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715A - 외관 특성이 우수한 내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외관 특성이 우수한 내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715A
KR20200058715A KR1020180143169A KR20180143169A KR20200058715A KR 20200058715 A KR20200058715 A KR 20200058715A KR 1020180143169 A KR1020180143169 A KR 1020180143169A KR 20180143169 A KR20180143169 A KR 20180143169A KR 20200058715 A KR20200058715 A KR 20200058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resin
weight
metal pigment
poly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890B1 (ko
Inventor
김경태
서강준
김명욱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3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8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종래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시크로헬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얼로이에 금속 안료를 적용할 경우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져 균일한 금속 표면 구현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외관 특성이 우수한 내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89 중량%; (B)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39 중량%; (C) 내부 활제 0.01~3 중량%; 및 (D) 금속 안료 0.01~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외관 특성이 우수한 내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in appearance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균일한 금속 색감 발현이 가능하고, 기계적 물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자동차를 비롯하여 전기/전자 부품의 내외장재로 적용이 가능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내열성, 내충격성 등 우수한 기계적 물성으로 자동차, 전기전자 기기의 내외장재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지만, 생활 케미칼(소독제, 방향제 등)에 의한 물성 저하, 변색 등과 같은 제품 변질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케미칼에 대한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각종 세정제, 화장품 등의 생활용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내열성이 낮아 고온 환경에서의 사용이 제한된다.
이처럼 두 수지의 문제점을 보완 및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며, 그 중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얼로이하는 방법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PC)와 폴리시크로헬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얼로이는 케미칼에 대한 내화학성과 내열성을 향상시켜 두 수지의 단점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투명성을 베이스로 색감 구현, 특히 금속 색감을 발휘하는 데 있어 유리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금속 안료를 적용할 경우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서로 뭉치려는 경향으로 인해 균일한 금속 표면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031474호는 내화학성 및 투명성을 바탕으로 우수한 금속 색감을 발현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표면의 균일한 금속 색감 구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856747호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투명성 저하의 문제점을 극복하면서도 동시에 우수한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를 개시하고 있으나, 투명성을 베이스로 다양한 하우징에 적용되기 위한 칼라 조색 및 금속 색감 부여와 내화학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9-0080132호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블렌드를 통해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제조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나, 칼라(메탈) 구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시크로헬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얼로이에 금속 안료를 적용할 경우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져 균일한 금속 표면 구현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외관 특성이 우수한 내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89 중량%; (B)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39 중량%; (C) 내부 활제 0.01~3 중량%; 및 (D) 금속 안료 0.01~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부 활제는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1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광투과율(ASTM D1003, 3 mm 두께 사출시편, 안료 미첨가 기준)이 65% 이상이고, 하기 측정방법에 따른 광택 균일성이 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광택 균일성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출온도 260℃에서 사출한 시편(150×150×2.5 mm)을 23±2℃, 50±5%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상태 조절 후 시편의 5 포인트(각 모서리 부분 및 중앙 부분)에 대해 광택도 측정기(Gloss meter, 각도 60°)를 사용하여 광택도 측정 후 분산값을 계산함.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시크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얼로이에 금속 안료를 적용 시 특정 조성의 내부 활제를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내화학성을 유지하면서도 금속 안료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표면의 금속 색감에 균일성을 부여하여 고품질의 외관 특성 구현이 가능한 내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험예에서 광택 균일성 평가 시 시편의 측정 부위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시크로헬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얼로이에 금속 안료를 적용할 경우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져 균일한 금속 표면 구현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시크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얼로이에 금속 안료를 적용 시 특정 조성의 내부 활제를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내화학성을 유지하면서도 금속 안료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표면의 금속 색감에 균일성을 부여하여 고품질의 외관 특성 구현이 가능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89 중량%; (B)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39 중량%; (C) 내부 활제 0.01~3 중량%; 및 (D) 금속 안료 0.01~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광투과율(ASTM D1003, 3 mm 두께 사출시편, 안료 미첨가 기준)이 65%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고, 하기 측정방법에 따른 광택 균일성이 5 미만인 특성을 나타내어 금속 색감에 균일성을 부여하여 고품질의 외관 특성 구현이 가능하고, 후술하는 방법에 따른 내화학성 테스트 결과, 테스트 이전의 인장강도 대비 75% 이상 수준,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수준을 유지하고, 테스트 이전의 신율 대비 50% 이상 수준,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수준을 유지하는 내화학성을 나타낸다.
[광택 균일성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출온도 260℃에서 사출한 시편(150×150×2.5 mm)을 23±2℃, 50±5%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상태 조절 후 시편의 5 포인트(각 모서리 부분 및 중앙 부분)에 대해 광택도 측정기(Gloss meter, 각도 60°)를 사용하여 광택도 측정 후 분산값을 계산함.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수지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유연성, 가공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며, 내후성이 뛰어나 장기간 높은 물성을 유지하고, 내열성 및 내한성이 뛰어나 심한 온도 변화에도 성능을 유지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비스페놀계 모노머와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포함하여 중합된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비스페놀계 모노머는 일례로,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 BPA),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비스페놀 Z; BPZ),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및 α,ω-비스[3-(ο-히드록시페닐)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일례로,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디페닐 카보네이트, 디토릴 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 카보네이트, m-크레실 카보네이트, 디나프틸 카보네이트, 비스(디페닐) 카보네이트, 카보닐 클로라이드(포스겐), 트리포스겐, 디포스겐, 카보닐 브로마이드 및 비스할로포르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일예로, 비스페놀 A의 중합체로서 중량 평균분자량(Mw)이 10,000~200,000, 바람직하게는 20,000~50,000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용융지수(300℃, 1.2 kg 하중)가 5~15 g/10min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13 g/10min일 수 있다. 상기 용융지수 범위 내에서 가공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물성 밸런스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용융지수가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 유동성이 부족하여 미성형이 발생할 수 있고, 높을 경우 충격강도가 다소 저하되는 경향을 보인다.
본 발명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최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내충격성, 가공성 등을 위해 전체 수지 조성물에서 60~89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65~8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5~84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B)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수지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dimethylterephthalate, DMT)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1,4-cyclohexanedimethanol, CHDM)의 에스테르 혹은 에스테르 교환 및 축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결정성 폴리에스터로서 매우 높은 녹는점과 매우 빠른 결정화 속도를 갖는다.
상기 PCT 수지는 범용 폴리에스테르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에 비해 뛰어난 내열성, 내화학성, 내흡습성 및 흐름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열변형온도가 245~260℃, 연속사용온도가 130~150℃로 금속 대체 가능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속한다. 이러한 PCT 수지는 다른 고분자 수지들과 비교할 때 색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수분 흡수율이 월등히 낮아 전기전자제품의 하우징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PCT 수지는 전체 수지 조성물에서 10~39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5~3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4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CT 수지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내화학성 개선 정도가 미흡할 수 있고, 39 중량%를 초과할 경우 투명성 저하로 금속 색감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C) 내부 활제
본 발명에서 내부 활제는 미끄럼성과 가소성을 갖는 유질상의 고체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일부 성분으로 포함되어 조성물의 유동성 및 이형성을 증진시켜 주며, 특히, 얼로이 시 상용성 및 금속 안료의 분산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얼로이 수지의 금속 안료 분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내부 활제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특히,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를 사용할 경우 이상적인 금속 안료 분산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상기 내부 활제는 전체 수지 조성물에서 0.01~3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0.05~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0.9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활제 함량이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상용성 및 금속 안료 분산 특성 구현이 어려울 수 있고, 함량이 과도할 경우에는 박리와 표면에 가스가 생기는 외관 불량으로 금속 안료 분산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 활제로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를 사용할 경우 저분자량으로 인해 사출 및 압출과 가공조건에서 오히려 가스를 유발할 수 있고, 이는 금속 안료 분산 특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10,000 g/mol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8,000 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D) 금속 안료
본 발명에서 금속 안료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시크로헬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얼로이에 첨가되어 최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다양한 색 표현을 위해 사용되며, 이러한 금속 안료로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알루미늄, 구리, 아연, 티탄, 철 니켈 및 이들의 합금 등을 들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 안료로서 평균 입경 5~100 ㎛의 알루미늄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입자 크기의 알루미늄을 사용할 경우 수지 조성물에서 산화막층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금속 입자를 겹침으로써 다채로운 색 표현이 가능하다.
상기 금속 안료는 전체 수지 조성물에서 0.01~5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0.05~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1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안료 함량이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색 표현에 한계가 있을 수 있고, 함량이 과도할 경우에는 금속 안료 분산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그 목적하는 용도나 효과에 적합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형제, 적하방지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등을 추가로 첨가하여 다양한 용도로 응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비롯한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33,000 및 용융지수(300℃, 1.2 ㎏f)가 10 g/10min인 비스페놀 A형의 폴리카보네이트(PC-1100S, 롯데케미칼)를 사용하였다.
(B)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수지
고유점도(IV)가 0.7 dl/g인 PCT 수지(SKYPURA 3402, SK케미칼)를 사용하였다.
(C)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고유점도(IV)가 1.1 dl/g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Kanghui petrochemical사)를 사용하였다.
(D)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고유점도(IV)가 0.8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롯데케미칼)를 사용하였다.
(E-1) 내부 활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8,000 g/mol인 폴리에틸렌 왁스(Hi-wax 800P, Mitsui chemical)를 사용하였다.
(E-2) 내부 활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7,200 g/mol인 폴리에틸렌 왁스(Hi-wax 720P, Mitsui chemical)를 사용하였다.
(E-3) 내부 활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4,000 g/mol인 폴리에틸렌 왁스(Hi-wax 400P, Mitsui chemical)를 사용하였다.
(E-4) 내부 활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3,000 g/mol인 폴리에틸렌 왁스(Hi-wax 320P, Mitsui chemical)를 사용하였다.
(E-5) 내부 활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 g/mol인 폴리에틸렌 왁스(Hi-wax 110P, Mitsui chemical)를 사용하였다.
(F) 금속 안료
금속 안료로서 평균 입경 20~30 ㎛ 크기의 알루미늄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9.3 중량%, (B) PCT 수지 20 중량%, (E-1) 내부 활제 0.2 중량% 및 (F) 금속 안료 0.5 중량% 비율로 정량하여 혼합하고, 270℃~300℃로 가열된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칩 상태로 만든 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110℃에서 4시간 건조한 후 시편 제작용 몰드를 사용하여 시편을 사출 성형하였다.
실시예 2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에서 상기 (A) 내지 (F) 성분을 하기 표 1의 함량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Figure pat00001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에 따라 용융지수, 인장강도, 신율, 내열도, 내화학성, 광투과율 및 광택 균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1) 용융지수
ASTM D1238에 의거하여 250℃에서 2.16kg 하중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만능재료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강도 및 신율을 측정하였다.
(3) 내열성(열변형온도, HDT)
ASTM D648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내열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내열성을 측정하였다.
(4) 내화학성 평가
제조된 펠렛을 사출기를 이용하여 사출온도 260℃에서 동일하게 사출한 후 사출된 인장강도 시편을 23±2℃, 50±5%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상태 조절을 하고 하기와 같은 방법에 준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① 내화학성 시험치구를 임계변형량 1.0%로 제작하여 인장시편을 시험치구로 고정시켰다.
② 썬크림(SPF 50) 및 방향제(자동차용으로 판매되는 일반 제품)를 상기 인장 시편에 1분 동안 각각 도포한 후 23±2℃에서 168시간 방치하였다.
③ 23±2℃에서 168시간 경과 후 인장 시편을 시험치구에서 제거한 후 23±2℃에서 약 1~2시간 동안 한번 더 방치하였다.
④ 상기와 같이 1~2시간 동안 방치한 후 썬크림 및 방향제가 도포되었던 각각의 시편의 인장 특성을 평가하였다.
⑤ 내화학성 테스트 이전의 인장 특성의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신율 특성의 50%, 바람직하게는 55% 이상의 물성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내화학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5) 광투과율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3mm)을 만들어 광투과율을 측정하였다.
(6) 광택 균일성(금속 안료 분산성) 평가
제조된 펠렛을 사출기를 이용하여 사출온도 260℃에서 사출한 시편(150×150×2.5 mm)을 23±2℃, 50±5%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상태 조절 후 도 1과 같이 시편의 5 포인트(각 모서리 부분 및 중앙 부분)에 대해 광택도 측정기(Gloss meter, 각도 60°)를 사용하여 광택도 측정 후 평균값 및 분산값을 계산하였다. 분산값이 5 이내로 들어오면 표면에 금속 안료가 균일하게 분산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예컨대, 도 1의 경우 측정 부위의 Gloss 값이 각각 89, 88, 88, 90, 84이므로, 평균값은 87.8, 분산값은 4.16이다.
Figure 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얼로이에 금속 안료를 적용 시 특정 조성의 내부 활제를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내화학성을 유지하면서도 금속 안료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표면의 금속 색감에 균일성을 부여하여 고품질의 외관 특성 구현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내부 활제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비교예 1)에는 금속 안료 분산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특정 조성의 내부 활제를 포함하더라도 얼로이 수지로서 PCT 수지가 아닌 일반 PBT 수지 또는 PET 수지를 사용할 경우(비교예 2 및 3)에는 상대적으로 금속 안료 분산성은 양호하나 내화학성, 투명성 및 내열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특정 내부 활제의 함량이 바람직한 범위에 미치지 못할 경우(실시예 5)에는 금속 안료 분산성이 기대 수준에 못 미칠 수 있고, 그 함량이 상대적으로 과도할 경우(실시예 6)에도 금속 안료 분산 특성이 다소간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박리와 표면에 가스가 생기는 외관 불량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특정 내부 활제의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실시예 7 내지 9)에도 금속 안료 분산 특성이 다소간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저분자량으로 인해 사출 등 가공 시 가스를 유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89 중량%;
    (B)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39 중량%;
    (C) 내부 활제 0.01~3 중량%; 및
    (D) 금속 안료 0.01~5 중량%;
    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활제는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1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광투과율(ASTM D1003, 3 mm 두께 사출시편, 안료 미첨가 기준)이 65% 이상이고, 하기 측정방법에 따른 광택 균일성이 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광택 균일성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출온도 260℃에서 사출한 시편(150×150×2.5 mm)을 23±2℃, 50±5%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상태 조절 후 시편의 5 포인트(각 모서리 부분 및 중앙 부분)에 대해 광택도 측정기(Gloss meter, 각도 60°)를 사용하여 광택도 측정 후 분산값을 계산함.
KR1020180143169A 2018-11-20 2018-11-20 외관 특성이 우수한 내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2200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69A KR102200890B1 (ko) 2018-11-20 2018-11-20 외관 특성이 우수한 내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69A KR102200890B1 (ko) 2018-11-20 2018-11-20 외관 특성이 우수한 내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715A true KR20200058715A (ko) 2020-05-28
KR102200890B1 KR102200890B1 (ko) 2021-01-11

Family

ID=7092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169A KR102200890B1 (ko) 2018-11-20 2018-11-20 외관 특성이 우수한 내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8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1390A (ja) * 1996-03-08 1997-09-16 Ok Kasei Kk 樹脂着色剤の製造方法
JP2009120789A (ja) * 2007-10-22 2009-06-04 Sumitomo Dow Ltd ウェルド部の外観に優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2013139517A (ja) * 2011-12-29 2013-07-18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マスターバッチの製造方法及びマスターバッチ
KR20180031474A (ko) * 2016-09-20 2018-03-2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금속 색감이 우수한 내화학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1390A (ja) * 1996-03-08 1997-09-16 Ok Kasei Kk 樹脂着色剤の製造方法
JP2009120789A (ja) * 2007-10-22 2009-06-04 Sumitomo Dow Ltd ウェルド部の外観に優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2013139517A (ja) * 2011-12-29 2013-07-18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マスターバッチの製造方法及びマスターバッチ
KR20180031474A (ko) * 2016-09-20 2018-03-2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금속 색감이 우수한 내화학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890B1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4700B2 (ja) ポリフェニ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とその成形品の製造方法
TW200526739A (en) Light-color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and methods
EP0072455A1 (en) Polyester resinous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KR20100092480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7874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12214702A (ja) 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JPWO2009060986A1 (ja) 樹脂組成物
KR20100096156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7653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20120220708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resin molded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200890B1 (ko) 외관 특성이 우수한 내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US20230383054A1 (en) Thermoplastic resin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JP5106066B2 (ja) ウェルド部の外観に優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5702712B2 (ja) マスターバッチの製造方法及びマスターバッチ
KR102200870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내화학 내광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3839120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3929889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5334779B2 (ja) 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JP4474938B2 (ja) 無機化合物樹脂分散体、成形ペレット及び成形品
JP546757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2023010148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4121296B2 (ja) 樹脂組成物
KR102646944B1 (ko) 투명성 및 내화학성이 향상된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및 코폴리에스테르 얼로이 수지 조성물
JP5427372B2 (ja) 外観に優れたメタリック調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10195201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