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319A - 메탈안경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메탈안경 - Google Patents

메탈안경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메탈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319A
KR20200046319A KR1020180127314A KR20180127314A KR20200046319A KR 20200046319 A KR20200046319 A KR 20200046319A KR 1020180127314 A KR1020180127314 A KR 1020180127314A KR 20180127314 A KR20180127314 A KR 20180127314A KR 20200046319 A KR20200046319 A KR 20200046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glass
frame
manufacturing
fastening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유환
노영식
Original Assignee
(주)월드트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트렌드 filed Critical (주)월드트렌드
Priority to KR102018012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6319A/ko
Publication of KR20200046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6Lock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형성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메탈 판재(1)를 선택하여 준비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준비단계(S10)에 메탈판재를 절단하여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를 형성하고, 통공(11)(21)과 스토퍼(12)(22)를 형성하는 형상가공단계(S20); 상기 형상가공단계(S20)에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를 절곡하여 절곡부(31)를 형성하는 밴딩단계(S30); 상기 밴딩단계(S30)에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의 외면을 연마하여 광택하고, 색상을 부여하는 코팅단계(S40); 및 상기 코팅단계(S40)에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의 통공(11)(21) 상에 체결볼트(41)와 체결너트(42)를 통해 서로 고정하는 조립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 시에 사용되는 접속구(일명, 미미)에 용접 등 별단의 장착수단이 없더라도 상호 간의 결착 고정이 매우 용이하게 체결 사용할 수 있고, 단시간의 형상 가공이 가능함에 따라 제조시간이 또한 빨라지게 되어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음에 인해 일반소비자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메탈안경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메탈안경{Metal glasses manufacturing method and a glasses by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메탈안경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메탈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 시에 사용되는 접속구(일명, 미미)에 용접 등 별단의 장착수단이 없더라도 상호 간의 결착 고정이 매우 용이하게 체결 사용할 수 있고, 단시간의 형상 가공이 가능함에 따라 제조시간이 또한 빨라지게 되어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음에 인해 일반소비자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메탈안경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메탈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을 보정하고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 착용자의 인상에 변화를 갖게 하는 패션(fashion)의 기능을 겸하고 있어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재질, 형상 등에 의해 많은 종류의 안경이 존재한다. 이러한 안경의 구조는 안경테의 중앙에 형성되는 브릿지를 중심으로 양측에 렌즈가 삽설되는 림이 형성되고, 림의 측면에 각각 미미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게 안경다리가 장착되는 구조이다. 하지만 이러한 안경은 안경테와 미미(안경 접속구) 및 안경다리를 통한 조립으로 인해 각각의 제조 시간이 많이 소모되면서 조립 또한 불편한 문제가 발생한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712975호에 따르면, '한 쌍의 림과, 상기 한 쌍의 림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림을 연결하는 브릿지와, 상기 림들의 단부에서 각각 절곡되어 다리부와 힌지로 결합될 한 쌍의 일체형 힌지부를 구비하는 금속 안경테의 전면부 제조를 위해 상기 전면부를 이루는 금속의 재료로서의 마그네슘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 절삭가공 시 떨림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되 장변과 그 반대편의 길이가 각각 10mm~15mm, 2mm~5mm인 절삭가공 시 떨림방지용 더미돌기가 림 부분 하나당 한 쌍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준비된 재료를 압출기가 압출시켜 1차 소재로서의 전면부소재를 제조하는 전면부소재 압출 단계; 절삭가공용 지그의 물림홈부에 상기 전면부소재의 절삭가공 시 떨림방지용 더미돌기가 물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소재를 중간의 브릿지 부분, 상기 브릿지 부분 양쪽의 림 부분, 상기 림 부분들의 단부에서 절곡되게 돌출되는 일체형 힌지부 부분이 일체화된 안경테 앞쪽 형상으로 절단하여 전면부 원형을 구성하는 절삭가공단계; 상기 전면부 원형을 연마, 장식, 도색과 같이 마감 처리하여 상기 전면부를 제조하는 마감처리 후 전면부 제조 단계; 및 별도의 공정에서 만들어진 상기 다리부와 상기 전면부를 힌지로 조립하여 금속 안경테를 제조하는 다리부 조립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가공용 지그의 물림홈부와 상기 더미돌기는 삼각형 구조로 서로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더미돌기는 림에 붙은 부분이 좁고 반대편의 넓은 형상으로 되어 상기 절삭가공용 지그에 밀착되며, 상기 전면부 소재 압출 단계에서 상기 전면부소재가 연속 압출될 때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전면부원형의 단면 형상이 반영되되, 상기 브릿지 부분과 상기 림 부분이 둥근 얼굴의 형상에 따라 입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체형 힌지부 부분이 상기 림 부분에서 양쪽으로 돌출되어 꺾인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안경테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금속 안경테 제조방법은, 안경테 상에 미미(안경 접속구)를 형성하여야 함으로 인해 판재로 형성이 불가능하고, 미미를 용접을 통해 일체화시킴에 따라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이 많이 들게 됨에 따라 안경의 제조 원가는 상승되어 소비자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739177호에 따르면, '인서트 사출 공법으로 메탈코어의 일단부에 팁이 성형되고, 상기 팁의 외면에는 인서트된 메탈코어의 일측 단부 지점에서 단차를 형성하는 제 1 단턱이 성형되는 S10단계; 상기 메탈코어의 일단부에 성형된 팁이 클램핑되어 다리 본체 금형의 캐비티 내에 상기 메탈코어가 위치되는 S20단계; 상기 캐비티에 다리 본체를 이루는 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메탈코어가 인서트된 다리 본체가 성형되고 상기 다리 본체의 외면에는 인서트된 메탈코어의 타측 단부 지점에서 단차를 형성하는 제 2 단턱이 성형되며 상기 다리 본체를 성형하는 수지의 온도에 의해 다리 본체와 팁의 융착으로 상기 제 1 단턱과 제 2 단턱 사이에 단차진 외면이 형성되는 S30단계; 상기 팁이 융착된 다리 본체가 냉각되어 탈형되는 S40단계; 상기 다리본체와 팁에 성형되어 있는 잉여부분이 제거되고 표면 처리되는 S50단계; 및 상기 단차진 외면에 착용감을 높이는 캡이 씌워지는 S60단계;를 포함하는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의 경우, 인서트 사출 공법으로만 형성이 가능함으로 인해 제조원가 상승 및 제품의 품질저하와 함께 제조시간 또한 오래 걸리는 문제 등을 통해 안경의 소비자에 부담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712975호 "금속 안경테 제조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1739177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 시에 사용되는 접속구(일명, 미미)에 용접 등 별단의 장착수단이 없더라도 상호 간의 결착 고정이 매우 용이하게 체결 사용할 수 있고, 단시간의 형상 가공이 가능함에 따라 제조시간이 또한 빨라지게 되어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음에 인해 일반소비자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메탈안경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메탈안경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형성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메탈 판재를 선택하여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에 메탈판재를 절단하여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형성하고, 통공과 스토퍼를 형성하는 형상가공단계; 상기 형상가공단계에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절곡하여 절곡부를 형성하는 밴딩단계; 상기 밴딩단계에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외면을 연마하여 광택하고, 색상을 부여하는 코팅단계; 및 상기 코팅단계에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통공 상에 체결볼트와 체결너트를 통해 서로 고정하거나 체결볼트와 통공의 나사산을 통해 체결하여 고정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안경테의 양측과 안경다리의 일측에 형성되는 통공을 구비하고, 통공이 서로 대응되어 미미(안경 접속구) 역할을 수행하게끔 절곡부를 구비하며,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게 통공 상에 삽설하여 서로 체결 고정되는 체결볼트와 체결너트를 통해 서로 고정하거나 체결볼트와 체결홈을 통해 고정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경테 또는 안경다리 상에 회전되는 안경다리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게끔 별단의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경테는 사용자의 안면에 안착이 용이하게끔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 시에 사용되는 접속구(일명, 미미)에 용접 등 별단의 장착수단이 없더라도 상호 간의 결착 고정이 매우 용이하게 체결 사용할 수 있고, 단시간의 형상 가공이 가능함에 따라 제조시간이 또한 빨라지게 되어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음에 인해 일반소비자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안경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안경 제조방법의 형상가공단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안경의 일실시예와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
도 4a 내지 4f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형성하는 제조방법에 관련되며, 준비단계(S10) · 형상가공단계(S20) · 밴딩단계(S30) · 코팅단계(S40) · 조립단계(S50)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준비단계(S10)는 메탈 판재(1)를 선택하여 준비한다. 준비단계(S10)는 일정 두께의 메탈 판재(1)를 준비하게 된다. 이러한 메탈 판재(1)는 금속재로서 약 0.2t∼1.2t 내외의 두께로 형성하여 후술하는 형상가공단계(S20)에 의해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를 형성할 수 있도록 사전 준비를 시행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형상가공단계(S20)는 상기 준비단계(S10)에 메탈판재를 절단하여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를 형성하고, 통공(11)(21)과 스토퍼(12)(22)를 형성한다. 형상가공단계(S20)는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를 모델에 따라 레이저 커팅하여 절단하게 된다. 이렇게 절단된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의 절단면 부위에는 가시 모양의 그루터기(bur)가 형성됨에 따라 날카로운 절단면을 부드럽게 바렐 연마기 등을 통하여 그루터기(bur)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의 전체적인 형태를 가공하기 위하여 MCT 가공을 시행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에는 서로의 결합이 가능하게끔 통공(11)(21)을 형성하고,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에 각각 또는 어느 한곳 상에 스토퍼(12)(22)를 형성함에 따라 안경다리(20)가 안경테(10) 상에 체결될 때에 안경다리(20)가 회전되는 반경을 제한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밴딩단계(S30)는 상기 형상가공단계(S20)에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를 절곡하여 절곡부(31)를 형성한다. 밴딩단계(S30)는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의 통공(11)(21)이 서로 마주치거나 스토퍼(12)(22)가 안경다리(20)의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절곡부(31)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절곡부(31)는 후술할 조립단계(S50)에서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가 서로 회전이 가능하게끔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통공(11)(21)이 서로 맞대응 될 수 있도록 절곡하는 작업을 시행한다. 다시 말해, 안경테(10)의 양측에는 한 쌍의 통공(11)이 형성되고, 안경다리(20)에도 통공(2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통공(11)(21)이 서로 대응되게끔 절곡부(31)를 통해 절곡시켜 마주치도록 형성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코팅단계(S40)는 상기 밴딩단계(S30)에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의 외면을 연마하여 광택하고, 색상을 부여한다. 코팅단계(S40)에서는 상술한 밴딩단계(S30)가 끝난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 상에 외면을 부드럽게 연마한 다음,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 상에 색상을 부여하여 착용자가 부드러우면서 차가운 메탈의 촉감과 함께 색상에 의한 장식미와 심미감이 향상된 안경을 착용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코팅을 시행한다. 즉,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의 외면을 연마를 시행한 후, 별도의 흑니켈(nickel), 건메탈(gunmetal), 로듐(rhodium) , 골드(gold) , 루테늄(ruthenium) 등으로 도금을 시행하고, 유광 코팅, 무광 코팅, 반광 코팅, 페인트 코팅, 애폭시 코팅, 전착 코팅 등을 시행하게 되며, 레이저 마킹(laser marking)을 통한 안경의 모델명, 규격, 컬러 등을 각인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조립단계(S50)는 상기 코팅단계(S40)에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의 통공(11)(21)에 체결볼트(41)와 체결너트(42)를 통해 서로 고정하거나 체결볼트(41)와 통공(11)의 나사산(11a)을 통해 체결하여 고정한다. 조립단계(S50)에는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고정하게 되는 바, 먼저 상술한 코팅단계(S40)가 완료된 안경다리(10)와 안경다리(20) 상에 형성된 절곡부(31)를 통해 서로 대응되는 통공(11)(21)에 체결볼트(41)를 삽설하여 체결너트(42)와 함께 체결하여 고정하고, 렌즈를 장착하여 안경이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다른 방법은 통공(11)에 나사산(11a)을 형성하여 체결볼트(41)의 삽설에 의한 체결로 고정하게 되고, 렌즈를 장착하여 안경이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안경테(10)의 양측과 안경다리(20)의 일 측에 형성되는 통공(11)(21)을 구비하고, 통공(11)(21)이 서로 대응되어 미미(안경 접속구) 역할을 수행하게끔 절곡부(31)를 구비하며,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가 회전 가능하게끔 체결되고, 통공(11)(21) 상에 삽설하여 상호 체결 고정되는 체결볼트(41)와 체결너트(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는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메탈 판재(1)를 형상가공단계(S20)를 통해 모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레이저 커팅하여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절단면은 바렐 연마기를 통하여 그루터기(bur)를 제거하여 연마하게 된다. 이러한 안경테(10)의 양측과 안경다리(20)의 일 측에 형성되는 통공(11)(21)이 형성되고, 안경테(10)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통공(11)이 서로 대응되어 미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절곡부(31)를 통해 통공(11)이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대응되게끔 절곡된다. 그리고 밴딩단계(S30)에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의 외면을 연마하여 광택하고, 색상을 부여한 다음, 한 쌍의 통공(11) 사이에 안경다리(20)의 일 측에 형성된 통공(12)이 삽설하여 체결볼트(41)가 통공(11)(21)에 삽설한 상태로 체결너트(42)에 의해 서로 체결하여 고정하거나 통공(11)에 나사산(11a)을 형성한 뒤 체결볼트(41)의 삽설에 의한 체결로 체결너트(42)를 제외한 상태로 고정하여 렌즈를 장착함으로서 안경이 완성된다.
또한, 상기 안경테(10) 또는 안경다리(20) 상에 회전되는 안경다리(2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게끔 스토퍼(12)(2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경테(10) 또는 안경다리(20)는 준비된 메탈 판재(1)를 형상가공단계(S20)를 통해 레이저 커팅하여 절단 시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 상에 스토퍼(12)(22)를 각각 형성하거나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의 어느 하나에 스토퍼(12)(22)를 형성하여 절곡된 스토퍼(12)(22)를 통해 안경테(10)에 장착된 안경다리(2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경테(10)는 사용자의 안면에 안착이 용이하게끔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경테(10)는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추어 사용자의 안면에 안착이 용이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안경테(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절곡이 됨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에 맞도록 되어 안착이 용이해 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 시에 사용되는 접속구(일명, 미미)에 용접 등 별단의 장착수단이 없더라도 상호 간의 결착 고정이 매우 용이하게 체결 사용할 수 있고, 단시간의 형상 가공이 가능함에 따라 제조시간이 또한 빨라지게 되어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음에 인해 일반소비자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메탈 판재 10: 안경테
11, 21: 통공 12, 22: 스토퍼
31: 절곡부 41: 체결볼트
42: 체결너트 S10: 준비단계
S20: 형상가공단계 S30: 밴딩단계
S40: 코팅단계 S50: 조립단계

Claims (4)

  1.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형성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메탈 판재(1)를 선택하여 준비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준비단계(S10)에 메탈판재를 절단하여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를 형성하고, 통공(11)(21)과 스토퍼(12)(22)를 형성하는 형상가공단계(S20);
    상기 형상가공단계(S20)에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를 절곡하여 절곡부(31)를 형성하는 밴딩단계(S30);
    상기 밴딩단계(S30)에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의 외면을 연마하여 광택하고, 색상을 부여하는 코팅단계(S40); 및
    상기 코팅단계(S40)에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의 통공(11)(21) 상에 체결볼트(41)와 체결너트(42)를 통해 서로 고정하거나 체결볼트(41)와 통공(11)의 나사산(11a)을 통해 체결하여 고정하는 조립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안경 제조방법
  2. 상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안경테(10)의 양측과 안경다리(20)의 일 측에 형성되는 통공(11)(21)을 구비하고, 통공(11)(21)이 서로 대응되어 미미 역할을 수행하게끔 절곡부(31)를 구비하며, 안경테(10)와 안경다리(20)가 회전 가능하게끔 체결된 후 통공(11)(21) 상에 삽설하여 상호 체결 고정되는 체결볼트(41)와 체결너트(42)를 통해 서로 고정하거나 체결볼트(41)와 체결홈(43)을 통해 고정하는 특징으로 하는 메탈안경
  3. 상기한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0) 또는 안경다리(20) 상에 회전되는 안경다리(2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게끔 스토퍼(12)(2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안경
  4. 상기한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0)는 사용자의 안면에 안착이 용이하게끔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안경
KR1020180127314A 2018-10-24 2018-10-24 메탈안경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메탈안경 KR20200046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314A KR20200046319A (ko) 2018-10-24 2018-10-24 메탈안경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메탈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314A KR20200046319A (ko) 2018-10-24 2018-10-24 메탈안경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메탈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319A true KR20200046319A (ko) 2020-05-07

Family

ID=7073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314A KR20200046319A (ko) 2018-10-24 2018-10-24 메탈안경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메탈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631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975B1 (ko) 2016-06-20 2017-03-07 배윤수 금속 안경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 안경테, 그리고 금속 안경테를 제조하기 위한 절삭가공용 지그
KR101739177B1 (ko) 2015-01-07 2017-05-23 김도연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177B1 (ko) 2015-01-07 2017-05-23 김도연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712975B1 (ko) 2016-06-20 2017-03-07 배윤수 금속 안경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 안경테, 그리고 금속 안경테를 제조하기 위한 절삭가공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2615B1 (en) A method of making eyewear frame having sections joined with nose bridge
KR20180033584A (ko) 안경 프레임의 전면 덮개용 장식 요소, 및 상기 장식 요소를 포함하는 안경
JP2023169261A (ja) アイウェア用可撓性ブリッジ組立品および可撓性アイウェアの組立方法
WO1999056942A1 (en) Eyewear frame construction
KR101739177B1 (ko)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WO2007013462A1 (ja) 眼鏡前枠製造基板及び眼鏡前枠の製造方法
KR20200046319A (ko) 메탈안경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메탈안경
CN107107491B (zh) 用于眼镜的透镜的制造方法、由该方法生产的用于眼镜的透镜和包括该透镜的眼镜
KR20130093355A (ko)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
WO2006114837A1 (ja) 眼鏡
KR102496051B1 (ko) 마그네슘 안경테
KR102517289B1 (ko) 플라스틱 안경테 제조방법
JP6560066B2 (ja) 眼鏡フレームのテンプル角度調節構造、及び眼鏡フレーム用エンドピース
KR102353763B1 (ko)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
JP7149630B2 (ja) 樹脂リム一体型金属眼鏡フレーム
KR102189460B1 (ko) 안경테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30064893A (ko) 안경테의 외측으로 사출성형이 가능한 안경테 제조용 금형 및 그 금형방법
KR20160037490A (ko)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프레임이 구비된 안경테
TWI581032B (zh)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iddle beam of glasses
KR20170107191A (ko) 무게경량화와 탄성력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투톤 색상을 갖는 도금 안경테 제조방법
JP2002072152A (ja) メガネフレームの樹脂製ツ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79746B1 (ko)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다중 색상을 갖는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613413B1 (ko)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KR20100008821U (ko) 조립식 안경
JP3049714U (ja) 竹製眼鏡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53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610

Effective date: 2021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