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229A -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229A
KR20200064229A KR1020180149522A KR20180149522A KR20200064229A KR 20200064229 A KR20200064229 A KR 20200064229A KR 1020180149522 A KR1020180149522 A KR 1020180149522A KR 20180149522 A KR20180149522 A KR 20180149522A KR 20200064229 A KR20200064229 A KR 20200064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inflammatory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583B1 (ko
Inventor
김범수
김혜경
이형렬
Original Assignee
김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수 filed Critical 김범수
Priority to KR102018014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5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0Boraginaceae (Borage family), e.g. comfrey, lungwort or forget-me-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연교 추출물, 병풀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인터루킨-1베타(IL-1β),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및 인터루킨-6(IL-6) 싸이토카인의 분비를 현저히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ntaining natural complex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교 추출물, 병풀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발전에 따른 의료기술의 발달 및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고령자 비율이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환경오염 및 스트레스 증가에 따른 면역계 이상으로 염증반응의 만성화가 진행되어 아토피, 천식 등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염증반응은 세균감염과 같은 외부자극이나 생체 내 대사산물과 같은 내부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기전으로 세포 내 다양한 염증조절인자들인 TNF-α, IL-1β, IL-6 등과 같은 여러 사이토카인(cytokine) 및 산화질소(nitric oxide, NO)가 생성되면서 발생한다. 또한, 내독소로 알려진 지질다당체(lipopolysaccharide, LPS)는 그람 음성균의 세포 외막에 존재하여, 대식세포 또는 단핵세포에서 세포내 전사요소인 NF-κB(nuclearfacter-κB)의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염증성 사이토카인,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OX2(cyclooxygenase-2)의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며 염증 매개물질을 생성한다.
따라서 염증반응의 조절을 위해서는 iNOS, COX-2, 또는 NF-κB의 발현, 및 사이토카인과 산화질소의 분비를 조절하는 것이 핵심요소이며, 이와 같은 인자들의 활성을 조절하는 물질이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주목받고 있다.
현재,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 계통인 플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스테로이드 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베타메타손(betamethasone) 등이 있으나, 이들 물질은 독성이 강하며, 간 손상, 암, 뇌졸중과 같은 여러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여 사용시 제한이 따른다. 또한, 염증 원인 물질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지 못하여 심한 면역억제를 유발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이에 생체에 안전하고, 종래 의약품에 비해 장기간 섭취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천연물을 이용한 염증 치료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732906호에서는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포함한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50310호에서는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기존의 항염증 효과가 있는 물질보다 효과가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지닌 성분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동시에 적용되어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성분들의 조합 또는 추출 방법등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732906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50310호
본 발명자들은 항염증에 효능이 있는 천연 추출물들을 발굴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연교 추출물, 병풀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자초 추출물의 혼합물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교 추출물, 병풀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교 추출물, 병풀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상기 연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풀 추출물 10 내지 500 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10 내지 500 중량부 및 자초 추출물 1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연꽃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지모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연교 추출물, 병풀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인터루킨-1베타(IL-1β),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및 인터루킨-6(IL-6) 싸이토카인의 분비를 현저히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염증 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품, 식품 및 의약품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연교 추출물, 병풀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병풀(Centella asiatica)은 산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호랑이풀, 고투콜라(gotu kola), 아시아틱 페니워트(asiatic pennywort) 또는 인디언 페니워트(indian pennywort)로도 알려져 있다.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및 아메리카의 열대지방에서 자라며, 항산화, 항균, 항염 작용이 뛰어나 민간에서는 상처 치료용 약제로사용되고 있다. 병풀의 주요 활성성분으로는 아시아틱산(asiatic acid),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마데카식산(madecassic acid),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가 알려져 있고, 이 중 아시아틱산이 다양한 암종에서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 또는 그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국, 중국 및 일본의 산간지방에서 야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더덕과 함께 일반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진해, 거담 등의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교(連翹, Forsythia suspensa (Thunb.) Vahl)는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또는 당개나리(Forsythia suspensa Vahl)의 건조시킨 열매를 말한다. 한방에서 소염, 배농 피부 질환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주요 화학성분으로는 포르시톨(forsythol), 스테롤(sterol) 화합물, 사포닌(saponin), 올레아놀산(oleanolic acid) 등이 있다.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S. et Z.)는 지치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지초(芝草), 자근(紫根)이라고도 한다. 자초의 뿌리는 자색 색소가 외피 주위에 형성되어 자색이 강하며, 염료나 약재로 이용되고 내건성과 내충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상기 병풀 추출물 및 도라지 추출물은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조성물은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상기 연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풀 추출물 10 내지 500 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10 내지 500 중량부 및 자초 추출물 1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풀 추출물 10 내지 400 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10 내지 400 중량부 및 자초 추출물 10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풀 추출물 10 내지 300 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10 내지 300 중량부 및 자초 추출물 10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기재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각 성분의 시너지 효과가 저하되어 항염증 활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연꽃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지모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연꽃(Nelumbo nucifera)은 쌍떡잎식물 프로테아목 연꽃과의 여러해살이 수초로, 주요성분은 꽃받침에 d-(-)-N-노르아르메파빈, 리리오데닌, N-노르누시페린, 누시페린, 꽃잎에는 플라보노이드인 루테올린7-글루코시드, 쿠에르세틴-7-글루코시드, 켐페롤-3-글루코실글루코시드(넬루보시드)가 있으며, 효능으로는 수렴, 지혈, 강장약으로 유정, 혈붕, 치루, 토혈, 신경쇠약 등에 쓰인다고 알려져 있다.
금은화(Lonicerae flos)는 인동과(Caprifoliacear)식물인 덩굴성 관목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의 꽃봉오리로,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성분으로는 루테올린(luteolin) 및 이노시톨(inositol)이 약 1 % 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외에 사포닌(saponin), 탄닌(tannin) 및 로니세린(lonicerin)을 함유하며, 효능으로는 이질, 열독으로 인한 피부 조직 괴사, 유선염, 대장염, 위궤양, 방광염, 인후염, 편도선염, 기관지염, 결막염 및 부스럼, 유행성 이하선염으로 인한 고열, 화농성 감염증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해열작용, 백혈구 탐식작용 증가, 중추신경 흥분작용, 혈청 콜레스테롤 강하, 궤양 예방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는 백합과(Liliaceae)의 여러해살이 풀로 지모의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을 약으로 사용하며, 중국의 북부가 원산으로 한국(황해, 평남), 중국, 몽골 등지에 고르게 분포한다. 지모는 특이한 냄새가 있는 점액성으로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차고, 약리작용으로 해열, 신경계통진정, 진통, 진정, 부신피질호르몬자극억제, 만성기관지염치료, 담증분비, 억균, 혈당강하작용이 보고되어 있다.
우엉(Arctium lappa L.)은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 풀로, 일반적으로는 뿌리를 식용으로 하고, 어린 줄기잎도 먹는다. 우엉의 열매에는 리그난 배당체인 아르커티인, 기름, 피토스테린, 비타민 B1, 사포닌, 쿠마린, 레몬산 등을 함유하고 있고, 뿌리에는 이눌린, 프로테인, 정유, 아르크테인, 카페인산, 탄닌, 알칼로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엉은 당질이 주성분으로 특유한 향기와 약리 효과가 있으며 섬유질은 많고 비타민은 적은 편이다. 다른 채소에 비하여 수분 함량이 적은 대신 당질의 함량이 높으며 그 대부분이 이눌린의 형태로 존재하므로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우엉은 Trp-P-1 등 돌연변이원이 되는 여러 가지 아미노산 열분해 산물을 불활성화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이러한 작용은 우엉에 존재하는 열에 강한 리그닌(lignin) 유사물질로 알려져 있다.
상기 연꽃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지모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은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추출물이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 즉, 목적하는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제조되며,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액,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에는 상기 추출과정을 거친 추출액을 분획한 것도 포함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고온추출, 고압추출, 환류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열수 추출은 각 천연물을 건조하여 분쇄한 분말 10 ~ 100g에 정제수 0.1 ~ 5L에 첨가 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수 추출은 50 ~ 200℃의 온도범위에서 1 ~ 10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 150℃의 온도범위에서 1 ~ 7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100℃의 온도범위에서 2 ~ 5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열수 추출이 상기 기재된 온도범위 미만의 온도에서 진행될 경우 천연물 내 유효성분의 추출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거나 장시간의 추출시간이 요구될 수 있고, 상기 기재된 온도범위를 초과한 온도에서 진행될 경우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된 시간범위 미만의 시간동안 진행될 경우 천연물 내 유효성분의 추출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기재된 시간범위를 초과하여 진행될 경우 불필요한 시간이 요구되거나 유효성분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항염증은 아토피피부염, 건선, 류마티스 관절염, 척추염, 요도염, 방광염, 신염, 혈관염, 동맥경화증, 심근염, 알러지 질환, 피부근염, 비염, 천식, 편도염, 급성통증, 만성통증, 패혈증, 치주염, 치은염, 염증성 장질환, 위궤양 및 췌장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염증성 질환의 개선, 치료, 발병 억제 또는 발병 지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인터루킨-1베타(IL-1β),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및 인터루킨-6(IL-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교 추출물, 병풀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활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멸균수, 에탄올, 글리세롤이나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교 추출물, 병풀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교 추출물, 병풀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에는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배합 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교 추출물, 병풀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 건강기능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르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항염증 조성물의 제조
연교, 병풀, 도라지, 자초를 각각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를 건조시켰다.
건조된 연교, 병풀, 도라지, 자초를 각각 분쇄한 뒤, 분말 50g에 정제수를 1L 첨가하여, 100℃에서 3시간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과하여 나온 추출물 건조물을 1차적으로 회전감압농축기를 통해 고농도로 농축하고 -70℃ 에서 농축물을 동결하여 동결건조기를 통해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키고 추출 건조물을 획득하였다.
각 추출물들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500ppm(mg/L) 농도로 용해하여 혼합하였으며, 각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병풀 연교 도라지 자초
실시예 1 10 40 20 30
실시예 2 10 30 20 40
실시예 3 10 40 40 10
실시예 4 20 30 30 20
실시예 5 30 20 40 10
<비교예> 병풀 추출물의 제조
병풀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를 건조한 뒤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열수추출하여 병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 활성 평가
(1) 실험방법
대식세포인 U937 세포를 10% FBS, 1% antibiotics 및 25mM Hepes buffer를 포함한 RPMI 배지에 현탁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서 6 well plate에 염증을 유도시키는 LPS(lipopolysaccharide, 2 μg/mL) 및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50 ng/mL)을 처리한 후, 각 well당 0.8× 106 cells을 동일하게 분주하고 18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천연물 처리군으로서 6 well plate에 상기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각각 처리한 후, 각 well당 0.8 × 106 cells을 동일하게 분주하고 18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ELISA kit을 이용하여 IL-1β, TNF-α 및 IL-6 사이토카인의 분비량를 측정하였다.
프라이머 염기서열
IL-1β F: 5' GCT ACC TGT GTC TTT CCC GTC G 3'
R: 5' TTG TCG TTG CTT GGT TCT CCT TG 3'
TNF-α F: 5' CAA GGG ACT AGC CAG GAG 3'
R: 5' TGC CTC TTC TGC CAG TTC 3'
IL-6 F: 5' TGT GCA ATG GCA ATT CTG ATT GTA 3'
R: 5' ATG GTC TTG GTC CTT AGC CAC TCC 3'
(2) 실험결과
상기 실험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의 결과는 LPS와 PMA 처리군(대조군)을 처리하였을 때 발생한 사이토카인양을 기준으로 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사이토카인 억제율을 %로 나타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병풀 추출물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IL-1β, TNF-α 및 IL-6 싸이토카인의 분비를 현저히 억제함으로써 개선된 항염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hibitory effect (%) IL-1 beta
(pg/mL)
TNF-alpha
(pg/mL)
IL-6
(pg/mL)
실시예 1 50.6 61.2 19.4
실시예 2 48.0 54.9 33.8
실시예 3 41.8 57.4 28.5
실시예 4 43.4 51.8 20.0
실시예 5 26.8 80.0 29.6
비교예 1 23.0 8.3 4.6

Claims (4)

  1. 연교 추출물, 병풀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풀 추출물 10 내지 500 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10 내지 500 중량부 및 자초 추출물 1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연꽃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지모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0180149522A 2018-11-28 2018-11-28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149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522A KR102149583B1 (ko) 2018-11-28 2018-11-28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522A KR102149583B1 (ko) 2018-11-28 2018-11-28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229A true KR20200064229A (ko) 2020-06-08
KR102149583B1 KR102149583B1 (ko) 2020-09-01

Family

ID=7108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522A KR102149583B1 (ko) 2018-11-28 2018-11-28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121A (ko) * 2019-11-18 2021-05-26 주식회사 알엔에스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195A (ko) * 2011-04-14 2012-10-24 삼척시 프라티코사이드를 고순도로 함유한 길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성 조성물
KR20150050310A (ko) 2013-10-29 2015-05-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732906B1 (ko) 2015-06-11 2017-05-0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195A (ko) * 2011-04-14 2012-10-24 삼척시 프라티코사이드를 고순도로 함유한 길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성 조성물
KR20150050310A (ko) 2013-10-29 2015-05-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732906B1 (ko) 2015-06-11 2017-05-0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ed Environ Sci, 2014, 27(12), pp. 926-938 *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8, 227, pp. 97-10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121A (ko) * 2019-11-18 2021-05-26 주식회사 알엔에스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583B1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263B1 (ko) 육계, 유근피 및 오가피의 혼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40023462A (ko)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KR101723792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624704B1 (ko) 탈모 또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KR102228257B1 (ko)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958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070789B1 (ko) 곰보배추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2786B1 (ko) 생약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KR10189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2371272B1 (ko) 들기름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Sharma et al. Nutraceutical and Medicinal Importance of seabuckthorn (Hippophae sp.)
Singh et al. Rubus spp.(Rubus armeniacus, Rubus ellipticus, Rubus fruticosus, Rubus nepalensis, Rubus niveus, Rubus occidentalis)
KR101844890B1 (ko) 고욤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35990A (ko) 수비드 처리한 오크라를 함유한 염증 억제용 조성물
KR20220092242A (ko) 녹용 및 당귀를 포함하는 피로 개선 증진용 조성물
KR20170003153A (ko)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ooja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no-medicinal plants against cariogenic pathogens
KR20150102449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및 피부염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Mukherjee et al. Ethnopharmacologic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on Tamarindus indica L.
KR101739425B1 (ko)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03229B1 (ko) 모링가 추출물 및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42555B1 (ko) 식물성 뮤신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42995B1 (ko) 레몬머틀, 맥문동 및 당귀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