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134A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134A
KR20200062134A KR1020200062888A KR20200062888A KR20200062134A KR 20200062134 A KR20200062134 A KR 20200062134A KR 1020200062888 A KR1020200062888 A KR 1020200062888A KR 20200062888 A KR20200062888 A KR 20200062888A KR 20200062134 A KR20200062134 A KR 20200062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catheter
catheter body
resin layer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토모 시미즈
마사토모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62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61M25/0052Localized reinforcement, e.g. where only a specific part of the catheter is reinforced, for rapid exchange guidewire 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61M25/005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having a variable stiffness along the longitudinal axis, e.g. by varying the pitch of the coil or br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4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regions for increas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61M2025/0046Coatings for improving slidability
    • A61M2025/0047Coatings for improving slidability the inner layer having a higher lubr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9Ureth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2Blood circul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Strength or flex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Abstract

[과제] 선단 팁이 카테터 본체로부터 빠졌다고 해도, 선단 팁 단체(單體)가 환자의 체내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카테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루멘(lumen)을 가지는 카테터(catheter) 본체와, 카테터 본체의 루멘에 연통하는 루멘을 가지며, 카테터 본체의 선단에 접속된 제1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선단 팁(tip)과, 카테터 본체 및 선단 팁에 루멘을 따라서 배치된 코일체 및/또는 편조(編組)를 구비한 카테터에 있어서, 선단 팁에는, 코일체 및/또는 편조를 매설(埋設)하는 보강체가 마련되고, 보강체는 제1 수지보다도 단단한 제2 수지로 구성되며, 보강체의 외주는 제1 수지에 의해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테터{Catheter}
본 발명은, 혈관, 소화관, 요관(尿管) 등의 인체의 관 모양 기관이나 체내 조직 중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혈관, 소화관, 요관 등의 인체의 관 모양 기관이나 체내 조직 중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카테터의 일종으로서, 내부에 복수의 금속 소선(素線)으로이루어지는 편조(編組)를 가지는 카테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인용 문헌 1에는, 관 모양 본체(10)와, 그 관 모양 본체(10)의 선단에 접합된 선단 팁(tip)(58)과, 관 모양 본체(10) 내부 및 선단 팁(58) 내부에 배치된 보강 와이어(32)를 구비한 카테터(100)가 기재되어 있다(도 2 등 참조).
이런 종류의 카테터는, 편조가 관 모양 본체(10)(이하,「카테터 본체」라고 기재함) 내부 및 선단 팁(58)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카테터 자체의 강성이 증대되어, 카테터의 내강(內腔)이 찌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배치된 편조를 코일체로 치환한 경우에는, 카테터의 기단(基端)으로부터 선단으로의 토크 전달성이 증대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4-188337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의 카테터에서는, 카테터 본체 내부 및 선단 팁 내부에 편조가 배치되어 있지만, 수술 중에 선단 팁이 카테터 본체로부터 빠져, 선단 팁이 환자의 체내에 잔류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선단 팁이 카테터 본체로부터 빠졌다고 해도, 선단 팁 단체(單體)가 환자의 체내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형태의 발명은, 루멘(lumen)을 가지는 카테터(catheter) 본체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루멘에 연통하는 루멘을 가지며,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에 접속된 제1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선단 팁(tip)과, 상기 카테터 본체 및 상기 선단 팁에 상기 루멘을 따라서 배치된 코일체 및/또는 편조(編組)를 구비한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선단 팁에는, 상기 코일체 및/또는 상기 편조를 매설(埋設)하는 보강체가 마련되고, 상기 보강체는 상기 제1 수지보다도 단단한 제2 수지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체의 외주는 상기 제1 수지에 의해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 형태의 발명은, 제1 형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가, 상기 선단 팁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 형태의 발명은, 제1 형태의 발명 또는 제2 형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는 선단부에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된 영역을 가지고, 상기 선단 팁과 상기 카테터 본체와의 접합부에서, 상기 보강체의 기단은 상기 카테터 본체의 상기 영역의 선단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4 형태의 발명은, 제3 형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는, 상기 카테터 본체와 일체로 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형태의 발명에 의하면, 루멘을 가지는 카테터 본체와, 카테터 본체의 루멘에 연통하는 루멘을 가지며, 카테터 본체의 선단에 접속된 제1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선단 팁과, 카테터 본체 및 선단 팁에 루멘을 따라서 배치된 코일체 및/또는 편조를 구비한 카테터에 있어서, 선단 팁에는, 코일체 및/또는 상기 편조를 매설하는 보강체가 마련되고, 보강체는 제1 수지보다도 단단한 제2 수지로 구성되며, 보강체의 외주는 제1 수지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므로, 선단 팁이 카테터 본체로부터 빠졌다고 해도, 선단 팁 단체가 환자의 체내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 형태의 발명에 의하면, 보강체는, 선단 팁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기부를 가지므로, 제1 형태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선단 팁이 카테터 본체로부터 빠졌다고 해도, 선단 팁 단체가 환자의 체내에 잔류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또, 제3 형태의 발명에 의하면, 카테터 본체는 선단부에 제2 수지로 형성된 영역을 가지고, 선단 팁과 카테터 본체와의 접합부에서, 보강체의 기단은 카테터 본체의 영역의 선단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제1 형태의 발명 또는 제2 형태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선단 팁이 카테터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 자체를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선단 팁 단체가 환자의 체내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4 형태의 발명에 의하면, 보강체가 카테터 본체와 일체로 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3 형태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선단 팁이 카테터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 자체를 더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선단 팁 단체가 환자의 체내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테터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테터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본 실시 형태의 카테터(10)는, 카테터 본체(11)와, 이 카테터 본체(11)의 선단에 접속된 유연한 선단 팁(tip)(12)과, 카테터 본체(11)의 기단(基端)에 접속된 커넥터(14)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테터 본체(11)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는 루멘(lumen)(16)을 가지는 중공(中空)의 장척(長尺)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카테터 본체(11)의 전체 길이는 1500mm 정도이다. 그리고, 카테터 본체(11)의 선단으로부터 200mm 정도까지의 부분이, 0.88mm 정도(0.85~0.90mm)의 외경을 가지는 선단부(18)이며, 선단부(18)의 기단으로부터 600mm 정도까지의 부분이, 선단부(18)보다도 약간 큰 외경을 가지는 중간부(20)로 되어 있다. 게다가, 중간부(20)의 기단으로부터 커넥터(14)까지의 부분이, 중간부(20)보다도 외경이 더 큰 기단부(22)로 되어 있다.
또, 카테터 본체(11)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중공의 코일체(24)와, 이 코일체(24)의 내주면을 피복하는 내측 수지층(26)과, 코일체(24)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외측 수지층(28)을 가지고 있다.
내측 수지층(26)은, 카테터 본체(11)의 가장 내측에서,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튜브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내측 수지층(26)의 내측 구멍에서, 카테터 본체(11)의 루멘(16)이 구성되어 있다. 또, 내측 수지층(26)은, 카테터 본체(11)의 선단으로부터 축방향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이러한 내층 수지층(26)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가요성과 적당한 유연성을 발휘하는 수지 재료가 적절히 선택되게 되지만, 그 중에서도, 가이드 와이어의 슬라이드성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뛰어난 윤활성을 가지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PTFE)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코일체(24)는, 단면이 원형 형상인 금속 소선(40)을 복수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10개) 서로 꼰 중공의 연선(撚線) 코일이다. 또, 이 코일체(24)는, 복수의 금속 소선(40)이 서로 꼬여진 후, 공지의 방법으로 열처리되어 있으므로, 코일체(24)의 잔류 응력은 제거되어 있다.
코일체(24)의 금속 소선(40)을 구성하는 금속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 Ni-Ti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 코일체(24)를 구성해도 좋고, 이들 금속 재료를 여러 가지 조합시켜 코일체를 구성해도 좋다.
외측 수지층(28)은, 카테터 본체(11)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고, 코일체(24)를 구성하는 금속 소선(40)의 외주면이 카테터 본체(11)의 외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지 않도록, 코일체(24)의 외주면을 피복한 상태에서, 카테터 본체(1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또, 외측 수지층(28)은, 카테터 본체(11)의 중간부(20)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분의 두께가, 카테터 본체(11)의 선단부(18)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분의 두께 보다도 두껍게 되고, 또, 카테터 본체(11)의 기단부(22)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분의 두께가, 카테터 본체(11)의 중간부(20)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분의 두께 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게다가, 카테터 본체(11)의 선단부(18), 중간부(20), 및 기단부(22)에서의 외측 수지층(28)의 경도는, 선단부(18)로부터 기단부(22)에 걸쳐 단계적으로 크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카테터 본체(11)의 기단부(22), 중간부(20) 및 선단부(18)의 유연성은, 기단부(22)로부터 선단부(18)에 걸쳐 단계적으로 높게 되어 있다.
외측 수지층(28)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가요성과 적당한 유연성을 발휘하는 수지 재료가 적절히 선택된다. 그러한 외측 수지층(28)의 형성 재료로서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한편, 카테터 본체(11)의 선단에 마련되는 선단 팁(12)은, 카테터 본체(11)의 루멘(16)에 연통하는 루멘을 구비한, 가늘고 긴 통 모양의 전체 형상을 가지며, 카테터 본체(11)보다도 충분히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선단 팁(12)은, 최선단부(48)를 향해 서서히 지름이 작게 되는 테이퍼 모양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다.
선단 팁(12)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기는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내측 수지층(26)이나 외측 수지층(28)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 보다도 유연성이 있는 수지 재료가 이용된다. 이러한 수지 재료로서는,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예시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 팁(12)의 내부에, 텅스텐 분말이 혼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X선 투시하에서의 선단 팁(12)의 시인성이 유리하게 높혀진다.
또, 선단 팁(12)의 내주 부분은, 카테터 본체(1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수지층(26)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 팁(12)의 내부에는, 카테터 본체(11)의 선단으로부터 연속하는 코일체(24)가, 내측 수지층(26)의 외주에 권회(卷回)되어, 매설되어 있다.
또, 선단 팁(12)의 내부에는, 선단 팁(12)이 코일체(2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단 팁(12)의 수지 재료 보다도 단단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강체(30)가 선단 팁(12) 및 코일체(24)에 고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설령, 선단 팁(12)이 카테터 본체(11)로부터 이탈했다고 해도, 선단 팁(12) 및 코일체(24)에 고착된 보강체(30)에 의해서, 선단 팁(12)은 코일체(24)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나아가서는, 선단 팁(12)이 카테터 본체(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보강체(30)에는 후술하는 선단 팁의 외주를 향해 연장되는 돌기부는 없지만, 선단 팁(12)이 카테터 본체(11)로부터 카테터의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더 방지하기 위해, 외주를 향해 연장되는 돌기부를 가지도록 형성해도 좋다.
보강체(30)의 재료로서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가 예시될 수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외측 수지층(28)보다도 단단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가 사용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코일체(24)가 편조체(124)로 변경된 경우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10)와 외관상은 동일하므로, 전체도는 생략하고, 내부 구조만을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에서, 카테터 본체(111)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는 루멘(116)을 가지는 중공의 장척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카테터 본체(111)는,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편조체(124)와, 이 편조체(124)의 내주면을 피복하는 내측 수지층(126)과, 편조체(124)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외측 수지층(128)을 가지고 있다.
내측 수지층(126)은, 카테터 본체(111)의 가장 내측에서,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튜브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 내측 수지층(126)은, 카테터 본체(111)의 선단으로부터 축방향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이러한 내층 수지층(126)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내측 수지층(26)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편조체(124)는, 2개의 금속 소선(140a 및 140b)이, 메쉬(mesh) 형상을 나타내도록 교호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메쉬 구조를 가지는 편조체(124)가, 내측 수지층(126)의 외주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서 권회되어 있다.
게다가, 편조체(124)는, 내측 수지층(126)과 마찬가지로, 카테터 본체(111)의 선단으로부터 선단측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카테터 본체(11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수지층(126)의 외주면에 권회되어 있다.
편조체(124)의 금속 소선(140a 및 140b)을 구성하는 금속 재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텅스텐이나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선재(線材)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X선 투시하에서의 시인성이 양호한 텅스텐성(性)의 선재가,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 금속 소선(140a 및 140b)의 사이즈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테터 본체(111)나 선단 팁(112)의 크기(외경) 등에 의해서 적절히 결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소선(140a 및 140b)의 직경은, 0.023mm 정도로 되어 있다. 그리고, 1개의 금속 소선(140a) 및 금속 소선(140b)이 교호로 짜여져, 편조체(124)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수지층(128)은, 카테터 본체(111)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편조체(124)를 구성하는 금속 소선(140a 및 140b)이, 카테터 본체(111)의 외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지 않도록, 편조체(124)를 피복한 상태에서, 카테터 본체(11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또, 외측 수지층(128)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외측 수지층(28)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카테터 본체(111)의 선단에 마련되는 선단 팁(112)은, 카테터 본체(111)의 루멘(116)에 연통하는 루멘을 구비한, 가늘고 긴 통 모양의 전체 형상을 가지며, 카테터 본체(111)보다도 충분히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선단 팁(112)은, 최선단부(48)를 향해 서서히 지름이 작게 되는 테이퍼 모양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다.
또, 선단 팁(112)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팁(12)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선단 팁(112)의 내주 부분은, 카테터 본체(11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수지층(126)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선단 팁(112)의 내부에는, 카테터 본체(111)의 선단으로부터 연속하는 편조체(124)가, 내측 수지층(126)의 외주에 권회되어, 매설되어 있다.
또, 선단 팁(112)의 내부에는, 선단 팁(112)이 편조체(12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단 팁(112)의 수지 재료 보다도 단단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강체(130)가 선단 팁(112) 및 코일체(124)에 고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설령, 선단 팁(112)이 카테터 본체(111)로부터 이탈했다고 해도, 선단 팁(112) 및 편조체(124)에 고착된 보강체(130)에 의해서, 편조체(124)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나아가서는, 선단 팁(112)이 카테터 본체(1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여기서, 보강체(130)는, 선단 팁(112) 및 코일체(124)를 고착하는 것이면 좋지만, 선단 팁(112)이 카테터 본체(111)로부터 카테터의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를 향해 연장되는 돌기부(132)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보강체(130)에서는, 돌기부(132)를 2개소 마련했지만, 1개소라도 좋고, 3개소 이상 마련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카테터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에 비해, 보강체의 위치가 다르다. 즉,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보강체가 선단 팁 내에만 배치되어 있는데 대해, 제3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보강체는, 카테터 본체와 선단 팁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도,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10)와 외관상은 동일하므로, 전체도는 생략하고, 내부 구조만을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서, 카테터 본체(211)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는 루멘(216)을 가지는 중공의 장척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카테터 본체(211)는,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코일체(224)와, 이 코일체(224)의 내주면을 피복하는 내측 수지층(226)과, 코일체(224)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외측 수지층(228)을 가지고 있다.
내측 수지층(226)은, 카테터 본체(211)의 가장 내측에서,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튜브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 내측 수지층(226)은, 카테터 본체(211)의 선단으로부터 축방향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이러한 내층 수지층(226)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내측 수지층(26)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코일체(224)는, 단면이 원형 형상인 금속 소선(240)을 복수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10개) 서로 꼰 중공의 연선 코일이다. 또, 이 코일체(224)는, 복수의 금속 소선(240)이 서로 꼬여진 후, 공지의 방법으로 열처리되어 있으므로, 코일체(224)의 잔류 응력은 제거되어 있다.
코일체(224)의 금속 소선(240)을 구성하는 금속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금속 소선(40)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외측 수지층(228)은, 카테터 본체(211)의 외표면을 부여하는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코일체(224)를 형성하는 금속 소선(240)의 외주면이, 카테터 본체(211)의 외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지 않도록, 코일체(224)의 외주면을 피복한 상태에서, 카테터 본체(21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또, 외측 수지층(228)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외측 수지층(28)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카테터 본체(211)의 선단에 마련되는 선단 팁(212)은, 카테터 본체(211)의 루멘(216)에 연통하는 루멘을 구비한, 가늘고 긴 통 모양의 전체 형상을 가지며, 카테터 본체(211)보다도 충분히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선단 팁(212)은, 최선단부(48)를 향해 서서히 지름이 작게 되는 테이퍼 모양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다.
또, 선단 팁(212)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팁(12)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선단 팁(212)의 내주 부분은, 카테터 본체(21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수지층(226)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선단 팁(212)의 내부에는, 카테터 본체(211)의 선단으로부터 연속하는 코일체(224)가, 내측 수지층(226)의 외주에 권회되어, 매설되어 있다.
또, 카테터 본체(211)의 선단부 및 선단 팁(212)의 기단부에는, 카테터 본체(211)와 선단 팁(212)에 걸쳐서 배치된, 선단 팁(212)의 수지 재료 보다도 단단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강체(230)가 고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선단 팁(212)이 카테터 본체(2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설령, 선단 팁(212)이 카테터 본체(211)로부터 이탈했다고 해도, 선단 팁(212) 및 코일체(224)에 고착된 보강체(230)에 의해서, 선단 팁(212)이 코일체(224)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나아가서는, 선단 팁(212)이 카테터 본체(2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여기서, 보강체(230)는, 선단 팁(212) 및 코일체(224)를 고착하는 것이면 좋지만, 선단 팁(212)이 카테터 본체(211)로부터 카테터의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를 향해 연장되는 돌기부(232)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보강체(230)에서는, 돌기부(232)를 2개소 마련했지만, 1개소라도 좋고, 3개소 이상 마련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는,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에 비해, 보강체의 위치가 다르다. 즉,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보강체가 선단 팁 내에만 배치되어 있는데 대해, 제4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보강체가 카테터 본체와 선단 팁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도,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10)와 외관상은 동일하므로, 전체도는 생략하고, 내부 구조만을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에서, 카테터 본체(311)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는 루멘(316)을 가지는 중공의 장척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카테터 본체(311)는,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편조체(324)와, 이 편조체(324)의 내주면을 피복하는 내측 수지층(326)과, 편조체(324)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외측 수지층(328)을 가지고 있다.
내측 수지층(326)은, 카테터 본체(311)의 가장 내측에서,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튜브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 내측 수지층(326)은, 카테터 본체(311)의 선단으로부터 축방향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이러한 내층 수지층(326)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내측 수지층(26)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편조체(324)는, 2개의 금속 소선(340a 및 340b)이, 메쉬 형상을 나타내도록 교호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메쉬 구조를 가지는 편조체(324)가, 내측 수지층(326)의 외주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서 권회되어 있다.
게다가, 편조체(324)는, 내측 수지층(326)과 마찬가지로, 카테터 본체(311)의 선단으로부터 선단측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카테터 본체(31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수지층(326)의 외주면에 권회되어 있다.
편조체(324)의 금속 소선(340a 및 340b)을 구성하는 금속 재료는, 제2 실시 형태의 편조체(124)의 금속 소선(140a 및 140b)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외측 수지층(328)은, 카테터 본체(311)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편조체(324)를 구성하는 금속 소선(340a 및 340b)이, 카테터 본체(311)의 외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지 않도록, 편조체(324)를 피복한 상태에서, 카테터 본체(31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또, 외측 수지층(328)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외측 수지층(28)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카테터 본체(311)의 선단에 마련되는 선단 팁(312)은, 카테터 본체(311)의 루멘(316)에 연통하는 루멘을 구비한, 가늘고 긴 통 모양의 전체 형상을 가지며, 카테터 본체(311)보다도 충분히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선단 팁(312)은, 최선단부(48)를 향해 서서히 지름이 작게 되는 테이퍼 모양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다.
또, 선단 팁(312)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팁(12)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선단 팁(312)의 내주 부분은, 카테터 본체(31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수지층(326)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선단 팁(312)의 내부에는, 카테터 본체(311)의 선단으로부터 연속하는 편조체(324)가, 내측 수지층(326)의 외주에 권회되어, 매설되어 있다.
또, 카테터 본체(311)의 선단부 및 선단 팁(312)의 기단부에는, 카테터 본체(311)와 선단 팁(312)에 걸쳐서 배치된, 선단 팁(312)의 수지 재료 보다도 단단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강체(330)가 고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선단 팁(312)이 카테터 본체(3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설령, 선단 팁(312)이 카테터 본체(311)로부터 이탈했다고 해도, 선단 팁(312) 및 코일체(324)에 고착된 보강체(330)에 의해서, 선단 팁(312)이 코일체(324)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나아가서는, 선단 팁(312)이 카테터 본체(3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여기서, 보강체(330)는, 선단 팁(312) 및 코일체(324)를 고착하는 것이면 좋지만, 선단 팁(312)이 카테터 본체(311)로부터 카테터의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를 향해 연장되는 돌기부(332)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보강체(330)에서는, 돌기부(332)를 2개소 마련했지만, 1개소라도 좋고, 3개소 이상 마련해도 좋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의 카테터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 및 제3 실시 형태의 카테터에 비해, 보강체의 구성이 다르다. 즉,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보강체 및 제3 실시 형태의 보강체가 카테터 본체와는 별체로 마련되어 있는데 대해, 제5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보강체는 카테터 본체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10)와 외관상은 동일하므로, 전체도는 생략하고, 내부 구조만을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에서, 카테터 본체(411)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는 루멘(416)을 가지는 중공의 장척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카테터 본체(411)는,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코일체(424)와, 이 코일체(424)의 내주면을 피복하는 내측 수지층(426)과, 코일체(424)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외측 수지층(428)을 가지고 있다.
내측 수지층(426)은, 카테터 본체(411)의 가장 내측에서,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튜브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 내측 수지층(426)은, 카테터 본체(411)의 선단으로부터 축방향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이러한 내측 수지층(426)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내측 수지층(26)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코일체(424)는, 단면이 원형 형상인 금속 소선(440)을 복수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10개) 서로 꼰 중공의 연선 코일이다. 또, 이 코일체(424)는, 복수의 금속 소선(440)이 서로 꼬여진 후, 공지의 방법으로 열처리되어 있으므로, 코일체(424)의 잔류 응력은 제거되어 있다.
코일체(424)의 금속 소선(440)을 구성하는 금속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금속 소선(40)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외측 수지층(428)은, 카테터 본체(411)의 외표면을 부여하는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코일체(424)를 형성하는 금속 소선(440)의 외주면이, 카테터 본체(411)의 외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지 않도록, 코일체(424)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를 피복한 상태에서, 카테터 본체(41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또, 외측 수지층(428)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외측 수지층(28)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카테터 본체(411)의 선단에 마련되는 선단 팁(412)은, 카테터 본체(411)의 루멘(416)에 연통하는 루멘을 구비한, 가늘고 긴 통 모양의 전체 형상을 가지며, 카테터 본체(411)보다도 충분히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선단 팁(412)은, 최선단부(48)를 향해 서서히 지름이 작게 되는 테이퍼 모양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다.
또, 선단 팁(412)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팁(12)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선단 팁(412)의 내주 부분은, 카테터 본체(41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수지층(426)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선단 팁(412)의 내부에는, 카테터 본체(411)의 선단으로부터 연속하는 코일체(424)가, 내측 수지층(426)의 외주에 권회되어, 매설되어 있다.
또, 선단 팁(412)의 기단부에는, 카테터 본체(41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보강체(430)가 고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선단 팁(412)이 카테터 본체(4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여기서, 보강체(430)는, 선단 팁(412) 및 코일체(424)를 고착하는 것이면 좋지만, 선단 팁(412)이 카테터 본체(411)로부터 카테터의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를 향해 연장되는 돌기부(432)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돌기부(432)를 1개소 마련했지만, 2개소 이상 마련해도 좋다.
(제6 실시 형태)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의 카테터는,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 및 제4 실시 형태의 카테터에 비해, 보강체의 구성이 다르다. 즉,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보강체 및 제4 실시 형태의 보강체가 카테터 본체와는 별체로서 마련되어 있는데 대해, 제6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보강체는, 카테터 본체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6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10)와 외관상은 동일하므로, 전체도는 생략하고, 내부 구조만을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에서, 카테터 본체(511)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는 루멘(516)을 가지는 중공의 장척 부재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카테터 본체(511)는,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편조체(524)와, 이 편조체(524)의 내주면을 피복하는 내측 수지층(526)과, 편조체(524)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외측 수지층(528)을 가지고 있다.
내측 수지층(526)은, 카테터 본체(511)의 가장 내측에서,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튜브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 내측 수지층(526)은, 카테터 본체(511)의 선단으로부터 축방향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이러한 내측 수지층(526)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내측 수지층(26)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편조체(524)는, 2개의 금속 소선(540a 및 540b)이, 메쉬 형상을 나타내도록 교호로 짜여져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메쉬 구조를 가지는 편조체(524)가, 내측 수지층(526)의 외주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서 권회되어 있다.
게다가, 편조체(524)는, 내측 수지층(526)과 마찬가지로, 카테터 본체(511)의 선단으로부터 선단측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카테터 본체(51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수지층(526)의 외주면에 권회되어 있다.
편조체(524)의 금속 소선(540a 및 540b)을 구성하는 금속 재료는, 제2 실시 형태의 편조체(124)의 금속 소선(140a 및 140b)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외측 수지층(528)은, 카테터 본체(511)의 외표면을 부여하는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편조체(524)를 형성하는 금속 소선(540a 및 540b)의 외주면이, 카테터 본체(511)의 외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지 않도록, 편조체(524)의 외주면을 피복한 상태에서, 카테터 본체(51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또, 외측 수지층(528)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외측 수지층(28)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카테터 본체(511)의 선단에 마련되는 선단 팁(512)은, 카테터 본체(511)의 루멘(516)에 연통하는 루멘을 구비한, 가늘고 긴 통 모양의 전체 형상을 가지며, 카테터 본체(511)보다도 충분히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선단 팁(512)은, 최선단부(48)를 향해 서서히 지름이 작게 되는 테이퍼 모양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다.
또, 선단 팁(512)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팁(12)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선단 팁(512)의 내주 부분은, 카테터 본체(51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수지층(526)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선단 팁(512)의 내부에는, 카테터 본체(511)의 선단으로부터 연속하는 편조체(524)가, 내측 수지층(526)의 외주에 권회되어, 매설되어 있다.
또, 선단 팁(512)의 기단부에는, 카테터 본체(51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보강체(530)가 고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선단 팁(512)이 카테터 본체(5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여기서, 보강체(530)는, 선단 팁(512) 및 편조체(524)를 고착하는 것이면 좋지만, 선단 팁(512)이 카테터 본체(511)로부터 카테터의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를 향해 연장되는 돌기부(532)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선단 팁(512)이 카테터 본체(5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더 방지되고, 나아가서는, 선단 팁(512)이 카테터 본체(5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돌기부(532)를 1개소 마련했지만, 2개소 이상 마련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술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특별히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체는, 모두 코일체 또는 편조체의 직경 보다도 큰 직경을 가지도록 도시해 왔지만, 보강체는, 반드시, 코일체 또는 편조체의 직경 보다도 큰 직경을 가질 필요는 없다.
단, 코일체 또는 편조체의 직경 보다도 큰 직경을 가지는 보강체라면, 선단 팁이 코일체 또는 편조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보다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체는, 선단 팁을 구성하는 수지 보다도 단단한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해 왔지만, 보강체는, 반드시, 선단 팁을 구성하는 수지 보다도 단단한 수지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단, 선단 팁을 구성하는 수지 보다도 단단한 수지로 구성된 보강체라면, 선단 팁이 코일체 또는 편조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보다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의 코일체는, 동일 지름의 금속 소선을 10개 사용하여, 코일체를 구성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8개의 금속 소선을 동일 지름의 금속 소선으로 하고, 나머지의 2개를 다른 직경의 금속 소선으로 하여 코일체를 구성해도 좋고, 금속 소선을 1개만 사용하여 코일체를 구성해도 좋다.
단, 코일체는, 복수개의 소선에 의해서 구성한 편이 바람직하다. 만일, 선단 팁이 카테터 본체로부터 이탈한 경우에 코일체의 신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의 코일체는, 코일체를 구성하는 각 금속 소선이 카테터 본체의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고, 이른바 소권(疎卷, 성기게 감음)의 상태를 나타냈지만, 카테터의 강성을 높이고 싶은 경우, 또는, 카테터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으로의 토크 전달성을 높이고 싶은 경우에는, 각 금속 소선을 맞닿게 하여 배치하여, 이른바 밀권(密卷, 밀착하여 감음)의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의 편조체는, 동일 지름인 2개의 금속 소선을 교호로 짜서 형성되어 있지만, 편조체는, 직경이 다른 금속 소선을 교호로 짜서 형성해도 좋고, 2개의 금속 소선 뿐만 아니라, 그것 이상의 금속 소선을 짜서 형성해도 좋고, 오른쪽 감음과 왼쪽 감음의 금속 소선의 수를 다르게 하여 짜도 좋다.
또,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의 편조체를 구성하는 소선은 금속 소선으로 했지만, 예를 들면, 수지 소선을 짜서 형성해도 좋고, 금속 소선과 수지 소선을 조합시켜 짜도 좋다. 또, 편조체를 형성하는 소선의 수나 소선의 편조 형태는 적절히 변경될 수 것이다.
또,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의 코일체 및 편조체를 구성하는 금속 소선은 원형 단면의 소선으로 했지만, 코일체 및 편조체는, 타원형 단면의 소선, 직사각형 단면의 소선을 사용하여 형성해도 좋다.
또,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의 돌기부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만곡한 형상의 돌기부를 기재하여 설명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선단 팁의 상부에 날카롭게 뾰족한 형상의 돌기부, 또는, 선단 팁에 대해서 경사지게 쐐기 모양으로 들어간 돌기부라도 좋다.
또,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체 및 편조의 형성 과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내측 수지층의 외주에 코일체 또는 편조를 배치하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내측 수지층과 외측 수지층을 일체로 형성하고, 한 층의 수지층 내에 코일체 또는 편조를 배치하는 형태라도 좋고, 내측 수지층과 외측 수지층의 2층 뿐만 아니라, 3층 이상의 다층 구조의 일부의 층에 코일체 또는 편조를 배치하는 형태라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각 카테터가 코일체만 또는 편조만을 배치한 형태를 설명했지만, 하나의 카테터 내에 코일체 및 편조 양쪽 모두를 배치한 형태라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카테터
11, 111, 211, 311, 411, 511 : 카테터 본체
12, 112, 212, 312, 412, 512 : 선단 팁
14 : 커넥터
16, 116, 216, 316, 416, 516 : 루멘
18 : 선단부
20 : 중간부
22 : 기단부
24, 224, 424 : 코일체
26, 126, 226, 326, 426, 526 : 내측 수지층
28, 128, 228, 328, 428, 528 : 외측 수지층
30, 130, 230, 330, 430, 530 : 보강체
40, 140a, 140b, 240, 340a, 340b, 440, 540a, 540b : 금속 소선
48 : 최선단부
124, 324, 524 : 편조체
132, 232, 332, 432, 532 : 돌기부

Claims (4)

  1. 루멘(lumen)을 가지는 카테터(catheter) 본체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루멘에 연통하는 루멘을 가지며,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에 접속된 제1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선단 팁(tip)과,
    상기 카테터 본체 및 상기 선단 팁에 상기 루멘을 따라서 배치된 코일체 및/또는 편조(編組)를 구비한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선단 팁에는, 상기 코일체 및/또는 상기 편조를 매설(埋設)하는 보강체가 마련되고,
    상기 보강체는 상기 제1 수지보다도 단단한 제2 수지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체의 외주는 상기 제1 수지에 의해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는, 상기 선단 팁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는 선단부에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된 영역을 가지고,
    상기 선단 팁과 상기 카테터 본체와의 접합부에서, 상기 보강체의 기단(基端)은 상기 카테터 본체의 상기 영역의 선단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는, 상기 카테터 본체와 일체로 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KR1020200062888A 2015-10-27 2020-05-26 카테터 KR202000621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10511 2015-10-27
JP2015210511A JP6558773B2 (ja) 2015-10-27 2015-10-27 カテーテル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074A Division KR102117499B1 (ko) 2015-10-27 2016-04-15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134A true KR20200062134A (ko) 2020-06-03

Family

ID=564114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074A KR102117499B1 (ko) 2015-10-27 2016-04-15 카테터
KR1020200062888A KR20200062134A (ko) 2015-10-27 2020-05-26 카테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074A KR102117499B1 (ko) 2015-10-27 2016-04-15 카테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45412B2 (ko)
EP (2) EP3434309B1 (ko)
JP (1) JP6558773B2 (ko)
KR (2) KR102117499B1 (ko)
CN (2) CN1066068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5018A (zh) * 2016-02-26 2022-09-27 新宁研究院 具有可旋转芯的成像探针
IL308499A (en) 2016-12-08 2024-01-01 Abiomed Inc A design technique for peel-off penetrative design
EP3706853A2 (en) 2017-11-06 2020-09-16 Abiomed, Inc. Peel away hemostasis valve
WO2019146026A1 (ja) * 2018-01-25 2019-08-0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KR20200108038A (ko) * 2018-01-26 2020-09-16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카테터
WO2019189533A1 (ja) * 2018-03-29 2019-10-03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組立体
SG11202011175QA (en) 2018-05-16 2020-12-30 Abiomed Inc Peel-away sheath assembly
JP2022166871A (ja) * 2021-04-22 2022-11-04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22230006A1 (ja) * 2021-04-26 2022-11-0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US11944759B2 (en) 2021-05-05 2024-04-02 Covidien Lp Catheter including variable stress relief structural support member
WO2023122184A1 (en) * 2021-12-22 2023-06-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adapted for multiple implant recaptur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8337A (ja) 2013-03-28 2014-10-06 Sumitomo Bakelite Co Ltd 医療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2188C1 (ko) * 1988-04-13 1989-05-03 Theodor 4403 Senden De Greive
US6042578A (en) * 1996-05-13 2000-03-28 Schneider (Usa) Inc. Catheter reinforcing braids
US7399296B2 (en) * 2003-02-26 2008-07-15 Medtronic Vascular, Inc. Catheter having highly radiopaque embedded segment
JP4376048B2 (ja) * 2003-12-18 2009-12-02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4560455B2 (ja) * 2005-08-01 2010-10-13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
JP4772446B2 (ja) * 2005-09-30 2011-09-1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挿入補助具及び内視鏡装置
US7867169B2 (en) * 2005-12-02 2011-01-11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Echogenic needle catheter configured to produce an improved ultrasound image
US20100004593A1 (en) * 2006-09-13 2010-01-0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Balloon catheter
EP2444010B1 (en) * 2007-05-18 2017-03-01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Medical implant detachment systems
JP4743800B2 (ja) * 2008-10-11 2011-08-10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5898861B2 (ja) * 2011-06-02 2016-04-06 株式会社グッドマン 医療用器具
JP5869235B2 (ja) * 2011-06-02 2016-02-24 株式会社グッドマン 医療用器具
US9486605B2 (en) * 2011-07-15 2016-11-08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Introducer sheath with braided filament securement mechanism
JP6080258B2 (ja) * 2013-01-30 2017-02-1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CN104644288B (zh) * 2013-11-18 2017-04-12 上海微创心通医疗科技有限公司 植入体的装载外管和植入体输送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8337A (ja) 2013-03-28 2014-10-06 Sumitomo Bakelite Co Ltd 医療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28637A (zh) 2020-06-05
EP3434309A1 (en) 2019-01-30
JP6558773B2 (ja) 2019-08-14
KR20170049351A (ko) 2017-05-10
EP3162405A1 (en) 2017-05-03
JP2017079976A (ja) 2017-05-18
KR102117499B1 (ko) 2020-06-01
EP3434309B1 (en) 2022-06-29
CN106606810A (zh) 2017-05-03
CN106606810B (zh) 2020-03-03
US10245412B2 (en) 2019-04-02
EP3162405B1 (en) 2018-10-17
CN111228637B (zh) 2022-02-25
US20170113018A1 (en)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2134A (ko) 카테터
US10166363B2 (en) Catheter
JP4743800B2 (ja) カテーテル
US10010698B2 (en) Catheter
EP2450077A1 (en) Micro catheter
KR102184238B1 (ko) 장척 의료용 부재
US10940293B2 (en) Catheter and balloon catheter
KR102333910B1 (ko) 카테터
US10034998B2 (en) Catheter with a folded braid
WO2018055706A1 (ja) カテーテル及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5110716B2 (ja) カテーテル
JP6195382B2 (ja) 医療用チューブ体
JP6828169B2 (ja) カテーテル
JP6782510B2 (ja) カテーテル
US11027094B2 (en) Tubular body and catheter having tubular body
CN111565785A (zh) 导管
JP2010142483A (ja) 内視鏡用可撓管
JP2014076222A (ja) 内視鏡の軟性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