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344A -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344A
KR20200057344A KR1020180141622A KR20180141622A KR20200057344A KR 20200057344 A KR20200057344 A KR 20200057344A KR 1020180141622 A KR1020180141622 A KR 1020180141622A KR 20180141622 A KR20180141622 A KR 20180141622A KR 20200057344 A KR20200057344 A KR 20200057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s
oil
cooling air
cooling
bel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001B1 (ko
Inventor
조원택
송윤환
차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테크
조원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테크, 조원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테크
Priority to KR1020180141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0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ree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미세 협잡물과 오일을 제거할 수 있는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는, 미세 협잡물과 오일이 포함된 원수와 미세기포가 유입되며, 유입된 원수와 미세기포를 부상시키면서 부상되는 오일을 냉각공기를 통해 고형물로 냉각시키며, 고형물을 고형물 수거벨트로 수거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고형물 수거부; 및 고형물 수거부로부터 유입되는 고형물이 분리된 처리수와 벨트스크린을 냉각공기를 통해 처리수에 포함된 오일을 고형물로 냉각시키면서 고형물을 벨트스크린으로 이송시키며, 온열공기를 통해 이송되는 고형물을 벨트스크린으로부터 탈리시켜 제거하는 벨트스크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Integrated pretreatment facility for wastwater treatment process capable of removing fine particulate solids and oil and operating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하수처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미세 협잡물과 오일을 제거할 수 있는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용 스크린은 하수에 포함되는 협잡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하수처리용 스크린에 유입되는 하수 중 협잡물이나 이물질은 다공판이나 또는 직망으로 되어 있는 하수처리용 스크린의 표면에 걸려 제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드럼 스크린의 상부로 유입되는 하수 중 협잡물 등은 드럼 스크린의 표면에 걸리며, 하수는 여과되어 드럼 스크린의 내부로 유입되고, 드럼 스크린의 표면에 걸려 회전되는 협잡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 일측에 드럼 스크린의 표면에 접촉하여 협잡물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가 구비되는 회전하는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가 개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스크레이퍼에 의해 미처 제거되지 못한 협잡물 등이 드럼 스크린의 다공에 끼어 돌아가다가 드럼 스크린의 하부에서 유출되는 폐수에 의하여도 다공에 끼인 협잡물 등을 제거하지 못한 채 계속 회전하게 되어, 결국에는 유입된 폐수를 다 처리하지 못하고 드럼 스크린 앞쪽으로 폐수가 흘러넘치는 월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는 드럼 스크린에 형성된 기공의 형상이 교차가 아닌 일렬의 직선형(웨지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율이 많이 떨어지며, 특히 동물성 오일을 제거하지 못하여 동물성 오일이 전처리 장치를 통과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04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를 대신하여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 협잡물과 오일의 제거율을 높일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진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는, 미세 협잡물과 오일이 포함된 원수와 미세기포가 유입되며, 유입된 원수와 미세기포를 부상시키면서 부상되는 미세 협잡물과 오일을 냉각공기를 통해 고형물로 냉각시키며, 고형물을 고형물 수거벨트로 수거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고형물 수거부; 및 고형물 수거부로부터 유입되는 고형물이 분리된 처리수와 벨트스크린을 냉각공기를 통해 처리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오일을 고형물로 냉각시키면서 고형물을 벨트스크린으로 이송시키며, 온열공기를 통해 이송되는 고형물을 벨트스크린으로부터 탈리시켜 제거하는 벨트스크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형물 수거부는, 냉각수단으로부터 냉각공기를 전달받는 제1 냉각공기관; 제1 냉각공기관에 복수로 구비되며, 냉각공기를 부상되는 미세 협잡물과 오일에 분사하여 미세 협잡물과 오일을 고형물로 냉각시키는 제1 노즐; 복수로 구비되되 서로 이격되며, 유입된 원수와 미세기포를 부상시키는 부상경사판; 원수와 미세기포를 유입시키는 유입부; 상측이 개방되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와 미세기포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및 처리수를 벨트스크린부로 유출시키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부상경사판을 이격되게 수용하는 챔버; 이격공간이 복수로 형성되며, 부상경사판과 일직선으로 수평되게 챔버의 상측에 결합되되, 하측에 부상경사판의 상부가 결합되어 부상경사판을 통해 부상되는 미세 협잡물과 오일을 이격공간에 부유시키고, 제1 노즐의 냉각공기를 이격공간에 부유되는 미세 협잡물과 오일로 유도하는 냉각유도판; 및 부상경사판과 일직선으로 수평되게 냉각유도판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롤러를 통해 제1 노즐의 냉각공기에 의해 이격공간에 부유되는 고형물을 수거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무한궤도형의 고형물 수거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냉각수단은, 제1 냉각공기관과 결합되어 제1 냉각공기관에 냉각공기를 전달하며, 온열공기는 벨트스크린부에 전달하는 제1 보텍스 튜브이다.
일 실시예에서, 부상경사판은,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할수록 폭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게 냉각유도판의 하측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입부는, 별도의 미세기포 발생장치와 결합되어 미세기포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미세기포를 챔버로 유입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챔버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유입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챔버는, 유출구와 인접한 측부에 자유로운 수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처리수의 유출량을 조정하는 가변웨어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벨트스크린부는, 냉온열수단으로부터 냉각공기를 전달받는 제2 냉각공기관; 제2 냉각공기관에 복수로 구비되며, 냉각공기를 처리수와 벨트스크린에 분사하여 처리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오일을 고형물로 냉각시키는 제2 노즐; 고형물을 복수의 롤러를 통해 이송시키는 무한궤도형의 상기 벨트스크린; 냉온열수단으로부터 온열공기를 전달받는 온열공기관; 및 온열공기관에 복수로 구비되며, 온열공기를 벨트스크린에 분사하여 벨트스크린으로부터 이송되는 고형물을 탈리시켜 제거하는 제3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냉온열수단은, 제2 냉각공기관 및 온열공기관과 결합되어 제2 냉각공기관에는 냉각공기, 온열공기관에는 온열공기를 전달하는 제2 보텍스 튜브이다.
일 실시예에서, 벨트스크린은, 메시형태의 미세한 체눈이 형성되어 상기 고형물을 이송시키면서 여과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는, 고형물 수거부와 벨트스크린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고형물 수거부로부터 벨트스크린부로 유입되는 처리수의 난류를 방지하는 난류방지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미세기포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분해는, 양극과 음극의 2개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양극은 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며, 음극은 티타늄(Ti)과 같은 불용성 전극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기분해시, 양극으로부터 이온 상태로 물에 유입된 철이온 또는 알루미늄이온은 영양염류인 인(P)과 결합하여 불용성 물질(FePO4 또는 AlPO4)로 제거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의 운전방법은, 고형물 수거부에 원수와 미세기포를 유입시키는 단계; 고형물 수거부가 유입되는 원수와 미세기포를 부상시키면서 원수에 포함된 미세 협잡물과 오일을 냉각공기를 통해 고형물로 냉각시키는 단계; 고형물 수거벨트가 고형물을 수거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단계; 벨트스크린부가 상기 고형물 수거부로부터 유입되는 고형물이 분리된 처리수와 벨트스크린을 냉각공기를 통해 처리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오일을 고형물로 냉각시키면서 벨트스크린을 통해 고형물을 이송시키는 단계; 및 벨트스크린부가 온열공기를 통해 이송되는 고형물을 벨트스크린으로부터 탈리시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는, 보텍스튜브의 냉각공기를 통해 미세 협잡물과 오일을 고형물로 냉각시킴으로써, 종래의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가 제거하지 못하는 미세 협잡물과 오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는, 보텍스튜브의 냉각공기를 통해 미세 협잡물과 오일을 냉각시키며, 온열공기를 통해 벨트스크린으로부터 고형물을 탈리시켜 제거함으로써, 종래의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해 미세 협잡물과 오일의 냉각 및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는, 고형물 수거부와 벨트스크린부를 통해 미세 협잡물과 오일을 제거함으로써, 미세 협잡물과 오일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에서 고형물 수거부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에서 부상경사판, 제1 냉각공기관과 제1 노즐 및 냉각유도판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에서 온열공기관과 제3 노즐 및 제2 보텍스튜브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의 운전방법의 단계 흐름을 나타내는 단계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에서 고형물 수거부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에서 부상경사판, 제1 냉각공기관과 제1 노즐 및 냉각유도판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에서 온열공기관과 제3 노즐 및 제2 보텍스튜브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 전에,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10)(이하에서는 '전처리 설비')는 종래의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를 대신하여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 협잡물과 오일의 제거율을 높일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진 전처리 설비(10)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전처리 설비(10)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이 포함된 원수(101)와 미세기포(102)가 유입되며, 유입된 원수(101)와 미세기포(102)를 부상시키면서 부상되는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을 냉각공기를 통해 고형물(103)로 냉각시키며, 고형물(103)을 고형물 수거벨트(180)로 수거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고형물 수거부(100) 및 고형물 수거부(100)로부터 유입되는 고형물(103)이 분리된 처리수(201)와 벨트스크린(210)을 냉각공기를 통해 처리수(201)에 포함된 협잡물(201b)과 오일(201a)을 고형물(202)로 냉각시키면서 고형물(202)을 벨트스크린(210)으로 이송시키며, 온열공기를 통해 이송되는 고형물(202)을 벨트스크린(210)으로부터 탈리시켜 제거하는 벨트스크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나아가, 전처리 설비(10)는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고형물 수거부(100)와 벨트스크린부(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고형물 수거부(100)로부터 벨트스크린부(200)로 유입되는 처리수(201)의 난류를 방지하는 난류방지벽(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전처리 설비(10)는 난류방지벽(300)을 더 구성함에 따라, 처리수(201)의 난류를 방지하여 처리수(201)의 냉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설비(10)에 구성된 고형물 수거부(100), 벨트스크린부(200) 구성 및 작용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고형물 수거부
일 실시예에서, 고형물 수거부(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냉각수단(170)으로부터 냉각공기를 전달받는 제1 냉각공기관(150), 제1 냉각공기관(150)에 복수로 구비되며, 냉각공기를 부상되는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에 분사하여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을 고형물(103)로 냉각시키는 제1 노즐(160), 복수로 구비되되 서로 이격되며, 유입된 원수(101)와 미세기포(102)를 부상시키는 부상경사판(130), 원수(101)와 미세기포(102)를 유입시키는 유입부(110), 상측이 개방되며,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원수(101)와 미세기포(102)를 유입시키는 유입구(121) 및 처리수(201)를 벨트스크린부(200)로 유출시키는 유출구(122)가 형성되고, 부상경사판(130)을 이격되게 수용하는 챔버(120), 이격공간이 복수로 형성되며, 부상경사판(130)과 일직선으로 수평되게 챔버(120)의 상측에 결합되되, 하측에 부상경사판(130)의 상부가 결합되어 부상경사판(130)을 통해 부상되는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을 이격공간에 부유시키고, 제1 노즐(160)의 냉각공기를 이격공간에 부유되는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로 유도하는 냉각유도판(140) 및 부상경사판(130)과 일직선으로 수평되게 냉각유도판(140)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롤러(182)를 통해 제1 노즐(160)의 냉각공기에 의해 이격공간에 부유되는 고형물(103)을 수거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무한궤도형의 고형물 수거벨트(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냉각수단(170)은 제1 냉각공기관(150)과 결합되어 제1 냉각공기관(150)에 냉각공기를 전달하며, 온열공기는 벨트스크린부(200)로 전달하는 제1 보텍스튜브(170)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보텍스튜브(170)는 냉각공기를 제1 냉각공기관(150)에 전달하며, 온열공기를 온열공기관(25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보텍스튜브라 함은, 압축된 기체를 고형회전시켜 온열공기를 배출구로 배출하되, 온열공기의 배출구에 구비되는 원뿔형 노즐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회송되면서 열량을 잃는 냉각공기를 냉각공기의 배출구로 배출구로 배출하는 냉각 및 온열 수단이다.
이때, 냉각공기는 차가운 흐름을 따라 유동되면서 -50℃까지 냉각되고, 온열공기는 뜨거운 흐름을 따라 유동되면서 200℃ 가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보텍스튜브(170)는 냉각공기의 배출구가 제1 냉각공기관(150)과 결합되며, 온열공기의 배출구가 온열공기관(250)과 연결되는 관로(미도시)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유입부(110)는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미도시)와 결합되어 미세기포 발생장치(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미세기포(102)를 챔버(120)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미세기포(102)의 투입은 원수(101)로부터 오일(101a)의 분산과 비표면적 개선 및 챔버(120)의 열 효율 개선을 위함이다.
한편, 미세기포(102)는 미세기포 발생장치(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다. 다만, 미세기포(102)는 전기분해를 생략하고 다른 반응을 통해 생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기분해는 물을 전기분해하면서 미세기포(102)를 생성하는 과정이며, 양극과 음극의 2개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양극은 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고, 음극은 티타늄(Ti)과 같은 불용성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분해시, 양극으로부터 이온 상태로 물에 유입된 철이온 또는 알루미늄이온은 영양염류인 인(P)과 결합하여 불용성 물질(FePO4 또는 AlPO4)로 제거된다.
일 실시예에서, 챔버(120)는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유입구(121) 및 유출구(122)가 유입부(1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유입구(121)가 유입부(1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은, 유입되는 원수(101)와 미세기포(102)가 유입부(110)를 통과하면서 부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유출구(122)가 유입부(1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은, 제1 노즐(160)의 냉각공기를 통해 냉각유도판(140)에 부유되는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을 냉각시킨 고형물(103)이 분리된 처리수(201)를 벨트스크린부(200)로 유출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챔버(120)는 유출구(122)와 인접한 측부에 자유로운 수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처리수(201)의 유출량을 조정하기 위한 가변웨어(124)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변웨어(124)는 수위조절을 위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설치 시 수평 및 챔버(120) 내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 변동에 따른 수위선 확보를 위해 제어된다.
이러한 가변웨어(124)를 구비함에 따라, 챔버(120)는 벨트스크린부(200)가 수용 가능한 양만큼의 처리수(201)를 유출구(122)로부터 벨트스크린부(200)로 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챔버(120)는 유입구(121)로부터 유입되는 원수(101a)에 포함되되 부상경사판(130)에 의해 부상되지 않고, 하측으로 침전되는 침전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구조의 제1 스크류(123)가 하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챔버(120)는 고형물 수거벨트(180)에 의해 수거된 후에 고형물 수거벨트(180)로부터 탈리되는 고형물(103)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부(190)와 연결 가능한 외측부에 개폐되는 구조의 제2 스크류(125)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부상경사판(130)은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유입구(121)로부터 유출구(122)로 향할수록 폭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게 냉각유도판(140)의 하측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부상경사판(130)이 유입구(121)로부터 유출구(122)로 향할수록 폭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게 배치되는 것은 원수(101)와 미세기포(102)를 용이하게 부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부상경사판(130)은 원수(101)와 미세기포(102)를 효율적으로 부상시키기 위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부상경사판(130a, 130b, 130c, 130d, 130e, 130f)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부상경사판(130a, 130b, 130c, 130d, 130e, 130f)은 유입구(121)와 가장 인접한 부상경사판(130a)으로부터 유출구(122)와 가장 인접한 부상경사판(130f)으로 갈수록 폭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게 냉각유도판(140)의 하측에 결합된다.
다만, 복수의 경사판(130a, 130b, 130c, 130d, 130e, 130f)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적거나 많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냉각유도판(140)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노즐(160)이 복수로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제1 노즐(160)로부터 분사되는 냉각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판(141)이 복수의 유도판(141a, 141b, 141c, 141d, 14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도판(141)이 복수의 유도판(141a, 141b, 141c, 141d, 14e)으로 구성됨에 따라,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이 부유되는 이격공간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복수로 구비되는 제1 노즐(160)의 냉각공기를 복수의 이격공간으로 각각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복수의 유도판(141a, 141b, 141c, 141d, 14e)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적거나 많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냉각공기관(15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보텍스튜브(170)과 결합되어 제1 보텍스튜브(170)로부터 냉각공기를 전달받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냉각공기관(150)은 제1 보텍스튜브(170)의 냉각공기 배출구와 결합되어 제1 보텍스튜브(170)로부터 냉각공기를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노즐(160)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냉각유도판(140)이 복수로 구비됨에 따라. 제1 보텍스튜브(170)로부터 제1 냉각공기관(150)에 전달되는 냉각공기를 복수의 냉각유도판(140)의 복수의 이격공간에 각각 분사하기 위해 복수의 제1 노즐(160a, 160b, 160c, 160d)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노즐(160)이 복수의 제1 노즐(160a, 160b, 160c, 160d)로 구성됨에 따라, 복수의 냉각유도판(140)의 복수의 이격공간에 각각 부유된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을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복수의 제1 노즐(160a, 160b, 160c, 160d)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적거나 많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노즐(160)은 냉각유도판(140)의 이격공간에 부유된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의 효율적인 냉각을 위해 자유로운 선회가 가능하게 제1 냉각공기관(150)에 결합되어 냉각공기의 분사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노즐(160)의 냉각공기에 의해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은 서로 엉김현상이 발생하면서 고형물(103)로 냉각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형물 수거벨트(180)는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냉각유도판(140)의 이격공간에 부유된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을 냉각시켜 생성되는 고형물(103)을 수거하기 위한 부재로서, 벨트(181)와 복수의 롤러(182)가 구비된다.
벨트(181)는 복수의 롤러(182)에 무한궤도 운동을 하게 되며, 복수의 롤러(182)를 감아도는 과정 동안에 고형물(103)이 표면에 부착됨에 따라, 고형물(103)의 수거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고형물 수거부(1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벨트(181)의 표면에 부착된 고형물(103)을 긁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스크레이퍼(미도시)를 구비한 벨트클리너(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클리너(미도시)는 벨트(181)에 부착된 고형물(103)이 제2 스크류(125)가 구비된 공간으로 탈리되게 챔버(120) 또는 냉각유도판(14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복수의 롤러(182)는 벨트(181)가 무한궤도 운동을 하게 되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모터(미도시)로부터 전달받는 동력을 벨트(181)에 전달한다.
벨트스크린부
일 실시예에서, 벨트스크린부(200)는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냉온열수단(270)으로부터 냉각공기를 전달받는 제2 냉각공기관(230), 제2 냉각공기관(230)에 복수로 구비되며, 냉각공기를 처리수(201)와 벨트스크린(210)에 분사하여 처리수(201)에 포함된 협잡물(201b)과 오일(201a)을 고형물(202)로 냉각시키는 제2 노즐(240), 고형물(202)을 복수의 롤러(220)를 통해 이송시키는 무한궤도형의 벨트스크린(200), 냉온열수단(270)으로부터 온열공기를 전달받는 온열공기관(250) 및 온열공기관(250)에 복수로 구비되며, 온열공기를 벨트스크린(210)에 분사하여 벨트스크린(210)으로부터 이송되는 고형물(202)을 탈리시켜 제거하는 제3 노즐(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냉온열수단(270)은 제2 냉각공기관(230) 및 온열공기관(250)과 결합되어 제2 냉각공기관(230)에 냉각공기를 전달하며, 온열공기관(250)에 온열공기를 전달하는 제2 보텍스튜브(270)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2 보텍스튜브(270)는 냉각공기의 배출구가 제2 냉각공기관(230)과 결합되며, 온열공기의 배출구는 온열공기관(250)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보텍스튜브의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일 실시예에서, 벨트스크린(210)은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단롤러(221)와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단롤러(222)가 각각 벨트스크린(210)의 지지프레임(212)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221, 222)를 감아도는 방식으로 무한궤도 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벨트스크린(210)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메시(mesh)형태의 미세한 체눈(211)이 형성되어 롤러(221, 222)를 감아도는 과정 동안에 고형물(202)을 이송시키면서 여과하게 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벨트스크린(210)의 경사부(210a)가 처리수(201)의 수면 아래에서 경사방향으로 서서히 상승하게 될 때, 제2 노즐(240)의 냉각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생성되는 협잡물(201b)과 오일(201a)의 고형물(202)은 체눈(211)을 통과하지 못하고, 벨트스크린(210)에 걸린 상태로 벨트스크린(210)에 의해 경사부(210a)로부터 평탄부(210b)를 향해 이동된다.
즉, 처리수는 협잡물(201b)과 오일(201a)를 포함하는 제1 처리수(201)와 벨트스크린(210)에 의해 협잡물(201b)과 오일(201a)이 걸러져 벨트스크린(210)의 하측으로 유동되는 제2 처리수(205)로 구분되어진다.
이때, 체눈(211)에 의해 고형물(202)이 여과된 제2 처리수(205)는 벨트스크린(210)의 하측으로 유동되며, 제2 배출부(2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롤러(220)는 하단롤러(221), 상단롤러(222), 상측가이드롤러(223) 및 하측가이드롤러(224)로 구비된다.
하단롤러(221)는 지지프레임(212)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단롤러(222)는 지지프레임(212)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하단롤러(221)와 상단롤러(222)가 구비됨에 따라, 벨트스크린(210)은 무한궤도 운동을 하여 하단롤러(221)와 상단롤러(222)를 감아돌게 된다.
상측가이드롤러(223)와 하측가이드롤러(224)는 벨트스크린(210)에 평탄부(210b)가 형성되도록 하단롤러(221)와 상단롤러(222)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가이드롤러(223)는 벨트스크린(210)의 상측을 지지하고, 하측가이드롤러(224)는 벨트스크린(210)의 하측을 지지함으로써, 상측에 평탄부(210b)가 형성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냉각공기관(230)은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2 보텍스튜브(270)의 냉각공기 배출구와 결합되며, 제2 노즐(240)에서 분사되는 냉각공기가 처리수(201)와 벨트스크린(210)로 향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노즐(240)은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2 냉각공기관(230)과 결합되어 제2 보텍스튜브(270)로부터 제2 냉각공기관(230)에 전달되는 냉각공기를 제1 처리수(201)와 벨트스크린(210)을 향해 분사한다.
이와 같이, 제2 노즐(240)은 제1 처리수(201)와 벨트스크린(210)을 향해 냉각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2 노즐(240)은 제1 처리수(201)와 벨트스크린(210)의 효율적인 냉각을 위해 자유로운 선회가 가능하게 제2 냉각공기관(230)에 결합되어 냉각공기의 분사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열공기관(250)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2 보텍스튜브(270)의 온열공기의 배출구와 결합되어 제2 보텍스튜브(270)로부터 온열공기를 전달받게 되며, 벨트스크린(210)의 체눈(211)에 걸린 고형물(202)을 향해 제3 노즐(260)의 온열공기가 분사되도록 벨트스크린(210)의 지지프레임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노즐(260)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온열공기관(250)와 결합되어 제2 보텍스튜브(270)로부터 온열공기관(250)에 전달되는 온열공기를 벨트스크린(210)을 향해 분사하여 고형물(202)을 벨트스크린(210)으로부터 탈리시켜 제거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3 노즐(260)은 온열공기의 분사방향에 위치되는 벨트스크린(210)의 하측을 향해 온열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체눈(211)에 걸린 상태의 고형물(202)을 하측으로 탈리시켜 제거한다.
이러한 제3 노즐(260)을 통해 제거된 고형물(202)은 벨트스크린(2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3 스크류(28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3 노즐(260)은 체눈(211)에 걸린 고형물(202)의 용이한 제거를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3 노즐(260)은 고형물(202)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해 자유로운 선회가 가능하게 온열공기관(250)에 결합되어 온열공기의 분사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노즐(260)은 온열공기 뿐만 아니라, 세척수 저장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세척수 저장장치(미도시)에 저장된 온열역세척수를 벨트스크린(210)의 하측을 향해 분사하여 고형물(202)를 하측으로 탈리시켜 제거할 수도 있다.
한편, 벨트트스크린부(200)는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커버부재(203)와 완충부재(20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재(203)는 온열공기관(250)을 커버하는 형태로 온열공기관(250)에 결합되되, 벨트스크린(210)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됨으로써, 제3 노즐(260)에서 분사되는 온열공기를 벨트스크린(210)의 하측으로 유동시키는 통로(203a)가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재(203)는 제3 노즐(260)에서 분사되는 온열공기가 측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고형물(202)의 탈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부재(204)는 탄성이 있고 복원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벨트스크린(210)이 롤러(221, 222)를 감아도는 과정 동안에 커버부재(203)의 끝단이 벨트스크린(210)와 접촉하여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마찰에 의해 벨트스크린(210)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러한 완충부재(204)는 도면에서는 벨트스크린(210)의 하측과 맞닿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맞닿지 않을 수 있으며, 벨트스크린(210)이 롤러(221, 222)를 감아도는 과정 동안에 문제가 발생될 때에만, 벨트스크린(210)의 하측과 맞닿게 될 수도 있다.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의 운전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의 운전방법의 단계 흐름을 나타내는 단계흐름도이다.
먼저, 고형물 수거부(100)에 원수(101)와 미세기포(102)를 유입시킨다(S10).
이러한 S10 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유입부(110)에 하수처리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이 포함된 원수(101)와 미세기포 발생장치(미도시)의 전기분해 또는 전기분해과는 다른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미세기포(102)를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유입부(110)에 유입된 원수(101)와 미세기포(102)는 유입됨과 동시에 부상되면서 유입구(121)를 통해 챔버(120)로 유입된다.
S10 단계 후, 원수(101)와 미세기포(102)를 부상시키며, 부상되는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을 냉각시킨다(S20).
이러한 S20 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부상경사판(130)이 원수(101)와 미세기포(102)를 부상시킴에 따라, 원수(101)에 포함된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도 함께 부상되어 냉각유도판(140)의 이격공간에 부유되며, 제1 노즐(160)이 제1 보텍스튜브(170)로부터 제1 냉각공기관(150)에 전달되는 냉각공기를 냉각유도판(140)의 이격공간에 분사하여 부유된 상태의 미세 협잡물(101b)과 오일(101a)을 서로 엉기게 하면서 고형물(103)로 냉각시킨다.
S20 단계 후, 고형물(103)을 수거한다(S30).
이러한 S30 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냉각유도판(140)의 상측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고형물 수거벨트(180)의 벨트(181)가 복수의 롤러(182)를 감아 도는 과정 동안에 고형물(103)을 표면에 부착시켜 수거한다.
이와 같이, 고형물 수거벨트(180)에 의해 수거된 고형물(103)은 벨트클리너(미도시)에 의해 벨트(181)의 표면으로부터 탈리되며, 개폐되는 구조의 제2 스크류(125)와 연결되는 제1 배출부(1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S30 단계 후, 제1 처리수(201)와 벨트스크린(210)을 냉각시키며, 고형물(202)을 이송시킨다(S40).
이러한 S40 단계는, S30 단계 후에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실질적으로는 S30 단계가 진행되는 동안에 함께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S40 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고형물 수거벨트(180)로부터 고형물(103)이 제거된 제1 처리수(201)가 유출구(122)를 통해 챔버(120)로부터 벨트스크린부(202)로 유출된 후, 제2 노즐(240)이 제2 보텍스튜브(270)로부터 제2 냉각공기관(230)에 전달되는 냉각공기를 제1 처리수(201)와 벨트스크린(210)의 경사부(210a)에 분사하여 제1 처리수(201)와 벨트스크린(210)을 냉각시키며, 이러한 냉각에 의해 생성된 제1 처리수(201)에 포함된 협잡물(201b)과 오일(201a)의 고형물(202)을 벨트스크린(210)의 경사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벨트스크린(210)을 통해 경사방향으로 이동되는 고형물(202)은 제2 노즐(240)의 냉각공기에 의해 협잡물(201b)과 오일(201a)이 서로 엉기게 되면서 생성되는 것이며, 체눈(211)에 걸린 상태로 벨트스크린(210)이 하단롤러(221)와 상단롤러(222)를 감아도는 과정 동안에 평탄부(210b)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고형물(202)이 체눈(211)에 의해 여과됨에 따라 벨트스크린(210)의 하측으로 유동되는 고형물(202)이 여과된 제2 처리수(205)는 벨트스크린(2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 배출부(2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S40 단계 후, 고형물(202)을 제거한다(S50).
이러한 S50 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제3 노즐(260)이 제2 보텍스튜브(270)로부터 온열공기관(250)에 전달되는 온열공기 또는 세척수 저장장치(미도시)의 온열역세척수를 벨트스크린(210)이 하단롤러(221)와 상단롤러(222)를 감아도는 과정 동안에 평탄부(210b)의 하측에 위치되는 체눈(211)에 걸린 상태의 고형물(202)을 향해 분사함으로써, 벨트스크린(210)으로부터 고형물(202)을 하측으로 탈리시켜 제거한다.
이와 같이, 벨트스크린(210)으로부터 탈리된 고형물(202)은 벨트스크린(210)의 하측에 구비되는 개폐되는 구조의 제3 스크류(28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처리 설비, 100: 고형물 수거부,
101: 원수, 101a: 오일,
101b: 미세 협잡물, 102: 미세기포,
103: 고형물, 110: 유입부,
120: 챔버, 121: 유입구,
122: 유출구, 123: 제1 스크류,
124: 가변웨어, 125: 제2 스크류,
130: 부상경사판, 140: 냉각유도판,
150: 제1 냉각공기관, 160: 제1 노즐,
170: 제1 보텍스 튜브, 180: 고형물 수거벨트,
181: 벨트, 182: 롤러,
190: 제1 배출부, 200: 벨트스크린부,
201: 제1 처리수, 201a: 오일,
201b: 협잡물, 202: 고형물,
203: 커버부재, 203a: 통로,
204: 완충부재, 205: 제2 처리수,
210: 벨트스크린, 210a: 경사부,
210b: 평탄부, 211: 체눈,
212: 지지프레임, 220: 롤러,
221: 하단롤러, 222: 상단롤러,
223: 상측가이드롤러, 224: 하측가이드롤러,
230: 제2 냉각공기관, 240: 제2 노즐,
250: 온열공기관, 260: 제3 노즐,
270: 제2 보텍스 튜브, 280: 제3 스크류,
290: 제2 배출부, 300: 난류방지벽.

Claims (15)

  1. 미세 협잡물과 오일이 포함된 원수와 미세기포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된 원수와 미세기포를 부상시키면서 부상되는 미세 협잡물과 오일을 냉각공기를 통해 고형물로 냉각시키며, 상기 고형물을 고형물 수거벨트로 수거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고형물 수거부; 및
    상기 고형물 수거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고형물이 분리된 처리수와 벨트스크린을 냉각공기를 통해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오일을 고형물로 냉각시키면서 상기 고형물을 상기 벨트스크린으로 이송시키며, 온열공기를 통해 상기 이송되는 고형물을 상기 벨트스크린으로부터 탈리시켜 제거하는 벨트스크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 수거부는,
    냉각수단으로부터 상기 냉각공기를 전달받는 제1 냉각공기관;
    상기 제1 냉각공기관에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냉각공기를 부상되는 미세 협잡물과 오일에 분사하여 상기 미세 협잡물과 상기 오일을 상기 고형물로 냉각시키는 제1 노즐;
    복수로 구비되되 서로 이격되며, 상기 유입된 원수와 상기 미세기포를 부상시키는 부상경사판;
    상기 원수와 상기 미세기포를 유입시키는 유입부;
    상측이 개방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상기 원수와 상기 미세기포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및 상기 처리수를 상기 벨트스크린부로 유출시키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부상경사판을 이격되게 수용하는 챔버;
    이격공간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부상경사판과 일직선으로 수평되게 상기 챔버의 상측에 결합되되, 하측에 상기 부상경사판의 상부가 결합되어 상기 부상경사판을 통해 부상되는 미세 협잡물과 오일을 상기 이격공간에 부유시키고, 상기 제1 노즐의 냉각공기를 상기 이격공간에 부유되는 미세 협잡물과 오일로 유도하는 냉각유도판; 및
    상기 부상경사판과 일직선으로 수평되게 상기 냉각유도판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롤러를 통해 상기 제1 노즐의 냉각공기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에 부유되는 고형물을 수거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무한궤도형의 상기 고형물 수거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제1 냉각공기관과 결합되어 상기 제1 냉각공기관에 상기 냉각공기를 전달하며, 온열공기는 상기 벨트스크린부에 전달하는 제1 보텍스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경사판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를 향할수록 폭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게 상기 냉각유도판의 하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별도의 미세기포 발생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미세기포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미세기포를 상기 챔버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가 상기 유입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유출구와 인접한 측부에 자유로운 수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처리수의 유출량을 조정하는 가변웨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스크린부는,
    냉온열수단으로부터 상기 냉각공기를 전달받는 제2 냉각공기관;
    상기 제2 냉각공기관에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냉각공기를 상기 처리수와 상기 벨트스크린에 분사하여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오일을 고형물로 냉각시키는 제2 노즐;
    상기 고형물을 복수의 롤러를 통해 이송시키는 무한궤도형의 상기 벨트스크린;
    냉온열수단으로부터 상기 온열공기를 전달받는 온열공기관; 및
    상기 온열공기관에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온열공기를 상기 벨트스크린에 분사하여 상기 벨트스크린으로부터 상기 이송되는 고형물을 탈리시켜 제거하는 제3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열수단은,
    상기 제2 냉각공기관 및 상기 온열공기관과 결합되어 상기 제2 냉각공기관에는 상기 냉각공기, 상기 온열공기관에는 상기 온열공기를 전달하는 제2 보텍스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스크린은,
    메시형태의 미세한 체눈이 형성되어 상기 고형물을 이송시키면서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 수거부와 상기 벨트스크린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형물 수거부로부터 상기 벨트스크린부로 유입되는 처리수의 난류를 방지하는 난류방지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는,
    양극과 음극의 2개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양극은 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며, 음극은 티타늄(Ti)과 같은 불용성 전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시, 상기 양극으로부터 이온 상태로 물에 유입된 철이온 또는 알루미늄이온은 영양염류인 인(P)과 결합하여 불용성 물질(FePO4 또는 AlPO4)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15. 고형물 수거부에 원수와 미세기포를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고형물 수거부가 상기 유입되는 원수와 미세기포를 부상시키면서 상기 원수에 포함된 미세 협잡물과 오일을 냉각공기를 통해 고형물로 냉각시키는 단계;
    고형물 수거벨트가 상기 고형물을 수거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단계;
    벨트스크린부가 상기 고형물 수거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고형물이 분리된 처리수와 벨트스크린을 냉각공기를 통해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오일을 고형물로 냉각시키면서 상기 벨트스크린을 통해 상기 고형물을 이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벨트스크린부가 온열공기를 통해 상기 이송되는 고형물을 상기 벨트스크린으로부터 탈리시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의 운전방법.
KR1020180141622A 2018-11-16 2018-11-16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 KR102172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622A KR102172001B1 (ko) 2018-11-16 2018-11-16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622A KR102172001B1 (ko) 2018-11-16 2018-11-16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344A true KR20200057344A (ko) 2020-05-26
KR102172001B1 KR102172001B1 (ko) 2020-11-02

Family

ID=7091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622A KR102172001B1 (ko) 2018-11-16 2018-11-16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8576A (zh) * 2023-10-17 2023-11-21 广东骏信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城市污水处理的污水处理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455A (ko) 2007-11-15 2009-05-20 주식회사 블루웨일스크린 폐수처리용 스크린의 세정장치
KR101498428B1 (ko) * 2014-09-23 2015-03-03 문기동 하수 또는 폐수의 부유물 처리장치
KR20150137177A (ko) * 2014-05-28 2015-12-09 (주)탑스엔지니어링 고효율 양이온 기포 발생장치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KR101862464B1 (ko) * 2016-08-03 2018-05-2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기포를 이용한 냉동 해수 담수화 시스템
KR101898218B1 (ko) * 2017-12-26 2018-09-12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455A (ko) 2007-11-15 2009-05-20 주식회사 블루웨일스크린 폐수처리용 스크린의 세정장치
KR20150137177A (ko) * 2014-05-28 2015-12-09 (주)탑스엔지니어링 고효율 양이온 기포 발생장치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KR101498428B1 (ko) * 2014-09-23 2015-03-03 문기동 하수 또는 폐수의 부유물 처리장치
KR101862464B1 (ko) * 2016-08-03 2018-05-2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기포를 이용한 냉동 해수 담수화 시스템
KR101898218B1 (ko) * 2017-12-26 2018-09-12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8576A (zh) * 2023-10-17 2023-11-21 广东骏信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城市污水处理的污水处理设备
CN117088576B (zh) * 2023-10-17 2023-12-22 广东骏信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城市污水处理的污水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001B1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180B1 (ko) 수류 분산형 가압부상조
US20100307984A1 (en) Immediate cleaning and recirculation of cleaning fluid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747916B1 (ko) 필터스크린장치를 이용한 하·우수 정화 시스템
KR101436281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1753579B1 (ko) 필터 스크린 시스템
KR101964832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1654508B1 (ko) 경사판 침전조 겸용 오폐수 가압부상장치
KR20200057344A (ko)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
CN111136095B (zh) 水相液体土壤污染物收集装置及收集方法
EP1403223B1 (en) Apparatus for concentrating sludge
JP2011140001A (ja) 濾材洗浄装置及び濾材洗浄方法
KR101866473B1 (ko)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
KR102305739B1 (ko) 슬러지 탈수기의 오수 재생 장치
JPH0327242B2 (ko)
JP5481654B2 (ja) 汚泥の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システム
KR102397623B1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JP4129479B1 (ja) 汚泥の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システム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CN114380411A (zh) 一种工业废水的精细化净化处理设备
CN207981760U (zh) 一种大豆超声清洗装置
KR101801949B1 (ko) 전기집진기의 수막형성용 세정수의 재순환시스템
WO19980163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flue gas
CN112958597B (zh) 一种油泥砂的泡洗筛分除油方法及除油设备和系统
KR102397626B1 (ko)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이 높은 하폐수처리장치
KR20140057995A (ko)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