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218B1 -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218B1
KR101898218B1 KR1020170179271A KR20170179271A KR101898218B1 KR 101898218 B1 KR101898218 B1 KR 101898218B1 KR 1020170179271 A KR1020170179271 A KR 1020170179271A KR 20170179271 A KR20170179271 A KR 20170179271A KR 101898218 B1 KR101898218 B1 KR 101898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treatment tank
treatment
operated
leve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Priority to KR102017017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84Enhancing liquid-particle separation using the flotation princip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폐수유입부(101) 및 폐수배출부(102)가 전후에 구비되고, 작은 홀이 다수 구비된 격벽부(110)에 의해 내부가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로 구분되는 처리조본체(100);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 하부에 구비되는 전방호퍼(103a) 및 후방호퍼(103b); 운전 방식에 따라 전방처리조(100a) 또는 후방처리조(100b)에 선택되어 설치되는 침전유도부(130); 전방처리조(100a) 또는 후방처리조(100b)에 선택적으로 진출입 방식으로 설치되는 부상슬러지수집기(140); 후방호퍼(103b)와 폐수배출부(102) 사이에 연결되는 상향수위조절관(150); 후방처리조(100b)와 폐수배출부(102) 사이에 연결되는 수평수위조절관(160); 부상조로 사용시 폐수유입부(101)와 후방처리조(100b)로 미세기포를 공급하는 제1, 제2 미세기포발생부(170a)(170b):로 구성하되 격벽부(110)의 이면 상단과 하단에는 상,하부의 홀을 막아주는 상부차단판(111) 및 상향유도부(113)가 구비된 하부차단판(112)을 설치하고, 제2 미세기포발생부(170b)의 미세기포는 상향유도부(113)로 공급되게 구성하여 계절별과 생산물질에 의한 폐수 상태에 따라 처리조본체(100)를 부상조+부상조, 침전조+침전조로 상호 교차하거나 침전조+부상조, 부상조+침전조로 혼용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Busangjo and sedimentation tank crossing another road, and its operable processor number of multiple structures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처리조가 다중으로 구비되는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활한 수처리를 위해 다중으로 구비한 처리조를 모두 부상조 만으로 또는 모두 침전조 만으로 사용하는 상호 교차가 가능하고, 또는 "부상조 + 침전조"나 "침전조 + 부상조"로의 혼용 운전이 가능토록 하여 계절별 및 생산물질에 따라 폐수의 상태가 바뀔 때마다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는 각 가정 및 공공건물, 영업건물 등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와 공장에서 배출되는 공장폐수로 구별되며, 공장폐수는 다시 넓은 뜻의 산업폐수에 포함되고, 이러한 폐수는 오염물질을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방류할 경우 수질오염과 토양오염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폐수(오수 포함)는 대부분 부상조, 침전조, 유수분리기를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처리하고 있다.
상기 침전조는 폐수 중에서 물보다 무거운 물질을 처리조의 하부로 침전시켜 제거하는 고/액 분리장치이다.
상기 유수분리기는 폐수 중 기름처럼 물보다 가벼운 물질(자연스럽게 부상)의 자체 부상력을 이용하여 물과 분리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부상조를 이용한 처리장치는 폐수인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단순히 수평방향으로 흐르게 하면서 물보다 가벼운 이물질을 처리조 상부로 부상시켜 제거하는 고/액 분리 방식의 수처리기로서, 폐수 속에 포함된 슬러지의 부상 효율성이 떨어짐에 따라 부상슬러지 수집기로 수집되는 수거량이 미미한 등 폐수처리 기능이 떨어지며, 침전조 및 유수분리기를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도 그 처리량을 늘리려면 설비크기가 과다하게 커져야 함에 따라 제작비용은 물론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선행기술로는 아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원 출원인이 개발하여 특허 제10-0789996호로 등록받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7-0048142호(2007.05.08.공개)의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장치"(이하 '선행기술 1'이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폐수처리조 내부에 구멍이 다수 형성된 수류분산패널을 1개 이상 다수 구비하고, 수류분산패널 뒤쪽에는 다수의 경사판이 일정간격으로 채워진 침전유도통을 설치하며, 폐수인입구와 대향된 반대쪽에는 상하로 조절되는 이동부재와 고정부재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는 유입구를 구비하고, 수류분산패널 사이에 경사판이 비스듬히 설치된 침전유도통을 구비하며, 유입구의 크기 조절에 따라 폐수배출구로 배출되는 수량을 조절함으로써 폐수의 수류압 및 속도를 조절하여 슬러지의 부상 및 침전 효과를 높이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 1은 모든 구조가 고정타입이므로 그 구조를 부상 방식이나 침전 방식으로의 전환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부상조 방식의 폐수 처리장치와 침전조 방식의 폐수 처리장치를 개별적으로 모두 구비하여만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본원 출원인이 개발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76335호(2016.11.15.공고)의 "부상조와 침전조의 방식 전환 및 용량 변경이 가능한 다중구조의 수직유도판형 폐수 처리장치"(이하 '선행기술 2'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전방처리조와 후방처리조의 다중 구조로 이루어진 폐수처리본체; 전방처리조와 후방처리조 상부에 1개 또는 복수로 설치되며, 고정형 및 승강형의 다공판에 의해 수류량과 방향을 분산하는 수류분산부; 후방처리조 내에서 탈착 설치되는 수직유도판; 폐수처리본체 상부에 탈착식으로 설치되는 양 방향의 부상슬러지 수집기; 후방처리조의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배출부;로 구성하고, 전방처리조는 용량을 소, 중, 대의 다수 개로 형성하고 후방처리조에 탈부착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 2는 전방처리조를 폐수량에 따라 알맞는 크기로 변경할 수 있고, 폐수의 상태에 따라 후방처리조를 부상방식이나 침전방식으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는 전방처리조와 후방처리조의 다중으로 구비된 처리조 중 후방처리조 만을 부상 및 침전 방식으로 전환 시키는 것이고, 전방처리조는 그 크기에 따라 폐수의 유입량만을 조절할 뿐으로 부상 및 침전 방식으로의 전환은 되지 못하므로 전환 처리될 수 있는 용량이 적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7-0048142호(2007.05.08.공개)의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76335호(2016.11.15.공고)의 "부상조와 침전조의 방식 전환 및 용량 변경이 가능한 다중구조의 수직유도판형 폐수 처리장치"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구조의 처리조 모두를 폐수의 상태에 따라 부상조만으로 또는 침전조만으로의 상호 교차 운전이 가능하고, 또는 '부상조+침전조'나 '침전조+부상조'로의 혼용 운전이 가능한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전면과 후면에 폐수유입부 및 폐수배출부가 구비되고, 작은 홀들이 무수히 형성된 격벽부에 의해 내부가 전방처리조와 후방처리조로 구분되는 처리조본체; 전방처리조와 후방처리조 하부에 구비되는 전방호퍼 및 후방호퍼; 다수의 경사판이 중첩되어 전방처리조와 후방처리조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침전유도부; 전방처리조와 후방처리조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순환식의 부상슬러지수집기; 후방호퍼와 폐수배출부에 연결되는 상향수위조절관; 후방처리조와 폐수배출부에 연결되는 수평수위조절관; 전방처리조와 후방처리조를 부상조로 사용시 폐수유입부 또는 후방처리조에 미세기포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미세기포발생부:로 구성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전방처리조와 후방처리조를 운전할 때, '부상+부상'으로 운전시는 전,후방처리조에 부상슬러지수집기를 모두 구비하고, 수평수위조절관은 닫힘 상태, 상향수위조절관은 열림 상태로 운전하며, '침전+침전'으로 운전시는, 부상슬러지수집기를 모두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수평수위조절관은 닫힘 상태, 상향수위조절관은 열림 상태로 운전하고, '침전+부상'으로 운전시는, 부상슬러지수집기를 후방처리조에만 구비하고, 수평수위조절관은 닫힘 상태, 상향수위조절관은 열림 상태로 운전하며, '부상+침전'으로 운전시는, 부상슬러지수집기를 전방처리조에만 구비하고, 수평수위조절관은 열림 상태, 상향수위조절관은 닫힘 상태로 운전하면 계절별과 생산물질에 따라 폐수 상태가 바뀔 때마다 처리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상기 목적 달성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 구조의 처리조를 부상조 또는 침전조만으로 상호 교차 운전이 가능하고, 또는 혼용 운전이 가능하므로 계절별 생산 물질에 따른 폐수의 성질에 따라 폐수를 매우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다중 구조의 수처리 장치 크기를 최대한 작게 형성하고서도 최적의 처리 효율이 가능한 것으로서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작은 부지에 설치가 용이하고, 적은 에너지만으로도 최적의 처리 효율을 이룰 수 있어 가동에 따른 유지비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처리조본체인 전방처리조와 후방처리조를 '부상조+부상조' 및 '침전조+침전조'로 상호 교차 운전하는 상태의 도면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전방처리조와 후방처리조를 '침전조+부상조' 및 '부상조+침전조'로 혼용 운전하는 상태의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다중구조인 처리조본체를 '부상조+부상조' 및 '침전조+침전조'로 상호 교차 운전하는 상태도이고,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처리조본체를 '침전조+부상조' 및 '부상조+침전조'로 혼용 운전하는 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 중 처리조본체(100)의 전면 벽에 폐수유입부(101)가 구비되고 후면 벽에 폐수배출부(102)가 구비되는 것은 폐수의 수처리 장치에서 일반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처리수 통과용 홀이 다수 구비된 격벽부(110)를 상기 처리조본체(100)의 내부 중앙에 설치하여 처리조본체(100) 내부의 전면과 후면이 전방처리조(100a) 및 후방처리조(100b)로 구분되게 하고, 상기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의 하부에는 각각 전방호퍼(103a) 및 후방호퍼(103b)를 구비하여 침전슬러지가 모이도록 한 것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내부에는 다수의 파상형 경사판(131)이 일정 공간 있게 중첩된 침전유도부(130)를 설치하고, 또 상면에는 컨베이어체인에 의해 순환식으로 회전되면서 부상슬러지를 수집하는 부상슬러지수집기(14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부상슬러지수집기(140)는 레일과 이동 대차 등의 이동수단에 의해 외부에서 전방처리조(100a) 및 후방처리조(100b) 상면으로 이동 진입되어 설치되는 출입식으로 구성한다.
또한 후방호퍼(103b) 상단과 폐수배출부(102) 사이에는 제1밸브(151)로 개폐되는 상향수위조절관(150)를 설치하여 수위를 상향식으로 조절하도록 하고, 후방처리조(100b) 상부와 폐수배출부(102)에는 수위를 수평식으로 조절하도록 제2밸브(161)로 개폐되는 수평수위조절관(160)을 설치한다.
그리고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부상조로 사용시 폐수유입부(101)와 격벽부(110)의 이면으로 미세기포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미세기포발생부(170a)(170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0)은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에 각각 구비된 상부슬러지받이부이고, (121)은 상부슬러지배출구이며, (104)는 전방호퍼(103a) 및 후방호퍼(103b)의 하단에 구비된 하부슬러지배출구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계절별 및 생산물질에 따라 폐수 상태가 바뀔 때마다 처리조본체(100)의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부상조+부상조', '침전조+침전조'로 상호 교차하거나 또는 '침전조+부상조', '부상조+침전조'로 혼용 운전하여 가동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실시예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부상조+부상조로 운전시
계절별 및 생산물질에 따라 폐수의 상태가 바뀌어 전방처리조(100a)로 유입되는 처리수의 슬러지가 침전성이 약할 경우에는 신속히 부상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때는 도 1 과 같이 전방처리조(100a) 및 후방처리조(100b)를 모두 '부상조+부상조'로 가동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의 상면 모두에 부상슬러지수집기(140)를 진입시켜 놓이게 하고, 수평수위조절관(160)은 닫힘, 상향수위조절관(150)은 열림 상태로 운전하면 된다.
이때 미세기포는 제1 미세기포발생부(170a)를 통하여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부(101)로만 공급하여도 되고, 또는 제2 미세기포발생부(170b)를 통하여 후방처리조(100b)로 함께 공급되도록 할 수도 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되는 처리수에 미세기포를 공급하면 침전성이 약한 슬러지들은 미세기포에 의해 매우 신속하게 부상되므로 상면의 부상슬러지수집기(140)를 통해 양호하게 수집되어 상부슬러지받이부(120)로 수거된다.
그리고 침전유도부(130)는 처리수에 일부 잔존된 침전성이 있는 슬러지의 침전을 유도하여주고, 다수의 홀이 구비된 격벽부(110)와 함께 수류의 속도와 흐름을 고른 상태로 유지시켜 주므로 처리수의 부상 슬러지들은 매우 양호하게 부상되어 상면의 부상슬러지수집기(140)로 수집된다.
그리고 이때 상부의 수평수위조절관(160)은 닫힘 상태이고 하부의 상향수위조절관(150)은 열림 상태이므로 부상 슬러지가 양호하게 제거된 상태의 처리수만이 상향수위조절관(150)을 통해 폐수배출부(102)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2> 침전조+침전조로 운전시
계절별 및 생산물질에 따라 전방처리조(100a)로 유입되는 처리수의 상태가 바뀌어 슬러지가 침전성이 강할 경우에는 신속히 침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 2 와 같이 전방처리조(100a) 및 후방처리조(100b)를 모두 '침전조+침전조'로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의 상면에는 부상슬러지수집기(140)를 진입시키지 않고, 수평수위조절관(160)은 열림(open) 상태, 상향수위조절관(150)은 닫힘(close) 상태로 운전하면 된다.
그리고 제1, 제2 미세기포발생부(170a)(170b)는 미세기포가 공급되지 않도록 가동시키지 않아야 한다.
그러면 전방처리조(100a)에서는 유입된 처리수가 침전유도부(130)의 경사판(131) 사이를 통과하면서 수류 속도와 흐름이 안정되어 침전성 강한 슬러지의 침전이 원활하게 되는 것이며, 격벽부(110)의 홀을 통해 후방처리조(100b)로 유입된 처리수는 각각 침전유도부(130)의 경사판(131)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수류의 속도와 흐름이 안정되면서 침전성이 강한 슬러지의 침전을 원활하게 하여 전방호퍼(103a) 및 후방호퍼(103b)로 침전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후방처리조(100b)에서 침전 처리된 처리수는 상부의 수평수위조절관(160)은 열림 상태이고 하부의 상향수위조절관(150)은 닫힘 상태이므로 수평수위조절관(160)을 통해서만 폐수배출부(102)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침전 슬러지가 양호하게 침전된 후방처리조(100b) 상부의 처리수들만이 수평수위조절관(160)을 통해 폐수배출부(102)로 이동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실시예 3> 침전조+부상조로 운전시
계절별 및 생산물질에 따라 처리수에 침전슬러지와 부상슬러지가 상당량 포함된 경우는 부상조와 침전조로 혼용 운전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부상슬러지보다 침전슬러지가 더 많이 포함된 경우에는 도 3 과 같이 침전 기능이 먼저 운전되도록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침전조+부상조'로 혼용 운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부상조로 운전되는 후방처리조(100b)의 상면에만 부상슬러지수집기(140)를 진입시키고, 수평수위조절관(160)은 닫힘, 상향수위조절관(150)은 열림 상태로 운전하면 된다. 그리고 미세기포는 제2 미세기포발생부(170b)를 통하여 후방처리조(100b)로만 공급되게 한다.
여기서 격벽부(110)의 전면에는 일정한 수류 흐름을 위해 다수의 홀이 있는 보조격벽부(180)를 일정 간격 이격시켜 설치하고, 격벽부(110)의 이면 상,하단에는 상,하부의 홀을 막아주는 상부차단판(111)과 하부차단판(112)을 설치하여 처리수가 격벽부(110)의 중앙 부위의 홀을 통해서만 유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부차단판(112)의 상부에는 수류 흐름을 상향으로 유도하는 상향유도부(113)를 구비하고, 제2 미세기포발생부(170b)의 미세기포는 상기 상향유도부(113)로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전방처리조(100a)에서는 처리수에 부상슬러지보다 더 많이 함유된 침전슬러지들이 먼저 침전유도부(130)에 의한 원활한 침전 유도에 의해 전방호퍼(103a)로 가라앉아 침전되고, 그 처리수는 보조격벽부(180)를 통해 수류 흐름이 일정한 속도로 조절되어 격벽부(110)를 향하게 된다.
그런데 격벽부(110)의 작은 홀이 무수히 형성되어 있는 상부와 하부는 상부차단판(111) 및 하부차단판(112)에 막혀 있는 상태이므로 격벽부(110)로 향한 처리수는 작은 홀들이 개방되어 있는 중앙 부위로만 집중되어 후방처리조(100b)로 유입된다.
이때 후방처리조(100b)의 이면에는 상향유도부(113)가 구비되어 있고 미세기포가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처리수의 부상슬러지들은 미세기포와 매우 양호하게 믹싱되면서 상부의 부상슬러지수집기(140) 쪽으로 원활하게 부상됨에 따라 부상슬러지의 수집이 매우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의 수평수위조절관(160)은 닫힘 상태이고 하부의 상향수위조절관(150)은 열림 상태이므로 부상 슬러지가 양호하게 제거된 처리수만이 하부에 위치된 상향수위조절관(150)을 통해서 폐수배출부(102)로 이동되어 처리 효율을 높여주는 것이다.
여기서 후방처리조(100b)로 유입되는 처리수는 미세기포와 혼합된 상태에서 부상슬러지들과 함께 상향유도부(113)에 의해 원활하게 상측 방향으로 올라가는 수류 흐름이 발생 되어 슬러지의 부상 및 수집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므로 이때는 도 3 에서와 같이 후방처리조(100b)에 침전유도부(130)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실시예 4> 부상조+침전조로 운전시
유입되는 처리수의 상태에 따라 부상조와 침전조로 혼용 운전하되 침전슬러지보다 부상슬러지가 더 많이 포함된 경우에는 도 4 와 같이 부상 기능이 먼저 운전되도록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부상조+침전조'로 혼용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부상조로 운전되는 전방처리조(100a) 상면에만 부상슬러지수집기(140)를 진입시키고, 수평수위조절관(160)은 열림, 상향수위조절관(150)은 닫힘 상태로 운전하며, 미세기포는 제1 미세기포발생부(170a)를 통하여 폐수유입부(101)로만 공급되게 하여야 한다.
그러면 전방처리조(100a)에서는 처리수의 부상슬러지들이 미세기포에 의해 원활히 부상하여 부상슬러지수집기(140)로 원활히 수집되며, 부상슬러지가 수집된 처리수는 다수의 홀이 있는 격벽부(110)를 통해 후방처리조(100b)로 유입된 후 침전유도부(130)에 의한 원활한 침전 유도로 후방호퍼(103b)로 가라앉아 침전된다.
이때 상부의 수평수위조절관(160)은 열림 상태이고 하부의 상향수위조절관(150)은 닫힘 상태이므로 침전 슬러지가 양호하게 제거된 상태의 처리수들의 수류 흐름은 상부의 수평수위조절관(160)을 통해서 폐수배출부(102)로 이동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100 : 처리조본체 100a: 전방처리조
100b: 후방처리조 101 : 폐수유입부
102 : 폐수배출부 103a: 전방호퍼
103b: 후방호퍼 110 : 격벽부
111 : 상부차단판 112 : 하부차단판
103 : 상향유도부 120 : 상부슬러지받이부
130 : 침전유도부 131 : 경사판
140 : 부상슬러지수집기 150 : 상향수위조절관
160 : 수평수위조절관 170a: 제1 미세기포발생부
170b: 제 미세기포발생부

Claims (7)

  1. 폐수의 수처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면에 폐수유입부(101)가, 후면에 폐수배출부(102)가 구비되고, 다수의 작은 홀이 형성된 격벽부(110)에 의해 내부가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로 구분되는 처리조본체(100);
    침전슬러지가 모이도록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호퍼(103a) 및 후방호퍼(103b);
    다수의 경사판(131)이 일정 공간 있게 중첩되어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되는 침전유도부(130);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상면에 컨베이어체인에 의해 순환식으로 설치되어 부상슬러지를 수집하는 부상슬러지수집기(140);
    후방호퍼(103b) 상단과 폐수배출부(102)에 연결되어 수위를 상향식으로 조절하도록 제1밸브(151)로 개폐되는 상향수위조절관(150);
    후방처리조(100b) 상부와 폐수배출부(102)에 연결되어 수위를 수평식으로 조절하도록 제2밸브(161)로 개폐되는 수평수위조절관(160);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부상조로 사용시 폐수유입부(101)와 격벽부(110)의 이면으로 미세기포를 공급하도록 공급관이 설치되는 제1 및 제2 미세기포발생부(170a)(170b):로 구성하되
    격벽부(110)의 이면 상단과 하단에는 상,하부의 홀을 막아주는 상부차단판(111) 및 상향유도부(113)가 구비된 하부차단판(112)을 설치하고, 제2 미세기포발생부(170b)의 미세기포는 상향유도부(113)로 공급되게 구성하여
    계절별과 생산물질에 따라 폐수 상태가 바뀔 때마다 처리조본체(100)를 부상조+부상조, 침전조+침전조, 침전조+부상조, 부상조+침전조로 변경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부상슬러지수집기(140)는,
    레일 및 이동 대차와 같은 이동수단에 의해 외부에서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의 상면으로 진출입되게 설치하여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부상조로 운전시 부상슬러지수집기(140)가 구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격벽부(110)의 전면에는 다수의 홀이 있는 보조격벽부(180)를 일정 간격 이격시켜 설치하여
    수류 흐름을 일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침전조+부상조" 로 사용 시 침전유도부(130)를 전방처리조(100a)에만 설치하여
    침전성이 강한 것을 빨리 침전시켜 일차 처리되게 하고, 침전성이 약한 것은 부상조에서 신속히 부상 처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5. 폐수의 수처리장치를 운전함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부상조+부상조'로 가동시는,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에 부상슬러지수집기(140)가 모두 놓이게 하고, 수평수위조절관(160)은 닫힘 상태, 상향수위조절관(150)은 열림 상태로 운전하며,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침전조+침전조'로 가동시는, 부상슬러지수집기(140)를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에 모두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수평수위조절관(160)은 닫아주고, 상향수위조절관(150)은 열림 상태로 운전하고,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침전조+부상조'로 가동시는, 부상슬러지수집기(140)를 후방처리조(100b)에만 구비하고, 수평수위조절관(160)은 닫힘 상태, 상향수위조절관(150)은 열림 상태로 운전하며,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부상조 + 침전조'로 가동시는, 부상슬러지수집기(140)를 전방처리조(100a)에만 구비하고, 수평수위조절관(160)은 열림 상태, 상향수위조절관(150)은 닫힘 상태로 운전하여
    계절별과 생산물질에 따라 폐수 상태가 바뀔 때마다 처리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의 운전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전방처리조(100a)를 부상조로 운전할 때는
    제1 미세기포발생부(170a)를 통해 폐수유입부(101)로 미세기포를 공급하는 단계를 행하고,
    후방처리조(100b)를 부상조로 운전할 때는
    제2 미세기포발생부(170b)를 통해 격벽부(110)의 이면이나 상향유도부(113)로 미세기포를 공급하는 단계를 행하여
    미세기포에 의해 처리수의 슬러지 부상 효율이 증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의 운전방법.
  7. 폐수의 수처리장치를 운전함에 있어서,
    전면에 폐수유입부(101)가, 후면에 폐수배출부(102)가 구비되고, 다수의 작은 홀이 형성된 격벽부(110)에 의해 내부가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로 구분되는 처리조본체(100);
    침전슬러지가 모이도록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호퍼(103a) 및 후방호퍼(103b);
    다수의 경사판(131)이 일정 공간 있게 중첩되어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되는 침전유도부(130);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상면에 컨베이어체인에 의해 순환식으로 설치되어 부상슬러지를 수집하는 부상슬러지수집기(140);
    후방호퍼(103b) 상단과 폐수배출부(102)에 연결되어 수위를 상향식으로 조절하도록 제1밸브(151)로 개폐되는 상향수위조절관(150);
    후방처리조(100b) 상부와 폐수배출부(102)에 연결되어 수위를 수평식으로 조절하도록 제2밸브(161)로 개폐되는 수평수위조절관(160);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부상조로 사용시 폐수유입부(101)와 격벽부(110)의 이면으로 미세기포를 공급하도록 공급관이 설치되는 제1 및 제2 미세기포발생부(170a)(170b):로 구성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부상조+부상조'로 가동시는,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에 부상슬러지수집기(140)가 모두 놓이게 하고, 수평수위조절관(160)은 닫힘 상태, 상향수위조절관(150)은 열림 상태로 운전하며,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침전조+침전조'로 가동시는, 부상슬러지수집기(140)를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에 모두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수평수위조절관(160)은 닫아주고, 상향수위조절관(150)은 열림 상태로 운전하고,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침전조+부상조'로 가동시는, 부상슬러지수집기(140)를 후방처리조(100b)에만 구비하고, 수평수위조절관(160)은 닫힘 상태, 상향수위조절관(150)은 열림 상태로 운전하며,
    전방처리조(100a)와 후방처리조(100b)를 '부상조 + 침전조'로 가동시는, 부상슬러지수집기(140)를 전방처리조(100a)에만 구비하고, 수평수위조절관(160)은 열림 상태, 상향수위조절관(150)은 닫힘 상태로 운전하여
    계절별과 생산물질에 따라 폐수 상태가 바뀔 때마다 처리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의 운전방법.
KR1020170179271A 2017-12-26 2017-12-26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1898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271A KR101898218B1 (ko) 2017-12-26 2017-12-26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271A KR101898218B1 (ko) 2017-12-26 2017-12-26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218B1 true KR101898218B1 (ko) 2018-09-12

Family

ID=6359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271A KR101898218B1 (ko) 2017-12-26 2017-12-26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2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344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그린테크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
KR102117901B1 (ko) 2019-10-16 2020-06-03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 운전을 위한 폐수처리장치의 스컴유도판과 수위조절판의 전환구조
KR102117906B1 (ko) 2019-10-16 2020-06-03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
KR102378481B1 (ko) 2021-06-15 2022-03-28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응집반응조와 폐수처리본체의 용량별 설치가 용이한 폐수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142A (ko) 2007-03-12 2007-05-08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수류분산 및 조절장치를 적용한 폐수 처리장치의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
KR100823878B1 (ko) * 2005-03-07 2008-04-24 (주)삼성에코텍 주행대차식 스컴 스키머
KR101544546B1 (ko) * 2015-03-31 2015-08-21 주식회사 케이디 급속침강 및 부상 복합형 간이 하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676335B1 (ko) 2016-06-02 2016-11-15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와 침전조의 방식 전환 및 용량 변경이 가능한 다중구조의 수직유도판형 폐수 처리장치
JP2017100136A (ja) * 2017-03-10 2017-06-08 株式会社ナゴヤ大島機械 浮上式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878B1 (ko) * 2005-03-07 2008-04-24 (주)삼성에코텍 주행대차식 스컴 스키머
KR20070048142A (ko) 2007-03-12 2007-05-08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수류분산 및 조절장치를 적용한 폐수 처리장치의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
KR101544546B1 (ko) * 2015-03-31 2015-08-21 주식회사 케이디 급속침강 및 부상 복합형 간이 하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676335B1 (ko) 2016-06-02 2016-11-15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와 침전조의 방식 전환 및 용량 변경이 가능한 다중구조의 수직유도판형 폐수 처리장치
JP2017100136A (ja) * 2017-03-10 2017-06-08 株式会社ナゴヤ大島機械 浮上式分離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344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그린테크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
KR102172001B1 (ko) 2018-11-16 2020-11-02 주식회사 그린테크 미세 협잡물 및 오일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 통합 전처리 설비 및 그 운전방법
KR102117901B1 (ko) 2019-10-16 2020-06-03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 운전을 위한 폐수처리장치의 스컴유도판과 수위조절판의 전환구조
KR102117906B1 (ko) 2019-10-16 2020-06-03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
KR102378481B1 (ko) 2021-06-15 2022-03-28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응집반응조와 폐수처리본체의 용량별 설치가 용이한 폐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218B1 (ko)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1455180B1 (ko) 수류 분산형 가압부상조
US55386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solved air flotation and related waste water treatments
WO2021036459A1 (zh) 一种水处理用竖流式沉淀与气浮装置及其工作方法
KR101676335B1 (ko) 부상조와 침전조의 방식 전환 및 용량 변경이 가능한 다중구조의 수직유도판형 폐수 처리장치
US8225942B2 (en) Self-cleaning influent feed system for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KR100988474B1 (ko) 상수 및 하폐수 처리용 플록형성지
BRPI0919152B1 (pt) dispositivo de sedimentação para um fluido contendo líquido, gás e material particulado, purificador, e, método para a purificação aeróbica ou anaeróbica de um fluido de água residual
RU228259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ветления жидкостей, в частности воды, насыщенных материалом в виде суспензии
CN202961983U (zh) 斜板沉淀池
US6689277B2 (en) Treatment of liquids with ballasted flocculation
CN103097307A (zh) 包括固体分离装置的净化器、以及用于废水净化的方法
KR20120024520A (ko)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CN108773933A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108328786B (zh) 一种水处理装置及水处理方法
US5035795A (en) Modular clarifier with integral flocculator
KR102093758B1 (ko) 와류식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활용한 장방형 고효율 가압고액분리 수처리장치
KR101936181B1 (ko) 다단형 가압부상조
KR20140053464A (ko) 침전 겸용 유입수 분배관을 갖는 오폐수 경사판 침전 장치
KR101345262B1 (ko) V―블록형 경사판 침전장치
SK287560B6 (sk) Spôsob biologického čistenia odpadových vôd
KR101369975B1 (ko) 무동력 플럭응집 장치
KR102042478B1 (ko)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KR20050058308A (ko)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KR101889517B1 (ko) 부상조와 침전조 전환이 용이한 폐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