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170B1 -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 Google Patents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170B1
KR102070170B1 KR1020180055810A KR20180055810A KR102070170B1 KR 102070170 B1 KR102070170 B1 KR 102070170B1 KR 1020180055810 A KR1020180055810 A KR 1020180055810A KR 20180055810 A KR20180055810 A KR 20180055810A KR 102070170 B1 KR102070170 B1 KR 102070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flow hole
water
wash basin
basin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217A (ko
Inventor
손수용
Original Assignee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비앤코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17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을 보다 안전하게 씻을 수 있고, 오버플로우홀이 내부에 위치하여 보다 위생적이며, 세련된 외관을 형성하는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담는 세면기,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세면기의 바닥에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구 및 상기 세면기 바닥으로부터 돌출하되 높이는 상기 세면기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는, 배면은 상기 세면기 일면에 접하고 정면은 상기 배수구 뒤에 위치하는 수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Washbasin with hidden overflow hole.}
본 발명은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오버플로우홀이 내부에 숨겨진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세면대는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버플로우홀(overflow hole)을 구비한다. 오버플로우홀은 세면대에서 물이 담기는 부위인 세면볼의 정면에 위치하고, 넘치기 직전의 물을 배수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수전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세면대에서 세면기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세면대(10)는 물이 담기는 세면볼(11), 세면볼 하부의 배수구(12) 및 오버플로우홀(13)을 구비한다.
오버플로우홀(13)은 물의 배수 그 자체보다는 물이 세면대 밖으로 넘치는 것을 막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물이 나오는 수전부(20)에 가까운 곳인 세면볼(11)의 상단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버플로우홀의 위치는 사용자가 손을 씻는 과정에서 손톱이 오버플로우홀에 걸려 부러지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오버플로우홀의 세척은 그 위치 및 작은 크기로 인하여 어려운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오버플로우홀에는 곰팡이가 쉽게 생기고, 그에 따라 외관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위생적이고 안전한 세면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담는 세면기,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세면기의 바닥에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구 및 상기 세면기 바닥으로부터 돌출하되 높이는 상기 세면기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는, 배면은 상기 세면기 일면에 접하고 정면은 상기 배수구 뒤에 위치하는 수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를 제공한다.
상기 수전부는 비누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고, 물이 흘러서 들어가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수납홈 및 상기 개구부에서 먼 상기 수납홈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수전부 높이로 찬 물을 배출하는 오버플로우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홈의 바닥면은 상기 오버플로우홀을 향해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부는 양 측면이 상기 세면기와의 사이에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세면기와 이격되고, 유로가 상기 세면기와 상기 수전부 사이에서 형성되어, 상기 수전부 높이로 찬 물이 상기 유로로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까지 연결된 배수통로를 통해 상기 오버플로우홀로 흘러든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홈은 둘레에 단차부를 형성하되, 상기 단차부는 상기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바닥면보다 넓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에 형성된 단에는 비누를 담는 거치대가 안착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납홈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세면대는 사용자가 손을 보다 안전하게 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버플로우홀이 내부에 위치하여 보다 위생적이며, 세련된 외관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오버플로우홀이 구비된 세면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에서 세면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면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오버플로우홀로 배수되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1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110), 배수구(114), 수전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전부(120)는 수납홈(140), 오버플로우홀(1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홈(140)에는 거치대(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에서 세면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의 사시도이다.
세면기(110)는 급수부(200)가 공급하는 물을 담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공간이다. 상기 공간은 손을 씻거나 세면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배수구(114)는 상기 세면기(110)에 채워진 물을 배출하는 구멍이다.
상기 배수구(114)는 상기 세면기의 바닥(112)에서 세면대 아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는(114)세면대 아래에 구성된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세면기(11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수전부(120)에는 상기 세면기(1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00)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부(200)는 상기 수전부(120) 평면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상기 급수부(200)에서 상기 바닥(112)을 바라보도록 상기 세면기(110) 내부로 돌출한 물을 급수하는 물 공급부는 상기 배수구(114)에서 연직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부(200)는 상기 배수구(114)에서 바라볼 때, 바로 위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급수부(200)에서 나온 물은 바로 상기 배수구(114)에 떨어져 배수된다.
상기 수전부(120)의 높이는 상기 세면기 바닥(112)으로부터 상기 세면기의 상단(116)보다 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전부(120)는 상기 세면기 바닥(112)으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수전부(120)의 높이는 상기 세면기의 상단(116)보다 낮게 형성한다. 상기 수전부(120)의 배면은 상기 세면기(110) 일면에 접하고 정면은 상기 배수구 뒤에 위치한다.
상기 수전부(120)에는 오버플로우홀(150)을 포함하는 수납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140)은 상기 급수부(200)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좌측 혹은 우측에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140)은 보통 비누를 수납하는 공간으로써 함몰되어 있다.
상기 수납홈(140)은 물이 흘러서 들어갈 수 있는 개구부(142)와 상기 수전부(120) 높이로 찬 물을 배출하는 오버플로우홀(150)을 포함한다. 상기 오버플로우홀(150)은 상기 수납홈(14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그 위치는 상기 개구부(142)에서 먼 쪽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오버플로우홀(150)은 상기 개구부(142)에서 먼 곳에 위치하되, 상기 수납홈(140) 내부 가장자리, 혹은 모서리부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140)의 바닥면(144)은 상기 오버플로우홀(150)을 향해 경사져있다. 따라서 상기 (142)를 통해 흘러온 물은 상기 오버플로우홀(150)로 들어가 배출된다.
상기 오버플로우홀(150)의 경사는 상기 수납홈(140)의 물이 모두 상기 오버플로우홀(150)로 배출하도록 하여 상기 수납홈(140)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전부(120)는 양 측면이 상기 세면기(110)의 사이에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세면기(110)와 이격된다. 물은 상기 세면기 바닥(112)부터 채워 올라와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기 수납홈(140) 방향으로 흘러간다.
상기 수전부(120) 배면이 상기 세면기(110)와 접하는 배면에는 유로(160)를 형성한다. 상기 유로(160)는 상기 수전부(120) 높이로 찬 물이 흐르는 공간이다. 상기 세면기(110)와 상기 수전부(120) 측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채운 물은 상기 유로(160)를 흘러 상기 개구부(142)로 들어간다.
상기 유로(160)는 상기 수전부(120)에서 상기 수납홈(140)이 구성된 위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급수부(200)를 기준으로 상기 수납홈(140)이 우측에 위치하면 상기 유로(160)도 상기 수납홈(140)이 구성된 우측에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로(160)는 한 쪽에만 치우치지 않고, 상기 수전부(120) 좌/우 측면의 이격된 공간을 이을 수 있도록 이어져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개구부(142)는 상기 수전부(120)와 상기 세면기(110) 사이인 상기 유로(160)가 구비된 곳에 상기 유로(16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160)를 통해 흐르는 물은 자연스럽게 상기 (142)로 흘러들 수 있다.
상기 수전부(120) 높이로 찬 물은 상기 오버플로우홀(150)로 흘러들어 상기 수전부(12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114)까지 연결된 배수통로(15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수납홈(140)은 둘레에 단차부(130)를 형성한다. 상기 단차부(130)는 상기 바닥면(144)에서 상방으로 상기 바닥면(144)보다 넓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130)에 형성된 단(132)에는 탈착 가능한 거치대(300)가 안착할 수 있다.
비누는 상기 거치대(300)가 설치된 수납홈(140)에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수전부(120) 높이로 찬 물은 상기 오버플로우홀(150)로 흘러들어 간다. 상기 수납홈(140)에는 상기 거치대(300)가 상기 수납홈(140) 내부에 안착되어 있어 상기 거치대(300)에 수납하는 비누도 일정부분 상기 수납홈(140) 내부에 수납된다.
상기 수납홈(140)으로 흘러든 물이 상기 오버플로우홀(150)로 배수되기 전 상기 수납홈(140)을 채우고, 이 물에 의해 비눗물이 만들어져 상기 오버플로우홀(150)로 흘러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이 상기 오버플로우홀(150)로 배수되면서 만들어지는 비눗물은 별도의 청소가 없어도 상기 오버플로우홀(150)의 위생 상태를 좋게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면기의 단면도이다.
상기 수전부(120)의 높이는 상기 세면기(110)의 상단(116)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전부(120)와 상기 세면기(110) 사이에는 상기 수전부(120) 높이로 찬 물이 흐를 수 있는 유로(16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유로(160)는 함몰된 홈의 형상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오버플로우홀로 배수되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수전부(120) 높이만큼 찬 물은 유로(160)를 통해 개구부(142)로 들어간다. 상기 개구부(142)로 들어온 물은 수납홈(140)에 형성된 오버플로우홀(150)로 흘러 들어간다. 도 5에 도시된 화살표는 이런 물의 흐름을 보여준다.
물은 상기 수전부(120)와 세면기(110) 사이에 이격된 상기 수전부(120) 좌/우 양 쪽의 공간을 먼저 채우고, 유로(160)를 거쳐 상기 수납홈(140)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142)로 흐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110: 세면기 112: 바닥
114: 배수구 116: 상단
120: 수전부
130: 단차부 132: 단
140: 수납홈 142: 개구부
144: 바닥면
150: 오버플로우홀 152: 배수통로
160: 유로
200: 급수부
300: 거치대

Claims (6)

  1. 급수부가 공급하는 물을 담는 세면기(110);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세면기의 바닥(112)에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구(114); 및
    상기 세면기 바닥으로부터 돌출하되 높이는 상기 세면기의 상단(116)보다 낮게 형성되는, 배면은 상기 세면기 일면에 접하고 정면은 상기 배수구 뒤에 위치하는 수전부(120);
    를 포함하며,
    상기 수전부는,
    비누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고, 물이 흘러서 들어가는 개구부(142)를 구비하는 수납홈(140); 및
    상기 개구부에서 먼 상기 수납홈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수전부 높이로 찬 물을 배출하는 오버플로우홀(150); 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홈의 바닥면(144)은 상기 오버플로우홀을 향해 경사지되,
    상기 수전부는 양 측면이 상기 세면기와의 사이에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세면기와 이격되고, 유로(160)가 상기 세면기와 상기 수전부 사이에서 형성되어, 상기 수전부 높이로 찬 물이 상기 유로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까지 연결된 배수통로(152)를 통해 상기 오버플로우홀로 흘러든 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은 둘레에 단차부(130)를 형성하되, 상기 단차부는 상기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바닥면보다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 형성된 단(132)에는 비누를 담는 거치대(300)가 안착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납홈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KR1020180055810A 2018-05-16 2018-05-16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KR102070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810A KR102070170B1 (ko) 2018-05-16 2018-05-16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810A KR102070170B1 (ko) 2018-05-16 2018-05-16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17A KR20190131217A (ko) 2019-11-26
KR102070170B1 true KR102070170B1 (ko) 2020-01-28

Family

ID=6873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810A KR102070170B1 (ko) 2018-05-16 2018-05-16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1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715A (ja) * 2000-11-30 2002-06-11 Oorisu Kk 水受け部付きカウンター
KR200456807Y1 (ko) 2010-02-03 2011-11-21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비누 수납케이스가 구비된 세면대
JP2017023691A (ja) 2015-07-24 2017-02-02 Toto株式会社 衛生設備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409A (ja) * 1996-04-22 1997-11-04 Yoshimoto Sangyo Kk 洗面・洗髪及びキッチンカウンター
JP3059691B2 (ja) * 1997-07-28 2000-07-04 松下電工株式会社 洗面ボウル用石鹸置きトレイの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715A (ja) * 2000-11-30 2002-06-11 Oorisu Kk 水受け部付きカウンター
KR200456807Y1 (ko) 2010-02-03 2011-11-21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비누 수납케이스가 구비된 세면대
JP2017023691A (ja) 2015-07-24 2017-02-02 Toto株式会社 衛生設備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17A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7070B1 (ko) 세면기
KR101122788B1 (ko) 세탁기 블리치 박스의 오버 플로 방지 구조
KR102070170B1 (ko)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KR200464868Y1 (ko) 유동방지샤워기
ITBG20080007U1 (it) Lavello
KR100900693B1 (ko) 개선된 비누 받침대
JP4079629B2 (ja) 洗面化粧台の洗面器
KR200456807Y1 (ko) 비누 수납케이스가 구비된 세면대
JP2011208416A (ja) 水洗大便器
KR101468884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JP7432343B2 (ja) 洗面器
JPH10304986A (ja) 水 槽
KR20110007188U (ko) 비누수납홈이 일체로 구비된 세면대
KR200426042Y1 (ko) 샤워기헤드의 홀더를 구비한 대야
JP4218197B2 (ja) 手洗鉢
JP2002300982A (ja) 浴室ユニットのカウンタ
KR100881764B1 (ko) 양변기
KR200329292Y1 (ko) 싱크대용 수절판
JP2001098604A (ja) 排水トラップ
JPH0310210Y2 (ko)
KR200305342Y1 (ko) 세면대
JP2018514351A (ja) 埋め込まれた石鹸皿および統合された越流排出路を有する容器
JPH09135736A (ja) 洗浄槽を備えた流し台
JP2003166275A (ja) 洋風水洗式便器
JP2020036842A (ja) 洗面ボウ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