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725B1 -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 Google Patents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725B1
KR102169725B1 KR1020200058028A KR20200058028A KR102169725B1 KR 102169725 B1 KR102169725 B1 KR 102169725B1 KR 1020200058028 A KR1020200058028 A KR 1020200058028A KR 20200058028 A KR20200058028 A KR 20200058028A KR 102169725 B1 KR102169725 B1 KR 102169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ixing
wall
coagulation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Priority to KR102020005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8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provided with flocculat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5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vortex inducer or vortex guide, e.g.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01F3/04248
    • B01F5/0057
    • B01F7/2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존공기 분사식 가압부상조를 이용해 오염물질을 부상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에 관한 것으로, 정수될 원수와 약품을 유입받아 혼화 및 응집 공정을 수행하는 혼화 응집조; 및 상기 혼화 응집조에 의해 형성된 플럭을 부상시켜 제거하는 가압부상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WATER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존공기 분사식 가압부상조를 이용해 오염물질을 부상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에 관한 것이다.
가압 부상조(Dissolved Air Flotation)는 배수 중의 부유물질을 물의 표면으로 떠오르도록 하여 분리 제거하는 장치로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처리할 배수에 공기를 용해시키고 이를 대기 중에 개방하면 배수 중에 용해되어 있는 공기가 다수의 미세한 기포가 되어 상승하게 되며 이때 물속의 부유물질 주위에 부착하여 부유물의 비중을 감소시키므로 부유물이 물 위로 떠오르도록 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부유물을 제거하는 장치는 한 쌍의 체인에 의하여 이동하는 스크레퍼가 부상분리조의 상부를 쓸듯이 이동하여 부유물을 일측으로 이동시킨 후 인접한 수집조로 떨어지도록 하여 부유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2767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3081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최초 유입된 원수와 약품을 혼화 및 응집 공정을 수행하며,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서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하여 부상분리조 내에서 형성된 플럭이 부착 및 부상되면 상부 부상 슬러지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처리수는 하부 집수관에 의하여 방류 처리하는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는, 정수될 원수와 약품을 유입받아 혼화 및 응집 공정을 수행하는 혼화 응집조; 및 상기 혼화 응집조에 의해 형성된 플럭을 부상시켜 제거하는 가압부상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혼화 응집조는, 정수될 원수와 약품을 유입받아 내부 공간에서 혼화 공정을 수행하는 혼화조; 및 상기 혼화조에서 혼화 공정이 수행된 원수를 전달받아 응집 공정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집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혼화조는, 유입되는 원수가 수용되는 혼화 수조; 회전면서 상기 혼화 수조에 수용된 원수를 교반시키는 혼화용 교반 날개; 상기 혼화 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혼화 수조의 바닥면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혼화용 교반 날개의 형태에 대응하여 "S"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두 개의 둔턱이 직교하여 형성되는 둔턱이 상측에 형성되는 제1 바닥 구조물; 및 상기 혼화 수조의 측면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혼화 수조의 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벽면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집조는, 상기 혼화조로부터 유입되는 원수가 수용되는 응집 수조; 회전면서 상기 응집 수조에 수용된 원수를 교반시키는 응집용 교반 날개; 상기 응집 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응집 수조의 바닥면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S"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두 개의 둔턱이 직교하여 형성되는 둔턱이 상측에 형성되는 제2 바닥 구조물; 및 상기 응집 수조의 측면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응집 수조의 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벽면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상조는, 상기 혼화 응집조에 의해 형성된 플럭을 부상시키는 부상분리조; 상기 부상분리조에서 플록이 부착되어 부상하기 위한 마이크로 버블을 상기 부상분리조로 공급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상기 부상분리조의 상측으로 부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부상 슬러지 제거부; 상기 부상분리조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부상 슬러지 제거부에 의하여 제거된 슬러지를 전달받아 배출시키는 수집조; 및 집수관을 통해 상기 부상분리조로부터 정수된 처리수를 전달받아 방류시키는 처리수 방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상분리조는, 상기 혼화 응집조의 전면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후면을 형성하는 후단 벽체의 하측에 형성되는 전달 통로를 통해 상기 상기 혼화 응집조로부터 원수를 전달받아 저장해 두는 저수부; 상기 전달 통로로부터 이격된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에 하측이 설치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저수부의 전단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혼화 응집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벽체를 형성하는 제1 가이드 벽체; 전단이 상기 저수부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저수부의 전단으로 이동한 원수가 하강시 상측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저수부의 후단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 방향으로 기울어져 경사진 벽체를 형성하는 제2 가이드 벽체; 및 상기 전달 통로와 상기 제1 가이드 벽체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는 제1 버블 노즐과 제2 버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단 벽체는, 상기 전달 통로를 통해 전달되는 원수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벽체 하부를 따라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관통홀;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벽체 하부를 따라 상기 제1 관통홀보다 작은 지름의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관통홀; 및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벽체 하부를 따라 상기 제2 관통홀보다 작은 지름의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3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상 슬러지 제거부는, 상기 부상분리조의 상단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며, 양측에는 각각 구동 스프라켓이 장착되고, 양측 끝단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1 가이드하우징을 -구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이 설치된 상기 부상분리조의 반대편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양측에는 각각 종동 스프라켓이 장착되고, 양측 끝단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2 가이드하우징을 구비하는 종동축;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종동 스프라켓을 연결 장착되는 한 쌍의 체인;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기 체인과 연결 고정시키는 고정링크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어 돌출되는 가이드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장착되는 평판형상을 가진 다수 개의 스크레퍼; 및 "ㄱ" 형태의 각관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부상분리조의 양측 벽면에 상하 한 쌍이 평행하게 이격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수평면이 상기 가이드편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편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끝단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끝단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전단이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부 경사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경사 플레이트와 대칭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전단이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부 경사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원수에 포함된 슬러지와 공급되는 약품이 화학적으로 교반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혼화조 하부에 프로펠러 형태를 구비함으로써, 스컴 생성을 촉진할 수 있고, 미세기포 발생범위를 넓혀 결합되지 못한 슬러지까지 수면에서 제거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혼화조 및 응집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부상분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후단 벽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부상 슬러지 제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스크레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가이드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1)는, 혼화 응집조(10) 및 가압부상조(20)를 포함한다.
혼화 응집조(10)는, 정수될 원수와 약품을 유입받으며, 약품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약품 펌프를 통해 전달받아 원수와 교반시키면서 혼화 및 응집 공정을 수행한 뒤 가압부상조(2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혼화 응집조(10)는, 혼화조(1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집조(200)를 포함할 수 있다.
혼화조(100)는, 정수될 원수와 약품을 유입받아 내부 공간에서 혼화 공정을 수행한다.
응집조(200a, 200b)는, 혼화조(100)에서 혼화 공정이 수행된 원수를 전달받아 응집 공정을 수행한 뒤 가압부상조(20)로 전달한다.
가압부상조(20)는, 혼화 응집조(10)에 의해 형성된 플럭을 부상시켜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압부상조(20)는, 부상분리조(300),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400), 부상 슬러지 제거부(500), 수집조(600) 및 처리수 방류조(7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상분리조(300)는, 혼화 응집조(10)에 의해 형성된 플럭을 부상시킨다.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400)는, 부상분리조(300)에서 플록이 부착되어 부상하기 위한 마이크로 버블을 부상분리조(300)로 공급한다.
부상 슬러지 제거부(500)는, 부상분리조(300)의 상측으로 부상된 슬러지(S)를 제거한다.
수집조(600)는, 부상분리조(300)의 전단에 설치되며, 부상 슬러지 제거부(500)에 의하여 제거된 슬러지를 전달받아 배출시킨다.
처리수 방류조(700)는, 집수관(710)을 통해 부상분리조(300)로부터 정수된 처리수를 전달받아 방류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1)는, 원수에 포함된 슬러지와 공급되는 약품이 화학적으로 교반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혼화조 하부에 프로펠러 형태를 구비함으로써, 스컴 생성을 촉진할 수 있고, 미세기포 발생범위를 넓혀 결합되지 못한 슬러지까지 수면에서 제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혼화조 및 응집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혼화조(100)는, 혼화 수조(110), 혼화용 교반 날개(120), 제1 바닥 구조물(130) 및 제1 벽면 구조물(140)을 포함한다.
혼화 수조(110)는, 유입되는 원수가 수용된다.
혼화용 교반 날개(120)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화 수조(110)에 수용된 원수를 교반시킨다.
제1 바닥 구조물(13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화 수조(11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혼화 수조(110)의 바닥면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S"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두 개의 둔턱이 직교하여 형성되는 둔턱이 상측에 형성된다.
제1 벽면 구조물(140)은, 혼화 수조(110)의 측면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혼화 수조(110)의 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응집조(200)는, 응집 수조(210), 응집용 교반 날개(220), 제2 바닥 구조물(230) 및 제1 벽면 구조물(240)을 포함한다.
응집 수조(210)는, 혼화조(100)로부터 유입되는 원수가 수용된다.
응집용 교반 날개(220)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면서 응집 수조(210)에 수용된 원수를 교반시킨다.
제2 바닥 구조물(23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집 수조(21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응집 수조(210)의 바닥면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S"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두 개의 둔턱이 직교하여 형성되는 둔턱이 상측에 형성된다.
제1 벽면 구조물(240)은, 응집 수조(210)의 측면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응집 수조(210)의 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부상분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부상분리조(300)는, 저수부(310), 제1 가이드 벽체(320), 제2 가이드 벽체(330), 제1 버블 노즐(340) 및 제2 버블 노즐(350)을 포함한다.
저수부(310)는, 혼화 응집조(10)의 전면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후면을 형성하는 후단 벽체(36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전달 통로(370)를 통해 혼화 응집조(10)로부터 원수를 전달받아 저장해 둔다.
제1 가이드 벽체(320)는, 전달 통로(370)로부터 이격된 저수부(310)의 바닥면에 하측이 설치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저수부(310)의 전단 방향으로 기울어져 혼화 응집조(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벽체를 형성한다.
제2 가이드 벽체(330)는, 전단이 저수부(310)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저수부(310)의 전단으로 이동한 원수가 하강시 상측 경사면을 따라 저수부(310)의 후단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후단으로 갈수록 저수부(310)의 바닥면 방향으로 기울어져 경사진 벽체를 형성한다.
제1 버블 노즐(340)과 제2 버블 노즐(350)은, 전달 통로(370)와 제1 가이드 벽체(320)의 후단 사이에 서로 근접하여 설치되어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400)로부터 공급되는 마이크로 버블을 각각 분사한다.
일 실시예에서, 후단 벽체(3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통로(370)를 통해 전달되는 원수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벽체 하부를 따라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관통홀(361),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벽체 하부를 따라 제1 관통홀(361)보다 작은 지름의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관통홀(362) 및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벽체 하부를 따라 제2 관통홀(362)보다 작은 지름의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3 관통홀(36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부상 슬러지 제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부상 슬러지 제거부(500)는, 구동축(510), 종동축(520), 한 쌍의 체인(530), 다수 개의 스크레퍼(540) 및 가이드레일(550)을 포함한다.
구동축(510)은, 부상분리조(300)의 상단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며 모터(511)에 의하여 회전하며, 양측에는 각각 구동 스프라켓(512)이 장착되고, 양측 끝단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1 가이드하우징(513)을 -구비하며,
종동축(520)은, 구동축(510)이 설치된 부상분리조(300)의 반대편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양측에는 각각 종동 스프라켓(521)이 장착되고, 양측 끝단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2 가이드하우징(522)을 구비한다.
체인(530)은, 구동 스프라켓(512)과 종동 스프라켓(521)을 연결 장착된다.
스크레퍼(5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510)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고정브라켓(541)과, 고정브라켓(541)을 체인(530)과 연결 고정시키는 고정링크(542)와, 고정브라켓(541)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어 돌출되는 가이드편(543)을 구비하고 고정브라켓(541)에 장착되는 평판형상을 가진다.
가이드레일(550)은, "ㄱ" 형태의 각관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부상분리조(300)의 양측 벽면에 상하 한 쌍이 평행하게 이격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수평면(550a)이 가이드편(543)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어 가이드편(543)의 이동을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집조(600)는, 구동 스프라켓(512)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레퍼(540)의 단부가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스크레퍼(540)에 의해 제거되는 슬러지를 부상분리조(3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도록 스크레퍼(540)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여 둥글게 함몰 형성되는 밀착면(820)을 형성하는 상부 구조물(800)이 부상분리조(300)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61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가이드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편(543)은, 상부 플레이트(5431), 하부 플레이트(5432), 상부 경사 플레이트(5433) 및 하부 경사 플레이트(5434)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5431)는, 고정브라켓(541)의 끝단에 설치되는 바디(543a)의 단부 상측에 설치된다.
하부 플레이트(5432)는, 상부 플레이트(5431)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고정브라켓(541)의 끝단에 설치되는 바디(543a)의 단부 상측에 설치된다.
상부 경사 플레이트(5433)는, 상부 플레이트(5431)와 하부 플레이트(5432) 사이의 공간으로 가이드레일(550)의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부 플레이트(5431)의 전단이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하부 경사 플레이트(5434)는, 상부 플레이트(5431)와 하부 플레이트(5432) 사이의 공간으로 가이드레일(550)의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부 경사 플레이트(5433)와 대칭구조를 형성하며 하부 플레이트(5432)의 전단이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이드편(543)은, 가이드레일(550)을 따라 이동이 유도됨으로써, 스크레퍼(540)가 안정적으로 슬러지(S)를 모아 수집조(600)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10: 혼화 응집조
20: 가압부상조
100: 혼화조
200: 응집조
300: 부상분리조
400: 버블 발생장치
500: 부상 슬러지 제거부
600: 수집조
700: 처리수 방류조
800: 상부 구조물

Claims (2)

  1. 정수될 원수와 약품을 유입받아 혼화 및 응집 공정을 수행하는 혼화 응집조; 및
    상기 혼화 응집조에 의해 형성된 플럭을 부상시켜 제거하는 가압부상조;를 포함하되,
    상기 혼화 응집조는, 정수될 원수와 약품을 유입받아 내부 공간에서 혼화 공정을 수행하는 혼화조; 및 상기 혼화조에서 혼화 공정이 수행된 원수를 전달받아 응집 공정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집조;를 포함하며,
    상기 혼화조는, 유입되는 원수가 수용되는 혼화 수조; 회전면서 상기 혼화 수조에 수용된 원수를 교반시키는 혼화용 교반 날개; 상기 혼화 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혼화 수조의 바닥면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S"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두 개의 둔턱이 직교하여 형성되는 둔턱이 상측에 형성되는 제1 바닥 구조물; 및 상기 혼화 수조의 측면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혼화 수조의 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벽면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응집조는, 상기 혼화조로부터 유입되는 원수가 수용되는 응집 수조; 회전면서 상기 응집 수조에 수용된 원수를 교반시키는 응집용 교반 날개; 상기 응집 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응집 수조의 바닥면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S"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두 개의 둔턱이 직교하여 형성되는 둔턱이 상측에 형성되는 제2 바닥 구조물; 및 상기 응집 수조의 측면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응집 수조의 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벽면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상조는, 상기 혼화 응집조에 의해 형성된 플럭을 부상시키는 부상분리조; 상기 부상분리조에서 플록이 부착되어 부상하기 위한 마이크로 버블을 상기 부상분리조로 공급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상기 부상분리조의 상측으로 부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부상 슬러지 제거부; 상기 부상분리조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부상 슬러지 제거부에 의하여 제거된 슬러지를 전달받아 배출시키는 수집조; 및 집수관을 통해 상기 부상분리조로부터 정수된 처리수를 전달받아 방류시키는 처리수 방류조;를 포함하며,
    상기 부상분리조는, 상기 혼화 응집조의 전면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후면을 형성하는 후단 벽체의 하측에 형성되는 전달 통로를 통해 상기 상기 혼화 응집조로부터 원수를 전달받아 저장해 두는 저수부; 상기 전달 통로로부터 이격된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에 하측이 설치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저수부의 전단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혼화 응집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벽체를 형성하는 제1 가이드 벽체; 전단이 상기 저수부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저수부의 전단으로 이동한 원수가 하강시 상측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저수부의 후단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 방향으로 기울어져 경사진 벽체를 형성하는 제2 가이드 벽체; 및 상기 전달 통로와 상기 제1 가이드 벽체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는 제1 버블 노즐과 제2 버블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후단 벽체는, 상기 전달 통로를 통해 전달되는 원수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벽체 하부를 따라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관통홀;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벽체 하부를 따라 상기 제1 관통홀보다 작은 지름의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관통홀; 및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벽체 하부를 따라 상기 제2 관통홀보다 작은 지름의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3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부상 슬러지 제거부는, 상기 부상분리조의 상단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며, 양측에는 각각 구동 스프라켓이 장착되고, 양측 끝단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1 가이드하우징을 -구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이 설치된 상기 부상분리조의 반대편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양측에는 각각 종동 스프라켓이 장착되고, 양측 끝단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2 가이드하우징을 구비하는 종동축;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종동 스프라켓을 연결 장착되는 한 쌍의 체인;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기 체인과 연결 고정시키는 고정링크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어 돌출되는 가이드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장착되는 평판형상을 가진 다수 개의 스크레퍼; 및 "ㄱ" 형태의 각관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부상분리조의 양측 벽면에 상하 한 쌍이 평행하게 이격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수평면이 상기 가이드편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편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끝단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끝단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전단이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부 경사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경사 플레이트와 대칭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전단이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부 경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2. 삭제
KR1020200058028A 2020-05-15 2020-05-15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KR102169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028A KR102169725B1 (ko) 2020-05-15 2020-05-15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028A KR102169725B1 (ko) 2020-05-15 2020-05-15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725B1 true KR102169725B1 (ko) 2020-10-23

Family

ID=7303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028A KR102169725B1 (ko) 2020-05-15 2020-05-15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7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1702B2 (ja) * 2005-03-25 2009-06-17 栗田工業株式会社 加圧浮上分離装置
KR100927673B1 (ko) 2009-06-12 2009-11-20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용존공기 분사식 가압부상조
KR101130816B1 (ko) 2009-11-02 2012-04-12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초미세 기포 회전분사식 가압부상조
KR101140769B1 (ko) * 2011-03-22 2012-05-23 이미애 가압부상조
KR101707776B1 (ko) * 2016-08-04 2017-02-16 김경규 슬러지의 부상분리 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KR101910856B1 (ko) * 2018-02-21 2018-10-23 (주) 삼진정밀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스컴 슬러지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1702B2 (ja) * 2005-03-25 2009-06-17 栗田工業株式会社 加圧浮上分離装置
KR100927673B1 (ko) 2009-06-12 2009-11-20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용존공기 분사식 가압부상조
KR101130816B1 (ko) 2009-11-02 2012-04-12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초미세 기포 회전분사식 가압부상조
KR101140769B1 (ko) * 2011-03-22 2012-05-23 이미애 가압부상조
KR101707776B1 (ko) * 2016-08-04 2017-02-16 김경규 슬러지의 부상분리 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KR101910856B1 (ko) * 2018-02-21 2018-10-23 (주) 삼진정밀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스컴 슬러지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099B1 (ko) 미세기포의 안정적 발생구조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수처리장치
KR100931987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상수, 중수, 하수 및 오폐수를 정화하는 수처리 장치
KR101281514B1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KR101271212B1 (ko) 호소 내 조류제거 및 수질정화 장치
KR100902189B1 (ko) 초미세기포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장치
KR101964832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1844734B1 (ko) 부상분리식 하폐수처리장치
KR101020238B1 (ko) 나노 입자 공기 부상을 이용한 하ㆍ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964828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CN114401891A (zh) 浮油的回收处理装置
KR100398490B1 (ko) 가압 부상조
KR101964830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2169725B1 (ko) 가압부상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KR101652158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1723161B1 (ko) 처리수의 자체순환구조를 갖는 고액분리 부상장치
KR101807776B1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가압부상분리장치
KR102406062B1 (ko) 미세 플라스틱 제거가 가능한 해조류 세척 장치
JP3017100B2 (ja) 脱気槽
KR101270236B1 (ko) 기포를 이용한 유분 분리장치
KR200245294Y1 (ko) 가압 부상조
KR102162015B1 (ko) 임시침전지구조를 갖는 아치형 부상분리장치
KR102195868B1 (ko) 단일 반응조형 가압부상 시스템
KR101989834B1 (ko) 오폐수 처리장치
CN110272143A (zh) 用于净化页岩气开采过程中的污水的装置
KR101999620B1 (ko) 부상슬러지 및 침전슬러지의 동시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