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998B1 -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9998B1 KR102339998B1 KR1020210057859A KR20210057859A KR102339998B1 KR 102339998 B1 KR102339998 B1 KR 102339998B1 KR 1020210057859 A KR1020210057859 A KR 1020210057859A KR 20210057859 A KR20210057859 A KR 20210057859A KR 102339998 B1 KR102339998 B1 KR 1023399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unit
- microplastics
- collecting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56—Construction of filtering bands or supporting belts, e.g. devices for centering, mounting or sealing the filtering bands or the supporting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처리부를 통해 슬러지가 처리된 하수의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로서,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는 입구와, 미세플라스틱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는 벨트형 필터와,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에 접촉하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에 의해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미세플라스틱의 수거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수거부; 상기 수거공간과 연통가능하게 상기 수거부에 연결되는 포집부;및 상기 수거부에 배치되며, 회전하여 상기 수거공간의 미세플라스틱을 상기 포집부로 안내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식 벨트형 필터를 사용하여 하수에서 미세플라스틱을 분리하고 이를 다시 포집하여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는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는 생활에서 발생하는 배수의 총칭으로, 생활하수, 공장이나 사업장의 배수, 우수 등을 의미한다. 하수처리장치는 이러한 하수를 수처리하고 슬러지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하수처리 공정은 조목 스크린 필터에 의해 1차 적으로 하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공정과, 침사조에서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공정, 세목 스크린 필터에 의해 2차 적으로 보다 세밀하게 하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공정, 생물학적 침전(1차 침전)에 의해 슬러지를 농축시켜서 탈수하여 슬러지를 배출하는 공정 및 화학적 침전(2차 침전)을 통해 하수를 처리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최종 유출수가 배출된다.
그러나, 하수처리장치에서 하수를 처리하여도 미세플라스틱의 일부는 공공수역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미세플라스틱은 통상적으로 5mm이하의 플라스틱을 지칭한다.
이렇게 배출된 미세플라스틱은 상수원수와 지하수에 포함되어 순환된다.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은 수계 및 수생태계, 그리고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때문에 하수처리 과정으로 미세플라스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함께, 하수처리장치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에 대한 미세플라스틱의 처리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수처리장치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는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하수 처리부를 통해 슬러지가 처리된 하수의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로서,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는 입구와, 미세플라스틱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는 벨트형 필터와,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에 접촉하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에 의해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미세플라스틱의 수거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수거부와, 상기 수거공간과 연통가능하게 상기 수거부에 연결되는 포집부 및 상기 수거부에 배치되며, 회전하여 상기 수거공간의 미세플라스틱을 상기 포집부로 안내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포집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이프는 상기 바디의 전벽의 상단 에지일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전벽과 함께 상기 수거공간을 형성하는 후벽과, 바닥부와, 상기 전벽 및 상기 후벽과 상기 바닥부를 연결하는 연결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벽은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하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날개의 외경은 상기 포집부를 향할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상기 바닥부의 폭은 상기 포집부와 반대방향을 향할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폭은 상기 바디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챔버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바디와 상기 챔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신축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벽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전단부의 일부는 상기 포집부에 배치되고, 상기 포집부의 입구는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포집부의 출구는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축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거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필터의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나이프 근처의 상기 필터에 분사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필터와 접촉하는 제1 롤과 제2 롤과 제3 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롤, 상기 제2 롤 및 상기 제3 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는 하수처리공정에 있어서 생물학적 침전(1차 침전) 및 화학적 침전(2차 침전)을 모두 거친 최종 유출수를 배출하기 바로 전 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는, 회전식 벨트형 필터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고, 포집부를 통해 재차 미세플라스틱을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미세플라스틱의 제거효율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필터의 상측에 수거부를 구성하고, 필터를 회전시켜, 부유 상태의 미세플라스틱를 수거부로 걸러내어 안내함으로써, 미세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수거부의 바닥부를 포집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하여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수거부에서 수거된 미세플라스틱이 원활하게 포집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포집부의 바닥면부와 전벽 및 후벽을 연결벽을 경사지게 배치하여, 필터에서 분리된 미세플라스틱이 스크류 컨베이어 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스크류 컨베이어의 날개의 외경이 포집부를 향할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수거부의 미세플라스틱을 포집부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바닥부의 폭이 포집부의 반대방향을 갈수록 크고 포집부를 향할수록 작게 형성되어, 포집부 부근에서 포집부 측으로 미세플라스틱을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상하방향으로 수거부와 챔버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통해 스크류 컨베이어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필터의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분사부를 통해, 필터에 점착된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수거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수거부의 측단면도,
도 6은 포집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포집부의 측단면도,
도 8은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스크류 컨베이어가 배치된 수거부의 평면도,
도 10은 분사부가 배치된 수거부 부근의 챔버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포집부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미세플라스틱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수거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수거부의 측단면도,
도 6은 포집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포집부의 측단면도,
도 8은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스크류 컨베이어가 배치된 수거부의 평면도,
도 10은 분사부가 배치된 수거부 부근의 챔버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포집부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미세플라스틱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의 전후방향을 나타내며, z축은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의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 기재된 "전방”,"후방"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는, 챔버(100)와, 필터부(200)와, 수거부(300)와, 포집부(400)와, 스크류 컨베이어(500)와, 탄성부재(600)와, 측정부(700)와, 분사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는 조목 스크린 필터, 침전, 세목 스크린 필터, 생물학적 침전(1차 침전) 및 화학적 침전(2차 침전)까지 모두 거친 최종 유출수를 배출하기 바로 전 단계에 적용되어 하수와 폐수에 포함된 미세 플라스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챔버(100)는 입구(101)와 출구(102)를 포함한다. 입구(101)는 하수처리장치의 처리부와 연결된다. 하수처리장치에서, 슬러지가 처리된 하수가 입구(101)를 통해 챔버(100) 내부로 유입된다. 출구(102)는 미세플라스틱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곳이다. 출구(102)의 방향과 입구(101)의 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101)와 출구(102)는 각각 전후방향(y)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구(101)는 챔버(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출구(102)는 챔버(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출구(102)는 상하방향(z)으로 입구(101)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챔버(100)의 바닥에는 내부 청소 등을 위해 챔버(100) 내부에 담겨진 하수를 모두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미도시)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거부(300)의 위치와 대응되는 챔버(100)의 후방 측면에는 포집부(400)와 수거부(300)를 연통시키는 홀(103)이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200)는 필터(210)와 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10)는 챔버(100) 내부에 배치되며, 전방을 향하여 하향하여 경사지게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필터(210)는 벨트 형태로 구동부(220)에 감겨 회전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전후방향(y)을 기준으로 할 때, 필터(210)는 출구(102)와 입구(10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20)는 복수 개의 롤러와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20)는 필터(210)와 접촉하는 제1 롤(221)과 제2 롤(222)과 제3 롤(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221)과 제2 롤(222)과 제3 롤(223)은 삼각형을 이루도록 삼각형의 꼭지 부근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221)은 수거부(3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롤(222)의 축(C2)과 제3 롤(223)의 축(C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210)를 구동부(220)에 장착할 때, 제2 롤(222)의 축(C2)이나 제3 롤(223)의 축(C3)을 이동함으로써, 필터(210)를 구동부(220)는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탈착시킬 수 있다.
필터(210)는 챔버(100)의 입구(101)와 전후방향(y)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필터(210)는 2단으로 구성되어, 구동부(220)가 작동하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필터(210)는 상향하여 움직이며,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필터(210)는 하향하여 움직이면서, 입구(101)로 유입된 하수와 접촉하는 필터(210)의 영역이 순환한다.
필터(210)는 와이어 메쉬구조로 형성된다. 필터(210)의 메쉬의 크기는 0.06mm이며, 평첩직 방식으로 제직될 수 있다. 평첩직(Plain Dutch Weave)이란, 횡선 대비 굵은 선경의 종선을 사용하는 제직 방법이다. 필터(210)는 스테인레스 강을 소재로 하여 강성를 확보함으로써, 회전 과정에서, 장력으로 인하여 늘어져 메쉬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거부(300)는 필터(210)의 후방에 배치되어, 필터(210)에 쌓여있는 미세플라스틱을 필터(210)에서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수거부(300)는 내측에 수거공간을 형성한다. 수거부(300)는 챔버(10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포집부(400)는 수거부(300)의 후방에 연결되어, 수거부(300)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을 포집하여 배출배관(도 11의 1)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류 컨베이어(500)는 수거공간의 미세플라스틱을 포집부(4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류 컨베이어(500)는 수거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스크류 컨베이어(500)는 축방향이 좌우방향(x)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스크류 컨베이어(500)는 모터(M)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도 7의 600)는 수거부(300)와 챔버(100) 사이에 배치되어, 스크류 컨베이어(500)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측정부(700)는 챔버(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필터(210)에 접착된 오염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측정부(700)는 챔버(100)의 내부의 필터(210)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구동부(220)가 작동하면, 필터(210)가 회전하여, 유입된 하수에 떠 있는 미세플라스틱들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필터(210)에 의해 운반된 미세플라스틱은 수거부(300)의 나이프(도 4의 320)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수거부(300)에 수용된다. 미세플라스틱이 분리된 필터(210)는 하측으로 이동한 다음 상측으로 이동하여, 유입된 하수에 떠 있는 미세플라스틱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수거부(300)로 운반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 4는 수거부(3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수거부(300)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거부(300)는 바디(310)와 나이프(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10)는 전벽(311a)과 후벽(311b)과 바닥부(312)와 연결벽(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전벽(311a)과 후벽(311b)과 바닥부(312)와 연결벽(313)은 나이프(320)에서 의해 분리된 미세플라스틱을 수용하는 수거공간을 내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수거공간은 좌우방향(x)을 기준으로, 포집부를 향하는 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그 반대측은 측벽에 의해 막혀있을 수 있다.
전벽(311a)은 연결벽(313)에 의해 바닥부(312)와 연결된다. 후벽(311b)은 연결벽(313)에 의해 바닥부(312)와 연결된다 연결벽(313)은 바닥부(312)를 향하여 하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나이프(320)는 바디(310)의 전벽(311a)의 상단 에지일 수 있다. 바디(310)는 전벽(311a)의 상단 에지가 필터(210)에 접촉하도록 챔버(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필터(210)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은 필터(210)에서 분리되어 바디(310)의 수거공간에 쌓인다.
연결벽(313)이 바닥부(312)를 향하여 하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나이프(320)에 의해 필터(210)에서 분리된 미세플라스틱은 연결벽(313)을 타고 스크류 컨베이어(500)가 배치된 바닥부(312)를 향하여 원활하게 흘러 들어갈 수 있다.
한편, 수거부(300)는 탄성부재(600)를 수용하는 홀더(3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315)는 바디(310)의 연결벽(313)에서 하향하여 돌출된다. 홀더(315)는 내측에 탄성부재(60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홀더(315)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더(315)는 좌우방향(x)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홀더(315)는 전후방향(y)을 기준으로, 바닥부(312)의 전방에 배치되는 연결벽(313)과 바닥부(312)의 후방에 배치되는 연결벽(31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홀더(315)는 바닥부(312)를 사이에 두고 복열로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600)는 상하방향(z)을 기준으로, 바디(310)와 챔버(100)의 내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600)는 스크류 컨베이어(500)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600)는 바디(31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바디(310)의 나이프(320)와 필터(210)의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바디(310)의 나이프(320)가 필터(210)에서 미세플라스틱을 더욱 원활하게 긁어낼 수 있도록 한다. 복수 개의 탄성부재(600)는 각각의 홀더(315)에 수용되며, 챔버(100)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탄성부재(600)는 바닥부(312)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600)는 신축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도 6은 포집부(4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포집부(400)의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포집부(400)는 원통부(410)와, 배출부(420)와, 플랜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부(410)는 입구(401)를 포함하고, 배출부(420)는 출구(402)를 포함한다. 스크류 컨베이어(500)의 전단부의 일부가 원통부(410)에 배치될 수 있다. 원통부(410)의 형상은 스크류 컨베이어(500)의 형상을 고려한 것이다.
포집부(400)의 입구(401)는 스크류 컨베이어(500)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포집부(400)의 출구(402)는 스크류 컨베이어(500)의 축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430)는 포집부(400)를 챔버(1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플랜지(430)는 챔버(100)의 출구 부근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스크류 컨베이어(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크류 컨베이어(500)는 수거부(300)에 배치되어, 수거공간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을 포집부(4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류 컨베이어(500)는 축방향이 좌우방향(x)이 되도록 수거부(300)의 바닥부(312)에 정렬된다.
스크류 컨베이어(500)는 도 8의 Q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포집부(400)를 향할수록 날개의 외경이 증가(D2>D1)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 컨베이어(500)는, 포집부(400)의 반대방향에서는 수거공간에서 스크류 컨베이어(5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미세플라스틱의 수거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미세플라스틱이 포집부(400) 측으로 이동할수 있도록 흐름을 형성하기 때문에, 미세플라스틱을 포집부(400)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스크류 컨베이어(500)가 배치된 수거부(300)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거부(300)의 바디(310)의 바닥부(312)의 폭(W)은 포집부(400)와 반대방향을 향할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닥부(312)의 폭(W)이라 함은 바디(310)의 전후방향(y)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수거부(300)는 포집부(400)의 반대방향에서는 수거공간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수거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포집부(400)로 이송되는 미세플라스틱을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분사부가 배치된 수거부(300) 부근의 챔버(100)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스크류 컨베이어(500)에 의해, 포집부(400)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미세플라스틱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분사부(800)는 수거부(300)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수거부(300)는 측정부(700)에서 획득한 필터(210)의 영상정보를 통해 필터(210)에 오염물이 어느 정도 점착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이 필터(210)에 접착되어 있으면, 분사물질을 분사하여, 점착된 오염물을 필터(210)에서 제거할 수 있다. 제거된 오염울은 수거부(300)에 쌓여 스크류 컨베이어(500)를 통해 미세플라스틱과 함께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나이프(320)에 의해 필터(210)에서 분리된 미세플라스틱은 수거부(300)에 쌓인다. 스크류 컨베이어(500)가 회전하면, 수거부(300)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은 스크류 컨베이어(500)에 의해 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포집부(400)로 안내된다. 스크류 컨베이어(500)의 단부가 포집부(400)에 위치하기 때문에, 스크류 컨베이어(500)의 단부로 이송된 미세플라스틱은 포집부(400)에 연결된 배출배관(1)을 통해 바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바닥부(312)는 포집부(4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좌우방향을 나타내는 기준선(L) 대비 소정의 각도(R)만큼 하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수거부(300)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이 포집부(400)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챔버
200: 필터부
210: 필터
220: 구동부
221: 제1 롤
222: 제2 롤
223: 제3 롤
300: 수거부
310: 바디
320: 나이프
400: 포집부
500: 스크류 컨베이어
600: 탄성부재
700: 측정부
800: 분사부
200: 필터부
210: 필터
220: 구동부
221: 제1 롤
222: 제2 롤
223: 제3 롤
300: 수거부
310: 바디
320: 나이프
400: 포집부
500: 스크류 컨베이어
600: 탄성부재
700: 측정부
800: 분사부
Claims (12)
- 하수 처리부를 통해 슬러지가 처리된 하수의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로서,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는 입구와, 미세플라스틱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는 벨트형 필터와,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에 접촉하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에 의해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미세플라스틱의 수거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수거부;
상기 수거공간과 연통가능하게 상기 수거부에 연결되는 포집부;및
상기 수거부에 배치되며, 회전하여 상기 수거공간의 미세플라스틱을 상기 포집부로 안내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나이프는 상기 바디의 전벽의 상단 에지이며,
상기 챔버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바디와 상기 챔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신축시 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필터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거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필터의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나이프 근처의 상기 필터에 분사물질을 분사하고,
상기 필터는 와이어 메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포집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전벽과 함께 상기 수거공간을 형성하는 후벽과, 바닥부와, 상기 전벽 및 상기 후벽과 상기 바닥부를 연결하는 연결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벽은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하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날개의 외경은 상기 포집부를 향할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기 바닥부의 폭은 상기 포집부와 반대방향을 향할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폭은 상기 바디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삭제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벽에서 돌출되는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전단부의 일부는 상기 포집부에 배치되고,
상기 포집부의 입구는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포집부의 출구는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축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필터와 접촉하는 제1 롤과 제2 롤과 제3 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롤, 상기 제2 롤 및 상기 제3 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는 하수처리공정에 있어서 생물학적 침전(1차 침전) 및 화학적 침전(2차 침전)을 모두 거친 최종 유출수를 배출하기 바로 전 단계에 적용되는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7859A KR102339998B1 (ko) | 2021-05-04 | 2021-05-04 |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7859A KR102339998B1 (ko) | 2021-05-04 | 2021-05-04 |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9998B1 true KR102339998B1 (ko) | 2021-12-17 |
Family
ID=7903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7859A KR102339998B1 (ko) | 2021-05-04 | 2021-05-04 |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999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4461B1 (ko) * | 2021-12-22 | 2022-09-19 | 주식회사 에이이 |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8314Y1 (ko) * | 2006-07-26 | 2006-10-12 | 한국수자원공사 | 수중 슬러지이송용 나사컨베이어 |
KR20140130821A (ko) | 2013-05-02 | 2014-11-12 | 대림산업 주식회사 | 통합된 관로에 의해 슬러지의 내부반송 및 외부반송이 진행되는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
KR101753579B1 (ko) * | 2016-10-05 | 2017-07-06 | 주식회사 가온텍 | 필터 스크린 시스템 |
KR102147259B1 (ko) * | 2020-03-24 | 2020-08-25 | (주)가온텍 | 회전 벨트방식의 이중 필터스크린 시스템 |
KR102227443B1 (ko) * | 2020-12-08 | 2021-03-12 |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 관형필터를 이용한 십자류여과방식의 개선된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
2021
- 2021-05-04 KR KR1020210057859A patent/KR1023399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8314Y1 (ko) * | 2006-07-26 | 2006-10-12 | 한국수자원공사 | 수중 슬러지이송용 나사컨베이어 |
KR20140130821A (ko) | 2013-05-02 | 2014-11-12 | 대림산업 주식회사 | 통합된 관로에 의해 슬러지의 내부반송 및 외부반송이 진행되는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
KR101753579B1 (ko) * | 2016-10-05 | 2017-07-06 | 주식회사 가온텍 | 필터 스크린 시스템 |
KR102147259B1 (ko) * | 2020-03-24 | 2020-08-25 | (주)가온텍 | 회전 벨트방식의 이중 필터스크린 시스템 |
KR102227443B1 (ko) * | 2020-12-08 | 2021-03-12 |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 관형필터를 이용한 십자류여과방식의 개선된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4461B1 (ko) * | 2021-12-22 | 2022-09-19 | 주식회사 에이이 |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76637B1 (ko) | 유동하는액체나기체로부터고체를미립자를분리하는장치 | |
KR100228260B1 (ko) | 여과장치 및 여과시스템 | |
CN101128282A (zh) | 脏液处理装置 | |
KR101282645B1 (ko) | 판스크린이 구비된 하수 협잡물 연속처리장치 | |
US667246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articulate contaminants from commercial laundry waste water | |
KR20090057429A (ko) | 더티액 처리 장치 | |
KR102339998B1 (ko) |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
EP0946248B1 (en) | Filter with counter flow clearing | |
US5507944A (en) | Storm water drainage filter system | |
KR102541499B1 (ko) | 이동식 절삭유 칩 클리너 정화처리시스템 | |
KR100804078B1 (ko) | 스크린 여과와 원심력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 |
CN112930460B (zh) | 一种空气净化器 | |
CZ232393A3 (en) | Apparatus for removing rakings from huge quantities of water | |
JP2009045562A (ja) | 濾過フイルター式スラッジ脱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 |
KR100414905B1 (ko) |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 |
KR20110133749A (ko) |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 | |
KR102305739B1 (ko) | 슬러지 탈수기의 오수 재생 장치 | |
RU2573099C2 (ru) | Система для ликвидации разлива нефти | |
KR102444461B1 (ko) |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
KR102160058B1 (ko) | 수저면 오염퇴적물 정화시스템 | |
JP2001129426A (ja) | 洗浄処理装置 | |
KR20230079590A (ko) |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 |
KR102131063B1 (ko) | 필터 세척 기능을 갖는 수처리 장치 | |
JP2003190713A (ja) |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および夾雑物分離除塵システム | |
KR200414355Y1 (ko) | 조목, 미세목 일체형 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침사 협잡물종합처리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