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972A -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972A
KR20200046972A KR1020180128853A KR20180128853A KR20200046972A KR 20200046972 A KR20200046972 A KR 20200046972A KR 1020180128853 A KR1020180128853 A KR 1020180128853A KR 20180128853 A KR20180128853 A KR 20180128853A KR 20200046972 A KR20200046972 A KR 20200046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ructure
assembled steel
hydraulic lifting
lifting equipment
push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208B1 (ko
Inventor
김진수
설동문
차지형
오현탁
이상호
김계열
고영주
김규운
박철수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2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41Means for positioning building part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6Combinations of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interrelating lifting or lowering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리프팅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에 있어서, 이동수단(110)이 구비된 하부대차(100); 상기 하부대차(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거치되는 안착부(210)가 형성된 상부대차(200); 상기 상부대차(200)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10)에 안착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300); 및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 및 높이를 센싱하는 센서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중량 구조물의 리프팅에 있어 리프팅 상태에서도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미세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Hydraulic Lifting Machine for Steel Frame}
본 발명은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유압 리프팅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2mm 이하의 미세 위치 조절이 가능한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랙 구조물 등의 고중량 실내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공기의 단축 및 현장 시공 난이도 저감을 위해 선조립 구조물을 지지기둥에 설치하여 구조물을 완성시키는 방안이 이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선조립 고중량 철골 구조물을 지지기둥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철골 구조물을 리프트 업 할 것이 요구되는데, 종래에는 실내에서 크레인을 조립하여 철골 구조물을 리프트 업하고, 실내 시공이 종료되면 크레인을 해체하여 실내 공간에서 배출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다만, 이러한 실내 조립 크레인은 장비 비용이 매우 고가이고 장비의 발주하여 반입시키는 데 장기간이 소요되므로 공사비용이 증대되고 공사일정을 관리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실내 조립 크레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반장치(SPMT)를 이용해 고중량 선조립 철골 구조물을 연결부 하부까지 이동시키고 리프팅하여 연결하는 공법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10mm 이상의 오차가 발생되어 연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고 2mm 이내의 정밀도를 요구하는 접합 작업 수행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고중량 리프팅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중량 구조물의 리프팅에 있어 미세 위치 조절이 가능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접합 시공에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높이고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를 감소시키며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리프팅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에 있어서, 이동수단(110)이 구비된 하부대차(100); 상기 하부대차(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거치되는 안착부(210)가 형성된 상부대차(200); 상기 상부대차(200)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10)에 안착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300); 및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 및 높이를 센싱하는 센서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위치 조절부(30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위치 조절부(310); 및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위치 조절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는 상기 안착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푸쉬암(311); 및 상기 제1 푸쉬암(31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유압실린더(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21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210)의 심부에는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가 장착되는 장착홀(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푸쉬암(311)의 상면에는 볼베어링(313)이 노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 푸쉬암(321); 및 상기 제2 푸쉬암(32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유압실린더(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푸쉬암(321)은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 형상과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에 의해 리프팅된 상태에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는 복수이며, 복수의 상기 제1 푸쉬암(311)이 동일한 높이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동조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 및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센서(510); 및 상기 제1 푸쉬암(311)의 상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상단에는 상부고정부(10)와 연결되는 연결부(2)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10)에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부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대차(100)를 이동시켜 상기 상부고정부(10) 하부에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위치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의 상기 제2 푸쉬암(321)으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상향 이동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연결부(2)와 상기 상부고정부(10)가 근접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2)의 위치가 상기 상부고정부(10)의 위치에 일치되도록 하는 제3 단계(S300);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상향 이동시켜 상기 연결부(2)와 상기 상부고정부(10)를 접촉시키는 제4 단계(S400); 및 체결부재(50)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2)와 상기 상부고정부(10)를 결합시키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중량 구조물의 리프팅에 있어 리프팅 상태에서도 자동적으로 미세 위치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접합 시공의 편의성을 높이고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를 감소시키며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가 선조립 철골 구조물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선조립 철골 구조물을 상부 연결부에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조부에 의해 높이 보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의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선조립 철골 구조물(1)과 같은 중량 구조물을 실내에서 리프팅 시키기 위한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은 실내에서 리프팅 되는 모든 중량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는 이동수단(110)이 구비된 하부대차(100) 및 하부대차(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거치되는 안착부(210)가 형성된 상부대차(200)를 포함한다(도 1).
하부대차(100)와 상부대차(200)는 별도의 분리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단위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부대차(200)에는 안착부(210)에 안착된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도 1).
위치 조절부(300)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위치 조절부(310) 및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위치 조절부(320)를 포함한다(도 3, 도 4).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은 고중량체이므로 위치 조절부(300)가 누락된 리프팅 장비의 경우 리프팅 이후에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오차를 보정하여 재 리프팅 해야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재 리프팅을 하는 경우에도 다시 오차가 발생될 수 있어 시공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2mm 이내의 미세한 위치까지 조절이 가능한 위치 조절부(300)가 포함된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위치 조절부(310)는 안착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되, 제1 위치 조절부(310)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푸쉬암(311) 및 제1 푸쉬암(31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유압실린더(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부(210)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안착부(210)의 심부에는 제1 위치 조절부(310)가 장착되는 장착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도 8).
또한 제1 푸쉬암(311)의 선단이 안착부(210)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유압실린더(312)에 의해 제1 푸쉬암(311)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 푸쉬암(311)에 의해 지지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1) 역시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제1 푸쉬암(311)에 의해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상부 방향으로 리프팅된 상태에서 후술되는 제2 위치 조절부(320)에 의해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좌우방향으로 리프팅될 수 있도록, 제1 푸쉬암(311)의 상면에는 볼베어링(313)이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위치 조절부(320)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 푸쉬암(321) 및 제2 푸쉬암(32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유압실린더(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푸쉬암(321)은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 형상과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측면 지지의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제2 위치 조절부(320)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제1 위치 조절부(310)에 의해 리프팅된 상태에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는 제1 위치 조절부(310) 및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500)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센서(510) 및 제1 푸쉬암(311)의 상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5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위치센서(510)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연결부(2)와 상부고정부(10)의 상대적인 위치를 센싱하여, 제어부(600)에 의해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연결부(2)와 상부고정부(10)가 정위치 될 수 있도록 한다.
높이센서(520)는 후술되는 동조부(400)에 복수의 제1 푸쉬암(311)의 높이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동조부(400)가 복수의 제1 푸쉬암(311)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에는 복수의 제1 위치 조절부(310)가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의 제1 푸쉬암(311)이 동일한 높이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동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위치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리프팅 하는 경우 각 제1 푸쉬암(311)의 이동 높이가 같아야 하므로 각 제1 푸쉬암(311)의 이동높이를 보정할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는 제1 푸쉬암(311)의 상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조부(400)는 복수의 제1 푸쉬암(311)이 지지부 이동높이 정보(b1)까지 이동된 이후 높이센서(520)를 통해 센싱된 높이까지 각 제1 위치 조절부(310)의 제1 푸쉬암(311)의 선단 높이를 보정할 수 있다.
다만, 각 제1 푸쉬암(311)의 보정 전에 각 제1 푸쉬암(311)의 높이 차이가 과도하게 발생되는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해 제1 유압실린더(312)에 과부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푸쉬암(311)에 대한 보정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해결책을 제시한다.
즉, 제1 푸쉬암(311)을 자동 동조화하기 위해 지지부 이동높이 정보(b1)는 최종 도달 높이 정보(b11), 단위 시간(T1)당 도달 높이 정보(b12), 단위 시간(T1) 당 멈춤 시간 정보(b13) 및 단위 시간(T1) 당 이동 시간 정보(b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푸쉬암(311)의 높이 보정 매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최종 도달 높이 정보(b11)는 제1 푸쉬암(311)이 최종적으로 도달해야 하는 높이에 관한 정보이다.
이와 비교하여 단위 시간(T1) 당 도달 높이 정보(b12)는 제1 푸쉬암(311)이 최종적으로 도달해야 하는 높이를 이동함에 있어 단위 시간(T1) 당 이동해야 하는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단위 시간(T1) 당 멈춤 시간 정보(b13)는 단위 시간(T1) 내에 제1 푸쉬암(311)에 대한 높이 보정이 이루어지는 시간이며, 단위 시간(T1) 당 이동 시간 정보(b14)는 제1 푸쉬암(311)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진 후 다시 제1 푸쉬암(311)이 단위 시간(T1) 당 도달 높이 정보(b12)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최종 도달 높이 정보(b11)가 1(m) 이고, 단위 시간(T1)이 1/10(s)이며, 단위 시간(T1) 당 도달 높이 정보(b12)가 1/10(m), 단위 시간(T1) 당 멈춤 시간 정보(b13)가 70%, 단위 시간(T1) 당 이동 시간 정보(b14)가 30% 인 경우, 동조부(400)는 제1 유압실린더(312)를 제어하여 제1 푸쉬암(311)이 1/10(s) 당 1/10(m)를 이동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변위가 1(m)가 되도록 한다.
이 경우 1/10(s) 당 1/10(m)를 이동하되, 1/10(s)의 70% 시간에는 복수의 제1 푸쉬암(311)의 높이를 보정하는 시간으로 할애하고, 30%의 시간에는 복수의 지지부(100)가 다시 1/10(m)를 이동하는 시간으로 설정된다.
각 수치는 중량체의 무게 및 시공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복수의 제1 푸쉬암(311)에 대한 보정의 폭이 크게 발생하지 않아 각 제1 푸쉬암(311)에 재하되는 하중이 상이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을 리프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상단에는 상부고정부(10)와 연결되는 연결부(2)가 형성된 것을 전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안착부(210)에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부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하부대차(100)를 이동시켜 상부고정부(10) 하부에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위치시키는 제1 단계(S100), 제2 위치 조절부(320)의 제2 푸쉬암(321)으로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제1 위치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상향 이동시키는 제2 단계(S200), 연결부(2)와 상부고정부(10)가 근접된 상태에서, 제2 위치 조절부(320)를 이용하여 연결부(2)의 위치가 상부고정부(10)의 위치에 일치되도록 하는 제3 단계(S300), 제1 위치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상향 이동시켜 연결부(2)와 상부고정부(10)를 접촉시키는 제4 단계(S400) 및 체결부재(50)를 이용하여 연결부(2)와 상부고정부(10)를 결합시키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내지 도 7).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상부고정부
100 : 하부대차
200 : 상부대차
300 : 위치 조절부
400 : 동조부
500 : 센서부
600 : 동조부

Claims (12)

  1.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리프팅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에 있어서,
    이동수단(110)이 구비된 하부대차(100);
    상기 하부대차(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거치되는 안착부(210)가 형성된 상부대차(200);
    상기 상부대차(200)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10)에 안착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300); 및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 및 높이를 센싱하는 센서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30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위치 조절부(310); 및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위치 조절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는 상기 안착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푸쉬암(311); 및
    상기 제1 푸쉬암(31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유압실린더(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1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210)의 심부에는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가 장착되는 장착홀(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쉬암(311)의 상면에는 볼베어링(313)이 노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 푸쉬암(321); 및
    상기 제2 푸쉬암(32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유압실린더(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푸쉬암(321)은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 형상과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이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에 의해 리프팅된 상태에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는 복수이며,
    복수의 상기 제1 푸쉬암(311)이 동일한 높이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동조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 및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센서(510); 및
    상기 제1 푸쉬암(311)의 상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12. 제11항의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상단에는 상부고정부(10)와 연결되는 연결부(2)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10)에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하부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대차(100)를 이동시켜 상기 상부고정부(10) 하부에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위치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의 상기 제2 푸쉬암(321)으로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의 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상향 이동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연결부(2)와 상기 상부고정부(10)가 근접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320)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2)의 위치가 상기 상부고정부(10)의 위치에 일치되도록 하는 제3 단계(S300);
    상기 제1 위치 조절부(310)를 이용하여 상기 선조립 철골 구조물(1)을 상향 이동시켜 상기 연결부(2)와 상기 상부고정부(10)를 접촉시키는 제4 단계(S400); 및
    체결부재(50)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2)와 상기 상부고정부(10)를 결합시키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20180128853A 2018-10-26 2018-10-26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2195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853A KR102195208B1 (ko) 2018-10-26 2018-10-26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853A KR102195208B1 (ko) 2018-10-26 2018-10-26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972A true KR20200046972A (ko) 2020-05-07
KR102195208B1 KR102195208B1 (ko) 2020-12-24

Family

ID=7073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853A KR102195208B1 (ko) 2018-10-26 2018-10-26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2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4668A (zh) * 2020-07-17 2020-10-13 汤仁超 一种钢结构桥梁桁架安装系统及安装工艺
CN111764667A (zh) * 2020-07-17 2020-10-13 汤仁超 一种钢结构桁架安装施工设备及安装施工方法
CN111827125A (zh) * 2020-08-06 2020-10-27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拱桥钢立柱安装线形精确调整方法及调整装置
CN113152303A (zh) * 2021-05-13 2021-07-23 河南隆飞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工程领域的桥梁施工用支撑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2254A (ja) * 1997-08-18 1999-03-05 Kumagai Gumi Co Ltd 梁の位置決め装置
JP2008056414A (ja) * 2006-08-31 2008-03-13 Maitec:Kk 位置調整台装置
KR20090016165A (ko) * 2007-08-10 2009-0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 및 센서를 이용한 부재의 위치조정에 대한 방법
KR20110033639A (ko) * 2009-09-25 201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블록 지지용 타워지주
KR101630267B1 (ko) * 2015-10-14 2016-06-14 삼종건설 주식회사 유압 동조 장치를 이용한 중량물 인상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2254A (ja) * 1997-08-18 1999-03-05 Kumagai Gumi Co Ltd 梁の位置決め装置
JP2008056414A (ja) * 2006-08-31 2008-03-13 Maitec:Kk 位置調整台装置
KR20090016165A (ko) * 2007-08-10 2009-0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 및 센서를 이용한 부재의 위치조정에 대한 방법
KR20110033639A (ko) * 2009-09-25 201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블록 지지용 타워지주
KR101630267B1 (ko) * 2015-10-14 2016-06-14 삼종건설 주식회사 유압 동조 장치를 이용한 중량물 인상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4668A (zh) * 2020-07-17 2020-10-13 汤仁超 一种钢结构桥梁桁架安装系统及安装工艺
CN111764667A (zh) * 2020-07-17 2020-10-13 汤仁超 一种钢结构桁架安装施工设备及安装施工方法
CN111764668B (zh) * 2020-07-17 2022-03-01 湖南凯博杭萧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钢结构桥梁桁架安装系统及安装工艺
CN111827125A (zh) * 2020-08-06 2020-10-27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拱桥钢立柱安装线形精确调整方法及调整装置
CN113152303A (zh) * 2021-05-13 2021-07-23 河南隆飞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工程领域的桥梁施工用支撑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208B1 (ko)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6972A (ko)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 자동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CN103663254B (zh) 车辆升降台
WO2018210016A1 (zh) 自动导引型换电机器人及充换电站
KR20200064463A (ko)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미세 위치조절 유압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US6401872B1 (en) Active guide system for elevator cage
US20150021445A1 (en) Leveling railway vehicl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0999642B1 (ko) 차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체 위치 보정 방법
CN104625452B (zh) 一种挖泥船方形泥门的安装工艺
CN110576271B (zh) 烧结机密封滑道底板安装方法
US20190195705A1 (en) Platform load sensing system
JP2007223776A (ja) エレベータかご振動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かご制振装置
CN114541652A (zh) 一种v型钢柱及其施工方法
JP7064962B2 (ja) ガイドレール据付用作業台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6271902B2 (ja) 支持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航空機の組立方法
JP7344161B2 (ja) レール位置決めシステム
JP7341094B2 (ja) 昇降路内作業装置及びその姿勢安定化方法
CN110144828A (zh) 钢箱梁拼装的定位结构、支撑结构及桥梁的线形控制方法
CN106988542B (zh) 一种预制构件拼接专用设备
ITTO970354A1 (it) Sistema per la messa in geometria e/o la saldatura di vagoni ferroviar i, metropolitani e simili.
CN110080110B (zh) 一种超长杆件多点空间定位方法
CN220538412U (zh) 一种钢梁线形纠偏的顶推装置
CN114892662B (zh) 一种适用于地下预制结构全自动吊装方法
CN112456383B (zh) 背驮辊道自平衡agv的举升调平机构
JPH05278968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の芯出し装置および方法
JP4349173B2 (ja) 環状管の組立方法およびそ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