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634A - 분리기 장치 - Google Patents

분리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634A
KR20020067634A KR1020020007408A KR20020007408A KR20020067634A KR 20020067634 A KR20020067634 A KR 20020067634A KR 1020020007408 A KR1020020007408 A KR 1020020007408A KR 20020007408 A KR20020007408 A KR 20020007408A KR 20020067634 A KR20020067634 A KR 20020067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se
wastewater
layer
separator device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이탈라시스코
나스키토미
Original Assignee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20010286A external-priority patent/FI112442B/fi
Priority claimed from FI20010285A external-priority patent/FI20010285A0/fi
Application filed by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filed Critical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Publication of KR20020067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63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03F5/16Devices for separating oil, water or grease from sewage in drains leading to the main se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05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by thermal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4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removal of one of th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12Auxiliary equipment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with liquid-separating apparatus, e.g. control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27Floating sediment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9Heating or cooling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0Settling tanks with multip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05Feed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02Active control mechanisms with external energy, e.g. with solenoid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4Controlling the feed distribution;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 Control of process parame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기 장치에 의한 폐수층으로부터 그리스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리기 장치는 중간 플레이트(6,6a)에 의해 분리된 제 1 상부 부분(5)과 제 2 하부부분(7)을 가지는 수액용기(1)로 이루어진다. 수액용기는 폐수용 입구부(8)와, 분리된 폐수용 방출부(18)와, 그리스 및 슬러지용 방출수단(10,25), 및 제 1 상부부분(5)과 제 2 하부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오버플로우 파이프(12)를 더욱 구비한다. 폐수는 입구부(8)를 통하여 제 1 상부부분(5)으로 공급되고, 폐수는 중력에 의해 분리가 되어, 그리스 층(GL)이 분리된 폐수층 위에 형성되고, 슬러지 층(SL)은 중간 플레이트(6,6a) 상에 침전된다. 고도의 분리를 달성하기 위하여, 분리된 폐수는 오버플로우 파이프(12)를 통하여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으로 흘러들어간다. 방출수단(10,25)을 통하여 그리스는 그리스 층(GL) 및/또는 슬러지는 슬러지 층(SL)으로부터 제거되고, 분리된 폐수는 방출부(18)을 통하여 방출된다.

Description

분리기 장치{SEPARATOR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서문에 따른 분리기 장치에 의해 폐수로부터 그리스 (grease)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분리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EP 0 974 386호에는 분리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공지의 분리기 장치는 경사진 중간 플레이트에 의해 분리된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를 가지는 컨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폐수는 컨테이너의 상부 챔버로 공급되어, 폐수의 표면을 떠다니는 그리스는 폐수와 함께 상부 챔버의 위쪽에 흡입 개구부를 가지는 연결 파이프를 통하여 하부 챔버로 배수되도록 되어 있다. 중력으로 인해, 그리스는 하부 챔버에서 정화된 물의 상부에 남아 있고, 중간 플레이트 아래의 최고점 근처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된다. 정화된 물은 하부 챔버의 바닥 근방의 입구와 상부 챔버의 상부 근방의 출구를 가지는 수직 파이프를 통하여 상부 챔버로부터 비워진다. 또한, 슬러지(sludge)와 고형물(solids)도 경사 플레이트 위쪽의 최저점 근방에서상부 챔버로부터 비워질 수도 있다.
이러한 공지의 장치에서의 그리스 분리는 그 분리를 신뢰할 수 없게 하고 많은 공정 단계를 요구하는 복잡한 유동패턴에 지배된다. 장치의 세정, 즉 장치의 적절한 기능을 유지하는 것은, 그리스가 장치의 대부분의 부분과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어렵다. 게다가, 공지의 분리기는 기본 분리공정에 의존하지만, 효과적인 방식으로 그리스를 포집(collect)하는 어떠한 수단도 결여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폐수는 사용되거나 더러워진 처리수 또는 이른바 중수 (grey water)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생각된다. 그러한 중수는, 예를 들면 세척, 유지 기타 다른 목적으로 사용된 물로 이루어지는 주방으로부터 나오거나 욕실이나 욕조에서 나오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물은 때때로 그리스를 함유하며, 그 많은 양이 하수 시스템으로 들어가면 틀림없이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하수본체나 하수관에 혼합된 그리스-적재(grease-laden)된 폐수 또는 유지성 폐수는 그리스를 응고(congeal)시켜 배관(piping)을 차단하는 슬러지나 고형물에 부착되게 한다. 그러한 혼합물이 (생물학적) 하수처리 플랜트에 도달하면, 박테리아 활동을 감소시키고 하수처리 플랜트의 작동을 위협한다. 또한, 축적된 그리스는 침적물 (deposit)을 형성하고 악취가 나기 때문에, 폐수용 탱크를 유지하기에 유해하다.
결과적으로, 그리스가 하수 시스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이는 적절하게 기능하는 그리스 분리기를 요구하며, 바람직하게는 그리스 공급원 근방이나 드레인 관로(drain line)에 필요하다.
또한, 고도의 그리스 분리는 후속의 그리스 처리의 관점에서도 유리하다.그리스가 저장되면, 저장용량을 감소시키고, 그리스가 소각되면, 슬러지와 물 등의 다른 물질의 소각을 피할 수 있다.
이하, 미처리된 폐수, 즉 그리스-적재된 폐수나 유지성 폐수는 폐수 또는 중수라 칭한다. 그리스 분리를 받은 폐수 또는 중수는 분리된 폐수 또는 분리된 중수라 칭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기 장치에 의한 그리스 분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상술한 결점을 피할 수 있고, 효과적이고 고도한 분리와 신뢰할 수 있는 작동이 얻어진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그리스 분리기에서 분리될 물질의 정상 층형성 (normal layer formation)을 이용함으로써 중력(gravity)에 의한 분리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그리스 분리기에 포집된 폐수의 바닥에서의 무거운 슬러지 층과 표면에서의 가벼운 그리스 층 사이에, 제어되고 안정된 분리된 폐수를 형성함으로써 실현된다. 이는 상기 3개의 주요 층의 효과적인 취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의 다른 측면은, 특히 그리스 분리기가 사용된 환경에 관계없이, 그리스 층으로부터 그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그리스 층에 위치된 그리스를 방출하는 방출수단(discharge means)을 제공함과, 상대적으로 큰 그리스 수신부분(grease receiving portion)과 방출방법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변경될 수 있는 방출 단부(discharge end portion)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분리 처리는 제어수단, 예를 들면 분리기 장치에 마련된 관측 창에 의해 제어되고 모니터되는 것이 유리하다.
충전 정도 및 분리된 폐수의 방출은 레벨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유리하다.
방출부로서 그리스용 방출수단을 배치함으로써, 유리하게는 펌프수단이나 중력에 의해 그리스 층으로부터 그리스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스 층으로부터 그리스를 제거하는 다른 유리한 방법은 그리스층 내로 확장된 흡입수단(suction means)에 의한 것이다.
그리스는 파이프 수단보다 실질적으로 큰 단면을 가지는 수신 부분을 가지며 중력에 의해 그리스 층의 표면을 향해 상향으로 개구되는 파이프 수단에 의해, 그리스 제거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흡입 또는 펌프수단에 의해 그리스 층으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그리스 층에 침전(settle)되어 그리스 층과 분리된 폐수층의 이동을 따르는 수신 부분을 배치함으로써, 이동 중이거나 구르는 차량과 같은 불안정한 환경에서 조차도 그리스 제거는 효과적으로 된다.
효율적인 그리스 유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액용기(receptacle)의 적어도 상부 부분은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유지 및 효율적인 작동목적을 위하여, 수액용기의 적어도 상부 부분은 세정수단에 의해 세정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7에 따른 분리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리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28에 주어져 있다.
도 1은 분리기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분리기 장치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분리기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4는 분리기 장치의 제 3 실시예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5는 분리기 장치의 제 4 실시예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분리기 장치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분리기 장치의 제 5 실시예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8은 그리스 방출수단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그리스 방출수단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액용기 2 : 수액용기의 바닥부
3 : 수액용기의 측벽부 4 : 수액용기의 커버부
5 : 수액용기의 제 1 상부부분
6 : 경사진 중간 플레이트
6a : 경사진 중간 플레이트의 평면부분
7 : 수액용기의 제 2 하부부분 8 : 수액용기의 입구부
9 : 제 1 통풍수단 10 : 방출수단
11 : 그리스 흡입수단 12 : 오버플로우 파이프
13 : 오버플로우 파이프의 제 1 레그
14 : 오버플로우 파이프의 입구개구
15 : 오버플로우 파이프의 통풍개구
16 : 오버플로우 파이프의 제 2 레그
17 : 오버플로우 파이프의 출구개구
18 : 방출부 19 : 밸브수단
20 : 펌프수단 21 : 상부레벨 제어수단
22 : 하부레벨 제어수단 23 : 방출부
24 : 제 2 통풍수단 25 : 제 1 맨홀
26 : 연결파이프 27 : 밸브수단
28 : 관측수단(관측창) 29 : 창 플러시 수단
30 : 고레벨 제어수단 31 : 펌프수단
32 : 폐쇄수단, 밸브수단 33 : 밸브수단
34 : 펌프수단 35 : 흡입파이프
36 : 모터활성화 밸브수단 40 : 제 2 맨홀
50 : 가열수단, 증기코일 51 : 가열수단의 입구부
60 : 세정수단, 수세정수단 61 : 세정수단의 입구부
70 : 방출수단, 파이프수단 71 : 파이프수단의 제 1 단부
72 : 파이프수단의 제 2 단부 73 : 파이프수단의 수신부
74 : 부동수단 75 : 파이프수단의 유연부
76 : 가열수단 77 : 가열수단
C : 제어센터 GL : 그리스 층
SL : 슬러지 층 WL : 분리된 폐수층
이하,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예(例)만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의한 분리기 장치는, 베이스부(2), 측벽부(3) 및 커버부(4)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원통형 형상의 수액용기(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액용기는 중간 플레이트(6,6a)에 의해 제 1 상부 부분(5)과 제 2 하부 부분(7)으로 나누어진다. 중간 플레이트는, 실시예의 단면으로 나타낸 부분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액용기(1) 전체에 걸쳐 경사져 있으며, 측벽부(3)에 인접한 중간 플레이트의 최하단부에서 짧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분(6a)을 가진다. 수액용기와 중간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수액용기는 장방형이고 중간플레이트는 보다 커브된 형상을 가지며 경사져 있을 수도 있다. 수액용기(1)의 측벽부(3)에는 제 1 상부 부분(5)을 따라서 제어수단(28)(본 실시예에서는 관측창)이 마련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창 플러시 수단(window flush means)(29)이 마련되어 있다. 제어수단은 그리스 층(GL), 분리된 폐수층(WL), 슬러지 층(SL)을 제어하거나 모니터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관측창(28)은 다른 제어수단, 예를 들면, 레벨 제어수단 또는 타이밍 제어수단에 의해 대체되거나 보충될 수도 있다.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 부분(5)의 커버부(4)에는 폐수용 입구(8)가 마련되어 있다. 수액용기의 제 1 상부 부분(5)에는 또한 수액용기(1)의 커버부(4)에 배치된 제 1 통풍수단(9)이 마련되어 있다. 중간 플레이트(6)의 최하단의 짧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분(6a)의 영역에는, 그리스 및 슬러지의 방출수단(10)이 측벽부 (3)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방출수단은 폐쇄수단(32), 예를 들면 밸브 수단이 마련된 방출부(10)로서 나타내었다. 커버부(4)에는 또한 제 1 맨홀(25)이 마련되어 있다.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 부분(5)에는 통상적인 U자 형상의 오퍼플로우 파이프(overflow pipe)(12)가 더욱 마련되어 있다. 오버플로우 파이프(12)의 제 1 레그(leg)(13)는 그 일 단부에 중간 플레이트 근방에서 중간 플레이트(6)을 향하여 개구되는 입구 개구(14)와 그 반대쪽 단부에 통풍개구부(15)를 마련한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오버플로우 파이프(12)의 제 2 레그(16)는 중간 플레이트(6)를 향하며, 실질적으로 제 1 레그(13)에 평행이며,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 내로 개구되는 출구 개구(17)를 구비한 중간 플레이트(6)를 통과한다.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 부분(5)에서 낮은 분리된 폐수층(WL)을 갖기 위해서는, 오퍼플로우 파이프(12)의 위치잡기는 가능한 낮게, 즉 중간 플레이트(6)의 최하단부를 향하여야 한다. 그러나, 슬러지의 오버플로우는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입구부(8)는 오버플로우 파이프(12)의 입구 개구(14)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하며, 그리하여 그리스는 입구 개구(14)와 접촉되기 전에 표면으로 흐를 시간을 갖게 된다.
측벽부(3)에서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에는 분리된 폐수를 위한 방출부(18)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방출부(18)에는 펌프수단(20)이 마련되며, 밸브수단(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 부분(7)으로부터 분리된 폐수의 방출과 충진 정도를 모니터(monitering)하기 위하여, 제 2 하부 부분(7)에는 상부레벨 제어수단(21)과, 방출부(18)의 약간 위에 배치되는 하부레벨 제어수단(22)이 마련된다. 또한, 제 2 하부부분(7)에는 수액용기(1)의 바닥부(2)의 근방에서 제 2 부분(7)의 하부 영역에 보조 방출부(23)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레벨 제어수단(21)의 위쪽에 배치된 추가의 고(高)레벨 제어수단(30)은 체크 수단으로서 권장할만 하다. 게다가, 제 2 하부 부분(7)에는 통풍수단(24)이 마련되며, 이는 통풍수단 내로 폐수나 그리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간 플레이트(6)를 통과하여 수액용기(1)의 커버부(4)의 바로 아래 레벨에까지 이른다.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 부분(5)과 제 2 하부 부분(7) 사이에서 분리된 폐수 연결을 더욱 제공하기 위하여, 수액용기(1)의 측벽부(3)에는 제 1 상부 부분(5)으로부터 제 2 하부부분(7)으로 안내하는 연결파이프(26)가 마련된다. 연결파이프 (26)에는 밸브수단(27)이 마련된다.
또한,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에는, 예를 들면 검사·유지를 위한 제 2 맨홀(40)이 측벽부에 마련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기 장치는 다음의 작동원리를 갖는다.
폐수는 입구부(8)를 통하여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으로 공급된다.통상적으로, 폐수의 흐름은 매우 빨라서 입구 개구(14)로 들어가는 그리스의 양은 무시할만 한 것이다. 폐수 레벨이 상승함에 따라, 폐수는 중력에 의해 분리가 되고, 이에 의해 그리스 층(GL)이 분리된 폐수층(WL)위에 형성되고 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는 중간 플레이트(6,6a) 상에 슬러지 층(SL)으로서 침전(settle)한다. 슬러지는 중간 플레이트의 경사로 인해 중간 플레이트(6)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분(6a)인 최하단부를 향하여 집적된다. 폐수를 따르는 그리스는 집적되어 그리스층(GL)에 축적된다.
동시에, 폐수가 공급되고 그리스가 표면으로 상승함에 따라, 분리된 폐수는 U자 형상의 오버플로우 파이프(12)를 통하여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으로부터 제 2 하부부분(7)으로 흐르기 시작한다. 분리된 폐수는 오버플로우 파이프 (12)의 입구 개구(14)로 들어가고, 제 2 레그(16)로 넘쳐 흘러서, 출구 개구(17)를 통하여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으로 들어간다. 이로써, 그리스 층(GL)은 축적되어 대략 오버플로우 파이프(12)의 벤드(bend) 레벨에서 그리스 층(GL)의 상부 레벨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스 층의 약 5% 내지 10%가 상기 벤드 위로 부유(float)한다.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은 우선 내부 오버플로우 파이프(12)의 입구 개구(14) 위쪽에 유지되는 작동(세정)수 레벨이 마련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는, 폐수가 입구부(8)를 통하여 수액용기(1)로 공급될 때, 그리스는 중력에 의해 분리되고, 이에 의해 그리스 층(GL)을 형성하면서 폐수표면을 부유하고, 내부 오버플로우 파이프(12)의 입구 개구(14)로 들어가지 않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한 것이다. 폐수의 공급이 계속되어 폐수 레벨이 내부 오버플로우 파이프(14)의 벤드로 상승됨에 따라, 분리된 폐수는 내부 오버플로우 파이프(12)를 경유하여 수액용기 (1)의 제 1 상부 부분으로부터 넘쳐흐르고, 중간 플레이트(6)와 출구 개구(17)를 통과하여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으로 흘러 들어간다.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으로 흐르는 분리된 폐수의 양은 상부레벨 제어수단(21)과 하부레벨 제어수단(22)에 의해 제어되고 모니터된다. 분리된 폐수 레벨이 상부레벨 제어수단(21)에 도달할 때, 분리된 폐수는 펌프(20)에 의해 방출될 수도 있다. 분리된 폐수 레벨이 하부레벨 제어수단(22)까지 낮아지면, 펌프(20)를 중지시킴으로써 방출은 멈추게 된다. 정상적으로는 밸브(19)는 개방된 채로 있다. 예를 들면, 펌프(20)의 유지를 위하여 폐쇄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하부 부분(7)은,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에서 분리된 폐수 레벨의 과도한 상승으로 되는 방식으로 상부 및/또는 하부레벨 제어수단이나 밸브나 방출수단이 오작동하는 경우에, 경보(alarm)를 발하도록 배치되는 고(高)레벨 제어수단(30)을 더욱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보조 방출부(23)는 제 2 하부부분(7)을 비우는 데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펌프는 수동으로 개시될 수도 있다.
펌프(20)는 일반적으로 분리된 폐수를 하수처리 플랜트나 지지탱크 내로 비우기 위하여 배치된다. 또한, 바이패스(by-pass)가 관리 또는 오작동으로 인해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나, 분리된 폐수가 직접 선외(overboard)로 방출되는 경우에, 보조 방출부(23)는 바이패스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또한 보충 펌프수단이 마련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폐수가 입구부(8)를 통하여 공급됨에 따라, 슬러지는 중간 플레이트(6,6a) 상에 모인다. 슬러지 층(SL)의 축적은 관측창(28)을 통하여 모니터될 수 있다. 슬러지 층(SL)이 주어진 제 1 레벨, 즉 연결 파이프(26)의 하부측에 도달하면, 밸브(27)는 개방되어 분리된 폐수는 제 1 상부부분(5)으로부터 수액용기의 제 2 하부부분으로 아래로 흐를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리스 층(GL)은 가라앉으며, 이 또한 관측창(28)을 통하여 모니터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제 2 레벨, 즉 연결파이프 (26)의 상부측에 도달하면, 밸브(27)는 폐쇄된다. 그리스 층(GL)의 가라앉음은 분리된 폐수층(WL)의 하강에 직접 상당한다. 이 시점에서 그리스와 슬러지는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으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중력에 의해 방출부(10)를 통하여, 비워질 수 있다.
슬러지 층(SL)과 그리스 층(GL) 사이에 남아 있는 분리된 폐수의 양은 연결파이프(26)의 직경에 상당하며, 이는 실제로는 몇 mm밖에 되지 않으며, 그리스 분리의 달성도의 관점에서 보면 무시할 수 있는 분리된 폐수의 양으로 된다.
그리스가 용이하게 유동가능한 조건에서 유지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 부분은 가열수단(50)과 이에 관련된 온도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도 있다. 가열 수단은 증기코일(50)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 부분에서 그리스 층(GL)의 영역을 적어도 어느 정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제어수단은 수액용기(1)의 외측으로부터 읽을 수 있는 온도계의 형태일 수도 있다. 증기코일(50)의 증기입구단부(51)는 제어밸브를 마련할 수도 있고, 제어밸브는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 부분(5)에 위치된 온도제어수단에 의해 모니터된다. 열은 유동환경에서 만족할 만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증기코일(50)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다른 임의의 적당한 가열 및 온도제어수단이 당연히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중간 플레이트(6,6a)는 가열수단, 예컨대 내장 전기코일(embedded elect rical coil)을 마련할 수도 있다.
세정 및 유지 목적을 위하여, 수액용기(1)는 적어도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에 세정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유리하다. 세정수단은 분리기 장치의 위치에서 사용가능한 임의의 세정수원(clean water source)에 연결된 입구부(61)를 가지는 수세정수단(water flushing means)(60)의 형태인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세정수단은 또한 작동(세정)수 레벨을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하고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다공파이프의 형태인 수세정수단(60)은, 용이하게 오염물을 포집하는 부분들이 완전히 세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액용기의 측벽부(3)와 중간 플레이트(6,6a) 부근까지 인장(drawn)되는 것이 유리하다.
환경과 요구에 따라,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은 해당수단에 의해 가열되고 세정될 수도 있다.
도 3에 따른 분리기 장치는, 외형과 작동원리에 관하여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 상당하므로, 해당 부분에 대하여 해당 참조번호/부호를 사용하였다. 그리스와 슬러지의 방출수단이 방출부(10)와 펌프수단(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것과 분리된 폐수용 만의 방출부(18)가 밸브수단(19)에 마련되어 분리된 폐수는 중력에 의해 방출된다는 점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중요한 차이점이다.
도 4에 따른 분리기 장치는, 외형과 작동원리에 관하여는, 실질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 상당하므로, 해당 부분에 대하여 해당 참조번호/부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그리스는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의 측벽부(3)에 배치된 흡입수단(11)의 형태인 방출수단에 의해 그리스 층(GL)으로부터 제거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흡입수단(11)은, 그 일단부가 그리스 층(GL) 내로 연장되어 있고 타단부는 진공원(vacuum source,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파이프(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흡입작용은 모터에 의해 활성화된 밸브수단 (36)을 개방함으로써 활성화된다. 택일적으로는, 흡입수단(11)은 펌프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스의 흡입은 관측창(28)을 통하여 모티터될 수도 있다. 그리스 층(GL) 내로 연장된 흡입파이프의 단부는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으로 기동가능(manoeuvrable)한 것이 유리하다. 이는, 예를 들면 흡입파이프를 텔레스코픽한 배치(telescopic arrangement)로 함으로써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스가 제거된 후에 수액용기의 제 2 하부부분으로 분리된 폐수를 방출하기 위한 연결파이프(26)와 밸브수단(27)(도시하지 않음)을 더욱 마련할 수 있다. 슬러지는 방출부(10)를 통하여 제거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의한 실시예는, 비록 도 3 및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가열수단 및 세정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
수액용기(1)의 커버부(4)에 마련된 제 1 맨홀은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그리스의 대체 방출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분리기 장치 및 그 작동 성분들은 전자 제어센터(C)에 연결되어, 방출수단, 레벨제어수단, 가열수단, 온도제어수단, 세정수단 등의 기능이 최적의 방식으로 유지되고 모니터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5 및 도 6에 따른 분리기 장치는, 외형과 작동원리에 관하여는,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예에 상당하므로, 해당 부분에 대하여 해당 참조번호/부호를 사용하였다.
분리기 장치는 통상적인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바닥부(2), 측벽부(3), 커버부(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액용기(1)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액용기는 중간 플레이트(6,6a)에 의해 제 1 상부 부분(5)과 제 2 하부 부분(7)으로 나누어진다. 중간 플레이트는, 실시예의 단면으로 나타낸 부분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액용기 (1) 전체에 걸쳐 경사져 있으며, 측벽부(3)에 인접한 중간 플레이트의 최하단부에서 짧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분(6a)을 가진다. 수액용기와 중간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수액용기는 장방형이고 중간플레이트는 보다 커브된 형상을 가지며 경사져 있을 수도 있다. 수액용기(1)의 측벽부(3)에는 제 1 상부 부분(5)을 따라서 제어수단(28)(본 실시예에서는 관측창)이 마련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창 플러시 수단(window flush means)(29)이 마련되어 있다. 제어수단은 그리스 층(GL), 분리된 폐수층(WL), 슬러지 층(SL)을 제어하거나 모니터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관측창(28)은 다른 제어수단, 예를 들면, 레벨 제어수단 또는 타이밍 제어수단에 의해 대체되거나 보충될 수도 있다.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 부분(5)의 커버부(4)에는 폐수용 입구(8)가 마련되어 있다. 수액용기의 제 1 상부 부분(5)에는 또한 수액용기(1)의 커버부(4)에 배치된 제 1 통풍수단(9)이 마련되어 있다. 중간 플레이트(6)의 최하단의 짧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분(6a)의 영역에는, 슬러지의 방출수단(10)이 측벽부(3)에 마련된다. 방출수단은 폐쇄수단(32), 예를 들면 밸브 수단이 마련된 방출부(10)로서 나타내었다. 커버부(4)에는 또한 제 1 맨홀(25)이 마련되어 있다.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 부분(5)에는 통상적인 U자 형상의 오퍼플로우 파이프(overflow pipe)(12)가 더욱 마련되어 있다. 오버플로우 파이프(12)의 제 1 레그(leg)(13)는 그 일 단부에 중간 플레이트 근방에서 중간 플레이트(6)을 향하여 개구되는 입구 개구(14)와 그 반대쪽 단부에 통풍개구부(15)를 마련한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오버플로우 파이프(12)의 제 2 레그(16)는 중간 플레이트(6)를 향하며, 실질적으로 제 1 레그(13)에 평행이며,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 내로 개구되는 출구 개구부(17)를 마련한 중간 플레이트(6)를 통과한다.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 부분(5)에서 낮은 분리된 폐수층(WL)을 갖기 위해서는, 오퍼플로우 파이프(12)의 위치잡기는 가능한 낮게, 즉 중간 플레이트(6)의 최하단부를 향하여야 한다. 그러나, 슬러지의 오버플로우는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입구부(8)는 오버플로우 파이프(12)의 입구 개구(14)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하며, 그리하여 그리스는 입구 개구(14)와 접촉되기 전에 표면으로 흐를 시간을 갖게 된다.
측벽부(3)에서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에는 분리된 폐수를 위한 방출부(18)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방출부(18)에는 펌프수단(20)이 마련되며, 밸브수단(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 부분(7)으로부터 분리된 폐수의 방출과 충진 정도를 모니터(monitering)하기 위하여, 제 2 하부 부분(7)에는 상부레벨 제어수단(21)과, 방출부(18)의 약간 위에 배치되는 하부레벨 제어수단(22)이 마련된다. 또한, 제 2 하부부분(7)에는 수액용기(1)의 바닥부(2)의 근방에서 제 2 부분(7)의 하부 영역에 보조 방출부(23)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레벨 제어수단(21)의 위쪽에 배치된 추가 고레벨 제어수단(30)은 체크 수단으로서 권장할만 하다. 게다가, 제 2 하부 부분(7)에는 통풍수단(24)이 마련되며, 통풍수단은 통풍수단 내로 폐수나 그리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간 플레이트(6)를 통과하여 수액용기(1)의 커버부(4)의 바로 아래 레벨에까지 이른다.
또한,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에는, 예를 들면 검사·유지를 위한 제 2 맨홀(40)이 측벽부에 마련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기 장치는 다음의 작동원리를 갖는다.
폐수는 입구부(8)를 통하여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으로 공급된다. 통상적으로, 폐수의 흐름은 매우 빨라서 입구 개구(14)로 들어가는 그리스의 양은 무시할만 한 것이다. 폐수 레벨이 상승함에 따라, 폐수는 중력에 의해 분리가 되고, 이에 의해 그리스 층(GL)은 분리된 폐수층(WL)위에 형성되고 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는 중간 플레이트(6,6a) 상에 슬러지 층(SL)으로서 침전한다. 슬러지는 중간 플레이트의 경사로 인해 중간 플레이트(6)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분(6a)인 최하단부를 향하여 집적된다. 슬러지 층(SL)의 축적과 슬러지의 방출은 관측창(28) 또는 기타 응용된 제어수단을 통하여 모니터될 수도 있다.
동시에, 폐수가 공급되고 그리스가 표면으로 상승함에 따라, 분리된 폐수는 U자 형상의 오버플로우 파이프(12)를 통하여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으로부터 제 2 하부부분(7)으로 흐르기 시작한다. 분리된 폐수는 오버플로우 파이프 (12)의 입구 개구(14)로 들어가고, 제 2 레그(16)로 넘쳐 흘러서, 출구 개구(17)를 통하여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으로 들어간다. 이로써, 그리스 층(GL)은 축적되어 대략 오버플로우 파이프(12)의 벤드(bend)의 레벨에서 그리스 층(GL)의 상부 레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스 층의 약 5% 내지 10%가 상기 벤드 위로 부유한다.
택일적으로는,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은 우선 내부 오버플로우 파이프(12)의 입구 개구(14) 위쪽에 유지되는 작동(세정)수 레벨이 마련된다. 이는, 폐수가 입구부(8)를 통하여 수액용기(1)로 공급될 때, 그리스는 중력에 의해 분리되고, 이에 의해 그리스 층(GL)을 형성하면서 폐수표면을 부유하고, 내부 오버플로우 파이프(12)의 입구 개구(14)로 들어가지 않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한 것이다. 폐수의 공급이 계속되어 폐수 레벨이 내부 오버플로우 파이프(14)의 벤드로 상승됨에 따라, 분리된 폐수는 내부 오버플로우 파이프(12)를 경유하여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 부분으로부터 넘쳐흐르고, 중간 플레이트(6)와 출구 개구(17)를 통과하여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으로 흘러 들어간다. 폐수를 따르는 그리스는 포집되어 그리스층(GL)에 축적된다.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으로 흘러 들어가는 분리된 폐수의 양은 상부레벨 제어수단(21)과 하부레벨 제어수단(22)에 의해 제어되고 모니터된다. 분리된 폐수 레벨이 상부레벨 제어수단(21)에 도달할 때, 분리된 폐수는 펌프(20)에 의해 방출될 수도 있다. 분리된 폐수 레벨이 하부레벨 제어수단(22)까지 낮아지면, 펌프(20)를 중지시킴으로써 방출은 멈추게 된다. 정상적으로는 밸브(19)는 개방된 채로 있다. 예를 들면, 펌프(20)의 유지를 위하여 폐쇄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하부 부분(7)은,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에서 분리된 폐수 레벨의 과도한 상승으로 되는 방식으로 상부 및/또는 하부레벨 제어수단이나 밸브나 방출수단이 오작동하는 경우에, 경보(alarm)를 발하도록 배치되는 고(高)레벨 제어수단(30)을 더욱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보조 방출부(23)는 제 2 하부부분(7)을 비우는 데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펌프는 수동으로 개시될 수도 있다.
펌프(20)는 일반적으로 분리된 폐수를 하수처리 플랜트나 지지탱크 내로 비우기 위하여 배치된다. 또한, 바이패스(by-pass)가 관리 또는 오작동으로 인해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나, 분리된 폐수가 직접 선외로 방출되는 경우에, 보조 방출부(23)는 바이패스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스 층(GL)이 충분한 정도로 축적되면{이는 제어수단(28)에 의해 모니터된다)}, 그리스의 방출은 개시된다.
상술한 실시예의 대체로서,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에 위치된 제 1단부(71)와 측벽부(3)를 통하여 수액용기(1)로부터 안내하는 제 2 단부(72)를 가지는 파이프 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리스 방출수단에 의해 그리스의 방출이 실행되도록 배치된다. 제 1 단부(71)는 파이프 수단의 제 1 단부보다 실질적으로 큰 단면을 가지는 수신부(73)로 이루어진다. 수신부(73)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리스 층(GL)의 표면을 향하여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을 가진 정상 파이프 단부인 것과 비교하여 볼 때, 큰 단면으로 인해 보다 큰 영역에서 동시에 그리스를 포집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리스의 포집이 보다 균형적이고 효과적으로 된다. 수신부(73)의 상부 레벨은 오버플로우 파이프(12)의 벤드 바로 조금 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오버플로우 공정의 관점에서 볼 때 그리스 층(GL)의 상부표면이 이 레벨에서 침전한다. 그리하여, 원칙적으로 그리스 층은 전체로써 흡입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는, 수신부(73)는 그리스의 파이프 수단(70)으로의 흐름을 향상시키는 깔대기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6은 장방형 단면을 갖는 수신부(73)를 나타내지만, 다른 형상도 물론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런 특별한 방출수단에 대하여는 다음의 도 8 및 도 9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파이프 수단(70)의 제 2 단부(72)는 진공원(도시하지 않음)과 소통되고, 이에 의해 제 2 단부에는 모터 활성화 밸브수단(motor activated valve means)(76)이 마련된다. 그리스를 방출하기 위하여, 진공에 의해 수신부(73)에 흡입효과가 발생되고, 이에 의해 그리스의 포집(collection)이 실행된다. 수신부(73)의 깔대기 모양의 형상으로 인해 수신부(73)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흡입효과가 생긴다. 모터활성화 밸브수단(76)은, 예를 들면 관측창(28)을 통하여 관측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는, 모터활성화 밸브수단(76)의 작동은, 수신부(73)에서 시간제어(time-controlled)되거나 그리스-응답(grease-responsive) 센서수단에 응답하는 것일 수도 있다.
진공원 대신에, 펌프수단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파이프 수단의 제 2 단부(72)를 수신부(73)보다 충분히 더 낮게 배치함으로써, 그리스의 방출은 중력(도 7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주로 그리스가 용이하게 유동가능한 조건에서 유지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 부분은 가열수단(50)과 이에 관련된 온도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도 있다. 가열 수단은 증기코일(50)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 부분에서 그리스 층(GL)의 영역을 적어도 어느 정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제어수단은 수액용기(1)의 외측으로부터 읽을 수 있는 온도계의 형태일 수도 있다. 증기코일(50)의 증기입구단부(steam inlet end)(51)는 제어밸브를 구비할 수도 있고, 제어밸브는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 부분(5)에 위치된 온도제어수단에 의해 모니터된다. 열은 유동환경에서 만족할만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증기코일(50)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다른 임의의 적당한 가열 및 온도제어수단이 자연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중간 플레이트(6,6a)는 가열수단, 예컨대 내장 전기코일을 마련할 수도 있다.
다른 대체예는 도 8 및 도 9에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그리스 방출수단의 수신부(73) 및 또는 파이프 수단(70)에서 가열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세정 및 유지 목적을 위하여, 수액용기(1)는 적어도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에 세정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유리하다. 세정수단은 분리기 장치의 위치에서 사용가능한 임의의 세정수원(clean water source)에 연결된 입구부(61)를 가지는 수세정수단(water flushing means)(60)의 형태인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세정수단은 또한 작동수 레벨을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하고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다공파이프의 형태인 수세정수단(60)은, 용이하게 오염물을 포집하는 부분들이 완전히 세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액용기의 측벽부(3)와 중간 플레이트(6,6a) 부근까지 인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환경과 요구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따른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은 해당수단에 의해 가열되고 세정될 수도 있다.
도 7에 따른 분리기 장치는, 외형과 작동원리에 관하여는, 실질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따른 실시예에 상당하므로, 해당 부분에 대하여 해당 참조번호/부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그리스 방출수단은 수액용기(1)의 외측에서 파이프 수단(70)의 제 2 단부(72)에서 밸브수단(33)과 펌프수단(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수단(32)을 포함하는 방출부(10)는 또한 동일한 펌프수단(34)와 소통된다. 그리스 방출에 대하여, 밸브수단(33)은 개방되고, 펌프수단(34)는 개시되며, 이에 의해 밸브수단(32)는 폐쇄된 채로 있는다. 마찬가지로, 슬러지의 방출에 대하여, 밸브수단(32)은 개방되고, 펌프수단(34)은 개시되며, 이에 의해 밸브수단(32)는 폐쇄된 채로 있는다.
펌프수단(34)은, 예를 들면 관측창(28)을 통하여 관측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는, 펌프수단(34)의 작동은, 수신부(73)에서 시간제어(time-controlled)되거나 그리스-응답(grease-responsive) 센서수단에 응답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5, 도 6 및 도 7의 방출수단, 즉 수신부를 포함하는 파이프수단은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기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면 파이프 수단을 텔레스코픽한 배치(telescopic arrangement)로 함으로써 배치될 수 있다.
분리기 장치 및 그 작동 성분들은 전자 제어센터(C)(도 5, 도 6 및 도7)에 연결되어, 방출수단, 레벨제어수단, 가열수단, 온도제어수단, 세정수단 등의 기능이 최적의 방식으로 유지되고 모니터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8 및 도 9는 유리하게는 상술한 분리기 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그리스 방출수단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방출수단은 기본적으로는 도 5, 6 및 7과 관련하여 상술한 것, 즉 수액용기(1)의 그리스 층(GL)에 위치되도록 배치된 제 1 단부(71)를 가지는 파이프 수단(70)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상당한다. 제 1 단부(71)는, 파이프 수단(70)의 제 1 단부(71)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단면을 가지는 깔대기 모양의 수신부(73)를 구비한다. 파이프 수단의 제 2 단부(72)는 측벽부(3)를 통하여 수액용기로부터 밖으로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이러한 방출수단은 추가적인 이점이 있는 배치를 갖는다. 수신부(73)에는 부동수단(floating means)(74)이 마련된다. 파이프 수단(70)은 수신부 (73)에 연결하는 제 1 단부(71)의 끝단에서 유연부(flexible portion)(75)를 더욱 갖는다. 수신부(73)가 그리스 층(GL) 내에 또는 분리된 폐수층(WL) 위에, 바람직하게는 그리스 층(GL)과 분리된 폐수층(WL)의 경계면에서 유지되거나 침전되도록 부동수단(74)을 설계하고 크기결정한다.
강성(rigidly) 방출수단과 비교하거나, 또는 수평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기동가능하거나 조절가능하도록 배치된 방출수단과도 비교하여 볼 때, 부동수단(74)은 수신부(73)가 항상 분리된 폐수층(WL)의 바로 위에 있도록 하여 그리스 만이 방출수단으로 들어가도록, 즉 분리된 폐수는 그리스 방출수단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확보한다. 실제로 수액용기로의 폐수의 흐름에는 변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유리한 배치가 된다.
유연부(75)는 부동수단(74)에 의해 이미 확보된 수신부(73)의 이동에 더 많은 자유도(degree of freedom)를 부여하여 이러한 배치를 더욱 개선한다. 유연부(75)는 수신부(73)가 폐수, 분리된 폐수층(WL) 및/또는 그리스 층(GL)의 표면의 이동을 따를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이는, 예를 들면 바다를 항해하는 선박과 같은 (이동 중인)차량에 설치된 분리기 장치에 관한 경우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폐수가 분리기 장치에서 이동하고 비산할 때, 폐수는 때때로 강성 분리기 장치로 들어가서 그리스 분리가 보다 덜 효과적이 되게 할 수도 있다. 차량에 설치된 분리기 장치에 관하여 볼 때, 부동수단(74)과 유연부(35)의 조합으로 인해 수신부가 그리스 층(폐수)의 모든 이동을 따를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가 될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에 상당한다. 본 실시예는 주로 그리스 방출의 대체방법(이 경우에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진공원으로부터의 흡입을 제공함으로써)이 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수신부(73) 및/또는 파이프 수단(70)은 또한, 예를 들면 내장 전기코일 등 가열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도 9에서 각각 참조번호 77과 78로서 개략적으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몇몇 변형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리스 분리기에서 분리될 물질의 정상 층형성을 이용함으로써 중력에 의한 분리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히 그리스 분리기가 사용된 환경에 관계없이, 그리스 층으로부터 그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방출부로서 그리스용 방출수단을 배치함으로써, 유리하게는 펌프수단이나 중력에 의해 그리스 층으로부터 그리스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스는 파이프 수단보다 실질적으로 큰 단면을 가지는 수신 부분을 가지며 중력에 의해 그리스 층의 표면을 향해 상향으로 개구되는 파이프 수단에 의해, 그리스 제거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흡입 또는 펌프수단에 의해 그리스 층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리스 층에 침전되어 그리스 층과 분리된 폐수층의 이동을 따르는 수신 부분을 배치함으로써, 이동 중이거나 구르는 차량과 같은 불안정한 환경에서 조차도 그리스 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33)

  1. 경사진 중간 플레이트(6,6a)에 의해 분리되는 제 1 상부부분(5)과 제 2 하부부분(7)을 가지며, 폐수용 입구부(8)와, 분리된 폐수용 방출부(18)와, 그리스 및 슬러지용 방출수단(10,11,25,70)과, 상기 경사진 중간 플레이트(6,6a)를 통하여 제 1 상부부분(5)과 제 2 하부부분(7) 사이를 연결하는 오버플로우 파이프(12,13,14, 15,16,17)를 마련한 수액용기(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리기 장치에 의한 폐수로부터의 그리스 분리방법으로서,
    폐수는 입구부(8)를 통하여 제 1 상부부분(5)으로 공급되고,
    상기 폐수는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에서 중력에 의해 분리가 되어, 그리스 층(GL)이 분리된 폐수층(WL) 위에 형성되고, 슬러지 층(SL)이 상기 경사진 중간 플레이트(6,6a) 상에 형성되는 폐수로부터의 그리스 분리방법에 있어서,
    분리된 폐수는 그리스 층(GL)과 슬러지 층(SL) 사이의 분리된 폐수층(WL)으로부터 오버플로우 파이프(12,13,14,15,16,17)를 통하여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으로부터 제 2 하부부분(7)으로 공급되며,
    제 1 상부부분(5)으로부터 방출수단(10,11,25,70)을 통하여 그리스는 그리스 층(GL)으로부터 및/또는 슬러지는 슬러지 층(SL)으로부터 제거되며,
    분리된 폐수는 제 2 하부부분(7)으로부터 분리된 폐수의 방출부(18)로부터의 방출을 위하여 제 2 하부부분(7)에 포집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로부터의 그리스 분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용기의 제 1 상부부분(5)에 폐수를 공급함으로써, 중간 플레이트(6,6a) 상의 슬러지 층(SL)은 주어진 제 1 레벨로 상승되며,
    상기 수액용기(5)의 제 1 상부부분(5)으로부터 분리된 폐수를 제 2 하부부분(7)으로 방출함으로써, 분리된 페수층(WL)은 상기 주어진 제 1 레벨에 실질적으로 인접한 주어진 제 2 레벨로 낮추어지며,
    그 후에, 제 1 상부부분(5)으로부터 방출수단(10,11,25,70)을 통하여 그리스는 그리스 층(GL)으로부터 및/또는 슬러지는 슬러지 층(SL)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로부터의 그리스 분리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그리스 층(GL), 분리된 폐수층(WL), 및 슬러지 층(SL)은 제어수단(28)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로부터의 그리스 분리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에서 분리된 폐수의 레벨은 레벨제어수단(21,22,3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로부터의 그리스 분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그리스 방출수단은 방출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리스는 중력에 의해서 또는 펌프수단(31)에 의해서 방출부(1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로부터의 그리스 분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그리스는 그리스 층(GL) 내로 확장된 흡입수단(11)에 의해 그리스 층(GL)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로부터의 그리스 분리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파이프 수단(70)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단면을 가지며 그리스 층(GL)의 표면을 향하여 개방되는 수신부(7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파이프 수단(70)에 의해 중력에 의해서 또는 흡입 또는 펌프수단(34)에 의해서 그리스가 그리스 층(GL)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로부터의 그리스 분리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73)는 분리된 폐수층(WL)의 위의 그리스 층(GL)에 침전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신부(73)는 그리스층(GL)과 분리된 폐수층 (WL)의 이동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로부터의 그리스 분리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은 가열수단 (50,51)에 의해 가열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로부터의 그리스 분리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은 세정수단 (60,61)에 의해 가열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로부터의 그리스 분리방법.
  11. 경사진 중간 플레이트(6,6a)에 의해 분리되는 제 1 상부부분(5)과 제 2 하부부분(7)을 가지며, 폐수용 입구부(8)와, 분리된 폐수용 방출부(18)와, 그리스 및 슬러지용 방출수단(10,11,25,70)과, 경사진 중간 플레이트(6,6a)를 통하여 제 1 상부부분(5)과 제 2 하부부분(7) 사이를 연결하는 오버플로우 파이프(12,13,14, 15, 16, 17)를 마련한 수액용기(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폐수로부터의 그리스 분리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은 폐수를 수용하고, 분리된 폐수층 (WL) 위에 그리스 층(GL)으로서 그리스와, 중간 플레이트(6,6a) 상에 슬러지층(SL)으로서 슬러지를 포집하도록 배치되고,
    그리스 및 슬러지 방출수단(10,11,25)은 상기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 (5)에 배치되며,
    상기 그리스 층(GL)과 상기 슬러지 층(SL) 사이의 상기 분리된 폐수층(WL)으로부터 폐수를 상기 제 2 하부부분(7) 내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12)는 중간 플레이트(6,6a) 근방에서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에 배치되는 입구개구(14)와, 수액용기(1)의 상기 제 2 하부부분(7) 내로 개방되도록 배치되는 출구개구(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12)는 통상적인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출구개구(17)는 중간 플레이트(6,6a) 근방에서 수액용기(1)의 상기 제 2 하부부분(7) 내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용기(1)에는 상기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과 제 2 하부부분(7) 사이에서 밸브수단(27)을 가지는 연결파이프(27)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6,6a)는 실질적으로 경사지거나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용기의 제 1 상부부분(5)에는 제어수단(28)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분리된 폐수의 상기 방출부(18)는 상기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에 배치되며, 상기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에는 상부레벨 제어수단(21)과 하부레벨 제어수단(2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18)에는 펌프수단(20) 및/또는 밸브수단 (19)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그리스 및/또는 슬러지 방출수단은 상기 중간 플레이트 (6,6a)의 최하단부 근방에서 방출부(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10)에는 밸브수단(3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10)에는 펌프수단(3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스 방출수단은 흡입수단(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2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스 방출수단은 맨홀(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2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스 방출수단은, 상기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에 위치되는 제 1 단부(71)와 상기 수액용기로부터 외부로 안내하는 제 2 단부(72)를 가지는 파이프 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파이프 수단(70)의 제 1 단부(71)는 상기 파이프 수단의 제 1 단부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단면을 가지는 수신부(73)를 구비하며, 상기 수신부(73)는 그리스 층(GL)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수단(70)의 상기 수신부(73)는 상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73)의 위치는 수평방향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73)에는 부동수단(74)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수단(70)의 적어도 일부는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73)는 깔대기 모양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73) 및/또는 상기 파이프 수단(70)에는 가열수단(77,78)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수단(70)의 제 1 단부(71)에는 유연부(75)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3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용기(1)의 적어도 제 1 상부부분(5)에는 가열수단(50,5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3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용기(1)의 적어도 제 1 상부부분(5)에는 세정수단(60,6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3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용기(1)의 제 1 상부부분(5)에는 통풍수단(9)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액용기(1)의 제 2 하부부분(7)에는 통풍수단(24)과, 고레벨 제어수단(30)과, 제 2 하부부분(7)의 하부영역에 보조 방출부(2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장치.
KR1020020007408A 2001-02-15 2002-02-08 분리기 장치 KR200200676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10286A FI112442B (fi) 2001-02-15 2001-02-15 Menetelmä rasvan erottamiseksi jätevedestä erotinlaitteelle sekä erotinlaite
FI20010285 2001-02-15
FI20010285A FI20010285A0 (fi) 2001-02-15 2001-02-15 Erotuslaite
FI20010286 2001-0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634A true KR20020067634A (ko) 2002-08-23

Family

ID=2616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408A KR20020067634A (ko) 2001-02-15 2002-02-08 분리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45387B2 (ko)
EP (1) EP1232779A1 (ko)
JP (1) JP2002320964A (ko)
KR (1) KR20020067634A (ko)
CN (1) CN1381295A (ko)
AU (1) AU1476602A (ko)
CA (1) CA2370610A1 (ko)
NO (1) NO20020741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6837B2 (en) * 2002-08-12 2004-04-27 Rolf M. Papke Portable bilge water filter apparatus
US6712957B2 (en) * 2002-08-12 2004-03-30 Rolf M. Papke Stationary bilge water filter apparatus
US7216397B1 (en) * 2003-08-13 2007-05-15 Paul Tanner Collection tank and associated cleaning system
US7367459B2 (en) * 2006-04-27 2008-05-06 Thermaco, Inc. Passive grease trap using separator technology
JP2010515786A (ja) * 2007-01-05 2010-05-13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ミシガン ステイト ユニバーシティ ポリマー−メソポーラス珪酸塩複合材料
US7641805B2 (en) * 2007-10-30 2010-01-05 Thermaco, Inc. Passive grease trap with pre-stage for solids separation
AU2010239235A1 (en) * 2009-04-23 2011-12-08 Eckman Environmental Corporation Grey water recycling apparatus and methods
WO2011014618A1 (en) * 2009-07-29 2011-02-03 The Sagecos Group, Inc. Tunable inclined vessel settlers
FI123453B (fi) * 2010-08-11 2013-05-15 Clewer Oy Selkeytin
US8900463B2 (en) * 2010-12-20 2014-12-02 Goslyn, LP Self-disposal of solids in an immiscible liquid separator
US8871101B2 (en) * 2011-10-11 2014-10-28 Zebra Skimmers Corp. Liquid separator including venturi device
GB2511292A (en) * 2013-01-27 2014-09-03 Edward George Owen Semi Automatic Oil Water Separator
US9932732B1 (en) 2013-05-20 2018-04-03 Thermaco, Inc. Passive grease trap with lift system
CN103585789B (zh) * 2013-11-16 2016-01-13 康乃尔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用于硝基苯分离的刮水结构及刮水器设计方法
CN104712023A (zh) * 2013-12-17 2015-06-17 王廷用 厨卫污水分离器
CA2866911C (en) 2014-10-09 2021-04-27 Canplas Industries Ltd. An outlet well cover for an in-line grease interceptor
GB2535215A (en) * 2015-02-13 2016-08-17 Mechline Dev Ltd Grease trap device
US9932247B1 (en) 2015-03-27 2018-04-03 Thermaco, Inc. Passive grease trap using separator technology
CN105645655A (zh) * 2016-02-26 2016-06-08 北京赛科康仑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含负二价硫高浓度氨氮废水的综合处理方法
JP6322330B1 (ja) * 2017-12-11 2018-05-09 橋本産業株式会社 排水処理システム
GB2577559B (en) * 2018-09-28 2023-06-07 Ahlmann Aco Severin Immiscible liquids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10523108A (zh) * 2019-10-12 2019-12-03 江西万荣实业开发有限公司 添加有蓖麻油提取物的润滑油的脱水装置及脱水方法
CN111841084A (zh) * 2020-07-27 2020-10-30 杭州海科杭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物垃圾回收的油水分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519A (en) * 1901-09-03 1903-12-01 Eugene Pravicha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US1199099A (en) * 1910-01-28 1916-09-26 Reisert Automatic Water Purifying Company Process for purifying water containing mineral salts.
US1864511A (en) * 1924-05-01 1932-06-21 Sharples Specialty Co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immiscible substances
US2025883A (en) * 1931-06-05 1935-12-31 William R Mobley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s
NL151265C (nl) * 1972-06-21 1982-04-16 Ballast Nedam Groep Nv Afscheidingsinrichting geschikt voor het zuiveren van een verontreinigde vloeistof, waarin de verontreiniging bestaat uit een olie die lichter is dan de gezuiverde vloeistof.
US3862040A (en) * 1973-04-17 1975-01-21 Paul Preus Separator for liquids of different densities
US4122016A (en) * 1976-07-30 1978-10-24 Texaco Inc. Settling tank
FR2366227A1 (fr) 1976-09-29 1978-04-28 Dunkers Karl Appareil de traitement des eaux
US4132645A (en) * 1977-07-15 1979-01-02 Sun Oil Company Of Pennsylvania Two-stage oil skimmer separator
US4396508A (en) * 1981-08-27 1983-08-02 Broughton Amos W Separator for multi-phase liquids
DE3412500A1 (de) * 1984-04-03 1985-10-10 Passavant-Werke AG & Co KG, 6209 Aarbergen Abscheider fuer schwimm- und sinkstoffe
DE8419225U1 (de) * 1984-06-27 1984-12-20 Pflaum, Johann, 7433 Dettingen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oel
DE8700987U1 (ko) 1987-01-22 1987-03-19 Bommer, Rolf, 7770 Ueberlingen, De
DE4235454A1 (de) * 1992-10-21 1994-04-28 Eugen Schloetzer Vorrichtung zum statischen Trennen von Flüssigkeitsgemischen, Emulsionen o. dgl.
US5326474A (en) * 1992-11-13 1994-07-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Low flow fluid separator
DE9217018U1 (ko) 1992-12-15 1993-03-04 Passavant-Werke Ag, 6209 Aarbergen, De
US5605636A (en) * 1995-04-20 1997-02-25 Mcnish Corporation Liquid clarification device and method
CA2175277C (en) * 1996-04-29 1999-03-23 Joseph Gordon Monteith Enhanced separator tank
EP0977711B1 (en) 1997-04-24 2005-11-16 Unisearch Limited Oil from water separator
DE19832959A1 (de) * 1998-07-22 2000-01-27 Passavant Werke Abscheider mit Schlammfa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45387B2 (en) 2003-11-11
NO20020741L (no) 2002-08-16
CA2370610A1 (en) 2002-08-15
JP2002320964A (ja) 2002-11-05
US20020108902A1 (en) 2002-08-15
EP1232779A1 (en) 2002-08-21
NO20020741D0 (no) 2002-02-14
CN1381295A (zh) 2002-11-27
AU1476602A (en)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7634A (ko) 분리기 장치
US7947164B2 (en) Aircraft with grey-water utilisation system
US8398864B2 (en) Screened decanter assembly for a settling tank
US6616834B2 (en) Wastewater processor
EP1697049B1 (en) Grease separator for kitchen sinks and other applications
KR100991836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US5635064A (en) Waste water filter
JP4117342B2 (ja) 汚水浄化装置
KR101608043B1 (ko) 비점오염 처리 시설
KR101799513B1 (ko)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CN213738840U (zh) 一种收餐隔油渣餐厨垃圾处理设备
JPH07166586A (ja) 雨水の浄化処理槽
JP2011045836A (ja) 油水分離システム
KR101038684B1 (ko) 다층 수평관 액체 침전장치
KR102278033B1 (ko)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FI112442B (fi) Menetelmä rasvan erottamiseksi jätevedestä erotinlaitteelle sekä erotinlaite
JP4172846B2 (ja) 水位追従式水中ポンプ
JPH10202248A (ja) 汚水処理装置
KR100687698B1 (ko) 그리스트랩 및 그리스트랩 청소장치
JPH06115409A (ja) 洗車装置用給水ユニット
JPS58133890A (ja) メタン発酵槽の溢水装置
JPS6111337Y2 (ko)
JP3513693B2 (ja) 浮上ろ材を使用するろ過装置のろ材移送方法
JP3016383U (ja) グリス阻集器等のサイホン解除及び臭気止め装置
RU2121978C1 (ru) Отстой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