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913Y1 - 폐수농축장치 - Google Patents

폐수농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913Y1
KR200429913Y1 KR2020060021470U KR20060021470U KR200429913Y1 KR 200429913 Y1 KR200429913 Y1 KR 200429913Y1 KR 2020060021470 U KR2020060021470 U KR 2020060021470U KR 20060021470 U KR20060021470 U KR 20060021470U KR 200429913 Y1 KR200429913 Y1 KR 200429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ehydrator
belt
mesh belt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복
윤상도
Original Assignee
한솔이엠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이엠이(주) filed Critical 한솔이엠이(주)
Priority to KR2020060021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9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33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individual filtering elements moving along a clos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5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33/5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공정폐수를 탈수기와 연속회전하는 이송장치 위에 흘려 여과수를 신속하게 분리 배출시키고 남은 슬러지는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여과된 여과수를 공정에 재투입할 수 있도록, 하부로 유입되는 공정폐수를 상부로 배출시키고 배출되는 공정폐수를 넓게 분배시키는 분배조와, 분배조에서 분배되어진 공정폐수에 진동을 가하여 탈수를 행하는 탈수기와, 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에 감겨져 회전하는 망형상 벨트 위로 탈수기를 통과한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탈수기와 이송장치의 망형상 벨트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여과수가 집수되는 물받이와, 망형상 벨트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슬러지를 좌우로 뒤집어 고르게 펴는 교반부와, 탈수기 반대쪽에 설치되고 블레이드가 망형상 벨트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슬러지를 망형상 벨트로부터 분리시키는 슬러지독터를 포함하는 폐수농축장치를 제공한다.
폐수, 슬러지, 여과, 벨트, 탈수, 농축, 분배

Description

폐수농축장치 {Wastewater Concentrato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수농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수농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수농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폐수농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고안은 폐수농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수에 포함된 슬러지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폐수농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와 폐수를 정수할 때 발생하는 침전 슬러지는 점진적으로 농축하는 과정을 거쳐 슬러지 중의 함수율을 최소화하여 부피를 줄이고 공정을 신속히 하여 부패를 최소화하도록 한 후, 매립 또는 소각 등 최종 처리를 한다.
이러한 공정 중 농축과정은 침전된 슬러지를 농축하여 함수율을 더욱 줄여 최종 탈수기에 들어가는 무게나 부피를 최소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슬러지의 이송비용이 적게 들고 취급하기가 용이하며, 매립을 위해 소각하는 경우 발열량이 증가되고 매립시 침출수의 발생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탈수시키는 공정은 슬러지 처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종래에 슬러지를 기계적으로 농축하는 장치로는 벨트식 탈수기, 가압탈수기 등이 대표적인데 상기 벨트식 탈수기는 부직포 등과 같이 고형분을 제외한 수분만이 통과될 수 있는 탈수포가 폐루프를 이루어 상·하로 대향 배치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되며, 상·하로 배치된 다수의 압착롤 사이로 이동하게 되는 두 탈수포 사이로 슬러지가 공급됨으로써, 두 탈수포 사이에 개재된 슬러지가 탈수포와 함께 압착롤 사이로 통과되면서 탈수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벨트식 탈수기에서 슬러지의 효율적인 탈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탈수포의 폭 방향, 즉, 압착롤의 축방향으로 슬러지가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에서 하부 탈수포에 공급되어야 하나, 종래의 농축장치로는 농축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의 최초 공급형태가 한곳에 집중된 형태이기 때문에 슬러지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가 없었으므로 슬러지의 분산도 향상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탈수 효율의 개선 정도도 미미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수 처리장의 시설을 유지하면서 슬러지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농축장치에서 슬러지 투입기로 배출되는 슬러지를 탈수포의 폭 방향으로 가능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슬러지의 탈수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농축장치의 효율까지도 개선시킬 수 있는 폐수농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폐수농축장치는 하부로 유입되는 공정폐수를 상부로 배출시키고 배출되는 공정폐수를 넓게 분배시키는 분배조와, 상기 분배조에서 분배되어진 공정폐수에 진동을 가하여 탈수를 행하는 탈수기와, 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에 감겨져 회전하는 망형상 벨트 위로 상기 탈수기를 통과한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탈수기와 이송장치의 망형상 벨트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여과수가 집수되는 물받이와, 상기 이송장치의 망형상 벨트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를 좌우로 뒤집어 고르게 펴는 교반부와, 상기 탈수기 반대쪽에 설치되고 블레이드가 상기 망형상 벨트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슬러지를 망형상 벨트로부터 분리시키는 슬러지독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배조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한쪽 측면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부 반대쪽 측면에 출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출구에 연결되고 출구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판형상의 배출가이드와, 상기 배출가이드의 중앙에 설치되어 배출된 공정폐수가 넓게 펼쳐질 수 있도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분배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탈수기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분배조와 상기 망 형상의 벨트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과 연결되어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모터로 구성된다.
상기 교반부는 상기 이송장치의 망형상 벨트 상부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 로질러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부 끝부분이 슬러지와 접하여 슬러지를 좌우로 뒤집는 다수의 교반부재와, 상기 고정프레임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고 교반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슬러지를 누르면서 망형상 벨트 상부에 고르게 펴는 펼침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폐수농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폐수농축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입되는 공정폐수를 넓게 분배시키는 분배조(100)와, 분배되어진 공정폐수에 진동을 가하여 탈수를 행하는 탈수기(200)와, 프레임(1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롤러(310), (320)에 감겨져 회전하는 망형상 벨트(330) 위로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300)와, 상기 탈수기(200)와 이송장치(300)의 망형상 벨트(330)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여과수가 집수되는 물받이(400)와, 상기 이송장치(300)의 망형상 벨트(33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슬러지를 좌우로 뒤집어 고르게 펴는 교반부(500)와, 상기 탈수기(200) 반대쪽에 설치되고 블레이드(610)가 상기 망형상 벨트(330)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슬러지를 망형상 벨트(330)로부터 분리시키는 슬러지독터(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본체(12)와, 상기 본체(12)를 지지하는 다리(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에는 각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도면에 나타내지 않음) 등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배조(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 형상의 중공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한쪽 측면에 공정폐수가 유입되는 입구(112)가 형성되고 상부 반대쪽 측면에 공정폐수를 배출하는 출구(114)가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출구(114)에 연결되고 출구(114)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판형상의 배출가이드(116)와, 상기 배출가이드(116)의 중앙에 설치되어 배출된 공정폐수가 고르게 펴질 수 있도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분배돌기(1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에는 공정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응축할 수 있도록 응집제를 공급하는 약품투입구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공정폐수 수집장치에서 수집된 공정폐수는 이송관에 연결된 별도의 공급펌프의 펌핑압력에 따라 상기 분배조(100)의 입구(112)로 유입된다.
상기 몸체(110)는 입구(112)로 유입된 공정폐수가 공급펌프의 펌핑압력에 따라 위쪽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배출가이드(116)로 서서히 흘러가도록 밑면이 좁고 윗면이 넓은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강한 압력으로 유입되는 공정폐수가 몸체(110) 상부의 넓은 면적으로 유입되면서 서서히 차오르게 됨에 따라 상기 배출가이드(116)로 서서히 흘러들어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0)는 원통 또는 사각통 등 다양한 형상의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모서리가 수직으로 형성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0)의 형상이 원형에 가까운 통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유입된 공정폐수가 몸체(110) 내에서 원형으로 소용돌이치며 맴돌게 되어 상기 배출가이드(116)로 배출될 때 한쪽으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정폐수가 상기 배출가이드(116) 위에 고르게 펴지지 않고 한쪽으로 쌓이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탈수율이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조(100)의 몸체(110)를 수직으로 모서리가 형성된 사각통으로 형성될 경우 공정폐수가 몸체(110) 내에서 맴도는 현상이 줄어들기 때문에 공정폐수가 상기 배출가이드(116) 위에 고르게 펴지게 됨에 따라 탈수율이 크게 높아진다.
상기 배출가이드(116)는 상기 몸체(110)의 출구(114)와 연결되고 출구(114)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가이드(116)의 중앙에 설치되어 배출된 공정폐수가 넓게 펴질 수 있도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분배돌기(1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가이드(116)는 상기 분배돌기(118)보다 더 높게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상부를 덮는 덮개(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출가이드(116)는 상기 몸체(110)의 출구(114)에서 흘러나온 공정폐수 가 아래로 흐르도록 상기 몸체(110)의 출구(114)로부터 상기 배출가이드(116)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설치한다.
상기 분배돌기(118)는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역삼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폭이 점차 좁아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110)의 출구(114)에서 흘러나온 공정폐수가 경사면을 따라 흐르면서 폭이 넓은 분배돌기(118)에 접하게 되면 상기 분배돌기(118)의 모서리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넓게 퍼지게 되고 모서리 근처의 공정폐수는 점차 좁게 형성된 모서리를 따라 모여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배돌기(118)를 통과한 공정폐수는 상기 배출가이드(116) 전체에 걸쳐 고르게 펴져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탈수기(20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멍(212)이 형성되고 상기 분배조(100)와 상기 망형상 벨트(330)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판(210)과, 상기 타공판(210)에 연결되어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모터(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탈수기(200)의 타공판(210)은 공정폐수 등을 여과하는 데 사용하는 메시 스크린(mesh screen)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탈수기(200)는 상기 분배조(100)의 끝단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하여 상기 분배조(100)로부터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공정폐수가 자연스럽게 탈수기(200)로 유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탈수기(200)는 유입된 공정폐수를 상기 타공판(210)에 연결된 진동모 터(220)의 진동에 의하여 흔들게 되므로, 상기 타공판(210)을 이용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여과수의 탈수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탈수기(200)는 상기 분배조(100)를 통과한 공정폐수가 아래로 흐르도록 상기 탈수기(200)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설치한다.
상기 탈수기(200)에서 공정폐수에 대한 탈수가 이루어지고 남은 슬러지는 경사면을 따라 이송장치(300)로 공급된다.
상기 이송장치(300)는 상기 탈수기(200)와 수평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프레임(1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롤러(310) 및 종동롤러(320)에 감겨져 회전하는 망형상 벨트(330) 위로 상기 탈수기(200)에서 탈수가 이루어지고 남은 슬러지를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장치(300)는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배출하여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망형상 벨트(33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장치(300)는 자동화 설비나 물류 이동설비에서 주로 사용하는 여과용 벨트컨베이어나 망컨베이어 등의 다양한 컨베이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송장치(300)는 상기 구동롤러(310)와 종동롤러(320)에 감겨져 회전하는 망형상 벨트(330)에 충분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장력조절롤러(34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탈수기(200)와 상기 이송장치(300)의 망형상 벨트(330)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낙하하는 여과수가 집수되는 물받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장치(300)에 있어서, 상기 망형상 벨트(330)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를 좌우로 뒤집어 고르게 펼쳐지게 하는 교반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부(500)는 상기 이송장치(300)의 망형상 벨트(330) 상부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로질러 설치되는 고정프레임(510)과, 상기 고정프레임(51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부 끝부분이 슬러지와 접하여 슬러지를 좌우로 뒤집는 다수의 교반부재(520)와, 상기 고정프레임(51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고 교반부재(520)를 통해 공급되는 슬러지를 누르면서 망형상 벨트(330) 상부에 고르게 펴주는 펼침판(5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부재(520)는 상기 고정프레임(510)에 설치된 각각의 교반부재(520)가 앞쪽에 설치된 것과 뒤쪽에 설치된 것이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망형상 벨트(330)를 따라 이동하는 슬러지가 지그재그로 뒤집히면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교반부재(520)는 앞쪽에 설치된 것과 뒤쪽에 설치된 것이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므로 각각의 교반부재(500)를 통과하는 슬러지는 망형상 벨트(330)의 외측을 향해 벌어지거나 망형상 벨트(330)의 중앙을 향해 모여지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망형상 벨트(330)에서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물받이(400)를 통하여 여과수를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300) 위에서 이동하는 슬러지는 좌우로 반복하여 뒤집혀지므로 지그재그의 고랑이 형성되어 슬러지에 포함된 여과수의 원활한 배출을 유 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펼침판(550)은 상기 교반부재(520)를 통과하여 고랑이 형성된 슬러지를 누르면서 망형상 벨트(330) 위에 슬러지가 넓겨 펴질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프레임(51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펼침판(550)은 망형상 벨트(330) 위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교반부재(520)를 통과한 슬러지를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는 효과를 갖게될 뿐만 아니라, 상기 교반부재(520)에 의해 좌우로 뒤집혔던 슬러지를 고르게 펴주는 작용도 하게되어 슬러지에 남은 여과수를 최종적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교반부재(520)는 상기 고정프레임(510)에 양쪽 끝에 설치된 손잡이(540)를 잡고 올리면 힌지축(542)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프레임(510)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여 슬러지와 접촉하는 교반부재(520)의 보수와 교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540)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540)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이 가능하여 슬러지와 접촉하는 교반부재(52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이송장치(300)와 프레임(10) 사이에는 방지판(530)을 설치하여 슬러지가 교반부재(520)를 통과하면서 상기 이송장치(300)와 프레임(10) 사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방지판(530)은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기밀 유지가 가능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장치(300)에 있어서 상기 탈수기(200) 반대쪽에 설치되고 블레이드(610)가 상기 망형상 벨트(330)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슬러지를 망형상 벨트(330)로부터 분리시키는 슬러지독터(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블레이드(610)는 그 일측 단부가 구동롤러(310)의 약간 상측인 망형상 벨트(330)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송장치(300) 위에서 이동하면서 여과수를 배출한 슬러지가 상기 블레이드(610)에 의해 망형상 벨트(330)에 떨어진 후 경사지게 설치된 블레이드(610)를 타고 흐르면서 슬러지수집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로 낙하되거나 상기 이송장치(300)에 연결되어 설치된 벨트프레스부(700)로 이송된다.
상기 슬러지독터(600)는 상기 망형상 벨트(330)에 일정한 힘으로 접촉되어 슬러지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블레이드(610)에 탄성력을 주는 인장스프링(612)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망형상 벨트(330)에 놓여진 슬러지는 상기 슬러지독터(600)를 통과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망형상 벨트(330)에 잔존하는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망형상 벨트(330) 아래에서 슬러지를 연속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벨트세척기(6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쳐 탈수가 완료되면, 상기 물받이(400)에 모아진 여과수는 유출구(410)를 통하여 배출되어 재활용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폐수농축장치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프레스부(700)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교반부(500)를 통해 이송장치(300)에 넓게 펴져서 농축된 슬러지는 상기 이송장치(30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기 벨트프레스부(700)를 통하여 압착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벨트프레스부(700)는 복수의 압착롤러(710)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특정의 경로를 순환하도록 설치된 상부벨트(720)와 하부벨트(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벨트(720)와 하부벨트(730)는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춰서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과용 벨트로 구성된다.
상기 벨트프레스부(700)는 탈수장치와 폐수처리설비에서 주로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망컨베이어 및 여과용 벨트컨베이어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장치(300) 위에서 교반부(520)를 통과하여 농축된 슬러지는 상기 벨트프레스부(700)에서 최종적으로 압착되면서 여과수를 배출하여 케이크 상태로 된다.
상기 벨트프레스부(700)에는 필요에 따라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부벨트(720) 및 하부벨트(730)에 부착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벨트프레스부(700)에는 필요에 따라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여 슬러지의 농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폐수농축장치에 의한 공정폐수의 농축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분배조(100)의 하부로 공정폐수가 유입되면, 상기 분배조(100)의 몸체(110)의 하부로부터 공정폐수가 상부로 차오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조(100)의 몸체(110)보다 높은 높이까지 공정폐수가 차오르게 되면, 공정폐수는 상기 분배조(100)의 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 때 분배조(100)의 출구(114)에 연결되어 폭이 점차 넓어지는 판형상의 배출가이드(116)를 통과하고, 상기 배출가이드(116)의 중앙에 설치되어 폭이 점차 좁아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분배돌기(118)를 거치면서 공정폐수가 배출가이드(116) 전면에 걸쳐 고르게 분배되어 탈수기(200)로 공급된다.
상기 탈수기(200)로 공급되는 공정폐수에 진동을 가하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멍(212)이 형성된 타공판(210)을 통과하면서 신속하게 탈수되어 물받이(400)로 집수되고, 탈수가 되고 남은 슬러지는 이송장치(300)로 이송된다.
이어서 슬러지화된 공정폐수는 상기 교반부(500)을 통과하면서 슬러지를 좌우로 반복하여 뒤집어져 지그재그의 고랑이 형성되고, 슬러지에 포함된 여과수는 원할하게 배출되며, 상기 이송장치(300) 위에 넓게 펴지게 된다.
상기 이송장치(300) 위에 넓게 펴진 슬러지는 슬러지독터(600)에 의하여 이송장치(300)의 구동롤러(310)에 접촉된 블레이드(610)를 타고 흐르면서 슬러지수집기로 낙하되거나 벨트프레스부(700)로 이송된다.
상기 농축슬러지는 상기 이송장치(30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기 벨트프레스부(700)를 통하여 압착되어 케이크화된다.
본 고안에 따른 폐수농축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공정폐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상기 탈수기(200)와 상기 교반부(500)를 통한 탈수작용으로 여과하고, 여과된 여과수는 재활용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폐수농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폐수농축장치에 의하면, 분배조와 분배돌기를 통과하여 넓게 펼쳐져서 분배된 공정폐수가 진동모터를 장착한 탈수기를 통해 신속하게 여과수가 배출되어 슬러지화되고, 연속 회전하는 이송장치위에 고르게 펼쳐서 공급함으로써 교반부재를 통과하면서 여과수가 자연스럽고 신속하게 배출되어 슬러지의 최종처리가 원활히 이루어질 분만 아니라, 여과수의 회수율이 높아 경제적이며, 여과된 여과수를 재이용함에 따라 전체적인 용수의 소비가 절감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설비로 구성되어 설비 유지관리가 편리하며, 작동이 간편하기 때문에 항상 안정된 동작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폐수농축장치에 의하면, 상기 공정을 통하여 고농축되고 이송장치 전면에 고르게 펼쳐진 슬러지를 벨트프레스장치에 투입할 경우 벨트프레 스장치의 탈수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하부로 유입되는 공정폐수를 상부로 배출시키고 배출되는 공정폐수를 넓게 분배시키는 분배조와,
    상기 분배조에서 분배되어진 공정폐수에 진동을 가하여 탈수를 행하는 탈수기와,
    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에 감겨져 회전하는 망형상 벨트 위로 상기 탈수기를 통과한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탈수기와 이송장치의 망형상 벨트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여과수가 집수되는 물받이와,
    상기 이송장치의 망형상 벨트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를 좌우로 뒤집어 고르게 펴는 교반부와,
    상기 탈수기 반대쪽에 설치되고 블레이드가 상기 망형상 벨트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슬러지를 망형상 벨트로부터 분리시키는 슬러지독터를 포함하는 폐수농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조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한쪽 측면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부 반대쪽 측면에 출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출구에 연결되고 출구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판형상의 배출가이드와, 상기 배출가이드의 중앙에 설치되어 배출된 공정폐수가 넓게 펴질 수 있도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분배돌기를 포함하는 폐수농축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탈수기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분배조와 상기 망형상 벨트 사이에 설치되는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과 연결되어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폐수농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이송장치의 망형상 벨트 상부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로질러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부 끝부분이 슬러지와 접하여 슬러지를 좌우로 뒤집는 다수의 교반부재와, 상기 고정프레임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고 교반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슬러지를 누르면서 망형상 벨트 상부에 고르게 펴주는 하나이상의 펼침판을 포함하는 폐수농축장치.
KR2020060021470U 2006-08-10 2006-08-10 폐수농축장치 KR200429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470U KR200429913Y1 (ko) 2006-08-10 2006-08-10 폐수농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470U KR200429913Y1 (ko) 2006-08-10 2006-08-10 폐수농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913Y1 true KR200429913Y1 (ko) 2006-10-30

Family

ID=4177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470U KR200429913Y1 (ko) 2006-08-10 2006-08-10 폐수농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9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988B1 (ko) * 2017-10-31 2018-06-07 빛나매크로 주식회사 슬러지 탈수장치
CN110565770A (zh) * 2019-09-16 2019-12-13 廉作勇 一种河道排污口固态垃圾滤除装置
CN111643952A (zh) * 2020-05-05 2020-09-11 北京点域科技有限公司 一种水污染杂料易清理过滤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988B1 (ko) * 2017-10-31 2018-06-07 빛나매크로 주식회사 슬러지 탈수장치
CN110565770A (zh) * 2019-09-16 2019-12-13 廉作勇 一种河道排污口固态垃圾滤除装置
CN111643952A (zh) * 2020-05-05 2020-09-11 北京点域科技有限公司 一种水污染杂料易清理过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8688B2 (ja) 液体から粒子を分離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2324708B1 (ko) 무인 자동 타워형 필터프레스 장치
CN105417790B (zh) 可移动带式浓缩压滤整机
US7431165B1 (en) Liquid/solids waste separator
KR101408301B1 (ko) 유기성폐기물의 농축장치 및 농축방법
KR200429913Y1 (ko) 폐수농축장치
US4151093A (en) Stockwasher
US6976592B1 (en) Liquid/solids waste separator
US4595499A (en) Gravity belt thickener and belt press combination
KR20120011335A (ko) 스컴 분리장치
US5202017A (en) Continuous media filter with monitoring of liquid level in distributor
KR101822178B1 (ko) 휠스크린 장치
JPS625834Y2 (ko)
RU2349367C2 (ru) Ленточный фильтр-пресс
CN211919840U (zh) 一种v型向上倾斜输送带
KR100257025B1 (ko) 슬럿지 탈수 처리장치
KR101209468B1 (ko) 축산분뇨 탈수장치
CN112851069A (zh) 一种带式浓缩脱水一体机以及工作方法
KR101114225B1 (ko) 슬러지 탈수기
JP4153119B2 (ja) 汚泥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処理装置
KR102068155B1 (ko) 고액분리기
KR102442883B1 (ko) 벨트프레스 탈수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JP3091008U (ja) 糞尿固液分離装置
CA1257550A (en) Gravity belt thickener and belt press combination
CN216946695U (zh) 一种节约型重力浓缩脱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