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898A - 베어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베어링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4898A KR20200054898A KR1020190144059A KR20190144059A KR20200054898A KR 20200054898 A KR20200054898 A KR 20200054898A KR 1020190144059 A KR1020190144059 A KR 1020190144059A KR 20190144059 A KR20190144059 A KR 20190144059A KR 20200054898 A KR20200054898 A KR 202000548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ring
- compressor
- housing
- unit
- adjustment mechanism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2—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6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adjusting flow cross-section, otherwise than by using adjustable stator bla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22—Control of the pumps by varying cross-section of exhaust passages or air passages, e.g. by throttling turbine inlets or outlets or by varying effective number of guide conduits
- F02B37/225—Control of the pumps by varying cross-section of exhaust passages or air passages, e.g. by throttling turbine inlets or outlets or by varying effective number of guide conduits air passa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24—Control of the pumps by using pumps or turbines with adjustable guide va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2—Surge control
- F04D27/0246—Surge control by varying geometry within the pumps, e.g. by adjusting va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6—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nozzle vanes
- F01D17/16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nozzle vanes for axial flow, i.e. the vanes turning around axes which are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rotor centre li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6—Arrangement of bearings; Supporting or mounting bearings in ca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3/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for charging or scavenging
- F02B33/44—Passages conducting the charge from the pump to the engine inlet, e.g. reservoi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04—Gas-turbine plants providing heated or pressurised working fluid for other apparatus, e.g. without mechanical power output
- F02C6/10—Gas-turbine plants providing heated or pressurised working fluid for other apparatus, e.g. without mechanical power output supplying working fluid to a user, e.g. a chemical process, which returns working fluid to a turbine of the plant
- F02C6/12—Turbochargers, i.e. plants for augmenting mechanical power output of 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by increase of charge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2—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geometry within the pumps, e.g. by adjusting va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1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uction 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aligning or positioning
- F16C23/10—Bearings, parts of which are eccentrically adjust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40—Application in turbochar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5D2230/23—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 F05D2230/232—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by weld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1—Inle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 Y02T10/1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유입구 조정 기구용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동 장치는 하우징부 및 레버 조립체를 포함한다. 레버 조립체는 베어링 섹션, 입력 섹션 및 출력 섹션을 포함한다. 출력 섹션은 하우징부의 제1 측 상에서 조정 기구의 조정 링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입력 섹션은 하우징부의 제2 측 상에서 작동기 로드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버 조립체는 압축기 유입구측 상에서 베어링 섹션을 통해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컴프레서 유입구 조정 기구를 위한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작동 장치를 구비한 조정 기구, 컴프레서 및 충전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서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신 세대의 차량에는 요구 목표(requirement target)를 달성하고 법적 의무를 충족하기 위해 충전 장치가 장착되는 경우가 더 많아지고 있다. 충전 장치를 개발하는 경우, 신뢰성과 효율성의 측면에서 개개 구성요소와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최적화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공지된 충전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통 샤프트(common shaft)을 통해 구동 유닛에 연결되는 컴프레서 휠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를 가지고 있다. 컴프레서는 연소 엔진 또는 연료 전지를 위해 흡입된 신선한 공기를 압축한다. 이로 인하여, 연소를 위한 엔진 또는 반응을 위한 연료 전지에 이용할 수 있는 공기 또는 산소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연소 엔진 또는 연료 전지의 성능이 향상하게 된다. 충전 장치는 다른 구동 유닛과 함께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컴프레서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E-충전기 및 컴프레서가 배기 가스 터빈에 의해 구동되는 배기 가스 터보차저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두 시스템의 조합도 또한 종래 기술에 기술되어 있다.
각각의 컴프레서는 컴프레서-특유의 컴프레서 맵을 가지고 있으며, 컴프레서의 작동은 서지 한계(surge limit)와 초크 라인(choke line) 사이의 컴프레서 맵의 영역으로 제한된다. 컴프레서의 크기와 구성에 따라, 서지 한계에 도달한 때부터 컴프레서를 통한 적은 체적 흐름(volume flow)에서 작동이 비효율적이거나 더 이상 불가능할 수 있다.
특히, 컴프레서 휠의 상류에서 컴프레서의 유입구 영역 내에 흐름 방향으로 배치되는 조정 기구를 갖는 컴프레서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조정 기구을 통하여, 예를 들면, 컴프레서 휠쪽으로의 유속 및 체적 흐름이 설정될 수 있도록 컴프레서 유입구에서의 흐름 단면이 변경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컴프레서의 서지를 감소시키거나 피할 수 있는 맵 안정화 조치로서 작용할 수 있다. 공지된 시스템은 보통 더 큰 공간 필요조건에 상응하는 큰 치수를 갖는 선형 작동 장치를 가진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설계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시스템의 경우, 작동 중에 조정 기구의 조정 링이 틸팅될 위험이 증가된다. 이로 인해 조정 링 및 전체 조정 기구가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문제는 컴프레서 유입구 조정 기구를 위한 개선된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컴프레서 유입구 조정 기구를 위한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작동 장치를 가진 청구항 10에 따른 조정 기구, 청구항 12에 따른 컴프레서 및 청구항 13에 따른 충전 장치, 및 청구항 14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서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프레서 유입구 조정 기구를 위한 작동 장치는 하우징부 및 레버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레버 어셈블리는 베어링부, 입력부 및 출력부를 포함한다. 출력부는 하우징부의 제1 측 상에서 상기 조정 기구의 조정 링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입력부는 하우징부의 제2 측 상에서 액추에이터 로드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버 어셈블리는 컴프레서 유입구측 상에서 베어링부를 통해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하우징부에 레버 어셈블리의 회전식 장착을 통해, 소형 작동 장치(compact actuation device)가 설치될 수 있다. 출력부를 조정 링에 개별적으로 결합하고 입력부를 액추에이터 로드에 개별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은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고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작동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결합 어셈블리는 베어링부 및 적어도 입력부 또는 출력부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용접 연결(welded connection)을 통해 형성된 결합 어셈블리일 수 있다. 또한, 결합 어셈블리는 베어링부 및 입력부 또는 출력부 중의 다른 하나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어셈블리는 또한 용접 연결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베어링부와 입력부 또는 출력부 중의 다른 하나가 각각 하나의 부분으로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베어링부가, 예를 들면, 본래의 성형 공정에서, 하나의 부분에서 입력부와 공동으로 또는 출력부와 공동으로 생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구성과 결합될 수 있는 작동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결합 어셈블리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결합 어셈블리는 적어도 결합 영역, 즉 결합 어셈블리의 구성 요소가 서로 결합되는 영역에서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어셈블리는 특히 초음파 용접 공정에서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의 임의의 구성과 결합될 수 있는 작동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출력부는 제1 단부 영역 및 제2 대향 단부 영역을 가진 제1 레버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버 아암은 제1 단부 영역을 통해 베어링부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출력부는 베어링부의 제1 단부에 연결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여기서 견고하게 연결되었다는 것은, 예를 들면, 언급된 결합 방법을 통한 물질 대 물질 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구성에 따라, 출력부 또는 제1 레버 아암은 베어링부와 함께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 또는 제1 레버 아암은 나사 연결 또는 프레스 연결 또는 다른 적절한 결합 방법을 통해 베어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의 임의의 구성과 결합될 수 있는 작동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출력부는 핀 또는 이와 유사한 볼록부(elevation)를 통해 조정 링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핀은 조정 기구의 조정 링 내의 대응하는 리세스와 작동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핀은 제1 레버 아암의 제2 단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특히 유리한 구성을 통해, 조정 링의 틸팅 위험은 적어도 최소화될 수 있다. 핀이 조정 링의 리세스에 맞물릴 수 있기 때문에, 조정 링의 레벨에서 조정 링에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핀은 제1 레버 아암의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결합 방법, 특히 용접 공정을 통해 제1 레버 아암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레버 아암의 제2 단부 영역도 또한 출력부가 그를 통하여 조정 기구의 조정 링에서 대응하는 볼록부(예를 들면, 핀)와 작동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는, 특히, 여기서는 포크형(fork-shape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단부 영역은 리세스(예를 들면, 포크형 리세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리세스 또는 레버 아암은 상기 리세스가 후자의 표면을 통해 조정 링에 직접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정 링의 틸팅의 위험도 또한 마찬가지로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의 임의의 구성과 결합될 수 있는 작동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입력부 및 출력부는 서로에 대해 상이한 각도(α)로 장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입력부 및 출력부가 베어링부의 회전축에 대해 상이한 방향으로 베어링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각도(α)는 0° 내지 180°일 수 있다. 상기 각도(α)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0° 또는 대략 180°이다. 입력부 및 출력부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는 또한, 베어링부에 대해, 다른 각 평면(angular plane)에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이를테면, 사용 장소 또는 기하학적 조건에 따라 다른 각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어셈블리와 응용 분야 모두에서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동일한 부품이 상이한 기하학적 조건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는 비용상의 이점을 제공하고 더 저렴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의 임의의 구성과 결합될 수 있는 작동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입력부는 제1 단부 영역 및 제2 대향 단부 영역을 가진 제2 레버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레버 아암은 제1 단부 영역을 통해 베어링부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입력부는 베어링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여기서 견고하게 연결되었다는 것은, 예를 들면, 언급된 결합 방법을 통한 물질 대 물질 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구성에 따라 및, 출력부와 관련하여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입력부 또는 제2 레버 아암은 베어링부와 함께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 또는 제2 레버 아암은 또한 나사 연결 또는 프레스 연결 또는 다른 적절한 결합 방법을 통해 베어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의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작동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입력부는 핀 또는 이와 유사한 볼록부를 통해 액추에이터 로드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핀은 액추에이터 로드 내의 대응하는 리세스(예를 들면, 보어(bore) 또는 아이(eye))와 작동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여기에서 핀은 제2 레버 아암의 제2 단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핀은 제2 레버 아암의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결합 방법, 특히 용접 공정을 통해 제2 레버 아암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레버 아암의 제2 단부 영역은 또한 입력부가 그를 통하여 액추에이터 로드 내의 대응하는 볼록부(예를 들면, 핀)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는, 특히, 여기서는 포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단부 영역은 리세스(예를 들면, 포크형 리세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의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작동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제1 레버 아암 및/또는 제2 레버 아암은 계단형, s-형 또는 c-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스플라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계단식 구성의 경우, 대응하는 핀(존재하는 경우)은 계단과 반대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의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작동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베어링부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베어링부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부는 하우징부의 제1 측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단부는 하우징부의 제2 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단부는 베어링부를 마감하는 (원형) 표면일뿐만 아니라 또한 입력부 또는 출력부에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영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출력부는 베어링부의 제1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는 베어링부의 제2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부는 원주 홈(circumferential groove)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주 홈은 2개의 원통형 볼록부를 통해 및/또는 하나의 오목부(depression)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주 홈은, 특히,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원통형 볼록부를 통해, 안정성 및 원주 홈 내에 밀봉 링을 설치할 가능성을 유지하면서 마찰 표면이 감소될 수 있다. 이는 베어링부가 원주 홈 내에 배치된 밀봉 링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원주 홈 및/또는 밀봉 링은 또한 베어링부를 둘러싸는 재료(예를 들면, 베어링 부싱 또는 하우징부)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원주 홈 및/또는 밀봉 링이 또한 베어링부 내에 및/또는 베어링부를 둘러싸는 재료(예를 들면, 베어링 부싱 또는 하우징부)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의 임의의 구성과 결합될 수 있는 작동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하우징부는 원통형 부분 및 플랜지 부(이하 플랜지라고도 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는 베어링부가 배치되는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어는 반경 방향으로 더 안쪽과 반경 방향으로 더 바깥쪽 사이에서 플랜지부 상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장치는 베어링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어링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 부싱은 하우징부의 보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베어링 부싱은 보어 내로 가압된다. 대안적으로, 베어링 부싱 및 보어는 베어링 부싱을 회전 방향 및/또는 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서로 대응하는 기하학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과 결합될 수 있는 작동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베어링 부싱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하우징부의 보어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작동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레버 어셈블리는 회전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는 작동 장치가, 예를 들면, 레버 어셈블리의 회전 조정 경로(rotational adjustment path)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기하학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기하학적 요소들은, 예를 들면, 베어링부 및/또는 하우징부의 보어 내에 (또는, 존재하는 경우, 베어링 부싱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스토퍼와 같은 기하학적 요소가 또한 플랜지부 상에 및/또는 입력부 상에 및/또는 출력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스토퍼가 제1 및/또는 제2 레버 아암의 이동이 제한되는 플랜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토퍼는 또한 오목부의 형태로 플랜지부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는, 특히,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태의 오목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제1 또는 제2 레버 아암이 이러한 오목부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오목부는 출력부(또는 제1 레버 아암) 및/또는 입력부 (또는 제2 레버 아암)의 최대 이동을 제한하는 각도 범위를 정의한다. 전술한 구성은 조정 링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신뢰성 있는 작동 장치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손상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으며, 정확한 행정(travel)(및 따라서 조정 기구의 조정 경로 또는 개방 정도)이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마지막으로 언급된 오목부를 가진 실시형태는, 출력부 및/또는 입력부가 실질적으로 축 방향으로 하우징부의 바로 옆에 배치되는 장치와 비교하였을 때, 출력부(또는 제1 레버 아암) 및/또는 입력부(또는 제2 레버 아암)의 하우징부 내로의 기하학적 "통합"을 통해 작동 장치의 축 방향 치수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소형 작동 장치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프레서 유입구의 가변 조정을 위한 조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조정 기구는 조정 링 및 복수의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orifice plate element)를 포함한다.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는 조정 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정 기구는 전술한 구성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작동 장치를 포함한다.
조정 기구의 구성에 있어서, 조정 기구는 베어링 링(bearing 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는 베어링 링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베어링 링은 컴프레서 하우징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는 컴프레서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직접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과 결합될 수 있는 조정 기구의 구성에 있어서, 조정 링은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에 결합하기 위한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복수의 오리피스 플레이트 리세스(orifice plate recess)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의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조정 기구의 구성에 있어서, 조정 링은 레버 어셈블리에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링은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커플링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플링 리세스는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홈형 코스(groove-shaped course)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홈형 커플링 리세스의 길이는 반경 방향에서 내측으로 및/또는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출력부의 핀의 슬라이딩 경로가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중에서도) 조정 링의 회전 경로의 제한이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과 결합될 수 있는 조정 기구의 구성에 있어서, 커플링 리세스는 축 방향으로 조정 링을 통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커플링 리세스는 단지 조정 링에서만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출력부가 핀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핀은 커플링 리세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커플링 리세스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2개의 오리피스 플레이트 리세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커플링 리세스가 있는 경우, 커플링 리세스는 조정 링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분포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고 출력부의 제2 단부 영역이 리세스를 가지고 있는 조정 기구의 구성에 있어서, 조정 링은 출력부의 제2 단부 영역의 리세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링 볼록부(coupling elev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프레서 하우징 및 그 안에 배치된 컴프레서 휠을 포함하는 컴프레서에 관한 것이다. 컴프레서 하우징은 컴프레서 유입구 및 컴프레서 볼류트(compressor volute)를 가진 컴프레서 유출구를 정의한다. 컴프레서는 전술한 구성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정 기구를 포함한다.
컴프레서의 구성에 있어서, 하우징부는 컴프레서 하우징의 유입구 노즐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는 컴프레서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또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는 컴프레서 유입구측 상에서 컴프레서 하우징의 플랜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는 플랜지부를 가진 컴프레서 하우징의 플랜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컴프레서의 구성에 있어서, 컴프레서 하우징은 컴프레서 유입구를 동축 방향으로 둘러싸고 있는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동축 오목부는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 조정 링 및 임의로는 베어링 링(존재하는 경우)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는 플랜지면의 내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이는 플랜지면이 컴프레서 하우징의 오목부를 실질적으로 동축 방향 또는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둘러싸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플랜지면은 축방향으로 오목부에 비해 상승된다.
전술한 구성들 중의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컴프레서의 구성에 있어서, 컴프레서는 액추에이터 로드를 가진 액추에이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액추에이터 로드를 통해 레버 어셈블리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구동 유닛 및 샤프트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충전 장치는 전술한 구성들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컴프레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컴프레서의 컴프레서 휠은 샤프트를 통해 구동 유닛에 결합된다. 구동 유닛은 터빈 및/또는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컴프레서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프레서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조정 기구를 제공하는 단계:
-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o
하우징부, 베어링부, 입력부 및 출력부를 제공하는 단계;
o
상기 하우징부내의 보어를 통해 상기 베어링부를 공급하는 단계;
o
바람직하게는 용접 공정을 통해 상기 베어링부를 적어도 입력부 또는 출력부 중의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
복수의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 조정 링 및 임의로 베어링 링으로 구성된 어셈블리 그룹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조정 기구를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에 부착하는 단계.
방법의 구성에 있어서, 조정 기구는 부착 전에 컴프레서의 회전축에 대해 임의의 목적하는 회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과 결합될 수 있는 방법의 구성에 있어서, 작동 장치 및 어셈블리 그룹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의 임의의 구성과 결합될 수 있는 방법의 구성에 있어서, 조정 기구를 부착하는 단계는, 먼저 어셈블리 그룹을 컴프레서 하우징의 오목부 내에 삽입한 다음 작동 장치를 컴프레서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작동 장치 및 어셈블리 그룹은 부착하기 전에 함께 조립된 다음 컴프레서 하우징에 공동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방법의 구성에 있어서, 베어링부는 입력부 또는 출력부와 함께 상기 베어링부가 하우징 부의 보어를 통해 공급되기 전에 하나의 부분으로서 제공된 다음, 입력부 또는 출력부 중의 다른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는 입력부 또는 출력부 중의 어느 하나가 베어링부와 공동으로 하나의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베어링부는 (입력부 또는 출력부 중의 어느 하나와 공동으로) 하우징부의 보어를 통해 공급된 다음, 입력부 또는 출력부 중의 다른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보어를 통해 공급하는 경우, 물론 베어링부 자체만이 보어 내에 삽입된다. 통과되거나 삽입된 후, 베어링 하우징(입력부 또는 출력부)과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성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입력부 또는 출력부)에 결합될 때 고정 보조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는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고 가속화한다.
전술한 구성들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방법의 구성에 있어서, 조정 기구를 부착하는 단계 전에, 조정 기구는 컴프레서 축에 대해 회전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회전 배향은 목적하는 대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조립을 더 용이하게 해준다.
전술한 구성들 중의 임의의 구성과 결합될 수 있는 방법의 구성에 있어서, 조정 기구는 전술한 구성들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를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의 임의의 구성과 결합될 수 있는 방법의 구성에 있어서, 베어링부가 하우징부내의 보어(156)를 통해 공급되기 전에 베어링 부싱이 보어 내에 도입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 부싱은 가압되거나 보어내로 도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기구가 없는 충전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위로부터 비스듬히 그리고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조정 기구 및 작동 장치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위로부터 비스듬히 그리고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아래에서 바라본 평면도, 즉 유입구 방향(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제1/제2) 레버 아암의 상이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위로부터 비스듬히 그리고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조정 기구 및 작동 장치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위로부터 비스듬히 그리고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아래에서 바라본 평면도, 즉 유입구 방향(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제1/제2) 레버 아암의 상이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의 맥락에서, 축 및 축 방향이란 표현은 조정 링/컴프레서/컴프레서 유입구의 회전축(3개 모두 정확히 동일한 축을 가짐) 또는 레버 어셈블리의 베어링부의 회전축과 관련이 있다. 이들 2개의 축은 서로 평행하다. 2개의 축 중의 어느 것을 의미하는지는 각각의 경우에 해당 맥락 (및, 해당하는 경우, 도면으로부터) 유추되어야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예를 들면, 도 1 또는 도 3a 참조), 조정 링/컴프레서/컴프레서 유입구의 축 방향은 참조 번호(22)로 표시된다. 명확성을 위해, 레버 어셈블리의 베어링부의 축 방향은 참조 번호(22')로 표시된다. 여기서 반경 방향(24, 24')은 조정 링/컴프레서/컴프레서 유입구의 축(22)(레버 어셈블리의 베어링부의 축(22'))과 관련이 있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원주 또는 원주 방향(26, 26')은 조정 링/컴프레서/컴프레서 유입구의 축(22)(레버 어셈블리의 베어링부의 축(22'))과 관련이 있다.
도 1은 구동 유닛(410) 및 샤프트(420) 및 컴프레서(300)를 가진 충전 장치(400)를 도시한다. 컴프레서(300)는 컴프레서 휠(310)이 배치되어 있는 컴프레서 하우징(320)을 포함한다. 컴프레서 휠(310)은 샤프트(420)를 통해 구동 유닛(410)에 결합된다. 여기서 구동 유닛(410)은 터빈으로만 구성된다. 또한, 구동 유닛(410)은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동 유닛(410)은 또한 터빈이 없이 전기 모터만을 독점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이것이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컴프레서(300)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기구(200) 또는 하기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컴프레서 유입구(322)의 가변 조정을 위한 조정 기구(200)을 가진 컴프레서(300)를 도시한 것이다. 컴프레서(300)는 컴프레서 하우징(320) 및 그 내부에 배치된 컴프레서 휠(310)(단지 도 1에만 도시되어 있는 컴프레서 휠(310))을 포함한다. 컴프레서 하우징(320)은 컴프레서 유입구(322) 및 컴프레서 볼류트(326)를 가진 컴프레서 유출구(324)를 정의한다(도 2c 참조). 컴프레서 하우징(320)은 유입구 노즐(150)을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면(327)을 포함한다. 컴프레서 하우징(320)은 컴프레서 유입구(322)를 동축 방향으로 둘러싸는 오목부(328)를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 오목부(328)는 플랜지면(327) 내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이는 플랜지면(327)이 컴프레서 하우징(320)의 오목부(328)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또는 반경 방향(24)으로 외측으로 향하여 둘러싸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플랜지면(327)은 축 방향(22)으로 오목부(328)에 비해 돌출된다. 컴프레서는 액추에이터 로드(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음)를 가진 액추에이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액추에이터 로드를 통해 레버 어셈블리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의 분해 사시도로부터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컴프레서 유입구(322)의 가변 조정을 위해 구성된 조정 기구(200)는 작동 장치(10), 조정 링(210), 복수의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 및 베어링 링(230)을 포함한다.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는 베어링 링(2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조정 링(21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어링 링(230)은 컴프레서 하우징(320)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베어링 링(230)은 컴프레서 하우징(320)의 동축 오목부(328) 내에 배치되거나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동축 오목부(328)는 임의로는 베어링 링(2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면, 치수화된다). 달리 말하면, 이는 베어링 링(230),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 및 조정 링(210)이 동축 오목부(328) 내에 장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조정 기구(200)은 또한 베어링 링(230)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는 컴프레서 하우징(320) 내에(또는 동축 오목부(328) 내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컴프레서 하우징(320) 또는 동축 오목부(328)는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단지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 및 조정 링(210)만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컴프레서 하우징(320)은, 예를 들면,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의 회전가능한 장착을 위해 동축 오목부(328)의 영역 내에 보어를 가질 수 있다. 조정 링(210)은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에 결합하기 위해 원주 방향(26)으로 분포된 복수의 오리피스 플레이트 리세스(2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오리피스 플레이트 리세스(212)는 홈형으로 구성되며,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24)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오리피스 플레이트 리세스(212)의 각각의 길이는 반경 방향(24)으로 내측으로 제한되며 외측으로는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오리피스 플레이트 리세스(212)의 길이는 또한 반경방향(24)으로 외측으로 제한되고 내측으로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반경방향(24)으로 내측 및 외측 양방향으로 제한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10)를 도시한 것이다. 작동 장치(10)는 하우징부(150) 및 레버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레버 어셈블리(100)는 베어링부(120),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을 포함한다. 출력부(130)은 하우징부(150)의 제1 측(157) 상에서 조정 기구(200)의 조정 링(2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또한, 도 2b 참조). 액추에이터 로드(도시되지 않음)를 가진 입력부(110)은 하우징부(150)의 제2 측(159) 상에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도 2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기서 레버 어셈블리(100)는 컴프레서 유입구측 상에서 베어링부(120)을 통해 하우징부(15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1 측(157)은 하우징부(150)가 설치될 때 컴프레서(300) 내측의 측면에 대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159)은 하우징부(150)가 설치될 때 컴프레서(300) 외측의 측면에 대응한다. 컴프레서 상에서, 여기서 유입구측은 충전 장치(400)의 베어링 하우징 또는 컴프레서 휠(310)로부터 출발하는 충전 장치(400)의 구동 유닛(410)의 반대측에 대면하는 측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이것은 충전 장치(400)의 구동 유닛(410)의 반대측에 대면하는 조정 링(210)에 대한 측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하우징부(150) 내에 레버 어셈블리(100)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소형 작동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 출력부(130)를 조정 링(210)에 개별적으로 결합하고 입력부(110)를 액추에이터 로드에 개별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은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고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레버 어셈블리(100)를 가진 작동 장치(1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부(130)은 제1 단부 영역(132a) 및 제2 대향 단부 영역(132b)을 가진 제1 레버 아암(132)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입력부(110)은 레버 아암, 보다 정확하게는 제1 단부 영역(112a) 및 제2 대향 단부 영역(112b)을 가진 제2 레버 아암(112)을 포함한다. 베어링부(120)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제1 단부(122) 및 제2 단부(124)를 포함한다. 제1 단부(122)(베어링부(120)이 설치되는 경우)는 하우징부(150)의 제1 측(157) 상에 배치되며, 제2 단부(124)는 하우징부(150)의 제2 측(159)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단부(157, 159)는 베어링부(120)을 마감하는 (원형) 표면일뿐만 아니라, 또한 입력부 또는 출력부(110, 130)에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영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출력부(130)은 베어링부(120)의 제1 단부(122)에 배치된다. 따라서, 입력부(110)은 베어링부(120)의 제2 단부(124)에 배치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도 3a 내지 도 3b 참조), 출력부(130) 및 입력부(110)은 각각 핀(134, 114)을 포함한다. 여기서 핀(134)은 제1 레버 아암(132)의 제2 단부 영역(132b) 내에 배치된다. 여기서 출력부(130) 또는 전체적인 레버 어셈블리(100)는 핀(134)을 통해 조정 링(21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핀(134)은 조정 기구(200)의 조정 링(210)내의 대응하는 리세스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조정 링(210)은 레버 어셈블리(100)에 결합하기 위한 커플링 리세스(214)를 포함한다. 이는 커플링 리세스(214)가 핀(13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의미한다. 커플링 리세스(214)는 실질적으로는 반경방향(24)으로 짧은 홈형 코스를 갖는다. 홈형 커플링 리세스(214)의 길이는 여기서는 반경방향(24)에서 내측으로 및 외측으로 제한된다. 대안적으로, 홈형 커플링 리세스(214)의 길이는 또한 반경방향(24)(즉, 개구 방향)으로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커플링 리세스(214)는 또한 홈형 이외에도,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또는 s-형일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출력부(130)의 핀(134)의 슬라이딩 경로가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중에서도) 조정 링(210)의 회전 경로의 제한이 결정될 수 있다. 커플링 리세스(214)는 축 방향(22)으로 조정 링(210)을 통과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커플링 리세스(214)는 또한 단지 조정 링(210)에서만 만들어질 수 있다. 커플링 리세스(214)는 원주 방향(26)으로 2개의 오리피스 플레이트 리세스(212) 사이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조정 링은 복수의 커플링 리세스(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조정 링(210) 상에서 원주 방향(26)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특히 유리한 구성을 통해, 조정 링(210)의 틸팅의 위험이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핀(134)이 조정 링(210)의 커플링 리세스(214) 내에 맞물리기 때문에, 조정 링(210)의 레벨에서 조정 링(210) 내에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핀(134)은 제1 레버 아암(132)과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결합 방법, 특히 용접 공정을 통해 제1 레버 아암(132)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핀(134)은 또한 다른 결합 방법, 예를 들면 프레스 연결 또는 나사 연결을 통해 레버 아암(132)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핀(134) 대신에, 제1 레버 아암(132)의 제2 단부 영역(132b)은 또한 리세스(도시되지 않음)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리세스를 통해, 출력부(130)은 조정 기구(200)의 조정 링(210)내의 대응하는 볼록부(예를 들면, 핀)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는, 특히, 여기서는 포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조정 링(210)은 출력부(130)의 제2 단부 영역(132b)의 리세스(도시되지 않음)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플링 볼록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제2 단부 영역(132b)은 리세스(예를 들면, 포크형 리세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리세스는 후자의 표면 또는 그의 커플링 볼록부를 통해 조정 링(210)에 직접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정 링(210)의 틸팅의 위험도 마찬가지로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핀(114)은 제2 레버 아암(112)의 제2 단부 영역(112b) 내에 배치된다(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됨). 입력부(110) 또는 전체적인 레버 어셈블리(100)는 핀(114)을 통해 액추에이터 로드에 결합된다(도시되지 않음). 보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핀(114)은 액추에이터 로드 내의 대응하는 리세스(예를 들면, 보어 또는 아이가 도시되지 않음)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여기서 핀(114)은 결합 방법, 특히 용접 공정을 통해 제2 레버 아암(112)과 함께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여기서 핀(114)은 제2 레버 아암(112)과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핀(114)은 또한 다른 결합 방법, 예를 들면 프레스 연결 또는 나사 연결을 통해 제2 레버 아암(112)에 연결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2 레버 아암(112)의 제2 단부 영역(112b)은 또한 입력부(110)이 그를 통하여 액추에이터 로드내의 대응하는 볼록부(예를 들면, 핀)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리세스(113)(도 4f 참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리세스(113)는, 특히, 포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단부 영역(112b)은 리세스(113)(예를 들면, 포크형 리세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 장치(10)의 요소 및, 특히, 레버 어셈블리(100)의 요소가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입력부(110) 및/또는 출력부(130)의 요소는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성되거나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원칙적으로는 베어링부(120),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에도 적용한다. 이는 결합 어셈블리가 베어링부(120) 및, 예를 들면, 입력부(110)을 통해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들 두 부분은 결합 공정, 특히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공정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이는 용접 연결을 통해 형성된 결합 어셈블리일 수 있다. 또한, 베어링부(120) 및 출력부(130)은 결합 어셈블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공정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어셈블리는 또한 용접 연결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한 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30) 중의 어느 하나만이 베어링부(120)과 결합 어셈블리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30) 중의 다른 하나가 각각 베어링부(120)과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베어링부(120)이, 예를 들면 본래의 형성 공정에서, 하나의 부분으로부터 입력부(110)과 공동으로 또는 출력부(130)과 공동으로 생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합 어셈블리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결합 어셈블리는 결합 영역, 즉 결합 어셈블리의 구성 요소(110, 120, 130)가 서로 결합되는 영역에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어셈블리는 특히 초음파 용접 공정에서 생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레버 아암(132)은 제1 단부 영역(132a)을 통해 베어링부(120)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출력부(130)은 베어링부(120)의 제1 단부(122)에 연결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여기서 견고하게 연결되었다는 것은, 예를 들면, 언급된 결합 방법을 통한 물질 대 물질 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구성에 따라, 출력부(130) 또는 제1 레버 아암(132)은 베어링부(120)과 함께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30) 또는 제1 레버 아암(132)은 또한 나사 연결 또는 프레스 연결 또는 다른 적절한 결합 방법을 통해 베어링부(1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레버 아암(112)은 제1 단부 영역(112a)을 통해 베어링부 (120)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입력부(110)은 베어링부(120)의 제2 단부(124)에 연결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여기서 견고하게 연결되었다는 것은, 예를 들면, 언급된 결합 방법을 통한 물질 대 물질 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구성에 따라 및, 출력부(130)과 관련하여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입력부(110) 또는 제2 레버 아암(112)은 베어링부(120)과 함께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 또는 제2 레버 아암(112)은 또한 나사 연결 또는 프레스 연결 또는 다른 적절한 결합 방법을 통해 베어링부(1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어링부(120)은 원주 홈(125)을 포함한다. 이러한 원주 홈(125)은 2개의 원통형 볼록부(126)를 통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원주 홈(125)은 또한 대응하는 오목부를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원주 홈(125)은 제1 단부(122)와 제2 단부(124) 사이에 배치된다. 원주 홈은, 제1 단부(122)와 제2 단부(124) 사이에서 비교적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원주 홈(125)은 또한 제1 단부(122)와 제2 단부(124) 사이에서 편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원주 홈(125)은 단지 제1 단부(122) 또는 제2 단부(124)중 어느 하나에 너무 가깝게 배치되어서는 안된다. 원통형 볼록부(126)를 통해, 한편으로는,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마찰 표면의 감소가 달성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원주 홈(125)의 생성 및, 결과적으로, 원주 홈(125) 내에 밀봉 링(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베어링부(120)이 원주 홈(125) 내에 배치되는 밀봉 링(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원주 홈 및/또는 밀봉 링은 또한 베어링부(120)를 둘러싸는 재료(예를 들면, 베어링 부싱(160) 또는 하우징부(150))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부(150)는 원통형 부분(152) 및 플랜지부(또한 플랜지)(154)을 포함한다. 플랜지부(154)은 베어링부(120)이 배치되는 보어(156)를 포함한다. 작동 장치(10)는 하우징부(150)의 보어(156) 내에 배치되는 베어링 부싱(160)을 추가로 포함한다(특히, 도 3a 내지 도 3b 참조). 베어링부(120)은 결국 베어링 부싱(16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대안적으로, 작동 장치(10)는 또한 베어링 부싱(160)을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베어링부(120)은 보어(156) 내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베어링 부싱(160)은 보어(156)내로 가압된다. 대안적으로, 베어링 부싱(160) 및 보어(156)는 베어링 부싱(160)을 원주 방향(26') 및/또는 축방향(22')으로 고정하기 위해 서로 대응하는 기하학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보어(156)는 반경방향(22)으로 더 내측과 반경방향(22)으로 더 외측 사이에서 플랜지부(154)상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베어링 부싱(160)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 부싱(160)은 하우징부(150)의 보어(156) 내로 도입될 수 있다.
특히, 도 3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은 서로에 대해 대략 180°의 각도(α)로 배치된다. 여기서 각도(α)의 위치는 도 3c에서 볼 수 있다(도형 평면 내에 있음). 이는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이 베어링부(120)의 회전축(22')에 대해 상이한 방향(거의 반대 방향)으로 베어링부(12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각도(α)는 또한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각도(α)는 0° 내지 180°일 수 있다. 각도(α)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0° 또는 대략 180°이다(도 3c). 입력부(110) 및 출력부(120)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는 또한, 베어링부(120)에 대해, 다른 각평면에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이를테면, 사용 장소 또는 기하학적 조건에 따라 다른 각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어셈블리와 응용 분야 모두에서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동일한 부분이 다른 기하학적 조건에 사용될 수 있다.
레버 아암(112, 132)의 구성 또는 베어링부(120) 상에서의 그들의 배치와 관련하여, 도 4a 내지 도 4f는 베어링부(120) 및 입력부(110)의 상이한 실시형태들의 조합의 일례의 각각의 경우의 개략적인 측면도 및 관련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계단형으로 구성되고, 커플링 요소로서, 계단과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거나 레버 아암(112)으로부터 계단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핀(114)을 포함하는 제2 레버 아암(112)을 도시한 것이다. 대안적으로, 핀(114)은 또한 다른 방향으로, 특히 도 4a에서 화살표(22')의 축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계단은 또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도 4c 및 도 4d는 s-형으로 구성되고, 커플링 요소로서, S 자와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거나 레버 아암(112)으로부터 S 자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핀(114)을 포함하는 제2 레버 아암(112)을 도시한 것이다. 대안적으로, 핀(114)은 또한 다른 방향으로, 특히 도 4c에서 화살표(22')의 축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S 자는 또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도 4e 및 도 4f는 선형으로 구성되고, 베어링부(120)로부터 비스듬히 돌출하고, 커플링 요소로서, 예를 들면, 리세스(113)를 포함하는 제2 레버 아암(112)을 도시한 것이다. 비스듬하다는 것은 베어링부(120)의 종 방향 범위와 레버 아암(112)의 종 방향 범위 사이에서 직각이 아닌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언급된 것들 이외의 추가의 조합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버 아암은 계단형, s-형 또는 c-형으로 구성되거나 스플라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도 4d 및 도 4f의 평면도에 도시된 레버 아암(112)의 비선형 범위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예를 들면, 만곡, 꼬임 등).
특히, 도 3b 및 도 3c는 레버 어셈블리(100)가 회전 제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는 레버 어셈블리(100)의 회전 조정 경로가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작동 장치(10)는 스토퍼(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토퍼(170)는 하우징부(150)에서 오목부의 형태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통합된다(결과적으로, 이하에서는 또한 스토퍼 오목부(170) 또는 오목부(170)라고도 지칭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70)는 플랜지부(154) 내에 오목부의 형태로 통합된다. 스토퍼 오목부(170)는 삼각형으로 구성된다. 오목부(170)에 대응하는 볼록부는 축 방향(22) 반대쪽의 플랜지 부의 측면 상에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및 선택적으로, 플랜지 부(154)의 축 두께에 따라, 오목부(170)는 또한 플랜지부(154)에서 임의의 대향되는 오목부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출력부(130) 또는 제1 레버 아암(132)은 스토퍼 오목부(170) 내에 삽입된다. 오목부(170)는 출력부(130)(또는 제1 레버 아암(132)) 및/또는 입력부(110)(또는 제2 레버 아암(112))의 최대 운동(maximum movement)을 제한하는 각도 범위를 정의한다. 따라서, 전체 레버 어셈블리(100)의 최대 운동이 또한 제한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입력부(110) 또는 제2 레버 아암(112)은 또한 스토퍼 오목부(17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스토퍼 오목부(170)는 플랜지 부(154)의 축 방향 대향측 상에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토퍼(170)도 또한 원칙적으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레버 어셈블리(100)의 회전 조정 경로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기하학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기하학적 요소들은, 예를 들면, 하우징부(150)의 베어링부(120) 및/또는 보어(156) 내에 (또는 존재하는 경우 베어링 부싱(16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핀형 스토퍼와 같은 기하학적 요소가 또한 플랜지부(154) 상에 및/또는 입력부(110) 상에 및/또는 출력부(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기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스토퍼는, 제1 및/또는 제2 레버 아암(132, 112)이 그들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플랜지부(15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구성은 조정 링(210)의 과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작동 장치(10) 및 조정 기구(200)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손상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으며, 정확한 헹정 (및 따라서 조정 기구(200)의 조정 경로 또는 개방도)이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마지막에 언급된 오목부를 가진 실시형태는, 출력부 및/또는 입력부가 실질적으로 축 방향으로 하우징부 옆에 배치되는 장치와 비교하였을 때, 출력부(130)(또는 제1 레버 아암(132)) 및/또는 입력부(110)(또는 제2 레버 아암(112))의 하우징부(150) 내로의 기하학적 "통합"을 통해 작동 장치(10)의 축 방향 치수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더 소형의 작동 장치(10)를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도 3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부(150)는 컴프레서 하우징(320)을 위한 유입구 노즐 역할을 한다(따라서 하우징부(150)도 또한 유사하게 유입구 노즐(150)로서 지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150)는 컴프레서 하우징(320)과 일체형으로 또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150)는 컴프레서 유입구측 상에서 컴프레서 하우징(320)의 플랜지면(327)에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150)는 플랜지부(154)을 통해 컴프레서 하우징(320)의 플랜지면(327)에 부착된다. 이는 본 발명이 조정 기구(200)를 컴프레서 하우징(320)에 용이하게 통합하거나 또는 작동 장치(10)를 유입구 노즐(하우징부(150))에 용이하게 통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컴프레서(300)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프레서 하우징(320)을 제공하는 단계;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조정 기구(200)를 제공하는 단계:
-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작동 장치(10)를 제공하는 단계:
o
하우징부(150), 베어링부(120),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을 제공하는 단계;
o
상기 하우징부(150)내의 보어(156)를 통해 상기 베어링부(120)을 공급하는 단계;
o
바람직하게는 용접 공정을 통해 상기 베어링부(120)을 적어도 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30) 중의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
복수의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 조정 링(210) 및 임의로 베어링 링(230)으로 구성된 어셈블리 그룹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조정 기구(200)를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320)에 부착하는 단계.
여기서 조정 기구(200)는 부착되기 전에 컴프레서(300)의 회전축에 대해 임의의 목적하는 회전 배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조립 방법을 더 쉽게 만든다. 또한, 이와 관련된 조립 오류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장치(10) 및 어셈블리 그룹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하위 그룹이 병렬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조립 작업이 공유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조립 시간이 최적화될 수 있다. 조정 기구(200)의 부착은, 먼저 어셈블리 그룹을 컴프레서 하우징(320)의 오목부(328) 내에 삽입한 다음 작동 장치(10)를 컴프레서 하우징(320)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작동 장치(10) 및 어셈블리 그룹은 부착하기 전에 함께 조립될 수 있으며 컴프레서 하우징(320)에 공동으로 부착될 수 있다. 베어링부(120) 및 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30) 중의 어느 하나는 베어링부(120)이 하우징부(150)의 보어(156)를 통해 공급되기 전에 하나의 부분으로서 제공된 다음 입력부(110) 또는 출력부 (130) 중의 다른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는 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30) 중의 어느 하나가 베어링부(120)과 함께 하나의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베어링부(120)은 (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30) 중의 어느 하나와 공동으로) 하우징부(150)내의 보어(156)를 통해 공급된 다음 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30) 중의 다른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보어(156)를 통해 공급하는 경우, 단지 베어링부(120) 자체 만이 보어(156) 내에 삽입된다. 통과되거나 삽입된 후, 베어링 하우징(120)(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30))과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성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30))에 결합될 때 고정 보조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2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30) 중의 어느 하나와 하나의 부분으로서 베어링부(120)을 제공하는 대신에, 후자는 또한 베어링부(120)이 하우징부(150)에서 보어(156)를 통해 공급되기 전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조립 공정을 간소화시킨다. 또한, 조정 기구(200)를 부착하는 단계 전에, 조정기구(200)는 컴프레서 축에 대해 회전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으며, 이때 회전 배향은 목적하는 대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조립을 더 용이하게 해준다. 베어링부(120)이 보어(156)를 통해 공급되기 전에, 베어링 부싱(160)이 보어(156) 내에 도입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 부싱(160)은 보어(156) 내로 가압 또는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위에서 설명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또한 대안적으로 하기의 실시형태에 따라 정의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1.
컴프레서 유입구 조정 기구(200)를 위한 작동 장치(10)로서:
하우징부(150); 및
베어링부(120),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를 가진 레버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150)의 제1 측(157) 상에서 상기 조정 기구(200)의 조정 링(2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부(110)은 상기 하우징부(150)의 제2 측(159) 상에서 액추에이터 로드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레버 어셈블리(100)는 컴프레서 유입구측 상에서 상기 베어링부(120)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5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2.
실시형태 1에 있어서, 결합 어셈블리, 특히 용접 연결을 사용하는 결합 어셈블리가 상기 베어링부(120) 및 적어도 상기 입력부(110) 또는 상기 출력부(130)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0).
3.
실시형태 2에 있어서, 결합 어셈블리, 특히 용접 연결을 사용하는 결합 어셈블리가 상기 베어링부(120) 및 상기 입력부(110) 또는 상기 출력부(130) 중의 다른 하나를 통해 형성되며, 대안적으로 상기 베어링부(120) 및 상기 입력부(110) 또는 상기 출력부(130) 중의 다른 하나가 각각 하나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0).
4.
실시형태 2 및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결합 어셈블리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초음파 용접 공정을 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0).
5.
전술한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30)가 제1 단부 영역(132a) 및 제2 대향 단부 영역(132b)을 가진 제1 레버 아암(132)을 가지며, 상기 제1 레버 아암(132)이 상기 제1 단부 영역(132a)을 통해 상기 베어링부(120)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0).
6.
전술한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30)가 핀(134)을 통해 상기 조정 기구(200)의 조정 링(210)내의 대응하는 리세스(214)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7.
실시형태 6에 있어서, 실시형태 5에 의존하는 경우, 상기 핀(134)이 상기 제1 레버 아암(132)의 상기 제2 단부 영역(132b)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8.
실시형태 5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 영역(132b)이, 상기 출력부(130)가 상기 조정 기구(200)의 조정 링(210)내의 대응하는 볼록부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리세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9.
전술한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10) 및 상기 출력부(130)가 서로에 대해 상이한 각도(α)에서 장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10.
실시형태 9에 있어서, 상기 각도(α)가 0° 내지 18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0° 또는 대략 1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11.
전술한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10)가 제1 단부 영역(112a) 및 제2 대향 단부 영역(112b)을 가진 제2 레버 아암(112)을 가지며, 상기 제2 레버 아암(112)이 상기 제1 단부 영역(112a)을 통해 상기 베어링부(120)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12.
실시형태 11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10)가 핀(114)을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13.
실시형태 12에 있어서, 상기 핀(114)이 상기 제2 레버 아암(112)의 제2 단부 영역(112b)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14.
실시형태 1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 영역(112b)이, 상기 입력부(110)가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의 대응하는 볼록부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리세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15.
전술한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120)가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16.
전술한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120)가 제1 단부(122) 및 제2 단부(124)를 갖고, 상기 제1 단부(122)는 상기 하우징부(150)의 제1 측(157)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단부(124)는 상기 하우징부(150)의 제2 측(159)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17.
실시형태 16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30)가 상기 베어링부(120)의 제1 단부(122)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110)이 상기 베어링부(120)의 제2 단부(12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18.
전술한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50)가 원통형 부분(152) 및 플랜지부(15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19.
실시형태 18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54)가, 상기 베어링부(120)가 배치되는 보어(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20.
실시형태 19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어링 부싱(160)을 추가로 포함하는, 작동 장치(10).
21.
실시형태 20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싱(160)이 하우징부(150)의 보어(156) 내에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 부싱(160)이 바람직하게는 보어(156)내로 가압되거나, 또는 상기 베어링 부싱(160) 및 보어(156)가 상기 베어링 부싱(160)을 회전 방향 및/또는 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서로 대응하는 기하학적 특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22.
실시형태 20 및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싱(160)이 상기 하우징부(150)의 보어(156) 내에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 부싱(160)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보어(156)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23.
전술한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레버 어셈블리(100)가 회전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24.
컴프레서 유입구(22)의 가변 조정을 위한 조정 기구(200)로서:
조정 링(210),
상기 조정 링(2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기구(200)가 전술한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작동 장치(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기구(200).
25.
실시형태 24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가 컴프레서 하우징(3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어링 링(230)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정 기구(200).
26.
실시형태 24 및 25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정 링(210)이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에 결합하기 위해 원주 방향(26)으로 분포된 복수의 오리피스 플레이트 리세스(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기구(200).
27.
실시형태 24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정 링(210)이 레버 어셈블리(100)에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리세스(214),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커플링 리세스(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기구(200).
28.
실시형태 27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리세스(214)가 실질적으로 반경방향(24)으로 홈형 코스를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기구(200).
29.
실시형태 28에 있어서, 상기 홈형 커플링 리세스(214)의 길이(214a)가 반경방향(24)으로 내측으로 및/또는 외측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기구(200).
30.
실시형태 27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리세스(214)가 축 방향(22)으로 조정 링(210)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기구(200).
31.
실시형태 27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30)이 핀(134)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핀(134)이 상기 커플링 리세스(21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기구(200).
32.
실시형태 27 내지 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리세스(214)가 원주 방향(26)으로 2개의 오리피스 플레이트 리세스(212)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기구(200).
33.
실시형태 24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30)의 제2 단부 영역(132b)이 리세스를 갖는 경우, 상기 조정 링(210)이, 상기 출력부(130)의 제2 단부 영역(132b)의 리세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링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기구(200).
34.
컴프레서(300)로서:
컴프레서 하우징(320) 및 그 안에 배치된 컴프레서 휠(310)을 포함하고,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320)이 컴프레서 유입구(322) 및 컴프레서 볼류트(326)를 가진 컴프레서 유출구(324)를 정의하며;
상기 컴프레서(300)가 전술한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조정 기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300).
35.
실시형태 3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50)가 컴프레서 하우징(320)의 유입구 노즐의 역할을 하고, 상기 컴프레서 유입구측 상에서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320)의 플랜지면(327)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300).
36.
실시형태 34 및 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320)이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 상기 조정 링(210) 및 임의로는 상기 베어링 링(230)을 수용하도록 컴프레서 유입구(322)를 동축 방향으로 둘러싸고 있는 오목부(32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300).
37.
실시형태 34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액추에이너를 레버 어셈블리(100)에 결합시키는 액추에이터 로드를 가진 액추에이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컴프레서 (300).
38.
충전 장치(400)로서:
구동 유닛(410); 및
샤프트(420)를 포함하며;
전술한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컴프레서(300)를 특징으로 하되, 상기 컴프레서(300)의 컴프레서 휠(310)은 샤프트(420)를 통해 구동 유닛(410)에 결합되는, 충전 장치(400).
39.
실시형태 38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410)이 터빈 및/또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400).
40.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컴프레서(300)를 조립하는 방법:
컴프레서 하우징(320)을 제공하는 단계;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조정 기구(200)를 제공하는 단계:
-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작동 장치(10)를 제공하는 단계:
o
하우징부(150), 베어링부(120),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을 제공하는 단계;
o
상기 하우징부(150)내의 보어(156)를 통해 상기 베어링부(120)을 공급하는 단계;
o
바람직하게는 용접 공정을 통해 상기 베어링부(120)을 적어도 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30) 중의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
복수의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 조정 링(210) 및 임의로 베어링 링(230)으로 구성된 어셈블리 그룹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조정 기구(200)를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320)에 부착하는 단계.
41.
실시형태 40에 있어서, 상기 조정 기구(200)가 부착 전에 컴프레서(300)의 회전축에 대해 임의의 목적하는 회전 배향으로 배치되는, 방법.
42.
실시형태 40 및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10) 및 어셈블리 그룹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방법.
43.
실시형태 40 및 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정 기구(200)를 부착하는 단계가, 일차로 상기 어셈블리 그룹을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320)내의 오목부(328) 내로 삽입한 다음 상기 작동 장치(10)를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320)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기 작동 장치(10) 및 상기 어셈블리 그룹을 부착 전에 함께 조립한 다음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320)에 공동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4.
실시형태 40 내지 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120)이 하우징부(150) 내의 보어(156)를 통해 공급된 다음 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30) 중의 다른 하나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베어링부(120) 및 상기 입력부(110) 또는 상기 출력부(130) 중의 어느 하나가 하나의 부분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실시형태 40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정 기구(200)를 부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조정 기구(200)를 컴프레서 축에 대해 회전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이때 상기 회전 배향은 원하는 대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
46.
실시형태 40 내지 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조정 기구(200)를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실시형태 40 내지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120)가 상기 하우징부(150)내의 보어(156)를 통해 공급되기 전에 베어링 부싱(160)이 상기 보어(156)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실시형태 47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싱(160)이 상기 보어(156)내로 가압 또는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Claims (15)
- 컴프레서 유입구 조정 기구(200)를 위한 작동 장치(10)로서:
하우징부(150); 및
베어링부(120),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를 가진 레버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하우징부(150)의 제1 측(157) 상에서 상기 조정 기구(200)의 조정 링(2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하우징부(150)의 제2 측(159) 상에서 액추에이터 로드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레버 어셈블리(100)는 컴프레서 유입구측 상에서 상기 베어링부(120)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15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 제1항에 있어서, 결합 어셈블리, 특히 용접 연결을 사용하는 결합 어셈블리가 상기 베어링부(120) 및 적어도 상기 입력부(110) 또는 상기 출력부(130)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0).
- 제2항에 있어서, 결합 어셈블리, 특히 용접 연결을 사용하는 결합 어셈블리가 상기 베어링부(120) 및 상기 입력부(110) 또는 상기 출력부(130) 중의 다른 하나를 통해 형성되며, 대안적으로 상기 베어링부(120) 및 상기 입력부(110) 또는 상기 출력부(130) 중의 다른 하나가 각각 하나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0).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30)이 제1 단부 영역(132a) 및 제2 대향 단부 영역(132b)을 가진 제1 레버 아암(132)을 가지며, 상기 제1 레버 아암(132)이 상기 제1 단부 영역(132a)을 통해 상기 베어링부(120)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0).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30)이 핀(134)을 통해 상기 조정 기구(200)의 조정 링(210)내의 대응하는 리세스(214)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120)이 제1 단부(122) 및 제2 단부(124)를 갖고, 상기 제1 단부(122)는 상기 하우징부(150)의 제1 측(157)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단부(124)는 상기 하우징부(150)의 제2 측(159)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30)이 상기 베어링부(120)의 제1 단부(122)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110)이 상기 베어링부(120)의 제2 단부(12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50)가 원통형 부분(152) 및 플랜지부(154)을 가지며, 임의로 상기 플랜지부(154)가, 상기 베어링부(120)이 배치되는 보어(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어셈블리(100)가 회전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10).
- 컴프레서 유입구(22)의 가변 조정을 위한 조정 기구(200)로서:
조정 링(210),
상기 조정 링(2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기구(200)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작동 장치(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기구(200).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링(210)이 레버 어셈블리(100)에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리세스(214),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커플링 리세스(214)를 포함하며, 임의로 상기 커플링 리세스(214)가 실질적으로 반경방향(24)으로 홈형 코스를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기구(200).
- 컴프레서(300)로서:
컴프레서 하우징(320) 및 그 안에 배치된 컴프레서 휠(310)을 포함하고,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320)이 컴프레서 유입구(322) 및 컴프레서 볼류트(326)를 가진 컴프레서 유출구(324)를 정의하며;
상기 컴프레서(300)가 제11항 또는 제12항에 따른 조정 기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300). - 충전 장치(400)로서:
구동 유닛(410); 및
샤프트(420)를 포함하며;
제12항에 따른 컴프레서(300)를 특징으로 하되, 상기 컴프레서(300)의 컴프레서 휠(310)은 샤프트(420)를 통해 구동 유닛(410)에 결합되는, 충전 장치(400). -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컴프레서(300)를 조립하는 방법:
컴프레서 하우징(320)을 제공하는 단계;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조정 기구(200)를 제공하는 단계:
-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작동 장치(10)를 제공하는 단계:
o 하우징부(150), 베어링부(120),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을 제공하는 단계;
o 상기 하우징부(150)내의 보어(156)를 통해 상기 베어링부(120)을 공급하는 단계;
o 바람직하게는 용접 공정을 통해 상기 베어링부(120)을 적어도 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30) 중의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 복수의 오리피스 플레이트 요소(220), 조정 링(210) 및 임의로 베어링 링(230)으로 구성된 어셈블리 그룹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조정 기구(200)를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320)에 부착하는 단계.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120)이 하우징부(150)내의 보어(156)를 통해 공급된 다음 입력부(110) 또는 출력부(130) 중의 다른 하나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베어링부(120) 및 상기 입력부(110) 또는 상기 출력부(130) 중의 어느 하나가 하나의 부분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8219265.0 | 2018-11-12 | ||
DE102018219265 | 2018-11-1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4898A true KR20200054898A (ko) | 2020-05-20 |
Family
ID=6858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4059A KR20200054898A (ko) | 2018-11-12 | 2019-11-12 | 베어링 시스템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078832B2 (ko) |
EP (1) | EP3650708B1 (ko) |
JP (1) | JP2020079589A (ko) |
KR (1) | KR20200054898A (ko) |
CN (2) | CN210122961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0122961U (zh) * | 2018-11-12 | 2020-03-03 | 博格华纳公司 | 操纵装置、调整机构、压缩机和增压装置 |
TWI692584B (zh) * | 2019-11-05 | 2020-05-01 |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 離心式壓縮機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52768B2 (ja) * | 1990-03-29 | 1998-05-18 |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 タービンロータの接合構造 |
JP3719337B2 (ja) * | 1998-09-11 | 2005-11-24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遠心式圧縮機 |
EP1840386A1 (de) * | 2006-03-31 | 2007-10-03 | ABB Turbo Systems AG | Vordrall-Leitvorrichtung |
US8573929B2 (en) * | 2010-04-30 | 2013-11-05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Turbocharger with turbine nozzle vanes and an annular rotary bypass valve |
EP2652286A1 (en) * | 2010-12-13 | 2013-10-23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Rotary valve unit for turbocharger |
US10107296B2 (en) * | 2013-06-25 | 2018-10-23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Turbocharger systems and method to prevent compressor choke |
JP6055959B2 (ja) * | 2013-07-22 | 2016-12-27 |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排気ガスターボ過給機 |
KR20190044103A (ko) * | 2016-09-02 | 2019-04-29 |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 가변 압축기 트림을 갖는 터보차저 |
WO2018106620A1 (en) * | 2016-12-09 | 2018-06-14 | Borgwarner Inc. | Compressor with variable compressor inlet |
PL423333A1 (pl) * | 2017-11-01 | 2019-05-06 | Szymanski Piotr | Kartridż do zmiany przekroju wlotu kompresora |
CN210122961U (zh) * | 2018-11-12 | 2020-03-03 | 博格华纳公司 | 操纵装置、调整机构、压缩机和增压装置 |
EP3715637B1 (en) * | 2019-03-26 | 2022-10-26 | Borgwarner Inc. | Compressor inlet adjustment mechanism |
-
2019
- 2019-01-11 CN CN201920042291.9U patent/CN210122961U/zh active Active
- 2019-01-11 CN CN201910024927.1A patent/CN111173767B/zh active Active
- 2019-11-11 JP JP2019203812A patent/JP2020079589A/ja active Pending
- 2019-11-12 EP EP19208742.7A patent/EP3650708B1/en active Active
- 2019-11-12 US US16/680,575 patent/US11078832B2/en active Active
- 2019-11-12 KR KR1020190144059A patent/KR20200054898A/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10122961U (zh) | 2020-03-03 |
JP2020079589A (ja) | 2020-05-28 |
CN111173767B (zh) | 2023-11-03 |
US20200149466A1 (en) | 2020-05-14 |
US11078832B2 (en) | 2021-08-03 |
EP3650708B1 (en) | 2024-05-15 |
CN111173767A (zh) | 2020-05-19 |
EP3650708A1 (en) | 2020-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416056B (zh) | 具有可变压缩机入口的压缩机 | |
KR20200054898A (ko) | 베어링 시스템 | |
KR20080106955A (ko) | 전류식 안내 장치 | |
JP2000045783A (ja) | 廃棄ゲ―ト・アクチュエ―タを有するタ―ボチャ―ジャ | |
WO2012161283A1 (ja) | 圧縮機及び圧縮機を備えた過給機 | |
JPH0988621A (ja) | 過給圧制御装置 | |
JP5845650B2 (ja) | ウエストゲートバルブ | |
JP3842998B2 (ja) | 可変容量タービンのアクチュエータ調整装置 | |
CN108071440B (zh) | 用于制造用于排气活门的活门支承件的方法和活门支承件 | |
JP2013142359A (ja) | インペラ取付装置 | |
JP2013019304A (ja) | 圧縮機の可変ガイドベーン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並びに過給機 | |
US11959385B2 (en) | Adjustment mechanism with noise reducing features | |
KR102273742B1 (ko) | 배기 라인 밸브의 조립을 위한 조립 방법 및 대응하는 밸브 | |
JP2015090128A (ja) | 吸気制御弁およびその組付方法 | |
JP2004517283A (ja) | フラップ弁 | |
JP7214664B2 (ja) | タービンのための可変ガイド機構、排気ガス式過給機のためのタービン、及び排気ガス式過給機 | |
WO1997021032A1 (fr) | Pompe a palettes | |
WO2024201963A1 (ja) | 可変容量型ターボチャージャ及び可変容量型ターボチャージャの組立方法 | |
JP2019120226A (ja) | ターボチャージャのウェイストゲートバルブ | |
JP2019078333A (ja) | 流体制御弁 | |
US20200191066A1 (en) |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WO2021019976A1 (ja) | 流体ポンプ | |
US10801449B2 (en) | Airflow control valve structure and intake device | |
US20240026897A1 (en) | Turbo fan | |
JP5310637B2 (ja) | 内燃機関の吸気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