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052A - 식품처리장치,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및 식품처리장치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식품처리장치,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및 식품처리장치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052A
KR20200057052A KR1020207011472A KR20207011472A KR20200057052A KR 20200057052 A KR20200057052 A KR 20200057052A KR 1020207011472 A KR1020207011472 A KR 1020207011472A KR 20207011472 A KR20207011472 A KR 20207011472A KR 20200057052 A KR20200057052 A KR 20200057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ocessing
authentication
uni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464B1 (ko
Inventor
토노 쓰가와
시게토시 핫타
유키히로 다케무라
카즈아키 다카모리
유즈루 야마다
마사히로 하야미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9305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0663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9305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0672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9305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06721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ublication of KR2020005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rein the security policies are location-dependent, e.g. entities privileges depend on current location or allowing specific operations only from locally connected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7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defects or foreign mat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Sensor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n the policy decisions are valid for a limited amount of ti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3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object on convey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5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quality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1Location-sensitive, e.g. geographical location, G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37Time limited access, e.g. to a computer or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9Restricted operating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8Food, e.g. fruit 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Bioeth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인증되어서는 안 되는 사용자가 인증되는 상황, 및 인증된 사용자와 실제 사용자가 일치되지 않는 상황의 발생을 회피하고, 인증된 사용자만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식품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식품처리장치(10)는 처리부(61)와, 촬상장치(60)와, 인증부(63)와, 관리부(64)를 구비하는 식품을 제조하는 라인에서 식품(A)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처리부는 식품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행한다. 촬상장치는 식품처리장치의 사용자의 눈을 촬상한다. 인증부는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행한다. 관리부는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처리부에 의한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인증부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홍채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행한다.

Description

식품처리장치,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및 식품처리장치 관리방법
본 발명은 식품처리장치,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및 식품처리장치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의 제조 공정에서는 다양한 식품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식품처리장치는, 예를 들면, X선 및 광(가시광선, 적외선 및 자외선 등)을 사용하여 식품 중의 이물(異物)을 검사하는 장치, 식품의 중량을 측정하여 선별하는 장치, 식품의 포장의 실(seal)부를 체크하는 장치, 식품의 포장에 첩부(貼付)되는 라벨에 인자(印字)를 행하는 장치, 및 식품의 온도 및 식품에 사용되는 약제의 농도 등을 관리하는 장치 등이다. 이러한 식품처리장치는 식품의 안전성 및 품질을 담보(擔保)하기 위해, 사용 전에 검출 감도 등의 조정 및 시험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검출 감도 등의 조정 및 시험은 소정의 연수를 받은 지식 및 기능(技能)이 있는 관리자가 아니면 적절하게 행할 수 없다. 또, 라벨에 인자되는 내용의 확인, 및 식품처리장치의 정기적인 보수(保守) 관리 등도 권한 및 책임이 있는 관리자가 행해야 한다. 이로 인해, 종래 식품처리장치는 소정의 권한을 갖는 사용자인 관리자가 행해야 할 특정의 처리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관리자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사용자가 관리자인 경우에 사용자의 인증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 특개 2014-71072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갖는 식품처리장치로서, 소정의 단말을 보지(保持)하는 사용자가 안테나에 접근하면, 사용자의 인체를 통해 사용자가 보지하는 단말 사이에서 정보를 통신하고,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행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 종래 사용자의 인증처리에는, 사용자마다 할당된 ID 카드, 및 사용자마다 설정된 패스워드 등도 이용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14-71072호 공보
그러나, 식품처리장치의 사용자의 인증처리에서, 사용자가 보지하는 단말 또는 ID 카드, 또는, 사용자마다 설정된 패스워드를 이용하는 경우, 단말, ID 카드 또는 패스워드의 사용자 사이에서 대차(貸借) 또는 공유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인증되어서는 안 되는 사용자가 인증되고, 소정의 권한이 필요한 처리를 해당 사용자가 실행 가능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가 해당 패스워드의 정당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에게도 널리 알려지거나, 인증을 위한 ID 카드가 복수의 사용자 사이에서 대차되는 것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와 실제 사용자가 일치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인증되어서는 안 되는 사용자가 인증되는 상황, 및 인증된 사용자와 실제 사용자가 일치되지 않는 상황의 발생을 회피하고, 인증된 사용자만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식품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증 후에 사용자가 식품처리장치 곁에서 멀어진 경우라도, 인증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에 의한 장치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는 식품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을 갖는 복수의 식품처리장치를 관리할 때에, 인증처리에 사용되는 정보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및 식품처리장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는 처리부, 촬상장치, 인증부, 관리부를 포함하는 식품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처리부는 식품을 제조하는 라인에서 식품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행한다. 촬상장치는 식품처리장치의 사용자의 눈을 촬상한다. 인증부는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행한다. 관리부는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처리부에 의한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인증부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홍채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행한다.
이 식품처리장치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을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생체정보로서 이용한다. 이로 인해, 인증되어서는 안 되는 사용자가 인증되는 상황, 및 인증된 사용자와 실제 사용자가 일치되지 않는 상황의 발생이 회피된다. 따라서, 이 식품처리장치는 인증된 사용자만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이 식품처리장치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포함되는 홍채를 사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에 의해 고정밀도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소정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관리부는 판정부에 의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처리부에 의한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제한다.
이 식품처리장치는 인증된 사용자가 존재하는 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자동적으로 해제한다. 따라서, 이 식품처리장치는 인증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에 의한 장치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에서는, 판정부는 식품처리장치의 근방의 소정의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부는 소정의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부가 판정한 경우에, 처리부에 의한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제한다.
이 식품처리장치는 인증된 사용자가 장치의 근방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의 인증을 자동적으로 해제한다. 따라서, 이 식품처리장치는 인증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에 의한 장치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에서는, 판정부는 사용자가 보지하는 표지가 소정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여, 소정의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는 사용자가 보지하는 표지를 이용하여, 장치의 근방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고정밀도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식품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인증을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처리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는 사용자와 표지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제1 기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정부는 복수의 표지를 서로 구별하여 검지할 수 있다. 판정부는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표지가, 소정의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소정의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이 식품처리장치는 표지를 보지하는 각 사용자가 장치의 근방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식품처리장치는 인증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가, 자신이 인증되기 전에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는 사용자와, 관리부에 의해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제2 기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는 장치의 사용자와, 그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관련시켜 미리 기억해 둠으로써, 사용자마다 실행 가능한 처리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에서는, 제2 기억부는 복수의 인증레벨의 하나로서 사용자마다 설정된 인증레벨과, 인증레벨마다 설정되어 관리부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는 인증레벨마다 실행 가능한 처리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각 사용자에게 인증레벨을 설정함으로써, 각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에서는, 인증부는, 또한, 복수의 인증레벨 중 가장 높은 인증레벨이 설정된 사용자의 인증을 사용자의 눈의 화상 이외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에서는, 최고의 인증레벨이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는 눈의 화상이 아니라 패스워드 등을 사용하여 인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 식품처리장치는, 예를 들면, 눈의 화상의 인증 기능 및 촬상장치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와 같은 긴급시라도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고, 또, 장치의 특별한 관리 모드를 마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에서는, 관리부는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만이 처리부에 의한 제1종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하고, 또한, 모든 사용자가 처리부에 의한 제2종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처리부는 식품에 대해 제1종 처리와 제2종 처리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종류의 처리를 행한다.
이 식품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인증이 필요한 처리와, 사용자의 인증이 불필요한 처리를 구별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권한을 필요로 하는 중요한 처리를 행하지 않는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행하는 필요가 없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는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와, 관리부에 의해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된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제3 기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는 인증된 사용자와, 인증 후의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관련시켜 기억함으로써, 식품의 트레이서빌리티(traceabil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에서는, 제3 기억부는 관련시켜 기억된,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와, 관리부에 의해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된 처리에 대한 변경 및 삭제를 접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는 이미 기억된 사용자와, 인증 후의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변경 및 삭제할 수 없으므로, 이들의 정보의 개찬을 방지할 수 있고, 기억된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는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사용자의 눈의 화상과,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제4 기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ID 번호(사용자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눈의 화상을 관련시켜 기억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의 화상의 등록·참조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에서는, 촬상장치는 사용자의 눈의 위치에 맞추어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일방이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는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사용자의 눈의 화상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에서는, 관리부는 인증부에 의한 사용자의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인증부에 의한 사용자의 재차 인증이 이루어질 때까지, 처리부에 의한 처리를 실행 불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인증되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사용자의 재차 인증이 필요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 식품처리장치는 인증된 사용자와 실제 사용자가 상이하는 경우에, 실제 사용자가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에서는, 처리부는 식품에 포함되는 이물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는 식품에 포함되는 이물을 검출함으로써, 식품의 안전성 및 질을 담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은 생체정보 취득부, 하나의 제1 기억부, 제2 기억부, 인증부, 관리부를 포함하는 식품을 제조하는 라인에서 식품을 처리하는 복수의 식품처리장치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생체정보 취득부는 식품처리장치의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취득한다. 제1 기억부는 사용자마다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와 생체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제2 기억부는 식품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실행 가능 여부 정보를 기억한다. 인증부는 생체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생체정보와,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행한다. 관리부는 제2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실행 가능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식품처리장치에 의한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한다. 생체정보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홍채의 정보이다.
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은 식품처리장치의 사용자의 인증처리에 필요한 사용자의 생체정보의 데이터를 일원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은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을 갖는 복수의 식품처리장치를 관리할 때에, 인증처리에 사용되는 정보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식품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식품처리장치의 사용자의 인증처리에 필요한 사용자의 생체정보의 데이터를 일원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은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을 갖는 복수의 식품처리장치를 관리할 때에, 인증처리에 사용되는 정보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에서는, 식품처리장치는 식품에 포함되는 이물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은 식품처리장치가 식품에 포함되는 이물을 검출함으로써, 식품의 안전성 및 질을 담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식품처리장치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 취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기억부는 어느 하나의 생체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생체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에서는, 어느 하나의 식품처리장치에 사용자가 생체정보를 등록하면, 해당 사용자는 모든 식품처리장치로 인증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식품처리장치의 각각은 제2 기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은 식품처리장치마다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관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은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와, 관리부에 의해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된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제3 기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은 인증된 사용자와, 인증 후의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관련시켜 기억함으로써, 식품의 트레이서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에서는, 제3 기억부는 관련시켜 기억된,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와, 관리부에 의해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된 처리에 대한 변경 및 삭제를 접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은 이미 기억된 사용자와, 인증 후의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변경 및 삭제할 수 없으므로, 이들의 정보의 개찬을 방지할 수 있고, 기억된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에서는, 제3 기억부는 식품처리장치마다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와, 관리부에 의해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된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은 인증된 사용자와, 인증 후의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관련시켜, 복수의 식품처리장치에 거쳐 일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에서는, 제2 기억부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실행 가능 여부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은 식품처리장치의 사용자와, 그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해 둘 수 있으므로, 사용자마다 실행 가능한 처리를 등록 및 참조하는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 관리방법은 식품을 처리하는 복수의 식품처리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우선, 식품처리장치의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에, 이 방법은 사용자마다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와 생체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다음에, 이 방법은 식품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실행 가능 여부 정보를 기억한다. 다음에, 이 방법은 취득된 생체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와 관련시켜 기억되어 있는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행한다. 다음에, 이 방법은 기억되어 있는 실행 가능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식품처리장치에 의한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한다. 생체정보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홍채의 정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는 인증된 사용자만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는 인증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에 의한 장치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및 식품처리장치 관리방법은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을 갖는 복수의 식품처리장치를 관리할 때에, 인증처리에 사용되는 정보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X선 검사장치(10)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X선 검사장치(10)가 장착되는 검사 라인(100)의 개략도이다.
도 3은 X선 검사장치(10)의 실드 박스(11)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4는 라인 센서(30)에 의해 검출되는 투과 X선의 강도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홍채 촬상장치(60)의 개략적인 외관도이다.
도 6은 제어장치(50)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의 일례이다.
도 8은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의 일례이다.
도 9는 X선 검사장치(10)의 인증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B에서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의 일례이다.
도 11은 변형예 B에서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의 일례이다.
도 12는 변형예 B에서 제어장치(50)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변형예 D에서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의 일례이다.
도 14는 변형예 D에서 제어장치(50)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의 제어장치(50)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판정부(66)의 동작, 및 인증 유효영역(R)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비콘 단말정보 데이터베이스(73)의 일례이다.
도 18은 자동 인증 해제 처리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인증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는 제3 실시형태의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제어장치(50)의 블록도이다.
도 21은 관리 서버(210)의 블록도이다.
도 22는 변형예 A에서 제어장치(50)의 블록도이다.
도 23은 변형예 B에서 제어장치(5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구체예의 하나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제1 실시형태]
(1) 식품처리장치의 전체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는 식품을 제조하는 라인에서, 식품에 대해 적어도 1 이상의 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식품처리장치는, 예를 들면, 식품에 포함되는 이물을 검출하는 X선 검사장치, 식품에 라벨을 첩부하는 라벨 첩부장치, 식품에 첩부되는 라벨을 검사하는 라벨 검사장치, 및 식품을 검사하여 검사 결과에 따라 복수의 방향으로 배분하는 배분장치이다. 또, 식품처리장치는 이들의 장치를 2개 이상 연계시켜 결합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식품처리장치는, 예를 들면, 식품제조공장에서 생산 라인 및 검사 라인 등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품처리장치는 X선 검사장치(10)이다. 도 1은 X선 검사장치(10)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X선 검사장치(10)가 장착되는 검사 라인(100)의 개략도이다. 검사 라인(100)은 피(被)검사물인 식품(A)의 검사를 행한다. 식품(A)은, 예를 들면, 필름 포장된 조리된 냉동식품이다. 검사 라인(100)에서, 식품(A)은 전단(前段) 컨베이어(101)에 의해 X선 검사장치(10)까지 반송(搬送)된다. 도 2에서, 식품(A)의 반송 방향은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X선 검사장치(10)는 전단 컨베이어(101)에 의해 연속적으로 반송되어 오는 식품(A)에 X선을 조사(照射)하는 것에 의해 식품(A)의 양부(良否) 판단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X선 검사장치(10)는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를 행하고,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식품(A)을 양품(良品) 또는 불량품으로 분류한다. X선 검사장치(10)에 의한 검사 결과는 X선 검사장치(10)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배분 기구(102)로 보내진다. 배분 기구(102)는 X선 검사장치(10)에서 양품으로 판단된 식품(A)을 양품을 배출하는 후단(後段) 컨베이어(103)로 보낸다. 배분 기구(102)는 X선 검사장치(10)에서 불량품으로 판단된 식품(A)을 불량품 배출 방향(102a, 102b)으로 배분되어 검사 라인(100)으로부터 배출된다.
(2) X선 검사장치의 상세 설명
X선 검사장치(10)는 주로 실드 박스(11)와, 반송 유닛(12)과, X선 조사기(20)와, 라인 센서(30)와, 모니터(40)와, 홍채 촬상장치(60)와, 제어장치(50)로 구성된다.
(2-1) 실드 박스
도 3은 X선 검사장치(10)의 실드 박스(11)의 내부 개략도이다. 실드 박스(11)는 X선 검사장치(10)의 케이싱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드 박스(11)의 양 측면에는, 식품(A)을 반출입하기 위한 개구(11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1a)는 실드 박스(1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식품(A)을 반입하기 위해, 또는, 실드 박스(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식품(A)을 반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개구(11a)는 차폐 커튼(19)에 의해 막혀 있다. 차폐 커튼(19)은 실드 박스(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X선의 누설을 억제한다. 차폐 커튼(19)은 텅스텐 시트로 성형된다. 차폐 커튼(19)은 식품(A)이 반출입될 때에 식품(A)에 의해 밀쳐진다.
실드 박스(11)의 내부에는, 반송 유닛(12), X선 조사기(20), 라인 센서(30) 및 제어장치(50) 등이 수용되어 있다. 실드 박스(11)의 정면 상부에는, 모니터(40), 입력용 키, 및 전원 스위치 등이 배치되어 있다.
(2-2) 반송 유닛
반송 유닛(12)은 실드 박스(11)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식품(A)을 반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유닛(12)은 실드 박스(11)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개구(11a)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반송 유닛(12)은 주로 컨베이어 모터(12a)와, 인코더(12b)와, 컨베이어 롤러(12c)와, 무단(無端)형 벨트(12d)로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 롤러(12c)는 컨베이어 모터(12a)에 의해 구동된다. 컨베이어 롤러(12c)의 구동에 의해 벨트(12d)가 회전하고, 벨트(12d) 상의 식품(A)이 반송된다. 도 3에서, 식품(A)의 반송 방향은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반송 유닛(12)에 의한 식품(A)의 반송 속도는 X선 검사장치(10)의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 속도에 따라 변동된다. 제어장치(50)는 설정 속도에 기초하여 컨베이어 모터(12a)를 인버터 제어하고, 식품(A)의 반송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한다. 반송 유닛(12)의 인코더(12b)는 컨베이어 모터(12a)의 회전 속도를 검출함으로써 식품(A)의 반송 속도를 산출하고, 제어장치(50)로 송신한다.
또한, 반송 유닛(12)은 반송 기구로서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벨트 컨베이어를 대신하여 탑 체인 컨베이어 및 회전 테이블 등을 반송 기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2-3) X선 조사기
X선 조사기(20)는 실드 박스(11) 내부의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된 식품(A)에 X선을 조사하는 X선원(源)이다. X선 조사기(20)로부터 조사되는 X선에는, 다양한 에너지의 X선이 포함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선 조사기(20)는 반송 유닛(1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X선 조사기(20)는 반송 유닛(12)의 하방에 배치되는 라인 센서(30)를 향해 부채꼴 형상의 X선(방사광)을 조사한다. X선의 조사 범위 X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유닛(12)의 반송면에 대해 수직이고, 또한, 반송 유닛(12)에 의한 식품(A)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펼쳐진다. 즉, X선 조사기(20)로부터 조사되는 X선은 벨트(12d)의 폭 방향으로 펼쳐진다.
(2-4) 라인 센서
라인 센서(30)는 X선 조사기(20)로부터 조사된 X선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라인 센서(30)는 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된 식품(A)을 투과한 X선인 투과 X선을 검출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 센서(30)는 반송 유닛(12)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라인 센서(30)는 복수의 X선 검출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X선 검출 소자는 반송 유닛(12)에 의한 식품(A)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벨트(12d)의 폭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라인 센서(30)는 투과 X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투과 X선의 강도에 따른 전압을 나타낸 X선 투과 신호를 출력한다. X선 투과 신호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식품(A)의 투과 화상의 생성에 사용된다. 도 4는 라인 센서(30)에 의해 검출되는 투과 X선의 강도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횡축은 라인 센서(30) 상의 위치를 나타낸다. 그래프의 세로축은 라인 센서(30)가 검출한 투과 X선의 강도를 나타낸다. 식품(A)의 투과 화상에서는, 투과 X선의 검출량이 많은 곳이 밝게(휘도가 높게) 표시되고, 투과 X선의 검출량이 적은 곳이 어둡게(휘도가 낮게) 표시된다. 즉, 식품(A)의 투과 화상의 명암(휘도값)은 투과 X선의 검출량에 의존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품(A)을 투과한 X선의 검출량은 식품(A)을 투과하지 않은 X선의 검출량보다 낮다.
또, 라인 센서(30)는 식품(A)이 X선의 부채꼴 형상의 조사 범위 X(도 4 참조)를 통과하는 타이밍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로서도 기능한다. 즉, 라인 센서(30)는 반송 유닛(12)에 의해 반송되는 식품(A)이 라인 센서(30)의 상방의 위치(조사 범위 X와 겹치는 위치)에 왔을 때, 소정의 역치 이하인 전압을 나타낸 X선 투과 신호(제1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라인 센서(30)는 식품(A)이 조사 범위 X를 통과하면, 소정의 역치를 상회하는 전압을 나타낸 X선 투과 신호(제2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제어장치(50)로 보내지는 것에 의해 조사 범위 X에서 식품(A)의 유무가 검출된다.
(2-5) 모니터
모니터(40)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모니터(40)는 X선 검사장치(10)의 표시부 및 입력부로서 기능한다. 모니터(40)에는, 식품(A)의 검사 결과 등이 표시된다. 또, 모니터(40)에는, 초기설정, 및 식품(A)의 양부 판단에 관한 파라미터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 등이 표시된다.
X선 검사장치(10)의 조작자는 모니터(40)를 조작하여, 검사 파라미터 및 동작 설정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검사 파라미터란, 식품(A)의 양부를 판정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이다. 구체적으로는, 검사 파라미터는 식품(A)에 포함되는 이물 검출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이며, 예를 들면, 식품(A)에 포함되는 이물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투과 X선의 강도의 역치 등이다. 동작 설정 정보란, 식품(A)의 검사 속도, 및 반송 유닛(12)의 반송 방향 등의 정보이다.
모니터(40)는 제어장치(50)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장치(50)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모니터(40)에 의해 입력된 검사 파라미터 및 동작 설정 정보는 제어장치(50)의 기억부(52)에 기억된다.
(2-6) 홍채 촬상장치
홍채 촬상장치(60)는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자(이하 단순히 「사용자」라 고 기재함.)의 인증을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의 인증이란,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하여 식품(A)의 제조에 관계된 처리를 실행하는 권한을 사용자가 갖는 것을 전자적으로 확인하는 처리이다. 식품(A)의 제조에 관계된 처리란, 예를 들면,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하여 식품(A)의 양부를 판정하기 위한 감도를 조정하기 위한 처리(이하 「감도 조정 처리」라고 일컫는다.)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의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홍채 촬상장치(60)를 사용하여 자신이 인증될 필요가 있다.
홍채 촬상장치(60)는 사용자의 눈의 홍채의 화상을 이용하는, 비접촉 타입의 생체 인증장치이다. 도 5는 홍채 촬상장치(60)의 개략적인 외관도이다. 홍채 촬상장치(60)는 주로 포터블 케이싱(60a)과, 적외선 카메라(60b)와, 적외선 조명(60c)과, 접속 케이블(60d)을 가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홍채 촬상장치(60)는 모니터(40)의 근방 등,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를 조작할 때에 접근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포터블 케이싱(60a)은 적외선 카메라(60b) 및 적외선 조명(60c)이 내장되며, 접속 케이블(60d)을 통해 X선 검사장치(10)의 본체에 접속되어 있다. 포터블 케이싱(60a)은 실드 박스(11)에 설치되어 있는 브래킷(미도시)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사용자는 홍채 촬상장치(60)를 사용할 때, 필요에 따라, 포터블 케이싱(60a)을 실드 박스(11)로부터 분리하고, 포터블 케이싱(60a)을 보지할 수 있다.
적외선 카메라(60b)는 적외선을 검지할 수 있는 카메라이다. 적외선 조명(60c)은 저강도의 적외선을 조사하는 LED이다. 적외선 카메라(60b) 및 적외선 조명(60c)은 보호 커버(60e)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보호 커버(60e)는 투명한 플라스틱판 및 유리판 등이다.
접속 케이블(60d)은 USB 케이블 등이다. 접속 케이블(60d)은 적외선 카메라(60b) 및 적외선 조명(60c)과, 제어장치(50)를 서로 통신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접속 케이블이다. 또한, 적외선 카메라(60b) 및 적외선 조명(60c)과, 제어장치(50)와는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그 경우, 홍채 촬상장치(60)는 접속 케이블(60d)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사용자는 홍채 촬상장치(60)를 사용하여 자신의 인증을 행하기 전에, 자신의 홍채에 관한 생체정보를 미리 등록해 둘 필요가 있다. 이 등록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용자는 홍채 촬상장치(60)를 사용하여 자신의 인증을 행할 때, 포터블 케이싱(60a)을 실드 박스(11)의 브래킷으로부터 분리하여 포터블 케이싱(60a)을 보지하고, 자신의 눈과 보호 커버(60e)를 서로 접근시킨다. 이때, 적외선 조명(60c)은 적외선을 조사하고 있다. 적외선 조명(60c)으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은 보호 커버(60e)를 통과하고, 사용자의 눈에서 반사된다. 적외선 카메라(60b)는 사용자의 눈에서 반사되며 보호 커버(60e)를 다시 통과한 적외선을 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을 촬상한다. 적외선 카메라(60b)가 취득한 사용자의 눈의 화상은 접속 케이블(60d)을 통해 제어장치(50)로 보내지고, 사용자의 인증처리에 사용된다.
(2-7) 제어장치
제어장치(50)는 주로 CPU, ROM, RAM 및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HDD를 대신하여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가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50)는 도시되지 않은 표시제어회로, 입력회로 및 통신 포트 등도 구비되어 있다. 표시제어회로는 모니터(40)의 표시를 제어하는 회로이다. 입력회로는 모니터(40)의 터치 패널 및 입력 키를 통해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는 회로이다. 통신 포트는 프린터 등의 외부 기기, 및 LAN 등의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포트이다.
도 6은 제어장치(50)의 블록도이다. 제어장치(50)는 주로 제어부(51)와, 기억부(52)를 가진다. 제어장치(50)는 컨베이어 모터(12a), 인코더(12b), X선 조사기(20), 라인 센서(30), 모니터(40) 및 홍채 촬상장치(60)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2-7-1) 제어부
제어부(51)는 주로 처리부(61)와, 촬상부(62)와, 인증부(63)와, 관리부(64)와, 등록부(65)를 가진다. 이들은 각각 기억부(5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이다.
(2-7-1-1) 처리부
처리부(61)는 반송 유닛(12), X선 조사기(20) 및 라인 센서(30)를 제어하고, 식품(A)에 포함되는 이물의 유무를 판정하여, 식품(A)의 양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처리부(61)는 인코더(12b)로부터 컨베이어 모터(12a)의 회전수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품(A)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다음에, 처리부(61)는 라인 센서(30)로부터 출력된 X선 투과 신호를 수신하고, 반송 유닛(12)의 벨트(12d) 상의 식품(A)이 X선의 조사 범위 X에 도달한 타이밍을 검출한다. 다음에, 처리부(61)는 투과 X선의 강도에 기초하여 식품(A)에 포함되는 이물의 유무를 판정하여, 식품(A)의 양부를 판정한다. 또, 처리부(61)는 식품(A)의 양부의 판정 결과를 모니터(40)에 표시한다.
또, 처리부(61)는 인증된 사용자에 의한 X선 검사장치(10)의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감도 조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하여 식품(A)에 포함되는 이물 검출을 높은 정밀도로 행하기 위해서는, 사전 조정 또는 정기 점검에 의해 이물 검출 정밀도를 적절하게 하기 위한 감도 조정 처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X선 검사장치(10)는 식품(A)의 안전성 및 질을 담보하기 위해, 특별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에 의한 감도 조정 처리가 사전에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특별한 권한을 갖지 않는 사용자에 의한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가 개시될 수 없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경우, 감도 조정 처리의 실행을 허가하기 위한 인증을 패스워드 및 IC 카드 등에 기초하여 행하면, 특별한 권한을 갖지 않는 사용자가 인증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 혼입 검사를 개시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특별한 권한을 갖지 않는 사용자가 감도 조정 처리를 행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X선 검사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홍채 촬상장치(60)를 사용하여 촬상된 눈의 화상이라는, 각 사용자의 고유의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로 인해, X선 검사장치(10)는 사용자 본인을 확실히 인증할 수 있으므로, 감도 조정 작업 등의 중요한 작업을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에만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특별한 권한을 갖지 않는 사용자가 인증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없기 때문에, 감도 조정 처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의 이물 검출 에러(오검출 및 검출 누락 등)의 문제에 의한, 검사가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의혹이 있는 식품의 재검사 또는 회수 등의 문제의 발생이 억제된다.
(2-7-1-2) 촬상부
촬상부(62)는 홍채 촬상장치(6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눈을 촬상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촬상부(62)는 홍채 촬상장치(60)에 의한 사용자의 인증처리가 개시되는 것을 검지한다. 인증처리의 개시는, 예를 들면, 실드 박스(11)의 브래킷으로부터 홍채 촬상장치(60)가 분리된 것을 촬상부(62)가 검출하거나, 사용자가 모니터(40) 등을 통해 인증처리를 개시하는 것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검지된다. 다음에, 촬상부(62)는 인증처리의 개시를 검지하면, 적외선 조명(60c)으로부터 적외선을 조사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자신의 눈과 홍채 촬상장치(60)의 보호 커버(60e)를 서로 접근시키면, 촬상부(62)는 사용자의 눈에서 반사한 적외선을 적외선 카메라(60b)로 검지하여, 사용자의 눈의 화상을 취득한다. 다음에, 촬상부(62)는 취득한 사용자의 눈의 화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적외선 카메라(60b)로부터 제어장치(50)로 송신한다.
(2-7-1-3) 인증부
인증부(63)는 촬상부(62)에 의해 취득되어 송신된, 사용자의 눈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행한다. 사용자의 인증처리는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 개시 전에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된 경우에만, X선 검사장치(10)의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인증부(63)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사용자의 홍채에 상당되는 부분을 추출한다. 다음에, 인증부(63)는 사용자의 홍채 부분만의 화상을 전용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홍채정보로 변환한다. 홍채정보는 생체 인증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는 소정 길이의 비트열이다.
다음에, 인증부(63)는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 개시 전에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변환된 홍채정보(인증시 홍채정보)가, 등록부(65)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홍채정보(후술하는 등록필 홍채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인증부(63)는 인증시 홍채정보가 등록필 홍채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X선 검사장치(10)의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사용자가 가진다고 판정한다. 한편, 인증부(63)는 인증시 홍채정보가 등록필 홍채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X선 검사장치(10)의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사용자가 가지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인증된 사용자란, X선 검사장치(10)의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고 인증부(63)에 의해 판정된 사용자이다.
(2-7-1-4) 관리부
관리부(64)는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처리부(61)에 의한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관리부(64)는 인증부(63)가 사용자를 인증하면, 인증된 사용자가, 처리부(61)에 의한 감도 조정 처리를 개시할 수 있도록, X선 검사장치(1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관리부(64)는 인증부(63)가 사용자를 인증한 경우에,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화면을 모니터(40)에 표시한다.
(2-7-1-5) 등록부
등록부(65)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관한 데이터를 등록한다. 구체적으로는, 등록부(65)는 X선 검사장치(10)의 운용을 개시하기 전에,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사용자에 대해, 각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변환된 홍채정보를 등록한다. 등록부(65)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등록필 홍채정보를 관련시켜, 후술하는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한다. 사용자 식별정보란,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ID 번호이다. 이 ID 번호는, 예를 들면, 복수의 영숫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이다. 등록필 홍채정보란, 촬상부(62)에 의해 미리 촬상된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변환된, 생체 인증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는 비트열이다.
(2-7-2) 기억부
기억부(52)는 주로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와,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를 가진다. 이들은 HDD 또는 SSD에 기억되어 있다.
(2-7-2-1)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
도 7은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의 일례이다.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는 사용자와, 관리부(64)에 의해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처리 식별정보가 관련되어지고, 또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메인키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ID 번호이다. 처리 식별정보는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된 경우에,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하여 실행 가능한 처리를 나타내는 비트열이다. 처리 식별정보의 각 비트는, 대응하는 「실행 가능한 처리」를 나타낸다.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는, 예를 들면, X선 검사장치(10) 또는 검사 라인(100)의 관리자 등에 의해 X선 검사장치(10)의 운용 개시 전에 사전에 작성되고, X선 검사장치(10)의 운용 개시 후에 수정된다.
(2-7-2-2)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
도 8은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의 일례이다.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는 사용자와, 등록부(65)에 의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홍채정보(등록필 홍채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등록필 홍채정보가 관련되어지고, 또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메인키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사용자 식별정보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가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공통의 ID 번호이다. 등록필 홍채정보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변환된, 생체 인증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는 비트열이다.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는, 예를 들면, X선 검사장치(10) 또는 검사 라인(100)의 관리자 등에 의해 X선 검사장치(10)의 운용 개시 전에 사전에 작성되고, X선 검사장치(10)의 운용 개시 후에 수정된다.
(3) X선 검사장치의 인증처리
도 9는 X선 검사장치(10)의 인증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1~S2는 X선 검사장치(10)의 인증처리의 개시 전에 미리 이루어지는, 홍채정보의 등록처리에 관한 것이다. 단계 S1~S2는 사전 준비에 관한 것이며, 임의의 순번으로 실행 가능하다. 단계 S3~S9는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 개시 전에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인증처리에 관한 것이다.
단계 S1에서는, 사용자의 홍채정보가 등록된다. 단계 S1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의 각 사용자는 홍채 촬상장치(60)를 사용하여 자신의 눈의 화상을 촬상하고, 자신의 홍채정보를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미리 등록해 둔다. 이 작업은 X선 검사장치(10)의 감도 조정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단계 S2에서는, 단계 S1에서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된 각 사용자에 대해,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는 처리에 관한 정보가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에 등록된다. 이 작업은 통상적으로 X선 검사장치(10) 또는 검사 라인(100)의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관리자는 X선 검사장치(10)의 모니터(40), 또는, X선 검사장치(10)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 등을 조작하여, 각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에 일괄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3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에 의한 사용자의 인증처리의 준비가 이루어진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을 개시하는 직전에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의 인증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4에서는, 사용자는 홍채 촬상장치(60)를 사용하여 자신의 눈의 화상을 촬상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의 실드 박스(11)로부터 홍채 촬상장치(60)를 분리하고, 홍채 촬상장치(60)의 보호 커버(60e)를 자신의 눈에 접근시킨다. 이로 인해, 홍채 촬상장치(60)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을 자동적으로 촬상한다.
단계 S5에서는, 단계 S4에서 촬상된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홍채정보가 취득된다. 단계 S5 이후의 처리는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단계 S6에서는, 단계 S5에서 취득된 사용자의 홍채정보가, 단계 S1에서 등록된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사용자는 인증되어 단계 S7로 이행(移行)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사용자는 인증되지 않아 단계 S8로 이행된다.
단계 S7에서는, 단계 S6에서 인증된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정보가, 단계 S2에서 등록된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로부터 취득된다.
단계 S8에서는, 단계 S7에서 취득된,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사용자가 실제로 X선 검사장치(10)에서 실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단계 S6에서 인증된 사용자, 및 단계 S7에서 취득된,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가, 모니터(4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모니터(40)를 참조하여 인증된 자신에 관한 정보(이름 및 소속 부서 등), 및 자신이 실행 가능한 처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인증된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의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9에서는, 단계 S6에서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의 홍채정보가,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되지 않은 것 등이 사용자에게 통보된다. 예를 들면, 「홍채정보가 미등록이므로, 장치를 조작할 수 없습니다.」 등의 경고 메시지가 모니터(40)에 표시된다.
(4) 특징
(4-1)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처리장치인 X선 검사장치(10)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을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위한 생체정보로서 이용한다. 이로 인해, 인증되어서는 안 되는 사용자가 인증되는 상황, 및 인증된 사용자와 실제 사용자가 일치되지 않는 상황의 발생이 회피된다. 따라서, X선 검사장치(10)는 인증된 사용자만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4-2)
X선 검사장치(10)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포함되는 홍채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홍채정보를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위한 생체정보로서 이용한다. 사용자의 홍채를 사용하는 생체 인증은 사용자의 지문을 사용하는 생체 인증과 동일한 정도의 높은 식별 능력을 가지는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으므로, 인증처리에 특히 적합하다. 첫째, 인간의 홍채의 모양은 복잡하므로,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적합하다. 둘째, 인간의 홍채의 모양은 장시간이 경과해도 거의 변화하지 않고, 또, 개찬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므로, 홍채정보는 한 번 등록하면 신뢰성이 높은 생체정보로서 반영구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셋째, 홍채 촬상장치(60)와 같은 비교적으로 소형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눈의 화상을 촬영하는 것만으로 비접촉 인증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인증처리를 위한 특별한 기기를 설치하는 공간을 크게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X선 검사장치(10)는 고정밀도 또한 고신뢰성의 인증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4-3)
X선 검사장치(10)가 설치되는 식품제조공장 등에서는, 사용자는 머리털이 식품(A)에 혼입되는 것, 및 피부의 세균이 식품(A)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눈 이외의 부분을 피복하는 작업복을 착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몸 중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은 사용자의 눈뿐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생체정보로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작업복을 착용한 채로 인증처리를 행하여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을 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인증처리를 행하기 위해 작업복을 탈의하여 몸의 일부를 노출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인증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자의 머리털이 식품(A)에 혼입되거나, 사용자의 피부의 세균이 식품(A)에 부착되는 문제의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X선 검사장치(10)는 제품의 안전성 및 질을 담보하기 위해 이물 혼입 및 부착을 가능한 한 방지할 필요가 있는 식품제조공장 등에서 특히 유용하다.
(4-4)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사용자와, 인증 후에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X선 검사장치(10)의 관리자(특별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를 조작하고, 사용자마다 실행 가능한 처리를 미리 일괄하여 설정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관리자만이 실행해야 하는 중요한 작업을 사용자가 실행하게 되는 상황의 발생이 회피된다. 이러한 중요한 작업은, 예를 들면, 식품(A)에 포함되는 이물 검출 정밀도의 조정 작업이며, 식품(A)의 안전성 및 질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기능 및 자격을 갖는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4-5)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홍채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X선 검사장치(10)의 관리자는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를 조작하여, 사용자마다 홍채정보를 등록 및 참조하는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5) 변형예
이상에서,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5-1) 변형예 A
실시형태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취득되는 홍채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를 대신하여, 사용자와, 사용자의 눈의 화상 데이터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가질 수도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마다 메인키인 사용자 식별정보와, 눈의 화상 데이터 또는 해당 화상 데이터 주소(저장 장소)가 관련되어지고 있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홍채 촬상장치(60)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을 촬상하는 기능을 가지지만, 촬상시에 사용자의 눈의 동영상을 촬상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X선 검사장치(10)는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를 대신하여, 사용자와, 사용자의 눈의 동영상 데이터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가질 수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마다 메인키인 사용자 식별정보와, 눈의 동영상 데이터 또는 해당 동영상 데이터 주소가 관련되어지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실시형태의 도 9의 단계 S1에서, 사용자의 홍채정보가 등록되는 대신에, 사용자의 눈의 화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또는 그 주소)가 등록된다. 그리고, 도 9의 단계 S6에서, 단계 S5에서 취득된 사용자의 홍채정보가, 단계 S1에서 등록된 눈의 화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취득된 홍채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5-2) 변형예 B
실시형태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사용자와, 인증 후에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를 대신하여,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와,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0은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의 일례이다. 도 11은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의 일례이다. 도 12는 본 변형예에서 제어장치(50)의 블록도이다.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는 사용자와, 인증레벨을 관련시켜 기억한다. 도 10에서는, 사용자마다 메인키인 사용자 식별정보와, 인증레벨이 관련되어지고 있다. 각 사용자에게 관련되어지는 인증레벨은 복수의 인증레벨 중 하나만이다. 여기서는, 가장 낮은 인증레벨은 1이며, 가장 높은 인증레벨은 4이다. 인증레벨은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권한 레벨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인증레벨이 1인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에서 식품(A)의 양부를 판정하기 위해 필요한 최저한의 처리만 실행할 수 있다. 인증레벨이 2인 사용자는, 또한, 식품(A)의 검사 속도, 및 반송 유닛(12)의 반송 방향 등의 동작 설정 정보를 제어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인증레벨이 3인 사용자는, 또한, 식품 제조 공정의 중요관리점(CCP)에서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식품 제조 공정의 중요관리점(CCP)에서의 처리란, 예를 들면, 실시형태의 감도 조정 처리 등, 이물 검출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검사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처리 외에, 식품(A)의 온도의(정기적인) 측정 결과의 기록 작업 및 측정 정밀도의 조정 작업, 및 식품(A)에 부착되고 있는 유해한 화학물질의 농도의(정기적인) 측정 결과의 기록 작업 및 측정 정밀도의 조정 작업 등이다. 인증레벨이 4인 사용자는, 또한, X선 검사장치(10)의 특별한 동작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특별한 동작 모드란, 예를 들면, X선 검사장치(10)의 긴급시의 대응 및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하기 위한 모드, 및 X선 검사장치(10)의 납입시에 특별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를 등록하는 작업을 행하기 위한 모드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1~4의 어느 하나의 인증레벨이 부여되고 있는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하여 식품(A)의 제조에 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눈의 화상에 포함되는 홍채정보에 의해 인증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는 인증레벨과, 인증된 경우에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도 11에서는, 인증레벨마다 메인키인 인증레벨과, 처리 식별정보가 관련되어지고 있다. 처리 식별정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인증된 경우에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비트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인증부(63)는 실시형태의 도 9의 단계 S7에서, 단계 S6에서 인증된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정보가,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 및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에 기초하여 취득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인증부(63)는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에 기초하여 인증된 사용자의 인증레벨을 취득한다. 다음에, 인증부(63)는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에 기초하여 인증된 사용자의 인증레벨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의 관리자는 인증레벨에 따라 사용자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그룹마다 설정할 수 있다. 즉, X선 검사장치(10)의 관리자는 사용자마다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본 변형예의 X선 검사장치(10)는 인증레벨마다 실행 가능한 처리를 사전에 설정하여, 각 사용자에게 인증레벨을 설정함으로써, 각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5-3) 변형예 C
변형예 B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와,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를 가진다. 인증부(63)는 인증된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정보가,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 및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에 기초하여 취득된다.
그러나, 변형예 B에서는, 인증부(63)는 복수의 인증레벨 중 가장 높은 인증레벨이 설정된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사용자의 눈의 화상 이외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에서는, 가장 높은 인증레벨은 4이다. 인증레벨이 4인 사용자는 특별한 기능 및 자격을 갖는 사람만이 실행하는 권한을 갖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최고의 인증레벨이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특별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는 자신의 눈의 화상에 포함되는 홍채정보에 의한 인증처리 외에, 홍채정보 이외의 방법에 의해도 인증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레벨이 4인 사용자는 모니터(40)를 사용하여 전용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인증처리를 행하고, 전용 모드로 X선 검사장치(10)를 동작시키고, 긴급시의 대응 및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변형예의 X선 검사장치(10)에서는, 예를 들면, 홍채 촬상장치(60) 등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와 같은 긴급시에서도, 최고의 인증레벨이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는 홍채정보에 의한 인증처리를 행하지 않고, 긴급시의 대응의 일례로서의 감도 조정 처리, 및 보수 점검 작업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홍채정보에 의한 인증처리 이외의 방법으로 인증처리를 행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 및 해당 사용자가 실행한 처리에 관한 정보 등이 기억부(52)에 자동적으로 기억될 수 있다.
(5-4) 변형예 D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은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의 일례이다. 도 14는 본 변형예에서 제어장치(50)의 블록도이다.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는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와, 관리부(64)에 의해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된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는 사용자마다 메인키인 사용자 식별정보와, 인증 후 처리 식별정보가 관련되어지고 있다. 인증 후 처리 식별정보는 사용자가 인증된 후에, 사용자가 실행 가능하게 된 처리를 나타낸다. 인증 후 처리 식별정보는 실시형태의 처리 식별정보와 동일하게, 처리부(61)에 의한 처리를 나타내는 비트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X선 검사장치(10)는 인증된 사용자와, 인증 후의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관련시켜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에 기억해 둠으로써, 식품(A)의 트레이서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내용이란, 실행된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처리 ID 등) 외, 처리 중에 취득한 데이터(값) 및 처리의 결과 등을 포함한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제어장치(50)는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에 포함되는 레코드의 변경 및 삭제를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는 레코드의 추가는 인정되지만, 레코드의 변경 및 삭제는 금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의 개찬이 방지되므로,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제어장치(50)는 다른 기록 매체로 레코드의 이행이 완료한 경우 등, 레코드의 저장이 담보되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해당 레코드를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5-5) 변형예 E
실시형태에서는, 도 9의 단계 S6에서는, 단계 S5에서 취득된 사용자의 홍채정보가, 단계 S1에서 등록된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그러나, 도 9의 단계 S6에서는, 단계 S5에서 취득된 사용자의 홍채정보(인증시 홍채정보)와, 단계 S1에서 등록된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포함되는 홍채정보(등록필 홍채정보)의 일치율에 기초하여 인증시 홍채정보가 등록필 홍채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증부(63)는 인증시 홍채정보의 비트열과, 등록필 홍채정보의 비트열을 비교하고, 비트의 일치율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인증시 홍채정보가 등록필 홍채정보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5-6) 변형예 F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는 실드 박스(11)의 브래킷으로부터 홍채 촬상장치(60)를 착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브래킷으로부터 분리한 홍채 촬상장치(60)를 자신의 눈에 접근시켜, 자신의 눈의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그러나, X선 검사장치(10)는 홍채 촬상장치(60)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일방이 조정 가능한 기구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눈의 위치에 맞추어 홍채 촬상장치(60)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브래킷으로부터 홍채 촬상장치(60)를 분리할 일 없이, 눈의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X선 검사장치(10)는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사용자의 눈의 화상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5-7) 변형예 G
실시형태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의 관리부(64)는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처리부(61)에 의한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한다. 그러나, 관리부(64)는 인증부(63)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인증부(63)에 의한 사용자의 재차 인증이 이루어질 때까지, 처리부(61)에 의한 처리를 실행 불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으로서, 일정한 길이의 시간이 설정될 수 있으며, 처리부(61)에 의한 처리의 필요 시간이 설정될 수 있으며, X선 검사장치(10)가 미조작인 상태가 유지된 시간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인증처리를 행하여 이물 혼입 검사가 실행 가능하게 되어도, 인증되었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인증처리를 재차 행하지 않으면 이물 혼입 검사를 속행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인증처리를 행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로부터 일시적으로 멀어져 있는 사이에,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눈의 화상에 기초한 인증처리를 행하는 일 없이, 이물 혼입 검사를 실행할 수 있는 문제의 발생이 억제된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X선 검사장치(10)는 인증된 사용자와 실제 사용자가 상이하는 경우에, 실제 사용자가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자가, 인증된 후에 이물 검출 정밀도의 조정 작업을 행하는 경우, 1회째의 조정 작업이 완료한 후에 재차의 조정 작업을 행하면, 2회째 이후의 조정 작업이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지 여부가 불명해지는 일이 있다. 이로 인해, 본 변형예에서는, 관리부(64)는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특정의 처리(예를 들면, 이물 검출 정밀도의 조정 작업)을 행한 경우에, 해당 사용자가 인증부(63)에 의해 재차 인증될 때까지, 처리부(61)에 의한 해당 특정의 처리를 실행 불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예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자는 이물 검출 정밀도의 조정 작업을 행할 때마다 인증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특별한 권한을 갖지 않는 사용자가 조정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 회피된다.
(5-8) 변형예 H
실시형태에서는, X선 검사장치(10)는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를 행하는 식품처리장치이며, 피검사물인 식품(A)에 대해 하나의 처리(이물 혼입 검사)를 행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식품처리장치는 복수의 처리를 연속적 또는 병렬적으로 행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식품처리장치는 X선 검사장치(10)와, X선 검사장치(10)의 하류 측에 위치되는 라벨 첩부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X선 검사장치(10) 및 라벨 첩부장치는 식품(A)의 생산 라인 상에서 서로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이 식품처리장치는 X선 검사장치(10) 및 라벨 첩부장치 중 일방의 장치의 인증처리를 사용자가 행함으로써, 타방의 장치의 인증처리가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동일하게, 식품처리장치가 3개 이상의 처리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해당 식품처리장치는 어느 하나의 처리장치의 인증처리를 사용자가 행함으로써, 그 외의 모든 처리장치의 인증처리가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5-9) 변형예 I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는 X선을 사용하여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를 행하는 X선 검사장치(10)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는 X선 검사장치(10)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식품처리장치는 식품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광(적외선, 자외선 및 가시광 등)에 의한 이물 검사장치, 식품(A)의 온도 관리장치, 식품(A)에 사용되는(차아염소산수 등의) 약제의 공급 관리장치, 및 식품(A)에 첩부되는 라벨의 인쇄장치일 수 있다.
식품처리장치가 라벨 인쇄장치인 경우, 사용자의 인증이 필요한 처리는, 예를 들면, 라벨에 인자되는 정보(상품명, 내용물, 내용량, 소비 기한, 단가, 알레르기 표시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정보)를 변경 및 결정하는 처리이다. 이 처리는 라벨에 인자되는 정보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식품(A)을 회수할 필요가 발생하기 때문에, 소정의 권한을 갖는 사용자, 또는, 변형예 B에서 소정의 인증레벨을 갖는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식품처리장치는 제1 실시형태의 식품처리장치와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이 유사하다. 식품처리장치는 X선을 사용하여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를 행하는 X선 검사장치(10)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X선 검사장치(10)와, 제1 실시형태의 X선 검사장치(10)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1) 구성
도 15는 본 실시형태의 X선 검사장치(10)의 제어장치(50)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X선 검사장치(10)는 무선 통신장치(70)를 더 구비한다. 제어장치(50)는 무선 통신장치(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50)의 제어부(51)는 판정부(66)를 더 가진다.
(1-1) 무선 통신장치
무선 통신장치(70)는 복수의 비콘 단말(80)과 무선 통신을 행한다. 비콘 단말(80)이란, 사용자에 의해 보지되는 표지(소형 휴대 기기)이다. 각 사용자는 하나의 비콘 단말(80)을 보지한 상태로, X선 검사장치(10)를 조작하여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를 행한다. 비콘 단말(80)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작업복의 포켓 등에 수용된다. 무선 통신부(70)는 비콘 단말(80)과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비콘 단말(80)은 내장되어 있는 건전지의 전력을 이용하여, 비콘이라고 불리는 소정의 길이의 신호를 소정의 주기로 송신한다. 비콘은 전파, 또는, 적외선 등의 전자파 신호이다. 비콘에는, 단말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말 식별정보란, 각 비콘 단말(80)에 부여되고, 비콘 단말(80)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무선 통신부(70)는 복수의 비콘 단말(80)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을 수신한다. 이로 인해, 무선 통신부(70)가 수신한 비콘에 포함되는 단말 식별정보로부터, 해당 비콘을 송신한 비콘 단말(80)을 특정할 수 있다.
(1-2) 제어장치
판정부(66)는 사용자가 소정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하, 이 「소정의 영역」을 인증 유효영역이라고 일컫는다. 인증 유효영역이란, X선 검사장치(10)의 근방의 영역이다. 근방의 영역이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작하고 있는 X선 검사장치(10)까지의 거리가 소정의 길이 이하인 영역이다.
도 16은 판정부(66)의 동작, 및 인증 유효영역(R)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나타낸 인증 유효영역(R)은 X선 검사장치(10)의 무선 통신장치(7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소정의 길이 L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이다. 소정의 길이 L은, 예를 들면, 5m이다. 도 16에는, 비콘 단말(80)을 보지하는 두 명의 사용자 U1, U2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U1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며, 사용자 U2는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판정부(66)는 사용자가 보지하는 비콘 단말(80)로부터 무선 통신장치(70)가 수신한 비콘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장치(70)와 비콘 단말(80) 사이의 거리가 길수록, 무선 통신장치(70)가 비콘 단말(80)로부터 수신하는 비콘의 신호 강도는 약해진다. 이로 인해, 판정부(66)는 무선 통신장치(70)가 수신한 비콘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에, 해당 비콘을 송신한 비콘 단말(80)은 무선 통신장치(70)를 중심으로 하는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검지된다. 반대로, 판정부(66)는 무선 통신장치(70)가 수신한 비콘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값보다 큰 경우에, 해당 비콘을 송신한 비콘 단말(80)은 무선 통신장치(70)를 중심으로 하는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한다고 검지한다. 판정부(66)는 비콘 단말(80)이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검지한 경우에, 해당 비콘 단말(80)을 보지하는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반대로, 판정부(66)는 비콘 단말(80)이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한다고 검지한 경우에, 해당 비콘 단말(80)을 보지하는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70)가 수신한 비콘에 포함되는 단말 식별정보로부터, 해당 비콘을 송신한 비콘 단말(80)을 특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판정부(66)는 복수의 비콘 단말(80)을 서로 구별하여 검지할 수 있으므로, 비콘 단말(80)을 보지하고 있는 각각의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 관리부(64)는 판정부(66)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인증부(63)에 의해 사용자가 인증된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관리부(64)는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부(66)가 판정한 경우에, 처리부(61)에 의한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제한다.
X선 검사장치(10)에서는, 사용자는 홍채 촬상장치(60)를 사용하여 촬상한 사용자의 눈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신의 인증처리를 행한다. 이로 인해, 인증부(63)에 의해 사용자가 인증되었을 때, 사용자는 홍채 촬상장치(60)의 근방, 즉,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한다. 인증된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하여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를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인증된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로부터 멀어져 인증 유효영역(R)의 밖으로 나온 경우, 판정부(66)에 의해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고, 관리부(64)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이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또, 기억부(52)는 비콘 단말정보 데이터베이스(73)를 더 가진다. 도 17은 비콘 단말정보 데이터베이스(73)의 일례이다. 비콘 단말정보 데이터베이스(73)는 사용자와, 사용자가 보지하는 비콘 단말(80)을 관련시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비콘 단말정보 데이터베이스(73)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비콘 단말(80)의 단말 식별정보가 관련되어지고, 또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메인키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사용자 식별정보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가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공통의 ID 번호이다. 단말 식별정보는 비콘 단말(80)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ID 번호이다. 각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식별정보에 관련되어지고 있는 단말 식별정보가 부여되고 있는 비콘 단말(80)만을 보지한다.
비콘 단말정보 데이터베이스(73)는, 예를 들면, X선 검사장치(10) 또는 검사 라인(100)의 관리자 등에 의해 X선 검사장치(10)의 운용 개시 전에 사전에 작성되고, X선 검사장치(10)의 운용 개시 후에 수정된다.
판정부(66)는 비콘 단말(80)이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여, 해당 비콘 단말(80)을 보지하는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처리에서는, 판정부(66)는 비콘 단말정보 데이터베이스(73)를 참조하여, 각 비콘 단말(80)을 보지하고 있는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2) 사용자의 자동 인증 해제 처리
다음에, 관리부(64)가 사용자의 인증을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처리(자동 인증 해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자동 인증 해제 처리는 X선 검사장치(10)의 제어장치(50)의 인증부(63)가,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를 인증하고 있는 동안에 실행된다. 도 18은 자동 인증 해제 처리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인증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11에서는, 도 9에 나타낸 인증처리에 의해 사용자가 인증된다. 인증된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의 근방의 인증 유효영역(R)에서 X선 검사장치(10)를 조작하여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단계 S12에서는,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 처리는 판정부(66)에 의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단계 S12의 판정 처리가 재차 실행된다. 한편,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3으로 이행된다.
단계 S13에서는, 단계 S11에서 인증된 사용자의 인증이 해제된다. 인증이 해제된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를 조작하여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를 실시할 수 없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를 재차 행하기 위해서는, 단계 S11의 인증처리를 재차 행할 필요가 있다.
(3) 특징
(3-1)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처리장치인 X선 검사장치(10)는 자동 인증 해제 처리의 기능을 가진다. 즉,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자가 인증처리를 행하여 인증된 후,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로부터 소정의 거리까지 멀어지면, 사용자가 인증되어 있는 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즉, 인증된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의 근방으로부터 멀어졌기 때문에 X선 검사장치(10)를 감시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해당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하여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를 행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인증처리를 재차 행하야 한다. 이로 인해, X선 검사장치(10)는 인증된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의 근방에 존재하지 않는 동안에, 인증되지 않은 다른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하여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를 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X선 검사장치(10)는 인증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에 의한 장치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
(3-2)
X선 검사장치(10)는 사용자가 보지하는 비콘 단말(80)을 이용하여, X선 검사장치(10)의 근방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고정밀도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X선 검사장치(10)는 비콘 단말(80)을 사용함으로써, 자동 인증 해제 처리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3)
X선 검사장치(10)는 무선 통신부(70)가 비콘 단말(80)로부터 수신한 비콘에 포함되는 단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비콘 단말(80)을 서로 구별하여 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X선 검사장치(10)는 비콘 단말(80)을 보지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의 근방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인증된 어떤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의 근방에서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를 행하고 있고, 해당 인증된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다른 사용자와 검사 작업을 교대하는 경우, 해당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의 근방에 있어도, 해당 인증된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로부터 멀어지면 인증이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이로 인해, 이전의 사용자와 검사 작업을 교대한 사용자는, 자신의 인증처리를 행하여 인증되지 않는 한,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를 행할 수 없다. 따라서, X선 검사장치(10)는 인증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가 자신이 인증되기 전에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변형예
이상에서,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A~I는 본 실시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4-1) 변형예 A
실시형태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의 자동 인증 해제 처리는 사용자가 보지하는 표지인 비콘 단말(80)을 이용하여, 판정부(66)가 X선 검사장치(10)의 근방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X선 검사장치(10)의 자동 인증 해제 처리는 비콘 단말(80) 이외의 무선 통신 단말을 사용자가 보지하는 표지로서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비콘 단말(80)을 대신하여, 패시브 타입의 IC 태그인 패시브 태그를 표지로서 보지할 수 있다. 패시브 태그는, 예를 들면, RFID를 이용한 RF 태그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보지하는 패시브 태그는 무선 통신부(70)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에너지원으로서, 수신한 해당 전파를 반사하고, 반사파에 다양한 정보를 담아 무선 통신부(70)로 반송(返送)할 수 있다. 패시브 태그가 자신의 식별정보를 반사파의 신호에 포함함으로써, 무선 통신부(70)는 복수의 패시브 태그를 서로 구별할 수 있다. 또, 판정부(66)는 사용자가 보지하는 패시브 태그로부터 무선 통신장치(70)가 수신한 반사파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즉, 패시브 태그는 실시형태의 비콘 단말(80)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패시브 태그는 비콘 단말(80)과 비교하여, 무선 통신장치(70)로부터 수신 가능한 거리가 짧다. 그러나, 패시브 태그는 비콘 단말(80)과 비교하여 염가이며, 또한,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거의 항구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또, 패시브 태그는 매우 경량이므로, 예를 들면, 사용자의 작업복에 패시브 태그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X선 검사장치(10)는 비콘 단말(80) 및 패시브 태그 등의 표지를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부(66)가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X선 검사장치(10) 및 그 주변의 화상 또는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상하고, 취득된 화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해석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부(66)가 판정할 수 있다. 또, 레이저 센싱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부(66)가 판정할 수 있다.
(4-2) 변형예 B
실시형태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인증된 사용자의 인증이 해제된다. 즉,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부(66)가 판정하는 순간에, 관리부(64)는 해당 사용자의 인증을 해제한다.
그러나, 관리부(64)는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소정의 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의 인증을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66)는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지 않게 된 시점에서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분~3분 정도의 단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지 않은 것을 검지한 경우에,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X선 검사장치(10)가 설치되어 있는 방의 조명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나갔다가 동일한 인증 유효영역(R)에 바로 돌아오는 경우라도, 사용자의 인증이 해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인증처리를 재차 행할 필요가 없다.
(4-3) 변형예 C
실시형태에서는, X선 검사장치(10)는 무선 통신부(70)가 비콘 단말(80)로부터 수신한 비콘에 포함되는 단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비콘 단말(80)을 서로 구별하여 검지할 수 있다. 그러나, X선 검사장치(10)는 복수의 비콘 단말(80)을 서로 구별하여 검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임의의 비콘 단말(80)을 보지할 수 있다.
(4-4) 변형예 D
실시형태에서는, X선 검사장치(10) 또는 검사 라인(100)의 관리자 등에 의해 미리 작성되는 비콘 단말정보 데이터베이스(73)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식별정보에 관련되어지고 있는 단말 식별정보가 부여되고 있는 비콘 단말(80)을 보지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임의의 비콘 단말(80)을 보지한 상태로,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되었을 때, 자신이 보지하고 있는 비콘 단말(80)과 관련되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비콘 단말정보 데이터베이스(73)는 사용자가 인증되었을 때 갱신된다. 구체적으로는, X선 검사장치(10)의 판정부(66)는 사용자가 인증되었을 때, 해당 사용자가 보지하고 있는 비콘 단말(80)로부터 무선 통신부(70)가 수신한 비콘에 포함되는 단말 식별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보지하고 있는 비콘 단말(80)을 특정한다. 그리고, 제어장치(50)는 인증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와, 인증된 사용자가 보지하고 있는 비콘 단말(80)의 단말 식별정보를 관련시켜, 비콘 단말정보 데이터베이스(73)에 등록한다.
(4-5) 변형예 E
실시형태에서는, 인증부(63)에 의해 사용자가 인증된 후에, 판정부(66)는 사용자가 보지하는 비콘 단말(80)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인증 유효영역(R) 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부(66)가 판정한 경우에만, 인증부(63)는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허가할 수 있다.
(4-6) 변형예 F
실시형태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의 관리부(64)는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처리부(61)에 의한 식품(A)에 대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여기서, X선 검사장치(10)는 식품(A)에 대해 제1종 처리와 제2종 처리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종류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1종 처리란,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만이 실행 가능한 처리이다. 제2종 처리란,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 및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를 포함하는, 모든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이다. 제1종 처리는 인증이 필요한 처리이며, 예를 들면,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의 처리이다. 제2종 처리는 인증이 불필요한 처리이며, 예를 들면, 모니터(40)를 조작하여 현재 설정을 참조하는 처리이다. 제1종 처리 및 제2종 처리에 관한 정보는 기억부(52)에 기억되고, 관리부(64)는 사용자가 실행하는 처리가, 제1종 처리 및 제2종 처리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X선 검사장치(10)는 사용자의 인증이 필요한 제1종 처리와, 사용자의 인증이 불필요한 제2종 처리를 구별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권한을 필요로 하는 중요한 처리(제1종 처리)를 행하지 않는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행하는 필요가 없다. 이러한 사용자는 비콘 단말(80)을 보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준비가 필요한 비콘 단말(80)의 수를 줄일 수 있다.
(4-7) 변형예 G
실시형태에서는, X선 검사장치(10)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포함되는 홍채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홍채정보를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위한 생체정보로서 이용한다. 그러나, X선 검사장치(10)는 홍채 이외의 생체정보를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X선 검사장치(10)는 지문, 성문(聲紋) 및 얼굴의 형상 등을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또, X선 검사장치(10)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X선 검사장치(10)는 사용자가 설정한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1)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식품처리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본 실시형태의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식품처리장치는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처리장치와,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이 유사하다. 식품처리장치는 X선을 사용하여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를 행하는 X선 검사장치(10)이다. 이하, X선 검사장치(10)에 관해서는, 본 실시형태의 X선 검사장치(10)와, 제1 실시형태의 X선 검사장치(10)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의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은 주로 복수의 X선 검사장치(10)와, 하나의 관리 서버(210)로 구성되어 있다. X선 검사장치(10)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에 의해 관리되는 식품처리장치이다. 관리 서버(210)는 네트워크(220)를 통해 각 X선 검사장치(10)와 접속되어 있다.
(2) X선 검사장치의 구성
도 20은 X선 검사장치(10)의 제어장치(50)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제어장치(50)와, 제1 실시형태의 제어장치(50)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2-1) 제어부
제어부(51)는 주로 처리부(61)와, 촬상부(62)와, 관리부(64)를 가진다. 제어부(51)는 주로 CPU, ROM 및 RAM으로 구성된다.
(2-1-1) 촬상부
제어장치(50)는 수신한 사용자의 눈의 화상을 관리 서버(210)로 송신한다. 관리 서버(210)는 제어장치(5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눈의 화상을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행하고, 제어장치(50)로 인증 결과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210)는 각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2-1-2) 관리부
관리부(64)는 관리 서버(210)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처리부(61)에 의한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관리부(64)는 관리 서버(210)가 사용자를 인증하면, 인증된 사용자가, 처리부(61)에 의한 감도 조정 처리를 개시할 수 있도록, X선 검사장치(1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관리부(64)는 관리 서버(210)가 사용자를 인증한 경우에,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화면을 모니터(40)에 표시한다.
(2-2) 기억부
기억부(52)는 주로 HDD로 구성된다. 기억부(52)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를 가진다. 도 7은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의 일례이다.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는 사용자와, 관리부(64)에 의해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처리 식별정보가 관련되어지고, 또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메인키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ID 번호이다. 처리 식별정보는 관리 서버(210)에 의해 인증된 경우에,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하여 실행 가능한 처리를 나타내는 비트열이다. 처리 식별정보의 각 비트는 대응하는 「실행 가능한 처리」를 나타낸다.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는, 예를 들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관리자 등에 의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운용 개시 전에 사전에 작성되고, 운용 개시 후에 수정된다.
(3) 관리 서버의 구성
관리 서버(210)는 LAN 케이블 등을 통해 각 X선 검사장치(10)와 접속되어 있는 퍼서널 컴퓨터이다.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관리자는 관리 서버(210)를 조작하여, 복수의 X선 검사장치(10)를 일괄하여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210)는 주로 CPU, ROM, RAM 및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HDD를 대신하여 SSD(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1은 관리 서버(210)의 블록도이다. 관리 서버(210)는 주로 제어부(211)와, 기억부(212)를 가진다.
제어부(211)는 주로 CPU, ROM 및 RAM으로 구성된다. 제어부(211)는 인증부(63) 및 등록부(65)를 가진다. 이들은 각각 기억부(21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이다. 기억부(212)는 주로 HDD로 구성된다. 기억부(212)는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를 가진다.
(3-1) 인증부
인증부(63)는 X선 검사장치(10)의 제어장치(50)로부터 송신된, 사용자의 눈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행한다. 인증부(63)는 인증처리에 사용한 눈의 화상을 송신한 제어장치(50)로 인증 결과를 반송(返送)한다. 사용자의 인증처리는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 개시 전에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된 경우에만, X선 검사장치(10)의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인증부(63)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사용자의 홍채에 상당되는 부분을 추출한다. 다음에, 인증부(63)는 사용자의 홍채 부분만의 화상을 전용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홍채정보로 변환한다. 홍채정보는 생체 인증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는 소정 길이의 비트열이다.
다음에, 인증부(63)는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 개시 전에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변환된 홍채정보(인증시 홍채정보)가, 등록부(65)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홍채정보(후술의 등록필 홍채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인증부(63)는 인증시 홍채정보가 등록필 홍채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X선 검사장치(10)의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사용자가 가진다고 판정한다. 한편, 인증부(63)는 인증시 홍채정보가 등록필 홍채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X선 검사장치(10)의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사용자가 가지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인증된 사용자란, X선 검사장치(10)의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고 인증부(63)에 의해 판정된 사용자이다.
(3-2) 등록부
등록부(65)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관한 데이터를 등록한다. 구체적으로는, 등록부(65)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운용을 개시하기 전에,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사용자에 대해, 각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변환된 홍채정보를 등록한다. 등록부(65)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등록필 홍채정보를 관련시켜,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한다. 사용자 식별정보란,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ID 번호이다. 이 ID 번호는, 예를 들면, 복수의 영숫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이다. 등록필 홍채정보란, X선 검사장치(10)의 촬상부(62)에 의해 미리 촬상된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변환된, 생체 인증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는 비트열이다.
(3-3)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
도 8은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의 일례이다.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는 사용자와, 등록부(65)에 의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홍채정보(등록필 홍채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등록필 홍채정보가 관련되어지고, 또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메인키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사용자 식별정보는 X선 검사장치(10)의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가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공통의 ID 번호이다. 등록필 홍채정보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변환된, 생체 인증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는 비트열이다.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는, 예를 들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관리자 등에 의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운용 개시 전에 사전에 작성되고, 운용 개시 후에 수정된다.
사용자는 임의의 X선 검사장치(10)의 홍채 촬상장치(60)를 사용하여 자신의 눈의 화상을 촬상함으로써, 자신의 홍채정보를 관리 서버(210)의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미리 등록할 수 있다.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는 모든 X선 검사장치(10)의 인증처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각 사용자의 홍채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이로 인해, 관리 서버(210)는 모든 X선 검사장치(10)의 각 사용자의 홍채정보를 일괄하여 관리할 수 있다.
(4) X선 검사장치의 인증처리
도 9는 X선 검사장치(10)의 인증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1~S2는 X선 검사장치(10)의 인증처리의 개시 전에 미리 이루어지는, 홍채정보의 등록처리에 관한 것이다. 단계 S1~S2는 사전 준비에 관한 것이며, 임의의 순번으로 실행 가능하다. 단계 S3~S9는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 개시 전에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인증처리에 관한 것이다.
단계 S1에서는, 사용자의 홍채정보가 등록된다. 단계 S1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의 각 사용자는 임의의 X선 검사장치(10)의 홍채 촬상장치(60)를 사용하여 자신의 눈의 화상을 촬상하고, 자신의 홍채정보를 관리 서버(210)의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미리 등록해 둔다. 이 작업은 X선 검사장치(10)의 감도 조정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단계 S2에서는, 단계 S1에서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된 각 사용자에 대해,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는 처리에 관한 정보가 각 X선 검사장치(10)의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에 등록된다. 이 작업은 통상적으로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관리자는 각 X선 검사장치(10)의 모니터(40), 또는, 관리 서버(210) 등을 조작하여, 각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각 X선 검사장치(10)의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에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3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에 의한 사용자의 인증처리의 준비가 이루어진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을 개시하는 직전에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의 인증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4에서는,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의 홍채 촬상장치(60)를 사용하여 자신의 눈의 화상을 촬상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의 실드 박스(11)로부터 홍채 촬상장치(60)를 분리하고, 홍채 촬상장치(60)의 보호 커버(60e)를 자신의 눈에 접근시킨다. 이로 인해, X선 검사장치(10)의 촬상부(62)는 홍채 촬상장치(60)로 사용자의 눈의 화상을 자동적으로 촬상한다.
단계 S5에서는, 단계 S4에서 촬상된 사용자의 눈의 화상이 관리 서버(210)로 송신되고, 관리 서버(210)의 인증부(63)에 의해, 송신된 눈의 화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홍채정보가 취득된다. 단계 S5 이후의 처리는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단계 S6에서는, 관리 서버(210)의 인증부(63)에 의해, 단계 S5에서 취득된 사용자의 홍채정보가, 단계 S1에서 등록된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사용자는 인증되며, 단계 S7로 이행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사용자는 인증되지 않으며, 단계 S9로 이행한다. 단계 S6에서는, 관리 서버(210)는 판정 결과(인증 결과)를, 단계 S5에서 눈의 화상을 송신한 X선 검사장치(10)로 송신한다. 이후의 단계 S7~S9의 처리는 관리 서버(210)로부터 판정 결과를 수신한 X선 검사장치(10)의 관리부(64)에 의해 이루어진다.
단계 S7에서는, 단계 S6에서 인증된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정보가, 단계 S2에서 등록된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로부터 취득된다.
단계 S8에서는, 단계 S7에서 취득된,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사용자가 실제로 X선 검사장치(10)에서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때, 단계 S6에서 인증된 사용자, 및 단계 S7에서 취득된,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가, 모니터(4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모니터(40)를 참조하여, 인증된 자신에 관한 정보(이름 및 소속 부서 등), 및 자신이 실행 가능한 처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인증된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의 감도 조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9에서는, 단계 S6에서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의 홍채정보가,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되지 않은 것 등이 사용자에게 통보된다. 예를 들면, 「홍채정보가 미등록이므로, 장치를 조작할 수 없습니다.」등의 경고 메시지가 모니터(40)에 표시된다.
(5) 특징
(5-1)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은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자의 인증처리에 필요한 사용자의 홍채정보를, 관리 서버(210)에서 일원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은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을 갖는 복수의 X선 검사장치(10)를 관리할 때에, 사용자의 인증처리에 사용되는 생체정보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인증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일원 관리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행한 작업의 순번 및 각 작업에 소요된 시간을 사용자마다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작업 내용의 사후 검토 및 작업 순서의 개선에 관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은 부정한 인증처리가 이루어졌는지 여부의 체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부정한 인증처리란, 예를 들면, 동일한 사용자가, 서로 멀어진 위치에 있는 복수의 X선 검사장치(10)로 동시에 행한 인증처리 등, 인증된 사용자와, 인증 후에 실제 처리를 행한 사용자의 불일치가 의심되는 인증처리이다.
(5-2)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에서는, 어느 하나의 X선 검사장치(10)의 홍채 촬상장치(6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눈의 화상을 촬상하면, 눈의 화상으로부터 취득된 사용자의 홍채정보가, 관리 서버(210)의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된다. 관리 서버(210)는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된 홍채정보를 사용하여,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자의 인증을 행한다. 즉, 사용자는 임의의 X선 검사장치(10)로 홍채정보를 한 번 등록하면, 그 후는 모든 X선 검사장치(10)로 인증처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든 X선 검사장치(10)에 홍채정보를 등록할 필요가 없으므로,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인증처리에 사용되는 생체정보의 등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5-3)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에서는, 각 X선 검사장치(10)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를 가진다.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는 사용자와, 인증된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따라서,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은 X선 검사장치(10)마다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관리할 수 있다.
(5-4)
X선 검사장치(10)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을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위한 생체정보로서 이용한다. 이로 인해, 인증되어서는 안 되는 사용자가 인증되는 상황, 및 인증된 사용자와 실제 사용자가 일치되지 않는 상황의 발생이 회피된다. 따라서, X선 검사장치(10)는 인증된 사용자만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5-5)
X선 검사장치(10)는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포함되는 홍채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홍채정보를 사용자의 인증처리를 위한 생체정보로서 이용한다. 사용자의 홍채를 사용하는 생체 인증은 사용자의 지문을 사용하는 생체 인증과 동일한 정도의 높은 식별 능력을 가지는바, 이하 후술하는 것과 같은 이점이 있으므로, 인증처리에 특히 적합하다. 첫째, 인간의 홍채의 모양은 복잡하므로,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적합하다. 둘째, 인간의 홍채의 모양은 장시간이 경과해도 거의 변화하지 않고, 또, 개찬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므로, 홍채정보는 한 번 등록하면 신뢰성이 높은 생체정보로서 반영구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셋째, 홍채 촬상장치(60)와 같은 비교적으로 소형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눈의 화상을 촬영하는 것만으로 비접촉 인증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인증처리를 위한 특별한 기기를 설치하는 공간을 크게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X선 검사장치(10)는 고정밀도 또한 고신뢰성의 인증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5-6)
X선 검사장치(10)가 설치되는 식품제조공장 등에서는, 사용자는 머리털이 식품(A)에 혼입되는 것, 및 피부의 세균이 식품(A)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눈 이외의 부분을 피복하는 작업복을 착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몸 중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은 사용자의 눈뿐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생체정보로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작업복을 착용한 채로 인증처리를 행하여 X선 검사장치(10)의 사용을 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인증처리를 행하기 위해 작업복을 탈의하여 몸의 일부를 노출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인증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자의 머리털이 식품(A)에 혼입되거나, 사용자의 피부의 세균이 식품(A)에 부착되는 문제의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X선 검사장치(10)는 제품의 안전성 및 질을 담보하기 위해 이물 혼입 및 부착을 가능한 한 방지할 필요가 있는 식품제조공장 등에서 특히 유용하다.
(5-7)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사용자와, 인증 후에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관리자(특별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를 조작하여, 사용자마다 실행 가능한 처리를 미리 일괄하여 설정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관리자만이 실행해야 하는 중요한 작업을 사용자가 실행하게 되는 상황의 발생이 회피된다. 이러한 중요한 작업은, 예를 들면, 식품(A)에 포함되는 이물 검출 정밀도의 조정 작업이며, 식품(A)의 안전성 및 질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기능 및 자격을 갖는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여기서, 관리자만이 실행해야 하는 중요한 작업이란, 예를 들면, 식품(A)에 포함되는 이물 검출 정밀도의 조정 작업 등, 식품 제조 공정의 중요관리점(CCP)에서의 처리이다. 이러한 처리에는, 그 외 식품(A)의 온도의 측정 정밀도의 조정 작업, 및 식품(A)에 부착하고 있는 유해한 화학물질의 농도의 측정 정밀도의 조정 작업 등이 포함된다. X선 검사장치(10)에서는, 예를 들면, 식품(A)에 포함되는 이물 검출을 높은 정밀도로 행하기 위해서는, 관리자에 의한 사전 조정 또는 정기 점검에 의해, 이물 검출 정밀도가 적절하게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X선 검사장치(10)는 식품(A)의 안전성 및 질을 담보하기 위해, 특별한 권한을 갖는 관리자에 의한 이물 검출 정밀도의 조정이 사전에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특별한 권한을 갖지 않는 사용자에 의한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가 개시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X선 검사장치(10)의 이물 검출 정밀도의 저하에 기인하는, 식품(A)의 이물 혼입 검사에서 이물 검출 에러 등의 문제의 발생이 억제된다.
(5-8)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눈의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홍채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관리자는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72)를 조작하여, 사용자마다 홍채정보를 등록 및 참조하는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6) 변형예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A, C, E, F, H, I는 본 실시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6-1) 변형예 A
실시형태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사용자와, 인증 후에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를 대신하여,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와,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0은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의 일례이다. 도 11은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의 일례이다. 도 22는 본 변형예에서 제어장치(50)의 블록도이다.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는 사용자와, 인증레벨을 관련시켜 기억한다. 도 10에서는, 사용자마다 메인키인 사용자 식별정보와, 인증레벨이 관련되어지고 있다. 각 사용자에게 관련되어지는 인증레벨은 복수의 인증레벨 중 하나만이다. 여기서는, 가장 낮은 인증레벨은 1이며, 가장 높은 인증레벨은 4이다. 인증레벨은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권한 레벨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인증레벨이 1인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에서 식품(A)의 양부를 판정하기 위해 필요한 최저한의 처리만 실행할 수 있다. 인증레벨이 2인 사용자는, 또한, 식품(A)의 검사 속도, 및 반송 유닛(12)의 반송 방향 등의 동작 설정 정보를 제어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인증레벨이 3인 사용자는, 또한, 식품 제조 공정의 중요관리점(CCP)에서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식품 제조 공정의 중요관리점(CCP)에서의 처리란, 예를 들면, 실시형태의 감도 조정 처리 등, 이물 검출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검사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처리 외에, 식품(A)의 온도의(정기적인) 측정 결과의 기록 작업 및 측정 정밀도의 조정 작업, 및 식품(A)에 부착되고 있는 유해한 화학물질의 농도의(정기적인) 측정 결과의 기록 작업 및 측정 정밀도의 조정 작업 등이다. 인증레벨이 4인 사용자는, 또한, X선 검사장치(10)의 특별한 동작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특별한 동작 모드란, 예를 들면, X선 검사장치(10)의 긴급시의 대응 및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하기 위한 모드, 및 X선 검사장치(10)의 납입시에 특별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를 등록하는 작업을 행하기 위한 모드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1~4의 어느 하나의 인증레벨이 부여되고 있는 사용자는 X선 검사장치(10)를 사용하여 식품(A)의 제조에 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눈의 화상에 포함되는 홍채정보에 의해 인증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는 인증레벨과, 인증된 경우에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도 11에서는, 인증레벨마다 메인키인 인증레벨과, 처리 식별정보가 관련되어지고 있다. 처리 식별정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인증된 경우에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비트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인증부(63)는 실시형태의 도 9의 단계 S7에서, 단계 S6에서 인증된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정보가,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 및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에 기초하여 취득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인증부(63)는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에 기초하여 인증된 사용자의 인증레벨을 취득한다. 다음에, 인증부(63)는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에 기초하여 인증된 사용자의 인증레벨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관리자는 인증레벨에 의해 사용자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그룹마다 설정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사용자마다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본 변형예의 X선 검사장치(10)는 인증레벨마다 실행 가능한 처리를 사전에 설정하고, 각 사용자에게 인증레벨을 설정함으로써, 각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6-2) 변형예 B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은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의 일례이다. 도 23은 본 변형예에서 제어장치(50)의 블록도이다.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는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와, 관리부(64)에 의해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된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는 사용자마다 메인키인 사용자 식별정보와, 인증 후 처리 식별정보가 관련되어지고 있다. 인증 후 처리 식별정보는 사용자가 인증된 후에, 사용자가 실행 가능하게 된 처리를 나타낸다. 인증 후 처리 식별정보는 실시형태의 처리 식별정보와 동일하게, 처리부(61)에 의한 처리를 나타내는 비트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X선 검사장치(10)는 인증된 사용자와, 인증 후의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관련시켜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에 기억해 둠으로써, 식품(A)의 트레이서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내용이란, 실행된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처리 ID 등) 외, 처리 중에 취득한 데이터(값) 및 처리의 결과 등을 포함한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제어장치(50)는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에 포함되는 레코드의 변경 및 삭제를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는 레코드의 추가는 인정되지만, 레코드의 변경 및 삭제는 금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의 개찬이 방지되므로,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제어장치(50)는 다른 기록 매체로의 레코드의 이행이 완료한 경우 등, 레코드의 저장이 담보되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해당 레코드를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가 아니라, 관리 서버(210)의 기억부(212)가,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를 기억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는 관리 서버(210)에 접속되어 있는 X선 검사장치(10)마다,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와, 관리부(64)에 의해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된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이로 인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은 인증된 사용자와, 인증 후의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관련시켜, 복수의 X선 검사장치(10)에 걸쳐 일괄하여 관리할 수 있다.
(6-3) 변형예 C
실시형태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의 관리부(64)는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처리부(61)에 의한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한다. 그러나, 관리부(64)는 인증부(63)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인증부(63)에 의한 사용자의 재차 인증이 이루어질 때까지, 처리부(61)에 의한 처리를 실행 불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으로서, 일정한 길이의 시간이 설정될 수 있고, 처리부(61)에 의한 처리의 필요 시간이 설정될 수 있고, X선 검사장치(10)가 미조작인 상태가 유지된 시간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인증처리를 행하여 이물 혼입 검사가 실행 가능하게 되어도, 인증되었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인증처리를 재차 행하지 않으면 이물 혼입 검사를 속행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인증처리를 행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X선 검사장치(10)로부터 일시적으로 멀어져 있는 사이에,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눈의 화상에 기초한 인증처리를 행하는 일 없이, 이물 혼입 검사를 실행할 수 있는 문제의 발생이 억제된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X선 검사장치(10)는 인증된 사용자와 실제 사용자가 상이하는 경우에, 실제 사용자가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관리자가, 인증된 후에 이물 검출 정밀도의 조정 작업을 행하는 경우, 1회째의 조정 작업이 완료한 후에 재차의 조정 작업을 행하면, 2회째 이후의 조정 작업이 인증된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진지 여부가 불명해지는 일이 있다. 이로 인해, 본 변형예에서는, 관리부(64)는 인증부(63)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특정의 처리(예를 들면, 이물 검출 정밀도의 조정 작업)을 행한 경우에, 해당 사용자가 인증부(63)에 의해 재차 인증될 때까지, 처리부(61)에 의한 해당 특정의 처리를 실행 불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예에서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관리자는 이물 검출 정밀도의 조정 작업을 행할 때마다 인증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특별한 권한을 갖지 않는 사용자가 조정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 회피된다.
(6-4) 변형예 D
변형예 D에서는 각 X선 검사장치(10)가,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제2 기억부) 및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제3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관리 서버(210)가,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 및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3)의 일방 또는 양방을 구비할 수도 있다.
(6-5) 변형예 E
실시형태에서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의 각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가 아니라, 관리 서버(210)의 기억부(212)가, 각 X선 검사장치(10)의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를 가질 수도 있다.
또, 변형예 B에서는,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는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71)를 대신하여,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와,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X선 검사장치(10)의 기억부(52)가 아니라, 관리 서버(210)의 기억부(212)가, 각 X선 검사장치(10)의 인증레벨 데이터베이스(171) 및 레벨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172)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200)은 사용자와, 인증된 사용자가 각 X선 검사장치(10)에서 실행할 수 있는 처리를 관련시켜, 복수의 X선 검사장치(10)에 걸쳐 일괄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처리장치는 인증된 사용자만이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식품의 안전성 및 품질을 담보하기 위해 유용하다.
10 X선 검사장치(식품처리장치)
60 홍채 촬상장치(촬상장치)
61 처리부
62 촬상부(생체정보 취득부)
63 인증부
64 관리부
66 판정부
71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제2 기억부)
72 홍채정보 데이터베이스(제4 기억부)
73 비콘 단말정보 데이터베이스(제1 기억부)
80 비콘 단말(표지)
173 인증 후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제3 기억부)
200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A 식품
R 인증 유효영역(소정의 영역)

Claims (25)

  1. 식품을 제조하는 라인에서 상기 식품을 처리하는 식품처리장치로서,
    상기 식품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
    상기 식품처리장치의 사용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장치,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상기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처리부에 의한 상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의 홍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행하는,
    식품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부에 의한 상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식품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식품처리장치의 근방의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상기 판정부가 판정한 경우에, 상기 처리부에 의한 상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식품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사용자가 보지(保持)하는 표지가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식품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상기 표지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제1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정부는 복수의 상기 표지를 서로 구별하여 검지할 수 있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표지가,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식품처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상기 관리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상기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제2 기억부를 더 포함하는, 식품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는
    복수의 인증레벨의 하나로서, 상기 사용자마다 설정된 상기 인증레벨과,
    상기 인증레벨마다 설정되고, 상기 관리부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상기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식품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또한, 복수의 상기 인증레벨 중 가장 높은 상기 인증레벨이 설정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상기 사용자의 눈의 화상 이외에 기초하여 행하는, 식품처리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식품에 대해, 제1종 처리와 제2종 처리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종류의 상기 처리를 행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상기 사용자만이 상기 처리부에 의한 상기 제1종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하고, 또한, 모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처리부에 의한 상기 제2종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하는, 식품처리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상기 사용자와, 상기 관리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된 상기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제3 기억부를 더 포함하는, 식품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억부는 관련시켜 기억된,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상기 사용자와, 상기 관리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된 상기 처리에 대한 변경 및 삭제를 접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식품처리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상기 사용자의 눈의 화상과, 상기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제4 기억부를 더 포함하는, 식품처리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눈의 위치에 맞추어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일방이 조정 가능한, 식품처리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인증부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인증부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재차 인증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처리부에 의한 상기 처리를 실행 불가능한 상태로 하는, 식품처리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식품에 포함되는 이물(異物)의 유무를 판정하는 상기 처리를 행하는, 식품처리장치.
  16. 식품을 제조하는 라인에서 상기 식품을 처리하는 복수의 식품처리장치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식품처리장치의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취득하는 생체정보 취득부,
    상기 사용자마다 상기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생체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하나의 제1 기억부,
    상기 식품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실행 가능 여부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부,
    상기 생체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부,
    상기 제2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실행 가능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식품처리장치에 의한 상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의 홍채의 정보인,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식품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처리장치는 상기 식품에 포함되는 이물의 유무를 판정하는 상기 처리를 행하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식품처리장치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생체정보 취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억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생체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식품처리장치의 각각은 상기 제2 기억부를 포함하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상기 사용자와, 상기 관리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된 상기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제3 기억부를 더 포함하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억부는 관련시켜 기억된,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상기 사용자와, 상기 관리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된 상기 처리에 대한 변경 및 삭제를 접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억부는 상기 식품처리장치마다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상기 사용자와, 상기 관리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된 상기 처리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실행 가능 여부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25. 식품을 처리하는 복수의 식품처리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식품처리장치의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사용자마다 상기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생체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고,
    상기 식품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실행 가능 여부 정보를 기억하고,
    취득된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관련시켜 기억되어 있는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행하고,
    기억되어 있는 상기 실행 가능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식품처리장치에 의한 상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하고,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눈의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의 홍채의 정보인, 식품처리장치 관리방법.
KR1020207011472A 2017-10-02 2018-10-02 식품처리장치,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및 식품처리장치 관리방법 KR102388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3054A JP2019066359A (ja) 2017-10-02 2017-10-02 食品処理装置
JPJP-P-2017-193053 2017-10-02
JPJP-P-2017-193054 2017-10-02
JP2017193055A JP2019067213A (ja) 2017-10-02 2017-10-02 食品処理装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食品処理装置管理方法
JP2017193053A JP2019067212A (ja) 2017-10-02 2017-10-02 食品処理装置
JPJP-P-2017-193055 2017-10-02
PCT/JP2018/036945 WO2019069952A1 (ja) 2017-10-02 2018-10-02 食品処理装置、食品処理装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食品処理装置管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052A true KR20200057052A (ko) 2020-05-25
KR102388464B1 KR102388464B1 (ko) 2022-04-19

Family

ID=6599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472A KR102388464B1 (ko) 2017-10-02 2018-10-02 식품처리장치,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및 식품처리장치 관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265226A1 (ko)
EP (1) EP3693875B1 (ko)
KR (1) KR102388464B1 (ko)
CN (1) CN111133432A (ko)
WO (1) WO2019069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6155B1 (ja) * 2019-12-27 2021-06-16 国立大学法人鳥取大学 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カート
JP2023033783A (ja) * 2021-08-30 2023-03-13 株式会社イシダ 物品処理システム
EP4242887A1 (en) 2022-03-08 2023-09-13 Mettler-Toledo Safeline X-Ray Limited Method for handling product settings of operating parameters of a product inspection system, product inspec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843A (ja) * 2004-01-08 2005-07-21 Oki Electric Ind Co Ltd アイリス認証システム
JP2008510216A (ja) * 2004-08-10 2008-04-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マルチ認証ログオン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8296201A (ja) * 2007-06-04 2008-12-11 Anritsu Sanki System Co Ltd 重量選別装置
JP2014071072A (ja) * 2012-10-01 2014-04-21 Anritsu Sanki System Co Ltd 物品検査装置
WO2017056986A1 (ja) * 2015-09-28 2017-04-06 株式会社ワークソリューション 殺菌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4727B1 (en) * 1998-11-25 2002-07-23 Iridia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animal identification and animal transaction authorization using iris patterns
US7530113B2 (en) * 2004-07-29 2009-05-0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an industrial automation system
US20060045284A1 (en) * 2004-08-25 2006-03-02 Phonak Ag Hearing protection earplu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tecting an earplug
JP2007004630A (ja) * 2005-06-24 2007-01-11 Daikin Ind Ltd 入場管理システム
JP4929803B2 (ja) * 2006-04-10 2012-05-09 富士通株式会社 認証方法、認証装置、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JP5087502B2 (ja) * 2008-09-03 2012-12-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操作ログ管理装置及び操作ログ管理方法
KR101046459B1 (ko) * 2010-05-13 2011-07-04 아이리텍 잉크 다수의 홍채템플릿을 이용한 홍채인식장치 및 방법
JP2012243046A (ja) * 2011-05-19 2012-12-10 Yaskawa Electric Corp 生産設備システムおよび自動設備システム
WO2013012798A1 (en) * 2011-07-15 2013-01-24 Cardinal Health 414, Ll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quality control platform
JP6350302B2 (ja) * 2015-01-22 2018-07-04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US20170053252A1 (en) * 2015-08-20 2017-02-2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ingle in-line biometric automatic teller machine ("atm") session maintenance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843A (ja) * 2004-01-08 2005-07-21 Oki Electric Ind Co Ltd アイリス認証システム
JP2008510216A (ja) * 2004-08-10 2008-04-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マルチ認証ログオン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8296201A (ja) * 2007-06-04 2008-12-11 Anritsu Sanki System Co Ltd 重量選別装置
JP2014071072A (ja) * 2012-10-01 2014-04-21 Anritsu Sanki System Co Ltd 物品検査装置
WO2017056986A1 (ja) * 2015-09-28 2017-04-06 株式会社ワークソリューション 殺菌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3875A1 (en) 2020-08-12
US20200265226A1 (en) 2020-08-20
CN111133432A (zh) 2020-05-08
KR102388464B1 (ko) 2022-04-19
EP3693875A4 (en) 2021-06-02
WO2019069952A1 (ja) 2019-04-11
EP3693875B1 (en) 2023-11-29
EP3693875C0 (en)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464B1 (ko) 식품처리장치, 식품처리장치 관리시스템 및 식품처리장치 관리방법
US20200234014A1 (en) Identity card holder and system
US8208681B2 (en) Image analysis system for detect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ompliance
TWI527564B (zh) 健康狀態管理裝置及健康狀態管理系統
US20160178607A1 (en) Acquiring Reliable Data
US200701949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and detecting physical, b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person
CN108597067A (zh) 智能通道监控机、智能通道通关系统及检验方法
US8799669B2 (en)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2354510B1 (ko) 음주 측정 기반 근태 관리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BR112018068989B1 (pt) Sistema e método para o transporte de produtos
CN111934906B (zh) 等级保护的人工智能测评方法、客户端及系统
US20100123571A1 (e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JP2019066359A (ja) 食品処理装置
JP2019067213A (ja) 食品処理装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食品処理装置管理方法
US202304124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SENSORS OF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S
JP2019067212A (ja) 食品処理装置
US112820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monitoring and recording a process in a clean space
EP3720731B1 (en) Equipment for measuring the human alcohol intoxication level to prevent falsification of measurement and results and method for measuring
CN211697416U (zh) 提高数据可靠性保障水平的尘埃粒子计数器
WO2022168587A1 (ja) 顔認証装置および顔認証方法
US10830813B1 (en) Electrostatic discharge verification during biometric scan for terminal login
JP7375900B1 (ja) 入域管理システム、入域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168588A1 (ja) 顔認証システムおよび顔認証方法
WO2022168586A1 (ja) 顔認証登録装置および顔認証登録方法
CN113447135A (zh) 一种目标对象的信息测量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