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906B1 -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906B1
KR102117906B1 KR1020190128308A KR20190128308A KR102117906B1 KR 102117906 B1 KR102117906 B1 KR 102117906B1 KR 1020190128308 A KR1020190128308 A KR 1020190128308A KR 20190128308 A KR20190128308 A KR 20190128308A KR 102117906 B1 KR102117906 B1 KR 102117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hopper
treatment
wastewater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Priority to KR1020190128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84Enhancing liquid-particle separation using the flotation princip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수유입부(101)가 구비된 전방처리조(110a)와, 처리수배출조(102)가 구비된 후방처리조(110b)의 다중 구조로 구성된 폐수처리본체(100); 전/후방처리조(110a)(110b)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호퍼장착부(111); 상기 호퍼장착부(111)에 탈,부착되며, 침전조용보다 작은 용량으로 만들어지는 부상조용 호퍼(120a)(120b); 상기 호퍼장착부(111)에 탈,부착되며, 부상조용 호퍼(120a)(120b) 보다 큰 용량으로 만들어지는 침전조용 호퍼(130a)(130b);로 구성되며, 후방처리조(110b) 후미에 구비되는 슬러지받이부(210)의 구획격벽(140) 전면에는 다수의 가이드봉(141)을 구비하고, 구획격벽(140) 상측에는 분리된 곡선의 스컴유도판(150)을 탈,부착식으로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봉(141)에 안내공(161)이 끼워져 승,하강되는 수위조절판(160)을 구비하여 부상조 및 침전조로 혼용 시 용도에 맞는 것으로 조립 사용토록 하여 용도별 처리효율을 높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for the dissolved air flotation tank and settling tank mixing}
본 발명은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계절별 및 생산물질에 따라 폐수처리장치의 처리조를 부상조 또는 침전조로 혼용하고자 할 때 처리조 하부의 호퍼를 용도에 맞는 형태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는 각 가정 및 공공건물, 영업건물 등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와 공장에서 배출되는 공장폐수로 구별되며, 공장폐수는 다시 넓은 뜻의 산업폐수에 포함되고, 이러한 각종 폐수(이하 오,폐수를 통칭함)는 오염물질을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방류할 경우 수질오염과 토양오염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폐수는 대부분 폐수 처리장에서 부상조, 침전조, 유수분리기를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처리한 후 깨끗한 물로 만들어 방류하고 있다.
상기 부상조를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는 폐수인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수평으로 흐르게 하면서 물보다 가벼운 이물질을 처리조 상부로 부상시켜 제거하는 고/액 분리 방식의 장치이다.
상기 침전조를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는 폐수 중에서 물보다 무거운 물질을 처리조의 하부로 침전시켜 제거하는 고/액 분리장치이다.
상기 유수분리기를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는 폐수 중 기름처럼 물보다 가벼운 물질(자연스럽게 부상)의 자체 부상력을 이용하여 물과 분리시키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부상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와 침전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는 처리하는 폐수의 성질이 달라서 유입되는 폐수의 성질에 따라 각기 설치되어야 하는데, 계절별 및 생산물질에 따라 폐수의 성질이나 상태가 자주 바뀌는 곳은 상호 교차 사용 가능하거나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의 수처리 장치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의 수처리 장치로 개발된 선행기술로는 아래 특허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8218호(2018.09.12.공고)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이하 '선행기술 1'이라 칭함)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처리조본체를 전방처리조와 후방처리조로 구분 설치하여 계절별과 생산물질에 따라 폐수 상태가 바뀔 때마다 처리조본체의 전방처리조 및 후방처리조를 부상조 + 부상조, 침전조 + 침전조, 침전조 + 부상조, 부상조 + 침전조로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아래 특허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6335호(2016.11.15.공고) "부상조와 침전조의 방식 전환 및 용량 변경이 가능한 다중구조의 수직유도판형 폐수 처리장치"(이하 '선행기술 2'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전방처리조와 후방처리조로 분리된 폐수처리본체를 유입 폐수 종류에 따라 부상조 또는 침전조로의 방식 전환이 가능토록 한 것이며, 전방처리조를 후방처리조에서 탈부착되는 대,중,소의 서로 다른 용량을 갖는 다수 개로 형성하여 계절별 상황에 따라 알맞는 용량의 전방처리조로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8218호(2018.09.12.공고)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6335호(2016.11.15.공고) "부상조와 침전조의 방식 전환 및 용량 변경이 가능한 다중구조의 수직유도판형 폐수 처리장치"
일반적으로 침전호퍼 용량이 큰 것은 부상 효율에 비해 침전 효율이 좋으므로 침전조용으로 적합하고, 반대로 침전호퍼 용량이 작으면 침전 효율에 비해 부상 효율이 더 좋으므로 부상조용으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 1, 2 는 혼용 또는 전환 사용을 위한 것일 뿐 전방처리조와 후방처리조의 호퍼는 모두 동일 용량을 유지하고 있다. 즉, 선행기술 2처럼 전방처리조의 용량을 대,중,소의 다수 개로 형성하여도 호퍼는 침전조용 및 부상조용 모두 동일 크기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호퍼의 용량은 변함이 없다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어중간한 호퍼의 용량은 침전조용과 부상조용 모두에 효과가 없는 상태라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침전조는 처리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판이 구비되어야 하고, 부상조는 부상된 이물질(scum)을 손쉽게 슬러지받이부로 넘겨주는 곡선의 스컴유도판(일명: R판)이 구획 격벽 상단에 구비되어야만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데, 상기 선행기술 1, 2는 혼용 운전 시 대부분 스컴유도판이 공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침전조로 사용 시 처리효울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조를 부상조 또는 침전조로 혼용하고자 할 때 하부의 호퍼 용량을 부상조는 부상조에 맞는 크기로, 침전조는 침전조에 맞는 크기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혼용 시의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의 호퍼 용량을 부상조 및 침전조 용도에 맞게 교체할 때 스컴유도판 및 수위조절판도 함께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혼용 운전 시의 처리 효율을 더 증대시킬 수 있는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폐수유입부가 구비된 전방처리조와 처리수배출조가 구비된 후방처리조의 다중 구조로 구성된 폐수처리본체; 전/후방처리조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호퍼장착부; 상기 호퍼장착부에 탈,부착되며 침전조용보다 작은 용량으로 만들어지는 부상조용 호퍼; 상기 호퍼장착부에 탈,부착되며 부상조용 호퍼 보다 큰 용량으로 만들어지는 침전조용 호퍼;로 구성하면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방처리조 후미에 구비되는 슬러지받이부의 구획격벽 전면에 다수의 가이드봉을 구비하고, 구획격벽 상측에는 분리 형성된 곡선의 스컴유도판을 구비하여 탈,부착되게 하며, 상기 가이드봉에 안내공이 끼워져 승,하강되는 수위조절판을 구비하여 부상조 및 침전조로 혼용 시 용도에 맞는 것으로 조립 사용토록 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폐수처리장치의 처리조를 계절별 및 생산물질에 따라 부상조 또는 침전조로 혼용하고자 할 때 처리조 하부의 호퍼를 용도에 따른 용량 별로 구비하여 용도에 따라 알맞는 용량의 호퍼로 손쉽게 교체하는 것이므로 부상조와 침전조로의 혼용 운전 시 처리 효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퍼 용량을 부상조 및 침전조 용도에 맞게 교체할 때 스컴유도판 및 수위조절판도 함께 교체하는 것이므로 혼용 운전 시의 처리 효율을 상당히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수처리장치가 부상조를 이루도록 용량이 작은 호퍼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폐수처리장치가 침전조를 이루도록 용량이 큰 호퍼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구획격벽에 탈,부착되는 수위조절판과 스컴유도판의 조립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서 수위조절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서 스컴유도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수처리장치가 부상조를 이루도록 용량이 작은 호퍼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폐수처리장치가 침전조를 이루도록 용량이 큰 호퍼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폐수 처리장치는 일측에 폐수유입부(101)가 구비된 전방처리조(110a)와, 처리수배출조(102)가 구비된 후방처리조(110b)의 다중 구조로 이루어진 폐수처리본체(100); 전/후방처리조(110a)(110b)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하측 테두리에 다수의 체결공이 있는 장착플랜지(112)가 구비된 호퍼장착부(111); 상기 장착플랜지(112)와 체결공이 대응된 체결플랜지(121)가 상측 테두리에 구비되어 호퍼장착부(111)에 탈,부착되며, 침전조용에 비해 작은 용량으로 만들어지는 부상조용 호퍼(120a)(120b); 상기 장착플랜지(112)와 체결공이 대응된 체결플랜지(131)가 상측 테두리에 구비되어 호퍼장착부(111)에 탈,부착되며, 부상조용 호퍼(120a)(120b)에 비해 큰 용량으로 만들어지는 침전조용 호퍼(130a)(130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90)은 다공판으로 구성되어 통과되는 수류량 조절 및 수류 흐름을 분산시켜주는 수류분산부로서, 전/후방처리조(110a)(110b) 중 한 곳 이상에 설치되며, (200)은 웨이브 형태의 경사판 여러 개를 일정 간격 중첩시켜서 수류 흐름을 안내하도록 전방처리조(110a) 또는 후방처리조(110b) 내에 설치되는 수류흐름유도부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폐수처리장치의 처리조를 계절별 및 생산물질에 따라 부상조 또는 침전조로 혼용하고자 할 때 처리조 하부의 호퍼를 용도에 알맞는 용량의 호퍼로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하면 된다.
즉, 폐수처리장치의 처리조를 부상조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도 1과 같이 폐수처리본체(100)의 전/후방처리조(110a)(110b) 하부에 구비된 호퍼장착부(111)에 침전조용 보다 용량이 작은 부상조용 호퍼(120a)(120b)를 장착플랜지(1120와 체결플랜지(121)를 이용하여 볼트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면 부상조용 호퍼(120a)(120b)가 쉽게 장착된다.
침전조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도 2와 같이 전/후방처리조(110a)(110b) 하부의 호퍼장착부(111)에 부상조용 호퍼(120a)(120b) 보다 용량이 큰 침전조용 호퍼(130a)(130b)를 장착플랜지(112)와 체결플랜지(131)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침전조용 호퍼(130a)(130b)가 장착된다.
즉, 본 발명은 처리조 하부의 호퍼를 용도에 알맞는 용량의 호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계절별 및 생산물질에 따라 부상조 또는 침전조로의 혼용이 손쉽고 용도별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상조용 호퍼(120a)(120b)와 침전조용 호퍼(130a)(130b)는 상하에 체결플랜지(131)가 구비된 상호퍼(a) 및 상측에만 체결플랜지(131)가 구비되어 상호퍼(a)에 조립되는 하호퍼(b)로 구분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호퍼(a)와 하호퍼(b)로 구분 형성하면 유지 보수가 필요할 때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구획격벽에 탈,부착되는 수위조절판과 스컴유도판의 조립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서 수위조절판 및 스컴유도판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즉, 본 발명은 후방처리조(110b)의 후미 쪽에 슬러지받이부(210)를 구비하기 위해 구획격벽(140)을 설치할 때 구획격벽(140) 전면에는 다수의 가이드봉(141)을 수평으로 구비하고, 구획격벽(140) 상측에는 분리 형성된 곡선의 스컴유도판(150)을 탈,부착식으로 장착하며, 상기 가이드봉(141)에 끼워지는 안내공(161)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구획격벽(140)에서 상하로 승,하강되는 수위조절판(16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분리 형성되는 상기 구획격벽(140)과 스컴유도판(150)은 도 3과 같이 체결홀(143)(153)이 구비된 결착부(142)(152)가 서로 대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결착부(142)(152) 사이에는 고무실링재(170)를 구비하여 체결부재(180)로 함께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획격벽(140) 상측에 탈,부착식 스컴유도판(150)을 구비하고, 전면에 승,하강되는 수위조절판(160)을 구비하는 본 발명은 부상조로 운전 시에는 도 4a와 같이 구획격벽(140)에 스컴유도판(150) 만을 장착시키면 부상된 이물질을 곡선의 스컴유도판(150)이 손쉽게 슬러지받이부(210)로 넘겨주므로 부상조로 운전 시의 부상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침전조로 운전 시는 도 4b와 같이 구획격벽(140)에 수위조절판(160)을 장착하면 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봉(141)에 끼워진 안내공(161)을 이용하여 수위조절판(160)을 구획격벽(140)에서 상하로 높이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입되는 폐수의 수량에 따라 처리조의 수위 조절이 용이하여 침전조로 운전 시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후방처리조(110b)를 침전조로 사용하다가 부상조로 전환시켜 사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수위조절판(160)을 구획격벽(140)에서 분리한 다음 도 4a와 같이 스컴유도판(150)을 다시 장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스컴유도판(150)이 손상되었을 때 종래의 스컴유도판이 일체로 구비된 구획격벽 경우는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스컴유도판(150)이 구획격벽(140)과 분리 형성된 것이므로 스컴유도판(150) 만을 새 것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교체 작업이 신속 간편하고 유지 보수비용이 저렴한 것이다
그리고 부상슬러지수집기(220)가 스컴유도판(150)을 통해 부상 물질을 수집할 때 스컴유도판(150)에 가해지는 충격과 소음이 고무실링재(170)에 의해 스컴유도판(150)에서 발생되는 진동 소음 발생이 저감될 수 있다.
100 : 폐수처리본체 101 : 폐수유입부
102 : 처리수배출조 110a: 전방처리조
110b: 후방처리조 111 : 호퍼장착부
112 : 장착플랜지 120a,120b: 부상조용 호퍼
121, 131 : 체결플랜지 130a,130b: 침전조용 호퍼
140 : 구획격벽 141 : 가이드봉
142, 152 : 결착부 143, 153 : 체결홀
150 : 스컴유도판 160 : 수위조절판
170 : 고무실링재

Claims (4)

  1. 일측에 폐수유입부(101)가 구비된 전방처리조(110a)와, 처리수배출조(102)가 구비된 후방처리조(110b)의 다중 구조로 이루어진 폐수처리본체(100);
    전/후방처리조(110a)(110b)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하측 테두리에 다수의 체결공이 있는 장착플랜지(112)가 구비된 호퍼장착부(111);
    상기 장착플랜지(112)와 체결공이 대응된 체결플랜지(121)가 상측 테두리에 구비되어 전/후방처리조(110a)(110b)의 호퍼장착부(111)에 탈,부착되며, 침전조용에 비해 작은 용량으로 만들어지는 부상조용 호퍼(120a)(120b);
    상기 장착플랜지(112)와 체결공이 대응된 체결플랜지(131)가 상측 테두리에 구비되어 전/후방처리조(110a)(110b)의 호퍼장착부(111)에 탈,부착되며, 부상조용 호퍼(120a)(120b) 보다 큰 용량으로 만들어지는 침전조용 호퍼(130a)(130b);로 구성하여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 시 호퍼를 용도에 맞는 것으로 조립 사용토록 하고,
    후방처리조(110b) 후미에는 처리조와 격리되는 슬러지받이부(210)를 구획격벽(140)으로 형성하되
    구획격벽(140) 전면에는 수평으로 구비된 다수의 가이드봉(141)에 길다란 안내공(161)이 끼워져서 상하로 승,하강되는 수위조절판(160)을 구비하고,
    구획격벽(140) 상측에는 곡선의 스컴유도판(150)을 탈,부착식으로 장착하되
    구획격벽(140) 상부와 스컴유도판(150) 하부에는 체결홀(143)(153)이 구비된 결착부(142)(152)를 서로 대향으로 절곡 형성하여 체결부재(180)로 조립되게 하고, 결착부(142)(152) 사이에는 고무실링재(170)를 구비하여
    스컴유도판(150)의 진동 소음 발생이 저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28308A 2019-10-16 2019-10-16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 KR102117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308A KR102117906B1 (ko) 2019-10-16 2019-10-16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308A KR102117906B1 (ko) 2019-10-16 2019-10-16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906B1 true KR102117906B1 (ko) 2020-06-03

Family

ID=7108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308A KR102117906B1 (ko) 2019-10-16 2019-10-16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9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195A (ko) * 2004-12-10 2006-06-14 김용식 이동식 모래·자갈 세척 수처리 설비공정 시스템
JP2011083697A (ja) * 2009-10-15 2011-04-28 Toshiba Corp 固液分離装置
KR101334950B1 (ko) * 2013-08-29 2013-11-29 케이팩코리아주식회사 가압부상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KR101676335B1 (ko) 2016-06-02 2016-11-15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와 침전조의 방식 전환 및 용량 변경이 가능한 다중구조의 수직유도판형 폐수 처리장치
KR101898218B1 (ko) 2017-12-26 2018-09-12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195A (ko) * 2004-12-10 2006-06-14 김용식 이동식 모래·자갈 세척 수처리 설비공정 시스템
JP2011083697A (ja) * 2009-10-15 2011-04-28 Toshiba Corp 固液分離装置
KR101334950B1 (ko) * 2013-08-29 2013-11-29 케이팩코리아주식회사 가압부상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KR101676335B1 (ko) 2016-06-02 2016-11-15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와 침전조의 방식 전환 및 용량 변경이 가능한 다중구조의 수직유도판형 폐수 처리장치
KR101898218B1 (ko) 2017-12-26 2018-09-12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3195A (en) Phase separator module
US7824549B2 (en) High efficiency grit removal system
US7462287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reating effluents
KR101373302B1 (ko) 고액분리장치
US98555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tical lift decanter system in a water treatment system
KR100789996B1 (ko)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KR102013599B1 (ko)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IE49431B1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KR102117906B1 (ko)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
KR102042478B1 (ko)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WO2002060554A1 (fr) Systeme de filtrage sous-marin de type aeration
KR102173185B1 (ko) 경사판 침전장치
AU678020B2 (en) A clarifier for the separation of solids in waste water
KR102117901B1 (ko)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 운전을 위한 폐수처리장치의 스컴유도판과 수위조절판의 전환구조
KR102256379B1 (ko) 부상조의 스키머 장치용 스크레퍼 구조
KR101880093B1 (ko) 폐수처리용 조립식 경사판
KR100869312B1 (ko) 오수 부상분리처리조
KR102354522B1 (ko)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JP5146939B2 (ja) 穴あきプレートを備える浮選装置
KR101989834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1889517B1 (ko) 부상조와 침전조 전환이 용이한 폐수 처리장치
KR102318251B1 (ko) 축산폐수 처리시설의 침전여과장치
US12006234B2 (en) Passive gravity filter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20379240A1 (en) Passive Gravity Filter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6149827A (en) Device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 particle containing liquid and a method for cleaning such 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