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473B1 -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473B1
KR101866473B1 KR1020180010151A KR20180010151A KR101866473B1 KR 101866473 B1 KR101866473 B1 KR 101866473B1 KR 1020180010151 A KR1020180010151 A KR 1020180010151A KR 20180010151 A KR20180010151 A KR 20180010151A KR 101866473 B1 KR101866473 B1 KR 101866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late
swash plate
hollow fiber
fiber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이기용
한정윤
김지용
최승찬
안현빈
Original Assignee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는 일측에 음식물탈리액이 유입되는 유입라인이 형성되며 타측의 하단부에 처리액이 배출되는 배출라인이 형성되고 타측의 상단부에 유분이 배출되는 유분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서 상기 유분배출라인에 연통하며 상부가 개구된 유분챔버; 상기 유분챔버로 유분이 유입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키머; 상기 저장탱크의 하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유입라인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경사판; 상기 경사판과 상기 저장탱크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가온공간으로 상기 유입라인을 통해 유입된 음식물탈리액을 가온시키는 가온수단; 상기 경사판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회전축에 의해 회전연동을 하는 회전판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상단에는 분리된 유분이 부상하면서 침적되도록 돌출되는 침적판이 형성되며 상기 침적판의 내부에는 가압센서가 구성되어 상기 침적판에 침적된 유분에 의한 가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회전판이 회전에 의해 상기 경사판 상단에 접하여 와류를 형성시키거나 경사판과 이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조절부; 상기 배출라인에 연통하면서 처리액을 여과하여 배출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Equipment for separating oil from wastewater}
본 발명은 경사판의 구조, 열, 조절부에 의해 음식물탈리액(음폐수)로부터 유분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분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탈리액은 잔여 음식폐기물의 자원화 공정에서 배출되는 고농도의 유기성 폐액을 말한다. 음식물 탈리액은 수분함유율이 높고 쉽게 부패되는 유기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고형물 함량이 높은 음폐수이다. 이러한 음식물 탈리액은 직매립이 금지되어 있으며, 음식물쓰레기의 직매립도 자치단체에서 금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음식물 탈리액은 함수율 92% 이하에서 해양투기 되거나 하수처리장에 반입하여 처리하고 있는 바, 해양투기는 런던협약에 의해 2013년부터 전면금지 될 것으로 예상되고, 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하는 경우 고농도에 의해 처리시설에 악영향을 미치며 악취로 인한 민원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근래에는 음식물 탈리액를 투기하거나 하수처리장으로 반입하지 않고 혐기성 소화공정을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등으로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기 전에 유기물 함량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탈리액을 처리하는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39070호에서는 유기성 폐수를 메탄발효시설용 산발효액과 하폐수 고도처리용 탄소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산발효액 제조방법에 있어서, 음식물폐수나 음식물탈리액(이하 '음폐수'라 함), 분뇨 및 가축분뇨, 슬러지 소화액 및 탈리액 등 유기성 폐수에 다량 함유된 고형물와 유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응집혼화조로 유입된 유기성 폐수에 응집제를 주입하여 플록을 형성시킨 후, 이 플록이 형성된 유기성 폐수를 상압부상조로 유입시키는 동시에 미세기포 발생장치에서 생성되는 이온화된 이중막의 미세기포를 주입하여 플록과 미세기포가 접촉되도록 하여 미세기포의 부력에 의해 고형물과 유분을 부상시키고 상부로 부상된 플록을 스크레이퍼로 제거하는 상압부상 분리공정을 포함한 유기성 폐수의 산발효액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경우 미세기포를 이용한 상압부상조에 의해 유분을 제거하고자 하나 유분이 기타 유기물 등과 점성이 강하게 혼합되어 있어 미세기포에 의한 부상만으로는 충분히 유분을 제거할 수 없으며, 이렇게 유분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은 폐액을 혐기성소화 시키더라도 바이오가스가 충분히 생성될 수 없고 기기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390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분제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분분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는 일측에 음식물탈리액이 유입되는 유입라인이 형성되며 타측의 하단부에 처리액이 배출되는 배출라인이 형성되고 타측의 상단부에 유분이 배출되는 유분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서 상기 유분배출라인에 연통하며 상부가 개구된 유분챔버; 상기 유분챔버로 유분이 유입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키머; 상기 저장탱크의 하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유입라인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경사판; 상기 경사판과 상기 저장탱크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가온공간으로 상기 유입라인을 통해 유입된 음식물탈리액을 가온시키는 가온수단; 상기 경사판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회전축에 의해 회전연동을 하는 회전판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상단에는 분리된 유분이 부상하면서 침적되도록 돌출되는 침적판이 형성되며 상기 침적판의 내부에는 가압센서가 구성되어 상기 침적판에 침적된 유분에 의한 가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회전판이 회전에 의해 상기 경사판 상단에 접하여 와류를 형성시키거나 경사판과 이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조절부; 상기 배출라인에 연통하면서 처리액을 여과하여 배출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온수단은, 상기 경사판에 형성되는 열선일 수 있으며, 상기 가온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는 열교환파이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판은,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판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가온공간에 접하는 면에 복수의 유도판이 돌출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유도판은 산과 골이 교번으로 형성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판의 산에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도록 함이 타당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경사판은,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판형상의 복수의 몸체부가 연결대에 의해 연결되며, 각각의 몸체부는 높이가 달라 인접하는 몸체부 간에는 하방향으로 유입유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단이 차단된 관 내면에 나선형 가이드가 형성되면서 상부에 나선형 가이드를 따라 타공이 관통 형성된 원수유입관;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사막들로 형성된 복수의 중공사막 단위체가 한 쌍의 상/하부 결합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원수유입관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중공사막 어셈블리; 상기 중공사막 어셈블리가 수용되면서 상/하단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세척에 의한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농축수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측에는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배출구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원수유입관으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유입구가 각각 형성된 상/하부 헤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일단이 상기 하부 헤더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중공사막 어셈블리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진동바가 하나 이상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원수유입관은, 나선형 가이드가 형성되면서 상부에 나선형 가이드를 따라 타공이 관통 형성 된 하부관; 상기 하부관과 개폐밸브에 의해 연통하며 상면의 테두리부분에 복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상부관; 상기 상부관의 중앙부에서 돌출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서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토출공과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회전날개와 복수의 회전날개 끝단을 연결하는 테두리링으로 형성된 회전구동부; 상기 회전구동부에 돌출되며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진동바를 타격하도록 하는 복수의 타격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복수의 압력센서로 이루어진 압력센서모듈이 구성되어 압력센서 간의 압력차에 의해 중공사막 단위체의 폐색 또는 파손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압력센서모듈에서 압력값이 최고인 압력센서의 센싱값이 파손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가 원수유입관으로 원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수처리공정을 중지토록 하고, 상기 압력센서모듈에서 압력값이 최저인 압력센서의 센싱값이 폐색기준값 미만인 경우 농축수 배출구만을 열어 세척공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는 경사판의 구조, 열, 회전판의 구조에 의해 음식물탈리액(음폐수)로부터 유분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는 유분의 분리된 처리수를 한번 더 여과하여 배출토록 함으로써 후공정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에 있어 가온수단에 따른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에 있어 가온수단에 따른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예에 있어 경사판에 열선의 설치구조에 따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에 있어 그 일 구성인 경사판의 구조에 따른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에 있어 그 일 구성인 경사판의 구조에 따른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예에 있어 공기용존장치가 더 부가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8은 필터부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절개단면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기본 예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0은 필터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절개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부분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12는 필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절개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탱크(110), 유분챔버(120), 스키머, 경사판(140), 가온수단(150), 조절부(180), 필터부(190)을 포함하도록 하여 음폐수(음식물탈리액)으로부터 경사판(140), 가온수단(150) 및 조절부(180)에 의해 유분을 제거한 처리수를 배출토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저장탱크(110)는 일측에 음식물탈리액이 유입되는 유입라인(111)이 형성되며 타측의 하단부에 처리액이 배출되는 배출라인(112)이 형성되고 타측의 상단부에 유분이 배출되는 유분배출라인(113)이 형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저장탱크(110)는 그 재질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유분챔버(120)는 상기 저장탱크(110) 내부에서 상기 유분배출라인(113)에 연통하며 상부가 개구된 구성으로 상기 유분챔버(120)는 상기 스키머에 의해 수면으로 부유된 유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상기 유분배출라인(113)을 통해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스키머는 상기 저장탱크(110)의 상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공지기술에 해당하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유분분리장치(100)는 경사판(140) 및 가온수단(150)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유입라인(111)을 통해 저장탱크(110)로 유입된 음폐수가 상기 경사판(140)을 타고 상향류를 형성하면서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여 음폐수에 혼합된 유분이 타 유기물 등과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비중이 작은 유분이 부유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경사판(140)이 경사구배를 형성하도록 하는 이유는 음폐수와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분리된 유분간의 뭉침을 유도하여 유분제거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에 더하여 상기 가온수단(150)에 의해 유입된 음폐수를 가온시킴으로써 음폐수의 점성을 저하시켜 유분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경사판(140)의 기본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경사판(140)은 판형상으로 저장탱크(110)의 하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유입라인(111)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저장탱크(110)의 측면과 상기 경사판(140)에 의해 가온공간(16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경사판(140)의 재질은 상기 가온수단(150)의 발열에 의해 열이 잘 전도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온수단(150)은 도 1 및 도 2에서 2가지 실시 예를 제시한다.
첫 번째가 상기 경사판(140)에 형성되는 열선(150a)으로서 도 1에서는 상기 열선(150a)이 상기 경사판(140)의 전면 즉 가온공간(160)에 접하는 면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경사판(140)에 매설되는 구조도 상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경사판(140)에 열선(150a)이 구성되도록 함에 따라 유입된 음폐수는 상기 경사판(140)과의 충돌에 의해 유분이 분리되며 상향류의 형성에 의해 경사판(140)과 접하면서 유분간 뭉침을 유도하는데, 상기 경사판(140)과 접하는 음폐수를 직접 가열토록 함으로써 유분의 분리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서는 상기 열선(150a)이 상기 경사판(140)의 전면에 형성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열선(150a)은 상기 경사판(140)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복수의 단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단은 연결되되, 특히 각각의 단에는 산(150a-2)과 골(150a-1)이 교번되도록 구성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3은 각각의 단이 물결형상으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렇게 상기 열선(150a)이 상기 경사판(140)의 전면에 복수의 단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되 각각의 단에 산(150a-2)과 골(150a-1)이 교번되도록 구성되는 이유는 상기 경사판(140)에 충돌 및 접하는 음폐수가 상기 열선(150a)에 의해 가온됨은 물론 상기 열선(150a)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여 유분분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열선(150a)에 접하는 음폐수에 있어 비중이 작은 유분이 각각의 산(150a-2) 부분으로 모이면서 상호 뭉침이 발생되도록 하여 뭉쳐진 유분을 부유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당연히 상기 열선(150a)에 의해 발열되는 열에 의해 음폐수의 점성을 낮춰 유분의 분리효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한편 가온수단(150)의 두 번째 실시 예가 도 2에 도시되고 있는 바, 상기 가온공간(16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열교환파이프(150b)로서 상기 열교환파이프(150b)에 열교환매체를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가온공간(160)으로 유입된 음폐수가 하부에서부터 가온이 되어 점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상기 열선(150a) 및 상기 열교환파이프(150b)는 저장탱크(110) 외부의 발열수단(400)과 연결되어 열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서 경사판(140)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가온수단(150)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열선(150a)이 경사판(140)에 내재되도록 하거나 상기 가온공간(160)에 열교환파이프(150b)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경사판(140a)은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판형상의 몸체부(141)와, 상기 몸체부(141)에서 상기 가온공간(160)에 접하는 면에 복수의 유도판(142)이 돌출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유도판(142)은 산(142-2)과 골(142-1)이 교번으로 형성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가온공간(160)으로 유입된 음폐수가 상기 경사판(140a)에서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와류형성 등에 의해 유분이 분리 및 뭉침이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유도판(142)의 형상에 기해 분리된 비중이 작은 유분이 상기 산(142-2)부분으로 유도되면서 뭉침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판(142)의 산(142-2)에는 배출유로(142-3)가 형성되도록 하여 뭉쳐진 유분이 상부로 배출되면서 부유되거나 상부에 위치하는 유도판(142)에서 동일한 작용에 의해 더 큰 형태로 유분이 뭉쳐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5에서는 다른 예가 제시되는 바, 도 5에 도시된 경사판(140b)은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판형상의 복수의 몸체부(141)가 연결대(143)에 의해 평행하게 연결되며, 각각의 몸체부(141)는 높이가 달라 인접하는 몸체부 간에는 하방향으로 유입유로(144)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높이가 다른 복수의 몸체부(141)를 높이가 가장 큰 몸체부(141)를 가장 외측으로 구성하고 차례로 높이가 다른 몸체부(141)를 연결대(143)를 이용하여 평행하게 구성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몸체부(141) 간의 하부에 유입유로(144)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는 이유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온공간(160)으로 유입된 음폐수가 유입유로(144)를 통해 유입됨에 의해 하부에 위치하는 몸체부(141)를 타고 유동하거나 하부에 위치하는 몸체부(141)에 충돌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부(141')를 타고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음폐수와 접촉면적을 최대한 크게 하여 유분의 분리 및 뭉침을 유도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하부에 위치하는 몸체부(141)를 타고 유동하는 음폐수로부터 분리된 유분은 비중에 의해 부유하게 되고 이렇게 부유된 유분은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부(141')를 타고 유동하면서 상호간 뭉침이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유분분리장치(100)의 다른 예가 도시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유입라인(111)에 공기용존장치(170)가 밸브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음폐수가 상기 공기용존장치(170)를 통과하면서 음폐수에 공기가 용해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렇게 구성하는 이유는 공기의 용해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는 것은 물론 공기가 용해된 음폐수가 상기 가온공간(160)으로 유입되면 압력이 작아지면서 가온수단(150)에 의해 온도가 높아지게 되어 용해되어 있는 공기가 기화되어 버블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버블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산기장치 등에 의해 하부에서 버블이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 비균일한 버블형성으로 전체 가온공간(160)에서 유분을 부유시키는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바, 본 발명과 같이 일단 음폐수에 공기를 용해시키고 이를 온도 및 압력에 의해 공기를 기화시킴으로써 전체 가온공간(160)에서 버블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렇게 전체에서 균일하게 버블이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버블형성에 의해 유기물 등과 혼합되어 있던 유분이 충돌 등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며, 전체에 걸쳐 분리된 유분이 버블에 붙어 부유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용존장치(17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도 6에서는 상기 유입라인(111)에 공기용해라인(173)이 밸브에 의해 열결되며 상기 공기용해라인(173)에는 공기용해조(171)가 구성되고 상기 공기용해조(171)에는 공기공급장치(172)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공기용해조(171)로 유입된 음폐수에 상기 공기공급장치(172)에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공기용해조(171)의 내부에 복수의 격벽 등을 설치하여 주입된 공기가 공기용해조(171)에서 음폐수에 용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부(180)는 상기 경사판(140)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회전축(181)에 의해 회전연동을 하는 회전판(182, 184)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182, 184)의 상단에는 분리된 유분이 부상하면서 침적되도록 돌출되는 침적판(183)이 형성되며 상기 침적판(183)의 내부에는 가압센서(185)가 구성되어 상기 침적판(183)에 침적된 유분에 의한 가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회전판(182, 184)이 회전에 의해 상기 경사판(140) 상단에 접하여 와류를 형성시키거나 경사판(140)과 이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181)은 상기 경사판(140)과 이격을 형성하면서 상기 경사판(140)과 평행하게 상기 저장탱크(110)에 구성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모터 등 구동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판(182, 184)은 상판(182)과 하판(184)이 회전축(181)에 의해 회전연동을 하는 구성으로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온공간(160)에서 상기에서 언급한 작동기작에 의해 충분히 유분이 분리된 상태이면 상기 회전판(182, 184)이 상기 경사판(140)과 이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로가 형성됨에 의해 유분이 분리된 음폐수(w)가 상기 경사판(140)을 타고 상기 회전판(182, 184)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하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온공간(160)에서 상기에서 언급한 작동기작에 의해 충분히 유분이 분리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회전판(182, 184)은 회전연동에 의해 상기 경사판(140) 상단에 접하도록 한다. 이렇게 됨으로써 가온공간(160)에서 상기 경사판(140)을 타고 상향하는 음폐수(w)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판(182)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어 가온공간(160)에서 체류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기작에 의해 가온공간(160)에서 음폐수의 체류시간을 길게 가져가도록 하여 유분이 충분히 음폐수로부터 분리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침적판(183)은 회전판(182, 184)의 상단 즉 상판(182)의 상단에 돌출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음폐수로부터 분리된 비중이 작은 유분은 부상을 하면서 상기 침적판(183) 하부에 침적이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침적판(183)의 내부에는 가압센서(185)가 구성되어 상기 침적판(183)에 침적된 유분에 의한 가압의 크기를 센싱하도록 하는데 센싱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즉 충분히 음폐수로부터 유분이 분리되어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분이 충분히 상기 침적판(183)에 침적되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센싱값이 도출되는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140)과 상기 회전판(182, 184) 간에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센싱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하인 경우 즉 충분히 음폐수로부터 유분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로서 유분이 충분히 상기 침적판(183)에 침적되지 않아 기 설정된 압력을 이하의 센싱값이 도출되는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140) 상단과 상기 회전판(182, 184)이 접하도록 상기 회전판(182, 184)이 회전하여 경사판(140)을 타고 상향하는 음폐수가 다시 가온공간(160)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판(184) 하부에는 무게추(186)가 구성되도록 하여 도 7b에서 도 7a 상태로 회전판(182, 184)의 회전시 모터의 구동이 아닌 무게추(186)의 작용에 의해 동력원 없이 회전연동이 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180)는 가온공간(160)에서 음폐수로부터 유분의 분리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수류의 방향을 조절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필터부(19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이 차단된 관 내면에 나선형 가이드(42)가 형성되면서 그 상부에 나선형 가이드(42)를 따라 타공(44)이 관통 형성된 원수유입관(4); 일정길이의 중공사막들로 형성된 복수의 중공사막 단위체(2)가 한 쌍의 상/하부 결합재(32a,b)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원수유입관(4)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된 중공사막 어셈블리(3); 상기 중공사막 어셈블리(3)가 수용되면서 상/하단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세척에 의한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농축수 배출구(52)가 형성된 하우징(5); 상기 하우징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측에는 처리수를 배출기 위한 처리수배출구(62a)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원수유입관(4)으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유입구(62b)가 각각 형성된 상/하부 헤더(6a,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상기 중공사막 단위체(2)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일단이 개구된 상/하부 캡 내부에 접착수지를 채운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중공사막을 상기 상/하부 캡 내부에 결합하여 경화시킴으로서 중공사막 단위체(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중공사막 단위체(2)는 외경이 0.5~8mm 이내로서 수~수십 개의 중공사막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중공사막의 외경이 0.5mm 이하이면 밀도가 증가됨으로서 이후 설명되는 원수유입관(4) 타공(44)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의 와류현상이 방해되기 때문에 농도분극화현상으로 인한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며, 반대로 중공사막의 외경이 8mm 이상이면 밀도가 저하됨으로서 원수에 대한 수처리 양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중공사막 단위체(2)를 구성하는 중공사막은 5~30 개 정도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중공사막 단위체(2)를 구성하는 중공사막이 5개 이하일 경우에는 이를 중공사막 어셈블리(3)로 재구성시 밀도가 증가됨으로써 원수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농도분극화현상으로 인한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며, 반대로 30개 이상일 경우에는 이를 중공사막 어셈블리(3)로 재구성시 밀도가 저하됨으로써 수처리 양이 감소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중공사막 단위체(2)의 상/하단은 내부에 접착수지가 채워진 원통형 상/하부 캡이 결합되어 차단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상/하부 캡의 지름은 1.2~20mm정도가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하부 캡의 지름이 1.2mm 이하이면 중공사막 어셈블리(3)의 재구성시 밀도가 증가됨으로써 원수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농도분극화현상으로 인한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며, 반대로 20mm 이상이면 중공사막 어셈블리(3)의 재구성시 밀도가 저하됨으로써 수처리 양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중공사막 어셈블리(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사막 단위체(2)를 상/하부 결합재(32a, 32b) 위에 안착되는 상태로 다수 개 배열한 후에 상/하부 결합재(32a, 32b) 위에 접착수지를 도포하여 접착 고정한 후에 상기 원수유입관(4)을 감싸도록 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중공사막 어셈블리(3)는 상기 원수유입관(4)을 감싸는 형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중공사막 어셈블리(3)의 일측 끝으로부터 말아서 중공사막 어셈블리(3)의 중심에 원수유입관(4)이 결합됨과 동시에 인접한 중공사막 단위체(2)들이 상호 접하도록 한다. 상기 원수유입관(4)은 상단이 차단된 파이프 내면에 나선형 가이드(42)가 형성되면서 그 상부에 나선형 가이드(42)를 따라 타공(44)이 일정높이 관통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원수유입관(4)으로 공급되는 원수는 상기 나선형 가이드(42)에 의해 속도가 증가되면서 상부의 타공(44)을 통해 뿌려지는 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그 주변에 와류현상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와류현상은 중공사막 어셈블리(3)를 구성하는 중공사막 단위체(2)를 두드리는 작용과 동시에 상기 중공사막 단위체(2)를 통한 원활한 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원수유입관(4)의 지름은 15-30mm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원수유입관(4)의 지름이 15mm 이하이면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이 상승하여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를 지지체로 하여 중공사막 어셈블리(3)를 말아 고정하는 과정에서도 여러 불편함이 발생된다.
반대로 원수유입관(4)의 지름이 30mm이상 이면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이 작기 때문에 원수의 와류현상이 약해질 뿐만 아니라, 이를 축으로 말아 고정하는 중공사막 어셈블리(3)의 상단과 하단에 대한 긴밀성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 원수유입관(4)의 타공(44)은 상측 1/3 내지 2/3 높이 사이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타공(44)의 높이가 상측 1/3 이상의 지점으로부터 형성되면 유입수의 분산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중공사막 어셈블리(3)의 중공사막 및 중공사막 단위체(2)에 대한 표면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 반대로 상측 2/3 이하로부터 형성되면 원수의 유입압력이 작기 때문에 와류현상의 저하가 발생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타공(44)이 원수유입관(4)의 상측 1/3 내지 2/3 부분에 형성됨으로써 원수의 높은 유입압력으로 원활한 와류현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나선형의 가이드(42)가 유입되는 원수의 속도를 가속화시키면서 타공(44)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뿌리듯 와류현상을 발생시켜 상기 중공사막 어셈블리(3)를 구성하는 중공사막 단위체(2)를 진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중공사막 단위체(2)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중공사막 단위체(2)를 통해 원활한 수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사막 모듈(원수유입관(4)과 중공사막 어셈블리(3))을 커버하기 위한 하우징(5) 및 상기 하우징(5)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하부 헤더(6a, 6b)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5)은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결합하여 커버하도록 상/하단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그 일측에는 원수로부터 발생된 오염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농축수 배출구(52)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5)은 중공사막 모듈의 외면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측 하단에는 세척시 중공사막 어셈블리(3)로부터 떨어져 나온 오염물질 및 농축된 유입수를 배출하기 위한 농축수 배출구(5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농축수 배출구(52)에는 밸브가 형성되어 이를 유입수의 압력손실이 최소화되는 범위로 항시 개방함으로서 중공사막 어셈블리(3)에 의해 걸러진 오염물질 및 농축된 유입수를 연속적으로 배출시켜 오염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원수유입관(4)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손실이 최소가 되도록 농축수 배출구(52)를 개방함으로써 원수유입관(4)으로 유입된 오염수가 각 중공사막 단위체(2)을 통해 수처리 됨과 동시에 걸러진 오염물질 등은 상기 농축수 배출구(52)을 통해 지속적인 배출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우징(5)의 상/하단 내주면에는 환형의 요입홈이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요입홈에는 하우징(5)의 상/하단 내주면과 중공사막 모듈의 상/하단 외주면 및 상/하부 헤더((6a, 6b)의 단부를 상호 밀착시키기 위한 오링(54:O-ring)이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중공사막 어셈블리(3)를 통한 처리수의 손실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5)의 상/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상/하부 헤더(6a, 6b)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 헤더(6a, 6b)는 깔때기 형상으로서 상기 하우징(5)의 상/하단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는바, 상부 헤더(6a)의 중앙에는 중공사막 모듈에 의해 정화된 처리수를 상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배출구(62a)가 형성되며, 하부 헤더(6b)의 중앙에는 중공사막 모듈의 원수유입관(4)으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유입구(62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처리수배출구(62a)와 원수유입구(62b)에는 각각 밸브가 형성됨으로써 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거나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원수유입구(62b)를 통해 원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원수를 이용한 수처리 시에는 처리수 배출구(62a)를 개방하여 수처리의 원활한 작용이 이루어지고, 상기 원수유입구(62b)를 통해 원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원수를 이용한 세척시에는 처리수배출구(62a)를 차단하고 농축수 배출구(52)을 개방하여 오염물질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진다.
먼저, 원수를 이용한 수처리의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농축수 배출구(52)가 조여지거나 차단되고 상기 처리수배출구(62a)가 개방된다. 이어, 하부 헤더(6b)의 원수유입구(62b)를 통해 원수가 공급되면서 중공사막 모듈의 원수유입관(4)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입되는 원수는 나선형 가이드(42)를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속도가 증가되어 타공(44)을 통해 빠른 속도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되는 원수는 중공사막 어셈블리(3)를 구성하는 중공사막 단위체(2)를 통해 정화되면서 개방된 상측으로 배출된 후에 상부 헤더(6a)의 처리수배출구(62a)를 통해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진다.
한편, 원수를 이용한 세척공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농축수 배출구(52)가 개방되고 상기 처리수배출구(62a)가 차단된다. 이어, 하부 헤더(6b)의 원수유입구(62b)를 통해 원수가 공급되면서 중공사막 모듈의 원수유입관(4)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입되는 원수는 나선형 가이드(42)를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속도가 증가되어 타공(44)을 통해 빠른 속도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빠르게 배출되는 원수는 기본적으로 중공사막 어셈블리(3)를 구성하는 중공사막 단위체(2)를 때리면서 진동을 발생시켜 그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떨어내면서 농축수 배출구(52)를 통해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타공(44)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는 수처리시에도 중공사막 어셈블리(3)를 구성하는 중공사막 단위체(2)를 타격함으로써 원천적으로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부착된 이물질에 대하여는 세척시 농축수 배출구(52)로 배출시킴으로써 보다 깨끗한 세척이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면 중공사막 어셈블리(3)를 구성하는 중공사막 단위체(2)(중공사막) 표면에 대한 오염물질의 부착을 방지함으로써 수처리의 효율 또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11에서는 필터부(190)의 일 실시예가 제시되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일단이 상기 하부 헤더(6b)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중공사막 어셈블리(3)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진동바(55)가 하나 이상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진동바(55)는 탄성재질로서 일단만이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처리공정 및 세척공정에서 와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진동바(55)에 진동이 인가되도록 하여 이렇게 인가된 진동에 의해 중공사막 어셈블리(3)를 구성하는 중공사막 단위체(2)에도 진동이 인가되어 표면에 침적된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 예의 원수유입관(4)은 나선형 형가이드(451)가 형성되면서 상부에 나선형 가이드(451)를 따라 타공(452)이 관통 형성 된 하부관(45); 상기 하부관(45)과 개폐밸브(b)에 의해 연통하며 상면의 테두리부분에 복수의 토출공(461)이 형성된 상부관(46); 상기 상부관(46)의 중앙부에서 돌출되는 회전축(47); 상기 회전축(47)의 상단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토출공(461)과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회전날개(481)와 복수의 회전날개(481) 끝단을 연결하는 테두리링(482)으로 형성된 회전구동부(48); 상기 회전구동부(48)에 돌출되며 상기 회전구동부(48)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진동바(45)를 타격하도록 하는 복수의 타격단(49);으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하부관(45)은 도 8에서 기 설명한 원수유입관(4)과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관(46)은 상기 하부관(45)과 개폐밸브(b)에 의해 연통하며 막힌구조의 상면 테두리부분에 복수의 토출공(461)이 형성됨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하부관(45)으로 유입된 원수가 상기 개폐밸브(b)가 열려 있는 경우(세척공정) 상기 상부관(46)으로 유입되어 상기 토출공(461)을 통해 상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b)가 닫혀 있는 경우(수처리공정)는 상기 하부관(45)을 통해서만 원수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구동부(48)는 상기 상부관(46)의 중앙부에서 돌출되는 회전축(47)의 상단에서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토출공(461)과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회전날개(481)와 복수의 회전날개(481) 끝단을 연결하는 테두리링(482)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토출공(461)을 통해 토출되는 원수가 복수의 회전날개(481)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부(48)에 회전력이 인가되는 것이다.
상기 타격단(49)은 상기 회전구동부(48)에 돌출되며 상기 회전구동부(48)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진동바(55)를 타격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세척공정에서 유입된 원수가 하부관(45)에 있어 나선형 가이드(451)를 따라 타공(452)을 통해 토출되어 토출되는 원수가 중공사막 단위체(2)를 타격토록 하여 세척공정이 이루어지는데 이에 더해서 상부관(46)을 통해 토출되는 원수에 의해 상기 회전구동부(48)와 일체로 회전 연동하는 타격단(49)이 상기 진동바(55)를 타격하도록 하여 중공사막 단위체(2)의 여과공정에서 침적된 이물질 등을 진동바(55)에 인가된 진동에너지를 부과함으로써 털어내어 세척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타격단(49)은 연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특히 세척공정에서 개폐밸브(b)를 열어 하부관(45)과 상부관(46)이 연통하도록 하여 하부관(45)을 통해 와류가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관(46)으로 세척수(원수)가 토출되도록 하여 회전구동부(48)에 회전력이 인가되도록 하고 이러한 회전력에 의해 타격단(49)이 상기 진동바(55)를 타격하여 진동바(55)에 진동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진동바(55)에 인가된 진동은 중공사막 어셈블리(3)에 전달되어 중공사막 어셈블리(3)의 중공사막 단위체(2)에 침적된 이물질의 탈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세척효율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필터부(190)의 다른 실시 예를 도 12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기본 예와 타 구성은 동일하되, 본 실시 예에서는 압력센서모듈(7)과 제어부(8)가 더 구성되도록 하는 점이 다르다.
상기 압력센서모듈(7)은 상기 하우징의(5) 측면에 복수의 압력센서(71,72,73,74)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 12에서는 압력센서 4개가 4방향으로 배치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는 바, 그 수는 선택적인 것이다.
이러한 압력센서모듈(7)은 수처리공정시 압력센서 간의 압력차에 의해 중공사막 단위체(2)의 폐색 또는 파손여부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압력센서(71)에서 감지되는 압력값이 타 압력센서들(72,73,74)에 비해 현저히 작거나 큰 경우 일 압력센서(71)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중공사막 어셈블리(3)의 중공사막 단위체(2)가 폐색되거나 파손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현저히 압력값이 차이난다고 판단하는 경우는 기 설정한 설정치를 기준으로 파악하게 되는 것으로 기 실험결과를 통해 중공사막 어셈블리(3)의 폐색 또는 파손에 대한 임계치(임계범위)를 도출하여 임계치(임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8)가 이를 자동으로 감지함으로써 파손의 경우 기기작동을 정지시키거나 폐색의 경우 세척공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8)와 압력센서모듈(7) 간의 작용의 예로서 상기 압력센서모듈(7)에서 압력값이 최고인 압력센서의 센싱값이 파손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8)가 원수유입관(4)으로 원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수처리공정을 중지토록 하고, 상기 압력센서모듈(7)에서 압력값이 최저인 압력센서의 센싱값이 폐색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8)가 농축수 배출구(52)만을 열어 세척공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사막 단위체(2)가 파손되는 경우 유입되는 원수가 파손부분으로 토출됨으로써 하우징(5)의 측면을 가압하여 압력값이 증가하게 될 것이므로 기 실험에 의해 중공사막 단위체(2) 파손의 경우 감지되는 압력값을 파손기준값으로 정하는 것이고, 중공사막 단위체(2)가 폐색되는 경우 유입되는 원수가 폐색부분으로 유동이 없어 하우징(5)의 측면에서 압력값이 감소하게 될 것이므로 기 실험에 의해 중공사막 단위체(2) 폐색의 경우 감지되는 압력값을 폐색기준값으로 정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유분분리장치 110 : 저장탱크
120 : 유분챔버
140 : 경사판 150 : 가온수단
160 : 가온공간 170 : 공기용존장치
180 : 조절부 190 : 필터부

Claims (12)

  1. 일측에 음식물탈리액이 유입되는 유입라인이 형성되며 타측의 하단부에 처리액이 배출되는 배출라인이 형성되고 타측의 상단부에 유분이 배출되는 유분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서 상기 유분배출라인에 연통하며 상부가 개구된 유분챔버;
    상기 유분챔버로 유분이 유입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키머;
    상기 저장탱크의 하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유입라인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어 저장탱크의 측면 사이에서 가온공간을 형성하는 경사판;
    상기 가온공간을 향하는 경사판의 일면에 열선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과 상기 저장탱크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가온공간으로 상기 유입라인을 통해 유입된 음식물탈리액을 가온시키는 가온수단;
    상기 경사판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회전축에 의해 회전연동을 하며 하부에는 무게추가 구성되는 회전판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의 상단에는 분리된 유분이 부상하면서 하부에 침적되도록 돌출되는 침적판이 형성되고, 상기 침적판의 내부에는 침적판에 침적된 유분에 의한 가압의 크기를 센싱하는 가압센서가 구성되어 상기 침적판에 침적된 유분에 의한 가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회전판이 회전에 의해 상기 경사판 상단에 접하여 와류를 형성시키거나 경사판과 이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조절부; 및
    상기 배출라인에 연통하면서 처리액을 여과하여 배출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온수단은,
    상기 열선이 상기 경사판의 일면에 횡방향으로 복수의 단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단은 물결형상으로 산과 골이 교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사판은,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판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가온공간에 접하는 면에 복수의 유도판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유도판은 산과 골이 교번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유도판의 산에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는,
    유분이 상기 침적판에 침적되어 상기 가압센서에서 센싱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경사판과 상기 회전판 간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어하고, 유분이 상기 침적판에 침적되지 않아 상기 가압센서에서 센싱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경사판 상단과 상기 회전판이 접하도록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여 경사판을 타고 상향하는 음폐수가 다시 가온공간으로 유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단이 차단된 관 내면에 나선형 가이드가 형성되면서 상부에 나선형 가이드를 따라 타공이 관통 형성된 원수유입관;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사막들로 형성된 복수의 중공사막 단위체가 한 쌍의 상/하부 결합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원수유입관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중공사막 어셈블리; 상기 중공사막 어셈블리가 수용되면서 상/하단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세척에 의한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농축수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측에는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배출구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원수유입관으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유입구가 각각 형성된 상/하부 헤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하부 헤더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중공사막 어셈블리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진동바가 하나 이상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입관은,
    나선형 가이드가 형성되면서 상부에 나선형 가이드를 따라 타공이 관통 형성 된 하부관; 상기 하부관과 개폐밸브에 의해 연통하며 상면의 테두리부분에 복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상부관; 상기 상부관의 중앙부에서 돌출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서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토출공과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회전날개와 복수의 회전날개 끝단을 연결하는 테두리링으로 형성된 회전구동부; 상기 회전구동부에 돌출되며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진동바를 타격하도록 하는 복수의 타격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복수의 압력센서로 이루어진 압력센서모듈이 구성되어 압력센서 간의 압력차에 의해 중공사막 단위체의 폐색 또는 파손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모듈에서 압력값이 최고인 압력센서의 센싱값이 파손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가 원수유입관으로 원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수처리공정을 중지토록 하고, 상기 압력센서모듈에서 압력값이 최저인 압력센서의 센싱값이 폐색기준값 미만인 경우 농축수 배출구만을 열어 세척공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
KR1020180010151A 2018-01-26 2018-01-26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 KR101866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51A KR101866473B1 (ko) 2018-01-26 2018-01-26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51A KR101866473B1 (ko) 2018-01-26 2018-01-26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473B1 true KR101866473B1 (ko) 2018-06-11

Family

ID=6260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151A KR101866473B1 (ko) 2018-01-26 2018-01-26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590B1 (ko) * 2019-08-05 2020-01-13 (주)에코크린에이알씨 자동차 폐유 정제시스템
JP2020121519A (ja) * 2019-01-31 2020-08-13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タンク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191A (ko) * 2000-01-19 2000-04-06 김종현 수차형 유회수기
KR100939070B1 (ko) 2008-10-29 2010-01-28 (주)수산이엔씨 상압부상 분리공정과 상향류 생물여상 발효공정을 연계한 유기성 폐수의 산발효액 제조방법
KR101270236B1 (ko) * 2012-01-25 2013-05-31 차상화 기포를 이용한 유분 분리장치
KR101503253B1 (ko) * 2014-12-31 2015-03-18 이엔텍엔지니어링(주) 바이오가스 분리정제 시스템
KR101586456B1 (ko) * 2014-12-30 2016-02-02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정수처리 장애 제어장치
KR101764065B1 (ko) * 2016-08-23 2017-08-02 대신엠씨 주식회사 유수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191A (ko) * 2000-01-19 2000-04-06 김종현 수차형 유회수기
KR100939070B1 (ko) 2008-10-29 2010-01-28 (주)수산이엔씨 상압부상 분리공정과 상향류 생물여상 발효공정을 연계한 유기성 폐수의 산발효액 제조방법
KR101270236B1 (ko) * 2012-01-25 2013-05-31 차상화 기포를 이용한 유분 분리장치
KR101586456B1 (ko) * 2014-12-30 2016-02-02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정수처리 장애 제어장치
KR101503253B1 (ko) * 2014-12-31 2015-03-18 이엔텍엔지니어링(주) 바이오가스 분리정제 시스템
KR101764065B1 (ko) * 2016-08-23 2017-08-02 대신엠씨 주식회사 유수분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1519A (ja) * 2019-01-31 2020-08-13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タンク
KR102065590B1 (ko) * 2019-08-05 2020-01-13 (주)에코크린에이알씨 자동차 폐유 정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457B1 (ko) 음폐수 처리시스템
KR101586456B1 (ko) 정수처리 장애 제어장치
KR100931987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상수, 중수, 하수 및 오폐수를 정화하는 수처리 장치
KR101747916B1 (ko) 필터스크린장치를 이용한 하·우수 정화 시스템
KR101866473B1 (ko) 음폐수의 유분분리장치
KR101820864B1 (ko) 섬유볼을 내장한 용존 공기 부상형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존 공기 부상형 수처리 방법
KR101867931B1 (ko) 연속세척 부상·침전·여과 장치
KR101921655B1 (ko) 수위조절이 가능한 부유식 배출구와 선회접촉조를 이용한 원형 가압부상장치
KR102397619B1 (ko)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US20090039003A1 (en) Single-Cell Mechanical Flotation System
JP5324117B2 (ja) 散気装置及び散気装置を備えた膜濃縮装置を有する水処理施設
WO2018153992A1 (en) Filtering of wastewater by cake filtration
US67199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 contaminated fluid
JP5239653B2 (ja) 加圧浮上処理方法
KR101858690B1 (ko) 다단여과 처리수 재이용 시스템
KR101869471B1 (ko) 포기식 침사 처리장치
KR101460958B1 (ko)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CN107416934B (zh) 振动式气浮池
JP2002186962A (ja) 加圧過流型浮上分離式汚水処理装置
CN205850312U (zh) 油水分离处理系统
KR101921637B1 (ko) 혐기소화조의 스컴 및 부유물질 제거장치
KR102354522B1 (ko)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397623B1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102920B1 (ko) 미세 버블을 이용한 일체형 정수 장치 및 방법
US5510039A (en) Method for separating off solid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