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995A -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 - Google Patents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995A
KR20140057995A KR20120124426A KR20120124426A KR20140057995A KR 20140057995 A KR20140057995 A KR 20140057995A KR 20120124426 A KR20120124426 A KR 20120124426A KR 20120124426 A KR20120124426 A KR 20120124426A KR 20140057995 A KR20140057995 A KR 20140057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ontact
treated water
dissolved air
contac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2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광년
오호영
정몽규
박상철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2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7995A/ko
Publication of KR2014005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조 내하부에 유량분배장치가 마련됨으로써 접촉조로부터 분리조로 유동하는 처리수가 분리조 내부 전체에 저속으로 고르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 중에 다량의 공기 거품을 발생시키는 접촉조;
상기 접촉조와 인접하고, 접촉조로부터 유입되는 거품이 부상된 처리수의 분배가 이루어지는 분리조;
상기 분리조 내하부에 위치하고, 전후로 마주하는 프레임 사이에 경사판이 간격을 두고 연속되게 마련된 유량분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dissolved air flotation tank for uniformity of flow distribution}
본 발명은 용존공기부상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조 내하부에 유량분배장치가 마련됨으로써 접촉조로부터 분리조로 유동하는 처리수가 분리조 내부 전체에 저속으로 고르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에 관한 것이다.
폐수 또는 원수 즉, 처리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각종의 수처리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처리장치의 하나로 용존공기부상조가 있다.
용존공기부상조는 처리수에 포함된 물보다 가벼운 현탁성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처리수에 다량의 공기 거품을 발생시켜 이들이 부상할 때 거품 표면에 제거대상 부유물을 흡착시켜 떠오르도록 함으로써 제거대상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용존공기부상조는 침전방식에 의한 수처리장치에 비해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운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어 최근 다양한 시설에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용존공기부상조(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조(10')로부터 분리조(20')로 유동하는 처리수의 상당 부분이 접촉조(10')로부터 먼 측의 분리조(20') 일측으로 집중 즉, 유량의 분배가 균일하지 못하여 접촉조(10')로부터 분리조(20')로 향하는 처리수의 상당 부분이 분리조 일측의 벽과 접하며 빠르게 하강하였으므로 수면 상부로 떠올랐던 부유물이 빠르게 하강하는 처리수와 함께 유동하여 분리조(20') 외부로 유출되었던바, 분리조(20') 내에서 처리수로부터의 오염물질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해 오염물질 제거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접촉조로부터 분리조로 유동하는 처리수가 분리조 내부 전체에 저속으로 고르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용존공기부상조에서 수면 상부로 떠올랐던 부유물이 분리조 일측에서 빠르게 하강하는 처리수와 함께 유동하여 분리조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처리수로부터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이 떨어졌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 중에 다량의 공기 거품을 발생시키는 접촉조;
상기 접촉조와 인접하고, 접촉조로부터 유입되는 거품이 부상된 처리수의 분배가 이루어지는 분리조;
상기 분리조 내하부에 위치하고, 전후로 마주하는 프레임 사이에 경사판이 간격을 두고 연속되게 마련된 유량분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량분배장치는 분리조로부터 접촉조로 향하며 경사판 사이의 간격이 점차로 간격이 넓어지고, 각 경사판은 분리조로부터 접촉조로 향하며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는 분리조 내에 유량분배장치가 마련된 것이고, 유량분배장치는 경사판 사이의 간격이 점차로 간격이 넓어지고, 각 경사판은 분리조로부터 접촉조로 향하며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인바, 분리조 상부에서 처리수가 유동할 때 유량분배장치에 의해 처리수가 분리조 내부 전체에서 균일한 유량으로 분배되므로 오염물질이 처리수와 함께 하강하여 분리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에서 유량분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에서 유량분배장치에 의한 유량의 균일 분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일반 용존공기부상조에서 오염물질의 유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A)는 접촉조(10)와, 분리조(20)와, 유량분배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조(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 중에 다량의 공기 거품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 중에 다량의 공기 거품을 발생시키는 접촉조(10)는 일반 용존공기부상조의 접촉조와 동일한 것이므로 접촉조(1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한편, 접촉조(10) 일측에는 처리수유입구(11)가 마련되는 것은 물론이다.
접촉조(10) 일측에 처리수유입구(11)가 마련됨으로써 처리수유입구(11)를 통해 처리수가 접촉조(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접촉조(10)에는 거품발생장치(도면상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접촉조(10)에 거품발생장치가 마련됨으로써 거품발생장치를 통해 처리수 중에 다량의 공기 거품 발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리조(20)는 접촉조(10)와 인접하는 것이고, 접촉조(10)로부터 유입되는 거품이 부상된 처리수의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접촉조(10)와 인접하고, 접촉조(10)로부터 유입되는 거품이 부상된 처리수의 분배가 이루어지는 분리조(20)는 일반 용존공기부상조의 분리조와 동일한 것이므로 분리조(2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한편, 분리조(20) 일측에는 처리수유출구(21)가 마련되는 것은 물론이다.
분리조(20) 일측에 처리수유출구(21)가 마련됨으로써 처리수유출구(21)를 통해 분리조(20)를 거친 처리수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량분배장치(30)는 분리조(20) 내하부에 위치하는 것이고, 전후로 마주하는 프레임(31) 사이에 경사판(32)이 간격을 두고 연속되게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유량분배장치(30)에서 경사판(32) 사이의 간격은 분리조(20)로부터 접촉조(20)로 향하며 점차로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분배장치(30)에서 경사판(32) 사이의 간격이 분리조(20)로부터 접촉조(10)로 향하며 점차로 넓어짐으로써 분리조(20) 내에서 처리수의 유동이 이루어질 때 유량분배장치(30)의 경사판(32)으로 인한 저항에 의해 접촉조(10)로부터 멀리 있는 분리조(20) 일측에서의 처리수 하강 속도가 접촉조(10)에 근접하는 분리조(20) 일측에서의 처리수 하강 속도에 비해 느려질 수 있게 되므로 분리조(20) 내에서 유량의 균일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량분배장치(30)에서 각 경사판(32)은 분리조(20)로부터 접촉조(10)로 향하며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분배장치(30)에서 각 경사판(32)이 분리조(20)로부터 접촉조(10)로 향하며 하향 경사를 이루게 됨으로써 분리조(20) 내에서 처리수의 유동이 이루어질 때 경사판(32)의 유도로 인하여 처리수가 접촉조(10)로부터 멀리 있는 분리조(20) 일측으로부터 접촉조(10)에 근접하는 분리조(20) 일측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분리조(20) 내에서 유량의 균일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A)를 통한 유량의 균일 분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접촉조(10) 일측에는 처리수유입구(11)이 마련되어 있는바, 처리수유입구(11)을 통해 처리수가 접촉조(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접촉조(10) 일측에는 분리조(20)가 마련되어 있는바, 접촉조(10) 내에서 거품이 발생된 처리수는 분리조(20)로 유동한다.
이때, 처리수는 접촉조(10)로부터 분리조(20)로 흐름을 이어가게 되므로 접촉조(10)로부터 먼 쪽에 있는 분리조(20) 일측의 벽에 처리수가 맞닿게 되면 처리수가 빠른 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분리조(20) 내하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프레임(31) 사이에 경사판(32)이 간격을 두고 연속되게 마련된 유량분배장치(30)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분리조(20) 내에서 처리수가 유동할 때 처리수는 유량분배장치(30)와 접하게 된다.
이때, 유량분배장치(30)의 경사판(32) 사이 간격은 분리조(20)로부터 접촉조(10)로 향하며 점차로 넓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분리조(20) 내에서 처리수의 유동이 이루어질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하강하는 처리수는 상대적으로 간격이 좁은 경사판(32)에 접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강하는 처리수는 상대적은 간격이 넓은 경사판(32)에 접하게 되므로 빠르게 하강하는 처리수가 간격이 좁은 경사판(32)과 접하며 경사판(32)의 저항에 의해 하강 속도가 점차로 느려지게 되는 하강 속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어 분리조(20) 내에서 처리수의 유량 균일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량분배장치(30)의 각 경사판(32)은 분리조(20)로부터 접촉조(10)로 향하며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분리조(20) 내에서 유량분배장치(30)와 접하여 하강 속도가 조절되는 처리수는 각 경사판(32)의 유도로 인하여 접촉조(10)로부터 멀리 있는 분리조(20) 일측으로부터 접촉조(10)에 근접하는 분리조(20) 일측을 향해 유동하게 되므로 분리조(20) 내에서 처리수의 유량 균일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유량분배장치(30)의 경사판(32)에 의해 처리수의 하강 속도가 조절되고, 처리수의 유동 방향이 조절됨에 따라 처리수의 유량 균일 분배가 이루어짐으로써 분리조(20) 내의 수면에 부상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거품은 처리수와 함께 분리조(20)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분리조 내에서 부상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차후 분리조(20)의 수면 상에서 거품을 제거함으로써 처리수로부터 오염물질의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A)는 분리조(20) 내에 유량분배장치(30)가 마련된 것이고, 유량분배장치(30)는 경사판(32) 사이의 간격이 점차로 간격이 넓어지고, 각 경사판(30)은 분리조(20)로부터 접촉조(10)로 향하며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인바, 분리조(20) 상부에서 처리수가 유동할 때 유량분배장치(30)에 의해 처리수가 분리조(20) 내부 전체에서 균일한 유량으로 분배되므로 오염물질이 처리수와 함께 하강하여 분리조(2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10' : 접촉조 11 : 처리수유입구
20, 20' : 분리조 21 : 처리수유출구
30 : 유량분배장치 31 : 프레임
32 : 경사판 A, A' : 용존공기부상조

Claims (2)

  1.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 중에 다량의 공기 거품을 발생시키는 접촉조;
    상기 접촉조와 인접하고, 접촉조로부터 유입되는 거품이 부상된 처리수의 분배가 이루어지는 분리조;
    상기 분리조 내하부에 위치하고, 전후로 마주하는 프레임 사이에 경사판이 간격을 두고 연속되게 마련된 유량분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분배장치는 분리조로부터 접촉조로 향하며 경사판 사이의 간격이 점차로 간격이 넓어지고, 각 경사판은 분리조로부터 접촉조로 향하며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
KR20120124426A 2012-11-05 2012-11-05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 KR20140057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4426A KR20140057995A (ko) 2012-11-05 2012-11-05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4426A KR20140057995A (ko) 2012-11-05 2012-11-05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995A true KR20140057995A (ko) 2014-05-14

Family

ID=5088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24426A KR20140057995A (ko) 2012-11-05 2012-11-05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79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5671A (zh) * 2017-03-10 2017-06-20 广东鑫都环保实业有限公司 浅层气浮池均匀布水的方法
KR20180096245A (ko) * 2017-02-21 2018-08-29 강정민 와류 발생 용해부를 갖는 수조용 산소 용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245A (ko) * 2017-02-21 2018-08-29 강정민 와류 발생 용해부를 갖는 수조용 산소 용해기
CN106865671A (zh) * 2017-03-10 2017-06-20 广东鑫都环保实业有限公司 浅层气浮池均匀布水的方法
CN106865671B (zh) * 2017-03-10 2019-08-13 广东鑫都环保实业有限公司 浅层气浮池均匀布水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05188A (en) Electrolytic flot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722099B1 (ko) 미세기포의 안정적 발생구조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수처리장치
US3525437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and for thickening sludges
DK2440333T3 (en) SKUMFLOTATIONSFREMGANGSMÅDE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 VALUABLE SUBSTANCE FROM A suspension
CN104671317A (zh) 一种污水气浮分离装置
US20210187516A1 (en) Magnetic density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KR101707776B1 (ko) 슬러지의 부상분리 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AU2012252015A1 (en) Rapid flotation device for water laden with suspended matter,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KR20140057995A (ko) 유량의 균일 분배를 위한 용존공기부상조
AU2013254297A1 (en) Separation system
JP3274685B2 (ja) 水処理方法と装置
KR101870404B1 (ko) 미세조류 수거 분리장치
KR101715564B1 (ko)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EA039490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нной флотации и способ пенной флотации
EP2150498B1 (en) A dissolved air flotation unit
JP4825850B2 (ja) 浮上分離装置、整流装置及び整流装置用分割セル
KR101270236B1 (ko) 기포를 이용한 유분 분리장치
CA2393777C (en) Flotation machine and method for improving flotation effect
RU111848U1 (ru) Электрофлот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DE9108712U1 (ko)
JP5886518B2 (ja) 浮上分離装置
RU2102155C1 (ru) Флотационная колонна
KR20100017304A (ko) 타공판을 구비한 부상분리 장치
US9890058B2 (en) Dissolved air flotation desludging in liquid treatment
KR20160023132A (ko) 미세기포 부상식 액상클리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