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461B1 -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461B1
KR102444461B1 KR1020210184578A KR20210184578A KR102444461B1 KR 102444461 B1 KR102444461 B1 KR 102444461B1 KR 1020210184578 A KR1020210184578 A KR 1020210184578A KR 20210184578 A KR20210184578 A KR 20210184578A KR 102444461 B1 KR102444461 B1 KR 10244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ter
removal device
rotary
micro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신미래
정다은
조형범
신계호
성하범
이성준
기남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이
에스지건설 주식회사
에스티건설 주식회사
에스테크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성림이엔씨
주식회사 거림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이, 에스지건설 주식회사, 에스티건설 주식회사, 에스테크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성림이엔씨, 주식회사 거림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이
Priority to KR1020210184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56Construction of filtering bands or supporting belts, e.g. devices for centering, mounting or sealing the filtering bands or the support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처리부를 통해 슬러지가 처리된 하수의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로서,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는 입구와, 미세플라스틱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는 벨트형 필터와,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에 접촉하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에 의해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미세플라스틱의 수거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수거부; 상기 수거공간과 연통가능하게 상기 수거부에 연결되는 포집부;및 상기 포집부와 연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석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수거부와 연결되는 내통부와, 상기 내통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석션부와 연결되는 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통부는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는 포함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Rotary type microplastic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식 벨트형 필터를 사용하여 하수에서 미세플라스틱을 분리하고 이를 다시 포집하여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는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는 생활에서 발생하는 배수의 총칭으로, 생활하수, 공장이나 사업장의 배수, 우수 등을 의미한다. 하수처리장치는 이러한 하수를 수처리하고 슬러지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하수처리 공정은 조목 스크린 필터에 의해 1차 적으로 하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공정과, 침사조에서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공정, 세목 스크린 필터에 의해 2차 적으로 보다 세밀하게 하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공정, 생물학적 침전(1차 침전)에 의해 슬러지를 농축시켜서 탈수하여 슬러지를 배출하는 공정 및 화학적 침전(2차 침전)을 통해 하수를 처리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최종 유출수가 배출된다.
그러나, 하수처리장치에서 하수를 처리하여도 미세플라스틱의 일부는 공공수역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미세플라스틱은 통상적으로 5mm이하의 플라스틱을 지칭한다.
이렇게 배출된 미세플라스틱은 상수원수와 지하수에 포함되어 순환된다.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은 수계 및 수생태계, 그리고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때문에 하수처리 과정으로 미세플라스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함께, 하수처리장치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에 대한 미세플라스틱의 처리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수처리장치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는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처리부를 통해 슬러지가 처리된 하수의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로서,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는 입구와, 미세플라스틱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는 벨트형 필터와,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에 접촉하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에 의해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미세플라스틱의 수거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수거부와, 상기 수거공간과 연통가능하게 상기 수거부에 연결되는 포집부 및 상기 포집부와 연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석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수거부와 연결되는 내통부와, 상기 내통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석션부와 연결되는 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통부는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는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통부는 상기 홀이 배치된 측벽과, 상기 홀이 배치되지 않는 바닥부를 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외통부의 출구와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포집부의 입구와 연결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홀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홀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포집부의 입구의 내경은 상기 내통부의 내경과 동일하고, 상기 포집부의 출구의 내경은 상기 외통부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수거부의 바디는 상기 나이프와 연결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상기 수거부의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출구를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상하방향으로 상기 연장부의 최하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스테인레스 강을 소재로 하는 와이어 메쉬구조로 형성되며, 메쉬의 크기는 0.06mm이며, 평첩직 방식으로 제직될 수 있다.
상기 챔버 내부의 제1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측정부에 전달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거부와 접촉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의 내부의 제2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제2 측정부에 전달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거부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수거부의 내부의 제2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션부는 상기 제2 측정부에 전달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는 하수처리공정에 있어서 생물학적 침전(1차 침전) 및 화학적 침전(2차 침전)을 모두 거친 최종 유출수를 배출하기 바로 전 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는, 회전식 벨트형 필터를 통해 미세플라스틱를 걸러내고, 포집부를 통해 재차 미세플라스틱을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미세플라스틱의 제거효율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필터의 상측에 수거부를 구성하고, 필터를 회전시켜, 부유 상태의 미세플라스틱를 수거부로 걸러내어 안내함으로써, 미세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수거부의 바닥면은 나이프와 연결되도록 배치하고, 포집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하여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수거부에서 수거된 미세플라스틱이 원활하게 포집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수거부에서, 출구를 형성하는 연장부의 최하면보다 바닥면을 높게 형성하여, 포집부를 향하는 미세플라스틱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내통부의 바닥면을 막힌면으로 구성하고, 바닥면을 외통부의 출구와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미세플라스틱의 포집효율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포집부의 내통부에서, 바닥면과 연결되는 측벽의 일부를 막히면으로 구성하여, 미세플라스틱의 포집효율을 더욱 높이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평첩직 방식으로 제직되는 와이어 메쉬구조로서, 메쉬의 크기가 0.06mm인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하수의 흐름과 흡입력을 확보하고, 필터가 늘어져 메쉬의 크기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부유 상태의 미세플라스틱의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수거부에 접촉하는 진동부를 통해, 수거된 미세플라스틱들이 서로 응집하는 것을 방지하여, 포집부를 향하는 미세플라스틱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챔버 내부의 영상정보를 통해, 필터에 쌓여있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확인하여, 필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미세플라스틱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챔버 내부의 영상정보를 통해, 챔버 내로 유입되는 하수의 양과 필터에 쌓여있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대비하여, 하수의 유입양을 조절함으로써, 미세플라스틱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수거부 내부의 영상정보를 통해, 수거부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을 확인하여, 진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석션부의 흡입력을 조절함으로써, 석션부로 향하는 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3은 수거부와 포집부로 이동하는 미세플라스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수거부의 전방 사시도,
도 5는 수거부의 후방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수거부의 단면도,
도 7은 포집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포집부의 단면도,
도 9는 변형례에 따른 포집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미세플라스틱이 포집되는 포집부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의 전후방향을 나타내며, z축은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의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 기재된 "전장”,"후방"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는, 챔버(100)와, 필터부(200)와, 수거부(300)와, 포집부(400)와, 석션부(500)와, 진동부(600)와, 제1 측정부(700)와, 제2 측정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는 조목 스크린 필터, 침전, 세목 스크린 필터, 생물학적 침전(1차 침전) 및 화학적 침전(2차 침전)까지 모두 거친 최종 유출수를 배출하기 바로 전 단계에 적용되어 하수와 폐수에 포함된 미세 플라스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챔버(100)는 입구(101)와 출구(102)를 포함한다. 입구(101)는 하수처리장치의 처리부와 연결된다. 하수처리장치에서, 슬러지가 처리된 하수가 입구(101)를 통해 챔버(100) 내부로 유입된다. 출구(102)는 미세플라스틱가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곳이다. 출구(102)의 방향과 입구(101)의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101)는 전후방향(y)으로 형성되며, 출구(102)는 좌우방향(x)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하방향(z)으로 출구(102)가 입구(101)보다 높게 배치된다.
필터부(200)는 필터(210)와 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10)는 챔버(100) 내부에 배치되며, 전방을 향하여 하향하여 경사지게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필터(210)는 벨트 형태로 구동부(220)에 감겨 회전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전후방향(y)을 기준으로 할 때, 필터(210)는 출구(102)와 입구(10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20)는 복수 개의 롤러와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210)는 챔버(100)의 입구(101)와 전후방향(y)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필터(210)는 2단으로 구성되어, 구동부(220)가 작동하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필터(210)는 상향하여 움직이며,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필터(210)는 하향하여 움직이면서, 입구(101)로 유입된 하수와 접촉하는 필터(210)의 영역이 순환한다.
필터(210)는 와이어 메쉬구조로 형성된다. 필터(210)의 메쉬의 크기는 0.06mm이며, 평첩직 방식으로 제직될 수 있다. 평첩직(Plain Dutch Weave)이란, 횡선 대비 굵은 선경의 종선을 사용하는 제직 방법이다. 필터(210)는 스테인레스 강을 소재로 하여 강성를 확보함으로써, 회전 과정에서, 장력으로 인하여 늘어져 메쉬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거부(300)는 필터(210)의 상측 후방에 배치되어, 필터(210)에 쌓여있는 미세플라스틱을 필터(210)에서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수거부(300)는 챔버(100)에 고정될 수 있다.
포집부(400)는 수거부(300)의 후방에 연결되어, 수거부(300)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을 재차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석션부(500)는 포집부(400)의 후방에 배관(501)을 통해 연결되어, 수거부(300)와 포집부(400)에서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석션부(500)는 에어블러워일 수 있다.
진동부(600)는 수거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600)는 수거부(300)의 하면에 장착되어, 필요 시, 수거부(30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측정부(700)는 챔버(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챔버(100)의 내부의 제1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정보는 필터(210)에 쌓인 미세플라스틱 양 또는 입구(101)로 유입되는 하수의 양일 수 있다. 제1 측정부(700)는 챔버(100) 내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제2 측정부(800)는 수거부(3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수거부(300)의 내부의 제2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정보는 수거부(300)에 쌓인 미세플라스틱 양일 수 있다. 제2 측정부(800)는 수거부(300) 내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도 3은 수거부(300)와 포집부(400)로 이동하는 미세플라스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220)가 작동하면, 필터(210)가 회전하여, 유입된 하수에 떠 있는 미세플라스틱들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필터(210)에 의해 운반된 미세플라스틱은 수거부(300)의 나이프(320)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수거부(300)에 수용된다. 미세플라스틱이 분리된 필터(210)는 하측으로 이동한 다음 상측으로 이동하여, 유입된 하수에 떠 있는 미세플라스틱들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수거부(300)로 운반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수거부(300)와 포집부(400)는 석션부(500)와 연통되어 배치된다. 석션부(500)가 작동하면, 수거부(300)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은 포집부(400)로 이동한다. 포집부(400)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포집부(400)의 내통부(410)에 걸러져 내통부(410)에 쌓이게 된다. 내통부(410)를 빠져나간 약간의 물은 석션부(5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내통부(410)에 어느 정도 미세플라스틱이 쌓이면, 작업자는 포집부(400)를 수거부(300)에서 분리하여 포집된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수거부(30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수거부(300)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수거부(300)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수거부(300)는 바디(310)와 나이프(32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이프(320)는 바디(310)의 전방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수거부(300)는 나이프(320)의 에지가 필터(210)에 접촉하도록 챔버(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필터(210)가 회전하여 나이프(320)를 지나면서, 필터(210)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은 필터(210)에서 분리되어 바디(310)에 쌓인다.
바디(310)는 필터(210)에서 분리된 미세플라스틱의 수거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바디(310)는 연장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11)는 바디(31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출구(102)를 형성한다. 연장부(311)는 포집부(400)와 결합할 수 있다. 바디(310)는 나이프(320)와 연결된 바닥면(312)을 포함한다. 바닥면(312)은 연장부(311)를 향할수록 하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수거부(300)에서 수거된 미세플라스틱이 원활하게 포집부(400)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바닥면(312)은 상하방향(z)으로 연장부(311)의 최하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바닥면(312)과 연장부(311)의 최하면은 단차지게 배치되어, 단차면(313)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또한, 바닥면(312)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이 원활하게 포집부(400)로 이동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바디(310)는 투명창(314)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창(314)은 바디(310)의 상면에 배치될 있다. 제2 측정부(800)는 투명창(314)을 통하여 수거부(300) 내부의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포집부(4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포집부(400)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포집부(400)는 내통부(410)와, 외통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통부(420)는 내통부(410)의 외측에 배치된다.
내통부(410)는 포집부(400)의 입구(401)와 연결되고, 외통부(420)는 포집부(400)의 출구(402)와 연결된다. 포집부(400)의 출구(402)의 방향과 입구(401)의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포집부(400)의 입구(401)는 수거부(300)와 연결되고, 포집부(400)의 출구(402)는 석션부(500)의 배관(501)과 연결된다.
포집부(400)의 입구(401)의 내경은 내통부(410)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포집부(400)의 출구(402)의 내경은 외통부(420)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내통부(410)는 측벽(411)과 바닥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내통부(410)는 원통형 부재로서, 측벽(411)은 바닥부(412)의 둘레와 연결될 수 있다. 측벽(411)은 복수 개의 홀(H)을 포함한다. 홀(H)을 통해 내통부(410)의 내측공간과 외측부의 내측공간이 연통된다. 이러하 홀(H)은 미세플라스틱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때문에 내통부(410)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홀(H)에 걸려 내통부(410)에 남게 된다.
바닥부(412)는 홀(H)이 없는 닫힌면으로 구성되며, 포집부(400)의 출구(402)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는 입구(401)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이 출구(402)로 바로 향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입구(401)를 통해 지속적으로 미세플라스틱이 유입되는 상태에서, 홀(H)을 관통하지 못한 미세플라스틱은 바닥부(412)에 막혀 바닥부(412)의 전방에 쌓여 포집된다.
외통부(420)는 내통부(410)의 외면과 일정한 공간을 두고 배치되어, 내통부(410)로 흡입되어 출구(402)로 향하는 공기나 약간의 물의 통로를 형성한다.
도 9는 변형례에 따른 포집부(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변형례에 따른 포집부(400)의 측벽(411)은 제1 영역(410A)과 제2 영역(4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410A)은 입구(401)와 연결되는 영역으로 홀(H)이 형성된 영역이다. 제1 영역(410A)에서 연장되어 바닥부(412)와 연결된 영역으로 홀(H)이 형성되지 않고 막힌 영역이다. 제2 영역(410B)은 홀(H)을 관통하지 못한 미세플라스틱이 쌓일 수 있는 공간을 보다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바닥부(412)와 인접한 측벽(411)의 일부가 막혀 있기 때문에 홀(H)보다 크기가 작아 홀(H)을 빠져나갈 수 있는 미세플라스틱들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도 10은 미세플라스틱이 포집되는 포집부(400)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석션부(500)의 흡입력으로 수거부(300)에 수용된 미세플라스틱이 포집부(400)의 입구(401)를 통해 내통부(410)로 유입된다. 내통부(410)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D)은 홀(H)을 관통하지 못하고, 내통부(410)에 남게 된다. 홀(H)을 관통하는 공기와 물은 외통부(420)를 통해, 출구(402)로 배출된다.
필터부(200)의 구동부(220)는 제1 측정부(700)를 통해, 필터(210)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확인하고, 미세플라스틱의 양에 대응하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는 제1 측정부(700)를 통해, 챔버(100)로 유입되는 하수의 양을 확인하고, 필터(210)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고려하여 유입되는 하수의 양의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진동부(600)는 제2 측정부(800)를 통해, 수거부(300)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확인하여, 수거된 미세플라스틱들이 서로 응집하지 않도록, 수거부(30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석션부(500)는 제2 측정부(800)를 통해, 수거부(300)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확인하여, 배관(501)이 막히지 않도록 석션부(500)의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포집부(400)와 석션부(500)를 연결하는 배관(501)에 전자 압력 게이지(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배관(501) 내부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석션부(500)에서 동일한 흡입력으로 흡입하는데 배관의 압력이 줄어든다면 포집부에 미세플라스틱이 쌓여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므로, 배관(501)의 압력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이 미리 정해진 설정값 이하로 되는 경우 이를 포집부(400)의 청소시기로 판단할 수 있다. 포집부(400)의 청소시기가 된 경우 빛이나 소리 등에 의해 작업자에게 이를 알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챔버
200: 필터부
210: 필터
220: 구동부
300: 수거부
310: 나이프
320: 바디
400: 포집부
410: 내통부
411: 측벽
410A: 제1 영역
410B: 제2 영역
412: 바닥부
420: 외통부
500: 석션부
600: 진동부
700: 제1 측정부
800: 제2 측정부

Claims (11)

  1. 하수 처리부를 통해 슬러지가 처리된 하수의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로서,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는 입구와, 미세플라스틱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는 벨트형 필터와,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에 접촉하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에 의해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미세플라스틱의 수거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수거부;
    상기 수거공간과 연통가능하게 상기 수거부에 연결되는 포집부;및
    상기 포집부와 연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석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수거부와 연결되는 내통부와, 상기 내통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석션부와 연결되는 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통부는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내통부는 상기 홀이 배치된 측벽과, 상기 홀이 배치되지 않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외통부의 출구와 마주보고 배치되며,
    상기 측벽은 상기 포집부의 입구와 연결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홀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홀이 배치되지 않는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의 입구의 내경은 상기 내통부의 내경과 동일하고,
    상기 포집부의 출구의 내경은 상기 외통부의 내경보다 작은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의 바디는 상기 나이프와 연결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상기 수거부의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출구를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상하방향으로 상기 연장부의 최하면보다 높게 배치되는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스테인레스 강을 소재로 하는 와이어 메쉬구조로 형성되며, 메쉬의 크기는 0.06mm이며, 평첩직 방식으로 제직되는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부의 제1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측정부에 전달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와 접촉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의 내부의 제2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제2 측정부에 전달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거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의 내부의 제2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션부는 상기 제2 측정부에 전달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흡입력을 조절하는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는 하수처리공정에 있어서 생물학적 침전(1차 침전) 및 화학적 침전(2차 침전)을 모두 거친 최종 유출수를 배출하기 바로 전 단계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KR1020210184578A 2021-12-22 2021-12-22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KR10244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578A KR102444461B1 (ko) 2021-12-22 2021-12-22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578A KR102444461B1 (ko) 2021-12-22 2021-12-22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461B1 true KR102444461B1 (ko) 2022-09-19

Family

ID=8346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578A KR102444461B1 (ko) 2021-12-22 2021-12-22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4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296A (ko) * 2004-08-31 2006-03-06 한상배 슬러지블랭킷 형성기능이 개선된 중력식 침전지
KR20110118547A (ko) * 2010-04-23 2011-10-31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진동에 의해 고체염소를 투입하는 장치
KR20160127158A (ko) * 2008-01-15 2016-11-02 살스네스 필터 에이에스 입자 감소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25178A (ko) * 2020-04-08 2021-10-18 김경준 미세플라스틱 필터링 장치
KR102339998B1 (ko) * 2021-05-04 2021-12-17 안소미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296A (ko) * 2004-08-31 2006-03-06 한상배 슬러지블랭킷 형성기능이 개선된 중력식 침전지
KR20160127158A (ko) * 2008-01-15 2016-11-02 살스네스 필터 에이에스 입자 감소 방법 및 시스템
KR20110118547A (ko) * 2010-04-23 2011-10-31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진동에 의해 고체염소를 투입하는 장치
KR20210125178A (ko) * 2020-04-08 2021-10-18 김경준 미세플라스틱 필터링 장치
KR102339998B1 (ko) * 2021-05-04 2021-12-17 안소미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296B1 (ko) 무동력 자동 역세척형 초기우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747916B1 (ko) 필터스크린장치를 이용한 하·우수 정화 시스템
JP4878252B2 (ja) ベルト型濃縮機
JP4798619B2 (ja) 砂分離洗浄装置
JPWO2014181583A1 (ja) 海水淡水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7245103A (ja) 貯泥の脱水装置および脱水方法
KR102444461B1 (ko) 회전식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JP2009045562A (ja) 濾過フイルター式スラッジ脱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886374B1 (ko) 여과사 세척 선별 공법
KR102339998B1 (ko) 미세플라스틱 제거장치
CN208980999U (zh) 异物去除装置和废纸再生处理装置
US6682654B1 (en) Sludge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US4343708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hickening of suspension or pulp
JPH0667447B2 (ja) 液体からの固体粒子の分離装置
JP3743437B2 (ja) 異物分離装置
KR101590142B1 (ko) 수처리장치
KR102278033B1 (ko)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US6033566A (en) Continuous flow filter system
JP2003190713A (ja)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および夾雑物分離除塵システム
KR200414355Y1 (ko) 조목, 미세목 일체형 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침사 협잡물종합처리기
KR101799745B1 (ko) 원형 침사 유분 제거 시스템
JP3303267B2 (ja) 沈殿濾過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402375B2 (ja) 処理液に含まれる油等の混入物除去方法および装置
KR20060095637A (ko) 초음파발생기가 장착된 수처리용 여과조
JPS5939309A (ja) 切削液の凝集浄化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