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597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597A
KR20200046597A KR1020180127978A KR20180127978A KR20200046597A KR 20200046597 A KR20200046597 A KR 20200046597A KR 1020180127978 A KR1020180127978 A KR 1020180127978A KR 20180127978 A KR20180127978 A KR 20180127978A KR 20200046597 A KR20200046597 A KR 20200046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ower
power supply
refrigeration
suppl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552B1 (ko
Inventor
최낙용
김범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5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선박을 제공한다. 선박은 냉동 컨테이너와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지지하고, 상기 냉동 컨테이너와 상기 전력 공급 컨테이너간의 전력을 중계하는 컨테이너 지지부, 및 상기 컨테이너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 컨테이너와 상기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냉동 컨테이너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상기 냉동 컨테이너와 함께 적층되어 상기 컨테이너 지지부에 지지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은 냉동 컨테이너(reefer container)가 적재되는 별도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냉동 컨테이너는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여 수용된 물건의 냉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냉동 컨테이너의 동작을 위하여 냉동 컨테이너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컨테이너선은 냉동 컨테이너에 전력을 공급할 별도의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2584호 (2017.11.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의 일 면(aspect)은 냉동 컨테이너와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지지하고, 상기 냉동 컨테이너와 상기 전력 공급 컨테이너간의 전력을 중계하는 컨테이너 지지부, 및 상기 컨테이너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 컨테이너와 상기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냉동 컨테이너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상기 냉동 컨테이너와 함께 적층되어 상기 컨테이너 지지부에 지지된다.
상기 컨테이너 지지부는, 상기 전력 공급 컨테이너로부터 전력을 입력 받는 전력 입력 포트, 및 상기 입력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냉동 컨테이너는 상기 전력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된 전력을 공급 받는다.
상기 컨테이너 지지부는 지면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입력 포트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지부를 통하여 냉동 컨테이너가 전력을 공급 받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지부에서 전력 입력 포트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컨테이너가 냉동 컨테이너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0)은 선체(100) 및 컨테이너 지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테이너 지지부(200)는 선체(100)에 구비되어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지지부(200)는 래싱 브리지(lashing bridge) 또는 셀 가이드(cell guide)일 수 있다. 컨테이너는 래싱 바(lashing bar)에 의하여 갑판(110)에 설치된 래싱 브리지에 지지되거나, 선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셀 가이드에 지지될 수 있다. 이하, 컨테이너 지지부(200)가 래싱 브리지인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컨테이너 지지부(200)는 갑판(110)의 표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 지지부(200)에 인접한 복수의 컨테이너가 컨테이너 지지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컨테이너는 냉동 컨테이너 및 전력 공급 컨테이너일 수 있다. 컨테이너 지지부(200) 중 일부는 일반 컨테이너를 지지하고, 다른 일부는 냉동 컨테이너 및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냉동 컨테이너 및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컨테이너 지지부(20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컨테이너 지지부(200)는 냉동 컨테이너와 전력 공급 컨테이너간의 전력을 중계할 수 있다. 냉동 컨테이너는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여 수용된 물건의 냉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냉동 상태의 유지를 위하여 냉동 컨테이너는 전력을 소모할 수 있는데, 해당 전력은 전력 공급 컨테이너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컨테이너 지지부(200)는 냉동 컨테이너와 전력 공급 컨테이너간의 전력을 중계하여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전력이 냉동 컨테이너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냉동 컨테이너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510)(도 3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510)을 수용하고 있는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510)과 함께 일체형으로 운용될 수 있다.
전력 중계를 위하여 컨테이너 지지부(200)는 전력 입력 포트(410) 및 전력 출력 포트(420)를 구비할 수 있다. 전력 입력 포트(410)는 전력 공급 컨테이너로부터 전력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전력 출력 포트(420)는 전력 입력 포트(410)를 통하여 입력된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냉동 컨테이너는 전력 출력 포트(420)를 통하여 출력된 전력을 공급 받아 동작할 수 있다.
전력 출력 포트(42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하나의 컨테이너 지지부(200)에 인접하여 적재된 복수의 냉동 컨테이너가 해당 컨테이너 지지부(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전력 입력 포트(4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해당 전력 입력 포트(410)를 통하여 입력된 전력은 컨테이너 지지부(200)의 내부에서 복수의 전력 출력 포트(420)로 분배될 수 있다.
선박(10)은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컨테이너 지지부(200)에 구비되어 냉동 컨테이너와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동 컨테이너의 내부의 온도, 습도, 가스량 및 촬영 영상이 상태 정보에 포함되고, 냉동 컨테이너의 움직임 및 위치가 상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충전량 및 위치가 상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냉동 컨테이너 및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감지 수단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냉동 컨테이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냉동 컨테이너와 함께 적층되어 컨테이너 지지부(200)에 지지될 수 있다. 냉동 컨테이너 및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냉동 컨테이너와 함께 적층된 상태에서 냉동 컨테이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510)과 같이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데,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냉동 컨테이너에 적층시키는 것만으로 냉동 컨테이너에 전력을 용이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지부를 통하여 냉동 컨테이너가 전력을 공급 받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냉동 컨테이너(600)는 컨테이너 지지부(200)에 지지되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전력 공급 컨테이너(500)는 전력 입력 포트(410)에 연결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510)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냉동 컨테이너(600)는 전력 출력 포트(420)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 컨테이너(600) 및 전력 공급 컨테이너(500)는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컨테이너(500)는 복수의 냉동 컨테이너(600)에 적층될 수 있다.
복수의 냉동 컨테이너(600)는 하나의 전력 공급 컨테이너(500)가 제공되는 전력을 공급 받아 냉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 컨테이너(600) 중 일부는 적층된 전력 공급 컨테이너(50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다른 일부는 적층되지 않은 전력 공급 컨테이너(5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하나의 전력 공급 컨테이너(500)가 자신을 지지하고 있는 냉동 컨테이너(600)뿐만 아니라 자신을 지지하고 있지 않은 냉동 컨테이너(600)에까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전력 공급 컨테이너(500)에 의하여 냉동 컨테이너(600)로 전력이 공급되는 도중에 제어부(300)는 전력 공급 컨테이너(500) 및 냉동 컨테이너(6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조타실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지부에서 전력 입력 포트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컨테이너가 냉동 컨테이너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지지부(200)는 가이드 레일(41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10)은 지면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면은 갑판(110)의 표면일 수 있다.
전력 입력 포트(410)는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지면에 대한 가이드 레일(410)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지면에 대한 전력 공급 컨테이너(500)의 높이에 따라 전력 입력 포트(410)의 위치가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력 공급 컨테이너(500)는 냉동 컨테이너(6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전력 입력 포트(410)는 전력 공급 컨테이너(50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그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예 따르면, 컨테이너 지지부(200)는 전력 출력 포트(4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전력 출력 포트(420)는 보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면에 대한 그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선박 100: 선체
110: 갑판 200: 컨테이너 지지부
300: 제어부 410: 전력 입력 포트
420: 전력 출력 포트 500: 전력 공급 컨테이너
510: 에너지 저장 시스템 600: 냉동 컨테이너

Claims (3)

  1. 냉동 컨테이너와 전력 공급 컨테이너를 지지하고, 상기 냉동 컨테이너와 상기 전력 공급 컨테이너간의 전력을 중계하는 컨테이너 지지부; 및
    상기 컨테이너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 컨테이너와 상기 전력 공급 컨테이너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냉동 컨테이너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전력 공급 컨테이너는 상기 냉동 컨테이너와 함께 적층되어 상기 컨테이너 지지부에 지지되는 선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지지부는,
    상기 전력 공급 컨테이너로부터 전력을 입력 받는 전력 입력 포트; 및
    상기 입력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냉동 컨테이너는 상기 전력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된 전력을 공급 받는 선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지지부는 지면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입력 포트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선박.
KR1020180127978A 2018-10-25 2018-10-25 선박 KR102477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978A KR102477552B1 (ko) 2018-10-25 2018-10-25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978A KR102477552B1 (ko) 2018-10-25 2018-10-25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597A true KR20200046597A (ko) 2020-05-07
KR102477552B1 KR102477552B1 (ko) 2022-12-13

Family

ID=7073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978A KR102477552B1 (ko) 2018-10-25 2018-10-25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315A1 (ko) * 2021-04-02 2022-10-06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운반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1694A (ja) * 2004-12-01 2008-06-26 イパルコ ビー ヴィ 海上給電システム
KR100927807B1 (ko) * 2009-08-24 2009-11-23 극동일렉콤주식회사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WO2013027761A1 (ja) * 2011-08-22 2013-02-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リーファーコンテナ及びリーファーコンテナへの給電システム
KR20170122584A (ko) 2016-04-27 2017-1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냉동 컨테이너 전력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1694A (ja) * 2004-12-01 2008-06-26 イパルコ ビー ヴィ 海上給電システム
KR100927807B1 (ko) * 2009-08-24 2009-11-23 극동일렉콤주식회사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WO2013027761A1 (ja) * 2011-08-22 2013-02-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リーファーコンテナ及びリーファーコンテナへの給電システム
KR20170122584A (ko) 2016-04-27 2017-1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냉동 컨테이너 전력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315A1 (ko) * 2021-04-02 2022-10-06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운반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552B1 (ko)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412636A1 (en) Cooled storage system having sections separated by thermal barrier
US20210032034A1 (en) Storage Systems and Methods for Robotic Picking
JP2022543369A (ja) 保管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のピッキングの方法
CN108064212B (zh) 带有两套互连的轨道体系的自动化存取系统
US9702610B2 (en) Reefer container and power supply system for reefer container
US7765831B2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3284702B1 (en) Freight contain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cargo
KR20200046597A (ko) 선박
US20180274843A1 (en) Transport container environmental control lid
US20180135994A1 (en) Method for Optimizing the Cryogenic Pressure Tank Fill Level Which Can Be Achieved During a Refill in a Motor Vehicle
EP2889233A1 (en) An automated or semi-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t differentiated temperatures
KR102129131B1 (ko) 운반 용기가 구비된 드론 및 이를 이용한 비행 방법
KR101594247B1 (ko) 액체저장탱크 관리 시스템
KR20120002211A (ko) 저장탱크 지지장치
KR101809745B1 (ko) 크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KR101784912B1 (ko) 선박의 복합 탱크
JP2022094900A (ja) モビリティ用貨物パッケージング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N216591058U (zh) 用于液氮存储装置的夹具及液氮存储装置
US11530097B2 (en) Partition wall of a storage
KR101465321B1 (ko) 로봇 매니퓰레이터를 이용한 저장장치
ITPD20120254A1 (it) Sistema di trasporto refrigerato e di logistica del freddo
KR101508985B1 (ko) 액체 이산화탄소 운반선의 냉각 시스템
KR101312949B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충격완화장치
EP4347449A2 (en) Storage systems and pick and place robots
KR101463033B1 (ko) 단열박스의 단열재 적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