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776B1 - 슬러지의 부상분리 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의 부상분리 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776B1
KR101707776B1 KR1020160099346A KR20160099346A KR101707776B1 KR 101707776 B1 KR101707776 B1 KR 101707776B1 KR 1020160099346 A KR1020160099346 A KR 1020160099346A KR 20160099346 A KR20160099346 A KR 20160099346A KR 101707776 B1 KR101707776 B1 KR 101707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stewater
flocs
flow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규
Original Assignee
김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규 filed Critical 김경규
Priority to KR1020160099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01F3/0424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01F2215/005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상분리방식의 하폐수처리장치에서 수면에 부상하지 않고 처리수와 함께 유동하는 불순물(플록)을 별도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하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처리장치는, 슬러지부상부 내의 수중에 설치되고 슬러지배출부의 하부에 고정되어 슬러지부상부로 진입하여 진행한 하폐수가, 슬러지배출부에 막혀 하측방향으로 흐르고 유동안내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는 유동패턴이 형성됨으로써, 하폐수와 함께 하강한 플록이 유동안내플레이트의 단턱에 걸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슬러지의 부상분리 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MENT SEWAGE USING AIR FLOATING PROCESS OF SLUDGE}
본 발명은 슬러지의 부상분리 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폐수를 고도 처리 또는 재이용하기 위하여 하수에 포함된 부유물질(SS), 유기물(COD), 인(T-P) 등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플록을 생성시키고 기포를 이용하여 그 플록을 부상시켜 제거하는 하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수 또는 폐수, 해수 등의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탁질, 조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응집-부상-여과 등의 과정을 거치는 수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도 1은 그와 같은 과정을 거치는 하폐수 처리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48623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혼화지(2)로부터 불순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지(3)를 통과한 하폐수는 하향유동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한 후, 용존공기부상조(4)로 유입된다. 그 용존공기부상조(4)로 유입되기 전에 하강유동로(6a)와 함께 상승유동로(6b)가 설치되어 있고, 상승유동로(6b)에는 미세기포발생수단(5)이 발생시킨 미세기포(5a)가 혼합되어 불순물에 미세기포(5a)가 부착된다.
미세기포가 부착된 불순물은 용존공기부상조(4)의 수면으로 부상되고, 수면(4a)에 부유하는 불순물은 스키머(8)에 의해 불순물배출부(7)로 배출된다.
불순물이 제거되어 정화된 처리수는 배수구(9)를 통해 별도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부상분리방식 하폐수처리장치의 경우, 용존공기부상조(4)로 유입되는 하폐수의 모든 불순물(플록)이 부상하여 불순물배출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부 불순물은 부상하지 않고 하강유동하여 처리수와 함께 배수구(9)로 배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부상하지 않은 불순물이 많을 경우, 장치의 처리효율을 저하시키고, 차후 진행될 정수처리과정에도 부담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상분리방식의 하폐수처리장치에서 수면에 부상하지 않고 처리수와 함께 유동하는 불순물(플록)을 별도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하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처리수와 함께 유동되는 불순물(플록)을 제거하는 단순하고 효과적인 구조를 제공함과 함께, 불순물을 부상시키도록 불순물에 기포를 부착시키는 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하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처리장치는, 유입되는 하폐수에 응집제를 혼화하여 플록을 생성시키고, 교반하여 하폐수 중의 플록을 성장시키는 플록발생부와, 상기 플록발생부로부터 유입된 하폐수가 상승하는 상승유동부와, 상기 상승유동부 내에 기포를 분사시켜 상승하는 상기 하폐수의 플록에 기포를 부착시키기 위한 기포분사부와, 상기 상승유동부의 상부와 연통되어 상기 하폐수가 상기 미세기포가 접촉된 플록과 함께 유입되고, 상기 미세기포가 접촉된 플록이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여 슬러지층을 형성하는 슬러지부상부와, 상기 슬러지부상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집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배출부, 및 상기 슬러지부상부의 수면에 떠있는 슬러지를 수집하여 상기 슬러지배출부에 투입하는 부상슬러지수집장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승유동부와 상기 슬러지배출부는 소정거리를 두고 상기 슬러지부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상슬러지수집장치부의 날개부재가 상기 상승유동부 측에서 상기 슬러지배출부 측으로 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부상된 슬러지를 밀어 상기 슬러지배출부에 투하하되, 상기 슬러지배출부의 하부에 고정되어 수중에서 상기 상승유동부를 향해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유동안내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는 그 상면에 형성된 단턱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상승유동부에서 상기 슬러지부상부로 진입하여 진행한 하폐수가, 상기 슬러지배출부에 막혀 하측방향으로 흐르고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는 유동패턴을 형성시켜, 하폐수와 함께 하강한 플록이 상기 단턱에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러지부상부의 측벽 또는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에는 상기 단턱에 걸려 포집된 플록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플록흡입구가 설치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의 상면이 슬러지배출부의 하부측에서부터 상기 상승유동부 측을 향해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상기 단턱은 다수개가 설치되어 각각 산형을 가지되, 상기 산형은 상기 슬러지배출부를 향하는 면이 상기 슬러지배출부를 향해 경사져 플록이 걸리는 플록포집면이 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록흡입구가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단턱에서 상기 슬러지배출부를 향하는 면에 수평의 슬릿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의 내부에 상기 플록흡입구와 연결된 플록흡입로가 설치되고, 상기 플록흡입로는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개폐밸브가 설정시점에 개방되어 포집된 플록 및 하폐수를 함께 소정량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승유동부 내에 상승하는 하폐수의 플록과 상기 기포분사부의 기포가 통과하면서 불규칙한 유동으로 서로 혼합되는 혼합유도체가 더 설치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하폐수 처리장치는 슬러지배출부의 하부에 고정된 유동안내플레이트가 설치되고, 그 상면에 형성된 단턱을 포함함으로써, 하폐수와 함께 하강하는 불순물인 플록이 상기 단턱에 걸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단순한 구조에 의해 처리수로부터 플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처리수와 함께 플록이 처리수배출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승하는 하폐수의 플록과 기포분사부의 기포가 통과하면서 불규칙한 유동으로 서로 혼합되도록 하는 혼합유도체가 상승유동부 내에 설치됨으로써, 불순물에 기포를 부착시키는 작용 및 플록을 부상시키는 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하폐수에서 불순물의 제거하는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는 종래 슬러지 부상분리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처리장치에서 기포분사부 및 혼합유도체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처리장치에서 유동안내플레이트 및 그것의 단턱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처리장치에서 유동안내플레이트 및 플록흡입구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사시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처리장치에서 유동안내플레이트 및 플록흡입구의 변형된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처리장치에서 유동안내플레이트 및 플록흡입구의 변형된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사시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처리장치는, 유입되는 하폐수에 응집제를 혼화하여 플록을 생성시키고, 교반하여 하폐수 중의 플록을 성장시키는 플록발생부(10)와, 상기 플록발생부(10)와 연통된 유동로가 형성되어 플록발생부(10)의 상부에서부터 하폐수가 유입되어 하강유동하는 하강유동부(20)와, 상기 하강유동부(20)의 하부와 연결되어 하강유동부(20)를 통해 하강한 하폐수가 다시 상승하는 상승유동부(30)와, 상기 상승유동부(30) 내에 기포를 분사시켜 상승하는 하폐수의 플록에 기포를 부착시키기 위한 기포분사부(40)와, 상기 상승유동부(30)의 상부와 연통되어 하폐수가 미세기포가 접촉된 플록과 함께 유입되고, 미세기포가 접촉된 플록이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여 슬러지층을 형성하는 슬러지부상부(50)와, 상기 슬러지부상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집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배출부(60), 및 상기 슬러지부상부(50)의 수면에 떠있는 슬러지를 수집하여 슬러지배출부(60)에 투입하는 부상슬러지수집장치부(70)를 포함한다.
상기 플록발생부(10)는 하폐수에 약품을 투입하고 교반시킴으로써 플록을 발생시키고 성장시키는 부분으로서 유입되는 하폐수는 혼화조(11)와 응집조(13)를 순차적으로 거친다.
상기 혼화조(11)는 유입되는 하폐수에 응집제인 PAC와 폴리머를 주입시키고 혼화기(11a)에 의해 혼화시켜 플록이 생성된다. 응집조(13)는 혼화조(11)에서 플록이 생성된 하폐수가 유입되고 응집기(13a)로 교반하여 하폐수 중의 미세한 플록을 더 큰 입자로 성장시킨다.
상기 혼화조(11)에는 그 전단에 무동력혼화기(11b)가 설치되어 응집제 등이 미리 투입된 하폐수가 지그재그로 유동하면서 예비혼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혼화조(11)의 수조에서 혼화기(11a)에 의해 본 혼화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하강유동부(20)는 응집조(13)와 상부가 연통되어 응집조(13)의 하폐수가 유입되어 하강유동하는 부분이다.
하강유동부(20)는 상승유동부(30)에서 하폐수를 상승유동시키기 위해 상승유동부(30)의 하부에 하폐수를 공급하도록 유동을 안내한다.
하강유동부(20)는 제1안내벽체(21)와 제2안내벽체(22)에 의해 형성되고 그 사이로 하폐수의 유동이 안내된다. 즉, 응집부(20)와 구분되도록 제1안내벽체(21)가 설치되고 그 제1안내벽체(21)는 수면보다 상단이 낮거나 수면높이로 형성되어 응집부(20)의 하폐수가 월류하여 유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안내벽체(2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안내벽체(22)가 상승유동부(30)와 구분시키고 있고, 하강유동부(20)의 하부가 상승유동부(30)와 연통된다.
상기 상승유동부(30)는 제2안내벽체(22)와 상승안내벽체(31)에 의해 형성되어 그 제2안내벽체(22)와 상승안내벽체(31) 사이에서 하폐수가 상승유동한다. 제2안내벽체(22)는 하강유동부(20)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상승안내벽체(31)는 제2안내벽체(22)와 소정간격을 두고 바닥에서부터 상측방향으로 수중에 설치된다.
또한, 플록발생부(10)에서 유입되는 하폐수에 기포분사노즐(41,42)로부터 분사되는 미세기포를 접촉시켜 유입된 하폐수 중의 플록에 미세기포가 균등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미세기포와 접촉하여 미세기포가 부착된 플록은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면서 슬러지부상부(50)에서 수면에 슬러지층을 형성한다.
상기 기포분사부(40)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 하폐수의 처리수의 일부가 반송되어 공기를 포화시키고 기포분사노즐(41,42)로 공급하는 것이다. 기포분사노즐(41,42)에서 공기포화된 처리수가 분사되면, 과포화되어 있던 공기가 분리되면서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고 그 미세한 기포가 하폐수 중의 플록에 부착하면서 플록이 부상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기포분사부(40)는 다수의 노즐이 배열되되, 일측과 타측으로 서로 구분된 다수의 기포분사노즐(41,42)이 양측에 각각 배치(41과 42)되고, 서로 상향 경사방향으로 마주하여 분사시킨다.
이에 따라, 분사되는 기포분사노즐(41,42)의 미세기포들은 서로 부딪히면서 상승하는 플록과의 교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플록(고형물)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승유동부(30) 내에 상승하는 하폐수의 플록과 기포분사부(40)의 기포가 통과하면서 불규칙한 유동으로 서로 혼합되는 혼합유도체(35)가 더 설치된다.
상기 혼합유도체(35)는 통과하는 하폐수 및 기포의 유동방향이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하폐수 중의 플록과 기포의 접촉이 증가하고 고르게 접촉하도록 자연 교반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혼합유도체(35)는 소정높이를 가지도록 타공판이 다수의 층을 이루거나, 소정높이를 가지도록 서로 엉켜 있는 거물망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플록의 통과가 용이할 수 있도록 거물망의 눈의 크기는 10mesh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지부상부(50)는 상승유동부(30)의 상부와 연통되어 미세기포가 부착된 플록이 유입되는 부분이다. 유입된 플록은 그 유동이 느려지면서 미세기포가 부착된 플록이 부력에 의해 수면에 슬러지층을 형성한다.
슬러지부상부(50)에서 플록이 분리됨으로써 정화된 하폐수의 처리수는 하강하여 슬러지배출부(60)의 하측을 돌아 처리수배출부(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슬러지배출부(60)는 슬러지부상부(50)에서 수면에 형성된 슬러지층을 부상슬러지수집장치부(70)가 수집하여 투입함으로써 외부로 슬러지를 배출하는 부분이다.
상승유동부(30)와 슬러지배출부(60)는 소정거리를 두고 상기 슬러지부상부(50)에 설치되어 부상슬러지수집장치부(70)의 날개부재(72)가 상승유동부(30) 측에서 슬러지배출부(60) 측으로 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부상된 슬러지를 밀어 슬러지배출부(60)에 투하한다.
상기 부상슬러지수집장치부(70)는 슬러지부상부(50)의 수면에 플록이 부상하여 형성한 슬러지층을 수집하여 제거하는 것으로서, 수면에 떠있는 슬러지를 수집하여 슬러지배출부(60)로 밀어 투입한다.
부상슬러지수집장치부(70)는 수면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수평이동체인(74)과, 상기 수평이동체인(74)에 결합되어 하단이 수면에 접촉하면서 이동함으로써 슬러지부상부(50)의 수면에 떠있는 슬러지를 걷어 슬러지배출부(60)에 투입하는 날개부재(72)를 포함한다.
구동기(73)가 구동시키는 수평이동체인(74)의 무한궤도 운동에 따라 날개부재(72)는 하단이 수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므로 수면에 형성된 슬러지층을 밀게 되는 바, 슬러지층을 수집하여 슬러지배출부(60)에 투하한다.
슬러지배출부(60)와 슬러지부상부(50)는 분리격벽(63)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그 분리격벽(63)의 상단부에는 수면을 따라 날개부재(72)가 이동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고 날개부재(72)의 단부가 접촉하는 경사면(65)이 형성된다. 날개부재(72)의 하단이 그 경사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걷어온 슬러지가 그 경사면을 타고 넘어 슬러지배출부(60)에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슬러지배출부(60)의 하부에 고정되어 수중에서 상승유동부(30)를 향해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유동안내플레이트(80)가 설치된다.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80)는 상기 상승유동부(30)에서 슬러지부상부(50)로 진입하여 진행한 하폐수가, 슬러지배출부(60)에 막혀 하측방향으로 흐르고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는 유동패턴을 형성시켜, 하폐수와 함께 하강한 플록이 포집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플록의 포집이 원활할 수 있도록 유동안내플레이트(80)는 그 상면에 단턱(82)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82)은 다수개가 설치되어 각각 산형을 가지되, 전체적으로는 계단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형은 슬러지배출부(60)를 향하는 면(82a)이 슬러지배출부(60)를 향해 경사져 플록이 걸리는 플록포집면이 되도록 한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플록을 포함하는 하폐수가 하강하여 유동안내플레이트(80) 상면을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턱(82)에 플록이 더 잘 포집되도록 하기 위해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상면은 슬러지배출부(60)의 하부측에서부터 상승유동부(30) 측을 향해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한다.
이는 하폐수의 유동을 따라 이동하는 플록은 유동안내플레이트(80)에 의해 그 유동방향이 꺾일 때 하측방향으로의 관성력을 가지므로,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상면을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하면 그 꺾이는 각도가 더 커지게 되어 단턱(82)에 보다 잘 걸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단턱(82)에 걸려든 플록은 소정시간간격으로 제거되어야 하므로, 슬러지부상부(50)의 측벽에 플록흡입구(83)가 설치된다.
상기 플록흡입구(83)는 1개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고, 주기적 시간간격으로 개방되어 슬러지부상부(50)의 하폐수와 함께 단턱(82)에 걸린 플록들이 흡입되어 배출된다.
플록흡입구(83)에 의해 배출되는 플록과 하폐수는 상기 하강유동부(20)로 환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단턱(82)에 걸려 포집된 플록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플록흡입구(83)는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8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동안내플레이트(80)에 설치된 플록흡입구(82b)는 상기 단턱(82)에서 슬러지배출부(60)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개방된 수평의 슬릿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내부에 플록흡입구(82b)와 연결된 플록흡입로(84)가 설치되고, 플록흡입로(84)는 제어기(88)에 의해 개폐밸브(87)가 설정시점에 개방되어 포집된 플록 및 하폐수를 함께 소정량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단턱(82)에 플록흡입구(82b)를 형성하는 구성은, 포집된 플록의 흡입이 보다 용이하고, 작은 양의 하폐수를 플록흡입로(84)를 통해 배출하더라도 단턱(82)에 포집된 플록을 깨끗하게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처리장치에서 단턱(82)을 구비한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승유동부(30)에서 미세기포와 함께 상승하는 하폐수는 혼합유도체(35)를 통과하면서 미세기포와 하폐수의 플록이 서로 활발하게 접촉하여 미세기포가 부착된 플록은 슬러지부상부(50)에서 수면에 부상한다.
이에 따라 슬러지부상부(50)의 수면에는 슬러지층이 형성되고, 부상슬러지수집장치부(70)의 날개부재(72)가 슬러지층을 밀어 슬러지배출부(60)에 투하함으로써 제거한다.
상승유동부(30)의 상부에서 슬러지부상부(50)로 진입한 하폐수는 슬러지배출부(60)가 상승유동부(30)와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슬러지부상부(50)의 상층에서 슬러지배출부(60)로 진행한다.
이후, 하폐수의 유동이 슬러지배출부(60)에 막혀 하측방향으로 흐르는 시점에서, 수면에 부상하지 못하는 슬러지들이 하폐수의 유동과 함께 유동하여 슬러지배출부(60)의 벽체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하강하기 시작한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하측방향으로 유동하는 하폐수는 슬러지배출부(60)의 하부에서 상승유동부(30)를 향해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유동안내플레이트(80)를 만나, 상승유동부(30)가 위치하는 측으로 유동방향이 꺾이게 된다.
즉, 유동안내플레이트(80) 상측부근에서의 하폐수의 유동은 슬러지부상부(50)의 수면부근에서의 하폐수의 유동방향과 반대가 된다.
이때, 하폐수와 함께 하강하던 플록이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상면을 따라 유동이 급격하게 꺾이게 되면서 플록은 그 관성에 의해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단턱(82)에 걸리고 단턱(82)의 구석진 부분에 수집된다.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상면이 경사져 있고, 그 상면에 단턱(82)이 순차적으로 다수개 설치됨으로써, 그 상면을 만나는 영역에서 유동방향이 급격하게 꺾이게 되고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플록들은 단턱(82)에 걸리게 된다.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단턱(82)에 의해 플록이 제거된 하폐수의 처리수는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끝단부를 돌아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하측으로 유동하면서 슬러지배출부(60)의 하측을 통과하여 상승한다. 이후, 처리수배출부(90)를 통해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로서 배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단턱(82)에 걸린 플록들은 플록흡입구(82b,83)가 주기적으로 개방됨으로써 하폐수와 함께 빨려들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플록발생부 11; 혼화조
11a; 혼화기 11b; 무동력혼화기
13; 응집조 13a; 응집기
20; 하강유동부 21; 제1안내벽체
22; 제2안내벽체 30; 상승유동부
35; 혼합유도체 40; 기포분사부
41,42; 기포분사노즐 50; 슬러지부상부
60; 슬러지배출부 63; 분리격벽
65; 경사면 70; 부상슬러지수집장치부
72; 날개부재 73; 구동기
74; 수평이동체인 80; 유동안내플레이트
82; 단턱 82a; 면
82b; 플록흡입구 83; 플록흡입구
84; 플록흡입로 87; 개폐밸브
88; 제어기 90; 처리수배출부

Claims (5)

  1. 유입되는 하폐수에 응집제를 혼화하여 플록을 생성시키고, 교반하여 하폐수 중의 플록을 성장시키는 플록발생부(10);
    상기 플록발생부(10)로부터 유입된 하폐수가 상승하는 상승유동부(30);
    상기 상승유동부(30) 내에 기포를 분사시켜 상승하는 상기 하폐수의 플록에 기포를 부착시키기 위한 기포분사부(40);
    상기 상승유동부(30)의 상부와 연통되어 상기 하폐수가 상기 기포가 접촉된 플록과 함께 유입되고, 상기 기포가 접촉된 플록이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여 슬러지층을 형성하는 슬러지부상부(50);
    상기 슬러지부상부(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집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배출부(60); 및,
    상기 슬러지부상부(50)의 수면에 떠있는 슬러지를 수집하여 상기 슬러지배출부(60)에 투입하는 부상슬러지수집장치부(70)를 포함하여,
    상기 상승유동부(30)와 상기 슬러지배출부(60)는 소정거리를 두고 상기 슬러지부상부(50)에 설치되어 상기 부상슬러지수집장치부(70)의 날개부재(72)가 상기 상승유동부(30) 측에서 상기 슬러지배출부(60) 측으로 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부상된 슬러지를 밀어 상기 슬러지배출부(60)에 투하하되,
    상기 슬러지배출부(60)의 하부에 고정되어 수중에서 상기 상승유동부(30)를 향해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유동안내플레이트(80)가 설치되고,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80)는 그 상면에 형성된 단턱(82)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상승유동부(30)에서 상기 슬러지부상부(50)로 진입하여 진행한 하폐수가, 상기 슬러지배출부(60)에 막혀 하측방향으로 흐르고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는 유동패턴을 형성시켜, 하폐수와 함께 하강한 플록이 상기 단턱(82)에 걸리도록 한 것이며,
    상기 슬러지부상부(50)의 측벽 또는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80)에는 상기 단턱(82)에 걸려 포집된 플록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플록흡입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상면은 슬러지배출부(60)의 하부측에서부터 상기 상승유동부(30) 측을 향해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상기 단턱(82)은 다수개가 설치되어 각각 산형을 가지되, 상기 산형은 상기 슬러지배출부(60)를 향하는 면이 상기 슬러지배출부(60)를 향해 경사져 플록이 걸리는 플록포집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록흡입구는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8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턱(82)에서 상기 슬러지배출부(60)를 향하는 면에 수평의 슬릿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유동안내플레이트(80)의 내부에 상기 플록흡입구와 연결된 플록흡입로(84)가 설치되고,
    상기 플록흡입로(84)와 연결된 개폐밸브(87)와 그 개폐밸브(87)를 제어하는 제어기(88)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플록흡입로(84)는 상기 제어기(88)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87)가 설정시점에 개방되어, 포집된 플록 및 하폐수를 함께 소정량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유동부(30) 내에는,
    상승하는 하폐수의 플록과 상기 기포분사부(40)의 기포가 통과하면서 불규칙한 유동으로 서로 혼합되도록 하는 혼합유도체(35)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장치
KR1020160099346A 2016-08-04 2016-08-04 슬러지의 부상분리 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KR101707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346A KR101707776B1 (ko) 2016-08-04 2016-08-04 슬러지의 부상분리 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346A KR101707776B1 (ko) 2016-08-04 2016-08-04 슬러지의 부상분리 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776B1 true KR101707776B1 (ko) 2017-02-16

Family

ID=5826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346A KR101707776B1 (ko) 2016-08-04 2016-08-04 슬러지의 부상분리 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7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3357A (zh) * 2018-06-26 2018-11-13 深圳市安思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混凝沉淀法的污水处理装置
KR20190005332A (ko) * 2017-07-06 2019-01-1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존 공기 부상 수처리 장치
KR102019903B1 (ko) * 2019-04-08 2019-09-11 주식회사 티에스케이워터 오목 홈이 형성된 바닥이 구비되고 미세기포수 공급관의 위치가 조절된 미세기포 접촉부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
KR102169725B1 (ko) * 2020-05-15 2020-10-23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KR20240025103A (ko) 2022-08-17 2024-02-27 다음기술 주식회사 인젝터 혼합식 가압부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844Y1 (ko) * 2006-01-20 2006-06-26 유니엔스(주) 오존 및 경사판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0671047B1 (ko) * 2005-05-02 2007-01-17 이영철 오폐수 처리장치
JP2010012370A (ja) * 2008-07-01 2010-01-21 Univ Of Tsukuba 汚濁物浮上分離回収方法及び装置
KR101531237B1 (ko) * 2015-01-07 2015-06-24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하폐수의 총인처리가 가능한 가압부상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047B1 (ko) * 2005-05-02 2007-01-17 이영철 오폐수 처리장치
KR200419844Y1 (ko) * 2006-01-20 2006-06-26 유니엔스(주) 오존 및 경사판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JP2010012370A (ja) * 2008-07-01 2010-01-21 Univ Of Tsukuba 汚濁物浮上分離回収方法及び装置
KR101531237B1 (ko) * 2015-01-07 2015-06-24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하폐수의 총인처리가 가능한 가압부상분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332A (ko) * 2017-07-06 2019-01-1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존 공기 부상 수처리 장치
KR101952024B1 (ko) * 2017-07-06 2019-02-2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존 공기 부상 수처리 장치
CN108793357A (zh) * 2018-06-26 2018-11-13 深圳市安思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混凝沉淀法的污水处理装置
KR102019903B1 (ko) * 2019-04-08 2019-09-11 주식회사 티에스케이워터 오목 홈이 형성된 바닥이 구비되고 미세기포수 공급관의 위치가 조절된 미세기포 접촉부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
KR102169725B1 (ko) * 2020-05-15 2020-10-23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KR20240025103A (ko) 2022-08-17 2024-02-27 다음기술 주식회사 인젝터 혼합식 가압부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776B1 (ko) 슬러지의 부상분리 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KR101722099B1 (ko) 미세기포의 안정적 발생구조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수처리장치
US4490259A (en) Flotation apparatus and process utilizing a novel mixing and floc dispersion means
KR101844734B1 (ko) 부상분리식 하폐수처리장치
EP3090806A1 (en) Injection type dissolved air flot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281514B1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KR100992430B1 (ko) 침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ㆍ폐수 처리 장치
US56628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non-soluble particles from a liquid
KR101964832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1531237B1 (ko) 하폐수의 총인처리가 가능한 가압부상분리장치
RU2303000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флота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воды
KR101584608B1 (ko) 조류제거장치
US20150291444A1 (en) Rapid flotation device for water laden with suspended matter,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JP2007069104A (ja) 濁水処理装置
KR101964828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1723161B1 (ko) 처리수의 자체순환구조를 갖는 고액분리 부상장치
CA1116322A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impure liquids
KR101715564B1 (ko)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JP3017100B2 (ja) 脱気槽
KR200212210Y1 (ko)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JP6127317B2 (ja) 分離洗浄処理装置
KR101586628B1 (ko) 상·하수 슬러지 분리침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 처리 방법
KR102118704B1 (ko) 정수장 침전지 유출수 탁도를 0.5 ntu 이하로 감소시키는 정수처리 장치
KR101590142B1 (ko) 수처리장치
KR20210117421A (ko) 유량변동에 대응 가능한 용존 공기 부상 유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