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396A - 자외선 조사 장치 - Google Patents

자외선 조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396A
KR20200055396A KR1020180139008A KR20180139008A KR20200055396A KR 20200055396 A KR20200055396 A KR 20200055396A KR 1020180139008 A KR1020180139008 A KR 1020180139008A KR 20180139008 A KR20180139008 A KR 20180139008A KR 20200055396 A KR20200055396 A KR 20200055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disposed
ultraviolet irradiation
hole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763B1 (ko
Inventor
박인수
유영석
김도엽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7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66Reflectors for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point like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light sources the shape of which is unspecifi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개구 상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는 수증기 발생기; 상기 몸체부 내부 및 상기 수증기 발생기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조사 모듈; 및 상기 캡부 내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 모듈은, 내측면을 포함하는 방열프레임; 상기 내측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 환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제2 환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증기 발생기 및 상기 자외선 조사 모듈은 상기 제1 환기구와 상기 제2 환기구 사이 경로에 배치되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자외선 조사 장치{ULTRAVIOLET IRRADIATION APPARATUS}
실시 예는 자외선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implant)는 치아가 빠진 치조골에 식립되어 인공 치아를 지지하는 인공 치근 등을 의미할 수 있고, 인체에 거부 반응이 적은 재료, 예를 들어 티타늄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임플란트는 치조골 등 구강 내부 조직이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항균 처리 외에 친수성 표면 처리 후에 밀봉 포장되어 보관된다. 친수성 표면 처리는 RBM, SLA 등의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뼈 형성 세포의 부착, 증식 등을 촉진시키고, 골 유착을 강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높여주기 위함이다. 하지만,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포장 개봉 후 식립하기 전에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 임플란트 표면의 소수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친수성 표면 처리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자외선 조사 장치의 대부분은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자외선 램프의 에너지 효율이 좋지 않아 전력 소비가 크고, 많은 열이 발생하여 열 손상을 야기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친수성 표면 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자외선 램프를 대체하여 자외선 발광소자를 사용하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친수성 표면 처리에 필요한 충분한 광량을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표면 처리에 여전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실제 상용화에 이른 제품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실시 예는 친수성 표면 처리 효율이 향상된 자외선 조사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조사대상물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열 방출이 우수한 자외선 조사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개구 상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는 수증기 발생기; 상기 몸체부 내부 및 상기 수증기 발생기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조사 모듈; 및 상기 캡부 내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 모듈은, 내측면을 포함하는 방열프레임; 상기 내측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 환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제2 환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증기 발생기 및 상기 자외선 조사 모듈은 상기 제1 환기구와 상기 제2 환기구 사이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 모듈은, 상기 방열프레임의 상단 개구에 결합되는 제1 고정판; 및 상기 방열프레임의 하단 개구에 결합되는 제2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판은, 제1-1 관통 홀, 및 상기 제1-1 관통 홀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2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판은,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고정부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복수의 제2-1 관통 홀을 구획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관통 홀, 상기 복수의 제1-2 관통 홀, 및 상기 복수의 제2-1 관통 홀은 상기 방열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1 관통 홀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제2-2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2 관통 홀의 직경은 상기 제1-1 관통 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2-2 관통 홀은 상기 제1-1 관통 홀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수증기 발생기는, 수조; 및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증기 발생기는, 수조; 및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되는 초음파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 개구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상기 측벽부는 제3 환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환기구는 상기 용기부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내측면은, 제1 방향으로 평행한 제1 내측면 및 제3 내측면,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평행한 제2 내측면 및 제4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 회로기판, 상기 제2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2 회로기판, 상기 제3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3 회로기판, 및 상기 제4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4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프레임은, 상기 제1 내측면의 반대면인 제1 외측면, 상기 제2 내측면의 반대면인 제2 외측면, 상기 제3 내측면의 반대면인 제3 외측면, 및 상기 제4 내측면의 반대면인 제4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면, 상기 제2 외측면, 상기 제3 외측면 및 상기 제4 외측면은 각각 복수의 방열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 모듈은,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상기 제2 회로기판 사이, 상기 제2 회로기판과 상기 제3 회로기판 사이, 상기 제3 회로기판과 상기 제4 회로기판 사이, 및 상기 제4 회로기판과 상기 제1 회로기판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부재는,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1-1 반사면, 및 상기 제2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1-2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부재는, 상기 제2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2-1 반사면, 및 상기 제3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2-2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반사부재는, 상기 제3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3-1 반사면, 및 상기 제4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3-2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반사부재는, 상기 제4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4-1 반사면, 및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4-2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반사면 및 상기 제4-2 반사면은 상기 제1 회로기판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고, 상기 제1-2 반사면 및 상기 제2-1 반사면은 상기 제2 회로기판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고, 상기 제2-2 반사면 및 상기 제3-1 반사면은 상기 제3 회로기판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고, 상기 제3-2 반사면 및 상기 제4-1 반사면은 상기 제4 회로기판에 대하여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 모듈은, 상기 제1 내지 제4 반사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1 반사판;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반사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판은, 제3-1 관통 홀, 및 상기 제3-1 관통 홀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3-2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판은, 제4-1 관통 홀, 및 상기 제4-1 관통 홀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4-1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1 관통 홀, 상기 복수의 제3-2 관통 홀, 상기 제4-1 관통 홀 및 상기 복수의 제4-2 관통 홀은 자외선 조사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제3-1 관통 홀은 상기 제4-1 관통 홀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증기 발생기는 상기 구동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자외선 조사 모듈 및 상기 수증기 발생기를 구동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는 조사대상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외에 수증기를 제공하여 조사대상물에 대한 친수성 표면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사대상물은 몸체부의 상단 개구를 통해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팬에 의해 생성된 강제 기류가 제1 환기구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되어 제2 환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자외선 조사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자외선 조사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자외선 조사 장치에 조사대상물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8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회로기판의 변형 예이고,
도 15는 도 12 및 도 13의 회로기판의 다른 변형 예이고,
도 16은 도 12 및 도 13의 회로기판의 또 다른 변형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요소가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1)는 하우징(10), 자외선 조사 모듈(20), 수증기 발생기(30) 및 팬(40)을 포함할 수 있고, 구동부(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10)은 몸체부(11), 및 몸체부(11)의 상단 개구에 결합되는 캡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는,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폐쇄된 중공의 기둥 형상인 제1 프레임(11a), 제1 프레임(11a) 상에 배치되고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 형상인 제2 프레임(11b), 및 제2 프레임(11b) 상에 배치되고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 형상인 제3 프레임(11c)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프레임(11a), 제2 프레임(11b) 및 제3 프레임(11c)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캡부(13)는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캡부(13)는 몸체부(11)와 별개의 파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몸체부(1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몸체부(11)에 대하여 회동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체부(11)의 상단 개구를 통해 임플란트 등의 조사대상물을 자외선 조사 모듈(20)에 결합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 모듈(20), 수증기 발생기(30) 및 구동부(50)는 몸체부(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 모듈(20)은 몸체부(11)의 상단 개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사대상물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수증기 발생기(30)는 자외선 조사 모듈(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수증기 발생기(30)의 하부에는 구동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수증기 발생기(30)는 자외선 조사 모듈(20)과 구동부(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 모듈(20)은 제3 프레임(11c)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수증기 발생기(30)는 제2 프레임(11b)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50)는 제1 프레임(11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증기 발생기(30)는, 수조(31), 및 수조(31) 내에 배치되는 히터(32) 또는 초음파진동자(3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31) 내에는 물이 채워질 수 있다.
히터(32)는 수조(31) 내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고, 초음파진동자(33)는 수조(31) 내에 채워진 물에 잠긴 상태로 초음파를 발생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팬(40)은 캡부(13)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0)을 출입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공기는 몸체부(11)의 제1 환기구(11d)를 통해 하우징(10)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수증기 발생기(30) 및 자외선 조사 모듈(20)을 차례로 거친 후 캡부(13)의 제2 환기구(13a)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동부(50)는 자외선 조사 모듈(20) 및 수증기 발생기(30)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50)는 자외선 조사 모듈(20) 및 수증기 발생기(30)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 제어신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전자소자, 회로패턴 등이 구비된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외부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부(11)는 구동부(50)를 외부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외부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팬(40)을 구동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0) 내에 팬(40)을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외선 조사 모듈(20)은 방열프레임(100), 회로기판(210, 220, 230, 240) 및 자외선 발광소자(211, 221, 231, 241)를 포함할 수 있고, 반사부재(310, 320, 330, 3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방열프레임(100)은 자외선 조사 영역(C)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 영역(C)은 복수의 자외선 발광소자(211, 221, 231, 241)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 내지 자외선 조사 공간을 의미할 수 있고, 방열프레임(100)의 내측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 영역(C)은 후술하는 제1 반사판 및 제2 반사판 사이의 공간으로 한정하여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 영역(C)은 도면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조사대상물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한정하여 해석될 수도 있다.
방열프레임(100)은 자외선 조사 영역(C)을 향하는 복수의 내측면(111, 112, 113, 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내측면(111, 112, 113, 114)은 X축 방향(제1 방향)으로 평행한 제1 내측면(111) 및 제3 내측면(113), 및 X축 방향과 교차하는 Y축 방향(제2 방향)으로 평행한 제2 내측면(112) 및 제4 내측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X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내측면(111) 및 제3 내측면(113)은 서로 마주볼 수 있고, 제2 내측면(112) 및 제4 내측면(114)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2 내측면(112) 및 제4 내측면(114)의 각각은 제1 내측면(111)과 제3 내측면(113)을 연결할 수 있다.
방열프레임(100)은 몸체부(11)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복수의 외측면(121, 122, 123, 12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측면(121, 122, 123, 124)은 제1 내측면(111)의 반대면인 제1 외측면(121), 제2 내측면(112)의 반대면인 제2 외측면(122), 제3 내측면(113)의 반대면인 제3 외측면(123), 및 제4 내측면(114)의 반대면인 제4 외측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외측면(121, 122, 123, 124)의 각각은 복수의 방열돌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방열돌기(130) 사이로는 Z축 방향(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Z축 방향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복수의 외측면(121, 122, 123, 124)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포함된 복수의 방열돌기(130) 중 최 외곽에 배치되는 방열돌기(130)의 일면은 해당 외측면과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외측면에 포함된 방열돌기(130)와 평행한 복수의 방열돌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측면(121)에 배치된 복수의 방열돌기(130) 중 X축 방향의 선단에 배치된 방열돌기(130)의 일면은 제1 외측면(130)과 인접하는 제2 외측면(122)에 포함된 방열돌기(130)와 평행한 복수의 방열돌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1)의 코너 영역에도 방열돌기(130)가 촘촘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방열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서로 평행한 복수의 방열돌기(130) 중 몸체부(11)의 코너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방열돌기(130a)는 나머지 제2 방열돌기(130b)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조사 모듈(20)을 몸체부(11) 등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 홀(130c)의 배치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한편, 복수의 외측면(121, 122, 123, 124)의 중심부, 즉 자외선 발광소자(211, 221, 231, 241)와 대응하는 영역에서 유속 저하를 막아 방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방열프레임(100)은 복수, 예를 들어 한 쌍의 서브프레임으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서브프레임은 각각 복수의 내측면(111, 112, 113, 114) 중 2개의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방열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반사부재 등의 체결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의 숫자를 최소화함에 따라 서브프레임 간 접촉면 및 열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210)은 제1 내측면(111)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회로기판(220)은 제2 내측면(11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회로기판(230)은 제3 내측면(113)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회로기판(240)은 제4 내측면(114)에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발광소자(211, 221, 231, 241)는 제1 회로기판(210), 제2 회로기판(220), 제3 회로기판(230) 및 제4 회로기판(240)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21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211), 제2 회로기판(22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221), 제3 회로기판(23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231), 및 제4 회로기판(24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241)는 각각 자외선 조사 영역(C)을 향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자외선 발광소자(211, 221, 231, 241)는 근자외선 파장대의 광(UV-A)을 출력할 수도 있고, 원자외선 파장대의 광(UV-B)을 출력할 수도 있으며, 심자외선 파장대의 광(UV-C)을 출력할 수도 있다. 광의 파장범위는 반도체 구조물의 Al의 조성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근자외선 파장대의 광(UV-A)은 320nm 내지 42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가질 수 있고, 원자외선 파장대의 광(UV-B)은 280nm 내지 32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가질 수 있으며, 심자외선 파장대의 광(UV-C)은 100nm 내지 28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자외선 발광소자(211, 221, 231, 241)에서 발생한 열은 방열프레임(100)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제1 반사부재(310)는 제1 회로기판(210)과 제2 회로기판(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반사부재(320)는 제2 회로기판(220)과 제3 회로기판(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반사부재(330)는 제3 회로기판(230)과 제4 회로기판(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반사부재(340)는 제4 회로기판(240)꽈 제1 회로기판(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반사부재(310, 320, 330, 340)는 각각 자외선 조사 영역(C)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외선 조사 모듈(20)은 방열패드(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방열패드(140)는 제1 내측면(111)과 제1 회로기판(210) 사이, 제2 내측면(112)과 제2 회로기판(220) 사이, 제3 내측면(113)과 제3 회로기판(230) 사이, 및 제4 내측면(114)과 제4 회로기판(240)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방열패드(140)는 제1 회로기판(210), 제2 회로기판(220), 제3 회로기판(230) 및 제4 회로기판(240)과 방열프레임(100) 사이의 열 전도성 및 전기 절연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방열패드(140)는 서멀 패드(thermal pad)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반사부재(310)는 제1 회로기판(210)과 인접하는 제1-1 반사면(311a), 및 제2 회로기판(220)과 인접하는 제1-2 반사면(3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사부재(320)는 제2 회로기판(220)과 인접하는 제2-1 반사면(321a), 및 제3 회로기판(230)과 인접하는 제2-2 반사면(3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반사부재(330)는 제3 회로기판(230)과 인접하는 제3-1 반사면(331a), 및 제4 회로기판(240)과 인접하는 제3-2 반사면(33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반사부재(340)는 제4 회로기판(240)과 인접하는 제4-1 반사면(341a), 및 제1 회로기판(210)과 인접하는 제4-2 반사면(342a)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발광소자(211, 221, 231, 241), 제1-1 반사면(311a), 제1-2 반사면(312a), 제2-1 반사면(321a), 제2-2 반사면(322a), 제3-1 반사면(331a), 제3-2 반사면(332a), 제4-1 반사면(341a) 및 제4-2 반사면(342a)은 자외선 조사 영역(C)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1 반사면(311a) 및 제4-2 반사면(342a)은 제1 회로기판(21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21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2 반사면(312a) 및 제2-1 반사면(321a)은 제2 회로기판(22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22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2 반사면(322a) 및 제3-1 반사면(331a)은 제3 회로기판(23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23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3-2 반사면(332a) 및 제4-1 반사면(341a)은 제4 회로기판(24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24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발광소자(211, 221, 231, 241)에서 출사되는 자외선 광 중 대부분 광은 자외선 조사 영역(C)에 직접 조사될 수 있지만, 자외선 발광소자(211, 221, 231, 241)의 조사각에 따라 자외선 조사 영역(C)에 직접 조사될 수 없는 나머지 광도 제1-1 반사면(311a), 제1-2 반사면(312a), 제2-1 반사면(321a), 제2-2 반사면(322a), 제3-1 반사면(331a), 제3-2 반사면(332a), 제4-1 반사면(341a) 및 제4-2 반사면(342a)에서 반사되어 자외선 조사 영역(C)에 조사될 수 있다.
제1-1 반사면(311a)과 제4-2 반사면(342a)은 제1 회로기판(21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211)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2 반사면(312a)과 제2-1 반사면(321a)은 제2 회로기판(22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221)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2 반사면(322a)과 제3-1 반사면(331a)은 제3 회로기판(23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231)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3-2 반사면(332a)과 제4-1 반사면(341a)은 제4 회로기판(24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241)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1 반사면(311a)과 제4-2 반사면(342a) 사이의 X축 방향의 거리는 제1 회로기판(2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제1-2 반사면(312a)과 제2-1 반사면(321a) 사이의 Y축 방향의 거리는 제2 회로기판(2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제2-2 반사면(322a)과 제3-1 반사면(331a) 사이의 X축 방향의 거리는 제3 회로기판(23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제3-2 반사면(332a)과 제4-1 반사면(341a) 사이의 Y축 방향의 거리는 제4 회로기판(24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제1-1 반사면(311a), 제1-2 반사면(312a), 제2-1 반사면(321a), 제2-2 반사면(322a), 제3-1 반사면(331a), 제3-2 반사면(332a), 제4-1 반사면(341a) 및 제4-2 반사면(342a)은 각각 곡률을 가져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1 반사면(311a) 및 제1-2 반사면(312a)은 제1 회로기판(210) 상의 자외선 발광소자(211)의 상면(211c)와 제2 회로기판(220) 상의 자외선 발광소자(221)의 상면(221c)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자외선 발광소자는 자외선 발광소자 그 자체뿐만 아니라, 자외선 발광소자 패키지의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1-1 반사면(311a) 및 제1-2 반사면(312a)은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1 반사면(311a) 및 제1-2 반사면(312a)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반사부재(310)에서 제1-1 반사면(311a) 및 제1-2 반사면(312a) 사이의 내각(θ1)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방향에서 광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소자의 개수가 4개에서 2개 또는 3개로 줄어들면 180도보다 커질 수도 있다. 한편, 제1-1 반사면(311a) 및 제1-2 반사면(312a)이 곡률을 가지는 경우, 제1-1 반사면(311a) 및 제1-2 반사면(312a) 사이의 내각(θ1)은 제1-1 반사면(311a)의 양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B1)과 제1-2 반사면(312a)의 양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B2) 사이의 내각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210)은 자외선 발광소자(211)가 배치되는 일면(210a)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회로기판(220)은 자외선 발광소자(221)가 배치되는 일면(22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반사면(311a)은 제1 회로기판(210)의 일면(210a)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자외선 발광소자(211)보다 멀게 배치될 수 있고, 제1-2 반사면(312a)은 제2 회로기판(220)의 일면(220a)에 대하여 X축 방향으로 자외선 발광소자(221)보다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1 반사면(311a)과 제1 회로기판(210)의 일면(210a) 사이의 각도(θ3)와, 제1-2 반사면(312a)과 제2 회로기판(220)의 일면(220a) 사이의 각도(θ4)는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제1 반사부재(310)는 제1-1 반사면(311a)에 연결되어 제1 회로기판(210)의 일면(210a)과 마주보는 제1-1 대향면(311b), 및 제1-2 반사면(312a)에 연결되어 제2 회로기판(220)의 일면(220a)과 마주보는 제1-2 대향면(312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1 반사면(311a)은 제1 회로기판(210)의 일면(210a)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211)에 최대한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1-2 반사면(312a)는 제2 회로기판(220)의 일면(220a)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221)에 최대한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로기판(210) 및 제2 회로기판(220)의 제1 반사부재(310)와 마주보는 면, 예를 들어 일면(210a, 220a) 및 측면에는 절연층이 배치되어, 제1 회로기판(210) 및 제2 회로기판(220)과 제1 반사부재(310) 사이의 전기 절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제1 반사부재(310)는 돌기(3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313)는 제1-1 반사면(311a)과 제1-2 반사면(312a)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임플란트 삽입 시에 광학적 역할을 하는 제1-1 반사면(311a) 및 제2 반사면(312a)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반사부재(320), 제3 반사부재(330) 및 제4 반사부재(340)의 형상 및 배치 등은 제1 반사부재(310)와 거의 동일하므로, 도 4의 제1 반사부재(310)와 관련된 설명은 제2 반사부재(320), 제3 반사부재(330) 및 제4 반사부재(340)에도 동일 또는 일부 변경을 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캡부(13)는 몸체부(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체부(11)의 상단 개구를 통해 조사대상물을 자외선 조사 모듈(20)에 삽입할 수 있다.
수조(31)는 몸체부(11)의 측면 개구(11e)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체부(11)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수조(31)에 물을 채울 수 있다. 측면 개구(11e)는 몸체부(11)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1)는 수조(31)를 지지 및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바(11f)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바(11f)의 양단은 측면 개구(11e)가 형성되는 몸체부(11)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수조(31)는 용기부(31a), 및 용기부(31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31a)는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폐쇄된 중공의 기둥 형상일 수 있고, 용기부(31a) 내에는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용기부(31a) 및 측벽부(31b)는 몸체부(11)의 측면 개구(11e)를 통해 인출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시로, 용기부(31a) 및 측벽부(31b)는 몸체부(11)의 측면 개구(11e)와 동일한 형상, 예를 들어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몸체부(11)의 측면 개구(11e)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측벽부(31b)는 용기부(31a)와 이격하여 몸체부(11)의 측면 개구(11e)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환기구(31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환기구(31c)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용기부(31a)와 측벽부(31b) 사이의 공간을 통해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1)의 제1 환기구(11d)는 용기부(31a)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환기구(11d)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몸체부(11)와 용기부(31a) 사이의 공간을 통해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팬(40), 구체적으로 팬 프레임의 하부에는 복수의 연결부재(40a)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40a)는 자외선 조사 모듈(20)과 팬(40) 사이의 이격 거리를 확보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자외선 조사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자외선 조사 장치에 조사대상물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자외선 조사 모듈(20)은 제1 고정판(151), 제2 고정판(152), 제1 반사판(350) 및 제2 반사판(3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판(151) 및 제2 고정판(152)은 각각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방열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판(151)은 방열프레임(100)의 Z축 방향의 일단 면에 배치되어 방열프레임(100)의 상단 개구를 폐쇄할 수 있고, 제2 고정판(152)은 방열프레임(100)의 Z축 방향의 타단 면에 배치되어 방열프레임(100)의 하단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제1 고정판(151)은 제1-1 관통 홀(151a), 및 제1-1 관통 홀(151a)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2 관통 홀(15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관통 홀(151a) 및 복수의 제1-2 관통 홀(151b)은 방열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조사대상물은 제1-1 관통 홀(151a)을 통해 방열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고, 수증기 발생기에서 발생되어 방열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 수증기는 복수의 제1-2 관통 홀(151b)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 고정판(152)은 고정부(152a), 지지부(152b) 및 복수의 연결부(152c)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52a)는 고리(ring) 형상일 수 있고, 고정부(152a)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배치되는 체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52b)는 고정부(152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1 관통 홀(151a)과 상하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1 관통 홀(151a)을 통해 방열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된 조사대상물은 지지부(152b) 상에 안착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152c)는 고정부(152a)와 지지부(152b)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연결부(152c)는 지지부(152b)에서 고정부(152a)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52a)와 지지부(152b) 사이에는 복수의 제2-1 관통 홀(152d)이 구획될 수 있다.
복수의 제2-1 관통 홀(152d)은 방열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수증기 발생기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복수의 제2-1 관통 홀(152d)을 통해 방열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52b)는 제2-2 관통 홀(152e)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2 관통 홀(152e)은 제1-1 관통 홀(151a)과 Z축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2 관통 홀(152e)의 직경은 제1-1 관통 홀(151a)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조사대상물, 예를 들어 임플란트(2)가 임플란트 케이스(3)에 포장된 상태로 자외선 조사 모듈(20) 내에 삽입되는 경우, 수증기 발생기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제2-2 관통 홀(152e) 및 임플란트 케이스의 하단 개구를 통해 임플란트 케이스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임플란트 케이스의 상단 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도 있다. 임플란트 케이스(3)는 자외선 광의 투과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어 쿼츠(Quartz)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210, 220, 230, 240) 및 반사부재(310, 320, 330, 340)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방열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반사판(350) 및 제2 반사판(360)은 각각 방열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반사판(350) 및 제2 반사판(360)은 각각 돌기(p)를 포함할 수 있고, 방열프레임(100)의 복수의 내측면의 각각은 돌기(p)가 삽입되는 슬릿(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판(350) 및 제2 반사판(360)은 자외선 조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자외선 광에 대한 반사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판(350)은 제1 내지 제4 반사부재(310, 320, 330, 3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사판(350)은, 제3-1 관통 홀(350a), 및 제3-1 관통 홀(350a)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3-2 관통 홀(3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1 관통 홀(350a) 및 복수의 제3-2 관통 홀(350b)은 자외선 조사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조사대상물은 제3-1 관통 홀(350a)을 통해 자외선 조사 영역으로 삽입될 수 있고, 수증기 발생기에서 발생되어 자외선 조사 영역에 유입된 수증기는 복수의 제3-2 관통 홀(350b)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 반사판(360)은 제1 내지 제4 반사부재(310, 320, 330, 3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사판(360)은, 제4-1 관통 홀(360a), 및 제4-1 관통 홀(360a)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4-2 관통 홀(36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4-1 관통 홀(360a) 및 복수의 제4-2 관통 홀(360b)은 자외선 조사 영역에 연결될 수 있고, 제4-1 관통 홀(360a)은 제3-1 관통 홀(350a)과 Z축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사대상물은 제3-1 관통 홀(350a) 및 제4-1 관통 홀(360a)을 통해 삽입되어 지지부(152b) 상에 안착될 수 있고, 수증기 발생기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복수의 제4-2 관통 홀(360b)을 통해 자외선 조사 영역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2는 도 8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8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회로기판(210), 제2 회로기판(220), 제3 회로기판(230) 및 제4 회로기판(240)은 일단부(210b, 220b, 230b, 240b), 및 일단부(210b, 220b, 230b, 240b)로부터 Z축 방향을 향해 이격하여 배치되는 타단부(210c, 220c, 230c, 24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21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는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자외선 발광소자(211a) 및 제2 자외선 발광소자(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로기판(22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는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자외선 발광소자(221a) 및 제2 자외선 발광소자(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회로기판(23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는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자외선 발광소자(231a) 및 제2 자외선 발광소자(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회로기판(240)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는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자외선 발광소자(241a) 및 제2 자외선 발광소자(24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외선 발광소자(211a, 221a, 231a, 241a)는 근자외선 파장대의 광(UV-A)을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자외선 발광소자(211a, 221a, 231a, 241a)는 300nm 내지 420nm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근자외선 파장대의 광(UV-A)은 광촉매 반응을 유도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자외선 발광소자(211b, 221b, 231b, 241b)는 심자외선 파장대의 광(UV-C)을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자외선 발광소자(211b, 221b, 231b, 241b)는 100nm 내지 350nm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심자외선 파장대의 광(UV-C)은 조사 대상물의 표면 탄화수소를 파괴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자외선 발광소자(211a, 221a, 231a, 241a)와 제2 자외선 발광소자(211b, 221b, 231b, 241b) 사이의 Z축 방향의 이격 거리는 7mm 내지 10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mm일 수 있다.
제1 자외선 발광소자(211a, 221a, 231a, 241a)와 제2 자외선 발광소자(211b, 221b, 231b, 241b)는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특히,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경우, 서로 교번적으로 구동되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 자외선 발광소자(211a, 221a, 231a, 241a)와 제2 자외선 발광소자(211b, 221b, 231b, 241b)는 서로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회로기판(210)에서는 제1 자외선 발광소자(211a)가 제2 자외선 발광소자(211b)보다 일단부(210b)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회로기판(220)에서는 제1 자외선 발광소자(221a)가 제2 자외선 발광소자(221b)보다 타단부(220c)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제3 회로기판(230)에서는 제1 자외선 발광소자(231a)가 제2 자외선 발광소자(231b)보다 일단부(230b)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제4 회로기판(240)에서는 제1 자외선 발광소자(241a)가 제2 자외선 발광소자(241b)보다 타단부(240c)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회로기판의 변형 예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회로기판(210), 제2 회로기판(220), 제3 회로기판(230) 및 제4 회로기판(240)은, 각각 일단부(210b, 220b, 230b, 240b)를 포함하는 제1 서브기판(213, 223, 233, 243), 및 타단부(210c, 220c, 230c, 240c)를 포함하는 제2 서브기판(215, 225, 235, 2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외선 발광소자(211a, 221a, 231a, 241a)는 제1 서브기판(213, 223, 233, 243) 및 제2 서브기판(215, 225, 235, 245)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자외선 발광소자(211b, 221b, 231b, 241b)는 제1 서브기판(213, 223, 233, 243) 및 제2 서브기판(215, 225, 235, 245) 중 나머지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브기판(215, 225, 235, 245)은 제1 자외선 발광소자(211a, 221a, 231a, 241a)와 제2 자외선 발광소자(211b, 221b, 231b, 241b)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제1 서브기판(213, 223, 233, 243)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서브기판(213, 223, 233, 243)의 연장선과 제2 서브기판(215, 225, 235, 245)의 연장선 사이의 각도(θ2)는 0도 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2)에 형성된 나사산과 골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조도 불균일이 개선되어 친수성 확보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2 및 도 13의 회로기판의 다른 변형 예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회로기판(210), 제2 회로기판(220), 제3 회로기판(230) 및 제4 회로기판(240)은, 각각 오목 또는 볼록한 곡면부를 구비한 복수의 반사돌기(217, 227, 237, 247)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한 곡면부를 구비한 반사돌기의 일 예와, 볼록한 곡면부를 구비한 반사돌기의 다른 예를 하나의 도면에 서로 다른 확대도로 동시에 표시하였지만, 이는 도면 작성 편의를 위한 것으로, 오목한 곡면부를 구비한 반사돌기만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볼록한 곡면부를 구비한 반사돌기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돌기(217, 227, 237, 247)는 자외선 발광소자(211, 221, 231, 241)와 동일한 면에 배치되어 자외선 광의 반사율을 개선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210), 제2 회로기판(220), 제3 회로기판(230) 및 제4 회로기판(240)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층, 절연층, 구리 패턴 및 PSR이 차례로 적층된 메탈 코어 PCB로 이루어진 경우, 반사돌기(217, 227, 237, 247)는 자외선 발광소자(211, 221, 231, 241)가 실장되지 않은 구리 패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2 및 도 13의 회로기판의 또 다른 변형 예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자외선 발광소자(211, 221, 231, 241) 주변에는 습기 침투를 억제하기 위하여 방수층(219, 229, 239, 249)이 형성될 수 있다.
방수층(219, 229, 239, 249)은 회로기판(210, 220, 230, 240)의 일면과 자외선 발광소자(211, 221, 231, 24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로기판(210, 220, 230, 240)의 측면 등 습기 침투가 문제될 수 있는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방수층(219, 229, 239, 249)은 천연 또는 열경화성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종류의 다른 방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개구 상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는 수증기 발생기;
    상기 몸체부 내부 및 상기 수증기 발생기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조사 모듈; 및
    상기 캡부 내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 모듈은,
    내측면을 포함하는 방열프레임;
    상기 내측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 환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제2 환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증기 발생기 및 상기 자외선 조사 모듈은 상기 제1 환기구와 상기 제2 환기구 사이 경로에 배치되는 자외선 조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 모듈은,
    상기 방열프레임의 상단 개구에 결합되는 제1 고정판; 및
    상기 방열프레임의 하단 개구에 결합되는 제2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판은, 제1-1 관통 홀, 및 상기 제1-1 관통 홀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2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판은,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고정부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복수의 제2-1 관통 홀을 구획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관통 홀, 상기 복수의 제1-2 관통 홀, 및 상기 복수의 제2-1 관통 홀은 상기 방열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1 관통 홀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자외선 조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2-2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2 관통 홀의 직경은 상기 제1-1 관통 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2-2 관통 홀은 상기 제1-1 관통 홀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자외선 조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발생기는,
    수조; 및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발생기는,
    수조; 및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되는 초음파진동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 개구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상기 측벽부는 제3 환기구를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기구는 상기 용기부와 마주보는 자외선 조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은, 제1 방향으로 평행한 제1 내측면 및 제3 내측면,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평행한 제2 내측면 및 제4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 회로기판, 상기 제2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2 회로기판, 상기 제3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3 회로기판, 및 상기 제4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4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프레임은, 상기 제1 내측면의 반대면인 제1 외측면, 상기 제2 내측면의 반대면인 제2 외측면, 상기 제3 내측면의 반대면인 제3 외측면, 및 상기 제4 내측면의 반대면인 제4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면, 상기 제2 외측면, 상기 제3 외측면 및 상기 제4 외측면은 각각 복수의 방열돌기를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 모듈은,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상기 제2 회로기판 사이, 상기 제2 회로기판과 상기 제3 회로기판 사이, 상기 제3 회로기판과 상기 제4 회로기판 사이, 및 상기 제4 회로기판과 상기 제1 회로기판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부재는,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1-1 반사면, 및 상기 제2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1-2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부재는, 상기 제2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2-1 반사면, 및 상기 제3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2-2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반사부재는, 상기 제3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3-1 반사면, 및 상기 제4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3-2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반사부재는, 상기 제4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4-1 반사면, 및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제4-2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반사면 및 상기 제4-2 반사면은 상기 제1 회로기판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고, 상기 제1-2 반사면 및 상기 제2-1 반사면은 상기 제2 회로기판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고, 상기 제2-2 반사면 및 상기 제3-1 반사면은 상기 제3 회로기판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고, 상기 제3-2 반사면 및 상기 제4-1 반사면은 상기 제4 회로기판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는 자외선 조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 모듈은,
    상기 제1 내지 제4 반사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1 반사판;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반사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판은, 제3-1 관통 홀, 및 상기 제3-1 관통 홀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3-2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판은, 제4-1 관통 홀, 및 상기 제4-1 관통 홀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4-1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1 관통 홀, 상기 복수의 제3-2 관통 홀, 상기 제4-1 관통 홀 및 상기 복수의 제4-2 관통 홀은 자외선 조사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제3-1 관통 홀은 상기 제4-1 관통 홀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자외선 조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증기 발생기는 상기 구동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자외선 조사 모듈 및 상기 수증기 발생기를 구동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KR1020180139008A 2018-11-13 2018-11-13 자외선 조사 장치 KR102644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008A KR102644763B1 (ko) 2018-11-13 2018-11-13 자외선 조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008A KR102644763B1 (ko) 2018-11-13 2018-11-13 자외선 조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96A true KR20200055396A (ko) 2020-05-21
KR102644763B1 KR102644763B1 (ko) 2024-03-08

Family

ID=7091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008A KR102644763B1 (ko) 2018-11-13 2018-11-13 자외선 조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390B1 (ko) * 2021-07-28 2021-11-16 주식회사 케이원시스템 초음파uv살균틀니세척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2929A (ko) 2006-08-22 2009-05-04 토멘 메디칼 아게 임플란트, 특히 치과용 임플란트
KR101102993B1 (ko) 2011-03-29 2012-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 장치
KR101115471B1 (ko) * 2011-05-25 2012-02-27 픽스테아주식회사 발광체 방열기구
KR101213260B1 (ko) 2011-12-27 2012-12-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가습챔버
JP5387537B2 (ja) * 2010-09-30 2014-01-15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用光照射装置
JP2014226210A (ja) 2013-05-20 2014-12-08 株式会社モリタ東京製作所 光重合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2929A (ko) 2006-08-22 2009-05-04 토멘 메디칼 아게 임플란트, 특히 치과용 임플란트
JP5387537B2 (ja) * 2010-09-30 2014-01-15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用光照射装置
KR101102993B1 (ko) 2011-03-29 2012-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 장치
KR101115471B1 (ko) * 2011-05-25 2012-02-27 픽스테아주식회사 발광체 방열기구
KR101213260B1 (ko) 2011-12-27 2012-12-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가습챔버
JP2014226210A (ja) 2013-05-20 2014-12-08 株式会社モリタ東京製作所 光重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390B1 (ko) * 2021-07-28 2021-11-16 주식회사 케이원시스템 초음파uv살균틀니세척기
KR102342466B1 (ko) * 2021-07-28 2021-12-24 주식회사 케이원시스템 이중살균 틀니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763B1 (ko)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5361B2 (ja) Ledユニット
JP2006173604A (ja) 区画を持つ発光ダイオード・ディスプレイ
US20080089062A1 (en) Solid-state lateral emitting optical system
US10781997B2 (en) Lens with elongated radiation pattern
CN105659027B (zh) 源光注入不平行于装置光轴的照明装置
US20160315239A1 (en) Side view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US201200686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or Mixing Lens Array
US8342703B2 (en) Light emitting apparatus
JP2011065979A (ja) 光源装置
KR20080066750A (ko) 조사 장치
JP2004354495A (ja) 光源装置
JP6442199B2 (ja) 発光素子パッケージ
KR20100038048A (ko) 노광 장치
JP2016105387A (ja) スポット照明装置
JP2009093986A (ja) エキシマランプ
JP6964321B2 (ja) 照明装置
KR20200055396A (ko) 자외선 조사 장치
JP2006156074A (ja) 無影灯
JP5280502B2 (ja) 光源装置
KR20200010908A (ko) 자외선 조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JP2012074317A (ja) 照明装置、ランプ及びショーケース
KR20200038083A (ko) 자외선 조사 모듈
KR20200038084A (ko) 자외선 조사 모듈
JP2006210132A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CN108443720A (zh) 光照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