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579B1 - 필터 스크린 시스템 - Google Patents

필터 스크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579B1
KR101753579B1 KR1020160128408A KR20160128408A KR101753579B1 KR 101753579 B1 KR101753579 B1 KR 101753579B1 KR 1020160128408 A KR1020160128408 A KR 1020160128408A KR 20160128408 A KR20160128408 A KR 20160128408A KR 101753579 B1 KR101753579 B1 KR 101753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net
foreign matter
drum
ne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텍
김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텍, 김병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텍
Priority to KR1020160128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스크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 및 하·우수 처리시설 등에 미세 이물질의 여과가 가능한 여과망을 설치하고, 여과망의 상하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여과망에 걸린 이물질이 상측으로 인양되도록 하며, 인양된 이물질을 여과망으로부터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하·우수 등으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스크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터 스크린 시스템{A Filter Screen System}
본 발명은 필터 스크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 및 하·우수 처리시설 등에 미세 이물질의 여과가 가능한 여과망을 설치하고, 여과망의 상하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여과망에 걸린 이물질이 상측으로 인양되도록 하며, 인양된 이물질을 여과망으로부터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하·우수 등으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스크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ㆍ폐수 및 하·우수가 유입되어 정화되는 처리시설 등에는 수직 방향의 부재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스크린이 형성되어 협잡물 등의 이물질이 스크린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고 있다.
이때, 미세협잡물이 걸리지 않고 스크린을 통과하면 후단의 수처리 시설에 문제점을 유발하여 고장의 원인이 되며 처리된 처리수의 수질에도 영향을 주어 처리효율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요인에 의하여 운전에 매우 큰 어려움을 주며 유지관리비 상승을 가져오기도 한다.
한편,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은 아래 특허문헌과 같은 제진기를 사용하여 인양·제거하도록 해야 하므로, 종래 스크린은 일정 간격의 수직방향부재를 설치하여 협잡물을 걸래내도록 하고 수직방향부재의 사이로 레이크가 상승하여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인양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스크린은 미세한 크기의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할 수 없으며, 최대한 수직방향부재 사이를 적게 하여도 미세한 협잡물을 걸러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하ㆍ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협잡물 등이 그대로 스크린을 통과하게 되고, 미세한 협잡물에 의해 수처리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여 시설 고장의 원인이 되며 처리 효율이 낮아지는 원인이 되어 운영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운영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4678호(2012. 02. 29. 등록) "전동식 로터리 제진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오·폐수 및 하·우수 처리시설의 수로에 설치되어 하·우수 등으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물질의 여과효율 및 인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여과망이 일정 형상을 유지한 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여과망에 의한 이물질의 여과 및 인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구동벨트에 지지된 여과망이 전체 드럼부에 걸쳐 팽팽하게 지지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여과망의 무한궤도 회전과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여과망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여과망이 처지지 않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여과망 전체에 압축공기가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강한 압력의 압축공기를 여과망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여과망으로부터 고형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여과망에 부착된 미세한 유분까지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물질의 함수율을 낮추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필터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은 오·폐수 및 하·우수 처리시설의 수로에 설치되어 미세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여과망에 걸린 이물질이 상측으로 인양되도록 하는 구동부와; 상기 여과망에 걸려 상측으로 인양된 이물질을 여과망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이물질제거부와; 상기 이물질제거부에 의하여 여과망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은 일정 깊이 함입되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하여, 여과 면적을 크기 하여 여과효율을 높게 하고, 여과망에 걸린 이물질의 인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여과망을 지지하여 여과망이 일정 경로를 따라 회전하도록 하는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에 체결되어 드럼부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여과망과 밀착되어 드럼부의 구동력을 여과망에 전달하는 구동벨트와; 상기 여과망을 사이에 두고 구동벨트에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여과망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덮개벨트와;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는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벨트가 체결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는 상기 여과망의 상단에 형성되어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구동드럼과; 상기 여과망의 하단에 형성되어 여과망을 지지하며, 여과망의 상하방향 무한궤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턴드럼과; 상기 구동드럼과 리턴드럼 사이에 형성되어 여과망을 지지하는 가이드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은 상기 여과망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력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유지부는 상기 여과망의 좌우 양단에서 여과망을 누르도록 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여과망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여과망에 부착된 이물질을 여과망으로부터 탈리시키는 에어나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나이프는 여과망의 좌우방향으로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와; 상기 에어유입부에서 여과망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며, 여과망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여과망에 부착된 유분을 제거하는 유분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분제거부는 여과망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거수단유입부와, 상기 제거수단유입부의 좌우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액체를 여과망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은 여과망에 걸린 이물질을 여과망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시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물질탈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탈수부는 상기 여과망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이물질탈수분리판과, 상기 이물질탈수분리판이 본체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탈수분리판은 이물질탈수분리판의 전측에 형성되어 여과망에 밀착되는 여과망밀착부와, 상기 여과망밀착부의 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갈수록 상승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전측경사부와, 이물질탈수분리판의 후측 하단에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후측함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오·폐수 및 하·우수 처리시설 등에 미세 이물질의 여과가 가능한 여과망을 설치하고, 상하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여과망에 걸린 이물질이 상측으로 인양되도록 하며, 인양된 이물질을 여과망으로부터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하·우수 등으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여과망에 일정 깊이 함입되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하고, 굴곡부는 여과망의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여과 면적을 크게 하여 여과효율을 높게 하고, 굴곡부에 이물질이 지지되어 인양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인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부에 의해 여과망을 지지하여 여과망이 회전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하고, 구동벨트와 덮개벨트에 의해 여과망을 지지하여 여과망이 일정 형상을 유지한 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여과망에 의한 이물질의 여과 및 인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구동벨트가 체결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구동벨트에 지지된 여과망이 전체 드럼부에 걸쳐 팽팽하게 지지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여과망의 상단에서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드럼과, 여과망의 하단에서 여과망을 지지하는 리턴드럼과, 구동드럼과 리턴드럼의 사이에서 여과망을 지지하는 가이드드럼을 포함하여, 여과망의 무한궤도 회전과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가이드드럼의 위치에 따라 여과망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여과망의 양측 끝단에서 여과망을 누르도록 하는 누름부를 포함하여 여과망이 처지지 않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여과망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여과망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에어나이프를 포함하고, 에어나이프는 여과망의 좌우방향을 따라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와 에어유입부에서 여과망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여, 여과망 전체에 압축공기가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에어분사부는 여과망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강한 압력의 압축공기를 여과망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여과망에 부착된 유분을 제거하는 유분제거부를 포함하여, 여과망에 부착된 미세한 유분까지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여과망에 부착된 이물질을 여과망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이물질탈수분리판을 포함하여, 이물질로부터 물을 분리하여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함수율을 낮추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측 부분사시도
도 3은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4는 드럼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상측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장력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이물질제거부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에어나이프의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유분제거부의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절단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이물질탈수부의 확대도
도 13은 이물질탈수분리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이물질탈수분리판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필터 스크린 시스템은 오·폐수 및 하·우수 처리시설의 수로에 설치되어 미세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1)과; 상기 여과망(1)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여과망(1)에 걸린 이물질이 상측으로 인양되도록 하는 구동부(2)와; 상기 여과망(1)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력유지부(3)와; 상기 여과망(1)에 걸려 상측으로 인양된 이물질을 여과망(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이물질제거부(4)와; 상기 이물질제거부(4)에 의하여 여과망(1)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부(5)와; 상기 여과망(1)을 통과한 물이 하측으로 모아지도록 하는 집수판(6)과; 상기 여과망(1)의 양측에 형성되어 필터 스크린 시스템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7);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 스크린 시스템은 하·우수 등의 처리시설에 설치되어 유입구(I)를 통해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 슬러지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이물질을 걸러내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여과망(1)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함으로써 미세한 이물질까지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여과망(1) 자체를 회전시켜 여과망(1)에 걸린 이물질이 인양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 방향을 상하방향, C-D 방향을 좌우방향, E-F 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한다.
상기 여과망(1)은 오·폐수 및 하·우수 처리시설의 수로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구성으로, 미세 기공을 형성하는 섬유, 다양한 재질의 메쉬망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은 통과할 수 있고 미세 입자를 걸러낼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러내고자 하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망(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측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여과망(1)에 걸린 이물질의 인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여과망(1)은 상기 구동부(2)에 의해 상하 방향의 무한궤도 회전을 실시하며, 후술할 드럼부(21)에 지지되어 일정 경로를 따라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여과망(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망(1)의 전측에서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여과망(1)에 걸린 이물질이 상측으로 인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여과망(1)은 상단에서 후술할 구동드럼(211)에 감겨 지지되고, 하단에서는 후술할 리턴드럼(212)에 감겨 지지되며, 구동드럼(211)과 리턴드럼(212)의 사이에서는 후술할 가이드드럼(213)에 지지되도록 하고, 구동드럼(211)이 구동모터(24)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망(1)은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하방향의 회전을 계속할 수 있으며, 가이드드럼(213)에 의해 지지되는 지점에서 여과망(1)의 경사 각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여과망(1)은 좌우 양단에서 상기 구동부(2)의 후술할 구동벨트(22) 및 덮개벨트(23)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며, 장력유지부(3)에 의해 처짐 없이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이물질의 여과 및 인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여과망(1)에 걸려 인양된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제거부(4)에 의하여 여과망(1)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이물질배출부(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여과망(1)은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굴곡부(11)를 포함하여, 이물질의 인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굴곡부(11)는 상기 여과망(1)의 표면에서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여과망(1)의 좌우 양단에 걸쳐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굴곡부(11)는 여과망(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며, 여과망(1)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굴곡부(11)는 여과망(1)에 걸린 이물질을 지지하여 이물질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물질의 인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여과망(1)의 여과면적을 넓게 하여 이물질의 여과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는 상기 여과망(1)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하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섬유 내지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는 여과망(1)이 일정 형상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2)는 상기 여과망(1)을 지지하여 여과망(1)이 일정 경로를 따라 회전하도록 하는 드럼부(21)와; 상기 드럼부(21)에 체결되어 드럼부(2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여과망(1)과 밀착되어 드럼부(21)의 구동력을 여과망(1)에 전달하는 구동벨트(22)와; 상기 여과망(1)을 사이에 두고 구동벨트(22)에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여과망(1)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덮개벨트(23)와; 상기 드럼부(2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4);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부(21)는 상기 여과망(1)을 지지하여 일정 경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여과망(1)의 원활한 회전과 여과망(1)을 통과한 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일정 지점에서 여과망(1)을 지지하도록 하고, 별도의 구동벨트 및 덮개벨트(23)가 감겨져 여과망(1)을 지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드럼부(21)는 여과망(1)의 상단에 형성되어 구동모터(24)와 연결되는 구동드럼(211)과; 상기 여과망(1)의 하단에 형성되어 여과망(1)을 지지하며, 여과망(1)의 상하방향 무한궤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턴드럼(212)과; 상기 구동드럼(211)과 리턴드럼(212) 사이에 형성되어 여과망(1)을 지지하는 가이드드럼(213);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드럼(211)은 여과망(1)의 상단에 형성되어 여과망(1)이 감겨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둘레를 따라 상기 여과망(1)의 굴곡부(11)와 맞물리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211a)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기어부(211b)가 형성된다. 또한, 구동드럼(211)은 구동모터(24)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4)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이에 따라 여과망(1)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함입부(211a)는 상기 여과망(1)의 굴곡부(11)에 대응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여과망(1)이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어부(211b)는 상기 구동드럼(211)의 양단의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구동벨트(22)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기어부(211b)는 상기 구동벨트(22)와 맞물려 구동벨트(22)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벨트(22)가 기어부(211b)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여과망(1)이 구동벨트(22) 및 구동드럼(211) 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여과망(1)은 구동벨트(22) 및 구동드럼(211)에 밀착된 상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24)에 의한 구동력이 여과망(1)에 손실 없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턴드럼(212)은 상기 여과망(1)의 하단에 형성되어 여과망(1)이 감겨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드럼(211)과 리턴드럼(212)에 여과망(1)이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여과망(1)의 상하방향 무한궤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리턴드럼(212)은 상기 구동드럼(211)과 마찬가지로 함입부(212a)와 기어부(212b)를 포함하며, 함입부(212b) 및 기어부(212b)에 관한 설명은 구동드럼(211)의 함입부(211a) 및 기어부(211b)에 관한 설명과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상기 가이드드럼(213)은 상기 구동드럼(211)과 리턴드럼(212) 사이에 형성되어 여과망(1)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전측을 회전하는 여과망(1)을 지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여과망(1)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상하방향의 회전을 계속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드럼(213)의 위치에 따라 여과망(1)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드럼(213)은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만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가이드드럼(213)과 구동드럼(211) 사이의 여과망(1) 경사 각도를 가이드드럼(213)과 리턴드럼(212) 사이보다 낮도록 형성하여 여과망(1)으로부터 이물질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드럼(213)은 상기 구동드럼(211) 및 리턴드럼(212)과 마찬가지로 함입부(213a) 및 기어부(213b)를 포함하며, 이에 관한 설명은 구동드럼(211)의 함입부(211a) 및 기어부(211b)에 관한 설명과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상기 구동벨트(22)는 상기 드럼부(21)에 체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며, 상측에는 상기 여과망(1)이 밀착되어 구동벨트(2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벨트(22)는 상기 드럼부(21)의 구동드럼(211), 리턴드럼(212)에 감겨지며, 가이드드럼(213)에 지지되고, 각 드럼의 양단에 형성된 기어부(211b,212b,213b)에 맞물려 회전한다. 상기 구동벨트(22)는 상기 여과망(1)의 굴곡부(11)에 대응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여과망(1)이 함께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덮개벨트(23)는 상기 구동벨트(22)에 밀착된 여과망(1)의 상측에서 여과망(1)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구동벨트(22)와 마찬가지로 여과망(1)의 굴곡부(11)와 맞물리도록 함입되어 형성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여과망(1)은 구동벨트(22)와 덮개벨트(23)에 의해 지지되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하방향의 회전을 계속할 수 있고, 상기 장력유지부(3)의 후술할 누름부(31)에 눌러져 팽팽한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24)는 상기 구동드럼(21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며, 구동드럼(211)을 회전시켜 여과망(1)의 상하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장력유지부(3)는 상기 여과망(1)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여 이물질의 여과와 인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여과망(1)은 미세 기공을 갖는 섬유 내지 메쉬망으로 형성되어 처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처짐이 발생하여 여과망(1)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이물질의 여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구동부(2)에 의한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이물질이 인양될 수 없으며, 여과망(1)의 손상과 장치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장력유지부(3)를 통해 여과망(1)이 팽팽한 상태로 회전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여과와 인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장력유지부(3)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망(1)의 좌우 양단에서 여과망(1)을 누르도록 하는 누름부(31)와, 상기 여과망(1)의 하측에서 여과망(1)을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31)는 상기 여과망(1)의 양단에서 여과망을 누르도록 하는 구성으로, 여과망(1)을 양측에서 눌러 여과망(1)의 중심 부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누름부(31)는 상기 여과망(1)의 전측 상하 방향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과망(1) 전체에 걸쳐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름부(31)는 상기 여과망(1)을 누르는 누름롤러(311)와 상기 누름롤러(311)를 본체프레임(7)에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롤러(311)는 상기 프레임고정부(312)에 연결되어 여과망(1)의 양단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르도록 하며, 이에 따라 여과망(1)이 처지지 않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름롤러(311)는 상기 덮개벨트(23)의 일측에 형성되어 여과망(1)을 누르도록 할 수 있으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여과망(1)과의 마찰을 줄이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고정부(312)는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은 본체프레임(7)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누름롤러(311)가 연결되어 누름롤러(311)가 본체프레임(7)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여과망(1)을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32)는 상기 여과망(1)의 하측에 형성되어 여과망(1)을 지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여과망(1)의 상하에 걸쳐 복수의 지점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32)는 여과망(1)을 받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31)와 함께 여과망(1)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4)는 상기 여과망(1)에 걸려 상측으로 인양된 이물질을 여과망(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여과망(1)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배출부(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드럼(211)에 감겨져 내려오는 여과망(1)의 상측에 형성되어 여과망(1)에 부착된 이물질을 하측으로 떨어뜨리도록 한다. 상기 여과망(1)으로부터 하측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은 후술할 이물질유도판(51)에 의해 배출관(52)으로 수용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4)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나이프(41)와, 유분을 제거하는 유분제거부(42)를 차례로 형성하여 여과망(1)에 부착된 고형의 이물질뿐만 아니라, 미세한 유분까지 모두 제거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나이프(41)는 상기 여과망(1)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여과망(1)으로부터 고형의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여과망(1)의 좌우 방향 전체에 걸쳐 고르게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고, 강한 압력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에어나이프(41)는 여과망(1)의 좌우방향으로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411)와; 상기 에어유입부(411)에서 여과망(1)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며, 여과망(1)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에어분사부(412);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유입부(411)는 여과망(1)의 좌우방향을 따라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에어유입부(411)는 일측에 에어분사부(412)가 여과망(1)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통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여과망(1) 전체에 고르게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에어분사부(412)는 상기 에어유입부(411)의 좌우방향을 따라 여과망(1)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에어유입부(411)와 연통되어 에어유입부(411)에 유입된 압축공기를 여과망(1)에 분사하도록 한다. 상기 에어분사부(412)는 일단은 상기 에어유입부(411)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망(1) 측으로 돌출되며, 에어유입부(411)에서 여과망(1) 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강한 압력의 압축공기를 여과망(1)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분제거부(42)는 상기 여과망(1)에 부착된 미세한 유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유지성분의 기름때를 제거할 수 있는 약품, 예를 들어 이산화염소용액을 분사하거나 온수를 여과망(1)에 분사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과망(1)으로부터 고형의 이물질뿐만 아니라 미세한 유분까지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원수의 이물질제거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분제거부(42)는 여과망(1)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거수단유입부(421)와, 상기 제거수단유입부(421)의 좌우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액체를 여과망(1)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422)을 포함한다.
상기 제거수단유입부(421)는 상기 여과망(1)의 좌우방향을 따라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수단이 유입되도록 한다.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수단은 유분의 제거가 가능한 약품 또는 온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온수가 유입되는 경우 별도의 가열 챔버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거수단유입부(421)에는 상기 분사노즐(422)이 좌우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여과망을 향해 유분제거수단을 분사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여과망(1) 전체에 유분제거수단이 고르게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422)은 상기 제거수단유입부(421)의 좌우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여과망(1)을 향해 약품 또는 온수의 유분제거수단을 분사하도록 한다.
상기 이물질배출부(5)는 상기 이물질제거부(4)에 의하여 여과망(1)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제거부(4)에 의하여 여과망(1)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을 배출관(52)으로 유도하는 이물질유도판(51), 여과망(1)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수용하며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관(52), 상기 배출관(52) 내에 형성되어 회전하며 배출관(52)에 수용된 이물질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53)를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유도판(51)은 상기 에어나이프(41) 및 유분제거부(42)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52)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여과망(1)으로부터 분리된 고형의 이물질, 유분 등이 이물질유도판(51)을 따라 배출관(52)을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관(52)은 이물질제거부(4)의 하측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수용하며, 외부로 연결되어 수용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처리과정을 거쳐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이송스크류(53)는 배출관(52) 내에 형성되어 회전하며, 회전에 따라 배출관(52) 내에 수용된 이물질을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집수판(6)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는 여과망(1)의 하측을 받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여과망(1)을 통과하는 물이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여과망(1)에서 떨어지는 물이 하측의 여과망(1)으로 다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배출되는 이물질의 함수율을 낮추도록 하고, 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본체프레임(7)은 상기 필터 스크린 시스템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여과망(1)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드럼부(21) 및 프레임고정부(312) 등이 지지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스크린 시스템을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필터 스크린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이물질탈수부(8)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는 차이점만을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물질탈수부(8)에 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이물질탈수부(8)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7)의 상측에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여과망(1)에 부착되어 인양되는 이물질을 일시적으로 여과망(1)으로부터 분리시켜 이물질로부터 물이 배출되어 이물질의 함수율을 낮추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여과망(1)에 이물질이 걸려 부착되면, 이물질이 부착된 부분으로는 물이 통과할 수 없게 되고, 이물질은 물을 머금은 상태로 인양되어 높은 함수율을 갖게 된다. 또한, 여과망(1)에 부착된 이물질에 막혀 여과망(1)을 통한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탈수부(8)는 여과망(1)에 부착된 이물질을 일시적으로 여과망(1)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분리된 공간으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함수율을 낮추고 배수를 도울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물질탈수부(8)는 상기 여과망(1)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이물질탈수분리판(81)과, 상기 이물질탈수분리판(81)이 본체프레임(7)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82)를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탈수분리판(81)은 상기 여과망(1)에 밀착되어 일시적으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여과망(1)의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하여, 여과망(1) 전체에 걸쳐 이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물질탈수분리판(81)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탈수분리판(81)의 전측에 형성되어 여과망(1)에 밀착되는 여과망밀착부(811)와, 상기 여과망밀착부(811)의 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갈수록 상승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전측경사부(812)와, 이물질탈수분리판(81)의 후측 하단에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후측함입부(813)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망밀착부(811)는 상기 이물질탈수분리판(81)의 전측 바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여과망(1)과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여과망(1)에 부착된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전측경사부(812)를 따라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 전측경사부(812)는 상기 이물질탈수분리판(81)의 전측 상단부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여과망밀착부(811)의 전측 끝단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승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망(1)이 상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여과망(1)에 부착된 이물질도 함께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이물질이 상기 여과망밀착부(811)에 걸려 여과망(1)으로부터 분리되면, 상시 전측경사부(812)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상기 여과망(1)은 이물질에 의해 막혔던 공간이 개방되며, 후측의 후측함입부(813) 아래의 공간을 통해 물이 배출되게 된다.
상기 후측함입부(813)는 상기 이물질탈수분리판(81)의 후측 하단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여과망(1)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여과망(1)에 의해 부착된 이물질이 상기 전측경사부(812)를 따라 상승하면, 이물질이 막고 있던 공간이 개방되고, 상기 후측함입부(8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물이 유입되어 여과망(1)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82)는 상기 이물질탈수분리판(81)을 상기 본체프레임(7)에 고정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7)에 고정되는 고정판(821)과; 상기 고정판(821)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이물질탈수분리판(81)이 고정되는 연결부(8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821)은 상기 본체프레임(7)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822)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822)는 일단은 상기 고정판(821)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에는 상기 이물질탈수분리판(81)이 여과망(1)의 좌우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822)의 회전에 따라 이물질탈수분리판(81)이 회전하여 여과망(1)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탈수부(8)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여과망(1)이 상승함에 따라 여과망(1)에 부착된 이물질(S)도 함께 상승하고, 상승되는 이물질이 상기 여과망밀착부(811)에 의해 막히게 되면, 상기 전측경사부(812)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이물질에 의해 막혀 있던 공간이 개방되며, 이물질에 의해 통과되지 못했던 물(W)이 후측함입부(813)와 여과망(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여과망(1)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탈수부(8)는 여과망(1)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S)을 일시적으로 분리시켜 이물질(S)이 막고 있던 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이물질(S)에 막혀 여과망(1)을 통과하지 못하던 물(W)이 이물질탈수분리판(81)의 후측함입부(813)와 여과망(1) 사이의 개방된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함수율을 낮추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여과망 11: 굴곡부
2: 구동부 21: 드럼부
211: 구동드럼 212: 리턴드럼 213: 가이드드럼
211a, 211b, 211c: 함입부 211b, 212b, 212c: 기어부
22: 구동벨트 23: 덮개벨트 24: 구동모터
3: 장력유지부 31: 누름부 311: 누름롤러
312: 프레임고정부 32: 지지부
4: 이물질제거부
41: 에어나이프 411: 에어유입부 412: 에어분사부
42: 유분제거부 421: 제거수단유입부 422: 분사노즐
5: 이물질배출부
51: 이물질유도판 52: 배출관 53: 이송스크류
6: 집수판 7: 본체프레임
8: 이물질탈수부 81: 이물질탈수분리판
811: 여과망밀착부 812: 전측경사부 813: 후측함입부
82: 고정부 821: 고정판 822: 연결부

Claims (10)

  1. 오·폐수 및 하·우수 처리시설의 수로에 설치되며, 미세 기공을 가진 섬유로 형성되어 미세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여과망에 걸린 이물질이 상측으로 인양되도록 하는 구동부와; 상기 여과망에 걸려 상측으로 인양된 이물질을 여과망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이물질제거부와; 상기 이물질제거부에 의하여 여과망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부와; 상기 여과망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력유지부와; 상기 여과망에 걸린 이물질을 여과망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시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물질탈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망은 일정 깊이 함입되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하여, 여과면적을 크게 하여 여과효율을 높게 하고, 여과망에 걸린 이물질의 인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여과망을 지지하여 여과망이 일정 경로를 따라 회전하도록 하는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에 체결되어 드럼부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여과망과 밀착되어 드럼부의 구동력을 여과망에 전달하는 구동벨트와; 상기 여과망을 사이에 두고 구동벨트에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여과망의 양측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덮개벨트와;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부는 양단이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벨트가 체결되는 기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기어부에 구동벨트가 드럼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여과망이 팽팽한 상태로 드럼부에 감겨지도록 하며,
    상기 드럼부는 상기 여과망의 상단에 형성되어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구동드럼과; 상기 여과망의 하단에 형성되어 여과망을 지지하며, 여과망의 상하방향 무한궤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턴드럼과; 상기 구동드럼과 리턴드럼 사이에 형성되어 여과망을 지지하는 가이드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드럼은 가이드드럼과 구동드럼 사이의 여과망이 가이드드럼과 리턴드럼 사이의 여과망보다 지면과 완만한 각도를 갖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장력유지부는 상기 여과망의 좌우 양단에서 여과망을 누르도록 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여과망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르도록 형성되는 누름롤러와; 누름롤러를 본체프레임에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탈수부는 상기 가이드드럼과 구동드럼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이물질탈수부는 상기 여과망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이물질탈수분리판과, 상기 이물질탈수분리판이 본체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탈수분리판은 이물질탈수분리판의 전측에 형성되어 여과망에 밀착되는 여과망밀착부와, 상기 여과망밀착부의 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갈수록 상승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전측경사부와, 이물질탈수분리판의 후측 하단에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후측함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스크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28408A 2016-10-05 2016-10-05 필터 스크린 시스템 KR101753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408A KR101753579B1 (ko) 2016-10-05 2016-10-05 필터 스크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408A KR101753579B1 (ko) 2016-10-05 2016-10-05 필터 스크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579B1 true KR101753579B1 (ko) 2017-07-06

Family

ID=5935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408A KR101753579B1 (ko) 2016-10-05 2016-10-05 필터 스크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57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0212A1 (zh) * 2018-06-26 2020-01-02 江苏宏大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装置用过滤网
KR102147259B1 (ko) 2020-03-24 2020-08-25 (주)가온텍 회전 벨트방식의 이중 필터스크린 시스템
CN113292181A (zh) * 2021-06-17 2021-08-24 广西壮族自治区自然资源生态修复中心 新型微小型矿山废水生态处理系统
KR102328630B1 (ko) 2021-07-06 2021-11-19 주식회사 가온텍 회전 벨트방식의 필터스크린 시스템
KR20210153457A (ko) *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에싸 롤러를 이용한 습식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339998B1 (ko) * 2021-05-04 2021-12-17 안소미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KR102436882B1 (ko) 2022-05-06 2022-08-26 한국수자원공사 유충 포획형 여과장치
KR20240017602A (ko) 2022-08-01 2024-02-08 한국수자원공사 무한궤도 유충 포획형 여과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0212A1 (zh) * 2018-06-26 2020-01-02 江苏宏大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装置用过滤网
KR102147259B1 (ko) 2020-03-24 2020-08-25 (주)가온텍 회전 벨트방식의 이중 필터스크린 시스템
KR20210153457A (ko) *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에싸 롤러를 이용한 습식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462292B1 (ko) 2020-06-10 2022-11-02 주식회사 에싸 롤러를 이용한 습식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339998B1 (ko) * 2021-05-04 2021-12-17 안소미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CN113292181A (zh) * 2021-06-17 2021-08-24 广西壮族自治区自然资源生态修复中心 新型微小型矿山废水生态处理系统
KR102328630B1 (ko) 2021-07-06 2021-11-19 주식회사 가온텍 회전 벨트방식의 필터스크린 시스템
KR102436882B1 (ko) 2022-05-06 2022-08-26 한국수자원공사 유충 포획형 여과장치
KR20240017602A (ko) 2022-08-01 2024-02-08 한국수자원공사 무한궤도 유충 포획형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579B1 (ko) 필터 스크린 시스템
KR101747916B1 (ko) 필터스크린장치를 이용한 하·우수 정화 시스템
US8302780B1 (en) Industrial separator and dewatering plant
US7871527B2 (en) Processes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including stationary cloth media filtration
KR102004507B1 (ko) 오폐수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스크린탈수장치
KR102147259B1 (ko) 회전 벨트방식의 이중 필터스크린 시스템
KR20130027439A (ko) 연속 순환식 모래여과기 및 방법
US20130213904A1 (en) Industrial separator and dewatering plant
KR101408301B1 (ko) 유기성폐기물의 농축장치 및 농축방법
KR100780225B1 (ko) 고액분리기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US6739458B2 (en) Device for dehydrating sludge
KR101510923B1 (ko) 카트리지 필터를 내장한 공극제어 섬유 여과기 및 섬유 여과기 세척 방법
KR100593293B1 (ko)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EP0527465B1 (de) Schlammentwässerungssystem
EP0481139B1 (en) Dewatering process
KR102305739B1 (ko) 슬러지 탈수기의 오수 재생 장치
KR200436635Y1 (ko) 고액분리기
KR100927042B1 (ko) 세척수 유도기능을 갖는 회전 디스크 필터형 연속 여과장치
KR200429913Y1 (ko) 폐수농축장치
KR200416677Y1 (ko) 고액분리시스템의 탈수장치
KR100725466B1 (ko) 제지공정의 폐수 정선장치
KR102172001B1 (ko)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
US8136673B2 (en) Grit elevator
KR20070087990A (ko)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