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938A - 세면기 - Google Patents

세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938A
KR20200044938A KR1020207009312A KR20207009312A KR20200044938A KR 20200044938 A KR20200044938 A KR 20200044938A KR 1020207009312 A KR1020207009312 A KR 1020207009312A KR 20207009312 A KR20207009312 A KR 20207009312A KR 20200044938 A KR20200044938 A KR 20200044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flow
bowl
wash basin
bowl portion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070B1 (ko
Inventor
아키요시 요시모토
Original Assignee
요시모토 트레이딩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모토 트레이딩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요시모토 트레이딩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4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4Overflow devices for basins or 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보울부에 있어서의 오버플로우구 외측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키면서, 간소한 구성으로 컴팩트하게 설치 가능한 세면기를 제공한다.
세면기는, 보울부(2)와, 보울부(2)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21)와, 보울부(2)의 배후면에 형성된 오버플로우구(31)와, 일단측이 오버플로우구(31)에 접속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오버플로우 배수로와, 보울부(2)의 배후면으로부터 배후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오버플로우 배수로를 가리는 오버플로우 커버부(33)를 구비하는 세면기(1)로서, 오버플로우 커버부(33)는, 세면기(1)의 사용자가 보울부(2)의 앞측에 섰을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시인하기 어렵도록 내리막 경사진 오버플로우 상면부(331)를 갖는다.

Description

세면기
본 발명은 세면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오버플로우구를 갖는 세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면기 등에 있어서의 보울부(bowl section)의 상부에는, 저류한 물이 넘쳐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버플로우구(overflow port)가 설치되어 있다. 오버플로우구는, 보울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오버플로우 배수관에, 예를 들면 엘보(elbow)관 등에 의해 접속된다. 보울부의 저면에는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어, 배수구로부터 연속되는 배수관에, 오버플로우구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오버플로우 배수관이 접속됨으로써, 세면기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예로서, 특허문헌 1 참조).
배수관은 세면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 눈에 띄지 않도록 하고 싶다는 요청이 있다. 따라서, 보울부와 중공(中空) 구조의 오버플로우 배수관을 별체로 구성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금구(金具)와 함께 인서트 성형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로서,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특개 2016-19984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특개 2009-209665호 공보
근년, 세면기 주위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카운터 등의 설치면으로부터, 보울부의 상단이 돌출되도록 세면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오버플로우 배수관의 구조가 세면기의 사용자로부터 시인(視認)된다면, 디자인성이 손상된다.
보울부에서의 오버플로우구의 외측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키면서, 간소한 구성으로 컴팩트하게 설치 가능한 세면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보울부와, 보울부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와, 보울부의 배후면(rear surface)에 형성된 오버플로우구와, 일단측이 오버플로우구에 접속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오버플로우 배수로와, 상기 보울부의 배후면으로부터 배후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로를 가리는 오버플로우 커버부를 구비하는 세면기로서, 상기 오버플로우 커버부는, 세면기의 사용자가 상기 보울부의 앞측에 섰을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시인하기 어렵도록 내리막 경사진 오버플로우 상면부를 갖는 세면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우 상면부는, 수평면에 대해서 45° 이상의 각도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우 커버부는, 상기 오버플로우 상면부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돌출(延出)되는 리브부와, 상기 리브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오버플로우 측면부, 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부의 하면에 카운터가 배치되며, 상기 리브부보다 상측이 카운터로부터 돌출되는 베슬식 세면기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부는, 상기 보울부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로는, 1분간에 10리터 이상의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스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울부에 있어서의 오버플로우구의 외측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키면서, 간소한 구성으로 컴팩트하게 설치 가능한 세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세면기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세면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세면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세면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세면기의 배면도이다.
도 6A는 본 실시형태의 세면기의 오버플로우 접속부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실시형태의 세면기의 오버플로우 접속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세면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세면기(1)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세면기(1)의 평면도이다. 세면기(1)는, 보울부(2)와 오버플로우부(3)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세면기(1)는, 카운터로서의 카운터(100) 상에 설치되며, 보울부(2)의 일부가 카운터(100)로부터 보다 위에 위치하여, 보울부(2)의 외측면의 일부가 돌출한 이른바 하프 베슬형의 세면기이다.
보울부(2)는, 물을 저류하거나 수도꼭지(도시 생략)로부터 토수(吐水)된 물을 받거나 하는 오목부를 갖는 용기이다. 보울부(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본 형상(平面視)이 모서리가 둥근 대략 직사각형 모양이며, 측면에서 본 형상(側面視)이 상방에서 하방 내측을 향해 완만하게 휘는 얕은 접시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보울부(2)는, 배수구(21)와, 배수관 접속부(24)(도 2 참조)와, 내측면부(22)와, 외측면부(23)를 갖는다.
도 4는, 세면기(1)의 측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구(21)는, 보울부(2)의 저면에 형성되며, 보울부(2)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관통공이다.
배수관 접속부(24)는, 배수구(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관상부(管狀部)이다. 배수관 접속부(24)는, 배수구(21)와 배수관(25)을 접속하는 부분이다.
내측면부(22)는, 배수구(21)로부터 보울부(2) 상단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보울부(2) 내측의 측면이다.
외측면부(23)는, 보울부(2)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측의 측면이다. 외측면부(23)는, 제1 외측면부(231)와 제2 외측면부(232)를 갖는다. 제1 외측면부(231)는, 보울부(2)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하방으로 연장하여, 보울부(2)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띠 형상의 부분이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외측면부(231)는, 설치 상태에서 카운터(100) 위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제2 외측면부(232)는, 제1 외측면부(231)의 하단으로부터 배수구(21)까지 연장되는 곡면으로, 설치 상태에서 카운터(100) 아래에 배치된다.
오버플로우부(3)는, 보울부(2)의 배후면측의 상부에 배치되어, 보울부(2)에 물을 저수한 경우에, 보울부(2)로부터 물이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울부(2) 상부의 배수 구조이다. 오버플로우부(3)는, 오버플로우구(31)와, 오버플로우 배수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오버플로우 배수관(32)과, 오버플로우 커버부(33)와, 오버플로우 커버 접속부(34)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보울부(2)의 배후면이란, 사용자가 세면기(1)의 앞에 위치했을 때에 보울부(2)를 사이에 두고 사용자에 대향하는 면을 말한다.
도 5는 세면기(1)의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구(31)는, 보울부(2)의 배후면측에서 상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하방으로 이간(離間)된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이다. 오버플로우구(31)는, 보울부(2)의 긴 방향을 따르는 가로로 긴 구멍이다.
오버플로우 커버부(33)는, 오버플로우구(31)의 배면측을 가리는 커버이다. 오버플로우 커버부(33)는, 보울부(2)와 일체로 보울부(2)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오버플로우 커버부(33)는, 보울부(2)의 배후면으로부터 배후측으로 돌출된다. 오버플로우 커버부(33)는, 보울부(2)의 외측면부(23)로부터 팽출되도록, 보울부(2)의 배후면의 뒷측에서, 보울부(2)의 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다. 오버플로우 커버부(33)는, 오버플로우 상면부(331)와, 리브부(332)와, 오버플로우 측면부(333)를 갖는다.
오버플로우 상면부(33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부(2)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보울부(2)의 제1 외측면부(231)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버플로우 상면부(331)는, 세면기의 사용자가 보울부(2)의 앞측에 섰을 경우에, 사용자가 시인하기 어렵도록 한 내리막 경사로 되어 있다.「사용자가 시인하기 어렵도록 한 내리막 경사」란, 예를 들면, 보울부(2)의 상단부의 높이(h1)가 800∼850mm의 위치에 배치되고, 보울부(2)의 안길이(D)가 300mm∼350mm인 경우에, 세면대 앞에 선 사용자(시선의 높이(h2)가 150cm∼170cm)가 시인하기 어려운 경사 각도이다(도 7 참조). 오버플로우 상면부(331)의 경사 각도는, 예를 들면, 보울부(2)의 상단을 따르는 수평면(H)에 대하여, 수평면(H)과 오버플로우 상면부(331)와의 이루는 각도(θ)가 45° 이상,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70° 이하 정도로 경사진다.
오버플로우 상면부(331)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에서 본 경우, 오버플로우 상면부(33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할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경사지고 있다. 오버플로우 상면부(331)는, 폭이 오버플로우구(31)보다 크며, 보울부(2)의 제1 외측면부(231)에서의 오버플로우구(31)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오버플로우 상면부(331)와 제1 외측면부(231)의 사이는, 중공이다.
리브부(332)는, 오버플로우 상면부(331)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오버플로우 상면부(331)의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다. 리브부(33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부(2)의 외측면부(23)에서의 제1 외측면부(231)와 제2 외측면부(232)와의 경계에 있으며, 제1 외측면부(231)의 하단부의 가상 연장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오버플로우 측면부(333)는, 리브부(332)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방으로 연장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측면부(333)는, 제2 외측면부(232)로부터 배후측으로 팽출하며, 리브부(332)로부터 하방을 향해 소정 높이를 갖는다. 오버플로우 측면부(333)는, 배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오버플로우 측면부(333)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는, 오버플로우구(31)의 폭보다 크며, 일정한 폭으로 연장된다. 오버플로우 측면부(333)의 내부는 중공이며, 오버플로우구(31)로부터 넘쳐 나온 물을 받는 넓은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오버플로우 측면부(333)의 폭은, 보울부(2)의 긴 방향의 길이의 1/4∼1/3 정도이다.
도 6A는, 오버플로우 커버 접속부(34)의 상면도이며, 도 6B는 측면도이다. 오버플로우 커버 접속부(34)는, 오버플로우 커버부(33)와 오버플로우 배수관(32)을 접속하는 소켓이다. 오버플로우 커버 접속부(34)는, 상부 접속부(341)와 하부 접속부(342)를 갖는다. 오버플로우 커버 접속부(34)는, 오버플로우 커버부(33)의 오버플로우 측면부(333)의 하단부에 접속되며, 카운터(100)의 상부로부터는 시인되지 않는다.
상부 접속부(341)는, 도 5 및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오버플로우 측면부(333)의 하단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 측면부(333)의 단면보다 한층 작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상부 접속부(341)는, 상부 접속부(341)의 가장자리의 내측에,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하는 볼록부(341a)를 가지며, 이 볼록부(341a)가 오버플로우 측면부(333)의 하단부 내측에 감합(嵌合)한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접속부(341)는 하방으로 향해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있다.
하부 접속부(342)는, 상부 접속부(341)의 하단으로부터 연속되는 관 형상의 취부구이며, 오버플로우 배수관(32)에 삽입된다.
오버플로우 배수관(32)은, 일단이 오버플로우 커버부(33)를 통하여 오버플로우구(31)에 접속되며, 타단이 보울부(2)의 배수관 접속부(24)에 접속된다. 오버플로우 배수관(32)은, 오버플로우구(31)로부터 배수관(25)으로 이어지는 배수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오버플로우 배수로는, 오버플로우구(31)로부터 시작되어, 오버플로우 커버부(33) 및 오버플로우 커버 접속부(34) 내의 중공 부분으로부터, 오버플로우 배수관(32)으로 연속된다. 오버플로우 배수로는, 오버플로우 배수관(32)이 보울부(2) 저면의 배수구(21)로부터 연장되는 배수관 접속부(24)에 접속됨으로써, 보울부(2)의 배수로에 합류한다.
이러한 오버플로우 배수로는, 보울부(2)의 상방에서는 오버플로우 커버부(33)에 의해 덮여 있다. 오버플로우구(31)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오버플로우 상면부(331)로부터 오버플로우 측면부(333)의 하단까지는 폭이 크게 축소되지 않으며 오버플로우 커버부(33)에 의해 배수로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배수량이 크고, 예를 들면 1분간에 10리터 이상의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울부(2) 및 오버플로우부(3)를 갖는 세면기(1)는 수지제이며, 프레스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된다. 보울부(2)의 오버플로우구(31)는, 프레스 성형시에 구멍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일체 성형할 수도 있으며, 나중에 보울부(2)에 구멍을 뚫어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세면기(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세면기(1)는, 리브부(332) 아래에 카운터(100)가 배치되며, 리브부(332)보다 상측이 카운터(100)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른바 베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리브부(332)가 카운터(100) 위에 놓여, 세면기(1)와 카운터(100)와의 경계를 긋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브부(322)는, 보울부(2)의 저면에 배치된 배수구(2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하프 베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면기(1)의 앞에 사용자가 섰을 때, 세면기(1)가 카운터(100) 위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오버플로우 커버부(33)는 사용자로부터 시인되기 어렵도록 내리막 경사로 되어 있어, 오버플로우부(3)의 배수 구조가 눈에 띄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세면기(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1) 세면기(1)를, 보울부(2)와, 보울부(2)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21)와, 보울부(2)의 배후면에 형성된 오버플로우구(31)와, 일단측이 오버플로우구(31)에 접속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오버플로우 배수로와, 보울부(2)의 배후면으로부터 배후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오버플로우 배수로를 가리는 오버플로우 커버부(33), 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오버플로우 커버부(33)를, 세면기(1)의 사용자가 보울부(2)의 앞측에 섰을 경우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시인하기 어렵도록 내리막 경사진 오버플로우 상면부(331)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로 인해, 오버플로우구(31)의 배후측에서, 오버플로우구(31)로부터 물을 배수하는 오버플로우 배수로를 오버플로우 커버부(33)가 가리기 때문에, 배관의 접속부 등의 구조부가 시인되지 않으며, 외관이 상쾌해져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나사 등의 기계적으로 작은 구조물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먼지나 쓰레기 등이 모이지 않고 위생적이다. 또한, 오버플로우 커버부(33)가, 사용자가 보울부(2)의 앞측에 섰을 경우에 시인하기 어렵도록 내리막 경사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세면기(1)를 카운터(100) 위에 놓고 설치한 경우에도, 오버플로우 배수관(32) 등이 시인되지 않아,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2) 오버플로우 상면부(331)를, 수평면에 대하여 45° 이상의 각도로 경사시켰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보울부(2)의 앞측에 섰을 경우에 확실히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보다 확실히 나타낼 수 있다.
(3) 상기 오버플로우 커버부(33)는, 오버플로우 상면부(331)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리브부(332)와, 리브부(332)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오버플로우 측면부(333)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로 인해, 리브부(332)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기 때문에, 리브부(332)보다 하방의 구조가 세면기(1)의 상부로부터 시인하기 어려워져,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오버플로우 측면부(333)가 리브부(332)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오버플로우 커버부(33)가 가리고 있는 배수로의 유로를 굵게 할 수 있다.
(4) 리브부(332)의 하면에 카운터(100)를 배치하고, 리브부(332)보다 상측이 카운터(100)로부터 돌출하는 베슬식 세면기로서 이용하였다. 이로 인해, 리브부(332)가 세면기(1)와 카운터(100)의 경계를 명확하게 함과 동시에 리브부(332)가 카운터에 놓여짐으로써 세면기(1)가 카운터(100)에 설치된 세면기(1) 설치용의 구멍으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워져, 설치가 용이해진다.
(5) 리브부(332)를, 보울부(2)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켰다. 이로 인해, 리브부(332)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어 보울부(2)의 깊이를 깊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울부(2)의 외측면부가 부분적으로 카운터(100)로부터 돌출되는 하프 베슬식 세면기(1)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6) 오버플로우 배수로를, 1분간에 10리터 이상의 물을 배수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이로 인해, 충분한 배수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세면기(1)의 외측으로 물이 흘러넘치는 등의 염려가 감소하여, 오버플로우부(3)의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충분한 배수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보울부(2)를 얕은 접시형과 같은 형상으로 설계할 수 있어 디자인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세면기(1)를 설치가능한 장소가 증가한다.
(7) 세면기(1)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였다. 이로 인해, 보울부(2)와 오버플로우부(3)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오버플로우 커버부(33)의 오버플로우 측면부(333)의 하단부에, 오버플로우 커버 접속부(34) 등을 통하여 오버플로우 배수관(32)을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오버플로우 배수관(32)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아울러, 오버플로우 배수관(32)의 접속이나 설치가 오버플로우부(3)의 하방에서 가능하므로, 세면기(1)를 카운터(100) 위에 설치하는 것과 같은 방법에서도 배관의 구조부가 외부로부터 시인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오버플로우구(31)나 오버플로우 커버부(33)를 세면기(1)의 긴 방향을 따르는 가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버플로우구(31)나 오버플로우 커버부(33)의 형상은 원형 등, 디자인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울부(2)를 카운터(100) 위에 돌출하도록 설치하는 하프 베슬식의 세면기(1)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울부(2)를, 저면이 카운터 위에 위치하도록 한 베슬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보울부(2)의 대부분이 카운터의 카운터면보다 아래로 들어가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1  세면기
2  보울부
21  배수구
31  오버플로우구
32  오버플로우 배수관(오버플로우 배수로)
33  오버플로우 커버부
100 카운터
331 오버플로우 상면부
332 리브부
333 오버플로우 측면부

Claims (7)

  1. 보울부와,
    보울부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와,
    보울부의 배후면에 형성된 오버플로우구와,
    일단측이 오버플로우구에 접속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오버플로우 배수로와,
    상기 보울부의 배후면으로부터 배후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로를 가리는 오버플로우 커버부를 구비하는 세면기로서,
    상기 오버플로우 커버부는, 세면기의 사용자가 상기 보울부의 앞측에 섰을 경우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시인하기 어렵도록 내리막 경사진 오버플로우 상면부를 갖는 세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상면부는, 수평면에 대하여 45° 이상의 각도로 경사지는 세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커버부는,
    상기 오버플로우 상면부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돌출(延出)되는 리브부와,
    상기 리브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오버플로우 측면부를 구비하는 세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의 하면에 카운터가 배치되며, 상기 리브부보다 상측이 카운터로부터 돌출되는 베슬식 세면기로서 이용되는 세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보울부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세면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로는, 1분간에 10리터 이상의 물을 배수할 수 있는 세면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스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되는 세면기.
KR1020207009312A 2017-09-12 2018-09-11 세면기 KR102387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5094A JP6490168B1 (ja) 2017-09-12 2017-09-12 洗面器
JPJP-P-2017-175094 2017-09-12
PCT/JP2018/033710 WO2019054389A1 (ja) 2017-09-12 2018-09-11 洗面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938A true KR20200044938A (ko) 2020-04-29
KR102387070B1 KR102387070B1 (ko) 2022-04-15

Family

ID=6572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312A KR102387070B1 (ko) 2017-09-12 2018-09-11 세면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90168B1 (ko)
KR (1) KR102387070B1 (ko)
CN (1) CN111344461B (ko)
TW (1) TWI679328B (ko)
WO (1) WO20190543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654A1 (en) 2019-03-18 2020-09-24 Ricoh Company, Ltd. Three-dimensional object forming apparatus, three-dimensional object forming method, and program
JP7391623B2 (ja) * 2019-11-19 2023-12-05 株式会社Lixil 洗面器
JP7317677B2 (ja) * 2019-11-19 2023-07-31 株式会社Lixil 洗面器及び洗面器の施工方法
JP7233630B1 (ja) * 2022-10-26 2023-03-06 Sanei株式会社 排水装置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1163U (ko) * 1990-09-28 1992-05-26
JP2006063515A (ja) * 2004-08-24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排水装置
JP2006124958A (ja) * 2004-10-26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洗面化粧台
DE102006004510A1 (de) * 2005-03-11 2006-09-21 Thomas Wimmer Schalenförmiges Sanitärgefäß aus Holz
JP2009155917A (ja) * 2007-12-27 2009-07-16 Toto Ltd オーバーフロー装置及び洗面器装置
JP2009273727A (ja) * 2008-05-15 2009-11-26 Toto Ltd 浴槽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7915U (ko) * 2010-02-03 2011-08-10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비누 수납케이스가 구비된 세면대
KR200457550Y1 (ko) * 2010-05-19 2011-12-23 (주)코트랩 싱크대용 오버플로우 장치
US8671473B1 (en) * 2010-09-14 2014-03-18 Michael Morrone Laundry tub with overflow drain
JP5603369B2 (ja) * 2012-04-18 2014-10-08 トクラス株式会社 人造大理石製シ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604137A (zh) * 2014-11-25 2016-05-25 无锡市伊瑞莱卫浴有限公司 带静电除污杀菌的多功能台盆
EP3199715A2 (de) * 2016-01-11 2017-08-02 Franke Technology and Trademark Ltd Überlauf für ein becken, insbesondere spülenbeck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5399Y2 (ko) * 1971-11-01 1976-09-01
CN2297962Y (zh) * 1997-06-09 1998-11-25 叶志勇 一种洗脸盆
TWI221167B (en) * 2000-06-27 2004-09-21 Toto Ltd Hand-wash basin and hand washing device with the hand-wash basin
CN2441875Y (zh) * 2000-09-09 2001-08-08 王新 节水型双排水孔洗面(菜)池
CN201614627U (zh) * 2010-03-10 2010-10-27 成都盛尔嘉科技有限公司 单水槽橱柜排水装置
CN201614626U (zh) * 2010-03-10 2010-10-27 成都盛尔嘉科技有限公司 一种单水槽厨柜排水装置
TW201221731A (en) * 2010-11-30 2012-06-01 Ehrt Kemikal Co Ltd Remote control type drain plug device
CN204781185U (zh) * 2015-07-09 2015-11-18 温州奇能科技有限公司 防溢水水槽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1163U (ko) * 1990-09-28 1992-05-26
JP2006063515A (ja) * 2004-08-24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排水装置
JP2006124958A (ja) * 2004-10-26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洗面化粧台
DE102006004510A1 (de) * 2005-03-11 2006-09-21 Thomas Wimmer Schalenförmiges Sanitärgefäß aus Holz
JP2009155917A (ja) * 2007-12-27 2009-07-16 Toto Ltd オーバーフロー装置及び洗面器装置
JP2009273727A (ja) * 2008-05-15 2009-11-26 Toto Ltd 浴槽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7915U (ko) * 2010-02-03 2011-08-10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비누 수납케이스가 구비된 세면대
KR200457550Y1 (ko) * 2010-05-19 2011-12-23 (주)코트랩 싱크대용 오버플로우 장치
US8671473B1 (en) * 2010-09-14 2014-03-18 Michael Morrone Laundry tub with overflow drain
JP5603369B2 (ja) * 2012-04-18 2014-10-08 トクラス株式会社 人造大理石製シ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604137A (zh) * 2014-11-25 2016-05-25 无锡市伊瑞莱卫浴有限公司 带静电除污杀菌的多功能台盆
EP3199715A2 (de) * 2016-01-11 2017-08-02 Franke Technology and Trademark Ltd Überlauf für ein becken, insbesondere spülenbec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20815A (zh) 2019-06-01
CN111344461A (zh) 2020-06-26
JP6490168B1 (ja) 2019-03-27
JP2019052422A (ja) 2019-04-04
KR102387070B1 (ko) 2022-04-15
CN111344461B (zh) 2021-06-08
TWI679328B (zh) 2019-12-11
WO2019054389A1 (ja)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4938A (ko) 세면기
JP2007198019A (ja) ボウルの構造
JP5106043B2 (ja) 浴室の洗い場用カウンター
JP2022157352A (ja) ボウル付き槽システム
KR102295514B1 (ko) 싱크대 물튀김 방지판
KR101475728B1 (ko) 샤워기 헤드 홀더
RU77302U1 (ru) Раковина лагуна
KR102070170B1 (ko)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JP2007198021A (ja) 排水枡のトラップ取付構造
JP7179258B2 (ja) ボウルユニット
KR102628507B1 (ko) 배수관 연결장치
CN215888449U (zh) 一种组装洗手台
JP2015186553A (ja) 洗い場付き浴槽及び浴室ユニット
JP7467079B2 (ja) 吐出部が設けられた洗面器及び洗面化粧台
JP7391623B2 (ja) 洗面器
JP7255776B2 (ja) 浴室トイレ
JP2001098604A (ja) 排水トラップ
JP2021025203A (ja) 排水装置
KR20240050856A (ko) 싱크대 물튀김 방지장치
KR20240078626A (ko) 싱크대 물튀김 방지장치
JP4495622B2 (ja) 洗濯機用防水パン
KR200169059Y1 (ko)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KR200358443Y1 (ko) 원피스형 세면기
JP2020036842A (ja) 洗面ボウル
KR101479155B1 (ko) 샤워기 헤드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