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013A -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013A
KR20200066013A KR1020180153029A KR20180153029A KR20200066013A KR 20200066013 A KR20200066013 A KR 20200066013A KR 1020180153029 A KR1020180153029 A KR 1020180153029A KR 20180153029 A KR20180153029 A KR 20180153029A KR 20200066013 A KR20200066013 A KR 20200066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acid
composition
ppm
feed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중
김제헌
김성훈
김재원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80153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6013A/ko
Priority to JP2021530216A priority patent/JP2022510917A/ja
Priority to PCT/KR2019/013203 priority patent/WO2020111497A1/ko
Priority to US17/298,281 priority patent/US20220015392A1/en
Priority to CN201980079034.5A priority patent/CN113163802A/zh
Priority to EP19890457.5A priority patent/EP3888470A4/en
Priority to BR112021010274-4A priority patent/BR112021010274A2/pt
Priority to AU2019388142A priority patent/AU2019388142B2/en
Priority to MYPI2021002929A priority patent/MY195333A/en
Publication of KR20200066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013A/ko
Priority to PH12021551206A priority patent/PH12021551206A1/en
Priority to KR1020220117944A priority patent/KR20220131214A/ko
Priority to KR1020230190099A priority patent/KR202400056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gluc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5Indole-alkane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tryptophan, indometh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3Lys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32Methio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8Threo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5Tryptoph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54Va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rds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Lubric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르솔릭산 및/또는 마스리닉산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Feed additive composition and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출원은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017년을 기준으로 국내 양돈 농가의 생산성은 수년째 정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해법으로, 비육돈의 출하 시기를 늦추어 출하 체중을 증대시키거나, 지육율에 대한 농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육돈 성장의 특징에 맞는 사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비육돈의 성장 단계는 돼지의 성장이 진행되는 마지막 단계로서, 근육의 성장이 완료되고 지방의 축적이 진행된다. 따라서, 비육돈의 성장 단계는 지육율 뿐만 아니라, 돈육의 품질에 직결되는 근육 내 지방이 축적, 예를 들어, 등지방의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시기 중 하나이다.
현재 농가의 니즈에 맞춰 지육율 증진 및 등지방의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합성제품으로, Elanco 사의 페이린(Paylean)이 출시된 바 있으나, 상기 제품은 동물 체내 잔류 및 부작용에 대한 이슈로 인해 유해 물질로 분류된 바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9273호는 돼지의 사료요구율을 감소시키고, 돼지의 성장률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글리신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상기 글리신 화합물을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축의 성장율 등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지육율 증진 등을 통하여 농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료 첨가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천연물 유래의 우르솔릭산 및/또는 마스리닉산을 추가적으로 급여함으로써, 사료 효율 및 가축의 지육율을 증진시키고, 과잉 축적되는 등지방의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9273호
본 출원의 일 목적은 우르솔릭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본 출원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한 청구범위 및 도면과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 출원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한 기술 분야 내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출원은 일 양상으로 우르솔릭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료 첨가제"는 사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물질을 지칭하며, 사료 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동물 또는 가축의 생산성 향상이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국내 양돈 농가의 생산성은 수년째 정체 상태에 머물러 있으며, 이이 따라, 지육율 및 등지방 감소에 따른 돈육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사료 첨가제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동물 체내잔류 및 부작용에 대한 이슈로 인해 사료 첨가제의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육성돈 또는 비육돈에 천연물 유래의 우르솔릭산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급여한 경우, 사료 효율 및 지육율이 증진되었을 뿐만 아니라, 등지방의 감소가 유의적으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우르솔릭산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우르솔릭산 (Ursolic acid)"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상기 우르솔릭산은 로즈베리, 체리, 사과박, 체리 등의 천연물에 함유된 펜타사이클릭 트리터르핀 산의 일종으로서, 이의 생리적 활성으로는 항산화, 살충, 혈당강화, 및 항노화 등의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Figure pat00001
본 출원의 우르솔릭산은 염 형태로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우르솔릭산은 사료 성분으로서 허용 가능한 형태의 염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등의 무기산; 메타설폰산 등의 설폰산; 또는 옥살산, 아세트산 푸마르산, 말론산, 말레인산, 말산, 숙신산 등의 유기 카본산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상기 우르솔릭산 또는 이의 염을 사료 첨가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1000 내지 25000 ppm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르솔릭산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사료 첨가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11000 내지 22000 ppm, 11000 내지 19000 ppm, 11000 내지 16000 ppm, 11000 내지 13000 ppm, 13000 내지 22000 ppm, 13000 내지 19000 ppm, 13000 내지 16000 ppm, 15000 내지 22000 ppm, 15000 내지 19000 ppm, 15000 내지 16000 ppm, 17000 내지 22000 ppm, 17000 내지 19000 ppm, 또는 19000 내지 22000 ppm일 수 있으나, 가축의 종류 및 연령, 적용 형태, 목적하는 효과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또한, 본 출원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마스리닉산 또는 이의 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육돈에 천연물 유래의 우르솔릭산 및 마르리닉산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급여한 경우, 사료 효율 및 지육율이 증진되었으며, 특히 등지방의 감소 효과는 상기 우르솔릭산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에 비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우르솔릭산 및 마르리닉산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마스리닉산 (Maslinic acid)"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상기 마스리닉산은 오미자, 비파엽 등의 천연물에 함유된 펜타사이클릭 트리터르핀 산의 일종으로서, 이의 생리적 활성으로는 항산화, 항노화, 및 항염증 등의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Figure pat00002
본 출원의 마스리닉산은 우르솔릭산과 마찬가지로, 염 형태로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스리닉산은 사료 성분으로서 허용 가능한 형태의 염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염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상기 우르솔릭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상기 마스리닉산 또는 이의 염을 사료 첨가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10000 ppm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리닉산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사료 첨가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40 내지 9000 ppm, 40 내지 8000 ppm, 40 내지 7000 ppm, 40 내지 6000 ppm, 40 내지 5000 ppm, 40 내지 4000 ppm, 40 내지 3000 ppm, 40 내지 2000 ppm, 40 내지 1000 ppm, 40 내지 5000 ppm, 40 내지 2500 ppm, 40 내지 2000 ppm, 40 내지 1500 ppm, 또는 40 내지 1000 ppm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0 내지 5000 ppm, 100 내지 4000 ppm, 100 내지 3000 ppm, 100 내지 2000 ppm, 100 내지 1000 ppm, 200 내지 2500 ppm, 200 내지 2000 ppm, 200 내지 1500 ppm, 또는 200 내지 1000 ppm일 수 있으나, 가축의 종류 및 연령, 적용 형태, 목적하는 효과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우르솔릭산 및 마스리닉산은 1:1 내지 3000: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르솔릭산 및 마스리닉산의 중량비는 예들 들어, 1:1 내지 2500:1, 1:1 내지 2000:1, 1:1 내지 1500:1, 1:1 내지 1000:1, 1:1 내지 500:1, 1:1 내지 400:1, 1:1 내지 300:1, 1:1 내지 200:1, 1:1 내지 100:1, 1:1 내지 90:1, 1:1 내지 80:1, 1:1 내지 70:1, 1:1 내지 60:1, 1:1 내지 50:1, 1:1 내지 40:1, 1:1 내지 30:1, 1:1 내지 20:1, 또는 1:1 내지 10:1일 수 있으나, 이 역시 적의 변경 가능하다.
본 출원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분말 또는 과립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 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사료 첨가제는 통상의 사료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통상의 사료 성분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 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영양 보충제, 소화 및 흡수 향상제, 성장 촉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는 탑 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의 경구 제형으로 용이하게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시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콩 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 첨가제는 정제, 캡슐제, 산제, 트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 첨가제는 젤라틴 연질 캡슐제, 또는 시럽제나 현탁액,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제형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 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침주, 분무 또는 혼합하여 동물의 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포유류, 및 가금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 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포유류로서 돼지, 소, 양, 염소, 실험용 설치 동물, 및 실험용 설치 동물뿐만 아니라, 애완 동물(예: 개, 고양이) 등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금류로서 닭, 칠면조, 오리, 거위, 꿩, 및 메추라기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양상은 본 출원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료 조성물"은 동물에게 급여되는 먹이를 지칭한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동물의 생명을 유지, 또는 고기, 젖 등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유기 또는 무기 영양소를 공급하는 물질을 말한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본 출원의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의 생명 유지, 또는 고기, 젖 등을 생산하는 필요한 영양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사료 조성물 내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함량은 적용 가축의 종류 및 연령, 적용 형태, 목적하는 효과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며, 예를 들어, 0.01 내지 1%(w/w), 0.01 내지 0.5 %(w/w), 또는 0.15 내지 0.5 %(w/w)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사료 조성물은 상기 우르솔릭산 또는 이의 염을 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0 ppm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르솔릭산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10 내지 90 ppm, 10 내지 80 ppm, 10 내지 70 ppm, 10 내지 60 ppm, 10 내지 50 ppm, 10 내지 40 ppm, 10 내지 30 ppm, 또는 10 내지 20 ppm일 수 있으나, 가축의 종류 및 연령, 적용 형태, 목적하는 효과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사료 조성물은 상기 마스리닉산 또는 이의 염을 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0 ppb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리닉산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1 내지 90 ppb, 1 내지 80 ppb, 1 내지 70 ppb, 1 내지 60 ppb, 1 내지 50 ppb, 1 내지 45 ppb, 1 내지 40 ppb, 1 내지 35 ppb, 1 내지 30 ppb, 1 내지 25 ppb, 1 내지 20 ppb, 또는 1 내지 10 ppb일 수 있으나, 가축의 종류 및 연령, 적용 형태, 목적하는 효과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본 출원의 사료 조성물은 라이신, 쓰레오닌, 르립토판, 메티오닌, 및 발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필수 아미노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육돈에 우르솔릭산 및 마르리닉산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와 라이신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을 함께 추가적으로 급여한 경우, 사료 효율 및 지육율 등의 효과가 더욱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출원은 효능의 증진 측면에서 필수 아미노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출원의 사료 조성물은 상기 필수 아미노산을 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5%(w/w)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5 내지 4%(w/w), 0.05 내지 3%(w/w), 0.05 내지 2%(w/w), 0.05 내지 1%(w/w), 0.1 내지 4%(w/w), 0.1 내지 3%(w/w), 0.1 내지 2%(w/w), 0.1 내지 1%(w/w), 0.5 내지 4%(w/w), 0.5 내지 3%(w/w), 0.5 내지 2%(w/w), 또는 0.5 내지 1%(w/w)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사료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사료 첨가제 조성물 이외에 추가로 구연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젖산 등의 유기산; 인산칼륨, 인산나트륨, 중합 인산염 등의 인산염; 폴리페놀, 카테친, 토코페롤,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키토산, 탄니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인플루엔자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사료 조성물은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또는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사료 조성물은 보조성분으로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산화제, 항진균제, 항균제 등과 같은 각종 보조제 및 분쇄 또는 파쇄된 밀, 보리, 옥수수 등의 식물성 단백질 사료, 혈분, 육분, 생선분 등의 동물성 단백질 사료, 동물성 지방 및 식물성 지방 같은 주성분 이외에도 영양 보충제, 성장 촉진제, 소화 흡수 촉진제, 질병 예방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사료 조성물은 가축사료에 건조 중량 기준으로 1 ㎏당 약 10 내지 500 g, 예를 들어, 10 내지 100 g의 양으로 혼합될 수 있고, 완전히 혼합한 후 매쉬로 공급하거나, 추가 가공 공정을 통하여 팰렛화, 팽창화 또는 압출 공정을 거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사료 효율 및 가축의 지육율을 증진시킬 수 있고, 등지방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사료 첨가제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은 가축의 생산성 및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사료 첨가제 급여에 따른 육성돈 단계에서의 사양 시험
본 시험예에서는 우르솔릭산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가 사료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시험예에서의 시험 가축은 총 288 두의 듀록 (Duroc)×요오크셔 (Yorkshir)×랜드레이스 (Landrace) 삼원 교잡종 육성돈으로서, 시험 개시 단계에서 이들의 평균 체중은 37.73 + 2.14kg이었다. 사양시험은 CJ 제일제당 계열 소속인 CJ 돈돈팜 법인의 농장인 완주농장에서 36일 동안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로는 CJ 제일제당 기본사료 처리구 (대조구) 및 상기 기본사료에 사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5ppm의 우르솔릭산이 첨가된 시험사료 처리구 (실시예 1)를 설정하였다. 즉, 상기 시험사료 처리구는 기본사료에 본 시험예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첨가한 처리구로서, 상기 사료 첨가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7000ppm의 우르솔릭산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기존의 천연물 내 우르솔릭산의 함량을 측정한 후, 이에 기초하여 우르솔릭산의 함량을 조절하고, 필요한 경우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우르솔릭산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각 처리구마다 네 번의 반복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각 시험마다 24 마리씩 완전 임의 배치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기본사료로는 미국사양표준지침 (NRC)을 기초로 하여 2,510kcal NE (Net energy, 정미에너지)/kg, 17.00 중량%의 단백질, 및 0.93 중량%의 라이신을 함유하는 가축용 사료를 사용하였다. 상기 사료들은 가루 사료의 형태로 자유 채식토록 하였으며, 물은 자동급수기를 이용하여 제공하였다. 이후, 각 시점에서 시험 가축의 체중 및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여, 일당증체량 (Average daily gain: ADG), 일당 사료섭취량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및 사료효율 (Feed conversion ratios: FCR)을 산출하였다. 상기 사료효율은 사료 중량 대비 체중 증가량의 비율을 의미하며, SAS(1996)의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구 평균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표 1은 상기 기본사료 또는 시험사료를 36일 동안 급여한 육성돈의 일당 증체량, 일당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사료 또는 시험사료를 급여한 지 36일째, 실시예 1에 따른 육성돈의 일당 증체량은 대조구 대비 약 5% 가량 향상되었으며, 사료효율 측면에 있어서도, 실시예 1에 따른 육성돈은 대조구에 비해 약 8.4%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우르솔릭산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는 육성돈의 성장을 촉진시키며, 사료 중량 대비 체중 증가량, 즉, 사료효율 역시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사료 첨가제 급여에 따른 육성돈/비육돈 단계에서의 사양시험 결과
본 시험예에서는 우르솔릭산 및/또는 마스리닉산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가 사료효율, 지육율 및 등지방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시험예에서의 시험 가축은 총 120두의 듀록×요오크셔×랜드레이스 삼원 교잡종 육성돈/비육돈으로서, 시험 개시 단계에서 이들의 평균 체중은 43.3kg ± 0.9kg이었다. 사양시험은 충남대학교 부설 시험 농장에서 용역평가로 67일 동안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로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J 제일제당 기본사료 처리구 (대조구); 상기 기본사료에 사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5ppm 또는 50ppm의 우르솔릭산이 첨가된 시험사료 처리구 (실시예 2 또는 3); 및 상기 기본사료에 사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5ppm의 우르솔릭산 및 10ppb의 마스리닉산이 첨가된 시험사료 처리구 (실시예 4)를 설정하였다. 상기 시험사료 처리구는 기본사료에 본 시험예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첨가한 처리구로서, 상기 사료 첨가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7,000ppm의 우르솔릭산, 또는 5,500ppm의 마스리닉산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기존의 천연물 내 우르솔릭산 또는 마스리닉산의 함량을 측정한 후, 이에 기초하여 이들의 함량을 조절하고, 필요한 경우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우르솔릭산 또는 마스리닉산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각 처리구마다 여섯 번의 반복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각 시험마다 4 마리씩 완전 임의 배치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기본사료로는 미국사양표준지침 (NRC)을 기초로 하여 2,510kcal NE (Net energy, 정미에너지)/kg, 17.00 중량%의 단백질, 및 0.93 중량%의 라이신을 함유하는 가축용 사료를 사용하였다. 상기 사료들은 가루 사료의 형태로 자유 채식토록 하였으며, 물은 자동 급수기를 이용하여 제공하였다. 이후, 각 시점에서 시험 가축의 체중 및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여, 일당증체량, 일당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을 산출하였고, 시험 가축을 도축한 후, 지육율 및 등지방의 수준을 측정하였다(NE, 정미에너지). 또한, SAS(1996)의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구 평균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Figure pat00004
표 3은 상기 기본사료 또는 시험사료를 67일 동안 급여한 육성돈/비육돈의 사료효율, 지육율, 및 등지방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Figure pat00005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사료 또는 시험사료를 급여한 지 67일째, 실시예 2, 3, 또는 4에 따른 육성돈/비육돈은 모두 대조구에 비해 향상된 일당증체량, 사료효율, 지육율, 및 등지방의 감소를 보여주었다. 특히, 지육율 및 등지방의 감소에 있어서, 실시예 3 및 4에 따른 육성돈/비육돈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 p<0.05).
구체적으로, 우르솔릭산을 추가적으로 급여한 실시예 2의 육성돈/비육돈에서, 사료효율의 향상뿐만 아니라, 지육율 증진 및 등지방의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3의 육성돈/비육돈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2.46% 가량 지육율이 증가되었고, 등지방은 1.16mm 가량 감소되었다. 이는 실시예 2의 결과에 비해 더욱 향상된 것인 바, 우르솔릭산의 급여량에 의존적으로 지육율 증진 및 등지방의 감소 효과가 증진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우르솔릭산 및 마스리닉산을 급여한 실시예 4의 육성돈/비육돈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2.1% 가량 지육율이 증가되었고, 등지방은 1.30mm 가량 감소되었다. 이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2의 지육율 증진 및 등지방의 감소 효과에 비해 더욱 항상된 것이었으며, 특히, 등지방의 감소에 있어서는 다량의 우르솔릭산을 급여한 실시예 3에 비해서도 우수한 것있다. 따라서, 우르솔릭산 및 마스리닉산의 급여는 지육율 증진 및 등지방의 감소 효과를 더욱 증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사료 첨가제 급여에 따른 비육돈 단계에서의 사양시험 결과
본 시험예에서는 상기 시험예 2의 사료 첨가제에 필수 아미노산 성분을 추가한 경우, 이에 따른 사료 효율, 지육율 증진, 및 등지방의 감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시험예에서의 시험 가축은 총 288두의 듀록×요오크셔×랜드레이스 삼원 교잡종 비육돈으로서, 시험 개시 단계에서 이들의 평균 체중은 70.6kg ± 2.5kg 이었다. 사양 시험은 CJ 제일제당 계열 소속인 CJ 돈돈팜 법인의 농장인 완주농장에서 42일 동안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로는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J 제일제당 기본사료 처리구 (대조구); 상기 기본사료에 50ppm의 우르솔릭산 및 20ppb의 마스리닉산이 첨가된 시험사료 처리구 (실시예 5); 상기 시험사료에 0.13%(w/w)의 라이신이 첨가된 시험사료 처리구 (실시예 6)를 설정하였다. 상기 시험사료 처리구는 기본사료에 본 시험예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첨가한 처리구로서, 상기 사료 첨가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7,000ppm의 우르솔릭산, 또는 5,500ppmppm의 마스리닉산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기존의 천연물 내 우르솔릭산 또는 마스리닉산의 함량을 측정한 후, 이에 기초하여 이들의 함량을 조절하고, 필요한 경우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우르솔릭산 또는 마스리닉산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또한, 상기 시험사료에 추가로 0.13%의 라이신을 첨가하여 실시예 6의 시험사료를 제조하였다. 각 처리구마다 네 번의 반복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각 시험마다 24 마리씩 완전 임의 배치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기본사료로는 미국사양표준지침 (NRC)을 기초로 하여 2,510kcal NE (Net energy, 정미에너지)/kg, 17.00 중량%의 단백질, 및 0.93 중량%의 라이신을 함유하는 가축용 사료를 사용하였다. 상기 사료들은 가루 사료의 형태로 자유 채식토록 하였으며, 물은 자동 급수기를 이용하여 제공하였다. 이후, 각 시점에서 시험 가축의 체중 및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여, 일당 증체량, 일당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을 산출하였고, 시험 가축을 도축한 후, 지육율 및 등지방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NE, 정미에너지). 또한, SAS(1996)의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구 평균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Figure pat00006
표 5는 상기 기본사료 또는 시험사료를 42일 동안 급여한 비육돈의 사료효율, 지육율 및 등지방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Figure pat00007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사료 또는 시험사료를 급여한 지 42일째, 실시예 5의 비육돈의 경우, 사료효율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대조구에 비해 1.05% 가량 지육율이 증가되었고, 등지방은 2.23mm 가량 감소되었다. 이는 시험예 2에서 확인한 우르솔릭산 및 마스리닉산의 급여에 따른 효과를 재차 검증하는 결과이다.
또한, 라이신을 추가적으로 급여한 실시예 6의 비육돈에서, 사료 효율의 향상뿐만 아니라, 지육율 증진 및 등지방의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6의 비육돈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1.45% 가량 지육율이 증가되었고, 등지방은 0.62mm 가량 감소되었다. 특히, 실시예 6의 지육율의 증진 효과는 실시예 5의 결과에 비해 크게 향상된 것이며, 등지방의 감소 효과 역시, 상기 향상된 지육율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유의적인 감소 효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라이신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 성분의 추가는 사료첨가제로서 급여된 우르솔릭산 및 마스리닉산의 효과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우르솔릭산 (Ursolic acid)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우르솔릭산 또는 이의 염을 11000 내지 25000 ppm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스리닉산 (Maslinic acid) 또는 이의 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마스리닉산을 40 내지 10000 ppm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우르솔릭산 및 마스리닉산은 1:1 내지 3000: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라이신, 쓰레오닌, 르립토판, 메티오, 및 발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필수 아미노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필수 아미노산을 0.05 내지 5%(w/w)로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KR1020180153029A 2018-11-30 2018-11-30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KR20200066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029A KR20200066013A (ko) 2018-11-30 2018-11-30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EP19890457.5A EP3888470A4 (en) 2018-11-30 2019-10-08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AND ANIMAL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M
PCT/KR2019/013203 WO2020111497A1 (ko) 2018-11-30 2019-10-08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US17/298,281 US20220015392A1 (en) 2018-11-30 2019-10-08 Feed additive composition and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CN201980079034.5A CN113163802A (zh) 2018-11-30 2019-10-08 饲料添加剂组合物与包括该饲料添加剂组合物的饲料组合物
JP2021530216A JP2022510917A (ja) 2018-11-30 2019-10-08 飼料添加剤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飼料組成物
BR112021010274-4A BR112021010274A2 (pt) 2018-11-30 2019-10-08 composição de aditivo de ração e composição de ração
AU2019388142A AU2019388142B2 (en) 2018-11-30 2019-10-08 Feed additive composition and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MYPI2021002929A MY195333A (en) 2018-11-30 2019-10-08 Feed Additive Composition And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PH12021551206A PH12021551206A1 (en) 2018-11-30 2021-05-26 Feed additive composition and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0220117944A KR20220131214A (ko) 2018-11-30 2022-09-19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KR1020230190099A KR20240005636A (ko) 2018-11-30 2023-12-22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029A KR20200066013A (ko) 2018-11-30 2018-11-30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944A Division KR20220131214A (ko) 2018-11-30 2022-09-19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013A true KR20200066013A (ko) 2020-06-09

Family

ID=7085280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029A KR20200066013A (ko) 2018-11-30 2018-11-30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KR1020220117944A KR20220131214A (ko) 2018-11-30 2022-09-19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KR1020230190099A KR20240005636A (ko) 2018-11-30 2023-12-22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944A KR20220131214A (ko) 2018-11-30 2022-09-19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KR1020230190099A KR20240005636A (ko) 2018-11-30 2023-12-22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015392A1 (ko)
EP (1) EP3888470A4 (ko)
JP (1) JP2022510917A (ko)
KR (3) KR20200066013A (ko)
CN (1) CN113163802A (ko)
AU (1) AU2019388142B2 (ko)
BR (1) BR112021010274A2 (ko)
MY (1) MY195333A (ko)
PH (1) PH12021551206A1 (ko)
WO (1) WO20201114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755A (ko) * 2020-08-31 2022-03-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PARγ 길항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저어분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273A (ko) 2007-09-12 2016-10-12 타민코 비브이비에이 사료 요구율 감소 또는 성장률 증가를 위한 돼지의 처리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9632B2 (ja) * 1991-08-14 1995-08-30 浦中一雄 家畜等の飼料添加物
JP3068692B2 (ja) * 1991-12-26 2000-07-24 日本製粉株式会社 カゼインホスホペプチドを含有する飼料
JP3660218B2 (ja) * 2000-07-24 2005-06-15 浦中一雄 肉質の改善された豚肉
JP3607181B2 (ja) * 2000-07-24 2005-01-05 浦中一雄 家畜等の飼料添加物
JPWO2003028475A1 (ja) * 2001-09-28 2005-01-13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五環性トリテルペン類を含有する飼料及び肥料
US20030235646A1 (en) * 2002-03-15 2003-12-25 Lonza Inc.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of meat by supplementing pig diets and concentrates used therefor
ES2301336B1 (es) * 2006-02-22 2009-05-01 Universidad De Granada Extracto de aceituna como pronutriente en alimentacion animal.
WO2010132776A1 (en) * 2009-05-14 2010-11-18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Oregano and mint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and methods
JP5808797B2 (ja) * 2010-05-20 2015-11-10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アイオワ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 筋萎縮を阻害するための方法
CN102406082A (zh) * 2011-12-01 2012-04-11 镇江天和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猪用促生长中草药饲料添加剂
CN102578387B (zh) * 2012-02-03 2015-08-05 北京大北农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畜禽饲料的缓释复合酸化剂及其制备方法与饲料
CN102919607B (zh) * 2012-11-14 2013-08-21 韶关金苹果饲料有限公司 一种具有抗腹泻和改善猪肉品质的中草药复合饲料添加剂
KR101478110B1 (ko) * 2013-06-17 2014-12-3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돼지 호흡기 복합감염증 원인 세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우르솔산 및 이의 용도
JP2016000707A (ja) * 2014-06-12 2016-01-07 有限会社 坂本薬草園 インスリン抵抗性改善剤
JP2016199536A (ja) * 2015-04-07 2016-12-01 株式会社ニュートリション・アクト 筋肉増強および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改善ならびにqol改善のための組成物
US20180250309A1 (en) * 2015-09-04 2018-09-06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s for treatment of monocyte dysfunction and chronic inflammatory micro and macro-vascular diseases
JP2017109942A (ja) * 2015-12-15 2017-06-22 日本製粉株式会社 オレアナン型トリテルペ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トレーニング機器を使用しないレジスタンストレーニングによる膝関節機能改善作用および骨格筋機能増強作用を促進させる為の組成物
CN105815549A (zh) * 2016-03-25 2016-08-03 马鞍山中粮生物化学有限公司 氨基酸高蛋白粉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6819559A (zh) * 2017-01-13 2017-06-13 河南苑林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新型鸡饲料
CN107041460A (zh) * 2017-02-22 2017-08-15 深圳昌鹏科技有限公司 一种饲料添加剂及其用途
CN107095071A (zh) * 2017-04-05 2017-08-29 安徽省微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海鸭养殖饲料的添加剂
CN107259179A (zh) * 2017-07-06 2017-10-20 合肥皖高特种家禽养殖科技有限公司 一种添加大蒜粉和女贞子粉增强鹅免疫的饲料
CN111093673A (zh) * 2017-09-13 2020-05-01 艾蒙有限责任公司 熊果酸吗啉盐和熊果酸二乙醇胺盐
CN107711612A (zh) * 2017-10-27 2018-02-23 当涂县乌溪镇海平水产养殖专业合作社 一种提升鲫鱼肉口感的鲫鱼投喂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273A (ko) 2007-09-12 2016-10-12 타민코 비브이비에이 사료 요구율 감소 또는 성장률 증가를 위한 돼지의 처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755A (ko) * 2020-08-31 2022-03-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PARγ 길항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저어분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63802A (zh) 2021-07-23
PH12021551206A1 (en) 2021-11-08
KR20220131214A (ko) 2022-09-27
BR112021010274A2 (pt) 2021-08-17
US20220015392A1 (en) 2022-01-20
AU2019388142A1 (en) 2021-06-17
AU2019388142B2 (en) 2022-07-28
EP3888470A4 (en) 2022-08-17
WO2020111497A1 (ko) 2020-06-04
MY195333A (en) 2023-01-13
EP3888470A1 (en) 2021-10-06
KR20240005636A (ko) 2024-01-12
JP2022510917A (ja)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0101C2 (ru) Композиция корма для животных
EFSA Panel on Additives and Products or Substances used in Animal Feed (FEEDAP) Scientific Opinion on the potential reduction of the currently authorised maximum zinc content in complete feed
Khalid et al. Effect of dietary protein sources on lamb’s performance: A Review
BE1013997A6 (nl) Antimicrobiele samenstelling voor dieren.
KR20240005636A (ko)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JP4874015B2 (ja) 抗菌性物質を含有しないハーブ入り幼齢子豚用配合飼料
JP2542655B2 (ja) 動物用混合飼料
Abdulrashid et al. Response of broiler chickens fed cottonseed meal based diets
Salehpour et al. Effect sof feeding different levels of Guar meal on performance and blood metabolites in Holstein lactating cows.
US20140228329A1 (en) Use of 25-hydroxy vitamin d3 to promote phosphorous utilisation in ruminants
Nourmohammadi et al. Influence of citric acid and microbial phytase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ens
Sahu et al. Effect of graded levels of sugarcane press mud in ration on carcass characteristics of crossbred (Landrace× Desi) pigs
EP3285597B1 (en) Flavouring composition for animal feed
Mohammed Effect of organic acids supplanted in drinking water during pre-starter and starter feeding phase on broiler performance
JP2024074847A (ja) 飼料添加剤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飼料組成物
Kushwaha et al. Effect of feeding Acacia nilotica pods on body weight,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in lactating goats
JP4874016B2 (ja) 抗菌性物質を含有しない幼齢子豚用配合飼料
Roopa et al. Effect of polyherbal additives on intake, growth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Yorkshire Male Pigs
JPH0698688A (ja) 飼 料
JPS63238020A (ja) 対飼育動物投与用バチルス・ポリミキサ含有剤
Al-Rubeii et al.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flaxseed powder as a source of omega-3 on the carcasses compoistion of karadi lambs
Lakshmi et al. Phytase Supplementation to Corn Germ Meal Based Low Phosphorus Diets: Growth Performance and Phosphorus Retention in Coloured Broilers
WO2020243975A1 (en) Use of nutraceutical composition in animal feed
Burman et al. Mineral mixture supplementation for enhancing milk yield of milch animals in Haryana
KOZŁOWSKI et al. Efficacy of Macleaya cordata preparation in growing broiler chick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7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919

Effective date: 2023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