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996B1 -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996B1
KR100789996B1 KR1020070023956A KR20070023956A KR100789996B1 KR 100789996 B1 KR100789996 B1 KR 100789996B1 KR 1020070023956 A KR1020070023956 A KR 1020070023956A KR 20070023956 A KR20070023956 A KR 20070023956A KR 100789996 B1 KR100789996 B1 KR 100789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water
treatment apparatus
wastewater treat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142A (ko
Inventor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Priority to KR1020070023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99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폐수 인입구를 통해 폐수 처리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가 단순히 수평방향으로만 흐르게 되어 폐수속에 포함된 이물질의 부상 및 침전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면서 폐수 처리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폐수 처리장치의 제작 및 유지와 관리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며,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폐수 처리장치(100)의 내부에 폐수 인입구(110)의 전방에 위치하며 표면에 다수개의 구멍(210)이 형성된 수류분산패널(200)을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고, 폐수 처리장치(100)의 폐수 인입구(110)과 대항된 반대쪽에는 조절봉(31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부재(300)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부재(300)에 대향된 한쪽에는 고정부재(320)를 설치하여 상기 이동부재(300)와 고정부재(320)의 끝단이 이루는 유입구(330)의 크기가 상기 이동부재(300)의 상하이동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폐수 처리장치(100)의 내부에 유입되는 폐수가 수류분산패널(200)의 구멍(2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류의 흐름이 상하좌우방향으로 분산됨에 따라 수류의 흐름이 효과적으로 분산되면서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부상 및 침전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폐수 처리장치(100)에 설치된 이동부재(300)의 조정에 의한 유입구(330) 크기변화를 통해 수류압을 보다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어 폐수 처리장치의 성능 향상은 물론 제작 및 유지와 관리에 따른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폐수, 처리조, 정화, 수류, 슬러지, 부상, 침전, 수류압, 수류분산패널

Description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Waste water treatment systems by using a flotation and sedimentation and oil-water separator system}
도 1 은 종래 폐수 처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 는 종래 폐수 처리장치를 도시한 다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를 예시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를 예시한 다른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라 폐수 처리장치에 적용된 경사판 침전조를 예시한사시도.
도 7a 와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류분산패널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폐수 처리장치 110 : 폐수 인입구
200 : 수류분산패널 210 : 구멍
300 : 이동부재 310 : 조절봉
320 : 고정부재 330 : 유입구
본 발명은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폐수 처리장치에서 이동되는 수류가 좌우상하로 분산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수류의 흐름이 효과적으로 분산 조절되어 처리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처리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제작성의 향상은 물론 설치 및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에너지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는 각 가정 및 공공건물, 영업건물 등에서 배출되는 가정폐수와 공장에서 배출되는 공장폐수로 구별되며, 공장폐수는 다시 광의의 산업폐수에 포함되고, 특히 수질오탁과 토양오염 등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폐수는 여러가지 방법 및 장치를 통해 정화되고 있는데, 도 1 은 폐수를 정화해주는 처리장치중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 등을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부상조는 폐수처리장치, 하수처리장치 등 수처리기기로서 오,폐수중 물보다 가벼운 물질을 처리조의 상부로 부상시켜 제거하는 고/액 분리장치이며, 상기 침전조는 폐수처리장치, 하수처리장치 등 수처리기기로서 오,폐수중 물보다 무거운 물질을 처리조의 하부로 침전시켜 제거하 는 고/액 분리장치이고, 상기 유수분리기는 폐수처리장치, 하수처리장치 등 수처리기기로서 오,폐수중 기름, 오일 등 물보다 가벼운 물질(자연스럽게 부상)의 자체 부상력을 이용하여 물과 분리시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 처리장치(10)의 한쪽에는 폐수 인입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의 상측에는 부상 슬러지 수집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의 하측에는 이송 스쿠류(14)에 의해 침전 슬러지가 배출되는 침전 슬러지 출구(13)가 형성되어 있고, 폐수 처리장치(10)의 반대쪽에는 배출수 밸브(15)가 구비된 배출수 출구(16)및 슬러지 출구(17)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폐수 인입구(11)로 유입된 폐수는 폐수 처리장치(10)의 중앙을 거쳐 반대쪽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폐수속의 슬러지중 일부는 부상되고, 일부는 침전되면서 정화된 배출수가 배출수 출구(16)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폐수 처리장치(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폐수 인입구(11)를 통해 폐수 처리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는 단순히 수평방향으로만 흐름에 따라 폐수속에 포함된 슬라지의 부상 및 침전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면서 폐수 처리장치의 처리성능이 양호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폐수 처리장치(10)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서 설비에 따른 제작비용 및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수 처리장치의 내부를 이동하는 폐수가 수평으로만 단순히 흐르지 않고, 좌우상하방향으로 분산되면서 흐를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수류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분산 및 제어하여 폐수 처리장치의 처리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폐수 처리장치의 크기를 작게 구성할 수 있어 폐수 처리장치의 제작 및 유지와 관리에 따른 비용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류분산 및 조절장치를 적용한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며,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폐수 처리장치의 내부에 폐수 인입구의 전방에 위치하며 표면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수류분산패널을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고, 폐수 처리장치의 폐수 인입구과 대항된 반대쪽에는 조절봉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부재에 대향된 한쪽에는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의 끝단이 이루는 유입구의 크기가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이동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폐수 처리장치의 내부에 유입되는 폐수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된 수류분산패널의 구멍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류의 흐름이 상하좌우방향으로 분산됨에 따라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부상력 및 침전력을 향상시켜 처리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폐수 처리장치에 설치된 이동부재 의 조정에 의한 유입구 크기변화를 통해 수류의 수압을 보다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 폐수 처리장치의 성능 향상은 물론 제작 및 유지와 관리에 따른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를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를 예시한 다른 구성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라 폐수 처리장치에 적용된 경사판 침전조를 예시한사시도이며, 도 7a 와 7b 는 본 발명에 따라 수류분산패널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며,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폐수 처리장치(100)의 내부에 폐수 인입구(110)의 전방에 위치하며 표면에 다수개의 구멍(210)이 형성된 수류분산패널(200)을 일정한 간격으로 단수 또는 복수개 설치하고, 폐수 처리장치(100)의 폐수 인입구(110)과 대항된 반대쪽에는 조절봉(31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부재(300)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부재(300)에 대향된 한쪽에는 고정부재(320)를 설치하여 상기 이동부재(300)와 고정부재(320)의 끝단이 이루는 유입구(330)의 크기가 상기 이동부재(300)의 상하이동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20)은 부상 슬러지 수집기이고, (130)은 침전 슬러지 출구이며, (140)은 이송스크류이고, (160)은 배출수 출구이며, (400)은 수류분산패널(200)의 전면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패널이고, (410)은 이동패널(400)을 상하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핸들이며, (420)은 이동패널(400)에 형성된 관통공이고, (500)은 경사판 침전조이며, (510)은 경사판 침전조(500)의 경사판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폐수 처리장치(100)의 내부로 폐수가 유입된 후 반대쪽으로 이동되면서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부상 및 침전되면서 정화되도록 함에 있어서, 부상 및 침전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폐수 처리장치(100)의 내부에 수류분산패널(200)을 설치한 것이다.
즉, 표면에 다수개의 구멍(210)이 형성된 수류분산패널(200)을 폐수 처리장치(10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를 설치하되, 폐수 인입구(110)를 통해 유입되어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폐수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폐수 인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폐수는 그 반대쪽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류분산패널(200)에 수직방향으로 부딪치게 되며, 이때 상기 수류분산패널(200)에는 다수개에 구멍(2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류분산패널(200)에 부딪친 폐수는 상기 구멍(210)을 관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나의 수류분산패널(200)을 관통한 폐수는 이어 그 후 방에 설치된 다른 수류분산패널(200)에 부딪친 후 그 수류분산패널(200)에 설치된 구멍(210)을 다시 통과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되면서 폐수는 단순히 수평방향으로 흐르지 못하고, 상하좌우방향으로 분산되면서 흐르게 되는 것이며, 이는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부상 및 침전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류분산패널(200)의 구멍(210)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 수류분산패널(200)의 구멍(210) 위치를 동일하게 형성하게 되면 각각의 수류분산패널(200)의 구멍이 서로 일치됨에 따라 수류분산패널(200)을 통과하는 수류의 흐름이 단순해질 수 있으므로 각 수류분산패널(200)에 형성되는 구멍(210)을 불규칙하게 형성하여 연이어 위치하는 수류분산패널(200)의 구멍(210)이 서로 일치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한 것이다.
아울러 폐수 처리장치(100)에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수류분산패널(200)이 설치될 경우 폐수 처리장치(100)를 이동하는 폐수의 속도의 변화에 따라 수류압이 불안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폐수 처리장치(100)의 폐수 인입구(110)와 대향된 내부 반대쪽에 조절봉(31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부재(300)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부재(300)와 대향된 반대쪽에는 고정부재(320)를 설치하여 상기 이동부재(300)의 끝단과 고정부재(320)의 끝단이 이루는 유입구(330)의 크기 조절을 통해 폐수의 수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폐수 처리장치를 통과하는 폐수의 속도를 판단 후 조절봉(310)을 조절하여 이동부재(300)를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이동시켜주면 상기 이동부재(300)의 끝단과 인접한 고정부재(320)의 끝단이 이루는 유입구(330)의 크기가 변화되므로 수류압을 보다 안정되게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a 와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류분산패널의 다른 실시 예로서, 폐수 처리장치를 통과하는 수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각 수류분산패널(200)의 한쪽면에 핸들(41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패널(400)을 설치하되, 상기 이동패널(400)에는 수류분산패널(200)의 표면에 형성된 구멍(210)과 상응하는 관통공(420)을 형성함에 따라 핸들(410)의 조절이 없을 때에는 수류분산패널(200)의 구멍(210)과 이동패널(400)의 관통공(420)이 서로 일치하게 되고 핸들(410)의 조절을 통해 이동패널(400)을 올려주거나 내려주게 되면 수류분산패널(200)의 구멍(210)과 이동패널(400)의 구멍이 불일치되면서 수류분산패널(200)의 구멍 크기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패널(400)의 높낮이를 통해 수류분산패널(200)의 구멍을 관통하는 폐수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 한 것이다.
그리고 도 5 와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수처리 시설에서 단면이 웨이브형태로 구성된 경사판 기술을 응용하여 그 처리효율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경사판(510)이 설치되어 있는 경사판 침전조(500)를 수류분산패널(200)의 사이 사이에 설치하게 되면 수류분산패널(200)의 구멍(210)을 통과한 폐수가 다시 경사판 침전조(500)를 통과하게 되면서 수류의 분산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수 처리장치의 내부에 유입되는 폐수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된 수류분산패널의 구멍을 통과하도록 하여 수류의 흐름을 상하좌우방향으로 분산시킴에 따라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부상력 및 침전력을 향상시켜 처리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폐수 처리장치에 설치된 이동부재의 조정에 의한 유입구 크기변화를 통해 수류압을 보다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 폐수 처리장치의 성능 향상은 물론 제작 및 유지와 관리에 따른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며,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내부 폐수 인입구(110)의 전방에 수류분산패널(200)을 설치한 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수류분산패널(200)의 표면에 다수개의 구멍(210)을 형성하고 그러한 수류분산패널(200)을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처리장치(100)의 내부에는,
    폐수 인입구(110)와 대향된 반대쪽에는 조절봉(31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부재(300)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부재(300)에 대향된 한쪽에는 고정부재(320)를 설치하여 상기 이동부재(300)와 고정부재(320)의 끝단이 이루는 유입구(330)의 크기가 상기 이동부재(300)의 상하이동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분산패널(200)에는,
    그 한쪽면에 핸들(41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표면에는 수류분산패널(200)의 표면에 형성된 구멍(210)과 상응하여 일치하는 관통공(420)이 형성된 이동패널(400)을 설치하여 핸들(410)의 조절에 의해 이동패널(400)이 승하강되면서 수류분산패널(200)의 구멍(210)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분산패널(200)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경사판(510)이 구비된 경사판 침전조(50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KR1020070023956A 2007-03-12 2007-03-12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KR100789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956A KR100789996B1 (ko) 2007-03-12 2007-03-12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956A KR100789996B1 (ko) 2007-03-12 2007-03-12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142A KR20070048142A (ko) 2007-05-08
KR100789996B1 true KR100789996B1 (ko) 2008-01-02

Family

ID=3827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956A KR100789996B1 (ko) 2007-03-12 2007-03-12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9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619B1 (ko) * 2010-12-17 2013-01-04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폐수처리장치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형 침전조
KR101218623B1 (ko) * 2010-12-17 2013-01-04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폐수처리장치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수직유도판형 가압부상조
KR101676335B1 (ko) 2016-06-02 2016-11-15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와 침전조의 방식 전환 및 용량 변경이 가능한 다중구조의 수직유도판형 폐수 처리장치
KR102141076B1 (ko) * 2020-04-08 2020-08-04 주식회사 에취켓 무빙스크린을 이용한 종합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196B1 (ko) * 2007-06-08 2008-01-23 케이팩코리아주식회사 오폐수처리를 위한 경사판식 침전조
KR101440103B1 (ko) * 2012-10-26 2014-09-15 케이팩코리아주식회사 침전 겸용 유입수 분배관을 갖는 오폐수 경사판 침전 장치
KR101371321B1 (ko) * 2013-08-29 2014-04-17 케이팩코리아주식회사 오폐수 처리용 침전장치
KR101455180B1 (ko) * 2014-02-04 2014-10-27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수류 분산형 가압부상조
KR101880093B1 (ko) 2017-11-06 2018-07-19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폐수처리용 조립식 경사판
KR101898218B1 (ko) 2017-12-26 2018-09-12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2049073B1 (ko) 2019-03-26 2019-11-27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고효율 유수분리기와 가압부상조를 포함하는 폐수처리 장치
KR102042478B1 (ko) 2019-03-26 2019-11-08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KR102208611B1 (ko) * 2019-04-01 2021-01-28 그린로드(주) 목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타공판 스크린챔버
KR102157987B1 (ko) * 2020-04-20 2020-09-18 경기도 부천시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수로 분리형 제진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1Y1 (ko) 2005-08-24 2005-11-08 정호경 유량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1Y1 (ko) 2005-08-24 2005-11-08 정호경 유량 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619B1 (ko) * 2010-12-17 2013-01-04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폐수처리장치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형 침전조
KR101218623B1 (ko) * 2010-12-17 2013-01-04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폐수처리장치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수직유도판형 가압부상조
KR101676335B1 (ko) 2016-06-02 2016-11-15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부상조와 침전조의 방식 전환 및 용량 변경이 가능한 다중구조의 수직유도판형 폐수 처리장치
KR102141076B1 (ko) * 2020-04-08 2020-08-04 주식회사 에취켓 무빙스크린을 이용한 종합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142A (ko) 200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996B1 (ko) 부상조와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KR101218623B1 (ko) 폐수처리장치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수직유도판형 가압부상조
KR101169697B1 (ko)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KR101676335B1 (ko) 부상조와 침전조의 방식 전환 및 용량 변경이 가능한 다중구조의 수직유도판형 폐수 처리장치
CN201848131U (zh) 一种应用于污水处理中的折板式多级排泥沉淀池
KR100752787B1 (ko) 초기우수 처리시설
CN102139946A (zh) 溢流污水一级强化处理装置
KR101440103B1 (ko) 침전 겸용 유입수 분배관을 갖는 오폐수 경사판 침전 장치
KR101247585B1 (ko) 경사판형 침전장치의 슬러지 자동배출장치
KR101898218B1 (ko) 부상조와 침전조의 상호 교차 및 혼용 운전 가능한 다중 구조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US5516433A (en)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method for purifying water
KR102042478B1 (ko) 침전조와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KR101218619B1 (ko) 폐수처리장치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형 침전조
US8182700B2 (en) Method and exhaust arrangement in the removal of surface scum
KR100904214B1 (ko)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
KR101052727B1 (ko) 침강성 향상을 위한 침전지 베플
KR20060029765A (ko) 정수처리용 상향류식 일체형 응집·침전장치
KR100957695B1 (ko) 하수처리조의 플록 및 이끼 저감 배출장치
KR102117901B1 (ko) 부상조 및 침전조 혼용 운전을 위한 폐수처리장치의 스컴유도판과 수위조절판의 전환구조
CN203033816U (zh) 污水处理中使用的出水拦截装置及反应池
KR200371161Y1 (ko) 정수처리용 상향류식 일체형 응집·침전장치
KR101880093B1 (ko) 폐수처리용 조립식 경사판
KR101434981B1 (ko) 저에너지형 고속고액분리장치
CN210495338U (zh) 一种污水处理池
KR100684964B1 (ko) 하수처리용 침전지의 정류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