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943A -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943A
KR20200053943A KR1020180137479A KR20180137479A KR20200053943A KR 20200053943 A KR20200053943 A KR 20200053943A KR 1020180137479 A KR1020180137479 A KR 1020180137479A KR 20180137479 A KR20180137479 A KR 20180137479A KR 20200053943 A KR20200053943 A KR 20200053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hipping
target
port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897B1 (ko
Inventor
정성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
Priority to KR1020180137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8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운정보 서비스서버인 소위 '고고쉽'에 등록된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선박운항의 스케줄과 선박의 스펙을 포함하는 해운정보를 사용자들의 인터랙션(예: 사용자의 요청 또는 참여)에 따라 그 사용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로서, '고고쉽'이 기본정보 제공서버로서의 소위 도선사 협회 홈페이지로부터 획득되는 해운기본정보를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른 복수의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한 후, 그 가공된 해운가공정보의 변동여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현재 상태의 해운가공정보를 기 등록된 회원 클라이언트로서의 사용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요 항구(예: 12개의 항구) 기준의 해운가공정보를 포맷팅함에 따라 회원 클라이언트들의 간편한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해운정보 서비스서버가 분류하지 않은 비타겟항구에 대해서도 회원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함으로써 주요 항구 이외의 많은 항구에 대해서도 해당 해운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Sharing service system for a shipping information based on user interaction}
본 발명은 해운정보 서비스서버인 소위 '고고쉽'에 등록된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선박운항의 스케줄과 선박의 스펙을 포함하는 해운정보를 사용자들의 인터랙션(예: 사용자의 요청 또는 참여)에 따라 그 사용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고고쉽'이 기본정보 제공서버로서의 소위 도선사 협회 홈페이지로부터 획득되는 해운기본정보를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른 복수의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한 후, 그 가공된 해운가공정보의 변동여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현재 상태의 해운가공정보를 기 등록된 회원 클라이언트로서의 사용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도선사 협회에서는 홈페이지를 통해 선박의 입,출항 스케줄 및 항만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도선사 협회는 부산항, 여수항, 인천항, 울산항, 평택항, 마산항, 대산항, 포항항, 군산항, 목포항, 동해항, 제주항 등의 항구별로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각 항구 기반의 해운기본정보를 제공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개별 클라이언트가 각 항구마다 개설된 도선사 협회 홈페이지에 로그인하여 해당 해운정보를 찾아 들어가는 형식이어서 불편한 점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 도선사 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개별 클라이언트가 알고자 하는 소정의 해운정보(예: 타겟정보)가 여러가지 상황(예: 인천항에서는 변동 사항이 없고, 목포항에서는 변동 사항 발생)에 따라 변경되지만 그러한 변경 사항들에 따라 부분적으로 변동되는 타겟정보를 곧바로 인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에 따라, 각 항구별로 통합된 해운가공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면서 변동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즉시 회원 클라이언트에게 적극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항구에 관련된 해운기본정보를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라 복수의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함에 따라 각 항구에 관련된 해운정보를 사용자에게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운정보 서비스서버가 주요 항구에 관한 해운정보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함에 따라 특정의 타겟정보에 대한 변동 사항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해당 회원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운정보 서비스서버가 분류하지 않은 비타겟항구에 대해서도 회원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은 외부의 복수 개 기본정보 제공서버(100)로부터 선박운항의 스케줄을 포함하는 해운기본정보를 획득하는 기본정보 수신부(211); 기본정보 수신부가 획득한 해운기본정보를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른 복수의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하는 해운정보 포맷팅부(212); 외부로부터 복수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된 회원 클라이언트로 관리하는 클라이언트 관리부(213); 클라이언트 관리부가 관리하는 하나이상의 회원 클라이언트로부터 복수의 해운가공정보 중 하나이상의 해운정보(이하, '타겟정보'라 함)의 요청을 식별하는 해운정보 식별부(214); 타겟정보를 요청한 회원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타겟정보를 제공하는 해운정보 제공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회원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선박운항의 스케줄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해운제공정보를 식별하는 자력해운정보 식별부(2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해운정보 포맷팅부(212)는 자력해운정보 식별부가 식별한 해운제공정보를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라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자력해운정보 식별부(216)가 식별한 해운제공정보(이하, '중복정보'라 함)가 해운가공정보 중의 해운정보에 해당함을 식별하여 해운정보 포맷팅부에 알림에 따라 해운정보 포맷팅부가 중복정보를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함을 차단하는 중복정보 식별부(2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해운가공정보 별로 구획하여 표시하고 각 해운가공정보 별로 사용자의 선택 입력 조작을 위한 복수의 입력 이벤트 활성화부(218a)가 구비되는 해운정보 표시부(2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력 이벤트 활성화부 중 사용자의 조작으로 선택 입력된 하나이상의 입력 이벤트 활성화부에 대응하는 타겟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타겟정보를 요청한 회원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그 변경된 타겟정보를 전달하는 해운변경정보 제공부(2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는, 복수의 등록된 항구(이하, '타겟항구'라 함) 별로 각각의 타겟항구를 기준으로 각각의 타겟항구를 출입하는 복수의 등록된 선박(이하, '타겟선박'이라 함)에 대해 각각의 타겟선박에 대한 스펙과 각 운항스케줄을 포함하되, 각 타겟선박의 운항스케줄에는 그 각각의 타겟선박이 기항하는 항구(이하, '비타겟항구'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타겟항구는 회원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해운제공정보로부터 자력해운정보 식별부에 의해 식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회원 클라이언트로부터 타겟선박에 대한 현재위치정보를 요청받는 선박위치 문의접수부(221); 선박위치 문의접수부가 요청받은 타겟선박에 대해 외부에 설치되는 AIS 신호수신 장비로부터 그 타겟선박이 송출하는 AIS 신호를 획득하는 AIS 신호수신부(222); AIS 신호수신부가 획득한 AIS 신호를 가공하여 그 AIS 신호로부터 타겟선박의 현재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선박위치 식별부(223); 선박위치 식별부가 획득한 타겟선박의 현재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선박위치 알림부(2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항구에 관련된 해운기본정보를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라 복수의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함에 따라 각 항구의 도선사 협회를 경유하여 해운정보를 획득하는 종래의 틀을 벗어나 각 항구에 관련된 해운정보를 사용자에게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해운정보 서비스서버가 주요 항구에 관한 해운정보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함에 따라 특정의 타겟정보에 대한 변동 사항을 즉각 반영하여 해당 회원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주요 항구(예: 12개의 항구) 기준의 해운가공정보를 포맷팅함에 따라 회원 클라이언트들의 간편한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해운정보 서비스서버가 분류하지 않은 비타겟항구에 대해서도 회원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함으로써 주요 항구 이외의 많은 항구에 대해서도 해당 해운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회원 클라이언트로부터 타겟선박에 대한 현재위치정보를 요청받은 후, 획득한 AIS 신호의 가공을 토대로 해당 타겟선박의 현재위치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운정보 서비스서버의 메뉴 화면을 캡쳐한 것으로서 '도선예보' 메뉴가 타겟항구 별로 나열된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도 4]에서 타겟항구인 '부산항'을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함에 따라 그 '부산항'에 관련된 복수의 해운가공정보가 각각 구획되어 표시된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도 5]에서 사용자 조작으로 스크롤하여 '부산항'에 관련된 또 다른 복수의 해운가공정보가 각각 구획되어 표시된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운정보 서비스서버의 메뉴 화면을 캡쳐한 것으로서 '자력도선예보' 메뉴가 타겟항구 별로 나열된 상태의 예시도,
[도 8]은 [도 7]에서 타겟항구인 '부산항'을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함에 따라 그 '부산항'에 관련하여 해운제공정보로부터 포맷팅된 해운가공정보가 표시된 상태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원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타겟정보가 제공되어 표시된 상태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운정보 서비스서버의 메뉴 화면을 캡쳐한 것으로서 '선박회사', '대리점', '예선사' 등의 항만관련업체 메뉴가 나열된 상태의 예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선박회사' 메뉴를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함에 따라 기 등록된 선박회사들이 나열된 상태의 예시도,
[도 12]는 [도 10]에서 '대리점' 메뉴를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함에 따라 기 등록된 대리점들이 나열된 상태의 예시도,
[도 13]은 [도 10]에서 '예선사' 메뉴를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함에 따라 기 등록된 예선사사들이 나열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회원 클라이언트(410,420,430)는 [도 1]에서와 같이 PC를 통해서 해운정보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할 수도 있지만 [도 2]에서와 같이 스마트 단말인 클라이언트 단말(510,520,530)을 통해서도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서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510,520,530)이 스마트 단말인 경우 그 스마트 단말에는 해운정보 공유서비스를 위한 공유서비스 에이전트(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공유서비스 에이전트는 그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한편,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운정보 서비스서버(200)는 기본정보 제공서버(100)로부터 유무선 통신으로 선박운항의 스케줄을 포함하는 해운기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기본정보 제공서버(100)는 복수 개 구비되며, 예컨대, 부산항, 여수항, 인천항, 울산항, 평택항, 마산항, 대산항, 포항항, 군산항, 목포항, 동해항, 제주항 등의 주요 항구를 담당하는 도선사 협회의 개별 홈페이지를 나타낼 수 있다.
즉, 해운정보 서비스서버(200)는 복수의 기본정보 제공서버(100)로부터 선박운항의 스케줄을 포함하는 해운기본정보를 전달받는 것이다.
다른 한편, 해운정보 서비스서버(200)는 외부의 AIS 신호수신 장비(300)를 통해 선박(타겟선박)가 송출하는 AIS 신호를 획득한 후 이를 가공함으로써 해당 선박의 현재위치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은 해운정보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해운정보 서비스 서버(200)는 [도 3]에서와 같이 기본정보 수신부(211), 해운정보 포맷팅부(212), 클라이언트 관리부(213), 해운정보 식별부(214), 해운정보 제공부(215), 자력해운정보 식별부(216), 중복정보 식별부(217), 해운정보 표시부(218), 해운변경정보 제공부(2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본정보 수신부(211)는 외부의 복수 개 기본정보 제공서버(100)로부터 선박운항의 스케줄을 포함하는 해운기본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기본정보 제공서버(100)는 복수 개 구비되며, 예컨대, 부산항, 여수항, 인천항, 울산항, 평택항, 마산항, 대산항, 포항항, 군산항, 목포항, 동해항, 제주항 등의 주요 항구를 담당하는 도선사 협회의 개별 홈페이지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해운정보 포맷팅부(212)는 기본정보 수신부(211)가 획득한 해운기본정보를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른 복수의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한다.
여기서, 해운가공정보는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라 정해지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는, 예컨대, 부산항, 여수항, 인천항, 울산항, 평택항, 마산항, 대산항, 포항항, 군산항, 목포항, 동해항, 제주항 등의 주요 항구에 대응하는 복수의 등록된 항구(이하, '타겟항구'라 함) 별로 각각의 타겟항구를 기준으로 각각의 타겟항구를 출입하는 복수의 등록된 선박(이하, '타겟선박'이라 함)에 대해 각각의 타겟선박에 대한 스펙과 각 운항스케줄을 포함하되, 각 타겟선박의 운항스케줄에는 그 각각의 타겟선박이 기항하는 항구(이하, '비타겟항구'라 함)를 포함한다.
그리고, 타겟선박에 대한 스펙으로는 선박 이름, 선박 고유 부호(call sign), 항구 고유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관리부(213)는 외부로부터 복수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된 회원 클라이언트(410,420,430)로 관리할 수 있다. 물론 회원 클라이언트는 탈퇴, 가입, 정보변경에 따라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 상의 도면부호 410,420,430을 PC로 도시하였지만 도면부호 410,420,430는 그 PC를 사용하는 회원 클라이언트를 의미한다.
해운정보 식별부(214)는 클라이언트 관리부(213)가 관리하는 하나이상의 회원 클라이언트로부터 복수의 해운가공정보 중 하나이상의 해운정보(이하, '타겟정보'라 함)의 요청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해운정보 제공부(215)는 [도 2]에서와 같이 타겟정보를 요청한 회원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단말(510,520,530)에 대해 해당 타겟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자력해운정보 식별부(216)는 회원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선박운항의 스케줄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해운제공정보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해운정보 포맷팅부(212)는 자력해운정보 식별부(216)가 식별한 해운제공정보를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라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한다.
이처럼, 해운정보 포맷팅부(212)가 타겟항구인 주요 항구(예: 12개의 항구) 기준의 해운가공정보를 포맷팅함에 따라 회원 클라이언트들은 항구를 헷갈려하지 않고 해운가공정보에 대한 간편한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해운정보 서비스서버(200)가 분류하지 않은 비타겟항구에 대해서도 회원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정보를 자력해운정보 식별부(216)와 해운정보 포맷팅부(212)를 통해 실시간 업데이트함으로써 주요 항구 이외의 많은 항구에 대해서도 해당 해운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비타겟항구는 회원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해운제공정보로부터 자력해운정보 식별부(216)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중복정보 식별부(217)는 자력해운정보 식별부(216)가 식별한 해운제공정보(이하, '중복정보'라 함)가 해운가공정보 중의 해운정보에 해당함을 식별하여 해운정보 포맷팅부(212)에 알림에 따라 해운정보 포맷팅부(212)가 중복정보를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함을 차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해운정보 서비스서버(200)의 메뉴 화면에 나타나는 수많은 해운가공정보에 중복된 정보의 업로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해운정보 표시부(218)는 회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조작 편이를 위해 해운가공정보 별로 구획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각 해운가공정보 별로 사용자의 선택 입력 조작을 위한 복수의 입력 이벤트 활성화부(218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해운변경정보 제공부(219)는 복수의 입력 이벤트 활성화부(218a) 중 사용자의 조작으로 선택 입력된 하나이상의 입력 이벤트 활성화부(218a)에 대응하는 타겟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타겟정보를 요청한 회원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단말(510,520,530)에 대해 그 변경된 타겟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해운정보 서비스 서버(200)는 선박위치 문의접수부(221), AIS 신호수신부(222), 선박위치 식별부(223), 선박위치 알림부(2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선박위치 문의접수부(221)가 회원 클라이언트로부터 타겟선박에 대한 현재위치정보를 요청받으면, AIS 신호수신부(222)는 선박위치 문의접수부(221)가 요청받은 타겟선박에 대해 외부에 설치되는 AIS 신호수신 장비(300)로부터 그 타겟선박이 송출하는 AIS 신호를 획득한다.
그리고, 선박위치 식별부(223)는 AIS 신호수신부(222)가 획득한 AIS 신호를 가공하여 그 AIS 신호로부터 타겟선박의 현재위치정보를 획득한다. 그 결과, 선박위치 알림부(224)는 선박위치 식별부(223)가 획득한 타겟선박의 현재위치정보를 해운정보 서비스서버(200)의 메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운정보 서비스서버의 메뉴 화면을 캡쳐한 것으로서 '도선예보' 메뉴가 타겟항구 별로 나열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타겟항구인 '부산항'을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함에 따라 그 '부산항'에 관련된 복수의 해운가공정보가 각각 구획되어 표시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사용자 조작으로 스크롤하여 '부산항'에 관련된 또 다른 복수의 해운가공정보가 각각 구획되어 표시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해운정보 포맷팅부(212)는 기본정보 수신부(211)가 획득한 해운기본정보를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른 복수의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는, 예컨대, [도 4]에서와 같이 부산항, 여수항, 인천항, 울산항, 평택항, 마산항, 대산항, 포항항, 군산항, 목포항, 동해항, 제주항 등의 주요 항구에 대응하는 복수의 등록된 항구(이하, '타겟항구'라 함) 별로 각각의 타겟항구를 기준으로 각각의 타겟항구를 출입하는 복수의 등록된 선박(이하, '타겟선박'이라 함)에 대해 각각의 타겟선박에 대한 스펙과 각 운항스케줄을 포함한다.
물론, 여기서, 각 타겟선박의 운항스케줄에는 그 각각의 타겟선박이 기항하는 항구(이하, '비타겟항구'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타겟선박에 대한 스펙으로는 선박 이름, 선박 고유 부호(call sign), 항구 고유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상태에서 타겟항구인 '부산항'을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하면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그 '부산항'에 관련된 복수의 해운가공정보가 각각 구획되어 해운정보 표시부(218)로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와 [도 6] 상의 각 해운가공정보에는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입력 이벤트 활성화부(218a)로서의 소위 복수의 '알림받기'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5]와 [도 6] 상의 복수의 '알림받기' 중 회원 클라이언트가 목적하는 하나이상의 '알림받기'를 선택 조작하면 그 선택 조작된 '알림받기'에 대응하는 해운가공정보가 타겟정보로서 매칭된다.
그 결과, 그 선택 조작된 '알림받기'에 대응하는 타겟정보에 변동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해운변경정보 제공부(219)는 해당 회원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그 변동된 타겟정보를 아래의 [도 9]에서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운정보 서비스서버의 메뉴 화면을 캡쳐한 것으로서 '자력도선예보' 메뉴가 타겟항구 별로 나열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타겟항구인 '부산항'을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함에 따라 그 '부산항'에 관련하여 해운제공정보로부터 포맷팅된 해운가공정보가 표시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해운정보 포맷팅부(212)는 자력해운정보 식별부(216)가 식별한 해운제공정보를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른 복수의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력해운정보 식별부(216)는 회원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선박운항의 스케줄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해운제공정보를 식별하여야 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도 7]의 상태에서 타겟항구인 '부산항'을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하면 [도 8]에서와 같이 그 '부산항'에 관련된 복수의 해운가공정보가 해운정보 표시부(218)로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 상의 해운가공정보에는 그에 대응하는 입력 이벤트 활성화부(218a)로서의 소위 복수의 '알림받기'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8] 상의 '알림받기'를 선택 조작하면 그 선택 조작된 '알림받기'에 대응하는 해운가공정보가 타겟정보로서 매칭된다.
그 결과, 그 선택 조작된 '알림받기'에 대응하는 타겟정보에 변동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해운변경정보 제공부(219)는 해당 회원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그 변동된 타겟정보를 아래의 [도 9]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원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타겟정보가 제공되어 표시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원 클라이언트의 선택 조작에 의해 [도 5]와 [도 6] 및 [도 8] 중 어느하나의 '알림받기'가 선택 입력됨에 따라 그 '알림받기'에 대응하는 'werwerwer'의 타겟선박에 대한 타겟정보 변동의 알림메시지가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에 예컨대 푸시로 전송되었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회원 클라이언트의 선택 조작에 의해 [도 5]와 [도 6] 및 [도 8] 중 어느하나의 '알림받기'가 선택 입력됨에 따라 그 '알림받기'에 대응하는 'test'의 타겟선박에 대한 타겟정보 변동의 알림메시지가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에 예컨대 푸시로 전송되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운정보 서비스서버의 메뉴 화면을 캡쳐한 것으로서 '선박회사', '대리점', '예선사' 등의 항만관련업체 메뉴가 나열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선박회사' 메뉴를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함에 따라 기 등록된 선박회사들이 나열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서 '대리점' 메뉴를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함에 따라 기 등록된 대리점들이 나열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13]은 [도 10]에서 '예선사' 메뉴를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함에 따라 기 등록된 예선사사들이 나열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해운정보 포맷팅부(212)는 기본정보 수신부(211)가 획득한 해운기본정보를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른 복수의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는, 예컨대, [도 10]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부산항, 여수항, 인천항, 울산항, 평택항, 마산항, 대산항, 포항항, 군산항, 목포항, 동해항, 제주항 등의 주요 항구에 대응하는 복수의 등록된 항구(이하, '타겟항구'라 함) 별로 각각의 타겟항구를 기준으로 각각의 타겟항구와 연관되는 '선박회사', '대리점', '예선사' 등의 항만관련업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항만관련업체는 각각의 타겟항구를 출입하는 복수의 등록된 선박(이하, '타겟선박'이라 함)이 기항하는 항구(이하, '비타겟항구'라 함)와 연관되는 항만관련업체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항만관련업체는 타겟항구(예: 부산항)의 미리 정한 우선순위 기준에 따라 해운정보 서비스서버(200)의 메뉴 화면에서 상위에 표시되는 패턴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타겟항구에 대한 우선순위 기준은 복수의 적용기준(예: 특정 항구 소속 선박의 구조 참여 횟수)에 따라 달라지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11] 내지 [도 13] 상의 사용자 선택 조작에 따라 선택된 '선박회사', '대리점', '예선사'는 타겟항구인 '부산항' 소속의 항만관련업체가 가장 상위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항만관련업체를 타겟항구의 우선순위 기준으로 정렬하였지만, 타겟항구가 아닌 다른 소정의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타겟항구가 아닌 소정의 카테고리에 따라 항만관련업체(예: 회원 클라이언트)를 분류함에 따라 서로 비슷한 사업목적을 갖는 업체들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을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비슷한 패턴의 홍보물을 공동으로 제작해서 해운정보 서비스서버(200)의 메뉴 화면에 띄움으로써 해당 경비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도 있게 된다.
100 : 기본정보 제공서버
200 : 해운정보 서비스서버
211 : 기본정보 수신부
212 : 해운정보 포맷팅부
213 : 클라이언트 관리부
214 : 해운정보 식별부
215 : 해운정보 제공부
216 : 자력해운정보 식별부
217 : 중복정보 식별부
218 : 해운정보 표시부
218a : 입력 이벤트 활성화부
219 : 해운변경정보 제공부
221 : 선박위치 문의접수부
222 : AIS 신호수신부
223 : 선박위치 식별부
224 : 선박위치 알림부
300 : AIS 신호수신 장비
410, 420, 430 : 회원 클라이언트
510, 520, 530 : 클라이언트 단말

Claims (8)

  1. 외부의 복수 개 기본정보 제공서버(100)로부터 선박운항의 스케줄을 포함하는 해운기본정보를 획득하는 기본정보 수신부(211);
    상기 기본정보 수신부가 획득한 해운기본정보를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른 복수의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하는 해운정보 포맷팅부(212);
    외부로부터 복수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된 회원 클라이언트로 관리하는 클라이언트 관리부(213);
    상기 클라이언트 관리부가 관리하는 하나이상의 회원 클라이언트로부터 복수의 상기 해운가공정보 중 하나이상의 해운정보(이하, '타겟정보'라 함)의 요청을 식별하는 해운정보 식별부(214);
    상기 타겟정보를 요청한 회원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상기 타겟정보를 제공하는 해운정보 제공부(21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원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선박운항의 스케줄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해운제공정보를 식별하는 자력해운정보 식별부(216);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해운정보 포맷팅부(212)는 상기 자력해운정보 식별부가 식별한 상기 해운제공정보를 상기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력해운정보 식별부(216)가 식별한 상기 해운제공정보(이하, '중복정보'라 함)가 상기 해운가공정보 중의 해운정보에 해당함을 식별하여 상기 해운정보 포맷팅부에 알림에 따라 상기 해운정보 포맷팅부가 상기 중복정보를 상기 해운가공정보로 포맷팅함을 차단하는 중복정보 식별부(217);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해운가공정보 별로 구획하여 표시하고 각 해운가공정보 별로 사용자의 선택 입력 조작을 위한 복수의 입력 이벤트 활성화부(218a)가 구비되는 해운정보 표시부(218);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입력 이벤트 활성화부 중 사용자의 조작으로 선택 입력된 하나이상의 입력 이벤트 활성화부에 대응하는 타겟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타겟정보를 요청한 회원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그 변경된 타겟정보를 전달하는 해운변경정보 제공부(219);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서비스 카테고리는,
    복수의 등록된 항구(이하, '타겟항구'라 함) 별로 각각의 상기 타겟항구를 기준으로 각각의 상기 타겟항구를 출입하는 복수의 등록된 선박(이하, '타겟선박'이라 함)에 대해 각각의 상기 타겟선박에 대한 스펙과 각 운항스케줄을 포함하되, 각 상기 타겟선박의 운항스케줄에는 그 각각의 상기 타겟선박이 기항하는 항구(이하, '비타겟항구'라 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타겟항구는 상기 회원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상기 해운제공정보로부터 상기 자력해운정보 식별부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타겟선박에 대한 현재위치정보를 요청받는 선박위치 문의접수부(221);
    상기 선박위치 문의접수부가 요청받은 타겟선박에 대해 외부에 설치되는 AIS 신호수신 장비로부터 그 타겟선박이 송출하는 AIS 신호를 획득하는 AIS 신호수신부(222);
    상기 AIS 신호수신부가 획득한 AIS 신호를 가공하여 그 AIS 신호로부터 상기 타겟선박의 현재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선박위치 식별부(223);
    상기 선박위치 식별부가 획득한 상기 타겟선박의 현재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선박위치 알림부(22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KR1020180137479A 2018-11-09 2018-11-09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KR102121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479A KR102121897B1 (ko) 2018-11-09 2018-11-09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479A KR102121897B1 (ko) 2018-11-09 2018-11-09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943A true KR20200053943A (ko) 2020-05-19
KR102121897B1 KR102121897B1 (ko) 2020-06-26

Family

ID=7091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479A KR102121897B1 (ko) 2018-11-09 2018-11-09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8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021A (ko) * 1999-12-31 2001-07-06 이계철 선박스케줄 정보 메타 검색 방법
KR20140089628A (ko) * 2012-12-31 2014-07-16 (주)지엠티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항만운영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16427B1 (ko) * 2016-04-06 2017-03-15 주식회사 케이엘넷 정보망을 이용한 해운 항만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021A (ko) * 1999-12-31 2001-07-06 이계철 선박스케줄 정보 메타 검색 방법
KR20140089628A (ko) * 2012-12-31 2014-07-16 (주)지엠티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항만운영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16427B1 (ko) * 2016-04-06 2017-03-15 주식회사 케이엘넷 정보망을 이용한 해운 항만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897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87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service requests and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relevant parties
US11935139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060059024A1 (en) Advanced travel management system
CN110781408B (zh) 信息显示方法和装置
US9195371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N102024098A (zh) 用于分析生物样本的分析系统、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US20180314707A1 (en) Geographic user interaction system
US201101899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schedule informa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5037709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121897B1 (ko)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해운정보 공유서비스 시스템
JP5398298B2 (ja) アラート情報作成システムおよびアラート情報作成プログラム
US8199890B2 (en) Camp on location
EP2666139A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50188786A1 (en) Monitoring Data Elements Across Multiple Networks and Processes
EP2675136A1 (en) Method for enabling contact via a virtual communication platform and communication system
CN112672270B (zh) 基于位置信息的对讲频道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AU2016100416A4 (en) System, method, server processing system, device and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for updating a client regarding a legal case
JP720343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03771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US102685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error detection and monitoring of object-asset pairs
JP7351467B1 (ja) 行政窓口通報システム、端末装置、通報管理装置、及び行政窓口通報方法
US202301066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ndomized autonomous robot security applications
JP7237735B2 (ja) イベント報知装置、イベント報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930848A2 (en) Customer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202203337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