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177A - 고효율 양이온 기포 발생장치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효율 양이온 기포 발생장치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177A
KR20150137177A KR1020140064331A KR20140064331A KR20150137177A KR 20150137177 A KR20150137177 A KR 20150137177A KR 1020140064331 A KR1020140064331 A KR 1020140064331A KR 20140064331 A KR20140064331 A KR 20140064331A KR 20150137177 A KR20150137177 A KR 20150137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tion
bubble generator
bubbles
circul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강명수
서승호
Original Assignee
(주)탑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탑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64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7177A/ko
Publication of KR20150137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02F2001/46185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only anodic or acidic water, e.g. for oxidizing or sterili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Abstract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러한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은 미세기포 발생부와 미세기포 발생부로부터 전달받은 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처리수를 전기분해하는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는 전달받은 미세기포를 양으로 하전된 기포로 변환하여 다량의 양이온 기포를 부상조로 투입한다. 다수개의 전극판의 양극부에서는 다가의 금속이온이 발생되고 음극부에서는 수소가 발생된다. 따라서 다량의 양이온 버블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고형물을 부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효율 양이온 기포 발생장치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및 양이온 기포 발생장치{FLOATATION SYSTEM WITH HIGH EFFICIENCY POSITIVE CHARGE BURBLE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처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효율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및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관한 것이다.
최근 수처리 분야에서 미세 기포 발생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는 처리수 내에서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서 처리수 내 고형물 입자들이 기포와 충돌하여 부상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미세기포는 그 용도가 다양하고 넓어서 수처리 외에도 생태계 복원을 위해 다양하게 이용된다. 일례로 공기를 미세기포로 만들어 폐쇄성 수역에 공급하면 용존산소량을 상승시켜 수질개선과 생태계 복원에 큰 역할을 하게 된다.
미세기포를 이용한 부상분리 공정을 적용하기 위해 수중에 용해되어 있는 분자 또는 이온을 응집해야한다. 응집이란 수중 콜로이드의 화학적 개량을 위하여 응집제를 교반하여 콜로이드 및 미세입자를 불 안정화시켜 부착시키는 공정이다.
수중 콜로이드는 일반적인 크기가 0.001 ~ 1μm이고 단위 체적 당 매우 큰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서 물 분자와 이온과 같은 물질을 흡착하는 경향이 있고 이 때문에 음의 전하를 가진다. 따라서 응집제에서 나온 양의 전하는 콜로이드 표면에 흡착되고 중화되어 전기적 반발력을 상실하며 상호 근접 접촉이 가능해 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응집제는 액체 황산알루미늄, PAC(Poly Aluminium Chloride), 황산알루미늄, 황산제일철, 황산제이철 등이 있다.
또한, 최근 전국 하수처리장에서 사용된 처리 약품 중 응집제의 사용량이 80%이며, 소요비용이 커서 하수처리장 운영비용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하수처리장에서 사용되는 응집제의 사용량의 절감은 생태계 유지와 처리장 유지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하수처리장에서 응집제의 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양이온의 미세기포를 사용하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양이온을 얻는 방법으로는 전기분해를 이용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해 묽은 황산 나트륨 수용액에 전류를 통과시키면 전기분해 반응이 일어난다. 전기분해 반응은 용액 중에서 이온이 전류를 운반하면서 일으키는 산화-환원반응이다. 용액 중에 전류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황산나트륨을 이용한다. 이러한 전기분해 전기에서는 전기에너지가 물을 생성시키는 수소와 산소 간의 반응을 역행시켜 수소 기체와 산소 기체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한국특허출원 10-2000-0003239와 같은 기존의 장치는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 발생량이 적기 때문에 현장에 적용하여 하수처리를 한다면 소모되는 전력이 매우 커서 경제성이 없으며, 응집된 플럭과 스케일이 전극에 쌓여 유지 관리 및 처리효율이 떨어진다.
한국특허출원 10-2000-0003239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이온 기포를 다량으로 생성할 수 있는 고효율의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개선된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고효율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는: 전달받은 오염수가 처리되는 부상조; 상기 부상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순환시키는 순환수 순환라인; 상기 순환수 순환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부상조로 투입되는 순환수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 발생부; 및 상기 미세기포 발생부로부터의 순환수의 일부 또는 전부에 양이온 기포를 발생시켜서 상기 부상조로 투입하도록 배치되는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기포 및 상기 양이온 기포에 의해 상기 부상조에서 부상분리가 발생된다.
상기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는, 양극부에서는 다가의 금속이온이 발생되고 음극부에서는 수소가 발생되는 전기분해 장치이다.
상기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는, 상기 미세기포 발생부와 상기 부상조 사이에 배치되어 미세기포가 포함된 순환수를 전달받고, 상기 미세기포 발생부로부터 전달받은 순환수 내의 미세기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다가의 금속이온을 통해 양으로 하전된 기포로 변환시켜서 상기 부상조로 투입한다.
오염수 또는 원수를 응집처리하여 상기 부상조로 전달하는 응집반응조 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집반응조 설비에 응집제를 공급하는 약품공급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일측에 순환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순환수가 유출부를 구비하는 통형 바디; 및 상기 통형 바디 내부에 순환수의 흐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극과 음극이 교번적으로 장착된 다수개의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부의 다수개의 전극판에서는 다가의 금속이온이 발생되고 상기 음극부의 다수개의 전극판에서는 수소가 발생된다.
상기 통형 바디 내부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순환수의 흐름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진 제1경사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형 바디 내부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순환수의 흐름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진 제2경사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경사판은 상기 유출부로 순환수를 모으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에서는 미세기포 발생부가 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처리수를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다량의 양으로 하전된 미세기포를 생성하여 처리 부상조로 투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와 그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은 월등한 수처리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는 양극부의 전극판들과 음극부의 전극판들이 서로 교번적으로 사이사이에 삽입되어 대면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더욱 많은 다가의 금속이온과 수소가 발생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수설비에서 사용되는 약품 중 응집제의 사용 비율은 80% 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적용하여 응집제 사용량의 절감이 가능하여 하수처리장의 운영의 부담을 제거 할 수 있고 방류수에 포함된 응집제의 배출량을 감소시켜 생태계 파괴의 우려도 감소 할 수 있다. 나아가, 폐수의 부유물질, 총인 함량 등의 수질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공정에 필요한 부대시설의 용량의 감소 또는 제외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효과를 높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를 채용한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를 채용한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의 계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3은 정면도, 도 4는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이온 기포 발생장치를 채용한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의 하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의 계통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은 오염수가 수용되어 처리되는 부상조(5)를 포함한다. 부상조(5)에는 원수공급설비(2)로부터의 오염수 또는 원수를 응집처리를 하기 위한 응집반응조 설비(4)가 연결된다. 이러한 응집처리를 위해, 응집반응조 설비(4)에는 약품공급설비(61) 및 폴리머 공급설비(62)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응집반응조 설비(4)로부터 부상조(5)로 응집처리된 오염수가 유입되어 부상분리에 의한 수처리가 수행되며, 부상조(5)는 부상조라고도 칭할 수 있다.
응집반응조 설비(4)는 혼화조, 반응조, 및 응집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상조(5) 내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이온 기포 및 미세 기포에 의해 슬러지가 부상 분리된다.
부상조(5)에는 순환수 순환라인(7)이 연결되어 처리수 중의 일부를 순환시킨다. 이를 여기에서는 순환수라고 칭한다. 부상조(5)로부터의 순환수는 먼저 순환수 저장조(71)에 저장되었다가 적절한 량의 순환수가 순환라인(7)을 따라 순환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순환수 순환라인(7)에는 미세기포 발생부(3)가 연결 배치되어 순환수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미세기포 발생부(3)에서 발생된 미세기포는 일부 또는 전부가 전기분해를 이용하는 양이온 발생장치(1)로 보내지고, 양이온 발생장치(1)에서 수소가스와 다가의 금속이온을 생성하여 부상조(5)로 투입한다. 이렇게 생성된 다가의 금속이온에 의해 처리수 내에 포함된 음으로 하전된 미세기포가 양이온 기포로 변환된다.
하나의 예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기포 발생부(3)는 하나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기포 발생부는 제1미세기포발생장치(31)와 제2미세기포발생장치(32)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미세기포발생장치(31)는 발생한 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순환수를 부상조(5)로 직접 투입하고, 제2미세기포발생장치(32)는 발생한 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순환수를 양이온 발생장치(1)로 전달한다.
미세기포 발생부(3)는 가압탱크 본체, 가압수 공급을 위한 가압펌프 및 가압공기 공급용 컴프레셔와 같은 미세기포 발생을 위한 요소(33)들을 포함한다. 이들 중 가압탱크 본체와 가압펌프는 순환수 순환라인(7)에 있어서 미세기포발생장치(31, 32)의 선단에 배치된다. 또한 미세기포 발생부(3)에는 미세기포 발생 조정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가압탱크 본체의 후단에 배치되어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1)로 전달되는 처리수 내 미세기포를 조정한다.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1)는 미세기포 발생부(3)에서 생성된 음으로 하전된 미세기포가 포함된 순환수(반응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달받아서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가스와 다가의 금속이온을 생성하며, 이렇게 생성된 다가의 금속이온에 의해 처리수 내에 포함된 음으로 하전된 미세기포가 양이온 기포로 변환된다.
기존의 전기분해를 이용한 부상분리 시스템에서는 전극을 폐수 속에 직접 집어넣어 전기분해 시 다가의 양의 금속이온과 폐수속의 이물질이 반응하여 응집을 일으켜 플럭이 발생되는데 이런 플럭이 많을수록 처리효율은 높아지나 전기분해를 위한 양극 및 음극 간의 간격이 수mm 정도이기 때문에 전극판 사이에 쌓여 처리 효율 저하의 큰 영향을 미친다. 나아가 양의 전하 특성을 가지는 기포의 발생량과 양의 금속이온 용출량이 매우 적다. 전기분해에 의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때 미세기포의 양은 전류의 강도에 따라 선형적인 비례 관계에 있다. 즉, 처리 부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전류 강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하지만 전류 강도를 증가시킬 때 소요되는 전력량은 이차함수의 포물선의 형태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높은 범위의 전류량을 결정하였을 때에는 매우 비효율적인 운전이 될 수 있다. 또한, 전기분해 시 운전 시간과 전류 강도에 따라 음의 전극에는 스케일이 생성된다. 고부하의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높은 전류가 요구되고 그에 따라 스케일 생성도 촉진되어 전기분해 효율을 떨어뜨리고 하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와 같이 부상조(5)에서의 순환수를 이용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고, 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순환수를 전기분해하여 양이온 기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술한 기존의 전기 분해를 이용하는 부상분리 시스템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즉, 전기분해 설비를 폐수에 넣지 않고 처리수를 이용하여 금속이온을 용출 및 양이온 기포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전기분해 효율을 증가된다. 또한, 고효율의 응집 효과를 얻기 위해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된 양전하의 금속이온은 응집/혼화조에 넣을 수도 있다. 전기분해조는 침전물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거나, 전기분해를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순환수가 지그재그 형태로 흐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1)에서 이렇게 처리되어 양이온 미세기포가 포함된 순환수는 다시 부상조(5)로 투입되고, 내부에 포함된 양이온 미세기포가 부상조(5) 내의 처리수의 고형물과 충돌 및 부착되어 강제로 고형물을 부상시키게 된다. 부상조(5) 내의 처리수의 일부는 다시 순환라인(7)을 따라 미세기포 발생부(3) 및/또는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1)를 거쳐서 부상조(5)로 돌아온다.
결국, 본 발명의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1)를 포함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은 미세기포 발생부(3)로부터 음으로 하전된 미세기포가 포함된 순환수를 전달받아서 이를 양이온 미세 기포로 변환시킴으로써 다량의 양이온 버블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음으로 하전된 고형물의 제거에 있어서 음이온 버블 발생장치 단독이나 양이온 버블 발생 장치를 단독으로 이용하는 시스템 보다 월등한 효율을 갖게 된다.
미세기포와 고형물 입자와의 충돌은 제타전위의 변화에 따라 결정되며, 미세기포와 고형물 입자와의 제타전위가 서로 다른 부호를 가지는 경우 높은 충돌효율을 나타낸다. 제타전위는 아래 식과 같이 물의 점성과 전도율에 비례하고 기포의 이동도에 반비례한다.
Figure pat00001
(Smoluchowski Eq.)
(
Figure pat00002
: 제타전위(V),
Figure pat00003
: 물의 점성(kg m-1 s-1),
Figure pat00004
: 물의 전도율(kg-1 m-3 s2 c2),
Figure pat00005
: 기포의 이동도(m2 s-1 V-1))
미세기포와 고형물 입자의 제타전위가 등전점에 근접할 때 충돌이 발생되며, 미세기포와 고형물 입자의 크기가 비슷하면서 작아질수록 충돌효과가 증가한다. 미세기포와 자연수중의 고형물이 일반적으로 음의 전하로 하전되어 있기 때문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과 같이 미세기포의 전하를 바꾸면 높은 충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순히 기존의 양이온 버블 장치에서 얻어지는 수소가스만으로는 고형물 처리에 충분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은 미세기포 발생부(3)로부터 음으로 하전된 미세기포를 양이온 버블로 변환시킴으로써 다량의 양이온 버블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도면부호로 지칭하지 않은 현장제어반과 정류장치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었다. 도 3은 정면도이고, 도 4는 평면도이며, 도 5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1)는 통형 바디(11)와, 통형 바디(11)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극판(12)을 포함한다. 통형 바디(11)에는 순환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3)와 유출되는 유출부(14)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입부(13)와 유출부(14)는 통형 바디(11)의 양단부위에 각각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유입부(13)가 유출부(14)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순환수에는 일부 슬러지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수개의 전극판(12)들은,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수가 통형 바디(11) 내에서 흐르면서 전기분해되도록 흐르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가지고 나열된다. 즉, 각각의 전극판(12)들은 길이방향이 유입부(13)에서 유출부(14)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통형 바디(11)의 하부에는 드레인부(15)가 배치되어 침전물 또는 침전물을 포함하는 순환수를 배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이온 발생장치(1)의 전기분해조는 순환수 내에 포함된 슬러지로 인한 장치 동작이 저해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요소를 포함한다. 이는,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형 바디(11) 내에는 순환수의 흐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진 제1경사판(16)과 제2경사판(17)을 포함한다.
제1경사판(16)은 유입부(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입부(13)의 직상부에 슬러지가 머무르는 것은 방지한다. 이와 같은 제1경사판(16)은 유입부(13)의 직상부에 슬러지가 머무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순환수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경사판(17)은 유출부(14)의 하부에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순환수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져서 순환수가 유출부(14)로 원활하게 흘러가도록 한다. 더 바람직하게 제2경사판(17)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출부(14)의 유출구로 순환수를 모아주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경사판(16)의 경우에는 통형 바디(11)의 측벽에 하단부가 부착되어 순환수의 흐름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즉, 제1경사판(16)의 상단부는 하단부가 부착된 측벽으로부터 순환수의 흐름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한다.
또한 제2경사판(17)은 하단부가 통형 바디(11)의 바닥부에 부착되고 상단부가 통형 바디(11)의 측벽에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를 채용하는 본 발명의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에서는 미세기포 발생부(3)로부터 미세기포가 포함된 순환수를 양이온 발생 장치에 연결하여 미세기포 중 음으로 하전된 미세기포를 양극부에서 발생된 다가의 금속이온을 이용하여 양이온 미세기포로 변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1)에서는 양극과 음극의 전극판(12)들이 교번적으로 서로 사이사이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다량의 수소와 금속이온이 발생되어 반응효율이 매우 높다.
이러한 본 발명의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는 다수개의 전극판(12)으로서 철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판이 이용될 수 있고, 양극과 음극에서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양극 :
Figure pat00006
음극 :
Figure pat00007
위의 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극에서는 철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다가의 금속이온이 용출되며 이때 발생되는 전자는 음극으로 이동하여 수소이온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로 방출된다.
다가 금속이온의 이론적 용출량은 아래식과 같이 파라데이 법칙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여기서, W: 용출 이온량(g), I: 전류(A), t: 시간(s), M: 원자량(g/mol), n: 전자수, 그리고 F: 파라데이 정수(96,487)이다)
위의 파라데이 법칙에 의해 결정된 다가 금속이온 발생량을 근거로 전기분해장치 설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는 다수개의 전극판들이 교번적으로 서로 사이사이에 삽입되는 방식이며, 더 효과적으로 다량의 금속이온을 방출할 수 있도록 이들 전극판들의 간격과 인가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의 선단에 미세기포 발생장치(3)를 배치하여 미세기포가 포함된 반응수를 전달받아서 다가의 금속이온을 통해 음이온으로 하전된 미세기포를 양이온 기포로 변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반적인 전기분해 장치보다 훨씬 많은 양이온 미세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 2: 원수공급설비
3: 미세기포 발생부 31: 제1미세기포발생장치
32: 제2미세기포발생장치 4: 응집반응조 설비
5: 부상조 61: 약품공급설비
62: 폴리머 공급설비 7: 순환라인
71: 순환수 저장조 11: 통형 바디
12: 다수개의 전극판 13: 유입부
14: 유출부 15: 드레인부
16: 제1경사판 17: 제2경사판

Claims (9)

  1.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으로서:
    전달받은 오염수가 처리되는 부상조;
    상기 부상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순환시키는 순환수 순환라인;
    상기 순환수 순환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부상조로 투입되는 순환수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 발생부; 및
    상기 미세기포 발생부로부터의 순환수의 일부 또는 전부에 양이온 기포를 발생시켜서 상기 부상조로 투입하도록 배치되는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기포 및 상기 양이온 기포에 의해 상기 부상조에서 부상분리가 발생되는 것인,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는,
    양극부에서는 다가의 금속이온이 발생되고 음극부에서는 수소가 발생되는 전기분해 장치인 것인,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는,
    상기 미세기포 발생부와 상기 부상조 사이에 배치되어 미세기포가 포함된 순환수를 전달받고,
    상기 미세기포 발생부로부터 전달받은 순환수 내의 미세기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다가의 금속이온을 통해 양으로 하전된 기포로 변환시켜서 상기 부상조로 투입하는 것인,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오염수 또는 원수를 응집처리하여 상기 부상조로 전달하는 응집반응조 설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응집반응조 설비에 응집제를 공급하는 약품공급설비 포함하는 것인,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6.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로서:
    일측에 순환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순환수가 유출부를 구비하는 통형 바디; 및
    상기 통형 바디 내부에 순환수의 흐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극과 음극이 교번적으로 장착된 다수개의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부의 다수개의 전극판에서는 다가의 금속이온이 발생되고 상기 음극부의 다수개의 전극판에서는 수소가 발생되는 것인,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형 바디 내부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순환수의 흐름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진 제1경사판을 더 포함하는,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형 바디 내부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순환수의 흐름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진 제2경사판을 더 포함하는,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판은 상기 유출부로 순환수를 모으는 형상을 가지는 것인,
    양이온 기포 발생 장치.
KR1020140064331A 2014-05-28 2014-05-28 고효율 양이온 기포 발생장치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KR20150137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331A KR20150137177A (ko) 2014-05-28 2014-05-28 고효율 양이온 기포 발생장치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331A KR20150137177A (ko) 2014-05-28 2014-05-28 고효율 양이온 기포 발생장치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177A true KR20150137177A (ko) 2015-12-09

Family

ID=5487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331A KR20150137177A (ko) 2014-05-28 2014-05-28 고효율 양이온 기포 발생장치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71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344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그린테크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
KR20200087100A (ko) * 2020-06-30 2020-07-20 황덕흥 전해응집부상공정을 이용한 물리화학적 수처리장치 및 방법
KR102305542B1 (ko) * 2020-11-04 2021-09-24 길현영 리서큘레이션탱크를 구비한 전기응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344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그린테크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
KR20200087100A (ko) * 2020-06-30 2020-07-20 황덕흥 전해응집부상공정을 이용한 물리화학적 수처리장치 및 방법
KR102305542B1 (ko) * 2020-11-04 2021-09-24 길현영 리서큘레이션탱크를 구비한 전기응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 et al. New bipolar electrocoagulation–electroflotatio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laundry wastewater
CN103732543B (zh) 连续流电絮凝水处理系统
US9862623B2 (en) System for simultaneous elimination of orthophosphate and ammonium using electrolytic process
CN103693788B (zh) 一种工业污水处理一体机装置
KR101491001B1 (ko) 다단 부상분리장치
US9102554B2 (en) Continuous flow electroflocculation water treatment system
KR101563179B1 (ko) 담수, 해수 살균처리가 가능한 비전수통과방식 전기분해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장치
KR20150137177A (ko) 고효율 양이온 기포 발생장치를 채용하는 부상분리 수처리 시스템
KR100319022B1 (ko) 전해부상법을이용한폐수처리장치
Santos et al. Electroflotation
US201300010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Water Electrochemically
CN111634979A (zh) 一种利用水滑石基粒子电极构建三维电极体系去除脱硫废水氯离子的装置
CN114262097B (zh) 一种电解铝耦合化学沉淀的废水除氯系统及方法
CN101125695A (zh) 脉冲电浮发生方法及发生装置
KR20130078327A (ko) 양전하를 갖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CN205838762U (zh) 一种强氧化沉淀池结构
KR20020004661A (ko) 원통형 전기응집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CN212127829U (zh) 一种反渗透浓缩液电解回收装置
CN210855619U (zh) 一种含盐有机废水电催化氧化耦合预处理装置
JP4447352B2 (ja) 汚泥の減量化処理装置
KR20200134604A (ko) 전기응집 및 전기부상 방식 수처리 장치
KR200215692Y1 (ko) 자기응집침전조
TW401379B (en) The treatment for the phosphoric ion acid-containing waste water
CN216337051U (zh) 一种充填床电解含氰废水成套工艺装置
CN107792969A (zh) 一种高盐度废水资源化电化学处理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