR의 오변환 이력으로부터, 문자마다의 오변환의 정정 룰(902)이 정해져 있다. 여기에서는, "E"가 "3"으로 수정된다. 이 정정 룰은, 유저의 문자열의 수정 이력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실제로, 도 9의 파트(2)의 룰을 적용한 예를 도 9의 파트(6)으로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원래의 OCR의 결과로서, OCR영역 1에 포함된 문자열이 "주문 번호 R23E2날짜"이며, 옳은 문자열이 "주문 번호R2332"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OCR설정(901)을 적용하고, 고정 문자열 "날짜"를 삭제한다. 그 결과, 원래의 OCR결과에 포함된 문자열 905가, "주문 번호 R23E2"라고 하는 문자열 906으로 수정된다. 여기에서는, OCR의 문자 타입이 지정되지 않으므로, OCR의 재실행과 OCR결과의 수정은 행해지지 않는다. 다음에, 개별문자의 오변환의 정정 룰(902)이 적용되고, 문자열이 "주문 번호R2332"라고 하는 문자열(907)로 수정된다.
이렇게 하여, 단순한 OCR결과에 대하여, 상세한 룰을 적용한다. 이에 따라서, OCR의 결과에 실수가 있는 경우에도, 문자열이 옳은 문자열로 수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적절한 상세한 룰을 추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룰 추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날짜>는, 도 9의 파트(3)의 상세 룰로 정의되고, 파일명에 추가되는 것이다. 이것은, 도 8의 파트(3)과 같다. <임의 문자열>은, 도 9의 파트(4)의 상세 룰(903)로 정의된 문자열이 파일명에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자열은, 유저가 과거의 유사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정의된 문자열이다. 도 9의 파트(4)에 나타낸 예에서는, 상세 룰(903)로 정의된 것처럼, 문자열 "담당자"로 치환한다. 유사 화상 데이터에 대해 유저가 정의한 문자열이 고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 파트의 룰은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에는, 파일명의 다른 부분을 유저에게 권고하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UI상에서 화상 데이터마다 유저가 입력해도 좋다. <유저명>은, 도 9의 파트(5)의 상세 룰(904)로 정의된 유저명이 파일명에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9의 파트(5)의 예에서는, 상세 룰(904)로 정의된 것처럼, 경량 디렉토리 액세스 프로토콜(LDAP) 서버에 로그인 이름으로 문의하여서, 실제의 인명을 취득해서 이용한다. 그 LDAP서버에 문의하지 않고, 로그인 이름을 그대로 이용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변환을 행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9의 파트(1)의 파일명의 템플릿에 근거하여, 도 9의 파트(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으로 된다. 이렇게 해서 작성된 파일명이, 권고 파일명으로서 제시된다. 이 권고 파일명은, 룰의 애매성으로 인한 복수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나, 복수의 룰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파일명이어도 된다.
도 3에 되돌아가, 그 설명을 계속한다. 단계 S308에서, CPU(127)은, 파일 명명부(123)에서 생성된 권고 파일명 및, 그 권고 파일명에 관한 UI화면에 필요한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화상처리장치(100)에 송신한다. 여기서 송신하는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OCR결과 및 권고 파일명에 관한 정보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 그 정보는, 파일명의 템플릿에 관한 정보, 실제로 치환시에 생성된 파일명, 과거의 화상 데이터의 OCR영역과 연관된 문자열 블록에 관한 정보다. 여기에서 언급된 연관은, 문자열 블록ID를 과거의 유사한 화상 데이터와 공통으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후, CPU(127)은 파일 명명 결과를 화상처리장치(100)로부터 수신할 때까지 상기 처리를 정지한다.
그 후, 단계 S309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09에서, CPU(127)은 장치 제어부(122)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CPU(127)은, 화상처리장치(100)로부터 네트워크(150)를 통하여, 파일의 명명 결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기억부(129)에 보존한다. 여기서 수신되는 정보는, 권고된 파일명이 실제의 파일명에 이용된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정보, 최종적으로 결정된 파일명, 파일명에 이용한 OCR의 문자열 블록의 정보, 및 OCR의 문자열 블록의 문자열을 유저가 수정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수신되는 정보는, 파일명에 이용한 날짜등의 메타 정보에 관한 정보, 유저가 입력한 임의 문자열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단계 S309의 처리 후, 단계 S312에서, CPU(127)은 파일명 추정부(126)으로서 기능하고, 파일 명명 룰을 갱신한다.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와 동일한 화상 클러스터ID를 갖는 화상 데이터의 충분한 양이 있고, 파일명 추정부(126)가 권고한 파일명이 유저에 의해 그대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파일 명명 룰의 정밀도가 충분하다. 이러한 경우에, CPU(127)은, 단계 S312에서 파일 명명 룰을 갱신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에, 단계 S305로부터 단계 S310으로 진행할 때의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단계 S310에서, CPU(127)은 장치 제어부(122)로서 기능하고, UI표시에 필요한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화상처리장치(100)에 송신한다. 이 처리에서는, 파일명을 권고할 수 없는 경우에 권고 파일명을 송신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디폴트의 권고 파일명이 송신될지도 모른다. OCR의 문자열 블록에 관한 정보인 문자열 블록ID에 대해서는, 연관되는 과거의 유사 화상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신규의 ID를 할당해둔다. 유저의 조작으로부터 추정된 권고 파일명은 존재하지 않지만, 파일명의 템플릿에 근거하는 디폴트의 권고 파일명을 송신해도 된다. 그 후, CPU(127)은, 화상처리장치(100)로부터 파일의 명명 결과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처리를 정지한다.
그 후, 단계 S311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11에서, CPU(127)은 장치 제어부(122)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CPU(127)은, 화상처리장치(100)로부터, 네트워크(150)를 통하여, 파일의 명명 결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기억부(129)에 보존한다. 여기서 수신되는 정보는, 권고 파일명을 이용했는지의 정보를 제외하고, 단계 S309에서 수신되는 정보와 같다.
단계 S309 또는 단계 S311을 실행하면, 단계 S312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 이외의 경우, CPU(127)은, 단계 S309 또는 단계 S311에서 얻어진 새로운 데이터를 이용하여서 기억부(129)로부터 기존의 파일 명명 룰을 판독하고, 그 파일 명명 룰을 갱신한다. 기존의 파일 명명 룰이 없을 경우는, 신규의 파일 명명 룰을 작성한다. 이 파일 명명 룰의 갱신은, 파일명 추정부(126)에 있어서, 동일한 화상 클러스터ID를 갖는 화상 데이터 군의 공통의 최종적인 파일명을 사용하여서 추정가능한 룰을 탐색함에 의해 행한다. 이렇게 하여서, CPU(127)은, 상기 작성된 신규의 파일 명명 룰 또는, 상기 갱신된 파일 명명 룰을, 기억부(129)에 보존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 같은 템플릿 개념을 제공하고, 화상 클러스터ID가 신규한 경우에는, 파일명의 템플릿을 추정한다. 이 경우에,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UI와 같은 UI가 준비되면, 유저가 설정한 내용이, 그대로 파일명의 템플릿에 사용된다. 이어서, 템플릿 요소마다 상세 룰이 추정된다. 그 경우는, 1개의 화상 데이터만 있기 때문에 공통 룰을 추정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유저가 설정한 내용이 그대로 사용되어도 좋다.
UI의 제약으로 인해, 파일명의 템플릿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가 결핍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는, 파일명의 템플릿 자체의 추정이 필요해서, 화상 데이터의 매수가 불충분하면 정밀도가 높은 추정을 행할 수 없다. 그러한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가 증가할 때마다, 파일명의 템플릿을 추정한다. 이 추정은, 파일명이, 어떤 구성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가를 추정하는 것이다.
한편, 화상 클러스터ID가 신규하지 않은 경우에는, 파일명의 템플릿의, 각각의 템플릿 요소의 상세 룰을 갱신한다.
도 9의 파트(1)의 파일명의 템플릿에서 <OCR영역 1>의 상세 룰의 갱신의 예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OCR영역 1>의 룰의 갱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10의 파트(1)은, OCR영역 1의 현재의 상세 룰을 나타낸다. 이 룰은, 도 9의 파트(2)의 룰과 같다. 이 룰을 적용한 결과를 도 10의 파트(2)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화상 클러스터ID(1001)는 유사한 화상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ID이며, 유사한 화상 데이터에는 동일한 ID가 할당된다. 화상ID(1002)는, 화상 데이터 고유의 ID다. 화상ID(1003)로 나타낸 화상ID "53"에 대하여, 룰 적용 결과(1004)로서 나타낸 문자열 "주문 번호
Figure pat00001
2020"는 유저에 의한 상세 룰의 최종적인 적용에 의해 얻어지고, 유저 수정 결과(1005)로서 나타낸 문자열 "주문 번호 T2020"는 유저에 의한 최종적인 수정에 의해 얻어진다. 이 문자열 주문 번호
Figure pat00002
2020"와 "주문 번호 T2020"는 다르다.
여기에서, 3개의 화상 데이터가 공통된 룰을 추정한다. 3개의 화상은, 유저 수정 결과 1006 및 1007뿐만 아니라 유저 수정 결과 1005로도 나타낸 것처럼, 모두 문자열 "주문 번호"를 가진다. 화상ID "53"에 대해서는, 유저 수정 결과 100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가 행한 수정에 의해 문자열 "주문 번호T2020"가 얻어진다. 이 때문에, "주문 번호"가 고정 문자열일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주문 번호"가 고정 문자열이라고 하는 룰을 추가한다. 또한, 화상ID "53"의 예에서, 룰 적용 결과(1004)와 유저 수정 결과(1005)를 서로 비교하면, 유저가 "
Figure pat00003
"을 "T"로 수정한다. 이 때문에, 그 변환 룰도 추가된다. 이에 따라, 도 10의 파트(3)에 나타낸 룰이 생성된다.
도 10의 파트(3)에서는, 도 10의 파트(1)의 OCR설정 룰에, OCR설정(1008)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문자열 "주문 번호"가 추가되어 있다. 또, 개별 오변환 정정 룰(1009)로 나타낸 바와 같이, "
Figure pat00004
"을 "T"로 수정하는 룰이 추가되어 있다. 이 룰을 적용했을 경우에 얻어진다고 상정되는 결과를 도 10의 파트(4)에 나타낸다. 이에 따라 화상ID "53"에 있어서도, 유저 상정 수정 결과(1010)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에 의한 수정이 불필요하다.
이 룰은, 화상 데이터의 증가에 따라, 보다 신뢰성이 있는 룰로 계속해서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클러스터ID가 "3"인 화상 데이터의 양이 더욱 증가하고, 도 11의 파트(1)과 같은 OCR영역 3에 관한 정보를 갖는 화상 데이터가 추가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시점에서는, 도 10의 파트(3)의 룰이 적용되고, 유저 수정 결과(1101 및 1102)에서, 화상ID "65" 및 "70"은 유저에 의해 수정되지 않는다. 한편, 유저 수정 결과(1103)에서는, 화상ID "81"에 대해 유저에 의해 수정이 행해진다. 개별변환 정정 룰 적용의 문자열(1104)과 유저 수정 결과(1103)를 서로 비교하면, 유저에 의해, "q"는 "9"로 수정되고, "I"는 "1"로 수정된다. 이 때문에, 그 변환 룰을 새로운 룰로서 추가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렇지만, 화상 클러스터ID가 동일한 "3"인 과거의 화상 데이터의 모두에 있어서, 이 부분이 4자리의 숫자열인 것을 고려하고, 이 부분을 4자리의 숫자열로서 정의하는 룰을 추가한다. 이것이, 도 11의 파트(2)의 OCR설정 룰(1106)이다. 이 프로세스에서, 과거에 추가한 룰인 "E"를 "3"으로 변환하는 룰은, 상기 추가된 숫자 한정에 포함되기 때문에 제거된다. 이것이 도 11의 파트(2)의 개별 오변환 정정 룰(1107)이다. 이러한 복잡한 룰을, 유저가 수동으로 처음부터 지정하면, 유저 부담은 대단히 커진다. 또 UI도 복잡해져, 조작성도 저하한다. 그렇지만, 유저가 행한 수정의 내용 이력에 따라, 이렇게 룰을 변경 및 추가함으로써, 유저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명령 룰을 최적의 룰로 갱신할 수 있다.
도 11의 파트(2)에서의 갱신된 룰을 도 11의 파트(1)의 화상 데이터에 적용하는 경우에 얻어진다고 상정된 결과를, 도 11의 파트(3)에 나타낸다. 도 11의 파트(3)의 화상ID "81"의 유저 상정 수정 결과(1109)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수정이 상정되지 않아, 보다 좋은 룰이 제공되는 것을 안다.
이러한 형태로 룰의 갱신이 계속되고, 최종적으로, 도 11의 파트(4)의 룰이 얻어진다고 상정된다. 도 11의 파트(2)의 숫자 1108로 나타내는 서브 룰ID "3"이, 도 11의 파트(4)의 숫자 1110으로 나타내는 서브 룰ID "4"로 갱신되고, 한층 더, 숫자 1111로 나타내는 서브 룰ID "5"로 갱신된다. 서브 룰ID 5의 룰인 OCR설정(1112)은, OCR결과가 부정확한 경우에도, OCR결과에 대한 많은 한정 덕분에, 높은 확률로, 자동적으로 문자인식 결과를 수정할 수 있는 룰이다. 또한, OCR설정(1112)에서 구체적으로 행하는 처리는, 선두문자열의 고정 문자열 "주문 번호"로의 변환, 2종류(T 혹은 R)의 문자 타입에 한정된 1문자의 문자인식, 숫자에 한정된 4문자의 문자인식, 및 고정 문자열 "날짜"의 제거를 포함한다.
이것은, 도 9의 파트(2)에 나타낸 초기의 OCR설정(901)과 비교하여, 훨씬 복잡하고, 문자인식의 오류에 대한 내성이 향상하는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룰을 추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화상 데이터의 수는, OCR설정(901)의 추정과 비교하여 많다.
어느 룰이 적용 가능한가는, 미리 가능성이 있는 기본 룰을 보유하고, 그 룰들을 대상의 화상 클러스터ID용으로 커스터마이즈 하고 적용해서, 각 룰의 유용성을 판단하여도 좋다. 복수의 룰이 유용할 경우에는, 동일한 화상 클러스터ID의 화상 데이터의 수에 따라, 어느 룰을 선택할지를 판단한다. 화상 데이터의 수가 적을 경우에, 범용성이 있는 룰을 선택하면, 오류가 많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화상 데이터의 수가 적을 경우에는, 한정적인 룰을 선택한다. 이어서, 단계적으로 범용적인 룰을 적용한다. 이에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대처할 수 있다. 도 9∼도 11에 나타낸 예에서는, 그러한 방침에 근거하여 상기 룰을 선택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복수의 동일한 화상 클러스터ID를 갖는 화상 데이터의 룰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복잡한 파일명을 추정할 수 있는 명명 룰로 명명 룰을 갱신할 수 있다. 그 명명 룰을 사용함에 의해, 보다, 유저가 소망하는 파일명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설명한 룰의 갱신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다. 예를 들면, 확률 모델을 도입해도 되고, 문자열의 발생 확률에 근거하는 룰을 도입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가 통상의 파일의 명명 조작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파일 명명 룰을 자동적으로 학습하게 한다. 따라서, 유저를 위해 보다 적절한 파일명을 권고할 수 있다. 이것은, 파일명을 결정하는 룰을 설정하는 유저의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은, 도 3의 흐름도에 연관되고,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100) 및 파일 명명 장치(120) 각각의 구성과, 이 장치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이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의 흐름도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일 명명 장치(120)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파일의 명명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이 흐름도에서 나타낸 처리는, 화상처리장치(10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개시된다. 이 흐름도에서 나타낸 처리는, CPU(127)이 기억부(129)로부터 RAM(128)에 로딩한 프로그램을 실행 함에 의해 구현된다. 도 12에 있어서, 상술한 도 3과 같은 단계는, 도 3의 단계의 숫자와 같은 숫자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제2 실시예에서는, 단계 S305에 있어서, 일치도가 높은 복수의 유사한 화상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화상 클러스터ID를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할당해도 좋다. 복수의 화상 클러스터ID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단계 S306∼단계 S309는, 각각의 화상 클러스터ID에 대하여 행해진다.
이렇게 해서 단계 S309로부터 단계 S1201의 처리로 진행된다고 상정한다. 단계 S1201에서, CPU(127)은, 장치 제어부(122)로서 기능하고, 기억부(129)에 보존된 파일의 명명 결과에 관한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CPU(127)은, 권고 파일명이, 실제의 파일명에 이용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여기서, CPU(127)은 그 권고 파일명이 실제의 파일명에 이용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 S1201에서 NO), 화상 클러스터ID가 실수로 할당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단계 S12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복수의 권고 파일명이 존재하고 이 권고 파일명들의 아무것도 실제의 파일명에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단계 S1203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 권고 파일명 중 어느 하나가 실제의 파일명에 이용되는 경우(단계 S1201에서 YES)에, 단계 S12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311로부터 단계 S1202의 처리로 진행된다고 상정한다. 단계 S1202에서, CPU(127)은 장치 제어부(122)로서 기능하고, 기억부(129)에 보존된 파일의 명명 결과, 및 기존의 파일 명명 룰에 관한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CPU(127)은 기존의 파일 명명 룰을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적용하고, 유저에 의해 결정된 파일명이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명명 룰이 존재하는지 탐색한다. 이 탐색의 결과, 유저에 의해 결정된 파일명을 생성할 수 있는 명명 룰이 존재하는 경우에는(단계 S1202 YES), 화상 클러스터ID가 실수로 할당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단계 S1203의 처리로 진행된다. 유저에 의해 결정된 파일명을 생성할 수 있는 명명 룰이 존재하지 않았을 경우는(단계 S1202 NO), 단계 S12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1203에서, CPU(127)은 파일명 추정부(126)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CPU(127)은, 부정확한 화상 클러스터ID가 할당되었을 가능성을 검증하고, 필요하면, 화상 클러스터ID를 재할당한다. 여기에서, 단계 S1201로부터 단계 S1203의 처리로 진행하는 경우는, 기존의 파일 명명 룰이 부적절할 가능성과, 화상 데이터에 할당된 기존의 화상 클러스터ID가 부적절할 가능성을 포함한다. 이들 2개의 가능성을 구별하기 위해서, CPU(127)은, 도 3의 단계 S312와 유사한 단계를 행하여서, 그 파일 명명 룰이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을 적절하게 부여할 수 있는 파일 명명 룰로 갱신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검증한다. 복수의 권고 파일명이 존재할 경우에는, CPU(127)은, 모든 화상 클러스터ID마다 검증을 행한다. 이 검증의 결과, 파일 명명 룰이 성공적으로 갱신되는 경우에는, 기존의 파일 명명 룰이 부적절하고, 화상 클러스터ID는 문제가 없다. 여기에서, 파일 명명 룰이 성공적으로 갱신되지 않은 화상 클러스터ID에 대해서는,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와의 연관을 삭제한다. 따라서, 다음 처리 이후는, 현재의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와 일치하고 삭제되지 않은 화상ID만이,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와 유사한 화상과 연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저가 원하는 파일명을 권고할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파일 명명 룰 중 아무것도 성공적으로 갱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화상 클러스터ID는 문제가 있고, 기존의 파일 명명 룰은 문제가 없다. 이것은, 예를 들면, 유사하지만 다른 룰을 갖는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입력될 때에 생긴다. 그 경우에는,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와 연관된 기존의 화상 클러스터ID를 모두 삭제하고, 새로운 화상 클러스터ID를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할당한다.
단계 S1202로부터 단계 S1203의 처리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CPU(127)은, 유저에 의해 결정된 파일명을 생성할 수 있고 단계 S1202에서의 탐색에 의해 발견된 명명 룰과 연관되는 화상 클러스터ID를,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할당한다.
이 단계 S1203의 화상급ID의 재할당에 의해, 부정확한 화상 클러스터ID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할당되는 경우에도, 그것을 수정할 수 있다. 이렇게 화상 클러스터ID의 수정이 가능하므로, 단계 S305에 있어서 유사한 화상 데이터가 있는지 지를 판정하기 위한 역치가 부적절한 경우에도, 정상적인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유사한 화상 데이터가 많은 상황에서도, 정상적인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단계 S1203으로부터 단계 S12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1204에서, CPU(127)은 파일명 추정부(126)로서 기능하고, 파일 명명 룰을 갱신한다. 여기에서의 처리는 기본적으로 도 3의 단계 S312와 같기 때문에, 차이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단계 S1201로부터 단계 S1204의 처리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권고 파일명이 있는 경우에도, 실제의 파일명에 이용된 권고 파일명과 연관된 화상 데이터만이 처리 대상이 된다. 여기에서, 처리 대상이 되지 않는 화상ID에 대해서는, 그 처리 대상인 화상 데이터와의 연관을 삭제한다. 이에 따라, 단계 S1203에서와 같이, 유저가 원하는 파일명을 권고할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반해서, 단계 S1203으로부터 단계 S1204의 처리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할당된 새로운 화상ID와, 단계 S1203에 있어서의 파일 명명 룰을 성공적으로 갱신하는 화상ID가, 처리 대상이 된다. 한편, 단계 S1202로부터 단계 S1204의 처리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처리 대상의 화상ID는 1개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ID의 화상 데이터가 처리 대상이 된다. 이렇게 하여, 특정한 화상 클러스터ID만이 처리 대상으로서 사용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화상 데이터와의 매칭을 허용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파일명의 추정 룰을 갱신할 수 있다. 그 후, 단계 S120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1205에서, CPU(127)은 장치 제어부(122)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27)은, 과거의 화상 데이터 중 소정의 기간을 경과한 후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파일 명명 룰을 추정할 때의 대상으로부터 제거하거나, 이러한 화상 데이터에 할당된 가중치를 저하시킨다. 또는, CPU(127)은, 매칭 대상으로부터 이러한 화상 데이터를 제거한다. 이것은, 파일 명명 룰을 변경함에 따라서, 이미 이용되지 않고 있는 파일 명명 룰의 권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와 과거의 화상 데이터와의 매칭이 부정확할 때에도, 적절하게 파일명의 명명 룰을 갱신할 수 있다. 이것은, 이후에 상기와 같은 매칭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파일명을 권고할 때에, 적절하게 파일명의 명명 룰도 갱신할 수 있다. 더욱이, 파일 명명 룰이 변경될 때에, 적절한 파일명도 권고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상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1이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통해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는 그 처리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판독해 실행한다. 또한, 이 화상처리장치들 중 어느 하나가,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면, 특정 용도 지향 집적회로(ASIC))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특정 용도 지향 집적회로(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6)

  1. 화상 데이터에 대한 문자인식 처리를 실행하는 문자인식 처리수단;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문자열 블록들을 취득하는 취득수단;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문자열 블록들 중에서, 파일명의 설정에 사용되는 문자열 블록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문자열 블록에 대한 상기 문자인식 처리수단의 문자인식 결과를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의 상기 파일명을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문자열 블록들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된 상기 하나 이상의 문자열 블록들 중에서, 유저 지시에 따라 문자열 블록을 선택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을 표시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파일명을 수정하는 유저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접수수단에 의해 접수된 상기 유저 지시에 의해 수정된 파일명을 표시하는, 화상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원고를 독취하는 독취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는 상기 독취수단에 의해 상기 원고를 독취하여서 얻어지는, 화상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파일 명명의 룰과 연관지어, 화상 데이터에 관한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하나 이상의 파일 명명의 룰 중에서, 새로운 화상 데이터에 유사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관한 식별 정보와 연관된 파일 명명의 룰을 사용해서,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을 설정하는, 화상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명명의 룰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문자열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수단은,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문자열 블록과, 상기 문자열 블록의 위치, 및 상기 문자열 블록의 크기를 취득하는, 화상처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문자열 블록의 위치와 크기를 사용하여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하나 이상의 파일 명명의 룰들로부터,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와 유사한 화상 데이터에 관한 식별 정보와 연관된 파일 명명의 룰을 선택하는, 화상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파일명에 대한 수정을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접수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화상 데이터와 연관지어, 상기 접수수단에 의해 접수된 파일명의 수정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화상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와 유사한 화상 데이터에 관한 식별 정보와 연관된 상기 파일명의 수정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서,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을 설정하는, 화상처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화상 데이터에 관한 소정의 정보를 상기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으로서 설정가능한, 화상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는, 적어도 상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할 때에 로그인하는 유저의 이름, 또는, 상기 화상 데이터가 생성될 때의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인, 화상처리장치.
  14. 화상 데이터에 대한 문자인식 처리를 행하는 단계;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문자열 블록들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하나 이상의 문자열 블록들 중에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의 설정에 사용되는 문자열 블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문자열 블록에 포함된 문자에 대한 상기 문자인식 처리에서의 문자인식 결과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상기 파일명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하나 이상의 문자열 블록들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열 블록은, 유저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된 하나 이상의 문자열 블록들 중에서 선택된 문자열 블록인,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6.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매체로서, 상기 제어 방법은,
    화상 데이터에 대한 문자인식 처리를 행하는 단계;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문자열 블록들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하나 이상의 문자열 블록들 중에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의 설정에 사용되는 문자열 블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문자열 블록에 포함된 문자에 대한 상기 문자인식 처리에서의 문자인식 결과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상기 파일명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 매체.
KR1020180009124A 2017-01-30 2018-01-25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2247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14513 2017-01-30
JP2017014513A JP6881990B2 (ja) 2017-01-30 2017-01-30 画像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238A true KR20200067238A (ko) 2020-06-12
KR102247606B1 KR102247606B1 (ko) 2021-05-03

Family

ID=6105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124A KR102247606B1 (ko) 2017-01-30 2018-01-25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706276B2 (ko)
EP (1) EP3355211A1 (ko)
JP (1) JP6881990B2 (ko)
KR (1) KR102247606B1 (ko)
CN (1) CN1083773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7332B2 (en) 2020-03-30 2022-10-18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etting a rule for property information to be used during storage
JP6955434B2 (ja) * 2017-12-22 2021-10-27 株式会社Pfu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02284B2 (ja) 2018-08-23 2022-07-19 株式会社Pfu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52864B2 (ja) 2018-11-20 2020-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935809B2 (ja) * 2019-03-14 2021-09-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330742B2 (ja) * 2019-04-19 2023-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キャン画像にプロパティを設定するための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25017B2 (ja) 2019-04-19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文字入力のための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17561B2 (ja) 2019-04-19 2023-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文字入力のための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97510B2 (ja) 2019-04-19 202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ーザ操作のためのガイダンスを表示する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34024B2 (ja) 2019-04-23 2023-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79051B2 (ja) 2019-09-30 2023-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7400397B2 (ja) * 2019-11-26 2023-12-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CN112866628B (zh) * 2019-11-28 2022-12-09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图像采集器名称确定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20210094483A (ko) * 2020-01-21 2021-07-2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문서를 전자화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CN111291208B (zh) * 2020-05-09 2020-11-10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前端页面元素的命名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22019446A (ja) * 2020-07-17 2022-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装置、方法、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5849A (ja) * 2004-03-25 2005-10-06 Canon Inc 文書処理装置および文書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6461B2 (ja) * 2004-09-06 2010-09-01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処理装置
US8332370B2 (en) * 2006-05-09 2012-1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intaining commonly named client-specific file content in hard disk drive emulation
JP4590433B2 (ja) * 2007-06-29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051827B2 (ja) * 2012-12-07 2016-12-27 株式会社リコー 文書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文書処理方法及び文書処理プログラム
JP4525761B2 (ja) * 2008-01-31 2010-08-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及び読取制御プログラム
JP2009205325A (ja) * 2008-02-27 2009-09-10 Seiko Epson Corp ファイル生成装置、ファイル生成方法およびファイル生成プログラム
JP2009271831A (ja) * 2008-05-09 2009-11-19 Sharp Corp 画像データ処理装置
JP4940270B2 (ja) 2009-07-06 2012-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307025B1 (en) * 2011-03-29 2016-04-05 Riverbed Technology, Inc. Optimized file creation in WAN-optimized storage
JP6427964B2 (ja) 2013-11-28 2018-11-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68195B2 (ja) * 2014-08-28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50843B2 (ja) * 2015-01-30 2016-12-21 株式会社Pfu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82361B2 (ja) * 2015-04-09 2019-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原稿読取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5849A (ja) * 2004-03-25 2005-10-06 Canon Inc 文書処理装置および文書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18208A1 (en) 2018-08-02
CN108377308A (zh) 2018-08-07
JP6881990B2 (ja) 2021-06-02
CN108377308B (zh) 2020-10-30
US11600090B2 (en) 2023-03-07
EP3355211A1 (en) 2018-08-01
US20200320290A1 (en) 2020-10-08
KR102247606B1 (ko) 2021-05-03
US10706276B2 (en) 2020-07-07
JP2018124656A (ja)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606B1 (ko)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US1098423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that obtain text data for an image
US8352581B2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ndicating transmission status, transmission control method indicating transmission status, and program thereof
CN108377309B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装置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US78608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istory file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KR20240020719A (ko) 정보 처리 장치, 저장 매체, 및 저장 방법
JP2019113987A (ja)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35091A (ko) 정보처리장치, 표시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JP2014182411A (ja)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処理実行方法及び処理実行プログラム
JP202401244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2102753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217017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582158A1 (en) Dialog device, control device, dialog system, dialog method, and control method
JP2008197229A (ja) 音声認識辞書構築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00065294A1 (en) File management device and file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22020790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20009330A (ja) 作成支援装置および作成支援方法
JP2021064123A (ja) データ入力支援システム、データ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14449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72985A (ja) イメージスキャンシステム、イメージスキャナ、情報取得方法及び情報取得プログラム
JP201719475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407950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068274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8036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5722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