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807B1 -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 Google Patents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807B1
KR100927807B1 KR1020090078053A KR20090078053A KR100927807B1 KR 100927807 B1 KR100927807 B1 KR 100927807B1 KR 1020090078053 A KR1020090078053 A KR 1020090078053A KR 20090078053 A KR20090078053 A KR 20090078053A KR 100927807 B1 KR100927807 B1 KR 100927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container
coupled
switch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기
Original Assignee
극동일렉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일렉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극동일렉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8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된 화물의 보온이나 보냉을 위한 전기를 콘테이너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 케이블에 연결된 전원 연결 단자를 내부에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키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방향으로 회동 운동이 가능한 플러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 박스, 플러그의 제 1 방향으로의 회동 운동에 대응하여 온/오프 스위치가 제1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소켓 박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개폐기, 관통공을 감싸도록 소켓 박스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리셉터클 바디 수용부와 키의 제1 방향으로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리셉터클 바디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 각도 제한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하우징, 전원 연결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결합하는 전원 연결 단자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원 개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전원 공급 단자 수용부와 키를 수용 결합하며 회동 각도 제한부 내에서 제1 방향으로의 회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키 결합홈을 포함하며 리셉터클 바디 수용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 결합되는 리셉터클 바디, 전원 공급 단자의 일끝단을 지지하도록 리셉터클 바디의 후방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 결합되는 리셉터클 백커버, 그리고 리셉터클 백커버의 후방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에는 플러그의 제1 방향의 회동 운동을 리셉터클 바디와 리셉터클 백커버를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상기 온/오프 스위치가 제1 방향으로 회동 운 동을 하여 온/오프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전원을 개폐하도록 상기 온/오프 스위치를 수용 결합하는 스위치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핸들 샤프트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78053
플러그, 소켓 박스, 전원 개폐기, 리셉터클 하우징, 리셉터클 바디, 핸들 샤프트

Description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THE ELECTRIC SOCKET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테이너 하치장에 보관되거나 선박 등에 적재되어 운반되는 콘테이너 내부에 적재된 화물의 보온 또는 보냉 상태 유지를 위해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에 관한 것이다.
콘테이너를 이용한 화물의 운송이 활성화되고 장시간 보온 또는 보냉이 요구되는 화물도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내부를 보온 또는 보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 콘테이너 및 이 콘테이너에 전원(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은 콘테이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용 케이블에 연결된 플러그를 꽂기만 하면 바로 통전이 되는 구조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플러그의 삽입시 통전에 따른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소켓 박스의 방수가 완벽하지 않은 경우 합선 또는 누전으로 인한 전기 안전 사고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종래 기술로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국내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172387에 기재된 냉동 콘테이너 전기 소켓이 개발되었다.
도 7은 종래의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외부 사시도, 도 8은 도 9의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내부 사시도, 도 9는 플러그 삽입 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의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단면도, 그리고 도 10은 플러그 삽입 후 스위치가 온 상태로 변한 상태의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동 콘테이너 전기 소켓은 전기 개폐기(2)의 상부에 스윗치(6)를 온오프시키는 작동판(7)을 슬라이딩되게 설치하여 이에 부착시킨 연결봉(8)을 소켓(3)의 상부로 노출시키고 케이블(9)에 연결된 플러그(10)의 정위치 유도용 안내봉(11)이 삽입되는 소켓 (3)의 삽입공(12)에 요입부(13)가 내측에 형성된 가압봉(14)을 삽입시켜 이의 내측단부에 연설시킨 안내구(15)를 장공(16)에 연결구(8)의 보울트(17)가 위치되게 스프링(18)으로 내향 탄설하되 연결봉(8)의 단입부(8')가 구멍(19)을 통해 관통되도록 주립시킨 승강판(20)의 하단을 가압봉(14)의 요입부(13)에 위치되게 유설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플러그(11)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결봉(8)이 인입되지 아니하므로 전기 소켓트(1) 전체가 전기 공급이 차단되며, 플러그(11)가 꽂혀 있는 상태라도 연결봉(8)을 밀어 인입시킬 때에만 전기가 공급됨에 따라 전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냉동 콘테이너 전기 소켓은 손잡이(21)에 연결되어 있는 전기 소켓의 구성 요소의 상부에 연결봉(8), 안내구(15) 및 구멍(19)이 형성된 승강판(20) 등의 구성 요소를 더 추가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전기 소켓의 부피가 커 지고 구성 요소가 복잡해져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을 위해서는 플러그(11)을 삽인한 후 다시 연결봉(8)을 밀어 인입시켜야 스윗치(6)를 온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작 방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플러그의 삽입과 별개로 간단한 플러그의 회동 운동만으로 전기 개폐기의 스위치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작이 간편하면서도 플러그의 삽입과 동시에 통전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을 위한 구성요소를 감소시켜 전기 소켓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도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 전기 소켓은 적재된 화물의 보온이나 보냉을 위한 전기를 콘테이너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 케이블에 연결된 전원 연결 단자를 내부에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키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방향으로 회동 운동이 가능한 플러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으로서,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 박스, 상기 플러그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회동 운동에 대응하여 온/오프 스위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소켓 박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개폐기, 상기 관통공을 감싸도록 상기 소켓 박스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리셉터클 바디 수용부와 상기 키의 제1 방향으로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바디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 각도 제한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전원 연결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결합하는 전원 연결 단자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개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전원 공급 단자 수용부와 상기 키를 수용 결합하며 상기 회동 각도 제한부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회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키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 바디 수용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 결합되는 리셉터클 바디, 상기 전원 공급 단자의 일끝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바디의 후방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 결합되는 리셉터클 백커버,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백커버의 후방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플러그의 상기 제1 방향의 회동 운동을 상기 리셉터클 바디와 상기 리셉터클 백커버를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상기 온/오프 스위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 운동을 하여 온/오프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전원을 개폐하도록 상기 온/오프 스위치를 수용 결합하는 스위치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핸들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 바디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수용홈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 박스의 베이스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탄성 부재 수용홈에 타측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바디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탄성 부재 수용홈에 타측이 수용되어 상기 리셉터클 바디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키가 결합된 상기 키 결합홈의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바디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핀 수용부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셉터클 백커버는 일측에 상기 제1 결합핀 수용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핀 수용부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셉터클 바디의 후방에 상기 리셉터클 백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결합핀 수용부 및 상기 제2 결합핀 수용부에 각각 수용 결합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바디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 결합홈은 상기 연장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을 감싸도록 상기 소켓 박스의 외측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사이에 결합되어 결합면을 방수하는 리셉터클 하우징 패킹,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바디와 상기 플러그의 사이에 결합되어 결합면을 방수하는 리셉터클 바디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개폐기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기 전원 개폐기 각각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복수의 상기 전원 개폐기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개폐기 연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 각도 제한부는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키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오프 상태 위치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오프 상태 각도 제한 걸림턱, 그리고 상기 일측에 대응하는 타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키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온 상태 위치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온 상태 각도 제한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에 의하면 플러그의 삽입과 별개로 간단한 플러그의 회동 운동만으로도 전기 개폐기의 스위치를 온/오프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간편하면서도 플러그의 삽입과 동시에 통전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을 위한 구성요소를 감소시켜 전기 소켓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도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이 제공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설시된 도 7 내지 도 10에 관한 참조 부호를 제외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 등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에 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가 접속된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덮개부를 제거한 플러그가 접속된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 영역의 요부 확대도,도 4는 도 2에 도시한 냉동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을 따라 자른 냉동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을 따라 자른 냉동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리셉터클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에 접속되어 콘테이너에 전기를 공급하는 플러그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플러그는 공지의 구성 요소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범위내에서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간략히 설명한다.
플러그(1)는 작업자에 조작에 의해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구조 변경을 통해 플러그(1)가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에 접속된 후 작업자가 플러그(1)를 회동시키면 회동 운동에 의해 전원 개폐기(20)의 온/오프 스위치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콘테이너에 전기가 공급되거나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플러그(1)는 플러그 커버(2)를 사이에 두고 내부 플러그 하우징(3)과 외부 플러그 하우징(5)으로 구획된다.
내부 플러그 하우징(3)의 내부에는 전원 연결 단자(7)를 수용하고 있으며, 일측에는 플러그(1)의 회동 운동을 전기 소켓에 전달하기 위한 키(4, key)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플러그 하우징(5)의 끝단에는 케이블 관통관(6)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블 관통관(6)에는 콘테이너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용 케이블(6a, 도 5 참조)의 타측이 삽입되어 전원 연결 단자(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제 플러그(1)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은 소켓 박스(10)와 소켓 박스(10)에 수용되는 전원 개폐기(20), 리셉터클 하우징(30), 리셉터클 바디(40), 리셉터클 하우징 패킹(50), 리셉터클 바디 패킹(55), 결합핀(60), 탄성 부재(65), 리셉터클 백커버(70), 핸들 샤프트(80), 전원 개폐기 연결바(90)를 포함하며,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 커버(95) 및 리셉터클 하우징 커버 패킹(97)을 포함한다.
소켓 박스(10)는 바닥판(12), 상판(14) 및 측판(16)으로 구성되며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킴으로써 수분이나 먼지 등의 불순물을 침투를 막는 역할을 한다.
소켓 박스(10)의 바닥판(12)에는 외측으로 나사 결합 등을 통해 소켓 박스를 특정 위치나 물체에 고정하기 위한 소켓 박스 고정부(12a)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전원 개폐기 고정 부재(25)가 결합되어 있다. 소켓 박스 고정부(12a) 는 측판(16)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소켓 박스의 측판(16)은 일측에 플러그(1)와의 접속을 위한 두 개의 관통공(17, 도 5 참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14)은 나사 결합을 통해 측판(17)과 상호 결합되어 있다.
전원 개폐기(20)는 개폐기 본체(22)에 연결된 온/오프 스위치(24)를 포함한다.
전원 개폐기(20)는 외부 전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접속된 플러그(1)를 통해 콘테이너에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며,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이는 플러그(1)의 회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임)으로 온/오프 스위치(24)가 작동할 수 있도록 개폐기 본체(22)가 전원 개폐기 고정 부재(25)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 개폐기(20)는 두 개로 구성되나 필요에 따라 그 수가 증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 개폐기(20)가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전원 개폐기(20)에 외부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해 복수개의 접속 단자(92)를 갖는 전원 개폐기 연결바(90)를 사용하여 각각의 전원 개폐기(20)에 접속시킴으로써 전원 개폐기(2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셉터클 하우징(30)은 관통공(17)을 감싸도록 소켓 박스(10)의 외측으로부터 결합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3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후술할 리셉터클 바디(40)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바디 수용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리 셉터클 바디 수용부(32)의 일측 외곽에는 키(4)의 제1 방향으로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회동 각도 제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 각도 제한부(33)의 일측에는 키(4)의 제1 방향으로의 오프 상태 위치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오프 상태 각도 제한 걸림턱(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대응하는 타측에는 온 상태 위치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온 상태 각도 제한 걸림턱(35)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도 6의 화살표 방향인 제1 방향 중 반시계 방향으로 플러그(1)를 회동시키면 키(4)가 오프 상태 각도 제한 걸림턱(34)에 걸리게 되며, 반대로 시계 방향으로 플러그(1)를 회동시키면 키(4)가 온 상태 각도 제한 걸림턱(35)에 걸리게 되어 회동 각도가 제한이 되게 되면서 키(4)의 회동 각도 즉 플러그(1)의 회동 운동 각도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리셉터클 바디(40)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리셉터클 바디 수용부(32)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 결합되어 있다.
리셉터클 바디(40)는 일측을 관통하는 제1 결합핀 수용부(42a) 및 일측에 탄성 부재 수용홈(42b)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전원 공급 단자 수용부(43)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핀 수용부(42a)에는 결합핀(60)이 수용 결합되어 있으며, 전원 연결 공급 수용부(43)에는 전원 공급 단자(48)가 수용 결합되어 있다.
전원 공급 단자(4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개폐기 본체(22)와 전선(93)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전원 연결 단자 수용홈(48a)이 형성되어 있어 플러그(1)가 전기 소켓에 접속되는 경우 전원 연결 단자(7)의 일부를 수용 결 합함으로써 전기 연결 단자(7)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전원 공급 단자(48)는 전원 개폐기(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플러그(1)에 공급하는 삼상 전원 공급 단자 및 감전 방지 목적의 접지를 위한 어스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셉터클 바디(40)는 또한, 가운데 부분의 테두리에 외부로 돌출된 연장부(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장부의 일측에는 키(4)를 수용 결합하며 회동 각도 제한부(33) 내에서 키(4)와 함께 제1 방향으로의 회동 운동이 가능한 키 결합홈(47)이 플러그(1)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1)가 접속되는 경우 키 결합홈(47)에 키(4)가 수용 결합됨으로써 플러그(1)의 제1 방향으로의 회동 운동은 리셉터클 바디(40)에 전달되어 리셉터클 바디(40) 또한 제1 방향으로 회동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리셉터클 하우징 패킹(50)은 볼트(100) 및 너트(300) 결합을 통해 관통공(17)을 감싸도록 소켓 박스(10)의 외측과 리셉터클 하우징(30)의 사이에서 이들(10, 30)과 각각 결합되어 결합면을 밀폐하여 수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전기 소켓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리셉터클 바디 패킹(55)은 리셉터클 바디(40)와 이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1) 사이에 결합되어 결합면을 밀폐하여 전기 소켓 내부 및 플러그(1) 내부로 수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 부재(65)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을 사용하며 그 일측은 소켓 박스(10)의 바닥판(12)에 결합되며 타측은 온/오프 스위치(24)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리셉터클 바디(40)가 제1 방향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운동시 탄성 부재 수용홈(42b)에 수용된다.
탄성 부재(65)는 플러그(1)와 접속된 리셉터클 바디(40)가 제1 방향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운동을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각도 제한부(33) 내의 12시 방향 위치에 키(4) 및 키 결합홈(47)이 위치하게 되면 탄성 지지력을 리셉터클 바디(40)에 제공하여 키(4) 및 키 결합홈(47)의 오프 상태 위치를 제한 및 지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플러그(1)를 전기 소켓으로부터 분리하여 접속 해제한 후 다시 접속하는 경우 키(4)와 키 결합홈(47) 간의 접속 각도를 지정함으로써 접속의 편의를 도모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탄성 부재(65)와 탄성 부재 수용홈(42b)의 이러한 기능은 키(4)와 키 결합홈(47)이 회동 각도 제한부(33)의 오프 상태 각도 제한 걸림턱(34)에 걸리는 경우 이와 동일한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으므로 본 실시예와 달리 제거될 수도 있다.
한편, 탄성 부재(65)는 공지의 스프링 이외에 상기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수단이면 대체 다른 공지의 수단으로 대체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리셉터클 백커버(70)는 전원 공급 단자(48)의 일 끝단을 지지하도록 리셉터클 바디(40)의 후방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 결합되어 있다.
리셉터클 백커버(70)의 내부에는 전선(93)이 통과하는 전선 공급관(73)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제1 결합핀 수용부(42a)에 대응하는 제2 결합핀 수용부(72a)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2 결합핀 수용부(72a)는 제1 결합핀 수용부(42a) 와 마찬가지로 결합핀(60)이 수용 결합되어 있다.
결합핀(60)에 의한 리셉터클 바디(40)와 리셉터클 백커버(70) 간의 결합에 의해 키 결합홈(47)에 결합된 키(4)에 의해 플러그(1)로부터 리셉터클 바디(40)로 전달된 회동 운동은 다시 리셉터클 백커버(70)로 전달된다.
핸들 샤프트(80)는 전선(93)이 통과하는 전선 관통관(83)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82)와 결합부(82)의 일측으로부터 온/오프 스위치(24)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있는 바(bar) 형의 샤프트 바디(84) 및 샤프트 바디(84)의 끝단에 형성된 스위치 수용부(85)를 포함한다.
결합부(82)는 결합 나사(200) 등의 공지의 수단으로 리셉터클 백커버(70)의 후방에 결합된다.
스위치 수용부(85)는 온/오프 스위치(24)를 내부에 수용하여 리셉터클 백커버(70)로 전달된 회동 운동을 전달받아 제1 방향으로 회동 운동을 하여 온/오프 위치를 변경하도록 온/오프 스위치(24)에 회동 운동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플러그(1)로부터 시작된 작업자의 회동 운동은 온/오프 스위치(24)에 전달되며 따라서 전원 개폐기(20)의 작동에 의해 플러그(1)를 통해 콘테이너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면 부호 중 미설명 부호인 리셉터클 하우징 커버 패킹(97) 및 리셉터클 하우징 커버(95)는 전기 소켓에 플러그(1)를 접속하지 않는 경우 전기 소켓 내부로의 수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리셉터클 하우징(30)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전기 소켓을 보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을 작동 방법을 중심으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다시 한번 설명한다.
적재된 화물의 보온이나 보냉을 위한 전원을 콘테이너에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리셉터클 하우징 커버(95) 및 리셉터클 하우징 커버 패킹(97)을 리셉터클 하우징(30)으로부터 제거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에 플러그(1)를 접속한다.
접속에 의해 키(4)가 키 결합홈(47)에 결합되며 이때 접속 위치는 탄성 부재(65)에 의해 도 6의 회동 각도 제한부(33) 내의 12시 방향이며 이는 온/오프 스위치(24)가 오프 상태에 있는 위치이기 때문에 단지 플러그(1)의 접속 만으로는 통전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접속과 동시에 통전이 되는 경우 발생하는 스파크 등으로 인해 작업자의 전기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접속 후 콘테이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온/오프 스위치(24)의 위치를 온 위치로 변경하여야 하므로 작업자가 플러그(1)를 제1 방향 즉 도 3 및 도 6의 화살표 방향 중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 각도 제한부(33) 내에서 키(4)가 결합된 키 결합홈(47)이 온 상태 각도 제한 걸림턱(35)에 걸릴때까지 회동되며 이에 따라 온/오프 스위치(24)가 온 상태로 변경되어 플러그(1)를 통해 콘테이너에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콘테이너에 일시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플러그(1)를 제1 방향 즉 도 3 및 도 6의 화살표 방향 중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 각도 제한부(33) 내에서 키 결합홈(47)이 오프 상태 각도 제한 걸림턱(34)에 걸릴때 까지 회동되며 이에 따라 온/오프 스위치(24)가 오프 상태로 변경되어 플러그(1)를 통한 콘테이너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 때 탄성 부재(5)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키 결합홈(47)에 결합된 키(4)는 최종적으로 도 6의 회동 각도 제한부(33) 내의 12시 방향에 위치한 상태가 되며 이때 온/오프 스위치(24)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일 콘테이너에 장시간 전원 공급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플러그(1)를 전기 소켓에서 뽑은 후 리셉터클 하우징(30)에 리셉터클 하우징 커버 패킹(97)와 리셉터클 하우징 커버(95)를 결합시켜 외부로부터 전기 소켓을 차단하면 된다. 탄성 부재(5)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키 결합홈(47)은 도 6의 회동 각도 제한부(33) 내의 12시 방향에 위치한 후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상태를 아는 작업자는 다시 플러그(1)를 전기 소켓에 접속하는 경우 키(4)를 키 결합홈(47)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에 의하면 플러그의 접속과 별개로 간단한 플러그의 회동 운동만으로도 전기 개폐기의 스위치를 온/오프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매우 간편하며, 플러그의 접속과 동시에 통전이 되지 아니하므로 전기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의 접속과 별개로 통전을 하기 위한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종래의 전기 소켓과 달리 종래의 전기 소켓의 구성 요소의 상부에 별도의 안전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간단한 구성요소의 추가만으로 플러그의 접속과 별개로 통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소켓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도 전기 소켓의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가 접속된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덮개부를 제거한 플러그가 접속된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 영역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냉동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을 따라 자른 냉동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을 따라 자른 냉동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리셉터클 하우징의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외부 사시도,
도 8은 도 9의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내부 사시도,
도 10은 플러그 삽입 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의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단면도, 그리고
도 11은 플러그 삽입 후 스위치가 온 상태로 변한 상태의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 2 : 플러그 커버
3 : 내부 플러그 하우징 4 : 키
5 : 외부 플러그 하우징 6 : 케이블 관통관
6a : 케이블 7 : 전원 연결 단자
10 : 소켓 박스 12 : 바닥판
12a : 소켓 박스 고정부 14: 상판
16 : 측판 17 :관통공
20 : 전원 개폐기 22 : 개폐기 본체
24 : 온/오프 스위치 25 : 전원 개폐기 고정 부재
30 : 리셉터클 하우징 32 : 리셉터클 바디 수용부
33 : 회동 각도 제한부 34 : 오프상태 각도 제한 걸림턱
35 : 온상태 각도 제한 걸림턱 40 : 리셉터클 바디
42a : 제1 결합핀 수용부 42b : 탄성 부재 수용홈
43 : 전원 공급 단자 수용부 45 : 연장부
47 : 키 결합홈 48 : 전원 공급 단자
48a : 전원 연결 단자 수용홈 50 : 리셉터클 하우징 패킹
55 : 리셉터클 바디 패킹 60 : 결합핀
65 : 탄성 부재 70 : 리셉터클 백커버
72 : 백커버 본체 72a : 제2 결합핀 수용부
73 : 전선 공급관 80 : 핸들 샤프트
82 : 결합부 83 : 전선 관통관
84 : 샤프트 바디 85 : 스위치 수용부
90 : 전원 개폐기 연결바 92 : 접속 단자
93 : 전선 95 : 리셉터클 하우징 커버
97 : 리셉터클 하우징 커버 패킹 100, 200 : 볼트
300 : 너트

Claims (7)

  1. 적재된 화물의 보온이나 보냉을 위한 전기를 콘테이너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 케이블에 연결된 전원 연결 단자를 내부에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키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방향으로 회동 운동이 가능한 플러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으로서,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 박스,
    상기 플러그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회동 운동에 대응하여 온/오프 스위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소켓 박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개폐기,
    상기 관통공을 감싸도록 상기 소켓 박스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리셉터클 바디 수용부와 상기 키의 제1 방향으로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바디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 각도 제한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전원 연결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결합하는 전원 연결 단자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개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전원 공급 단자 수용부와 상기 키를 수용 결합하며 상기 회동 각도 제한부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회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키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 바디 수용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 결합되는 리셉터클 바디,
    상기 전원 공급 단자의 일끝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바디의 후방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 결합되는 리셉터클 백커버,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백커버의 후방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플러그의 상기 제1 방향의 회동 운동을 상기 리셉터클 바디와 상기 리셉터클 백커버를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상기 온/오프 스위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 운동을 하여 온/오프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전원을 개폐하도록 상기 온/오프 스위치를 수용 결합하는 스위치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핸들 샤프트
    를 포함하는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2. 제1항에서,
    상기 리셉터클 바디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수용홈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 박스의 베이스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탄성 부재 수용홈에 타측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바디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탄성 부재 수용홈에 타측이 수용되어 상기 리셉터클 바디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키가 결합된 상기 키 결합홈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3. 제1항에서,
    상기 리셉터클 바디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핀 수용부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셉터클 백커버는 일측에 상기 제1 결합핀 수용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핀 수용부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셉터클 바디의 후방에 상기 리셉터클 백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결합핀 수용부 및 상기 제2 결합핀 수용부에 각각 수용 결합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는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4. 제1항에서,
    상기 리셉터클 바디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 결합홈은 상기 연장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5. 제1항에서,
    상기 관통공을 감싸도록 상기 소켓 박스의 외측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사이에 결합되어 결합면을 방수하는 리셉터클 하우징 패킹,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바디와 상기 플러그의 사이에 결합되어 결합면을 방수하는 리 셉터클 바디 패킹을 더 포함하는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6. 제1항에서,
    상기 전원 개폐기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기 전원 개폐기 각각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복수의 상기 전원 개폐기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개폐기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7. 제1항에서,
    상기 회동 각도 제한부는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키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오프 상태 위치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오프 상태 각도 제한 걸림턱, 그리고
    상기 일측에 대응하는 타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키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온 상태 위치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온 상태 각도 제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KR1020090078053A 2009-08-24 2009-08-24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KR100927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053A KR100927807B1 (ko) 2009-08-24 2009-08-24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053A KR100927807B1 (ko) 2009-08-24 2009-08-24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807B1 true KR100927807B1 (ko) 2009-11-23

Family

ID=4160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053A KR100927807B1 (ko) 2009-08-24 2009-08-24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597A (ko) * 2018-10-25 202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083A (ko) * 2002-07-03 2004-01-13 아쿠아 시그날 악티엔게젤샤프트 스페지알레유크텐파브리크 엔클로저, 적어도 하나의 회로 차단기 및 적어도 하나의플러그 리셉터클을 가지고 있는 장치
KR20060073504A (ko) * 2004-12-24 2006-06-28 라스무쎈 게엠베하 소켓 제조 방법
KR20070026292A (ko) * 2004-07-10 2007-03-08 비스카 호프만 운트 물소브 게엠베하 하우징에 배열된 전력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083A (ko) * 2002-07-03 2004-01-13 아쿠아 시그날 악티엔게젤샤프트 스페지알레유크텐파브리크 엔클로저, 적어도 하나의 회로 차단기 및 적어도 하나의플러그 리셉터클을 가지고 있는 장치
KR20070026292A (ko) * 2004-07-10 2007-03-08 비스카 호프만 운트 물소브 게엠베하 하우징에 배열된 전력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장치
KR20060073504A (ko) * 2004-12-24 2006-06-28 라스무쎈 게엠베하 소켓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597A (ko) * 2018-10-25 202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2477552B1 (ko) * 2018-10-25 2022-1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9580A (en) Service plug having male and female terminals permanently coupled to the service plug for closing a protected circuit
US4751452A (en) Battery operated power wrap tool
KR101484815B1 (ko) 커넥터 유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충전 장치
US9196996B2 (en) Safe outlet
JP5033086B2 (ja) コンセント装置
US5816825A (en) Connector unit provided with magnetically locking mechanism
CN103762472A (zh) 一种多功能插座
KR101783855B1 (ko) 차량용 회전형 콘센트 어셈블리
CN103825144B (zh) 一种具有锁定装置的电源连接器
US69561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locking a standard plug to a standard receptacle
KR20110061057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고전압 전원차단 안전플러그
KR100695762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20180088045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KR100927807B1 (ko) 콘테이너용 전기 소켓
EP0499839A3 (en) Electrical apparatus
KR20180126873A (ko) 충전 커넥터 잠금장치
JP2002133979A (ja) 安全プラグボックス
CN103682225A (zh) 蓄电池正极连接结构
EP1863106B1 (en) Sprayer with detachable rechargeable battery
KR20190072075A (ko) 전기 차량용 충전장치
JPH1092535A (ja) サービスプラグのレバー保持機構
KR101569717B1 (ko) 절전형 회전 콘센트
US10036567B2 (en) Ventilator having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KR20170064237A (ko) 차량용 회전형 콘센트 어셈블리
KR101248210B1 (ko)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