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631A - 약물 이송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약물 이송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631A
KR20200044631A KR1020180159260A KR20180159260A KR20200044631A KR 20200044631 A KR20200044631 A KR 20200044631A KR 1020180159260 A KR1020180159260 A KR 1020180159260A KR 20180159260 A KR20180159260 A KR 20180159260A KR 20200044631 A KR20200044631 A KR 20200044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delivery
delivery tube
housing
flow path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622B1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김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04664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04463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TW108137739A priority Critical patent/TWI712430B/zh
Priority to PCT/KR2019/013753 priority patent/WO2020080883A1/en
Publication of KR20200044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with capillaries for restricting fl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79Filtering means
    • A61J1/2082Filtering means for gas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38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hydrophilic or hydrophobic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38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hydrophilic or hydrophobic filters
    • A61M5/385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hydrophilic or hydrophobic filters using hydrophobic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2Prim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61M2005/1652Filter with duct, e.g. filtering element incorporated in a flow line, tube, du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61M2005/1657Filter with membrane, e.g. membrane, flat sheet type infusion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allowing gas passage, but preventing liquid passage, e.g. liquophobic, hydrophobic, water-repellent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solid matter, e.g. microaggreg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는, 상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모세 유로를 가지는 제1 약물 이송관; 상기 제1 모세 유로를 거친 상기 약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제1 모세 유로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모세 유로를 가지는 제2 약물 이송관; 및 상기 제1 약물 이송관 및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이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 약물 이송관과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사이에 끼임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 상에서 상기 제1 모세 유로, 상기 끼임 공간 및 상기 제2 모세 유로가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상기 끼임 공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 모세 유로의 단면적 및 상기 제2 모세 유로의 단면적보다 크다.

Description

약물 이송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DRUG DELIVERY TUBE DEVICE AND CHEMICAL FLUID INJEC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개시는 약액의 주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에게 약물을 공급하기 위해, 환자에게 액상의 약액(예를 들어, 주사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약액 주입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저장 공간 내에 있는 약액이 환자와 연결되는 통로(예를 들어, 관 및 주사 바늘의 내부 공간)를 통과하여, 환자의 체내로 유입된다.
의료 목적 상, 환자의 체내로 일시에 약액이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당 시간 동안 서서히 체내로 약물이 주입되도록 모세 유로를 형성하는 약물 이송관이 구성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약액이 약물 이송관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상기 약액 주입 장치의 상기 통로를 따라 흐르는 약액의 시간당 유량을 저감시킨다.
종래에는, 약액의 시간당 유량을 소정 수준으로 설정하기 위해 소정 길이의 모세 유로를 가진 약물 이송관을 연속된 형태(단일 약물 이송관)로 구현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단일 약물 이송관으로 구현할 경우, 약물 이송관으로 유입된 공기나 약물 이송관 내에서 발생된 공기가 약액의 유동을 설정한 수준보다 현저히 느려지게 하거나 약액을 유동하지 않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한다.
약물 이송관은 매우 좁은 단면적을 가진 모세 유로를 가지므로, 약물 이송관 내부에서는 유로 길이에 따른 관로 손실 수두가 크며, 관로 손실 수두에 따른 압력의 강하는 약액에 녹아있던 물질(예를 들어, 용존 산소 또는 용존 이산화탄소 등)이 약액 외부로 배출되기 쉽게 만든다. 종래기술의 단일 약물 이송관은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되어, 단일 약물 이송관의 하류측에서 관로 손실 수두(압력의 강하)에 따른 공기 방울(기포)의 발생이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약액의 유로가 형성된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는 상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모세 유로를 가지는 제1 약물 이송관; 상기 제1 모세 유로를 거친 상기 약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제1 모세 유로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모세 유로를 가지는 제2 약물 이송관; 및 상기 제1 약물 이송관 및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이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 약물 이송관과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사이에 끼임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 상에서 상기 제1 모세 유로, 상기 끼임 공간 및 상기 제2 모세 유로가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상기 끼임 공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 모세 유로의 단면적 및 상기 제2 모세 유로의 단면적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약물 이송관의 하류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상류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이 상기 끼임 공간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끼임 공간이 배치되는 약물 이송관 하우징; 상기 제1 약물 이송관의 상류부가 수용되는 상류 하우징; 및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하류부가 수용되는 하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끼임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약물 이송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제1 약물 이송관 하우징; 및 상기 끼임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약물 이송관 및 상기 제2 약물 이송관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1 약물 이송관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약물 이송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임 공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 약물 이송관의 하류부의 단면적 및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상류부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끼임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끼임 공간 내의 공기 및 약액 중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에어 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세 유로의 내부로 상기 약액을 유입시키는 유입 포트가 상기 끼임 공간의 하류측 말단보다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세 유로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를 흐르는 약액이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유입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약물 이송관의 상류측 말단과 상기 유입 필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약물 이송관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끼여 배치되는 제1 실 부재; 및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끼여 배치되는 제2 실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세 유로를 거친 상기 약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제2 모세 유로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3 모세 유로를 가지는 제3 약물 이송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제2 약물 이송관과 상기 제3 약물 이송관의 사이에 추가 끼임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 상에서 상기 제2 모세 유로, 상기 추가 끼임 공간 및 상기 제3 모세 유로가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끼임 공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2 모세 유로의 단면적 및 상기 제3 모세 유로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약액 주입 장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는, 약액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펌핑 모듈; 상기 펌핑 모듈에서의 가압에 따라 상기 펌핑 모듈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약액이 흐르도록 구성되는 연장튜브; 및 상기 연장튜브에 연결되는 약액의 유로가 형성된 약물 이송관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약물 이송관 장치는, 상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모세 유로를 가지는 제1 약물 이송관; 상기 제1 모세 유로를 거친 상기 약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제1 모세 유로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모세 유로를 가지는 제2 약물 이송관; 및 상기 제1 약물 이송관 및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이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제1 약물 이송관과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사이에 끼임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 상에서 상기 제1 모세 유로, 상기 끼임 공간 및 상기 제2 모세 유로가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상기 끼임 공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 모세 유로의 단면적 및 상기 제2 모세 유로의 단면적보다 크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약물 이송관 내의 공기 방울에 의해 약액의 유동이 멈추거나 유속이 기설정된 수준보다 현저히 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유속을 설정하기 위해 각각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진 복수의 약물 이송관을 구현함으로써, 공기 방울이 약물 이송관을 통과하는 것이 원활해지고, 각각의 약물 이송관에서의 손실 수두를 작게 하여 약물 이송관 내부를 통과하는 약액으로부터 공기의 발생을 막거나 발생되는 공기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약물 이송관으로 유입되거나 약물 이송관 내부에서 발생한 공기를 포집하거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의 전체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2개의 모세 유로(820p1, 820p2) 사이의 끼임 공간(820s)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단면도이다.
도 6은 모세 유로(820p1)의 입구가 공기 방울(Ar)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변형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280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라인 S1-S1'를 따라 약물 이송관 장치(2800)를 자른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의 변형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3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4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약물 이송관 장치(4800)의 변형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5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6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제7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7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제8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8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23은 제9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9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10800)의 종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류" 및 "하류"는, 펌핑 모듈(100)이 약액을 가압할 때 약액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화살표 F2, F3 및 도 4의 화살표 F4의 방향이 하류 방향으로 정의되고, 상기 하류 방향의 반대 방향이 상류 방향으로 정의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약액"은 치료용 물질이 포함된 액체뿐 아니라, 치료용 물질을 보조하거나 치료용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액체, 환자에게 투입될 수 있는 액체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후술하는 프라이밍용 액체는 이러한 약액 중 하나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의 전체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를 이용하여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하는 과정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프라이밍(Priming) 단계 및 약액 주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상기 프라이밍 단계에서, 프라이밍용 액체가 연장튜브(300)를 따라 흘러가도록 한다. 연장튜브(300)를 따라 흐르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약물 이송관 장치(800) 내로 유입된다. 약액 주입 장치(1)는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하류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엔드 캡(70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튜브(300)의 내부의 공기는 엔드 캡(70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튜브(300) 및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내부에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진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치료용 물질이 포함된 액체 또는 식염수 등의 환자에게 투입될 수 있는 액체일 수 있다.
엔드 캡(700)은 약물 이송관 장치(800)를 거친 공기 및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엔드 캡(700)은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되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엔드 캡(700)은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통과를 막되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벤트 필터(710)를 포함한다. 벤트 필터(710)는 소수성 필터를 포함한다. 엔드 캡(700)은 벤트 필터(710)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스펀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엔드 캡(700)은 벤트 필터(710)를 내부에 수용하는 엔드 캡 케이싱(730)을 포함한다. 엔드 캡 케이싱(730)은 스펀지(720)를 내부에 수용한다. 엔드 캡 케이싱(730)은 기체가 통과하는 벤트 홀(730a)을 형성한다. 엔드 캡(700)은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하류 연결부(815a)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엔드 캡 결합부(740)를 포함한다. 도 1의 화살표 E2는 엔드 캡 결합부(740)의 하류 연결부(815a)에 대한 결합 및 분리 방향을 도시한다.
엔드 캡(700)에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지면, 엔드 캡(700)을 약물 이송관 장치(800)로부터 분리시키고, 약물 이송관 장치(800)와 환자 연결 유닛(600, 600')을 연결할 수 있다.
환자 연결 유닛(600, 600')은 주사 바늘(610)이나 카테터(cathe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연결 유닛(600, 600')은 주사 바늘(610) 등 환자의 체내로 인입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환자 연결 유닛(600, 600')은, '주사 바늘(610) 등 환자의 체내로 인입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인입 부품'과 '나머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 부품과 상기 나머지 부품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입 부품은 환자와 연결되어 있되 상기 나머지 부품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나머지 부품을 약물 이송관 장치(800)와 결합시킨 후, 상기 인입 부품과 상기 나머지 부품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약물 이송관 장치(800)를 거친 액체는 순차적으로 상기 나머지 부품과 상기 인입 부품을 거쳐, 환자의 체내로 유입될 수 있다.
환자 연결 유닛(600, 600')은 주사 바늘(610)을 지지하는 주사 지지부(620)를 포함한다. 환자 연결 유닛(600, 600')은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하류 연결부(815a)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유닛 결합부(630)를 포함한다. 도 1의 화살표 E3은 유닛 결합부(630)의 하류 연결부(815a)에 대한 결합 및 분리 방향을 도시한다.
일 예로, 환자 연결 유닛(600)은 주사 바늘(610), 주사 지지부(620) 및 유닛 결합부(63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환자 연결 유닛(600')은 유닛 결합부(630)의 하류 측에 연결되는 환자 연결관 고정부(650')를 더 포함한다. 환자 연결 유닛(600')은 환자 연결관 고정부(650')와 주사 지지부(620)를 연결하는 환자 연결관(640')을 더 포함한다. 환자 연결관(640')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환자 연결 유닛(600')은 주사 바늘(610), 주사 지지부(620), 환자 연결관(640'), 환자 연결관 고정부(650') 및 유닛 결합부(63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약액 주입 단계에서, 펌핑 모듈(100)에서의 가압에 따라 약액이 환자의 체내로 유입된다. 약액 주입 단계에서의 약액이란 치료용 물질이 포함된 액체이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치료용 물질이 포함된 액체가 아니고 식염수 등인 경우에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먼저 환자의 체내로 유입되고,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뒤를 이어 흘러가는 치료용 물질이 포함된 액체가 환자의 체내로 유입될 수 있다.
펌핑 모듈(100)은 약액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챔버(110)를 포함한다. 챔버(110)는 가압 유닛(120)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 공간에 약액이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공간에 일시적으로 식염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챔버(110)에는, 챔버(110) 내부의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 포트부(111)가 형성된다.
펌핑 모듈(100)은 약액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펌핑 모듈(100)은 챔버(110) 내부의 액체를 가압하는 가압 유닛(120)을 포함한다. 가압 유닛(120)은, 소정의 가압 방향(Ap1)으로 이동함으로써, 챔버(110) 내부의 액체를 가압할 수 있다. 챔버(110) 내부로 액체가 충전되는 중일 때, 가압 유닛(120)은 상기 가압 방향(Ap1)의 반대 방향(Ap2)으로 이동한다. 도 1에는, 120A를 참고하여, 가압 유닛(120)이 상기 반대 방향(Ap2)으로 이동한 상태의 위치가 도시된다.
펌핑 모듈(100)은 가압 유닛(120)이 가압 방향(Ap1)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가압 동작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압 동작부(130)는, 가스 활성(gas activation)에 의한 부피 팽창을 이용하여 챔버(110) 내의 액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압 동작부(13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힘으로 가압 유닛(120)을 상기 가압 방향(Ap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예로, 가압 유닛(120)은, 벌룬(balloon) 등의 탄성체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액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유닛(120)은 상기 벌룬 내의 액체가 가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약액 주입 밸브(200)는 챔버(110) 내로 액체를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액체가 외부로부터 약액 주입 밸브(200)를 통해 연장튜브(300) 또는 챔버(110)로 유입될 수 있다. 약액 주입 밸브(200)는 연장튜브(300)에 연결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약액 주입 밸브(200)는 챔버(1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약액 주입 밸브(200)는 연장튜브(300)의 제1 연결부(310)의 하류 측 말단에 연결되는 제1 연장부(210)와, 연장튜브(300)의 제2 연결부(320)의 상류 측 말단에 연결되는 제2 연장부(220)를 포함한다. 약액 주입 밸브(200)는 외부로부터 액체가 유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유입부(230)와, 유입부(2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유입 포트 개폐부(240)를 포함한다. 도 1의 화살표 E1은, 유입 포트 개폐부(240)의 유입부(230)에 대한 결합 및 분리 방향을 도시한다.
연장튜브(300)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연장튜브(300)는 펌핑 모듈(100)로부터 약물 이송관 장치(800)까지 약액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연장튜브(300)는 펌핑 모듈(100)에서의 가압에 따라 펌핑 모듈(100)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이 흐르도록 구성된다. 연장튜브(300)의 상류측 말단은 펌핑 모듈(100)에 연결된다. 연장튜브(300)는 펌핑 모듈(100)의 약액 주입 배출 포트부(111)에 연결되는 상류 연결부(350)를 포함한다.
연장튜브(300)의 하류측 말단은 약물 이송관 장치(800)에 연결된다. 연장튜브(300)를 거친 액체는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유입 포트를 통해 약물 이송관 장치(800) 내부로 유입된다.
연장튜브(300)는, 상류 연결부(350)와 약액 주입 밸브(200)의 제1 연장부(21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310)를 포함한다. 연장튜브(300)는, 약액 주입 밸브(200)의 제2 연장부(220)와 외부 필터 모듈(500)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연장튜브(300)는, 외부 필터 모듈(500)과 연장튜브(300)의 하류측 말단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330)를 포함한다.
약액 주입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 개폐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 개폐 모듈(400)은 연장튜브(300)의 외부를 눌러주어 연장튜브(300) 중 일 지점의 액체의 흐름을 막아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 개폐 모듈(400)은 제1 연결부(310)의 일 지점(B1)의 개폐 여부를 변경할 수 있는 제1 개폐 모듈(410)과, 제2 연결부(320)의 일 지점(B2)의 개폐 여부를 변경할 수 있는 제2 개폐 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관 개폐 모듈(400)은 클램프(clamp)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는 연장튜브(300) 상에 배치되는 외부 필터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필터 모듈(500)은 연장튜브(300)와 연결되는 필터 케이싱(510)과, 필터 케이싱(510) 내에 배치되는 필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필터 모듈(500)의 필터(520)로서, 불순물을 걸러주는 파티클(particle) 필터, 공기 방울을 걸러주는 에어 필터, 또는 이들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외부 필터 모듈(500)에는 상기 에어 필터에서 걸리진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에어 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 및 약액 주입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에서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로서 약액이 아닌 식염수 등을 이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에서, 유입 포트 개폐부(240)를 유입부(230)로부터 분리하고, 제1 연결관 개폐 모듈(410)로 제1 연결부(310)를 차단하며(B1 참고), 제1 연결부(310)를 제외한 연장튜브(300)의 나머지 부분은 개방한다. 화살표 F1 및 F3을 참고하여, 식염수 등의 프라이밍용 액체는 유입부(230), 제2 연장부(220), 제2 연결부(320), 제3 연결부(330) 및 약물 이송관 장치(800)를 순차적으로 흐름으로써, 연장튜브(300)의 내부 및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내부가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로 채워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 후,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단계가 진행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단계에서, 유입 포트 개폐부(240)를 유입부(230)로부터 분리하고, 제2 연결관 개폐 모듈(420)로 제2 연결부(320)를 차단하며(B2 참고), 제1 연결관 개폐 모듈(410)을 제1 연결부(310)로부터 분리하여 제1 연결부(310)를 개방한다. 화살표 F0을 참고하여, 약액이 약액 주입 밸브(200) 및 제1 연결부(310)를 거쳐 챔버(110) 내로 유입되면서, 가압 유닛(120)은 상기 방향(Ap2)으로 이동한다. 그 후, 유입 포트 개폐부(240)를 유입부(230)에 결합시키고, 제2 연결관 개폐 모듈(420)을 제2 연결부(320)로부터 분리하여 연장튜브(300)를 개방 상태로 만든다. 화살표 F2 및 F3을 참고하여, 그 후 가압 유닛(120)을 상기 가압 방향(Ap1)으로 이동시켜, 약액이 연장튜브(300) 및 약물 이송관 장치(8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 및 약액 주입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에서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로서 약액을 이용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에서, 챔버(110) 내에 약액을 채우고, 엔드 캡(700)을 약물 이송관 장치(800)와 연결하고, 유입 포트 개폐부(240)로 유입부(230)를 차단하며, 연결관 개폐 모듈(400)을 연장튜브(300)로부터 분리하여 연장튜브(300)를 개방 상태로 만든다. 화살표 F2 및 F3을 참고하여, 그 후 가압 유닛(120)을 상기 가압 방향(Ap1)으로 이동시켜, 프라이밍용 액체인 약액이 연장튜브(300) 및 약물 이송관 장치(800)를 순차적으로 흐름으로써, 연장튜브(300) 및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내부가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로 채워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 후,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단계가 진행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단계에서, 화살표 F2 및 F3을 참고하여, 가압 유닛(120)을 상기 가압 방향(Ap1)으로 더 이동시켜, 약액이 연장튜브(300) 및 약물 이송관 장치(8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8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약물 이송관 장치(800)에는 약액의 유로(P)가 형성된다. 약물 이송관 장치(800)는 연장튜브(300)에 연결된다. 약물 이송관 장치(800)는 유로(P)의 일부를 구성하는 모세 유로(820p)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약물 이송관(8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약물 이송관 장치(800)는 2개의 약물 이송관(821, 822)만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될 필요없이 약물 이송관 장치는 3개 이상의 약물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장치(800)는 복수의 약물 이송관(820)이 결합되는 하우징(810)을 포함한다.
약물 이송관(820)은 유량 제어 부품(flow restricting component)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약물 이송관(820)은 유로(P)를 흐르는 약액의 시간당 유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약물 이송관(820)은 모세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약물 이송관(820)은 고분자 마이크로튜브(microtube)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약물 이송관(820)은 모세 유로를 가지는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약물 이송관(820)은 유로(P)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모세 유로(820p1)를 가지는 제1 약물 이송관(821)과, 유로(P)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모세 유로(820p2)를 가지는 제2 약물 이송관(822)을 포함한다. 약물 이송관 장치(800)는 제1 모세 유로(820p1) 및 제2 모세 유로(820p2)를 따라 약액이 흐르도록 구성된다.
약물 이송관 장치(800)에는 상하류 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약물 이송관(821, 822) 사이에 끼임 공간(820s)이 형성된다. 끼임 공간(820s)의 유로 단면적은 모세 유로(820p)의 단면적보다 크다. 즉, 끼임 공간(820s)의 유로 단면적은 제1 모세 유로(820p1)의 단면적 및 제2 모세 유로(820p2)의 단면적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모세 유로(820p1)의 단면적 및 제2 모세 유로(820p2)의 단면적은 동일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유로 단면적"이란 상하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로를 자른 단면적을 의미한다.
끼임 공간(820s)의 유로 단면이 원형인 경우, 끼임 공간(820s)의 유로 직경은 모세 유로(820p)의 직경보다 크다. 예를 들어, 모세 유로(820p)는 약 0.04 내지 0.08 mm의 직경을 가짐으로써 시간당 약액의 유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끼임 공간(820s)의 직경은 모세 유로(820p) 직경은 모세 유로(820p)의 직경의 약 10 내지 20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연장튜브(300)의 내경은 모세 유로(820p)의 직경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튜브(300)의 내경은 약 0.5 내지 3 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끼임 공간(820s)의 유로 길이(L2)는 제1 모세 유로(820p1)의 길이(L1) 및 제2 모세 유로(820p2)의 길이(L3)를 합한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끼임 공간(820s)의 유로 길이(L2)는 제1 모세 유로(820p1)의 길이(L1)보다 작고, 끼임 공간(820s)의 유로 길이(L2)는 제2 모세 유로(820p2)의 길이(L3)보다 작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유로 길이"란 상하류 방향으로 측정된 유로의 길이를 의미한다.
제1 약물 이송관(821)은 제1 모세 유로(820p1)의 상류 부분이 형성된 상류부(821a)와, 제1 모세 유로(820p1)의 하류 부분이 형성된 하류부(821c)를 포함한다. 제1 약물 이송관(821)은 상류부(821a)와 하류부(821c)를 연결하며 연장된 중간부(821b)를 포함한다.
제1 약물 이송관(821)의 하류부(821c)는 하우징(810)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제1 약물 이송관(821)의 하류부(821c)는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상류부(821a)는 상류 하우징(813)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약물 이송관(821)은 제1 실 부재(831)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상류측 말단(821d)에 제1 모세 유로(820p1)의 입구가 형성된다.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상류측 말단(821d)은 스페이서(840)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약물 이송관(821)의 하류측 말단(821e)에 제1 모세 유로(820p1)의 출구가 형성된다. 제1 약물 이송관(821)의 하류측 말단(821e)은 끼임 공간(820s)의 경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은 제1 모세 유로(820p1)를 거친 약액이 유입되도록 제1 모세 유로(820p1)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모세 유로(820p2)를 가진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은 제2 모세 유로(820p2)의 상류 부분이 형성된 상류부(822a)와, 제2 모세 유로(820p2)의 하류 부분이 형성된 하류부(822c)를 포함한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은 상류부(822a)와 하류부(822c)를 연결하며 연장된 중간부(822b)를 포함한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상류부(822a)는 하우징(810)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상류부(822a)는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제2 약물 이송관(822)의 하류부(822c)는 하류 하우징(815)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은 제2 실 부재(832)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상류측 말단(822d)에 제2 모세 유로(820p2)의 입구가 형성된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상류측 말단(822d)은 끼임 공간(820s)의 경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의 하류측 말단(822e)에 제2 모세 유로(820p2)의 출구가 형성된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의 하류측 말단(822e)은 하우징(810)의 내측면과 상하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의 하류측 말단(822e)은 후술할 하류 공간(820t)의 경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끼임 공간(820s)은 하우징(810)의 내부에서 제1 약물 이송관(821)과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사이에 형성된다. 끼임 공간(820s)은 제1 모세 유로(820p1)를 거친 약액이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끼임 공간(820s)은 내부의 약액이 제2 모세 유로(820p2)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810)의 내측면은 끼임 공간(820s)의 경계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약물 이송관(821)은 끼임 공간(820s)의 경계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은 끼임 공간(820s)의 경계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끼임 공간(820s)의 경계는 상류측 말단(820s1)과 하류측 말단(820s2)을 포함할 수 있다. 끼임 공간(820s)의 상류측 말단(820s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약물 이송관(821)의 하류측 말단(822e)이 형성할 수 있다. 끼임 공간(820s)의 하류측 말단(820s2)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상류측 말단(822d)이 형성할 수 있다.
끼임 공간(820s)의 경계는 상하류 방향을 중심으로 한 둘레면인 반경측 말단(820s3)을 포함할 수 있다. 끼임 공간(820s)의 반경측 말단(820s3)은 하우징(810)의 내측면이 형성할 수 있다.
끼임 공간(820s)의 반경측 말단(820s3)과 상류측 말단(820s1) 사이에 미세한 틈이 형성되나, 끼임 공간(820s)의 반경측 말단(820s3)과 상류측 말단(820s1)은 서로 만나 상류측 가장자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끼임 공간(820s)의 반경측 말단(820s3)과 하류측 말단(820s2) 사이에 미세한 틈이 형성되나, 끼임 공간(820s)의 반경측 말단(820s3)과 하류측 말단(820s2)이 만나는 하류측 가장자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약액의 유로(P)는 연장튜브(300)를 거친 약액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연장튜브(300)에 연결된다. 유로(P)는 제1 모세 유로(820p1), 끼임 공간(820s) 및 제2 모세 유로를 포함한다. 유로(P) 상에서 제1 모세 유로(820p1), 끼임 공간(820s) 및 제2 모세 유로(820p2)가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유로(P)는 유로(P) 상에서 제1 모세 유로(820p1)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상류 유로(P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류 유로(P1)는 제1 모세 유로(820p1)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진다. 하우징(810)이 상류 유로(P1)를 형성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유입 포트(O1)는 상류 유로(P1)의 입구이다. 상류 유로(P1)는 유입 포트(O2)와 제1 모세 유로(820p1)를 연결할 수 있다. 상류 유로(P1) 상에 후술할 유입 필터(850)가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할 스페이서(840)의 홀은 상류 유로(P1)의 하류측 말단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유로(P)는 유로(P) 상에서 상기 제2 모세 유로(820p2)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하류 유로(P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류 유로(P2)는 제2 모세 유로(820p2)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진다. 하우징(810)이 하류 유로(P2)를 형성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유출 포트(O2)는 하류 유로(P2)의 출구이다. 하류 유로(P2)는 제2 모세 유로(820p2)와 유출 포트(O2)를 연결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P) 상에서 제2 모세 유로(820p2)와 하류 유로(P2)의 사이에 하류 공간(820t)이 형성된다. 하류 공간(820t)은 제2 모세 유로(820p2)의 단면적보다 큰 유로 단면적을 가진다. 하류 공간(820t)은 하류 유로(P2)의 단면적보다 큰 유로 단면적을 가진다.
하우징(810)에 제1 약물 이송관(821) 및 제2 약물 이송관(822)이 결합된다. 하우징(810)의 내부에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일 예로, 도 4의 실시예에서 하우징(810)의 내부에 제1 약물 이송관(821) 및 제2 약물 이송관(822)이 배치된다. 다른 예로, 후술할 도 19의 실시예에서 하우징(811', 813', 815')의 내부에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일부 및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일부가 배치된다.
하우징(810)은 약액이 유로(P) 내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상류측 말단의 유입 포트(O1)를 포함한다. 하우징(810)은 약액이 유로(P)로부터 유출되도록 구성된 하류측 말단의 유출 포트(O2)를 포함한다.
하우징(810)은 유로(P)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810)의 내측면이 끼임 공간(820s)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하우징(810)의 내측면이 상류 유로(P1)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810)의 내측면이 하류 유로(P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810)의 내측면이 하류 공간(820t)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810)은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을 포함한다.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의 내부에 끼임 공간(820s)이 배치된다. 하우징(810)은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의 상류측 부분에 결합되는 상류 하우징(81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810)은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의 하류측 부분에 결합되는 하류 하우징(815)을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은 상류 하우징(813)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81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811a)는 후크 형상일 수 있다. 제1 결합부(811a)는 상류 하우징(813)의 제1 결합 대응부(813a)에 걸림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은 하류 하우징(815)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8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811b)는 후크 형상일 수 있다. 제2 결합부(811b)는 하류 하우징(815)의 제2 결합 대응부(815b)에 걸림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은 상류 하우징(813)의 하류측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안착부(811c)를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은 하류 하우징(815)의 상류측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안착부(811d)를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은 제1 안착부(811c)와 제2 안착부(811d)의 사이에 배치되는 끼임부(811e)를 포함할 수 있다. 끼임부(811e)의 내부에 끼임 공간(820s)이 배치된다. 끼임부(811e)에 제1 약물 이송관(821)의 하류측 말단(821e)이 삽입된다. 끼임부(811e)에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상류측 말단(821d)이 삽입된다.
상류 하우징(813)은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류 하우징(813)에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상류부(821a)가 수용된다. 상류 하우징(813)은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813c)를 포함한다. 상류 하우징(813)에 유입 포트(O1)가 형성된다.
하류 하우징(815)은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하류 하우징(815)에 제2 약물 이송관(822)의 하류부(822c)가 수용된다. 하류 하우징(815)은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815c)를 포함한다. 하류 하우징(815)에 유출 포트(O2)가 형성된다. 하류 하우징(815)에 상기 환자 연결 모듈과 연결되는 하류 연결부(815a)가 형성된다.
약물 이송관 장치(800)는 약물 이송관(820)의 외측면과 하우징(810)의 내측면 사이에 끼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 부재(8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 부재(830)는 약액이 약물 이송관(820)의 외측면 및 하우징(810)의 내측면 사이로 흘러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실 부재(830)는 약물 이송관(82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실 부재(830)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 부재(830)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 부재(830)는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외측면과 하우징(810)의 내측면 사이에 끼여 배치되는 제1 실 부재(831)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 부재(830)는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외측면과 하우징(810)의 내측면 사이에 끼여 배치되는 제2 실 부재(832)를 포함한다.
약물 이송관 장치(800)는 약물 이송관(820)의 상류측 말단에 접촉하는 스페이서(840)를 포함한다. 스페이서(840)는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상류측 말단(820s1)에 접촉할 수 있다. 스페이서(840)에는 중앙을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류 유로(P1)의 일부를 구성한다. 스페이서(840)의 상기 홀을 거친 약액이 모세 유로(820p)로 유입된다.
스페이서(840)는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상류측 말단(820s1)과 유입 필터(850)의 사이에 배치되어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840)는 유입 필터(850)가 제1 모세 유로(820p1)의 입구를 막지 않도록 유입 필터(850)를 제1 모세 유로(820p1)의 입구로부터 이격시킨다.
약물 이송관 장치(800)는 모세 유로(820p)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유입 필터(8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필터(850)는 제1 모세 유로(820p1)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 필터(850)는 유로(P)를 흐르는 약액이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유입 필터(850)는 상류 유로(P1)를 거친 상대적으로 큰 공기 방울이 제1 모세 유로(820p1)의 입구를 막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5는 2개의 모세 유로(820p1, 820p2) 사이의 끼임 공간(820s)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챔버(110) 내부 및 연장튜브(300) 내에는 공기가 있을 수 있다(도 1 참고). 예를 들어, 상기 프라이밍 단계에서 챔버(110) 내부 및 연장튜브(300) 내부에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공기가 잔존할 수 있다.
또한, 약액 주입 장치(1)의 챔버(110) 내부의 약액에는 공기가 용해되어 있다. 예를 들어, 챔버(110) 내부에 약액을 충전하면서 유입된 공기는 대기압보다 큰 압력 상태의 챔버(110) 내부에서 약액에 일정량 용해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헨리의 법칙에 따른 수학식 c1/p1=c2/p2으로 약액에 용해된 공기의 양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여기서, c1 및 c2는 약액에 용해된 기체의 몰농도(mol/L)이며, p1 및 p2는 기체의 분압이다. c1 및 p1은 어느 한 상태에서의 값이고, c2 및 p2는 다른 한 상태에서의 값이다.
약액 유동 시에 상대적으로 챔버(110)보다 유로 단면적(직경)이 작은 연장튜브(300)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유속이 높아지므로, 잘 알려진 베르누이 방정식에 따라 압력은 낮아진다. 연장튜브(300) 내에서 압력이 낮아지므로, 상기 헨리의 법칙에 따라 연장튜브(300) 내에서 약액 내 용해되어 있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는 공기 방울의 형태로 연장튜브(300) 내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설령 외부 필터 모듈(500)이 있더라도, 외부 필터 모듈(500)에서 완전히 걸러지지 않은 공기 또는 외부 필터 모듈(500)의 하류측에서 발생된 공기가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내부까지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큰 유로 단면적을 가진 연장튜브(300)의 유로 및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상류 유로(P1)를 흐르던 약액이 모세 유로(820p) 내부로 유입되면, 상대적으로 유속이 높아지므로, 잘 알려진 베르누이 방정식에 따라 압력은 낮아진다. 모세 유로(820p) 내에서 압력이 낮아지므로, 상기 헨리의 법칙에 따라 모세 유로(820p) 내에서 약액 내의 용존 물질(예를 들어, 용존 산소 또는 용존 이산화탄소 등)이 공기로 배출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된다.
상술한 상황에서, 약액은 모세 유로(820p)를 따라 흐르는 중에도 지속적으로 압력이 낮아짐으로써, 어느 한 모세 유로 내에서 하류측으로 갈수록 약액 내의 용존 물질이 공기로 배출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약물 이송관의 하류측으로 갈수록 내부 압력은 더 낮아지고 약액으로부터 더 많은 양의 공기가 방출되어 액체 유동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는, 모세 유로(820p)의 단면적은 매우 작아서 유로 길이 당 손실 수두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이 같은 모세 유로 내부의 압력 저하는 다음의 수정된 베르누이 방정식을 통해 이론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로서 다음의 식에 따른 가정된 상황을 설정한다.
Figure pat00001
, Z1=Z2 , D1=D3, A1=A3, A2=400A1
Figure pat00002
은 제1 모세 유로(820p1) 내의 약액 비중이고,
Figure pat00003
는 끼임 공간(820s)에서의 약액 비중으로서, 비중은 어디에서나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여 간단히
Figure pat00004
로 표기할 수 있다. ρ는 약액의 밀도이다. Z1은 제1 모세 유로(820p1)의 높이이고, Z2는 끼임 공간(820s)의 높이이고, Z3은 제2 모세 유로(820p2)의 높이로서, 높이는 변동이 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같은 값으로 가정할 수 있다.
D1은 제1 모세 유로(820p1)의 관경이고, D2는 끼임 공간(820s)의 관경이며, D3은 제2 모세 유로(820p2)의 관경이다. 또한, A1은 제1 모세 유로(820p1)의 단면적이고, A2는 끼임 공간(820s)의 유로 단면적이며, A3은 제2 모세 유로(820p2)의 단면적이다. 예를 들어, D2가 1mm이고 D1이 0.05mm일 때, D2=20
Figure pat00005
D1 및 A2=400
Figure pat00006
A1이 성립된다.
Q는 단위시간당 유량체적이고, V는 유속일 때, Q=AV이 성립한다. 단위시간당 유량체적은 제1 모세 유로(820p1), 끼임 공간(820s) 및 제2 모세 유로(820p2)에서 모두 동일하므로, 위의 A2=400
Figure pat00007
A1를 기초로, 다음의 식이 만족된다.
V1=400
Figure pat00008
V2
V2=V1/400
또한,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1 모세 유로(820p1) 및 끼임 공간(820s)의 상태를 근거로 다음의 식을 유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9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이다. 또한, hl은 관로 손실수두로서, hl=hf+hb 이 성립할 수 있다. 여기서, hf는 관로 내 마찰에 의한 손실수두이고, hb는 관로 내 마찰을 제외한 다른 요소에 의한 손실수두이다. 또한, P1은 제1 모세 유로(820p1) 내의 유체 압력이고, P2는 끼임 공간(820s) 내의 유체 압력이다. 위의 식에 Z1=Z2를 대입하면 다음의 식으로 정리된다.
Figure pat00010
위의 식에 V1=400
Figure pat00011
V2를 대입하면 다음의 식으로 정리된다.
Figure pat00012
위의 식을 정리하면 다음의 수학식 1이 도출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13
만약 같은 제1 모세 유로(820p1) 내에서 상류 지점의 압력을 P11로 정의하고 하류 지점의 압력을 P12로 정의하며, 상류 지점에서 하류 지점까지의 수두손실을 hlp로 정의하면 다음의 식으로 정리된다.
Figure pat00014
위의 식을 정리하면 다음의 수학식 2가 도출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15
위의 수학식 2를 통해, 하나의 모세 유로에서는 액체가 유동할 때 손실 수두(hlp)가 발생하며, 발생된 손실 수두(hlp)만큼 압력의 하락(P11>P12)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같은 관로 내에서는 하류측으로 갈수록, 약액 내 용존 물질이 공기로 배출되기 쉬워진다는 것이 확인된다.
약액의 시간당 유량을 소정 수준으로 설정하기 위해 소정 길이의 오직 한 개의 약물 이송관만을 사용하는 실시예에서는, 한 개뿐인 모세 유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바, 모세 유로의 상류측 말단에 비해 하류 부분의 손실 수두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고, 모세 유로의 하류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발생하여 모세 유로를 막을 확률이 커지게 된다.
반면,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약액의 시간당 유량을 소정 수준으로 설정하기 위해 소정 길이의 약물 이송관(820)을 복수 개로 분할하는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모세 유로(820p1)를 통과하는 액체의 손실 수두를 줄임으로써, 모세 유로(820p1) 내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공기가 발생하여, 공기 방울(Ar1)이 모세 유로를 막을 확률이 현저히 줄어든다. 설령, 모세 유로(820p1, 820p2) 내에서 공기 방울(Ar1)이 발생하더라도, 공기 방울(Ar1)이 모세 유로(820p1, 820p2)의 출구까지 도달하기 위한 유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서, 공기 방울(Ar1)이 모세 유로(820p)를 막을 확률이 현저히 줄어든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령 제1 모세 유로(820p1)에서 작은 공기 방울(Ar1)이 발생하더라도, 끼임 공간(820s)에 공기 방울(Ar2)이 모여 걸림되어, 하류측의 제2 모세 유로(820p2)에는 공기 방울이 걸러진 약액만이 유입될 수 있다. 공기 방울이 걸러진 약액이 제2 모세 유로(820p2)로 유입됨으로써, 기설정된 수준으로 원활하게 약액이 흐를 수 있다.
도 6은 모세 유로(820p1)의 입구가 공기 방울(Ar)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세 유로(820p1)의 입구를 공기 방울(Ar)이 막아 약액의 유속을 저하시키거나 약액이 모세 유로(820p1)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문제점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문제점은 약물 이송관의 입구에 상술한 유입 필터(850)가 없는 실시예에서 발생하기 쉬워진다.
반데르발스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공기 방울(Ar)이 형성되는 경우, 공기 방울(Ar)을 하류측으로 밀어내려는 상류 유로(P1) 내부의 압력(Pr1) 및 공기 방울(Ar)을 상류측으로 밀어내려는 약물 이송관의 반력(Pr2)이 평형을 이루어, 공기 방울(Ar)이 모세 유로(820p1)의 입구를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4를 참고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유입 필터(85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 필터(850)는 그물망 구조 및 조밀한 화이버(fiber)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물망 구조 및 조밀한 화이버 구조는 입구를 막고 있는 기포를 피해 액체가 유입 필터(850)에 흡수되어, 약물 이송관 입구로 유입되게 유도할 수 있다. 그물망 구조는 큰 에어 버블을 잘게 부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그물망 구조의 유입 필터(850)는 소수성(hydrophobic) 재질 또는 친수성(hydrophilic) 재질일 수 있다. 조밀한 화이버 구조의 유입 필터(850)는 친수성 재질인 것이 좋다.
일 예로, 유입 필터(850)는 친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필터일 수 있다. 친수성 재질의 유입 필터(850)는 모세 유로(820p1)의 상류 측의 공기 방울(Ar)을 잘게 쪼개서 공기 방울(Ar)이 모세 유로(820p1)의 입구를 막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친수성 재질의 유입 필터(850)를 구비할 경우, 공기 방울(Ar)이 유입 필터(850)의 상류측에 걸림된 상태에서도, 약액이 유입 필터(850)에 스며들며 유입 필터(850)를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입 필터(860)는 약액이 통과할 수 있는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성긴 그물망을 가진 소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필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소수성 재질의 유입 필터(850)는 모세 유로(820p1)의 상류 측의 공기 방울(Ar)을 잘게 쪼개서 공기 방울(Ar)이 모세 유로(820p1)의 입구를 막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약물 이송관 장치(800)의 변형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4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7의 약물 이송관 장치(8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고하여, 약물 이송관 장치(800)는 도 4의 하류 공간(820t)이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의 하류측 말단은 하우징(예를 들어, 하류 하우징(815))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걸림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약물 이송관(822)의 하류측 말단과 하우징(810)의 내측면 사이에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로(P') 상에서 제2 모세 유로(820p2) 및 하류 유로(P2)가 연속되게 연결될 수 있다. 유로(P')는 순차적으로 위치한 상류 유로(P1), 제1 모세 유로(820p1), 끼임 공간(820s), 제2 모세 유로(820p2) 및 하류 유로(P2)를 포함한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280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28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약물 이송관 장치(2800)는 일체형으로 구성된 공기 필터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상류 측에 공기 통과 필터(960') 및 벤트 홀(910h)이 구비되어, 상류 유로(P1) 내의 공기를 약물 이송관 장치(28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약물 이송관 장치(2800)는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에 결합되는 상류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공기 통과 필터(960') 및 벤트 홀(910h)이 구비된 하우징을 "필터 하우징(910)"이라 지칭할 수 있고, 약물 이송관 장치(2800)의 상류 하우징은 필터 하우징(910)이 된다.
필터 하우징(910)에 형성된 유로를 "필터 유로"라고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유로는 상류 유로(P1)의 일부를 구성한다. 필터 하우징(910)에는 상기 필터 유로에서 분기되어 외부로 연결되는 공기의 통로(R)가 형성된다. 공기의 통로(R)는 필터 하우징(910)에 형성된 벤트 홀(910h)을 포함한다.
약물 이송관 장치(2800)는 공기의 통로(R)와 상기 필터 유로의 경계에 배치되는 소수성의 공기 통과 필터(9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통과 필터(960')는 약액의 통과를 차단하되 공기를 통과시킨다. 도 11의 화살표 R1은 통로(R)를 따라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을 도시한다.
약물 이송관 장치(2800)는 상기 필터 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 유로를 상류측의 제1 유로(Q1) 및 하류측의 제2 유로(Q2)로 구분시키는 친수성의 경계 필터(98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통과 필터(960')는 공기의 통로(R)와 제1 유로(Q1)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로(Q1)는 내부의 약액이 공기 통과 필터(96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접촉 유로(Q1c)를 포함한다. 제1 유로(Q1)는 접촉 유로(Q1c)의 상류 측에 연결되는 대향 유로(Q1b)를 포함한다. 대향 유로(Q1b)는 공기 통과 필터(96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접촉 유로(Q1c) 내부로 약액을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대향 유로(Q1b)는 공기 통과 필터(96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Q1)는 상기 제1 유로(Q1)의 유입구(910a)에 연결되고 접촉 유로(Q1c)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유입 유로(Q1a)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유로(Q1a)는 대향 유로(Q1b)의 상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Q2)는 제2 유로(Q2)의 유출구(910b)에 연결되는 유출 유로(Q2c)를 포함한다. 유출 유로(Q2c)는 유출구(910b)를 통해 약액을 배출시키도록 안내한다. 제2 유로(Q2)는 대향 유로(Q1b)의 약액 토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벤트 유로(Q2b)를 포함한다. 벤트 유로(Q2b)는 휘어지거나 꺾이도록 연장된다. 벤트 유로(Q2b)는 유출 유로(Q2c)의 상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Q2)는 경계 필터(980)와 하우징(910) 사이의 갭(Q2a)을 포함할 수 있다. 벤트 유로(Q2b)는 갭(Q2a)의 하류측에 연결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910)은 경계 필터(980)가 배치되는 필터 바디(911)를 포함한다. 필터 바디(911)의 외표면을 형성하는 바디부(911d)에는 경계 필터(980)가 배치된 방향으로 함몰된 살빼기(coring) 홈(910g)이 형성된다. 필터 하우징(910)은 상술한 제1 결합 대응부(911a) 및 제1 삽입부(911c)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910)은 유입 포트(O1)가 형성된 유입부(911e)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910)은 벤트 홀(910h)이 형성된 벤트 캡(912)을 포함한다. 벤트 캡(912)은 필터 하우징(910)에 결합되는 커버부(912a)를 포함한다. 벤트 캡(912)은 커버부(912a)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벤트 돌출부(912b)를 포함할 수 있다. 벤트 돌출부(912b)의 돌출 말단에 벤트 홀(910h)이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벤트 홀의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약물 이송관 장치(2800)는 소수성의 2차 공기 통과 필터(9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차 공기 통과 필터(970)는 공기의 통로(R) 상에 배치되어 공기 통과 필터(960')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2차 공기 통과 필터(970)는 공기 통과 필터(960')의 기공이나 접착 부위 등이 손상된 경우에도 내부의 약액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경계 필터(980)는 약액이 적셔진 경우 제1 유로(Q1)와 제2 유로(Q2)의 압력 경계면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경계 필터(980)의 상류측 공간은 상대적으로 기압이 낮고(예를 들어, 대기압), 경계 필터(980)의 하류측 공간은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다. 경계 필터(980)는 유입 필터(850)의 상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910)은 공기 통과 필터(960)가 결합되는 공기 통과 필터 배치부(913')를 포함한다. 공기 통과 필터 배치부(913')는 벤트 캡(912)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910)은 2차 공기 통과 필터(970)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는 2차 공기 통과 필터 안착부(914)를 포함한다. 2차 공기 통과 필터 안착부(914)는 벤트 캡(912)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910)은 경계 필터(980)의 둘레가 결합되는 경계 필터 안착부(915)를 포함한다. 경계 필터 안착부(915)는 필터 바디(911)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910)은 경계 필터(980)의 제1 유로(Q1)를 바라보는 면의 반대측 면과 필터 하우징(910)의 내측면 사이에 갭(Q2a)을 유지하도록, 경계 필터(98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간격 유지부(916)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유지부(916)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유지부(916)는, 경계 필터(980)가 액체에 젖었을 경우, 경계 필터(980)가 하우징(810)의 내측면에 붙어 투습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간격 유지부(916)는 필터 바디(91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라인 S1-S1'를 따라 약물 이송관 장치(2800)를 자른 횡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약물 이송관 장치(2800)는 끼임 공간(820s)과 외부 공간을 연결하여, 끼임 공간(820s) 내의 공기 및 약액 중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에어 벤트(8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벤트(890)의 벤트 홀(890h)은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 벤트(890)는 소수성의 공기 통과 필터(891)를 포함한다. 에어 벤트(890)는 끼임 공간(820s) 내의 공기가 통과(화살표 R2 참고)하는 공기 통로(890p)를 포함한다. 공기 통과 필터(891)는 공기 통로(890p)와 끼임 공간(820s) 사이의 경계를 형성한다.
끼임 공간(820s)은 공기 통로(890p)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공기 통로 연결 공간(820s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통로 연결 공간(820sp)은 끼임 공간(820s)의 반경측 말단(820s3)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통과 필터(891)는 공기 통로(890p)와 공기 통로 연결 공간(820sp) 사이의 경계를 형성한다.
도 13은 도 11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의 변형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3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을 참고하여, 에어 벤트(890)의 공기 통과 필터(891')의 상하류 방향 길이는 끼임 공간(820s)의 유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그 밖에도, 공기 통과 필터(891')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하우징(8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의 하류 공간(820t)의 경계는 단차진 턱을 포함한다. 반면, 도 13의 하류 공간(820t')의 경계는 하류 유로(P2) 방향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하류 공간(820t')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여, 공기 통과 필터(960)의 배면이 필터 하우징(9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공기 통과 필터 배치부(913)가 돌출될 수 있다. 공기 통과 필터 배치부(913)는 필터 하우징(910)의 내측면에서 접촉 유로(Q1c) 방향으로 돌출되고 공기 통과 필터(96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공기 통과 필터(960)의 배면과 벤트 캡(912) 사이의 간극(913a)은 공기의 통로(R)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13을 참고하여, 경계 필터(980')는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배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류 유로(P1')의 제1 유로(Q1') 및 제2 유로(Q2')의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경계가 구현될 수 있다. 경계 필터(980')는 모세 유로(820p)의 입구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로(Q2')는 상술한 유출 유로(Q1c)를 포함하되, 상술한 벤트 유로(Q2b) 및 갭(Q2a)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유로(Q1')는 다양한 형상의 접촉 유로(Q1c)를 가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에서의 경계 필터(980, 980')의 위치 및 배치 방향은 몇몇의 예시일 뿐이며, 이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도 14는 도 11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3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4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를 설명하면, 약물 이송관 장치(2800)는 상술한 에어 벤트(89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5는 도 11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4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5의 약물 이송관 장치(2800)를 설명하면, 하류 공간(820t'')의 경계는 단차진 턱없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3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을 참고하여,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3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38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약물 이송관 장치(3800)의 끼임 공간(820s')의 유로 단면적은 제1 약물 이송관(821)의 하류부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끼임 공간(820s')의 유로 단면적은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상류부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외주면의 직경(D1) 및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외주면의 직경(D3)은 각각 끼임 공간(820s')의 유로 단면적의 직경(D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끼임 공간(820s')의 체적을 늘리면서도 약물 이송관 장치(3800)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고, 공기 방울이 걸림되는 턱의 면적을 넓힐 수 있다.
하우징(예를 들어,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은 끼임 공간(820s')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a)과, 끼임 공간(820s')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a)은 제2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b)에 결합된다.
제1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a)에는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제1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a)에는 제1 약물 이송관(821)의 하류측 말단이 삽입된다.
제2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b)에는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제2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b)에는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상류측 말단이 삽입된다.
제1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a) 및 제2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b)은 제1 약물 이송관(821) 및 제2 약물 이송관(822) 사이의 위치에서 서로 결합된다. 제1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a) 및 제2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b)이 결합되는 부분을 결합 경계(811B)로 정의할 수 있다. 결합 경계(811B)는 제1 약물 이송관(821) 및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 경계(811B)는 끼임 공간(820s')의 경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은 사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출 성형된 제1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a) 및 사출 성형된 제2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b)을 통해, 끼임 공간(820s')의 단면적이 약물 이송관(820)의 단면적보다 큰 경우에도, 제1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a) 및 제2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b)의 각각의 사출 금형을 제1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a) 및 제2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b) 각각으로부터 간단히 상하류 방향으로 빼낼 수 있다.
도 1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4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약물 이송관 장치(4800)의 변형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여, 제3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4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48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여, 약물 이송관 장치(4800)의 제2 모세 유로(820p2)의 내부로 약액을 유입시키는 유입 포트(819a, 819a')가 끼임 공간(820s')의 하류측 말단(820s2)보다 상류측에 위치한다. 이를 통해, 끼임 공간(820s') 내의 공기 방울이 제2 모세 유로(820p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여, 약물 이송관 장치(4800)의 유입 포트(819a)는 하우징(810)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810)은 끼임 공간(820s')과 제2 모세 유로(820p2)의 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돌출 유입부(819)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유입부(819)는 상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유입 포트(819a)는 돌출 유입부(819)의 돌출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장치(4800)는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상류측 말단이 걸림되는 걸림부(818)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818)는 끼임 공간(820s')의 경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돌출 유입부(819)는 걸림부(818)에서 상류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18을 참고하여, 약물 이송관 장치(4800)의 유입 포트(819a')는 제2 모세 유로(820p2)의 입구일 수 있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은 유입 포트(819a')를 형성한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은 끼임 공간(820s')의 내부로 상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유입부(819')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유입부(819')의 외주면 및 상류측 말단면은 끼임 공간(820s')의 경계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 유입부(819')는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뿔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상류측 말단 중 중심부만 하류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5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여, 제1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5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58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약물 이송관(821') 및 제2 약물 이송관(822')은 플랙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 및 상류 하우징(813')은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 및 하류 하우징(815')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상류측 말단은 상류 하우징(813')에 결합되고, 제1 약물 이송관(821')의 하류측 말단은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에 결합된다.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상류측 말단은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에 결합되고, 제2 약물 이송관(822')의 하류측 말단은 하류 하우징(815')에 결합된다.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은 서로 결합되는 제1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a') 및 제2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b')을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이송관(821', 822')의 재질은 PVC(폴리염화비닐) 또는 PU(polyurethanes) 재질의 플라스틱 고분자 재질일 수 있다. 약물 이송관(821', 822')은 플렉서블한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약물 이송관은 유리 재질일 수 있다.
도 20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6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제7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7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제8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8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23은 제9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9800)의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10800)의 종단면도이다.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20 내지 도 24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 내지 도 24를 참고하여, 상기 약물 이송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약물 이송관(820)과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과 필터(9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통과 필터(960)의 하류측 및/또는 상류측에 약물 이송관(820)이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과 필터(960)는 복수의 공기 통과 필터(9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과 필터(960)는 n개의 공기 통과 필터(9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n 공기 통과 필터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순서대로 n번째에 배치되는 공기 통과 필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n은 자연수를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약물 이송관(820)은 복수의 약물 이송관(8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약물 이송관(820)은 n개의 약물 이송관(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n 약물 이송관이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순서대로 n번째에 배치되는 약물 이송관을 의미한다. 제n 모세 유로(820p)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순서대로 n번째에 배치되는 모세 유로(820p)를 의미한다. 여기서, n은 자연수를 의미한다.
제n 공기 통과 필터의 하류측에 약물 이송관이 구비될 수 있다. 제n 공기 통과 필터의 상류측에 약물 이송관이 구비될 수 있다. 제n 공기 통과 필터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약물 이송관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0을 참고하여, 제6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6800)에서, 공기 통과 필터(960)는 제1 약물 이송관(821)의 하류측 및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약물 이송관 장치(6800)의 필터 하우징(910)은 약물 이송관 하우징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끼임 공간(820s)은 경계 필터(980)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유로(Q1) 및 제2 유로(Q2)를 포함한다.
도 21을 참고하여, 제7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7800)에서, 공기 통과 필터(960)는 제2 약물 이송관(822)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약물 이송관 장치(7800)는 약물 이송관 하우징(811)에 결합되는 하류 하우징(815')을 포함한다. 하류 하우징(815')는 필터 하우징(9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류 하우징(815')은 필터 하우징(910)의 하류측에 결합되고 유출 포트(O2)를 형성하는 보조 하우징(8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류 유로(P2)는 경계 필터(980)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유로(Q1) 및 제2 유로(Q2)를 포함한다.
도 22를 참고하여, 제8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8800)에서, 제1 공기 통과 필터(961)는 제1 약물 이송관(821)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약물 이송관 장치(8800)의 제2 공기 통과 필터(962)는 제1 약물 이송관(821)의 하류측 및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약물 이송관 장치(8800)는 제1 공기 통과 필터(961)에 대응되는 2차 공기 통과 필터(971) 및 제1 경계 필터(981)를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장치(8800)는 제2 공기 통과 필터(962)에 대응되는 2차 공기 통과 필터(972) 및 제2 경계 필터(9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 통과 필터(961)가 배치되는 제1 필터 하우징(910-1)이 상류 하우징(910-1)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공기 통과 필터(962)가 배치되는 제2 필터 하우징(910-2)이 약물 이송관 하우징(910-2)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류 유로(P1)는 제1 경계 필터(981)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유로(Q1-1) 및 제2 유로(Q2-1)를 포함한다. 끼임 공간(820s)은 제2 경계 필터(982)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유로(Q1-2) 및 제2 유로(Q2-2)를 포함한다.
도 23을 참고하여, 제9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9800)에서, 제1 공기 통과 필터(961)는 제1 약물 이송관(821)의 하류측 및 제2 약물 이송관(822)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약물 이송관 장치(9800)의 제2 공기 통과 필터(962)는 제2 약물 이송관(822)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약물 이송관 장치(9800)는 제1 공기 통과 필터(961)에 대응되는 2차 공기 통과 필터(971) 및 제1 경계 필터(981)를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장치(8800)는 제2 공기 통과 필터(962)에 대응되는 2차 공기 통과 필터(972) 및 제2 경계 필터(9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 통과 필터(961)가 배치되는 제1 필터 하우징(910-1)이 약물 이송관 하우징(910-1)으로 지칭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장치(9800)의 하류 하우징(815')은 제2 공기 통과 필터(962)가 배치되는 제2 필터 하우징(910-2)을 포함한다. 하류 하우징(815')은 제2 필터 하우징(910-2)의 하류측에 결합되고 유출 포트(O2)를 형성하는 보조 하우징(8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끼임 공간(820s)은 제1 경계 필터(981)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유로(Q1-1) 및 제2 유로(Q2-1)를 포함한다. 하류 유로(P2)는 제2 경계 필터(982)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유로(Q1-2) 및 제2 유로(Q2-2)를 포함한다.
도 24를 참고하여, 제10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송관 장치(10800)는 제2 모세 유로(820p2)를 거친 약액이 유입되도록 제2 모세 유로(820p2)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3 모세 유로(820p3)를 가지는 제3 약물 이송관(823)을 더 포함한다. 약물 이송관 장치(10800)는 제3 약물 이송관(823)에 대응되는 제3 실 부재(833)를 더 포함한다. 약물 이송관 장치(10800)는 제3 공기 통과 필터(963)를 포함한다. 약물 이송관 장치(10800)는 제3 공기 통과 필터(963)에 대응하는 2차 공기 통과 필터(973) 및 제3 경계 필터(973)를 더 포함한다. 약물 이송관 장치(10800)에서 제1 공기 통과 필터(971), 제1 약물 이송관(821), 제2 공기 통과 필터(972), 제2 약물 이송관(822), 제3 공기 통과 필터(973) 및 제3 약물 이송관(823)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약물 이송관 장치(10800)의 하우징(810) 내부의 제1 약물 이송관(821)과 제2 약물 이송관(822) 사이에 제1 끼임 공간(820s-1)이 위치한다. 하우징(810) 내부의 제2 약물 이송관(822)과 제3 약물 이송관(823)의 사이에 제2 끼임 공간(820s-2)이 형성된다. 유로(P) 상에서 제2 모세 유로(820p2), 제2 끼임 공간(820s-2) 및 제3 모세 유로(820p3)가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제2 끼임 공간(820s-2)의 유로 단면적은 제2 모세 유로(820p2)의 단면적 및 제3 모세 유로(820p3)의 단면적보다 크다. 제2 끼임 공간(820s-2)은 추가 끼임 공간(820s-2)이라 지칭될 수 있다.
약물 이송관 장치(10800)의 하우징(810)은 제1 공기 통과 필터(961)가 배치되는 제1 필터 하우징(910-1)과, 제2 공기 통과 필터(962)가 배치되는 제2 필터 하우징(910-2)과, 제3 공기 통과 필터(963)가 배치되는 제3 필터 하우징(910-3)을 포함한다. 상류 유로(P1)는 제1 경계 필터(981)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유로(Q1-1) 및 제2 유로(Q2-1)를 포함한다. 제1 끼임 공간(820s-1)은 제2 경계 필터(982)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유로(Q1-2) 및 제2 유로(Q2-2)를 포함한다. 제2 끼임 공간(820s-2)은 제3 경계 필터(983)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유로(Q1-3) 및 제2 유로(Q2-3)를 포함한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약액 주입 장치, 800, 2800, 3800, 4800, 5800, 6800, 7800, 8800, 9800, 10800: 약물 이송관 장치, 810: 하우징, 820s, 820s': 끼임 공간, 820p1: 제1 모세 유로, 820p2: 제2 모세 유로, 821: 제1 약물 이송관, 822: 제2 약물 이송관, P: 약액의 유로

Claims (13)

  1. 약액의 유로가 형성된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모세 유로를 가지는 제1 약물 이송관;
    상기 제1 모세 유로를 거친 상기 약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제1 모세 유로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모세 유로를 가지는 제2 약물 이송관; 및
    상기 제1 약물 이송관 및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이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 약물 이송관과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사이에 끼임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 상에서 상기 제1 모세 유로, 상기 끼임 공간 및 상기 제2 모세 유로가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끼임 공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 모세 유로의 단면적 및 상기 제2 모세 유로의 단면적보다 큰,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약물 이송관의 하류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상류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이 상기 끼임 공간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끼임 공간이 배치되는 약물 이송관 하우징;
    상기 제1 약물 이송관의 상류부가 수용되는 상류 하우징; 및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하류부가 수용되는 하류 하우징을 포함하는,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끼임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약물 이송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제1 약물 이송관 하우징; 및
    상기 끼임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약물 이송관 및 상기 제2 약물 이송관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1 약물 이송관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약물 이송관 하우징을 포함하는,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 공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 약물 이송관의 하류부의 단면적 및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상류부의 단면적보다 큰,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끼임 공간 내의 공기 및 상기 약액 중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에어 벤트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세 유로의 내부로 상기 약액을 유입시키는 유입 포트가 상기 끼임 공간의 하류측 말단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세 유로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를 흐르는 약액이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유입 필터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약물 이송관의 상류측 말단과 상기 유입 필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약물 이송관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끼여 배치되는 제1 실 부재; 및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끼여 배치되는 제2 실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세 유로를 거친 상기 약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제2 모세 유로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3 모세 유로를 가지는 제3 약물 이송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제2 약물 이송관과 상기 제3 약물 이송관의 사이에 추가 끼임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 상에서 상기 제2 모세 유로, 상기 추가 끼임 공간 및 상기 제3 모세 유로가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추가 끼임 공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2 모세 유로의 단면적 및 상기 제3 모세 유로의 단면적보다 큰,
    약액 주입용 약물 이송관 장치.
  13. 약액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펌핑 모듈;
    상기 펌핑 모듈에서의 가압에 따라 상기 펌핑 모듈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약액이 흐르도록 구성되는 연장튜브; 및
    상기 연장튜브에 연결되는 약액의 유로가 형성된 약물 이송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이송관 장치는,
    상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모세 유로를 가지는 제1 약물 이송관;
    상기 제1 모세 유로를 거친 상기 약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제1 모세 유로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모세 유로를 가지는 제2 약물 이송관; 및
    상기 제1 약물 이송관 및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이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제1 약물 이송관과 상기 제2 약물 이송관의 사이에 끼임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 상에서 상기 제1 모세 유로, 상기 끼임 공간 및 상기 제2 모세 유로가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끼임 공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 모세 유로의 단면적 및 상기 제2 모세 유로의 단면적보다 큰,
    약액 주입 장치.
KR1020180159260A 2018-10-19 2018-12-11 약물 이송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157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137739A TWI712430B (zh) 2018-10-19 2019-10-18 藥物輸送裝置及包括其之醫用液體注射裝置
PCT/KR2019/013753 WO2020080883A1 (en) 2018-10-19 2019-10-18 Medicine transfer device and medicin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25465 2018-10-19
KR1020180125465 2018-10-19
KR20180136152 2018-11-07
KR1020180136152 2018-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631A true KR20200044631A (ko) 2020-04-29
KR102157622B1 KR102157622B1 (ko) 2020-09-18

Family

ID=7046647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260A KR102157622B1 (ko) 2018-10-19 2018-12-11 약물 이송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180159273A KR102157623B1 (ko) 2018-10-19 2018-12-11 공기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180159283A KR102157619B1 (ko) 2018-10-19 2018-12-11 필터 일체형 약물 이송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273A KR102157623B1 (ko) 2018-10-19 2018-12-11 공기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180159283A KR102157619B1 (ko) 2018-10-19 2018-12-11 필터 일체형 약물 이송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210379298A1 (ko)
EP (2) EP3866883A4 (ko)
JP (2) JP7228686B2 (ko)
KR (3) KR102157622B1 (ko)
CN (2) CN112839693B (ko)
IL (2) IL282085A (ko)
TW (3) TWI712430B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7410A1 (en) * 2007-04-20 2008-10-23 Cardinal Health 303, Inc. Fluid flow control system having capillary fluid flow restrictor
JP2009539485A (ja) * 2006-06-09 2009-11-19 ニューロシステ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薬物塊からの流動誘起送達
KR101134279B1 (ko) * 2009-02-09 2012-04-10 (주)이화프레지니우스카비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주사액 주입장치
KR101476042B1 (ko) * 2013-07-09 2014-12-23 김용무 약물주입용 레귤레이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약물주입장치
KR101535350B1 (ko) 2013-09-10 2015-07-09 김용무 내부 필터를 구비한 모세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주사액 주입장치
JP2017509360A (ja) * 2014-01-30 2017-04-06 フレゼニウス・ヘモケア・イタリア・ソシ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FRESENIUS HEMOCARE ITALIA S.r.l. 濾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5606A (en) * 1981-03-19 1985-05-07 Brunswick Corporation Gas separating and venting filter
US4571244A (en) * 1984-05-07 1986-02-18 Biogenesis, Inc. System for removing gas bubbles from liquids
DE3624363C2 (de) * 1986-07-18 1995-06-08 Akzo Gmbh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Gasblasen aus Infusionsflüssigkeiten oder Flüssigkeiten des menschlichen Körpers
US5290238A (en) 1992-06-10 1994-03-01 Imed Corporation Self priming tubing set for an infusion device
WO1995006506A1 (en) * 1993-09-02 1995-03-09 Abbott Laboratories Gas-separating filter
JP2001276181A (ja) * 2000-03-31 2001-10-09 Terumo Corp 不要物除去フィルター付血液バッグ
DE60307280T2 (de) 2002-07-09 2007-10-18 Gambro Lundia Ab Unterstützungselment für einen extrakorporalen transportschlauch
CN201088751Y (zh) * 2007-06-22 2008-07-23 黄金钟 一种用于输液的自排气式过滤器
WO2010001939A1 (ja) 2008-07-02 2010-01-07 テルモ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輸液チューブセット
DE102009012347A1 (de) * 2009-03-09 2010-09-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Filteranordnung und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ilteranordnung
EP2386324A1 (en) * 2010-05-14 2011-11-16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Tubing set having an improved gate for the connection of vials
US8337701B2 (en) * 2011-03-14 2012-12-25 Pall Corporation Intravenous filter
WO2016147555A1 (ja) * 2015-03-18 2016-09-22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コネクタ及び医療用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9485A (ja) * 2006-06-09 2009-11-19 ニューロシステ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薬物塊からの流動誘起送達
US20080257410A1 (en) * 2007-04-20 2008-10-23 Cardinal Health 303, Inc. Fluid flow control system having capillary fluid flow restrictor
KR101134279B1 (ko) * 2009-02-09 2012-04-10 (주)이화프레지니우스카비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주사액 주입장치
KR101476042B1 (ko) * 2013-07-09 2014-12-23 김용무 약물주입용 레귤레이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약물주입장치
KR101535350B1 (ko) 2013-09-10 2015-07-09 김용무 내부 필터를 구비한 모세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주사액 주입장치
JP2017509360A (ja) * 2014-01-30 2017-04-06 フレゼニウス・ヘモケア・イタリア・ソシ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FRESENIUS HEMOCARE ITALIA S.r.l. 濾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04793A (ja) 2022-01-13
CN112823032A (zh) 2021-05-18
US20210379298A1 (en) 2021-12-09
CN112839693B (zh) 2023-02-28
IL282085A (en) 2021-05-31
CN112823032B (zh) 2022-12-13
TWI740238B (zh) 2021-09-21
KR102157622B1 (ko) 2020-09-18
TW202017609A (zh) 2020-05-16
TW202027804A (zh) 2020-08-01
EP3866882A1 (en) 2021-08-25
JP2022504800A (ja) 2022-01-13
IL282086A (en) 2021-05-31
US20220008664A1 (en) 2022-01-13
EP3866883A4 (en) 2021-12-01
TWI712430B (zh) 2020-12-11
JP7214856B2 (ja) 2023-01-30
EP3866883A1 (en) 2021-08-25
CN112839693A (zh) 2021-05-25
KR102157623B1 (ko) 2020-09-18
EP3866882A4 (en) 2021-12-01
TWI729533B (zh) 2021-06-01
KR20200044633A (ko) 2020-04-29
JP7228686B2 (ja) 2023-02-24
KR102157619B1 (ko) 2020-09-18
TW202023638A (zh) 2020-07-01
KR20200044632A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7576A (ko) 새로운 무바늘 액세스 커넥터 및 그 이용 방법
KR102168021B1 (ko) 위험 약액 주입용 플러싱 장치 및 위험 약액 주입 장치
US20150219230A1 (en) Pressure differential relief valve
WO2014161410A1 (zh) 无针正压接头
CN104399144A (zh) 一种带缓释正压的留置针
KR102157622B1 (ko) 약물 이송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558992B1 (ko) 약액 펌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약액 주입 준비방법
TWI777267B (zh) 藥液注入裝置及藥液注入準備方法
TWI772939B (zh) 藥液推壓裝置及包括該裝置的藥液注入裝置
JP7427779B2 (ja) 薬液プッシュ装置及びこれを含む薬液注入装置
JP5496725B2 (ja) 血液浄化装置
KR102331798B1 (ko) 약액 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TWI819359B (zh) 藥液抽吸裝置及利用該藥液抽吸裝置的藥液注入準備方法
KR102472316B1 (ko) 약액 유량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