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033B1 -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8033B1 KR102278033B1 KR1020190097927A KR20190097927A KR102278033B1 KR 102278033 B1 KR102278033 B1 KR 102278033B1 KR 1020190097927 A KR1020190097927 A KR 1020190097927A KR 20190097927 A KR20190097927 A KR 20190097927A KR 102278033 B1 KR102278033 B1 KR 1022780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filter
- water
- treated water
- wastewater treat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9297 electrocoagula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44000144992 flock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00 metal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92 metal hyd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12 coag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5 industri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5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5 odorles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oag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처리수조의 내부에 역세 필터 수단을 장착하여 폐수처리과정에서 필터부에 의한 여과 및 역세부에 의한 필터부의 역세가 함께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필터부의 기능 및 효율성을 유지하고 보다 원활한 폐수처리가 이루어지는 역세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폐수를 여과 처리하는 필터조의 내외측에 역세부를 장착하고 사이펀 원리에 의해 역세와 여과를 번갈아가면서 수행하도록 구성하되, 사이펀 작용을 촉진하여 폐수처리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필터의 여과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의 처리방법은 물리 화학적 처리와 생물학적 처리로 크게 분류되며, 물리 화학적 처리는 폐수 내에 화학약품을 투입하여 각종 오염물질을 침전 제거하거나 전기분해나 전해응집(전기응집) 또는 전기부상과 같이 전기화학적으로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것이다.
이중 전해응집(electrocoagulation)은 용해성 전극을 이용한 전해과정 중 양극에서 용출된 금속이온이 가수분해되어 양전하를 띤 금속수산화물을 생성하고, 이러한 금속수산화물이 폐수 내의 음전하를 띤 콜로이드성 오염물질과 전기적 중화에 의해 흡착 응집 후 침전되면서 제거된다. 또한, 전극에서 발생되는 수소와 산소 기포에 의해 응집된 플록을 표면으로 부상하여 고액 분리를 한다.
이러한 전해응집에 의한 폐수처리는 화학약품을 거의 사용하지 않아 2차 오염의 우려가 적으며, 처리수가 깨끗하고 냄새가 적은 데다가 장치의 구성이 단순하고 운영이 용이하며 장치 규모에 비하여 효율이 높은 편이어서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전해응집 기술이 적용되는 폐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전해응집 과정을 통해 처리된 처리수를 필터에 의해 장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여과하는 과정에서 필터에 불순물이 쌓이면서 필터가 본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필터를 분리하여 세척 후 다시 여과 공정에 적용하여야 하므로 전체적인 폐수처리공정에 장애가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필터에 인접하여 역세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필터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의 효과를 지속하되 더욱 효율적으로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연구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터조에 역세 수단을 구비하여 사이펀 작용에 의해 여과와 역세를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터부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이펀 작용을 촉진하여 폐수처리공정이 더욱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는, 폐수를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하도록 처리조 내에 설치되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폐수를 전해응집하여 플록과 처리수로 고액 분리하고, 상기 플록과 처리수를 배출 이송하도록 플록 이송관과 처리수 이송관이 연결되는 전해응집조; 전해응집조의 하단에 배치되고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전해응집조에서 배출 분리된 전처리수를 여과 처리하는 필터조; 필터조를 통해 여과 처리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조; 필터조의 내외측에 분리 설치되어 필터조의 수위 및 공기 압력에 의해 필터부재를 역세하는 역세부; 및 필터조의 후단에 배치되어 역세부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수를 저장하는 배수조;를 포함하며, 상기 역세부는 필터부재의 폐색 시 필터조의 수위가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사이펀 작용에 의해 처리수가 역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필터부재의 역세가 행해지도록 사이펀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에 따르면, 처리조 내에 역세 필터 수단을 장착하여 전해응집된 플록과 분리하여 이송되는 전처리수를 필터조에서 여과 처리하며, 필터의 폐색 발생 시 필터조의 수위 상승 및 공기 압력차에 의해 필터를 역세하도록 구성하여 역세와 여과가 자동으로 반복 수행 가능하므로 폐수처리장치의 효율성을 향상하고 필터부의 관리가 간편하며, 사이펀관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사이펀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폐수처리를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도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정상 운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서 필터 폐색에 따른 필터조의 수위 상승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도2에서 사이펀 작용에 의한 역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도3에서 역세 동작이 중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도4에서 밸브 개방을 통한 역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서 필터 폐색에 따른 필터조의 수위 상승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도2에서 사이펀 작용에 의한 역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도3에서 역세 동작이 중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도4에서 밸브 개방을 통한 역세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정상 운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도1에서 필터 폐색에 따른 필터조의 수위 상승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3은 도2에서 사이펀 작용에 의한 역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도3에서 역세 동작이 중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5는 도4에서 밸브 개방을 통한 역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는, 폐수를 전해응집하여 처리하는 전해응집조(10)와, 전해응집조의 하단에 배치되고 필터부재(31)가 구비되어 전해응집조에서 배출 분리된 전처리수를 여과 처리하는 필터조(30)와, 필터조에서 여과 처리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조(40)와, 필터조의 내외측에 분리 설치되어 필터조의 수위 및 공기 압력에 의해 처리수를 역방향 이동시켜 필터부재를 역세하는 역세부(50) 및 필터조의 후단에 배치되어 역세부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를 저장하는 일시 저장하는 배수조(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처리조(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처리조(100)는 처리 대상수인 폐수(W)를 일시적으로 수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 처리하는 것으로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01)와, 폐수 내의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PW)가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부(102) 및 폐수처리 후 발생하는 슬러지(S)가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부(103)가 구비된다.
처리조(100)의 전단에는 폐수(W)를 공급하도록 이송펌프를 매개로 폐수 저장조(200)가 설치되고, 후단에는 처리조에서 처리 후 배출되는 슬러지(S)를 저장하도록 침전조(300)가 설치되며, 또한, 처리조 내부를 순환하면서 처리 후 배출되는 처리수(PW)가 저장되는 집수조(400)가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침전조(300)에 저장되는 슬러지(S)는 후술하는 전해응집조에서 부상 배출되는 플록 슬러지 및 역세부를 통해 발생하는 역세수 중의 슬러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조(100) 내에는 전해응집조에서 부상 배출되는 플록(F)이 침전조 측으로 배출되도록 웨어(weir : 104)가 구비되고, 플록을 웨어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105)이 설치될 수 있다.
전해응집조(10)는 처리조(10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고 유입된 폐수(W)를 전기로 응집하고 부상 분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조로서, 이러한 전해응집조(10)는 공지의 것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다수의 전극판이 설치되고 전극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가 구비된다.
즉, 전원공급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서 전극판의 표면에서 폐수와의 반응이 이루어져 폐수 내 오염물질이 응집되면서 플록(F)이 생성되고, 상기 플록은 전해응집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소와 산소 기포와 함께 상부 표면으로 부상하면서 전처리수(TW)와의 고액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해응집조(10)는 폐수를 공급받도록 처리조(100)의 유입부와 연통하는 위치에 유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반대 측에 플록과 고액 분리된 전처리수가 배출되도록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이때, 전해응집조(10)에서 배출되는 플록(F)은 처리조 내에 설치된 가이드판(105)을 따라 웨어(104)를 통해 침전조(300) 측을 향해 이송되고, 플록과 분리된 전처리수(TW)는 집수조 측을 향해 이송되며, 이를 위하여 전해응집조(10)에는 상부 수면에 전기부상한 플록이 이송되도록 웨어에 연결되는 플록 이송관(21) 및 전처리수가 이송되도록 배출구에 연결되는 전처리수 이송관(22)이 설치된다.
전해응집조(10)의 하부에는 내부에 필터조(30)가 장착되어 필터조를 통해 처리되는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조(40)가 설치되며, 처리수조(40) 내의 처리수는 후술하는 역세 필터 수단에 의한 역세 과정에서 역세수로 공급된다.
역세 필터 수단은 전해응집조로부터 이송되는 전처리수를 여과 및 처리수조 내의 처리수를 역방향으로 공급하여 역세를 행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필터부재(31)가 설치된 필터조(30)와, 필터조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역세부(50)를 포함한다.
필터조(30)는 전해응집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해응집조로부터 배출 이송되는 전처리수에 포함된 불순물(미세 고형물 등)을 여과하는 것으로서, 전처리수 이송관(22)을 통해 전해응집조(10)와 연결된다.
필터조(30)는 소정 형태로 이루어져 미세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는 필터부재(31)를 가지며, 필터부재의 상부는 전처리수 이송관(22)을 통해 이송된 전처리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필터부재의 하부는 그로부터 여과된 처리수가 처리수조 내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필터부재가 구비된 필터조는 처리수조(4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하여 위치한다.
처리수조(40)는 필터조를 포함하여 처리조(100)의 하부 내측에 일체로 구성되어 필터조(30)에서 여과 배출된 처리수(PW)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처리수조는 처리수가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월류가 일어나면서 처리조의 처리수 배출부(102)를 통해 집수조 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처리수조(40)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역세부에 의해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도록 배수조(60)가 구비된다.
역세부(50)는 필터조의 내외측에 분리 설치되어 필터조의 수위 상승 및 공기 압력에 의해 필터의 역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필터의 폐색 시 필터조(30)의 수위가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사이펀 작용에 의해 처리수가 여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사이펀관이 설치된다.
즉, 필터부재(31)의 반복 사용에 따라 전처리수 이송관(22)으로부터 이송되는 전처리수 내의 미세 고형물로 인해 필터부재(31)의 투수성이 저하되고 폐색이 일어나면서 필터부재(31)의 부하가 증가하여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며, 이때 사이펀관을 이용하여 처리수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필터부재의 역세가 행해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필터부재가 제 기능을 회복할 수 있게 된다.
사이펀관은 메인 사이펀관(51)과 서브 사이펀관(56)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사이펀관(51)은 필터조의 수위 상승 시 그 내부의 처리수를 배출하면서 역세가 행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메인 사이펀관은 대략 역 U자형으로 형성되며, 이중 일단인 처리수 유입부(51a)는 필터조(30) 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타단인 처리수 유출부(51b)는 필터조의 외측인 배수조(집수조)에 위치한다.
이때, 처리수 유입부(51a)의 단부는 전처리수 이송관의 단부(배출구)보다 낮게 배치되고 처리수 유출부(51b)의 단부는 상기 처리수 유입부의 단부보다 낮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필터부재(31)의 폐색으로 인해 필터조(30)의 수위가 일정 위치로 상승하게 되면 사이펀 작용에 의해 처리수가 상향류로 처리수 유입부(51a)를 따라 차오르다가 중력에 의해 하향류로 배출된다.
또한, 메인 사이펀관(51) 중앙 상부(51c) 측에는 단부에 배기구(52a)가 형성된 배기관(52)이 연결 설치되어 필터조(30)의 수위가 상승 시 메인 사이펀관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메인 사이펀관(51) 내의 공기가 배기되면 관내 압력이 낮아지면서 사이펀 작용에 의해 필터조(30) 내의 처리수가 메인 사이펀관으로 유입되어 배수조(60)로 유출된다.
이때, 메인 사이펀관(51)의 사이펀 작동 시 배기구(52a)를 통해 외부 공기가 오히려 메인 사이펀관(5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관에는 체크밸브(53)가 장착되며, 이에 따라 사이펀 작동이 지속적으로 행해진다.
서브 사이펀관(56)은 메인 사이펀관 내의 공기 감압에 의해 사이펀 작용을 촉진하도록 메인 사이펀관의 처리수 유출부(51b)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서브 사이펀관(56)은 메인 사이펀관과 마찬가지로 역 U자형으로 형성되며, 배수조의 내외측에 분리 설치되어 이중 일단인 배출수 유입부(55a)는 처리수 유출부(51b)에 인접하여 배수조 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타단인 배출수 유출부(55b)는 슬러지 배출부(103)에 인접하여 배수조 외측에 위치한다.
서브 사이펀관(56)의 상부에는 연결관(57)이 직립 설치되고 이 연결관은 상기 배기관(52)에 연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메인 사이펀관(51)을 통해 유출되는 배출수가 배수조(60)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메인 사이펀관의 유출량이 증가하여 배수조(60)를 월류하게 되면 보조 사이펀관(55)의 사이펀 작동에 의해 관내 압력이 저하되면서 부압 상태가 되어 상기 연결관(56)을 통해 메인 사이펀관 상단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이로 인해 메인 사이펀관의 수위가 상승하면서 사이펀 작용을 촉진하게 된다.
또한, 메인 사이펀관(51)의 사이펀 작동에 의해 필터조(30) 내의 처리수가 지속적으로 배수조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메인 사이펀관(51)의 처리수 유입량과 유출량이 평형을 이루면서 유입된 처리수의 월류는 계속해서 발생되고 사이펀 작동이 멈추지 않음에 따라 역세 기능은 구현되지 않고 필터조의 수위가 더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는바, 이때, 서브 사이펀관(55)의 사이펀 작용에 의해 배수조(60) 내에 저장된 배출수를 침전조(300)로 배출하게 되면 공기가 상부 연결관(56)을 통해 메인 사이펀관(51)으로 유입되어 수위의 정체 상태가 깨지면서 정상 작동하게 된다.
또한, 역세부(50)는 배수조에 저장되는 미세 고형물이 포함된 배출수를 배출하여 역세 기능을 정상화하도록 배출수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밸브(57) 및 필터조의 수위 변화에 따라 메인 사이펀관(51)으로 이동하는 처리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밸브(57)는 슬러지 배출부(103) 측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배수조 내의 배출수를 배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역세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역세부(50)에 의한 역세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미세 고형물이 배수조(60) 바닥에 계속적으로 침적됨에 따라 역세 기능을 저해하는바, 이때 제어밸브(57)를 개방하여 침적물을 배출함과 아울러 역세 기능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
감지부는 필터조(3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필터조를 따라 상승하는 수위가 기설정된 최고 수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밸브(58)를 개방하는 고수위 감지부(58) 및 펄터조 내의 하강 수위가 기설정된 최저 수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밸브를 폐쇄하는 저수위 감지부(59)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수위/저수위 감지부(58,59)는 각각 필터조 상부 내측에 직립 설치되는 관 형태의 고수위/저수위 센서관(581,591) 및 상기 센서관 내에 설치되는 고수위/저수위 센서(582,592)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수위 센서관(581)의 상부는 메인 사이펀관의 중앙 상부(51c)보다 높게 위치한다.
또한 고수위 센서관(581)의 직경보다 저수위 센서관(591)의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필터조(30) 내의 수위가 상승하면 고수위 센서관(581)을 따라 처리수가 차오르면서 기설정된 최고 수위에 이르면 고수위 센서(582)가 이를 감지하며, 제어밸브(57)는 고수위 센서의 신호를 받아 개방되면서 배수조 내의 미세 고형물 등을 포함하는 배출수(역세수 포함)가 배출되어 슬러지 배출부(103)를 통해 침전조(300)로 이동되며, 필터조(30) 내의 수위가 하강하면 저수위 센서관(591)을 따라 처리수가 내려가면서 기설정된 최저 수위에 이르면 저수위 센서(592)가 이를 감지하며, 제어밸브는 저수위 센서의 신호를 받아 폐쇄된다.
아울러, 이러한 역세 필터 수단을 통해 처리된 처리수(PW)는 처리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어 집수조(400)로 집수 후 방류되거나 공업용수 등으로 활용되며, 침전조(300)로 배출되는 슬러지(일부 처리수 포함)는 매립 등의 방식으로 처리되거나 또는 폐수 저장조(200)로 회송하여 다시 폐수처리공정에 투입될 수 있다.
10 : 전해응집조 20 : 이송관
21 : 플록 이송관 22 : 전처리수 이송관
30 : 필터조 31 : 필터부재
40 : 처리수조 50 : 역세부
51 : 메인 사이펀관 52 : 배기관
55 : 서브 사이펀관 56 : 연결관
57 : 제어밸브 58 : 고수위 감지부
59 : 저수위 감지부 60 : 배수조
21 : 플록 이송관 22 : 전처리수 이송관
30 : 필터조 31 : 필터부재
40 : 처리수조 50 : 역세부
51 : 메인 사이펀관 52 : 배기관
55 : 서브 사이펀관 56 : 연결관
57 : 제어밸브 58 : 고수위 감지부
59 : 저수위 감지부 60 : 배수조
Claims (8)
- 폐수를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하도록 처리조(100) 내에 설치되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폐수(W)를 전해응집하여 플록(F)과 처리수(TW)로 고액 분리하고, 상기 플록과 처리수를 배출 이송하도록 플록 이송관(21)과 처리수 이송관(22)이 연결되는 전해응집조(10);
전해응집조의 하단에 배치되고 필터부재(31)가 구비되어 전해응집조에서 배출 분리된 전처리수를 여과 처리하는 필터조(30);
필터조를 통해 여과 처리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조(40);
필터조의 내외측에 분리 설치되어 필터조의 수위 및 공기 압력에 의해 처리수를 역방향 이동시켜 필터부재를 역세하는 역세부(50); 및
필터조의 후단에 배치되어 역세부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를 일시 저장하는 배수조(60);를 포함하며,
상기 역세부(50)는 필터부재(31)의 폐색 시 필터조(30)의 수위가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사이펀 작용에 의해 처리수가 역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필터부재의 역세가 행해지도록 사이펀관이 설치되며,
상기 역세부(50)는 사이펀관이 처리수 유입부(51a)가 필터조(30) 내측에 위치하고 처리수 유출부(51b)가 필터조의 외측인 배수조에 위치하며, 필터조의 수위 상승 시 그 내부의 처리수를 유출하도록 구성된 메인 사이펀관(51); 및
배출수 유입부(55a)가 처리수 유출부에 인접하여 배수조 내측에 위치하고 배출수 유출부(55b)가 슬러지 배출부(103)에 인접하여 배수조 외측에 위치하며, 메인 사이펀관 내의 공기 감압에 의해 사이펀 작용을 촉진하도록 구성된 서브 사이펀관(5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부(50)는 메인 사이펀관(51)의 중앙 상부(51c) 측에 필터조(30)의 수위 상승 시 메인 사이펀관의 내측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기구(52a)를 가진 배기관(52)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부(50)는 메인 사이펀관(51)의 사이펀 작동 시 배기구(52a)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배기관(52)에 체크밸브(53)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부(50)는 서브 사이펀관(55)의 사이펀 작동 시 메인 사이펀관 상단의 공기를 흡입하여 메인 사이펀관의 사이펀 작용을 유지하도록 상부에 배기관(52)과 연결되는 연결관(5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부(50)는 배수조에 저장되는 배출수 및 역세수를 배출하여 역세 기능을 회복하도록 배출수 및 역세수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밸브(57)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부(50)는 필터조의 수위 변화에 따라 메인 사이펀관으로 이동하는 처리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필터조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필터조를 따라 상승하는 수위가 기설정된 최고 수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밸브를 개방하는 고수위 감지부(58); 및
펄터조 내의 하강 수위가 기설정된 최저 수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밸브를 폐쇄하는 저수위 감지부(5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7927A KR102278033B1 (ko) | 2019-08-12 | 2019-08-12 |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7927A KR102278033B1 (ko) | 2019-08-12 | 2019-08-12 |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9150A KR20210019150A (ko) | 2021-02-22 |
KR102278033B1 true KR102278033B1 (ko) | 2021-07-15 |
Family
ID=7468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7927A KR102278033B1 (ko) | 2019-08-12 | 2019-08-12 |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803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27147B (zh) * | 2023-10-07 | 2023-12-08 |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 一种基于高分子防护排水异形片的雨水集水结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6415A (ja) * | 2000-10-30 | 2002-05-08 | Ebara Corp | 自然平衡型ろ過装置及びそのろ材層洗浄方法 |
KR101488283B1 (ko) * | 2014-06-16 | 2015-01-30 | 주식회사 에코너지 | 전해응집 및 관형여과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5363B1 (ko) | 2005-05-17 | 2005-12-08 | 주식회사 데콘엔지니어링 | 중금속 폐수 처리장치 |
-
2019
- 2019-08-12 KR KR1020190097927A patent/KR1022780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6415A (ja) * | 2000-10-30 | 2002-05-08 | Ebara Corp | 自然平衡型ろ過装置及びそのろ材層洗浄方法 |
KR101488283B1 (ko) * | 2014-06-16 | 2015-01-30 | 주식회사 에코너지 | 전해응집 및 관형여과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9150A (ko) | 2021-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46593B2 (en) | High volume electrolytic water treatment system and process for treating wastewater | |
CN101475247B (zh) | 以超滤为核心集多种净水技术于一体的短流程水处理工艺 | |
CN107129111A (zh) | 一种物理法油田水处理达标装置及处理工艺 | |
CA2589963A1 (en) | Wastewater treatment plant | |
KR20020067634A (ko) | 분리기 장치 | |
KR102278033B1 (ko) |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 |
KR101730411B1 (ko) | 우수 또는 잡배수를 재이용수로 처리하는 일체형 여과장치 | |
CN218709592U (zh) | 一种污泥沉降设备及系统 | |
JPH1071305A (ja) | 移動ろ床式ろ過装置 | |
CN109502802A (zh) | 一种一体化净水器 | |
KR100869312B1 (ko) | 오수 부상분리처리조 | |
KR101590142B1 (ko) | 수처리장치 | |
JP4422865B2 (ja) | 凝集沈殿装置 | |
JP4758743B2 (ja) | 液中の固形分分離除去装置 | |
JP4455735B2 (ja) | 凝集沈殿装置 | |
CN108408986B (zh) | 湖泊过滤器 | |
KR100457657B1 (ko) | 슬러지 농축저류 장치 | |
JP2021181055A (ja) | 泥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泥水処理方法 | |
CN217757060U (zh) | 污水处理系统 | |
CN214528427U (zh) | 一种金属发黑废水处理装置 | |
JP4193182B2 (ja) | ろ液受槽における清澄液の回収装置 | |
CN208964677U (zh) | 中水收集处理再次利用智慧设备 | |
JP2008207062A (ja) | 電解処理装置及び有機物含有廃水の処理方法 | |
JP2008207089A (ja) | 汚水処理装置及び汚水処理方法 | |
KR101748232B1 (ko) | 사이클론을 이용한 슬러지 제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