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222A - 광경화성 접착제, 편광판 및 적층 광학 부재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접착제, 편광판 및 적층 광학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222A
KR20200066222A KR1020190155912A KR20190155912A KR20200066222A KR 20200066222 A KR20200066222 A KR 20200066222A KR 1020190155912 A KR1020190155912 A KR 1020190155912A KR 20190155912 A KR20190155912 A KR 20190155912A KR 20200066222 A KR20200066222 A KR 20200066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formula
mass
photocurabl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츠오 구메
도모 이와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6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22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23Di-epoxy compounds together with monoep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26Mixtures of di-ep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4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과제] 소정 사이즈로 재단한 상태에서, 그 단부를 연마하여도, 단부에서 편광자로부터 보호막이 박리되는 일이 없고, 양호한 밀착성을 갖는 편광판을 부여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이하의 (A) 및 (B)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A) 하기 식 (I)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B)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식 중, R1은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8의 알킬기, 식 (Ia)로 표시되는 기 또는 식 (Ib)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X1, X2, X11 및 X1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3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낸다. Y1 및 Y1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8의 환상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탄소수 3∼8의 환상 포화 탄화수소기는, 수산기, 탄소수 2∼8의 알킬카르보닐옥시기,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Description

광경화성 접착제, 편광판 및 적층 광학 부재{PHOTOCURABLE ADHESIVE, POLARIZING PLATE, AND LAMINATED OPTICAL MEMBER}
본 발명은, 광경화성 접착제 및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자에 보호막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구체적으로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한 양이온 중합에 의해 경화시켜, 편광자와 보호막을 접착시킨 편광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지환식 에폭시기를 갖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 및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접착제가 기재되어 있고, 편광자와 보호막을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킨 편광판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592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5719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 위해 소정 사이즈로 재단한 상태에서, 그 단부를 연마하면, 그 단부에서 편광자로부터 보호막(투명 수지 필름)이 박리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편광자와 보호막(투명 수지 필름) 사이의 양호한 접착성을 갖는 편광판을 부여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이하의 (A) 및 (B)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A) 하기 식 (I)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B)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
Figure pat00001
[식 (I) 중, R1은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8의 알킬기(상기 알킬기에 포함되는 -CH2-는 에스테르 결합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중단되어도 좋은 총 탄소수 2∼8의 알킬에스테르, 수산기, 카르복시기, 식 (Ia)로 표시되는 기 또는 식 (Ib)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X1, X2, X11 및 X1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3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낸다.
Y1 및 Y11은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03
(*는 결합손을 나타냄) 또는 탄소수 3∼8의 환상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pat00004
또는 탄소수 3∼8의 환상 포화 탄화수소기는, 수산기, 탄소수 2∼8의 알킬카르보닐옥시기, 탄소수 1∼6의 알킬기(상기 알킬기에 포함되는 -CH2-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음)를 갖고 있어도 좋다.]
[2]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은,
(A)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B)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1∼10 질량부
함유하고,
상기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은, 그 전체량을 기준으로,
(A1) 식 (I)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0.1∼20 질량%
(A2) 하기 식 (II)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에폭시 화합물을 50∼90 질량%
함유하는 [1]에 기재된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Figure pat00005
(식 중,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알킬기가 탄소수 3 이상인 경우는 지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고;
Z1은 산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칸디일기 또는 하기 식 (IIa)∼(IId):
Figure pat00006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Y2∼Y5는 각각 탄소수 1∼20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내지만, 탄소수 3 이상의 경우는 지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고;
a 및 b는 각각 0∼20의 정수를 나타낸다.)
[3] 추가로, (A3) 하기 식 (III)으로 표시되는 지방족 디글리시딜 화합물을 1∼70 질량% 함유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Figure pat00007
(식 중, Z2는 탄소수 3∼8의 분기 알킬렌기, 또는 식 -CmH2m-Z3-CnH2n-으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Z3-은 -O-, -CO-O- 또는 -O-CO-를 나타내며, m 및 n의 한쪽은 1 이상, 다른 쪽은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양자의 합계는 8 이하이고, 또한 CmH2m 및 CnH2n의 한쪽은, 분기된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4] 추가로, 하기 식 (IVa)로 표시되는 안트라센계 화합물 또는 식 (IVb)로 표시되는 나프탈렌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0.1∼5 질량부 함유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Figure pat00008
(식 중,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12의 알콕시알킬기를 나타내고,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9
(식 중,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5]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광경화 접착제층.
[6] 편광자, 접착제층, 투명 수지 필름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로서,
상기 접착제층이 [5]에 기재된 광경화 접착제층인 적층체.
[7] [6]에 기재된 적층체와 다른 광학층과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적층 광학 부재.
[8] 상기 다른 광학층은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7]에 기재된 적층 광학 부재.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자와 투명 수지 필름을 접합시킨 편광판은 양호한 접착력을 갖는다.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은, 이하의 (A) 및 (B)를 함유한다.
(A) 식 (I)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B)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은, 적어도 식 (I)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10
[식 중, R1은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8의 알킬기(상기 알킬기에 포함되는 -CH2-는 에스테르 결합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중단되어도 좋은 총 탄소수 2∼8의 알킬에스테르, 수산기, 카르복시기, 하기 식 (Ia)로 표시되는 기 또는 식 (Ib)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1
X1, X2, X11 및 X1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3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낸다.
Y1 및 Y11은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12
(*는 결합손을 나타냄) 또는 탄소수 3∼8의 환상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pat00013
또는 탄소수 3∼8의 환상 포화 탄화수소기는, 수산기, 탄소수 2∼8의 알킬카르보닐옥시기, 탄소수 1∼6의 알킬기(상기 알킬기에 포함되는 -CH2-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음)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스테르 결합이란, -OCO- 및 -COO- 양쪽 모두를 의미한다.
R1로 표시되는 탄소수 1∼8의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R1로 표시되는 탄소수 1∼8의 알킬기가 수산기를 갖는 경우, 히드록시메틸기, 히드록시에틸기, 히드록시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R1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중단되어도 좋은 총 탄소수 2∼8의 알킬에스테르로는,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프로필옥시카르보닐기 등의 탄소수 2∼8의 알킬옥시카르보닐기; 메틸카르보닐옥시기, 에틸카르보닐옥시기, 프로필카르보닐옥시기 등의 탄소수 2∼8의 알킬카르보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X1, X2, X11 및 X12로 표시되는 탄소수 1∼3의 알칸디일기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판-1,3-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Y1 및 Y11로 표시되는 환상 포화 탄화수소기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환상 포화 탄화수소기 등의 시클로알킬기를 들 수 있다.
식 (I)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는, 식 (1)∼식 (24)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14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편광자와 투명 수지 필름과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R1이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8의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R1이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점도의 조제의 관점에서, R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중단되어도 좋은 총 탄소수 2∼8의 알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고, R1은 탄소수 2∼8의 알킬카르보닐옥시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3∼8의 알킬카르보닐옥시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은,
R1이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8의 알킬기인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 (I-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과
R1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중단되어도 좋은 총 탄소수 2∼8의 알킬에스테르인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 (I-2)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I)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은,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A)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통상 0.1∼20 질량%이다.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중에 식 (I)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0.1 질량%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편광자와 투명 수지 필름을 접합한 편광판의 밀착성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그 양이 20 질량%를 상회하면, 이하에 설명하는 지환식 디에폭시 화합물 (A2)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져서, 광경화성 접착제의 경화막의 재료 강도가 낮아지고, 냉열 내구 시험 등의 내구성 시험에 있어서, 편광자가 균열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식 (I)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은,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5∼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2종 이상 함유하는 경우는, 그 합계가 상기 범위이면 좋다.
화합물 (I-1)과 화합물 (I-2)를 함유하는 경우, 화합물 (I-1)의 함유량이 화합물 (I-2)의 함유량보다 많은 쪽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I-1)의 함유량을 W1, 화합물 (I-2)의 함유량을 W2로 한 경우, 그 비율(W1/W2)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은, 식 (II)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에폭시 화합물 및 하기 식 (III)으로 표시되는 지방족 디글리시딜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15
(식 중,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알킬기가 탄소수 3 이상인 경우는 지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고;
Z1은 산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칸디일기 또는 하기 식 (IIa)∼(IId):
Figure pat00016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Y2∼Y5는 각각 탄소수 1∼20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내지만, 탄소수 3 이상의 경우는 지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고;
a 및 b는 각각 0∼20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7
(식 중, Z2는 탄소수 3∼8의 분기 알킬렌기, 또는 식 -CmH2m-Z3-CnH2n-으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Z3-은 -O-, -CO-O- 또는 -O-CO-를 나타내며, m 및 n의 한쪽은 1 이상, 다른 쪽은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양자의 합계는 8 이하이고, 또한 CmH2m 및 CnH2n의 한쪽은, 분기된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식 (II)에 있어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이지만, 알킬기가 탄소수 3 이상인 경우는 직쇄여도 좋고, 분기쇄여도 좋으며, 지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알킬기는, 식 (II)에 있어서 Z1에 결합하는 시클로헥산 고리의 위치를 1-위치로 하여(따라서, 2개의 시클로헥산 고리에 있어서의 에폭시기의 위치는 모두 3, 4-위치가 됨), 1-위치∼6-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결합할 수도 있다. 지환 구조를 갖는 알킬기로는, 시클로펜틸이나 시클로헥실 등의 시클로알킬기를 들 수 있다.
Z1은 산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칸디일기 또는 상기 식 (IIa)∼(IId)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이다. 여기서, 알칸디일기는, 알킬렌이나 알킬리덴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알킬렌은 직쇄여도 좋고, 분기쇄여도 좋으며, 지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Z1이 상기 식 (IIa)∼(IId)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인 경우, 각 식에 있어서의 연결기 Y1, Y2, Y3 및 Y4는 각각 탄소수 1∼20의 알칸디일기이며, 이 알칸디일기가 탄소수 3 이상인 경우는 직쇄여도 좋고, 분기쇄여도 좋으며, 지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지환 구조를 갖는 알칸디일기로는, 시클로펜틸렌이나 시클로헥실렌 등을 들 수 있다.
식 (II)에 있어서의 Z1이 식 (IIa)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인 화합물로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식 (II)(단, Z1은 a=0인 식 (IIa)로 표시되는 2가의 기)에 있어서, R2=R3=H의 화합물],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위와 동일한 Z1을 갖는 식 (II)에 있어서, R2=6-메틸, R3=6-메틸의 화합물], 3,4-에폭시-1-메틸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1-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위와 동일한 Z1을 갖는 식 (II)에 있어서, R2=1-메틸, R3=1-메틸의 화합물], 3,4-에폭시-3-메틸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3-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위와 동일한 Z1을 갖는 식 (II)에 있어서, R2=3-메틸, R3=3-메틸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식 (II)에 있어서의 Z1이 식 (IIb)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인 화합물은, 알킬렌글리콜류와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그 시클로헥산 고리에 탄소수 1∼6의 알킬기가 결합되어 있어도 좋음)과의 에스테르화물이다. 식 (II)에 있어서의 Z1이 식 (IIc)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인 화합물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류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탄올(그 시클로헥산 고리에 탄소수 1∼6의 알킬기가 결합되어 있어도 좋음)과의 에스테르화물이다. 또한, 식 (II)에 있어서의 Z1이 식 (IId)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인 화합물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탄올(그 시클로헥산 고리에 탄소수 1∼6의 알킬기가 결합되어 있어도 좋음)의 에테르체(b=0의 경우), 또는, 알킬렌글리콜류 혹은 폴리알킬렌글리콜류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탄올(그 시클로헥산 고리에 탄소수 1∼6의 알킬기가 결합되어 있어도 좋음)과의 에테르화물(b>0인 경우)이다.
식 (III)에 있어서의 Z2가 분기 알킬렌기인 화합물은, 분기 알킬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이다. 그 구체예로는,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3-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2-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3-메틸-1,5-펜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2-메틸-1,8-옥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식 (III)에 있어서, Z2가 상기한 식 -CmH2m-Z3-CnH2n-으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인 화합물은, Z2가 분기 알킬렌기이고, 그 알킬렌기의 C-C 결합이, -O-, -CO-O- 또는 -O-CO-에 의해 중단되어 있는 경우에 상당한다.
식 (II)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은,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전량에 대하여, 통상, 50∼90 질량%이다.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중에 식 (II)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에폭시 화합물을 50 질량%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광경화성 접착제를 경화시킨 후의 저장 탄성률을 높은 값으로 유지하면서, 편광자와 투명 수지 필름 사이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함유량이 90 질량%를 상회하면, 편광자와 투명 수지 필름 사이의 밀착력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편광자와 투명 수지 필름 사이의 밀착력이나 광경화성 접착제의 경화 후의 저장 탄성률을 한층 더 바람직한 값으로 하기 위해서는, 식 (II)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은,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전량에 대하여, 50∼9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0∼8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III)으로 표시되는 디글리시딜 화합물의 함유량은,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전량에 대하여, 통상 1∼69 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5∼5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40 질량%이다.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중의 식 (III)으로 표시되는 디글리시딜 화합물의 함유량이 70 질량%보다 많아지면, 경화가 불충분해지고, 편광자와 투명 수지 필름 사이의 밀착력이 저하된다.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A)는, 다른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단작용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비닐에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단작용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로는,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시딜에테르화물, 알킬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그 구체예는,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부틸글리시딜에테르, sec-부틸페닐글리시딜에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탄소수 12 및 13 혼합 알킬글리시딜에테르, 알코올의 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고급 알코올의 모노글리시딜에테르, 고급 지방산의 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을 포함한다.
옥세탄 화합물로는, 옥세타닐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그 구체예는, 3,7-비스(3-옥세타닐)-5-옥사-노난,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1,2-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에탄, 1,3-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프로판, 에틸렌글리콜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부탄, 1,6-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헥산, 3-에틸-3-[(페녹시)메틸]옥세탄, 3-에틸-3-(헥실옥시메틸)옥세탄, 3-에틸-3-(2-에틸헥실옥시메틸)옥세탄,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3-에틸-3-(클로로메틸)옥세탄 등을 들 수 있다.
비닐에테르 화합물로는, 지방족 또는 지환식의 비닐에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고, 그 구체예는, n-아밀비닐에테르, i-아밀비닐에테르, n-헥실비닐에테르, n-옥틸비닐에테르, 2-에틸헥실비닐에테르, n-도데실비닐에테르, 스테아릴비닐에테르, 올레일비닐에테르 등의 탄소수 5∼20 알킬 또는 알케닐알코올의 비닐에테르류;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3-히드록시프로필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등의 수산기 함유 비닐에테르류; 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2-메틸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시클로헥실메틸비닐에테르, 벤질비닐에테르 등의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를 갖는 모노알코올의 비닐에테르류; 글리세롤모노비닐에테르, 1,4-부탄디올디비닐에테르, 1,6-헥산디올디비닐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비닐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디비닐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비닐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디비닐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비닐에테르, 1,4-디히드록시시클로헥산모노비닐에테르, 1,4-디히드록시시클로헥산디비닐에테르, 1,4-디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모노비닐에테르, 1,4-디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디비닐에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의 모노 또는 폴리비닐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모노비닐에테르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 또는 디비닐에테르류; 글리시딜비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비닐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그 밖의 비닐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또는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시키고,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것이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광에 의해 촉매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에 혼합하여도 보존 안정성이나 작업성이 우수하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시키는 화합물로서, 예컨대,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이나 방향족 술포늄염과 같은 오늄염; 철-아렌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디아조늄염으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 등.
방향족 요오도늄염으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디페닐요오도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디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4-노닐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
방향족 술포늄염으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트리페닐술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페닐술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페닐술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4,4'-비스[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4'-비스[디(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4'-비스[디(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7-[디(p-톨루일)술포니오]-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7-[디(p-톨루일)술포니오]-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4-페닐카르보닐-4'-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p-tert-부틸페닐카르보닐)-4'-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p-tert-부틸페닐카르보닐)-4'-디(p-톨루일)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
철-아렌 착체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크실렌-시클로펜타디에닐철(II)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쿠멘-시클로펜타디에닐철(I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크실렌-시클로펜타디에닐철(II)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메타나이드 등.
이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방향족 술포늄염은, 300 ㎚ 부근의 파장 영역에서도 자외선 흡수 특성을 갖기 때문에, 경화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기계 강도나 접착 강도를 갖는 경화물을 부여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전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1∼10 질량부이다.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A) 100 질량부당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1 질량부 이상 배합함으로써,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을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고, 얻어지는 편광판에 높은 기계 강도와 접착 강도를 부여한다. 한편, 그 양이 많아지면, 경화물 중의 이온성 물질이 증가함으로써 경화물의 흡습성이 높아지고, 편광판의 내구 성능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양은,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100 질량부당 1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100 질량부당 2 질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6 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접착제의 반응 촉진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는, 식 (I)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및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 이외에, 광증감제 및 광증감 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증감제는,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가 나타내는 극대 흡수 파장보다 긴 파장에 극대 흡수를 나타내고,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에 의한 중합 개시 반응을 촉진시키는 화합물이다. 또한 광증감 조제는, 광증감제의 작용을 한층 더 촉진시키는 화합물이다. 투명 수지 필름의 종류에 따라서는, 광증감제, 나아가서는 광증감 조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광증감제는, 380 ㎚보다 긴 파장의 광에 극대 흡수를 나타내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300 ㎚ 부근 또는 그것보다 짧은 파장에 극대 흡수를 나타내고, 그 부근의 파장의 광에 감응하여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시키며,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의 양이온 중합을 개시하게 하지만, 상기와 같은 광증감제를 배합하면, 그것보다 긴 파장, 특히 380 ㎚보다 긴 파장의 광에도 감응하게 된다. 이러한 광증감제로는, 안트라센계 화합물이 유리하게 이용된다.
안트라센계 화합물로는, 하기 식 (IVa)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18
(식 중,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12의 알콕시알킬기를 나타내고,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안트라센계 광증감제로는, 이하와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9,10-디메톡시안트라센,
9,10-디에톡시안트라센,
9,10-디프로폭시안트라센,
9,10-디이소프로폭시안트라센,
9,10-디부톡시안트라센,
9,10-디펜틸옥시안트라센,
9,10-디헥실옥시안트라센,
9,10-비스(2-메톡시에톡시)안트라센,
9,10-비스(2-에톡시에톡시)안트라센,
9,10-비스(2-부톡시에톡시)안트라센,
9,10-비스(3-부톡시프로폭시)안트라센,
2-메틸- 또는 2-에틸-9,10-디메톡시안트라센,
2-메틸- 또는 2-에틸-9,10-디에톡시안트라센,
2-메틸- 또는 2-에틸-9,10-디프로폭시안트라센,
2-메틸- 또는 2-에틸-9,10-디이소프로폭시안트라센,
2-메틸- 또는 2-에틸-9,10-디부톡시안트라센,
2-메틸- 또는 2-에틸-9,10-디펜틸옥시안트라센,
2-메틸- 또는 2-에틸-9,10-디헥실옥시안트라센 등.
광경화성 접착제에 상기와 같은 광증감제를 배합함으로써, 접착제의 경화성이 향상된다.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광증감제를 0.1 질량부 이상 배합함으로써, 광경화성 접착제의 경화성이 향상된다. 한편, 광증감제의 배합량이 많아지면, 저온 보관 시에 석출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그 양은,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2 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의 뉴트럴 그레이를 유지한다는 관점에서는, 편광자와 투명 수지 필름의 접착력이 적절히 유지되는 범위에서, 광증감제의 배합량을 적게 하는 쪽이 유리하며, 예컨대,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광증감제의 양을 0.1∼0.5 질량부, 나아가서는 0.1∼0.3 질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광증감 조제로는, 나프탈렌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식 (IVb)로 표시되는 나프탈렌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19
(식 중,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나프탈렌계 광증감 조제로는, 4-메톡시-1-나프톨, 4-에톡시-1-나프톨, 4-프로폭시-1-나프톨, 4-부톡시-1-나프톨, 4-헥실옥시-1-나프톨, 1,4-디메톡시나프탈렌, 1-에톡시-4-메톡시나프탈렌, 1,4-디에톡시나프탈렌, 1,4-디프로폭시나프탈렌, 1,4-디부톡시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에 나프탈렌계 광증감 조제를 배합함으로써, 그것을 배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접착제의 경화성이 향상된다.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나프탈렌계 광증감 조제를 0.1 질량부 이상 배합함으로써, 이러한 효과가 발현된다. 한편, 나프탈렌계 광증감 조제의 배합량이 많아지면, 저온 보관 시에 석출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그 양은,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3 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5-5) 그 밖의 성분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이외의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으로는, 열양이온 중합 개시제, 폴리올류,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연쇄 이동제, 점착 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 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레벨링제, 색소, 유기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의 물성)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은, 편광자와 투명 수지 필름의 접합에 사용된다. 편광자 및 투명 수지 필름 중 적어도 한쪽 접합면에 이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그 접착제층을 통해 양자를 중합시켜, 접착제가 경화된다. 그리고, 편광자 및/또는 투명 수지 필름으로의 도공 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는 낮은 쪽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이 광경화성 접착제는,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100 mPa·sec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자와 보호막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데는, 이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이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그 광경화성 접착제의 경화물이, 80℃에 있어서 1,000 MPa 이상의 저장 탄성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
본 발명에서는,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투명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 필름을 접합하고, 그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편광판으로 한다.
(편광자)
편광자는,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 및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여도 좋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되는 다른 단량체로서,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 몰%, 바람직하게는 98∼100 몰%의 범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 바람직하게는 1,500∼5,000의 범위이다.
편광자는,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일축 연신은,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전에 행하여도 좋고,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과 동시에 행하여도 좋으며,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에 행하여도 좋다. 일축 연신을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에 행하는 경우, 이 일축 연신은, 붕산 처리 전에 행하여도 좋고, 붕산 처리 중에 행하여도 좋다. 또한 물론, 이들 복수의 단계에서 일축 연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축 연신하기 위해서는, 주속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일축으로 연신하여도 좋고, 열 롤을 이용하여 일축으로 연신하여도 좋다. 또한,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이어도 좋고, 용제에 의해 팽윤한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이어도 좋다. 연신 배율은, 통상 4∼8배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침지하면 좋다. 이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 또는 이색성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는 통상,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01∼0.5 질량부 정도이고,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5∼10 질량부 정도이다. 이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40℃ 정도이며, 또한,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30∼300초 정도이다.
한편, 이색성 색소로서 이색성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는, 통상, 수용성의 이색성 유기 염료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 있어서의 이색성 유기 염료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1×10-3∼1×10-2 질량부 정도이다. 이 수용액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80℃ 정도이며, 또한,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30∼300초 정도이다.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의 붕산 처리는,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붕산 수용액에 있어서의 붕산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2∼15 질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5∼12 질량부 정도이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붕산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산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2∼20 질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5∼15 질량부이다. 붕산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은, 통상 100∼1,2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600초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400초 정도이다. 붕산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85℃이다.
붕산 처리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통상, 수세 처리된다. 수세 처리는, 예컨대,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물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수세 후에는 건조 처리가 행해져, 편광자가 얻어진다. 수세 처리에 있어서의 물의 온도는, 통상 5∼40℃ 정도이며, 침지 시간은, 통상 2∼120초 정도이다. 그 후에 행해지는 건조 처리는 통상,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건조 온도는, 통상 40∼100℃이다. 또한, 건조 처리의 시간은, 통상 120∼600초 정도이다.
편광자의 두께는, 3∼30 ㎛ 정도로 할 수 있다.
(투명 수지 필름)
투명 수지 필름은, 종래부터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를 비롯한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이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보다 투습도가 낮은 수지 필름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의 투습도는, 대략 400 g/㎡/24 hr 정도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합되는 투명 수지 필름이,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로 구성된다. 특히 편광자의 한쪽 면에 접합되는 투명 수지 필름은, 자외선 흡수제가 배합되어 있는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합되는 투명 수지 필름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보다 투습도가 낮은 수지 필름, 예컨대, 투습도가 300 g/㎡/24 hr 이하인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투습도가 낮은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비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추가로 또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편광자의 한쪽 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포함하는 보호막이 접합되고, 편광자의 다른 쪽 면에 같은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와 같은 투습도가 낮은 투명 수지를 포함하는 보호막이 접합된다.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셀룰로오스에 있어서의 수산기의 적어도 일부가 아세트산에스테르화되어 있는 수지이며, 일부가 아세트산에스테르화되고, 일부가 다른 산으로 에스테르화되어 있는 혼합 에스테르여도 좋다.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의 구체예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비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노르보넨이나 테트라시클로도데센(별명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 혹은 이들에 치환기가 결합된 화합물과 같은, 환상 올레핀의 중합 단위를 갖는 중합체이며, 환상 올레핀에 쇄상 올레핀 및/또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공중합시킨 공중합체여도 좋다. 환상 올레핀의 단독중합체, 혹은 2종 이상의 환상 올레핀의 공중합체의 경우는, 개환 중합에 의해 이중 결합이 남기 때문에, 거기에 수소 첨가된 것이, 비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열가소성 노르보넨계 수지가 대표적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2염기산과 2가 알코올의 축합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대표적이다.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된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이며, 메타크릴산메틸의 단독중합체 외에, 메타크릴산메틸과, 아크릴산메틸과 같은 아크릴산에스테르나 방향족 비닐 화합물 등과의 공중합체여도 좋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주쇄에 카보네이트 결합(-O-CO-O-)을 갖는 중합체이며, 비스페놀 A와 포스겐과의 축합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대표적이다.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이나 프로필렌과 같은 쇄상 올레핀을 주된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이며, 단독중합체나 공중합체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나, 프로필렌에 소량의 에틸렌이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체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투명 수지 필름은, 편광자에 접합되는 면과는 반대측 면에, 하드 코트층, 반사방지층, 방현층, 또는 대전방지층과 같은, 각종 표면 처리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보호막은, 이러한 표면 처리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시켜, 그 두께를 5∼150 ㎛ 정도로 할 수 있다.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12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다.
(편광판의 제조 방법)
편광판의 제조에 있어서는,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층을, 편광자와 투명 수지 필름의 접합면과의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하고, 그 도포층을 통해 편광자와 투명 수지 필름을 접합하며, 이렇게 해서 형성되는 미경화의 광경화성 접착제의 도포층을,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투명 수지 필름을 편광자 상에 고착시킨다. 광경화성 접착제의 도포층은, 편광자의 접합면에 형성하여도 좋고, 투명 수지 필름의 접합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도포층의 형성에는, 예컨대, 닥터 블레이드, 와이어 바, 다이 코터, 콤마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 여러 가지 도공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와 투명 수지 필름을 양자의 접합면이 내측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그 사이에 접착제를 유연(流延)시키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각 도공 방식에는, 각각 알맞은 점도 범위가 있기 때문에, 용제를 이용하여 점도 조정을 행하는 것도 유용한 기술이다. 이것을 위한 용제에는, 편광자의 광학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양호하게 용해하는 것이 이용되지만, 그 종류에 특별한 한정은 없다. 예컨대, 톨루엔으로 대표되는 탄화수소류, 아세트산에틸로 대표되는 에스테르류 등의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2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접착제층이 두꺼워지면, 접착제의 반응률이 저하되고, 편광판의 내습열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편광자와 투명 수지 필름을 접착시키는 데 있어서, 양자의 접합면의 한쪽 또는 양쪽에는,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층을 형성하기 전에,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프라이머 처리, 또는 앵커 코팅 처리와 같은 이(易)접착 처리가 행해져도 좋다.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기 위해 이용하는 광원은, 자외선, 전자선, X선 등을 발생시키는 것이면 좋다. 특히, 파장 400 ㎚ 이하에 발광 분포를 갖는, 예컨대,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광경화성 접착제에 대한 활성 에너지선 조사 강도는,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마다 결정되는 것이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활성화에 유효한 파장 영역의 조사 강도가 5∼3000 mW/㎠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접착제에 대한 광조사 강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반응 시간이 길어지고, 한편 그 광조사 강도가 지나치게 크면, 램프로부터 복사되는 열 및 광경화성 접착제의 중합 시의 발열에 의해, 광경화성 접착제의 황변이나 편광자의 열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광경화성 접착제에 대한 광조사 시간은, 경화하는 조성물마다 제어되는 것으로서,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조사 강도와 조사 시간의 곱으로 표시되는 적산 광량이 10∼5,000 mJ/㎠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접착제에 대한 적산 광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 유래의 활성종의 발생이 충분하지 않아, 얻어지는 접착제층의 경화가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고, 한편 그 적산 광량을 크게 하려고 하면, 조사 시간이 매우 길어져서, 생산성 향상에는 불리해진다.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경우,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어느 쪽의 투명 수지 필름측으로부터 행하여도 좋지만, 예컨대, 한쪽 투명 수지 필름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다른 쪽 투명 수지 필름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투명 수지 필름측으로부터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이, 조사되는 활성 에너지선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경화 속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적층 광학 부재]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판 이외의 광학 기능을 갖는 광학층을 적층시켜, 적층 광학 부재로 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편광판의 투명 수지 필름에, 접착제나 점착제를 통해 광학층을 적층하여 붙임으로써, 적층 광학 부재가 되지만, 그 밖에, 예컨대, 편광자의 한쪽 면에 본 발명에 따라서 광경화성 접착제를 통해 투명 수지 필름을 접합하고, 편광자의 다른 쪽 면에 접착제나 점착제를 통해 광학층을 적층하여 붙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편광자와 광학층을 붙이기 위한 접착제로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광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면, 그 광학층은, 동시에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투명 수지 필름이 될 수도 있다.
편광판에 적층되는 광학층의 예를 들면, 액정 셀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에 대해서는, 그 편광판의 액정 셀에 인접한 측과는 반대측에 적층되는, 반사층, 반투과 반사층, 광확산층, 집광판, 휘도 향상 필름 등이 있다. 또한, 액정 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편광판 및 액정 셀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편광판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도, 그 편광판의 액정 셀에 인접한 측에 적층되는 위상차 필름 등이 있다.
반사층, 반투과 반사층, 또는 광확산층은, 각각 반사형의 편광판(광학 부재), 반투과 반사형의 편광판(광학 부재), 또는 확산형의 편광판(광학 부재)으로 하기 위해 설치된다. 반사형의 편광판은, 시인측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고, 백라이트 등의 광원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를 박형화하기 쉽다. 또한 반투과형의 편광판은, 명소에서는 반사형으로서, 암소에서는 백라이트로부터의 광으로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된다. 반사형 편광판으로서의 광학 부재는, 예컨대, 편광자 상의 투명 수지 필름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박이나 증착막을 부설하여, 반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반투과형 편광판으로서의 광학 부재는, 상기한 반사층을 하프 미러로 하거나, 진주 안료 등을 함유하여 광투과성을 나타내는 반사판을 편광판에 접착하거나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확산형 편광판으로서의 광학 부재는, 예컨대, 편광판 상의 투명 수지 필름에 매트 처리를 행하는 방법, 미립자 함유의 수지를 도포하는 방법, 미립자 함유의 필름을 접착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반사 확산 양용의 편광판으로서 작용하는 광학 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고, 그 경우는, 예컨대, 확산형 편광판의 미세 요철 구조면에 그 요철 구조가 반영된 반사층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은, 입사광을 난반사에 의해 확산시켜, 지향성이나 번쩍임을 방지하고, 명암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갖는다. 또한, 미립자를 함유한 수지층이나 필름은, 입사광 및 그 반사광이 미립자 함유층을 투과할 때에 확산되고, 명암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등의 이점도 갖는다.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반영시킨 반사층은, 예컨대, 진공 증착, 이온 플레이팅, 또는 스퍼터링과 같은 증착이나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 금속을 미세 요철 구조의 표면에 직접 부설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배합하는 미립자는, 예컨대, 평균 입경이 0.1∼30 ㎛인 실리카,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과 같은 무기계 미립자, 가교 또는 비가교의 폴리머와 같은 유기계 미립자 등일 수 있다.
집광판은, 광로 제어 등을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프리즘 어레이 시트나 렌즈 어레이 시트, 혹은 도트 부설 시트 등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휘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그 예로는, 굴절률의 이방성이 서로 상이한 박막 필름을 복수 장 적층하여 반사율에 이방성이 생기도록 설계된 반사형 편광 분리 시트,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이나 그 배향 액정층을 필름 기재 상에 지지한 원편광 분리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광학층으로서 작용하는 상기한 위상차 필름은, 액정 셀에 의한 위상차의 보상 등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 예로는, 각종 플라스틱의 연신 필름 등을 포함하는 복굴절성 필름, 디스코틱 액정이나 네마틱 액정이 배향 고정된 필름, 필름 기재 상에 상기한 액정층이 형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필름 기재 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경우, 필름 기재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복굴절성 필름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으로는, 예컨대, 비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스티렌,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연신 필름은, 일축이나 이축 등의 적절한 방식으로 처리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위상차 필름은, 광대역화 등 광학 특성의 제어를 목적으로, 2장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적층 광학 부재에 있어서는, 편광판 이외의 광학층으로서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때에 유효하게 광학 보상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값(면내 및 두께 방향)은, 적용되는 액정 셀에 따라, 알맞은 것을 선택하면 좋다.
적층 광학 부재는, 편광판과, 전술한 각종 광학층으로부터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되는 1층 또는 2층 이상을 조합하여, 2층 또는 3층 이상의 적층체로 할 수 있다. 그 경우, 적층 광학 부재를 형성하는 각종 광학층은, 접착제나 점착제를 이용하여 편광판과 일체화되지만, 그것을 위해 이용하는 접착제나 점착제는, 접착제층이나 점착제층이 양호하게 형성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접착 작업의 간편성이나 광학 왜곡의 발생 방지 등의 관점에서, 점착제(감압 접착제라고도 부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에는, 아크릴계 중합체나, 실리콘계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등을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점착제와 같이, 광학적인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습윤성이나 응집력을 유지하여, 기재와의 접착성도 우수하며, 나아가서는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을 가지며, 가열이나 가습의 조건하에서 들뜸이나 벗겨짐 등의 박리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에 있어서는, 메틸기나 에틸기나 부틸기 등의 탄소수가 20 이하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이나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등을 포함하는 작용기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를, 유리 전이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 이하가 되도록 배합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인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베이스 폴리머로서 유용하다.
편광판에 대한 점착제층의 형성은, 예컨대,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매에 점착제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 10∼40 질량%의 용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편광판 상에 직접 도공하는 방식이나, 미리 프로텍트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해 두고, 그것을 편광판 상에 이착(移着)시키는 방식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그 접착력 등에 따라 결정되지만, 1∼50 ㎛ 정도의 범위가 적당하다.
또한, 점착제층에는 필요에 따라, 유리 섬유나 유리 비드, 수지 비드, 금속 가루나 그 밖의 무기 분말 등을 포함하는 충전제, 안료나 착색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이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자외선 흡수제에는,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이나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이 있다.
적층 광학 부재는, 액정 셀의 한쪽 또는 양쪽에 배치할 수 있다. 이용하는 액정 셀은 임의이며, 예컨대, 박막 트랜지스터형으로 대표되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형인 것, 슈퍼 트위스티드 네마틱형으로 대표되는 단순 매트릭스 구동형인 것 등, 여러 가지 액정 셀을 사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적층 광학 부재와 액정 셀의 접착에는 통상, 상기한 바와 같은 점착제가 이용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 중, 함유량 내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 이용한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및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다음과 같으며, 이하 각각의 기호로 표시한다.
(합성예 1)
식 (a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WO2014/157498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하기 식 (a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하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 정제를 행하였다.
Figure pat00020
또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조건은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에폭시화물 (a1)의 단리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실시하였다.
(분석 조건)
측정 장치: LC-20+FRC-10A[(주)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
칼럼: ZORBAX SB-C18(5 ㎛, 9.4×150 ㎜)
칼럼 온도: 40℃
이동상: A: 물, B: 아세토니트릴
구배(gradient): 0분 A=90%, B=10%
30분 A=0%, B=100%
35분 A=0%, B=100%
35.1분 A=90%, B=10%
50분 STOP(TOTAL 분석 시간 50분)
유량: 5.0 mL/분
검출: 자외 흡수 검출기(파장: 254 ㎚)
(A)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a1-1) Synnovator Product List사 제조의 7-옥사비시클로[4.1.0]헵탄-3-메탄올[상기 식 (I)에 있어서, R1=CH2OH인 화합물]
(a1-2) 시나시아사 제조의 Syna-Epoxy30[상기 식 (I)에 있어서, R1=CH2OCOC2H5인 화합물]
(a1-3) 상기 합성예에서 합성한 식 (a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a2)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상기 식 (II)에 있어서, R2=R3=H, Z1=-COOCH2-의 화합물],
(a3)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상기 식 (III)에 있어서, Z2=-CH2C(CH3)2CH2-의 화합물],
(a4)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나가세켐텍스 제조의 EX121)
(B)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표에서는 「개시제」라고 약기)
(b1) 식 (B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 (B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의 프로필렌카보네이트 50% 용액
Figure pat00021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1)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의 조제
상기한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및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단위는 부)로 혼합한 후, 탈포(脫泡)하여, 광경화성 접착제액을 조제하였다. 또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고형분량의 값이다.
Figure pat00022
(2)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의 25℃에 있어서의 점도의 측정
상기 (1)에서 조제한 각각의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접착제액)에 대해서, 토키산교(주) 제조의 E형 점도계 「TVE-25L」을 이용하여, 온도 25℃에 있어서의 점도(mPa·s)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3-1) 편광자의 제조
두께 60 ㎛의 장척의 폴리비닐알코올(PVA) 원반(原反) 필름[(주)쿠라레 제조의 상품명 「쿠라레비닐론 VF-PE#6000」,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을 롤로부터 풀면서 연속적으로 반송하고, 30℃의 순수로 이루어지는 팽윤욕(膨潤浴)에 체류 시간 79초로 침지시켰다(팽윤 공정). 그 후, 팽윤욕으로부터 꺼낸 필름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이 1/0.3/100(중량비)인 요오드를 포함하는 30℃의 염색욕에 체류 시간 123초로 침지시켰다(염색 공정). 계속해서, 염색욕으로부터 꺼낸 필름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이 11/3.8/100(중량비)인 53℃의 제1 가교욕에 체류 시간 44초로 침지시키고, 계속해서,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이 11/3.8/100(중량비)인 40℃의 제2 가교욕에 체류 시간 6초로 침지시켰다(가교 공정). 염색 공정 및 가교 공정에 있어서, 욕 중에서의 롤간 연신에 의해 세로 일축 연신을 행하였다. 원반 필름을 기준으로 하는 총 연신 배율은 5.65배로 하였다.
(3-2) 편광판의 제작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두께 6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수지(TAC) 필름과 노르보넨계 수지(COP: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는 두께 50 ㎛의 위상차 필름[상품명 “ZEONOR”, 니폰제온(주) 제조]을 준비하였다. 두께 6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수지 필름 및 두께 50 ㎛의 위상차 필름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하고, 그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1)에서 조제한 각각의 접착제액을 접착제 도공 장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필름의 한 면에 도공하였다. 각 필름의 도공면을 상기 (3-1)에서 제조한 편광자에 각각 접합시켜, 총 적산 광량이 약 350 mJ/㎠(측정기: Fusion UV사 제조 UV Power PuckII에 의한 측정치)의 자외선(UVA)을 조사하였다.
(4) 밀착성
상기 (3)에서 제작한 편광판을 길이 200 ㎜×폭 25 ㎜의 크기로 재단하였다. 그리고, 두께 6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측에 아크릴계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두께 6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과 편광자 사이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편으로 하였다. 시험편의 점착제층을 유리판에 붙이고, 편광자와 점착제측의 보호 필름(두께 6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사이에 커터 날을 넣어, 길이 방향으로 끝에서부터 30 ㎜ 벗기고, 그 벗긴 부분을 시험기의 그립부로 잡았다. 이 상태의 시험편을, 온도 23℃ 및 상대습도 55%의 분위기 중에서, JIS K 6854-2: 1999 「접착제-박리 접착 강도 시험 방법-제2부: 180도 박리」에 따라, 그립 이동 속도 300 ㎜/분으로 180도 박리 시험을 행하여, 그립부의 30 ㎜를 제외한 170 ㎜의 길이에 걸친 평균 박리력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3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편광판은 양호한 밀착성을 갖는다.

Claims (8)

  1. 이하의 (A) 및 (B)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A) 하기 식 (I)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B)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
    Figure pat00024

    [식 중, R1은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8의 알킬기(상기 알킬기에 포함되는 -CH2-는 에스테르 결합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중단되어도 좋은 총 탄소수 2∼8의 알킬에스테르, 수산기, 카르복시기, 하기 식 (Ia)로 표시되는 기 또는 식 (Ib)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25

    X1, X2, X11 및 X1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3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낸다.
    Y1 및 Y11은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26
    (*는 결합손을 나타냄) 또는 탄소수 3∼8의 환상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pat00027
    또는 탄소수 3∼8의 환상 포화 탄화수소기는, 수산기, 탄소수 2∼8의 알킬카르보닐옥시기, 탄소수 1∼6의 알킬기(상기 알킬기에 포함되는 -CH2-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음)를 갖고 있어도 좋다.]
  2. 제1항에 있어서,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은,
    (A)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B)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1∼10 질량부
    함유하고,
    상기 광양이온 경화성 성분은, 그 전체량을 기준으로,
    (A1) 식 (I)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0.1∼20 질량%
    (A2) 하기 식 (II)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에폭시 화합물을 50∼90 질량%
    함유하는 것인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Figure pat00028

    (식 중,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알킬기가 탄소수 3 이상인 경우는 지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고;
    Z1은 산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칸디일기 또는 하기 식 (IIa)∼(IId):
    Figure pat00029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Y2∼Y5는 각각 탄소수 1∼20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내지만, 탄소수 3 이상의 경우는 지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고;
    a 및 b는 각각 0∼20의 정수를 나타낸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로, (A3) 하기 식 (III)으로 표시되는 지방족 디글리시딜 화합물을 1∼70 질량% 함유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Figure pat00030

    (식 중, Z2는 탄소수 3∼8의 분기 알킬렌기, 또는 식 -CmH2m-Z3-CnH2n-으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Z3-은 -O-, -CO-O- 또는 -O-CO-를 나타내며, m 및 n의 한쪽은 1 이상, 다른 쪽은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양자의 합계는 8 이하이고, 또한 CmH2m 및 CnH2n의 한쪽은, 분기된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식 (IVa)로 표시되는 안트라센계 화합물 또는 식 (IVb)로 표시되는 나프탈렌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0.1∼5 질량부 함유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Figure pat00031

    (식 중,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12의 알콕시알킬기를 나타내고,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32

    (식 중,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광경화 접착제층.
  6. 편광자, 접착제층, 투명 수지 필름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로서, 상기 접착제층이 제5항에 기재된 광경화 접착제층인 적층체.
  7. 제6항에 기재된 적층체와 다른 광학층과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적층 광학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광학층은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적층 광학 부재.
KR1020190155912A 2018-11-30 2019-11-28 광경화성 접착제, 편광판 및 적층 광학 부재 KR202000662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24755 2018-11-30
JPJP-P-2018-224755 2018-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222A true KR20200066222A (ko) 2020-06-09

Family

ID=7094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912A KR20200066222A (ko) 2018-11-30 2019-11-28 광경화성 접착제, 편광판 및 적층 광학 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00066222A (ko)
CN (1) CN111253893B (ko)
TW (1) TWI8191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8173B (zh) * 2019-08-26 2020-10-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
CN113717350B (zh) * 2021-08-19 2024-02-23 浙江福斯特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光固化组合物、封装结构和半导体器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5925A (ja) 2003-02-12 2004-09-02 Sumitomo Chem Co Ltd 偏光板、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257199A (ja) 2007-03-15 2008-10-23 Sumitomo Chemical Co Ltd 光硬化性接着剤、該光硬化性接着剤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6174B2 (ja) * 2009-06-15 2014-09-10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57281B2 (ja) * 2009-06-26 2014-07-2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光学部材
JP2015140374A (ja) * 2014-01-28 2015-08-03 株式会社ダイセル 放射線硬化性組成物、接着剤、及び偏光板
JP2016118779A (ja) * 2015-12-09 2016-06-30 住友化学株式会社 光硬化性接着剤、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積層光学部材
WO2017110951A1 (ja) * 2015-12-25 2017-06-29 株式会社Adeka 硬化性組成物、その硬化方法、これにより得られる硬化物
JP6408046B2 (ja) * 2016-02-17 2018-10-17 住友化学株式会社 光硬化性接着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積層光学部材
KR20190029612A (ko) * 2016-07-21 2019-03-2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5925A (ja) 2003-02-12 2004-09-02 Sumitomo Chem Co Ltd 偏光板、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257199A (ja) 2007-03-15 2008-10-23 Sumitomo Chemical Co Ltd 光硬化性接着剤、該光硬化性接着剤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19142B (zh) 2023-10-21
TW202031847A (zh) 2020-09-01
CN111253893B (zh) 2023-03-28
CN111253893A (zh)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467B1 (ko) 광 경화성 접착제, 편광판 및 적층 광학 부재
JP5855947B2 (ja) 光硬化性接着剤、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積層光学部材
KR102155921B1 (ko) 광경화성 접착제,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적층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JP6408101B2 (ja) 光硬化性接着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積層光学部材
CN107076907B (zh) 光固化性胶粘剂以及使用该光固化性胶粘剂的偏振板、层叠光学构件及液晶显示装置
KR101752034B1 (ko) 광 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한 편광판 및 적층 광학 부재
JP2016118779A (ja) 光硬化性接着剤、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積層光学部材
CN111253893B (zh) 光固化性粘接剂、偏振板和层叠光学构件
JP6718685B2 (ja) 光硬化性接着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積層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7375506B2 (ja) 光硬化性接着剤、偏光板および積層光学部材
JP6777399B2 (ja) 光硬化性接着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積層光学部材
CN107090259B (zh) 光固化性胶粘剂、以及使用其的偏振板及层叠光学构件
KR20200089620A (ko) 편광판
JP2013092546A (ja) 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光学部材
KR102649140B1 (ko) 광경화성 접착제,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및 적층 광학 부재
JP2017122882A (ja) 光硬化性接着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積層光学部材
CN111221067A (zh) 偏振板
JP2021076814A (ja) 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