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637A -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 Google Patents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637A
KR20200055637A KR1020190040547A KR20190040547A KR20200055637A KR 20200055637 A KR20200055637 A KR 20200055637A KR 1020190040547 A KR1020190040547 A KR 1020190040547A KR 20190040547 A KR20190040547 A KR 20190040547A KR 20200055637 A KR20200055637 A KR 20200055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door trim
door
pocket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577B1 (ko
Inventor
지영훈
Original Assignee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이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55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637A/ko
Priority to KR102020007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8Arm-rests post or panel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33Seats; Arm rests; Head 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트림의 암레스트를 탑승자의 신체에 맞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암레스트가 상승하면 암레스트의 하단에 형성된 수납공간이 실내측 공간으로 노출되어 도어트림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Door trim having active armrest}
본 발명은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트림의 암레스트를 탑승자의 신체에 맞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암레스트가 상승하면 암레스트의 하단에 형성된 수납공간이 실내측 공간으로 노출되어 도어트림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패널에는 도어트림을 부설하여 외관을 개선함과 동시에 소음의 실내유입을 억제하며, 또한, 도어트림에는 암레스트, 풀 핸들, 맵포켓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진하고 있다.
도어트림의 암레스트는 사이드 도어에 부착되어 있으며 도어 개폐에 쓰이는 손잡이, 수납공간, 사이드도어 윈도우글라스의 승강스위치 등과 일체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도어트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 도어트림은 차량의 도어트림(10)의 내측에 차량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암레스트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 도어트림(10)의 암레스트(20)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했을 때 팔을 올려놓을 수도 있으며,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손잡이 및 각종 편의장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트림(10)에 설치되는 암레스트(20)는 고정된 형상을 갖는 사출물로써 도어트림(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신장이 크거나 작아 암레스트(20)의 높이가 맞지 않을 경우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41856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트림의 암레스트를 탑승자의 신체에 맞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암레스트가 상승하면 암레스트의 하단에 형성된 수납공간이 실내측 공간으로 노출되어 도어트림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은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 상기 암레스트의 하단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로킹핀 및 와이어가 결합된 로킹핀 홀더가 형성된 암레스트 포켓; 상기 암레스트 포켓의 양측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로킹핀이 인입 및 인출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레일; 및 상기 암레스트 포켓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상단이 고정되는 로킹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어트림은, 상기 암레스트의 상단에 형성되며, PCB접점 및 탈착후크가 형성된 장착홈; 및 상기 장착홈에 탈부착되며, 탈거버튼이 형성된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트림은, 탬부어도어 구조로 형성된 맵포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맵포켓의 맵포켓 도어를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맵포켓 내측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구조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맵포켓 도어가 상기 맵포켓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은 암레스트를 탑승자의 신체에 맞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레스트가 상승하면 암레스트 포켓에 형성된 수납공간이 실내측 공간으로 노출되어 도어트림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창문을 개폐하기 위한 스위치, 차량 좌석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가 무선 리모컨 방식으로 암레스트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조작부를 암레스트에서 탈착하면 차량의 모든 좌석에서 편리하게 조작이 가능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맵포켓을 오픈형 구조가 아닌 은닉형 탬부어도어(Tambour Door) 구조로 형성하여 도어트림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맵포켓에 수납된 수납물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맵포켓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차량의 도어트림에는 맵포켓 이외에 별도 수납공간이 없는데, 본 발명에서는 암레스트를 위로 인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암레스트 인출 시 추가적인 수납공간이 만들어져서, 수납공간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도어트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서 암레스트가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서 암레스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서 암레스트의 승강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서 무선 리모컨 방식 조작부의 탈부착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서 탬부어 도어 구조로 형성된 맵포켓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서 암레스트가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서 암레스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서 암레스트의 승강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서 무선 리모컨 방식 조작부의 탈부착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에서 탭부어 도어 구조로 형성된 맵포켓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이하 '도어트림'이라 함)은 탑승자의 신체에 맞춰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200), 암레스트(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조작부(300) 및 맵포켓(4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암레스트(200)는 베이스플레이트(220)에 결합된 암레스트 포켓(2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암레스트 포켓(210)의 전면에는 수납공간(211)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로킹레버(2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암레스트 포켓(210)의 양측 내측면에는 로킹핀 홀더(213)에 의해 고정된 2개의 로킹핀(212)이 암레스트 포켓(210)의 양측면의 전면(210a)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스프링(212a)이 형성된 로킹핀(212)의 후면은 암레스트 포켓(210)의 양측면의 후면(210b)과 맞닿아 고정되고, 로킹핀 홀더(213)에는 'ㄴ'자 형태로 굽어진 와이어(214)가 고정되고, 와이어(214)의 상단은 로킹레버(230)에 고정된다. 또한, 암레스트 포켓(210)의 양측 외측면에는 로킹핀(212)이 인입 및 인출되는 고정홀(241)이 형성된 레일(24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핀(212)이 레일(240)의 고정홀(241)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암레스트 포켓(210) 및 암레스트(200)가 일정 높이에 고정되어 있으며, 암레스트(2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암레스트 포켓(210)에 형성된 로킹레버(230)을 위쪽으로 당기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레버(230)에 고정된 와이어(214)가 당겨지면서 와이어(214)의 타측면이 고정되어 있는 로킹핀 홀더(213)가 당겨지고, 이에 따라 로킹핀(212)도 함께 당겨지면서 고정홀(241)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암레스트 포켓(210) 및 암레스트(200)의 로킹 상태가 해제 되면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 포켓(210) 및 암레스트(200)가 자유롭게 상하로 승강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탑승자가 암레스트(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상태가 된다.
이후, 암레스트 포켓(210) 및 암레스트(200)를 원하는 높이에 고정하기 위해 로킹레버(230)를 아래쪽으로 내리면 와이어(214)의 당겨진 상태가 해제되면서 다시 원위치 되고, 이에 따라 암레스트 포켓(210)의 양측면의 후면(210b)과 맞닿아 있는 스프링(212a)의 탄성력에 의해 로킹핀(212) 및 로킹핀 홀더(213)가 전진하여 로킹핀(212)이 레일(240)의 고정홀(241)에 인입되면서 암레스트 포켓(210) 및 암레스트(200)가 고정된다. 이때, 암레스트 포켓(210) 및 암레스트(200)를 들어 올린 상태로 고정하면 암레스트 포켓(210)의 전면에 형성된 수납공간(211)이 실내 공간에 노출되면서 탑승자가 수납공간(211)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암레스트(200)가 들어 올려 진 것이 감지되면 수납공간(211)에 무드 조명이 점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트림(100)은 암레스트(200)를 탑승자의 신체에 맞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암레스트(200)가 상승하면 암레스트 포켓(210)에 형성된 수납공간(211)이 실내측 공간으로 노출되어 도어트림(100)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300)는 무선 리모컨 방식으로 암레스트(200)의 장착홈(3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조작부(300)의 상단면에는 도어의 창문을 개폐하기 위한 스위치, 차량 좌석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 등과 함께 조작부(300)를 장착홈(310)에서 탈거시키기 위한 탈거버튼(30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ㄱ'자 형태의 걸림부(305)가 형성된다.
또한, 암레스트(200)의 장착홈(310)에는 조작부(30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부(305)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어 조작부(300)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 시키는 탈착후크(311) 및 조작부(300)가 장착홈(310)에 장착될 때 조작부(300)의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PCB접점(313)이 형성되고, PCB접점(313)의 하단에는 스프링(313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300)가 암레스트(200)의 장착홈(310)에 부착되어 있을 때에는 장착홈(310)의 탈착후크(311)가 조작부(300) 하단의 걸림부(305)를 걸어 조작부(300)가 고정되어 있으며, 장착홈(310)의 PCB접점(313)은 조작부(300)의 PCB기판과 맞닿은 상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단의 스프링(313a)은 압축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조작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며, 조작부(300)의 리모컨 신호의 수신은 차량 내에 구비된 무선통신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300)를 암레스트(200)의 장착홈(310)으로부터 탈착시키기 위해 조작부(300) 상단의 탈거버튼(301)을 누르면 탈거버튼(301)의 하단면이 탈착후크(311)를 하단으로 밀어주면서 탈착후크(311)와 걸림부(305)와의 걸림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접점(313) 하단의 스프링(313a)을 압축시키던 힘이 사라지면서 스프링(313a)의 탄성력에 의해 PCB접점(313)이 상승하면서 조작부(300)를 밀어줌으로써 조작부(300)가 암레스트(200)의 장착홈(310)에서 탈착되어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트림은 윈도우 등의 작동을 위한 조작부(300)가 무선 리모컨 방식으로 암레스트(200)의 장착홈(31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조작부(300)를 암레스트(200)의 장착홈(310)에서 탈착하면 차량의 모든 좌석에서 편리하게 도어의 창문 개폐, 차량 좌석의 위치 조절 등의 조작이 가능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맵포켓(400)을 탬부어도어(Tambour Door) 구조로 형성하고 가이드부(402)를 맵포켓(400) 내측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구조로 형성하여 맵포켓 도어(401)를 슬라이딩시켜 맵포켓(400)의 전면을 개방하는 경우 맵포켓 도어(401)가 가이드부(402)를 따라 맵포켓(400)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입되게 된다. 탬부어도어(Tambour Door)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탬부어도어(Tambour Door) 구조의 맵포켓(400)의 개폐를 자동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탬부어도어(Tambour Door)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맵포켓(400)의 내부공간에 무드 조명이 켜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트림은 맵포켓(400)을 오픈형 구조가 아닌 은닉형 탬부어도어(Tambour Door) 구조로 형성하여 도어트림(10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맵포켓(400)에 수납된 수납물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맵포켓(4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은 암레스트를 탑승자의 신체에 맞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레스트가 상승하면 암레스트 포켓에 형성된 수납공간이 실내측 공간으로 노출되어 도어트림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창문을 개폐하기 위한 스위치, 차량 좌석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가 무선 리모컨 방식으로 암레스트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조작부를 암레스트에서 탈착하면 차량의 모든 좌석에서 편리하게 도어의 창문 개폐, 차량 좌석의 위치 조절 등의 조작이 가능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맵포켓을 오픈형 구조가 아닌 은닉형 탬부어도어(Tambour Door) 구조로 형성하여 도어트림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맵포켓에 수납된 수납물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맵포켓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차량의 도어트림에는 맵포켓 이외에 별도 수납공간이 없는데, 본 발명에서는 암레스트를 위로 인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암레스트 인출 시 추가적인 수납공간이 만들어져서, 수납공간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도어트림
200 : 암레스트
201 : 수납홈
210 : 암레스트 포켓
210a : 암레스트 양측면의 전면
210b : 암레스트 양측면의 후면
211 : 수납공간
212 : 로킹핀
212a : 스프링
213 : 로킹핀홀더
214 : 와이어
220 : 베이스 플레이트
230 : 로킹레버
240 : 레일
241 : 고정홀
300 : 조작부
301 : 탈거버튼
305 : 걸림부
310 : 장착홈
311 : 탈착후크
313 : PCB접점
313a : 스프링
400 : 맵포켓
401 : 맵포켓 도어
402 : 가이드부
<종래기술>
10 : 도어트림
20 : 암레스트
21 : 각종 스위치
22 : 수납공간

Claims (3)

  1.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
    상기 암레스트의 하단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로킹핀 및 와이어가 결합된 로킹핀 홀더가 형성된 암레스트 포켓;
    상기 암레스트 포켓의 양측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로킹핀이 인입 및 인출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레일; 및
    상기 암레스트 포켓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상단이 고정되는 로킹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트림은,
    상기 암레스트의 상단에 형성되며, PCB접점 및 탈착후크가 형성된 장착홈; 및
    상기 장착홈에 탈부착되며, 탈거버튼이 형성된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트림은,
    탬부어도어 구조로 형성된 맵포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맵포켓의 맵포켓 도어를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맵포켓 내측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구조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맵포켓 도어가 상기 맵포켓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KR1020190040547A 2018-11-13 2019-04-08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KR102160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336A KR102257592B1 (ko) 2019-04-08 2020-06-26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235 2018-11-13
KR20180139235 2018-11-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336A Division KR102257592B1 (ko) 2019-04-08 2020-06-26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637A true KR20200055637A (ko) 2020-05-21
KR102160577B1 KR102160577B1 (ko) 2020-09-28

Family

ID=7091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547A KR102160577B1 (ko) 2018-11-13 2019-04-08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0397A (zh) * 2021-09-28 2022-02-11 常州市孚乐车辆部件有限公司 航空座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537U (ko) * 1996-11-11 1998-08-05 박병재 차량용 콘솔박스의 콘솔 암 레스트 개폐장치
KR19980058088A (ko) * 1995-05-16 1998-09-25 박병재 자동차 암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0025165A (ko) * 2001-09-19 2003-03-2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물품수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088A (ko) * 1995-05-16 1998-09-25 박병재 자동차 암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9980026537U (ko) * 1996-11-11 1998-08-05 박병재 차량용 콘솔박스의 콘솔 암 레스트 개폐장치
KR20030025165A (ko) * 2001-09-19 2003-03-2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물품수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0397A (zh) * 2021-09-28 2022-02-11 常州市孚乐车辆部件有限公司 航空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577B1 (ko)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7774C2 (ru) Опорное и 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ртативн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приборная панель, оснащенная таким опорным и удержив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JP6204452B2 (ja) 車両の収納コンパートメントアセンブリ
KR101134875B1 (ko) 자동차 리어시트의 암레스트용 컵홀더 트레이
US20070075558A1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US4444344A (en) Hanger support
KR102257592B1 (ko)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US5613732A (en) Vehicle seat armrest incorporating a transmitter unit for a garage door opening system
KR20200025584A (ko) 컵홀더를 갖는 콘솔
KR20200055637A (ko)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CN210000233U (zh) 用于车辆的扶手箱和具有其的车辆
KR102061854B1 (ko) 자동차용 맵 포켓 개방 장치
US6125587A (en) Vehicular back windshield assembly with retractable auxiliary window
CN210680956U (zh) 盖板总成及车辆
JPS6349566A (ja) 車載用電装機器の制御装置
KR100514407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KR100550912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콘트롤박스 개폐장치
CN109693617A (zh) 头枕收纳构造
WO2004108478A1 (en) Garment hook assembly
KR200147199Y1 (ko) 자동차용 암 레스트 커버 구조
CN216443511U (zh) 车门及车辆
CN220720781U (zh) 遮阳板总成及车辆
KR100526896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컵홀더
KR100553098B1 (ko) 차량용 오버 헤드 콘솔
US20240001823A1 (en) Child seat for mounting on a motor vehicle seat
JP2512830Y2 (ja) 引出し付き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