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487A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487A
KR20200043487A KR1020207010289A KR20207010289A KR20200043487A KR 20200043487 A KR20200043487 A KR 20200043487A KR 1020207010289 A KR1020207010289 A KR 1020207010289A KR 20207010289 A KR20207010289 A KR 20207010289A KR 20200043487 A KR20200043487 A KR 20200043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shutter
introduction
lif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357B1 (ko
Inventor
요헤이 가모
츠카사 미네
아키히토 가무라
고지 가타야마
마사토 야마오카
유스케 오이즈미
마나부 짐바
아야토모 오키노
노부유키 요모다
게이스케 이소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58113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04348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42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2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68Toner discharging opening at one axial e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리프트부(30)의 도입 지지부(30c)로 하여금 지지하게 한다. 추가적인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리프트부(30)의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가 셔터(4)의 셔터 경사부(4f)에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리프트부(30)가 셔터 경사부(4f)를 따라 연직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지지하는 리프트부(30)를, 셔터(4)를 이용하여 동작시켜, 도입구가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현상제 도입부(11)를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되어, 보급 용기의 원활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본 발명은,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사기 등의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미분말의 토너 등의 현상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형성에 수반하여 현상제가 소비되는 점에서, 현상제 보급 장치로부터 현상제가 보급된다. 현상제 보급 장치는, 현상제를 수용한 현상제 보급 용기(이하, 간단히 보급 용기라 칭함)가, 화상 형성 장치 내에 마련된 현상제 도입 장치에 장착되어, 현상제의 보급을 행할 수 있다. 그래서,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도입 장치의 현상제 도입부를 보급 용기의 배출구를 향하여 이동(변위)시키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3-01582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015826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현상제 도입부는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보급 용기에 마련된 가이드(걸림 결합부)로 유도되어, 보급 용기에 접근하도록 이동한다. 보급 용기의 장착이 완료되면, 보급 용기의 배출구와 현상제 도입부의 도입구는 접속 상태(양 개구가 연통된 상태)로 된다. 또한 현상제 도입부는 보급 용기의 이탈 동작에 수반하여 가이드로 유도되어, 보급 용기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배출구와 도입구는 이격된 상태(양 개구가 연통되지 않은 상태)로 된다.
상술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3-015826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따라 현상제 도입부를 보급 용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이드가 보급 용기의 장착 방향 앞쪽측으로부터 안쪽측을 향하여 보급 용기측으로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어 있다. 이는, 착탈 시에 보급 용기에 걸리는 힘을 이용하여, 현상제 도입부의 피걸림 결합부를 가이드에 접촉시키면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특히 보급 용기의 장착 시에, 현상제 도입부(상세하게는 피걸림 결합부)를 장착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힘과 연직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힘이 동시에 가해져서 장착력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를 갖는 현상제 도입부를 이동시켜, 도입구를 보급 용기의 배출구에 접속하는 구성이며, 현상제 도입부의 이동에 걸리는 장착력을 저감하여 보급 용기의 원활한 장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된 현상제 도입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부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한 피지지부를 갖는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이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저면에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마련되고, 상기 배출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며,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에 대한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도입구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제 도입부를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부를 상방으로 상기 배출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갖는 현상제 보급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 도입부의 피지지부를 지지 가능한 지지부를 이동 기구에 의하여 이동시켜, 도입구가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현상제 도입부를 변위시키므로, 현상제 도입부의 이동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하여 보급 용기의 원활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다.
도 3은 현상제 도입 장치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다.
도 4는 현상제 도입 장치를 도시하며, (a)는 부분 확대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단면도, (c)는 현상제 도입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단면도, (c)는 장착 방향 하류측에서 본 정면도다.
도 6은 용기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저면도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a)는 장착 개시 시, (b)는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한다.
도 9는 펌프부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다.
도 10은 왕복 부재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각도를 바꾸어서 본 사시도다.
도 11은 커버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리프트부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반대측의 사시도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의 셔터를 도시하며, (a)는 상면도, (b)는 사시도다.
도 14는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는 현상제 도입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측면도이며, (a)는 장착 개시 시, (b)는 상승 개시 시, (c)는 상승 도중, (d)는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한다.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의 리프트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a)는 장착 개시 시, (b)는 상승 개시 시, (c)는 상승 도중, (d)는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한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17은 피니언 기어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18은 제2 실시 형태의 리프트부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반대측의 사시도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의 셔터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의 리프트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a)는 상승 개시 시, (b)는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한다.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단면도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의 리프트 유닛부를 도시하며, (a)는 전체 사시도, (b)는 리프트부, (c)는 리프트 동작 암부, (d)는 가압 부재를 도시한다.
도 25는 제3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며, (a)는 장착 개시 시, (b)는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한다.
도 26은 제3 실시 형태의 셔터음을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사시도다.
도 27은 제3 실시 형태의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8은 장착 개시 시의 상태를 도시하며, (a)는 보급 용기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리프트부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모식도다.
도 29는 상승 개시 시의 상태를 도시하며, (a)는 보급 용기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리프트부와 현상제 도입부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다.
도 30은 상승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며, (a)는 보급 용기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리프트부와 현상제 도입부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다.
도 31은 장착 완료 시의 상태를 도시하며, (a)는 보급 용기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리프트부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모식도다.
도 32는 제4 실시 형태의 현상제 도입 장치를 도시하며, (a)는 부분 확대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단면도다.
도 33은 인입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34는 제4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다.
도 35는 제4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단면 사시도, (c)는 저면도다.
도 36은 제4 실시 형태의 리프트부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다.
도 37은 장착 개시 시의 상태를 도시하며, (a)는 보급 용기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인입 부재와 리프트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모식도다.
도 38은 회동 개시 시의 상태를 도시하며, (a)는 보급 용기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인입 부재와 리프트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모식도다.
도 39는 회동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며, (a)는 보급 용기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인입 부재와 리프트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모식도다.
도 40은 장착 완료 시의 상태를 도시하며, (a)는 보급 용기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인입 부재와 리프트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모식도다.
도 41은 제5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42는 장착 개시 시의 리프트부와 규제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43은 이동 도중의 리프트부와 규제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44는 상승 개시 시의 리프트부와 규제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45는 장착 완료 시의 리프트부와 규제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46은 제6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47은 제6 실시 형태의 현상제 도입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48은 제6 실시 형태의 규제 부재 및 셔터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49는 장착 개시 시의 리프트부와 규제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50은 이동 도중의 리프트부와 규제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51은 상승 개시 시의 리프트부와 규제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52는 장착 완료 시의 리프트부와 규제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53은 제7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다.
도 54는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a)는 리프트부의 상승 전, (b)는 리프트부의 상승 후를 도시한다.
도 55는 승강 기구의 제2 스위치의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56은 제8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를 도시하며, (a)는 저면에서 본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57은 제8 실시 형태의 셔터를 도시하며, (a)는 상면도, (b)는 사시도다.
도 58은 장착 개시 시의 리프트부와 피지지부의 위치를 도시하며, (a)는 측면도, (b)는 부분 확대도다.
도 59는 상승 개시 시의 리프트부와 피지지부의 위치를 도시하며, (a)는 측면도, (b)는 부분 확대도다.
도 60은 상승 도중의 리프트부와 피지지부의 위치를 도시하며, (a)는 측면도, (b)는 부분 확대도다.
도 61은 장착 완료 시의 리프트부와 피지지부의 위치를 도시하며, (a)는 측면도, (b)는 부분 확대도다.
도 62는 제9 실시 형태의 자석 부재를 도시하며, (a)는 상면도, (b)는 사시도다.
도 63은 제9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를 도시하며, (a)는 측면도, (b)는 부분 확대도, (c)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64는 제10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65는 추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다.
도 66은 제10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67은 제10 실시 형태의 리프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68은 제10 실시 형태의 셔터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69는 제10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를 도시하며, (a)는 측면도, (b)는 부분 확대도다.
도 70은 장착 개시 시의 상태를 도시하며, (a)는 추와 셔터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리프트부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71은 상승 개시 시의 상태를 도시하며, (a)는 추와 셔터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리프트부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72는 상승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며, (a)는 추와 셔터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리프트부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73은 상승 완료 시의 상태를 도시하며, (a)는 추와 셔터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리프트부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74는 장착 완료 시의 추와 셔터와 현상제 도입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75는 제11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76은 리프트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측면도다.
도 77은 종래예를 도시하며, (a)는 장착 개시 시, (b)는 상승 개시 시, (c)는 상승 도중, (d)는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한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도 1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장치 본체(100a)의 상부에 원고 판독 장치(103)를 갖는다. 원고(101)는 원고대 유리(102) 상에 놓인다. 그리고 원고(101)의 화상 정보에 따른 광 상을 원고 판독 장치(103)의 복수의 미러 M과 렌즈 Ln에 의하여, 상 담지체로서의 원통형 감광체인 감광 드럼(104) 상에 결상시킴으로써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 정전 잠상은, 건식 현상기(1성분 현상기)(201)에 의하여 현상제(건식 분체)로서의 토너(1성분 자성 토너)를 이용하여 가시화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이하, 간단히 보급 장치라 칭함)로부터 보급해야 할 현상제로서 1성분 자성 토너를 이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와 같은 예뿐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는, 1성분 비자성 토너를 이용하여 현상을 행하는 1성분 현상기 를 이용하는 경우, 현상제로서 1성분 비자성 토너를 보급하게 된다. 또한 자성 캐리어와 비자성 토너를 혼합한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여 현상을 행하는 2성분 현상기를 이용하는 경우, 현상제로서 비자성 토너를 보급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현상제로서 비자성 토너와 함께 자성 캐리어도 아울러 보급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도 1에 도시하는 현상기(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고(101)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04)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서 토너를 이용하여 현상하는 것이다. 또한 현상기(201)에는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이 접속되어 있으며,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은, 보급 용기(1)와, 보급 용기(1)가 착탈 가능한 현상제 도입 장치(8)를 갖는다.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현상기(201)는, 현상제 호퍼부(201a) 외에 현상 롤러(201f)가 마련되어 있다. 이 현상제 호퍼부(201a)에는, 보급 용기(1)로부터 보급된 현상제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부재(201c)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교반 부재(201c)에 의하여 교반된 현상제는 반송 부재(201d)에 의하여 반송 부재(201e)측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반송 부재(201e, 201b)에 의하여 차례로 반송되어 온 현상제는 현상 롤러(201f)에 담지되고, 최종적으로 감광 드럼(104)과의 현상부에 공급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성분 현상제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보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로서의 토너를 현상기(201)에 보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는 경우, 보급 용기로부터 현상제로서의 토너 및 캐리어를 보급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카세트(105 내지 108)는 각각 시트 등의 기록재 S를 수용한다. 화상 형성 시에는, 이들 카세트(105 내지 108) 중, 화상 형성 장치(100)의 조작부(100d)(도 2 참조)로부터 조작자(유저)가 입력한 정보 혹은 원고(101)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최적의 기록재 S를 수용한 카세트가 선택된다. 여기서 기록재 S로서는 용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OHP 시트 등 적절히 사용,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급송 분리 장치(105A 내지 108A)에 의하여 반송된 1매의 기록재 S를, 반송부(109)를 경유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까지 반송하고, 감광 드럼(104)의 회전과 원고 판독 장치(103)의 스캔 타이밍을 동기시켜 반송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의 기록재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감광 드럼(104)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전사 대전기(111) 및 분리 대전기(112)가 마련되어 있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에 의하여 반송된 기록재 S는, 전사 대전기(111)에 의하여, 감광 드럼(104) 상에 형성된 현상제에 의한 화상(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그리고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재 S는 분리 대전기(112)에 의하여 감광 드럼(10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반송부(113)에 의하여 반송된 기록재 S는, 정착부(114)에 있어서 열과 압력이 가해져서 기록재 상에 토너가 정착된다. 그 후, 토너 상을 정착시킨 기록재 S는, 편면 카피의 경우, 배출 반전부(115)를 통과하여, 배출 롤러(116)에 의하여 배출 트레이(117)로 배출된다.
한편, 양면 카피의 경우에는, 기록재 S는, 배출 반전부(115)를 통과하여, 일단 배출 롤러(116)에 의하여 일부가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후, 기록재 S의 종단부가 전환 부재(118)를 통과하고, 배출 롤러(116)에 아직 협지되어 있는 타이밍에 전환 부재(118)의 위치를 전환함과 함께 배출 롤러(116)를 역회전시킴으로써, 기록재 S는 다시 장치 내로 반송된다. 또한 이후, 기록재 S는, 재급송 반송부(119, 120)를 경유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까지 반송된 후, 편면 카피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경로를 거쳐서 배출 트레이(117)로 배출된다.
상기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있어서, 감광 드럼(104)의 둘레에는 현상기(201), 클리너부(202), 1차 대전기(203) 등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기(201)는, 원고 판독 장치(103)에 의하여 판독한 원고(101)의 화상 정보 등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04)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부착시킴으로써,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것이다. 또한 1차 대전기(203)는, 감광 드럼(104) 상에 원하는 정전 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감광 드럼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클리너부(202)는, 감광 드럼(104)에 잔류하고 있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100a)의 외장 커버의 일부인 교환용 커버(100b)를 조작자가 열면, 후술하는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일부가 드러난다. 그리고 이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보급 용기(1)를 삽입함으로써, 보급 용기(1)는 현상제 도입 장치(8)에 현상제를 보급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한편, 조작자가 보급 용기(1)를 교환할 때는, 장착 동작과는 반대의 동작을 행하여 현상제 도입 장치(8)로부터 보급 용기(1)를 이탈시킨 후에 새로운 보급 용기(1)를 장착한다. 또한 교환용 커버(100b)는, 보급 용기(1)를 착탈(교환)하기 위한 전용 커버이며, 보급 용기(1)를 착탈하기 위해서만 개폐된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0)의 메인터넌스는, 전방면 커버(100c)를 개폐함으로써 행해진다. 여기서, 교환용 커버(100b)와 전방면 커버(100c)는 일체여도 되며, 그 경우, 보급 용기(1)의 교환이나 화상 형성 장치(100)의 메인터넌스는, 일체화된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개폐함으로써 행해진다.
[현상제 도입 장치]
다음으로,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하여 도 3의 (a) 내지 도 4의 (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현상제 도입 장치(8)에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 용기(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8f)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부(8f)에는, 보급 용기(1)를 착탈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삽입 가이드(8e)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삽입 가이드(8e)에 의하여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이 화살표 A 방향으로 되도록, 보급 용기(1)의 이탈 방향이 화살표 A 방향과 역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a) 내지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 장치(8)는, 보급 용기(1)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로서 기능하는 구동 기어(9)를 갖고 있다. 이 구동 기어(9)는, 구동 모터(500)로부터 구동 기어열(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고, 장착부(8f)에 장착된 상태에 있는 보급 용기(1)에 대하여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구동 모터(500)는, 제어 장치(600)에 의하여 그 동작을 제어받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어 장치(600)는, 구동 모터(500)의 제어 외에, 화상 형성 장치(100)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은 제어 장치(6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을 갖고 있다. CPU는, ROM에 저장된 제어 수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판독하면서 각 부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RAM에는 작업용 데이터나 입력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CPU는, 전술한 프로그램 등에 기초하여, RAM에 수납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어를 행한다.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장착부(8f)에는, 보급 용기(1)로부터 배출된 현상제를 도입하기 위한 현상제 도입부(11)가 마련되어 있다. 현상제 도입부(11)는, 보급 용기(1)의 장착 시에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도 5의 (b) 참조)와 접속되어,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11a)를 갖는다.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에 대하여 원근동하는 방향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연직 방향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에 접근하는 방향(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할 때, 가압 부재(12)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장착부(8f)에는, 현상제 도입부(11)보다도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의 상류측에 셔터 스토퍼부(8a, 8b)가 마련되어 있다. 셔터 스토퍼부(8a, 8b)는,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착탈 중인 보급 용기(1)에 있어서, 후술하는 셔터(4)(도 13의 (a) 참조)만에 관하여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상대 이동을 규제한다. 이 경우, 셔터(4)는, 후술하는 용기 본체(2) 등의, 셔터(4) 이외의 보급 용기(1)의 일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게 된다.
도 3의 (b) 및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연직 방향 하방에는, 보급 용기(1)로부터 보급된 현상제를 일시적으로 저류해 두는 서브 호퍼(8c)가 마련되어 있다. 이 서브 호퍼(8c) 내에는, 현상기(201)의 일부인 현상제 호퍼부(201a)(도 1 참조)로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스크루(14)와, 현상제 호퍼부(201a)와 연통된 개구(8d)가 마련되어 있다.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에는, 도입구(11a)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본체 시일(13)이 배치되어 있다. 본체 시일(13)은 탄성체, 발포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시일(13)은, 보급 용기(1)가 장착된 상태에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를 둘러싸는 개구 시일(3a5)(도 5의 (b) 참조)과의 사이에서 셔터(4)(도 13의 (a) 참조)를 사이에 두고 밀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셔터(4)의 셔터 개구(4j)를 통하여 도입구(11a)로 배출되는 현상제가, 현상제 반송 경로인 도입구(11a)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입구(11a)의 직경은, 장착부(8f) 내가 현상제에 의하여 오염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셔터(4)의 셔터 개구(4j)의 직경보다도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부터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셔터 개구(4j)의 직경보다도 도입구(11a)의 직경이 작은 경우, 셔터 개구(4j)로부터 배출된 현상제가 본체 시일(13)의 상면에 부착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부착된 현상제는, 보급 용기(1)의 착탈 동작 시에 보급 용기(1)의 하면에 부착됨으로써, 현상제에 의한 오염의 일 요인으로 된다. 이 점을 감안하여, 도입구(11a)의 직경은, 셔터 개구(4j)의 직경에 비해, 대략 동일한 직경 내지 약 2㎜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셔터(4)의 셔터 개구(4j)의 직경이 약 2㎜인 미세구(핀 홀)인 경우, 도입구(11a)의 직경은 약 3㎜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에는, 측면에, 중앙측을 향하여 돌출된 피지지부(11b)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이 피지지부(11b)는, 보급 용기(1)에 마련된 후술하는 리프트부(30)(도 8의 (a) 참조)에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프트부(30)가 동작함으로써, 현상제 도입부(11)가 피지지부(11b)를 통하여 리프트부(30)에 의하여 이동된다. 리프트부(3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보급 용기]
다음으로,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보급 용기(1)에 대하여, 도 5의 (a) 내지 도 13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a) 내지 도 5의 (c)를 이용하여 보급 용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급 용기(1)는 주로, 용기 본체(2), 플랜지부(3), 셔터(4), 펌프부(5), 왕복 부재(6), 커버(7), 리프트부(30)를 갖는다. 용기 본체(2)는, 현상제 도입 장치(8) 내에서, 도 5의 (a)에 나타내는 회전축선 P를 중심으로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현상제를 현상제 도입 장치(8)(도 3의 (a) 참조)에 보급한다. 이하에, 보급 용기(1)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용기 본체]
용기 본체(2)는 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2c)를 갖는다. 또한 용기 본체(2)에는, 용기 본체(2)가 회전축선 P에 대하여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현상제 수용부(2c)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반송 홈(2a)(반송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일 단부면측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캠 홈(2b)과, 본체측으로부터 구동을 받는 구동 받음부(기어)(2d)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 홈(2b)과 구동 받음부(2d)가 용기 본체(2)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캠 홈(2b) 혹은 구동 받음부(2d)를 별체로서 형성하고 용기 본체(2)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로서, 예를 들어 체적 평균 입경이 5㎛ 내지 6㎛인 토너가 현상제 수용부(2c)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수용부(2c)는, 용기 본체(2)뿐 아니라, 용기 본체(2)와, 후술하는 플랜지부(3) 및 펌프부(5)의 내부 스페이스를 합한 것이다.
[플랜지부]
계속해서, 플랜지부(3)에 대하여, 도 5의 (a) 내지 도 8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플랜지부(3)는, 용기 본체(2)와 회전축선 P에 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보급 용기(1)가 현상제 도입 장치(8)(도 3의 (a) 참조)에 장착되면, 플랜지부(3)는, 장착부(8f)에 대하여 화살표 R 방향의 회전이 불가로 되도록 보유 지지된다. 플랜지부(3)는, 조립성을 고려하여 상측 플랜지부(31)와 하측 플랜지부(32)로 이루어지며, 이하에 설명하겠지만, 펌프부(5), 왕복 부재(6), 셔터(4), 커버(7), 리프트부(30)가 조립 장착되어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플랜지부(31)의 일 단부측에는 펌프부(5)가 나사 접합되고, 타 단부측에는 용기 본체(2)가, 도시하지 않은 시일 부재를 통하여 접합된다. 또한 펌프부(5)를 집듯이 하여 왕복 부재(6)가 배치되고, 왕복 부재(6)에 마련된 걸림 결합 돌기(6b)(도 10의 (a) 참조)가 용기 본체(2)의 캠 홈(2b)(도 6 참조)에 끼워 맞춰진다. 또한 상측 플랜지부(31)와 하측 플랜지부(32) 사이에는 셔터(4)가 내장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3)와 셔터(4)로, 현상제 수용부(2c)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부(700)를 구성하고 있다. 셔터(4)가 마련되어 있는 면은 플랜지부(3)의 저면이다. 그리고 외관상의 볼품을 향상시킬 목적과 왕복 부재(6), 펌프부(5)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술한 플랜지부(3), 펌프부(5), 왕복 부재(6)의 전체를 덮도록 커버(7)가 일체적으로 조립 장착되어 도 5의 (b)와 같이 구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리프트부(30)는,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선 P를 포함하는 평면 H보다도 하방에 배치된다. 회전축선 P를 포함하는 평면 H는 수평면이며, 이 수평면보다도 하방에 배치된다.
[상측 플랜지부]
상측 플랜지부(3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에 도시하는 상측 플랜지부(31)는, 펌프부(5)가 나사 접합되는 펌프 접합부(3a1)와, 용기 본체(2)가 접합되는 용기 본체 접합부(3a2)와, 용기 본체(2)로부터 반송된 현상제를 저류하는 저류부(3a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측 플랜지부(31)에는, 저류부(3a3)의 현상제를 현상제 도입 장치(8)로 배출하는 원형의 용기 배출구(3a4)가,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용기 배출구(3a4)를 둘러싸도록 개구 시일(3a5)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개구 시일(3a5)은,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 등으로 상측 플랜지부(31)의 하면에 붙여지고, 후술하는 셔터(4)와 상측 플랜지부(31)에 협지됨으로써, 용기 배출구(3a4)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보급 용기(1)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착탈 동작에 수반하는 셔터(4)의 개폐 시에 현상제가 불필요하게 배출되어, 그 주위가 현상제로 오염되어 버리지 않도록, 용기 배출구(3a4)의 직경은 약 2㎜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급 용기(1)의 하면측, 구체적으로는 상측 플랜지부(31)의 저면에 용기 배출구(3a4)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기 배출구(3a4)는, 보급 용기(1)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장착 방향의 상류측 단부면 혹은 하류측 단부면 이외의 측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그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접속 구성은 적용 가능하다. 용기 배출구(3a4)를 측면에 형성하는 경우, 그 형성 위치는 제품 개별의 사정을 감안하여 설정할 수 있다.
[하측 플랜지부]
하측 플랜지부(32)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측 플랜지부(32)는,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셔터(4)(도 13의 (a) 참조)가 삽입되는 셔터 삽입부(3b1)를 구비하고 있다. 하측 플랜지부(32)는, 셔터(4)가 셔터 삽입부(3b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측 플랜지부(31)와 일체화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보급 용기(1)의 착탈 방향에 교차하고 또한 연직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하측 플랜지부(32)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리프트부(30)(도 12의 (a) 참조)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1쌍의 리프트 보유 지지부(3b)가,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 설치되어 있다.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으로 대치하도록 배치된 1쌍의 리프트 보유 지지부(3b)는, 리프트부(30)를 연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리프트 보유 지지부(3b)는, 볼록형으로 형성된 리프트부(30)의 끼워 맞춤부(30a)(도 12의 (a) 참조)와 끼워 맞춤 가능한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리프트 보유 지지부(3b)의 하방에는, 한쪽으로부터 다른 한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프트 스토퍼부(3c)가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 스토퍼부(3c)는, 리프트부(30)를 연직 방향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힘이 걸리지 않은 경우에, 자중 등에 의하여 연직 방향 하방으로 내려가는 리프트부(30)에 닿게 된다.
[펌프부]
펌프부(5)에 대하여, 도 9의 (a) 및 도 9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펌프부(5)는, 용기 본체(2)의 구동 받음부(2d)가 받은 구동력에 의하여(도 6 참조), 현상제 수용부(2c)의 내압이 대기압보다도 낮은 상태와 높은 상태로 교대로 반복하여 전환되도록 동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은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현상제를 안정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보급 용기(1)의 일부에 펌프부(5)를 마련하고 있다. 펌프부(5)는, 그 용적을 변경 가능한 용적 가변형 펌프이다. 구체적으로는, 펌프부(5)로서, 신축 가능한 주름 상자형 신축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채용하고 있다.
이 펌프부(5)의 신축 동작에 의하여 보급 용기(1) 내의 압력을 변화시키고, 그 압력을 이용하여 현상제의 배출을 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펌프부(5)를 축소할 때는 보급 용기(1) 내가 가압 상태로 되며, 그 압력에 압출되는 형태로 현상제가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펌프부(5)를 확장할 때는 보급 용기(1) 내가 감압 상태로 되며, 외부로부터 용기 배출구(3a4)를 통하여 에어가 도입된다. 이 도입된 에어에 의하여 용기 배출구(3a4)나, 플랜지부(3)의 용기 본체(2)로부터 반송된 현상제를 저류하는 저류부(3a3) 부근(도 7의 (a) 참조)의 현상제가 풀어내져, 다음 배출이 스무드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이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나 저류부(3a3) 부근은, 보급 용기(1)의 운반 시 등의 진동으로 보급 용기(1) 내의 현상제가 모이고, 이 부분에서 현상제가 굳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 배출구(3a4)를 통하여 에어가 도입됨으로써, 이와 같이 굳어져 버린 현상제를 풀어낼 수 있다. 또한 통상의 현상제 배출 동작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에어가 도입됨으로써, 에어와 분체인 현상제가 혼성되어 현상제의 유동성이 좋아져서, 현상제의 막힘이 생기기 어려워진다는 효과도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부(5)는 개구 단부측에, 상측 플랜지부(31)와 접합 가능하도록 접합부(5b)를 갖고 있다. 여기서는, 접합부(5b)로서 나사가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부(5)는 타 단부측에, 후술하는 왕복 부재(6)(도 10의 (a) 참조)와 동기하여 변위시키기 위하여, 왕복 부재(6)와 걸림 결합하는 왕복 부재 걸림 결합부(5c)를 갖는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부(5)는 「산」부와 「골」부가 주기적으로 형성된 주름 상자형 신축부(주름 상자부, 신축 부재)(5a)를 갖는다. 신축부(5a)는, 그 접음선을 따라(그 접음선을 기점으로 하여), 접합부(5b)에 대하여 왕복 부재 걸림 결합부(5c)를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절첩되거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신장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은 주름 상자형의 펌프부(5)를 채용한 경우에는, 신축량에 대한 용적 변화량의 변동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용적 가변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펌프부(5)의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펌프부(5)의 재료(재질)에 관해서는, 신축 기능을 발휘하여, 용적 변화에 의하여 현상제 수용부(2c)의 내압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무엇이든지 된다. 예를 들어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등을 이용해도 된다. 혹은 고무, 그 외의 신축성 재료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왕복 부재]
왕복 부재(6)에 대하여, 도 10의 (a) 및 도 10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왕복 부재(6)는 상술한 펌프부(5)의 용적을 가변하기 위하여, 펌프부(5)에 마련된 왕복 부재 걸림 결합부(5c)(도 9의 (b) 참조)에 걸림 결합하는 펌프 걸림 결합부(6a)를 갖는다. 또한 왕복 부재(6)는, 조립 시에 상술한 캠 홈(2b)(도 6 참조)에 감입되는 걸림 결합 돌기(6b)를 갖는다. 걸림 결합 돌기(6b)는, 펌프 걸림 결합부(6a) 근방으로부터 착탈 방향(도면 중 화살표 A, B 방향)으로 연장 존재하는 암(6c)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왕복 부재(6)는, 후술하는 커버(7)의 왕복 부재 보유 지지부(7b)(도 11의 (b) 참조)에 의하여 암(6c)의 회전축선 P(도 5의 (a) 참조) 중심의 회전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가 구동 기어(9)에 의하여 구동 받음부(2d)로부터 구동을 받아서, 캠 홈(2b)이 일체로 되어 회전할 때, 캠 홈(2b)에 끼워 맞춰진 걸림 결합 돌기(6b)와 커버(7)의 왕복 부재 보유 지지부(7b)의 작용에 의하여 왕복 부재(6)는 화살표 A, B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그에 수반하여, 또한 왕복 부재(6)의 펌프 걸림 결합부(6a)와 왕복 부재 걸림 결합부(5c)를 통하여 걸림 결합한 펌프부(5)가 화살표 A, B 방향으로 신축 운동한다.
[커버]
커버(7)에 대하여 도 11의 (a) 및 도 11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하였지만, 커버(7)는 보급 용기(1)의 외관의 볼품 향상과, 왕복 부재(6)나 펌프부(5)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여,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커버(7)는, 플랜지부(3), 펌프부(5), 왕복 부재(6)의 전체를 덮도록, 상측 플랜지부(31)나 하측 플랜지부(32) 등과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7)에는,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삽입 가이드(8e)(도 3의 (a) 참조)에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7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7)에는, 상술한 왕복 부재(6)의 회전축선 P(도 5의 (a) 참조)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변위를 규제하는 왕복 부재 보유 지지부(7b)가 마련되어 있다.
[리프트부]
리프트부(30)에 대하여 도 12의 (a) 및 도 12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지지부로서의 리프트부(30)는, 끼워 맞춤부(30a)와,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와, 도입 지지부(30c)와, 리프트 본체부(30d)를 갖는다. 끼워 맞춤부(30a)는, 보급 용기(1)의 착탈 방향에 관하여 리프트 본체부(30d)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어), 플랜지부(3)의 리프트 보유 지지부(3b)(도 8의 (a) 참조)와 걸림 결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리프트부(30)는 플랜지부(3)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리프트 본체부(30d)에는,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 지지부(30c)가 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또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입 지지부(30c)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도 4의 (c) 참조)를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본체부(30d)의 도입 지지부(30c)와 반대측의 면에는, 미끄럼 이동부로서의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가 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또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는 장착 방향에 관하여, 그 길이가 도입 지지부(30c)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리프트 본체부(30d)의 중앙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입 지지부(30c)는 장착 방향 혹은 회전축선 P(도 5의 (a) 참조)과 대략 평행인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사진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는,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의 선단면(30ba)이 경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는 보급 용기(1)의 착탈 시에, 셔터(4)의 셔터 경사부(4f)(도 13의 (b) 참조)와 미끄럼 이동한다. 그때, 셔터 경사부(4f)와 매끄럽게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하여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의 선단면(30ba)은 경사형으로 형성되며, 그 보급 용기(1)의 착탈 방향에 대한 경사각은 셔터 경사부(4f)와 대략 동일한 경사각으로 설정된다.
[셔터]
셔터(4)에 대하여 도 13의 (a) 및 도 13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셔터(4)는, 하측 플랜지부(32)의 셔터 삽입부(3b1) 상(도 7의 (a) 참조)을 미끄럼 이동하도록 하여, 보급 용기(1)의 일부(플랜지부(3))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셔터(4)는 셔터 개구(4j)를 가지며, 보급 용기(1)의 착탈 동작에 수반하여 보급 용기(1)의 배출구로서의 용기 배출구(3a4)를 개폐한다. 셔터(4)는,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보급 용기(1)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셔터 개구(4j)와 용기 배출구(3a4)가 연통되고, 또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가 연통된다. 이것에 의하여, 보급 용기(1) 내부의 현상제를 도입구(11a)로 배출 가능하게 된다. 즉, 플랜지부(3)와 셔터(4)에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부(700)(도 5의 (b) 참조)를 구성하며, 배출부(700)의 셔터(4)에는,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로서의 셔터 개구(4j)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3의 (a) 및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4)의 셔터 개구(4j)로부터 벗어난 위치에는 현상제 밀봉부(4a)가 마련되어 있다. 현상제 밀봉부(4a)는, 보급 용기(1)를 이탈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셔터(4)가 보급 용기(1)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용기 배출구(3a4)를 막는다. 또한 현상제 밀봉부(4a)는, 보급 용기(1)가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장착부(8f)(도 3의 (a) 참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용기 배출구(3a4)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한다. 현상제 밀봉부(4a)의 배면측(현상제 도입부(11)측)에는, 플랜지부(3)의 셔터 삽입부(3b1) 상을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면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셔터(4)는, 현상제 밀봉부(4a)를 상향으로 한 자세에서 플랜지부(3)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셔터(4)는, 보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셔터 스토퍼부(8a, 8b)(도 4의 (a) 참조)에 보유 지지되는 스토퍼부(4b, 4c)를 갖고 있다. 이 스토퍼부(4b, 4c) 중, 제1 스토퍼부(4b)는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 시에,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제1 셔터 스토퍼부(8a)와 걸림 결합하여 셔터(4)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위치를 고정한다. 제2 스토퍼부(4c)는 보급 용기(1)의 이탈 동작 시에,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제2 셔터 스토퍼부(8b)에 걸림 결합한다.
또한 셔터(4)는, 스토퍼부(4b, 4c)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4d)를 갖고 있다. 지지부(4d)는, 제1 스토퍼부(4b)와 제2 스토퍼부(4c)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현상제 밀봉부(4a)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스토퍼부(4b)와 지지부(4d)가 형성하는 각도 α는 예각으로 되도록 제1 스토퍼부(4b)는 경사져 있다. 그에 비해, 제2 스토퍼부(4c)와 지지부(4d)가 형성하는 각도 β는 둔각으로 되도록 제2 스토퍼부(4c)는 경사져 있다.
셔터 개구(4j)는, 보급 용기(1) 내의 현상제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이며, 셔터(4)가 플랜지부(3)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용기 배출구(3a4)와 셔터 개구(4j)가 연통된 경우에만 보급 용기(1) 내의 현상제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된다. 용기 배출구(3a4)와 셔터 개구(4j)가 연통되지 않은 경우에는, 현상제 밀봉부(4a)가 용기 배출구(3a4)를 막아서, 보급 용기(1) 밖으로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프트부(3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셔터(4)를 이용한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4)에는, 경사부로서의 셔터 경사부(4f)가 지지부(4d)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셔터 경사부(4f)는,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의 상류측(앞쪽측)으로부터 하류측(안쪽측)을 향하여 연직 방향 길이가 점차 길어지도록 경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셔터 경사부(4f)는 장착 방향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할수록 현상제 도입부측을 향하여 낮아지는 경사면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면 리프트부(30)도 셔터(4)와 상대 이동한다. 그 경우에, 리프트부(30)의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가 셔터 경사부(4f)와 미끄럼 이동됨으로써, 리프트부(30)는 셔터 경사부(4f)를 따라 연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된다.
또한 셔터 경사부(4f)의 경사면은,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셔터 경사부(4f)의 형상은, 리프트부(30)를 연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면, 예를 들어 만곡된 형상이어도 된다. 단, 보급 용기(1)의 착탈 동작에 수반하는 조작력을 일정하게 한다는 관점에 있어서는, 직선적인 경사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셔터 경사부(4f)의 보급 용기(1)의 착탈 방향에 대한 경사각은, 예를 들어 약 10 내지 50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약 40도로 설정하였다.
[현상제 도입부의 동작]
리프트부(30)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에 대한 접속 동작에 대하여, 도 12의 (a) 내지 도 13의 (b) 등을 참조하면서, 도 14의 (a) 내지 도 15의 (d)를 이용하여, 보급 용기(1)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장착 동작의 시계열순으로 설명한다. 도 14의 (a) 및 도 15의 (a)는 보급 용기(1)의 장착 개시 시, 도 14의 (b) 및 도 15의 (b)는 리프트부(30)의 상승 개시 시, 도 14의 (c) 및 도 15의 (c)는 리프트부(30)의 상승 도중, 도 14의 (d) 및 도 15의 (d)는 보급 용기(1)의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한다. 도 14의 (a) 내지 도 14의 (d)는, 보급 용기(1)와 현상제 도입부(11)의 접속부 근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d)는, 셔터(4)와 리프트부(30)의 관계에 특화된 도면이다. 또한 장착 동작이란, 보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하여 현상제가 보급 가능해지기까지의 동작을 가리킨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보급 용기(1)의 장착 개시 시에는, 셔터(4)의 제1 스토퍼부(4b)가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제1 셔터 스토퍼부(8a)와 맞닿기 전이므로, 보급 용기(1) 내에 있어서 셔터(4)와 리프트부(30)는 상대 이동하지 않고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셔터(4)와 리프트부(30)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셔터(4)의 경사부(4f)와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는,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가 접촉해 있지 않은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경사부(4f)와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가 비접촉 상태이면, 리프트부(30)는, 리프트 스토퍼부(3c)에 닿은 최하방 위치에 있고, 또한 리프트부(30)의 도입 지지부(30c)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지지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에 의하여 보급 용기(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도 3의 (b) 참조),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또한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도 14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삽입되면, 도 14의 (b)에 도시하는 것처럼 된다. 이 경우, 셔터(4)의 제1 스토퍼부(4b)와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제1 셔터 스토퍼부(8a)가 걸림 결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셔터(4)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셔터(4)의 위치가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하여 보유 지지됨으로써, 셔터(4)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의 이동은 정지되지만, 셔터(4)를 제외한 보급 용기(1)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으로의 이동은 유지된다. 또한 셔터 경사부(4f)와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가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을 개시한다. 나아가,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리프트부(30)의 도입 지지부(30c)에 의하여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 개시된다. 즉, 리프트부(30)는, 도입 지지부(30c)가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지지하는 위치(또는 지지 가능한 위치)로 이동된다. 이 경우, 용기 배출구(3a4)가 셔터(4)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된 상태로 유지된 그대로, 셔터 개구(4j)가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의 연직 방향 상방에 도달한다. 단, 현상제 도입부(11)는 초기 위치로부터 변위되어 있지 않으며,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구(11a)는 용기 배출구(3a4)(셔터 개구(4j))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계속해서, 도 14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면,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따라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가 셔터 경사부(4f)에 미끄럼 이동하면서 경사부(4f)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리프트부(30)는 실질적으로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리프트부(30)의 도입 지지부(30c)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는 점에서,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된다.
계속해서, 도 14의 (c)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면, 도 1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금 전과 마찬가지로 보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급 용기(1)는 장착 완료 위치에 도달한다. 장착 완료 위치에 있어서의 용기 배출구(3a4)와 리프트부(30)의 위치 관계는, 도 1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배출구(3a4)를 통과하는 평면 L(회전축선 P에 직교하는 평면)이 리프트부(30)를 지나는 관계에 있다. 또한 리프트부(30)의 도입 지지부(30c)(도 12의 (a) 참조)를 포함하는 평면은, 회전축선 P와 용기 배출구(3a4)의 사이에 배치되는 관계에 있다. 그리고 도 1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가 셔터 경사부(4f)의 정점부에 도달한 상태에서 리프트부(30)는 연직 방향 상방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 경우, 리프트부(30)에 피지지부(11b)가 지지되는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와 접속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제를 보급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2)의 현상제 수용부(2c) 내의 현상제는, 상술한 펌프부(5)의 왕복동에 의하여 저류부(3a3)로부터 용기 배출구(3a4)를 거쳐, 도입구(11a)를 통하여 서브 호퍼(8c)에 보급 가능하게(으로) 된다.
또한 도 1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 용기(1)가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하여 장착 완료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는,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의하여 리프트부(30)의 도입 지지부(30c)로 밀어붙여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현상제 도입부(11)의 연직 방향의 위치는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현상제 도입 장치(8)로부터의 보급 용기(1)의 이탈 동작에 따른 리프트부(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보급 용기(1)의 이탈 동작은 상술한 장착 동작의 반대의 수순으로 행해진다. 즉, 도 14의 (d) 및 도 15의 (d)로부터 도 14의 (a) 및 도 15의 (a)의 순에 따라 보급 용기(1)는 현상제 도입 장치(8)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이탈 동작이란, 보급 용기(1)가 현상제 도입 장치(8)로부터 취출 가능한 상태로 되는 동작까지를 가리킨다.
도 14의 (d)에 도시하는 장착 완료 위치에서, 보급 용기(1) 내의 현상제가 적어지면, 화상 형성 장치(100)(도 1 참조)에 마련된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에서, 조작자에게 보급 용기(1)의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새로운 보급 용기(1)를 준비한 조작자는, 도 2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교환용 커버(100b)를 열고, 현상제 도입 장치(8)로부터 보급 용기(1)를 이탈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뽑아낸다. 이 공정에 있어서는, 셔터(4)의 제2 스토퍼부(4c)가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제2 셔터 스토퍼부(8b)에 맞닿아 있는 점에서, 셔터(4)는, 보급 용기(1)를 이탈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이탈 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는다. 즉, 보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4의 (d)로부터 도 14의 (b)의 위치까지 보급 용기(1)가 취출되기까지 셔터(4)는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하여 변위 불가이며, 보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때, 도 15의 (d) 및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는 보급 용기(1)의 이탈 동작에 따라 연직 방향 하방으로 이동한다. 즉, 보급 용기(1)와 셔터(4)가 상대 이동하면, 리프트부(30)의 자중 및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의하여,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가 셔터 경사부(4f)를 미끄러져 내리듯이 셔터 경사부(4f)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리프트부(30)는 실질적으로 연직 방향 하방으로 이동되고, 리프트부(30)의 도입 지지부(30c)에 피지지부(11b)가 지지되어 있는 현상제 도입부(11)는 연직 방향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급 용기(1)의 추가적인 이탈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도입부(11)는 리프트부(30)에 의하여 연직 방향 하방으로 이동되어, 도 15의 (a)에 도시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리프트부(30)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로부터의 이격 동작이 종료된다.
그 후, 보급 용기(1)를 이탈 방향으로 더 취출하면, 셔터(4)의 제2 스토퍼부(4c)가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제2 셔터 스토퍼부(8b)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하여, 셔터(4)의 제2 스토퍼부(4c)가 제2 셔터 스토퍼부(8b)의 경사면을 따라 탄성 변형되어, 셔터(4)가 보급 용기(1)와 함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하여 이탈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된다. 즉, 셔터(4)가 용기 배출구(3a4)를 밀봉한다. 그리고 보급 용기(1)가 현상제 도입 장치(8)로부터 취출되었을 때, 셔터(4)는, 보급 용기(1)가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미장착 시의 위치까지 되돌아간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에 의하여 확실히 밀봉되어 있어서, 현상제 도입 장치(8)로부터 이탈된 보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가 비산되는 일이 없다.
[종래예]
여기서, 종래예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접속 동작에 대하여 도 77의 (a) 내지 도 77의 (d)를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77의 (a) 내지 도 7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예에서는, 플랜지부(3)의 측면에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와 걸림 결합하는 가이드부(310)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부(310)는, 보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 도입부(11)로의 보급이 가능한, 서로가 접속된 상태로 되도록, 화살표 A 방향으로의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도입부(11)를 보급 용기(1)를 향하여 변위시키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가이드부(310)는, 화살표 B 방향으로의 보급 용기(1)의 이탈 동작에 수반하여, 보급 용기(1)와 현상제 도입부(11)의 접속 상태가 끊기도록, 현상제 도입부(11)가 보급 용기(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가이드한다. 그렇게 하기 때문에, 가이드부(310)는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연직 방향으로 점차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는, 착탈 시에 보급 용기(1)에 걸리는 힘을 이용하여 현상제 도입부(11)(상세하게는 피지지부(11b))를, 가이드부(310)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 경우, 특히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 시에,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에 대하여, 가이드부(310)에 의하여 장착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힘과 연직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힘이 동시에 걸리기 쉽다. 그 때문에, 그것이 부하로 되어서 보급 용기(1)의 원활한 장착이 방해받기 쉬웠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에 대하여 리프트부(30)에 의하여 연직 방향 상방(보급 용기측)으로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한다. 이 경우,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힘은, 상술한 종래예에 비하면 극히 작아진다. 따라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도입부(11)를 이동시킬 때,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되고, 그에 따라 보급 용기의 원활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2 실시 형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4)에 셔터 경사부(4f)를, 리프트부(30)에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를 마련하고, 리프트부(3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셔터(4)를 이용하여 리프트부(30)를 동작시켰지만, 리프트부(30)를 동작시키는 기구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셔터와 리프트부를 복수의 기어에 의하여 연결하고, 리프트부와 셔터의 상대 이동에 의하여 그것들 기어를 구동시켜 리프트부를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21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프트부(30A)에 제2 랙 기어(30e)를, 셔터(4A)에 제1 랙 기어(4g)를 마련해 두고, 또한 그것들 기어를 연결하는 피니언 기어(40)를 하측 플랜지부(32)에 배치하고 있다. 그 외의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히 하고,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플랜지부]
제2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3A)를 도 16에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3A)는, 하측 플랜지부(32)의 측면에, 상술한 리프트 보유 지지부(3b)와 리프트 스토퍼부(3c)에 더해, 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피니언 기어 보유 지지부(3g)가 마련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 보유 지지부(3g)는, 도 17에 도시하는 피니언 기어(40)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로서의 피니언 기어(40)는, 제1 기어부(40a), 제1 기어부(40a)보다 직경이 큰 제2 기어부(40b)를 가지며, 그 중앙부에는, 상술한 피니언 기어 보유 지지부(3g)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40c)이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부]
제2 실시 형태의 리프트부(30A)를 도 18의 (a) 내지 도 18의 (b)에 도시한다. 도 18의 (a) 내지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부(30A)는 제1 실시 형태의 리프트부(30)와 비교하면, 셔터 미끄럼 이동부(30b) 대신 제2 랙 기어(30e)(리프트 기어)가, 리프트 본체부(30d)의 도입 지지부(30c)와 반대측의 면에 마련되어 있다. 변환 전달 기구로서의 제2 랙 기어(30e)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술한 피니언 기어(40)의 제1 기어부(40a)와 맞물린다.
[셔터]
제2 실시 형태의 셔터(4A)를 도 19에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4A)는 제1 실시 형태의 셔터(4A)와 비교하면, 지지부(4d)에 셔터 경사부(4f)(도 13의 (b) 참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 제1 랙 기어(4g)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 동작부로서의 제1 랙 기어(4g)는,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술한 피니언 기어(40)의 제2 기어부(40b)와 맞물린다.
도 20에, 상술한 리프트부(30A)와 셔터(4A)와 피니언 기어(40)를 조합한 본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1A)를 도시한다. 배출부(700)에 마련되는 피니언 기어(40)는 피니언 기어 보유 지지부(3g)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40)의 회전은, 리프트부(30A)와 셔터(4A)가 상대 이동할 때 생긴다. 즉, 플랜지부(3A)(상세하게는 하측 플랜지부(32))는, 이동이 규제된 셔터(4A)의 제1 랙 기어(4g) 상을 제2 기어부(40b)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40)를 회전시키면서, 셔터(4A)에 대하여 상대 이동한다. 그러면, 피니언 기어(40)의 회전이 제1 기어부(40a)에 맞물린 제2 랙 기어(30e)에 전달되고, 제2 랙 기어(30e)를 통하여 리프트부(30A)가 연직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제2 랙 기어(30e)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40)의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리프트부(30A)에 전달됨으로써 리프트부(30A)는 동작된다.
[현상제 도입부의 동작]
리프트부(30A)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에 대한 접속 동작에 대하여, 도 21의 (a) 및 도 21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1의 (a)는 리프트부(30A)의 상승 개시 시, 도 21의 (b)는 보급 용기(1A)의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한다. 또한 도 21의 (a) 및 도 21의 (b)에서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실제로는 리프트부(30A)에 겹쳐져서 보이지 않는 기어를 시각화하도록 도시하고 있다.
셔터(4A)의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나서 보급 용기(1)가 현상제 도입 장치(8)(도 3의 (a) 참조)의 장착 방향 안쪽으로 삽입되면, 리프트부(30A)가 셔터(4A)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 경우,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따라, 피니언 기어(40)가 셔터(4A)의 제1 랙 기어(4g)에 의하여 제2 기어부(40b)를 통하여 회전된다. 그리고 그 회전이 제1 기어부(40a)를 통하여 리프트부(30A)의 제2 랙 기어(30e)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하여 리프트부(30A)는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 개시한다. 그리고 리프트부(30A)의 도입 지지부(30c)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는 점에서, 현상제 도입부(11)는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계속해서, 도 21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면,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금 전과 마찬가지로 리프트부(30A)가 셔터(4A)에 대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급 용기(1)는 장착 완료 위치에 도달한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도입부(1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기어를 통하여 리프트부(30)를 동작시키고, 리프트부(30)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연직 방향 상방(보급 용기측)으로 들어올리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되고, 이에 따라 보급 용기의 원활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경우, 톱니바퀴에 의한 매끄러운 회전을 이용하여 리프트부(30)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보급 용기(1)를 장착할 때의 조작성이 가벼워진다. 따라서 조작자는 종래에 비해 보다 가벼운 힘으로 보급 용기(1)를 원활히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리프트부(3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랙 앤드 피니언 기어를 이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체를 이용하여 장착 방향의 직선 운동(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고, 다시 그 회전 운동을 연직 방향의 직선 운동(왕복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으면, 예를 들어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 등의 다른 기구를 이용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를 이용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에 대한 접속 동작을 행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셔터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셔터를 이용하는 일 없이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에 대한 접속 동작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22의 (a) 내지 도 31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히 하며,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1B)에 대하여, 도 22의 (a) 및 도 22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보급 용기(1B)는 주로, 용기 본체(2), 플랜지부(3B), 셔터(4B), 펌프부(5), 왕복 부재(6), 커버(7), 리프트 유닛부(300)를 갖는다. 리프트 유닛부(300)는 리프트부(30B)와 리프트 동작 암부(45)를 갖고 있으며, 리프트 유닛부(300)는 리프트 동작 암부(45)가 커버(7)로부터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보급 용기(1B)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부(3B)는 상측 플랜지부(31)와 하측 플랜지부(32B)로 이루어지며,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플랜지부(31)와 하측 플랜지부(32B)는, 셔터(4B)가 삽입된 상태에서 일체화되어 있다.
[플랜지부]
플랜지부(3B)에 대하여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3B)를 구성하는 하측 플랜지부(32B)의 폭 방향의 양 측벽에는, 리프트부(30B)(도 24의 (a) 참조)를 보유 지지하고 리프트부(30B)의 이동 방향을 규제함과 함께, 리프트부(30B)를 안내하는 규제 리브(3i)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안내 수단으로서의 규제 리브(3i)는 리프트부(30B)를 연직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도록, 보급 용기(1B)의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의 상류측이 하류측보다도 높아지도록 하여 연장 존재되어 있다. 또한 규제 리브(3i)에서는, 스냅 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리프트부(30B)의 탈락 방지가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측 플랜지부(32B)의 폭 방향의 양 측벽에는, 규제 리브(3i)보다도 장착 방향 하류측에, 리프트 동작 암부(45)를 착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3n)가 마련된다. 보유 지지 부재(3n)에는, 리프트 동작 암부(45)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플랜지부(32B)에는, 리프트 동작 암부(45)의 일부를 착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적재하는 적재 홈(3k)과, 리프트 동작 암부(45)를 장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41)(도 24의 (a) 참조)의 일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3p)가 형성된다. 적재 홈(3k)에 적재된 리프트 동작 암부(45)는, 커버(7A)(도 27 참조)에 의하여 보급 용기(1B)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리프트 유닛부]
리프트 유닛부(300)에 대하여, 도 24의 (a) 내지 도 25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유닛부(300)는, 리프트부(30B), 슬라이드 동작부로서의 리프트 동작 암부(45), 가압 부재(41)를 갖는다.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부(30B)는, 현상제 도입부(11)(상세하게는 피지지부(11b))를 지지할 수 있는 도입 지지부(30Ba)와, 하측 플랜지부(32B)의 규제 리브(3i)와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구멍(30Bd)가 형성된 본체부(30Bb)를 갖는다. 보유 지지부로서의 걸림 결합 구멍(30Bd)은, 하측 플랜지부(32B)의 규제 리브(3i)와 마찬가지로, 장착 방향의 상류측이 하류측보다도 높아지도록 형성되며, 규제 리브(3i)와 걸림 결합하여 리프트부(30B)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한다. 한편, 도 2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동작 암부(45)는, 한쪽 단부가 폭 방향으로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두 갈래로 갈라진 1쌍의 암(45b)은 보유 지지 부재(3n)의 관통 구멍에 통과되고,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부면이 리프트부(30B)의 맞닿음면(30Bc)에 맞닿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리프트 동작 암부(45)와 리프트부(30B)는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프트 동작 암부(45)와 리프트부(30B)는 일체 형성되어도 된다. 단, 그 경우, 리프트부(30B)가 규제 리브(3i)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리프트 동작 암부(45)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두 갈래로 갈라져 있지 않은 암(45a)은, 일부가 적재 홈(3k)에 적재되는 것이며, 커버(7A)에 맞닿게 하는 맞닿음면(45d)를 형성하도록, 다른 직경을 갖는 단차가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45a)의 가는 측이, 적재 홈(3k)으로부터 비어져 나와 커버(7A)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다. 암(45a)은, 선단부가 보급 용기(1)의 장착 시에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닿는 길이로 형성된다. 암(45a)과 1쌍의 암(45b)의 분기 위치에는, 가압 부재(41)를 설치하는 설치부(45c)가 마련되어 있다. 도 2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41)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다. 가압 부재(41)의 가압력에 의하여 리프트 동작 암부(45)는, 보급 용기(1)가 현상제 도입 장치(8)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버(7A)에 맞닿음면(45d)이 닿은 상태로 유지된다.
보급 용기(1B)의 장착 시, 리프트 동작 암부(45)의 선단부가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닿기까지는, 가압 부재(41)의 가압력에 의하여 리프트 동작 암부(45)에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의 힘이 걸린다. 그 경우, 리프트부(30B)는, 리프트 동작 암부(45)에 의하여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밀리지 않으므로,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하여 하측 플랜지부(32B)의 규제 리브(3i)에 걸림 결합 구멍(30Bd)의 상단측에서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리프트 동작 암부(45)의 선단부가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닿으면, 리프트 동작 암부(45)와 리프트 동작 암부(45)를 제외한 보급 용기(1)가 상대 이동하여, 리프트 동작 암부(45)에 가압 부재(4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이 걸린다. 그 결과, 리프트부(30B)는 리프트 동작 암부(45)에 의하여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려서,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플랜지부(32B)의 규제 리브(3i)에 의하여 걸림 결합 구멍(30Bd)의 하단측에서 보유 지지된다. 즉, 리프트부(30B)는 규제 리브(3i)를 따라 상승한다.
도 26의 (a) 및 도 26의 (b)에, 본 실시 형태에서 이용하는 셔터(4B)를 도시한다. 셔터(4B)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셔터(4)(도 13의 (b) 참조)와 비교하여, 셔터 경사부(4f)가 형성되지 않은 점이 다르다. 또한 도 27에, 본 실시 형태에서 이용하는 커버(7A)를 도시한다. 커버(7A)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커버(7)(도 11의 (a) 참조)와 비교하여, 리프트 동작 암부(45)(상세하게는 암(45a)의 맞닿음면(45d)보다도 장착 방향 하류측)를 통과시키는 구멍(7c)이 형성되는 점이 다르다.
[현상제 도입부의 동작]
리프트부(30B)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B)에 대한 접속 동작에 대하여, 도 28의 (a) 내지 도 31의 (b)를 이용하여, 보급 용기(1B)의 장착 동작의 시계열순으로 설명한다. 도 28의 (a) 및 도 28의 (b)는 보급 용기(1B)의 장착 개시 시, 도 29의 (a) 및 도 29의 (b)는 리프트부(30B)의 상승 개시 시, 도 30의 (a) 및 도 30의 (b)는 리프트부(30B)의 상승 도중, 도 31의 (a) 및 도 31의 (b)는 보급 용기(1B)의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한다. 또한 보급 용기(1B)의 이탈 동작에 따른 리프트부(30B)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B)로부터의 이격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접속 동작과 반대의 동작을 거쳐 가는 점에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8의 (a)에 도시한 보급 용기(1B)의 장착 개시 시, 셔터(4B)의 제1 스토퍼부(4b)와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제1 셔터 스토퍼부(8a)는 맞닿기 전이다. 그 경우, 보급 용기(1B) 내에 있어서 리프트 동작 암부(45)와 리프트부(30B)와 셔터(4B)는 상대 이동하지 않고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리프트 동작 암부(45)가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맞닿아 있지 않기 때문에, 리프트부(30B)는 리프트 동작 암부(45)에 의하여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밀리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도 2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부(30B)는 자중에 의하여 하측 플랜지부(32B)의 규제 리브(3i)에 걸림 결합 구멍(30Bd)의 상단측에서 보유 지지된다. 이때, 리프트부(30B)는 최하방 위치에 있고, 또한 리프트부(30B)의 도입 지지부(30Ba)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지지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에 의하여 보급 용기(1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B)의 용기 배출구(3a4)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또한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B)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도 28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B)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삽입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4B)의 제1 스토퍼부(4b)와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제1 셔터 스토퍼부(8a)가 걸림 결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셔터(4B)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셔터(4B)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정지된다. 그 한편, 셔터(4B)를 제외한 보급 용기(1B)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유지된다. 그리고 도 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동작 암부(45)의 선단부가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닿음과 함께,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리프트부(30B)의 도입 지지부(30Ba)에 걸림 결합하여 지지된다. 리프트 동작 암부(45)의 선단부가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닿음으로써, 리프트 동작 암부(45)는 리프트부(30B)를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밀기 시작한다. 이 경우, 용기 배출구(3a4)가 셔터(4B)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된 상태로 유지된 그대로, 셔터 개구(4j)가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의 연직 방향 상방에 도달한다. 단, 리프트 동작 암부(45)의 닿음 개시 시에 있어서, 현상제 도입부(11)는 초기 위치로부터 변위되어 있지 않으며, 도입구(11a)는 용기 배출구(3a4)(셔터 개구(4j))와 이격된 상태 그대로이다.
계속해서, 도 29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B)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면, 도 3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 용기(1B)가 셔터(4B)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단, 리프트부(30B)는, 보급 용기(1B)의 장착 동작에 따라 리프트 동작 암부(45)에 의하여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되밀린다. 리프트부(30B)는 리프트 동작 암부(45)에 되밀림으로써, 맞닿음면(30Bc)(도 24의 (b) 참조)이 리프트 동작 암부(45)에 미끄럼 이동되면서, 도 3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리브(3i)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리프트부(30B)는 실질적으로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리프트부(30)의 도입 지지부(30Ba)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지지되어 있는 점에서,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 개시된다. 단, 도입구(11a)는 보급 용기(1B)의 용기 배출구(3a4)와 아직 이격된 상태이다.
계속해서, 도 30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B)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면, 도 3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금 전과 마찬가지로 보급 용기(1B)가 셔터(4B)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급 용기(1B)는 장착 완료 위치에 도달한다. 이 경우, 리프트부(30B)는 리프트 동작 암부(45)에 의하여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더 되밀려, 도 3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리브(3i)에 의하여 걸림 결합 구멍(30Bd)의 하단측에서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리프트부(30B)는 연직 방향 상방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리프트부(30B)에 피지지부(11b)가 지지되는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B)의 용기 배출구(3a4)와 접속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제를 보급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때, 도 3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배출구(3a4)와 리프트부(30B)의 위치 관계는, 용기 배출구(3a4)를 통과하는 평면 L(회전축선 P에 직교하는 평면)이 리프트부(30B)를 지나는 관계에 있다. 또한 리프트부(30B)의 도입 지지부(30Ba)를 포함하는 평면은, 회전축선 P와 용기 배출구(3a4)의 사이에 배치되는 관계에 있다.
이상과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도입부(1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리프트 동작 암부(45)에 의하여 동작되는 리프트부(30B)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연직 방향 상방(보급 용기측)으로 들어올리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되고, 이에 따라 보급 용기의 원활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는, 셔터를 이용하는 일 없이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에 대한 접속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와는 다른 실시 형태이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히 하며,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셔터로, 예를 들어 상술한 셔터(4B)(도 26의 (a) 참조)를 이용한 경우를 나타내었다.
본 실시 형태의 현상제 도입 장치(8A)를 도 32의 (a) 및 도 32의 (b)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현상제 도입 장치(8A)에는, 현상제 도입부(11)를 사이에 두고 장착부(8f)와 반대측의 장착 방향 하류측에 인입 부재(50)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인입 부재(50)는, 보급 용기(1C)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보급 용기(1C)를 걸림 지지한 상태에서 회동함으로써, 보급 용기(1C)를 장착 방향의 소정의 장착 완료 위치까지 끌어들여 보유 지지한다.
도 33에 인입 부재(50)를 도시한다. 인입 부재(50)는 리프트 보유 지지부(50a)와 회전축부(50b)와 본체부(50c)와 고정부(50d)를 갖는다. 리프트 보유 지지부(50a)는, 본체부(50c)로부터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의 상류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보급 용기(1C)를 걸림 지지하기 위하여 선단부가 갈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입 부재(50)는 회전축부(50b)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축부(50b)를 리프트 보유 지지부(50a)의 굴곡부에 마련함으로써, 본체부(50c)가 회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리프트 보유 지지부(50a)의 선단부가 본체부(50c)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고 있다. 고정부(50d)는, 인입 부재(50)를 회동시켜 보급 용기(1C)를 장착 방향측으로 끌어들이는 힘을 얻기 위하여 마련되는, 후술하는 인입 가압 부재(51)(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도 37의 (a) 참조)의 일 단부를 고정하도록 본체부(50c)에 마련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입 부재(50)는, 보급 용기(1C)의 장착 시에 커버(7)를 통하여 장착 방향으로 밀리는 것에 따라, 가압 부재(51)의 가압력에 의하여 리프트 보유 지지부(50a)의 선단부를 상승시키도록 회동한다.
제4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1C)에 대하여 도 3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보급 용기(1C)는 주로, 용기 본체(2), 플랜지부(3C), 셔터(4B), 펌프부(5), 왕복 부재(6), 커버(7), 리프트부(30C)를 갖는다. 플랜지부(3C)는 상측 플랜지부(31)와 하측 플랜지부(32C)로 이루어지며, 상측 플랜지부(31)와 하측 플랜지부(32C)는, 셔터(4B)가 삽입된 상태에서 일체화되어 있다.
[플랜지부와 리프트부]
플랜지부(3C)와 리프트부(30C)에 대하여 도 35의 (a) 내지 도 36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35의 (a) 및 도 35의 (b)는 보급 용기(1C)의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3C)는, 하측 플랜지부(32C)의 상면측에 리프트부(30C)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리프트부(30C)는, 하측 플랜지부(32C)에 있어서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 상류측(현상제 도입 장치(8A)의 인입 부재(50)과 반대측)을 기점으로 장착 방향 하류측을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 플랜지부(32C)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하측 플랜지부(32C)에는, 리프트부(30C)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리프트부(30C)의 회동축(30Cb)을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32Ca)가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부(30C)는, 도 3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본체 암(30C1)과, 이들 본체 암(30C1)을 연결하는 연결부(30C2)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프트부(30C)가 하측 플랜지부(32C)의 상면측에 마련되는 점에서, 리프트부(30C)에 의하여 보급 용기(1C)의 용기 배출구(3a4)가 폐색되지 않도록 1쌍의 본체 암(30C1)은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다. 그렇게 되도록 연결부(30C2)의 폭 방향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본체 암(30C1)에는, 장착 방향 상류측(연결부(30C2)와 반대측)의 선단측에, 한쪽으로부터 다른 한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동축(30C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암(30C1)에는, 장착 방향 하류의 선단측(연결부(30C2)와 동일측)에, 회동축(30Cb)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하여 회동 동작부로서의 피걸림 지지부(30Ca)가 형성되어 있다. 피걸림 지지부(30Ca)는,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입 부재(50)(상세하게는 리프트 보유 지지부(50a))에 걸림 지지되고, 인입 부재(50)의 인입 동작에 수반하여 회동축(30Cb)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입 지지부(30Cc)를 동작시킨다.
또한 본체 암(30C1)에는, 도입 지지부(30Cc)가 회동축(30Cb)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하고, 또한 장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입 지지부(30Cc)는, 본체 암(30C1)에 있어서, 장착 방향에 관하여, 피걸림 지지부(30Ca)와 회동축(30Cb) 사이에 배치된다. 달리 말하면, 본체 암(30C1)에 있어서, 장착 방향에 관하여, 회동축(30Cb)으로부터 도입 지지부(30Cc)까지의 길이에 비해, 회동축(30Cb)으로부터 피걸림 지지부(30Ca)까지의 길이가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지지점이 회동축(30Cb), 힘점이 도입 지지부(30Cc), 작용점이 피걸림 지지부(30Ca)로 되며, 모멘트의 관계로부터 지지점으로부터 작용점까지의 거리에 비해 지지점으로부터 힘점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현상제 도입부(11)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이 저감될 수 있다.
도입 지지부(30Cc)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도 32의 (a) 참조)를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이 도입 지지부(30Cc)는, 도 3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이 장착 방향 상류측보다도 하류측에서 낮아지도록, 본체 암(30C1)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단, 도입 지지부(30Cc)는, 보급 용기(1C)의 장착 완료 시에 대략 수평 상태로 되도록, 그 보급 용기(1C)의 장착 방향에 대한 경사각이 설정되어 있다.
[현상제 도입부의 동작]
리프트부(30C)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C)에 대한 접속 동작에 대하여, 도 37의 (a) 내지 도 40의 (b)를 이용하여 보급 용기(1C)의 장착 동작의 시계열순으로 설명한다. 도 37의 (a) 및 도 37의 (b)는 보급 용기(1C)의 장착 개시 시, 도 38의 (a) 및 도 38의 (b)는 리프트부(30C)의 회동 개시 시, 도 39의 (a) 및 도 39의 (b)는 리프트부(30C)의 회동 도중, 도 40의 (a) 및 도 40의 (b)는 보급 용기(1C)의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한다. 또한 보급 용기(1C)의 이탈 동작에 따른 리프트부(30C)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C)로부터의 이격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접속 동작과 반대의 동작을 거쳐 가는 점에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7의 (a)에 도시한 보급 용기(1C)의 장착 개시 시, 셔터(4B)의 제1 스토퍼부(4b)와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제1 셔터 스토퍼부(8a)는 맞닿기 전이다. 그 경우, 보급 용기(1C) 내에 있어서 리프트부(30C)와 셔터(4B)는 상대 이동하지 않고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인입 가압 부재(51)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는 인입 부재(50)는 회동 개시하고 있지 않으며, 리프트부(30C)는 인입 부재(50)에 의하여 들어올려져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도 3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부(30C)는 자중에 의하여 대략 수평 상태로 유지된 그대로 장착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리프트부(30C)(상세하게는 도입 지지부(30Cc))는 최하방 위치에 있고, 또한 리프트부(30C)의 도입 지지부(30Cc)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지지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에 의하여 보급 용기(1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C)의 용기 배출구(3a4)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또한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B)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도 37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C)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삽입되면,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셔터(4B)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도 3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7)가 인입 부재(50)의 본체부(50c)에 맞닿음 개시된다. 이 이후, 보급 용기(1C)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는 것에 따라, 보급 용기(1C)는 인입 부재(50)에 의하여 장착 방향으로 인입 개시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그에 더해, 인입 부재(50)는 커버(7)를 통하여 장착 방향으로 밀리고, 인입 가압 부재(51)의 가압력에 따라 리프트 보유 지지부(50a)의 선단부를 상승시키게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이때는, 도 3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입 부재(50)의 리프트 보유 지지부(50a)의 선단부가 리프트부(30C)의 피걸림 지지부(30Ca)의 연직 방향 하방에 도달해 있다. 또한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리프트부(30C)의 도입 지지부(30Cc)에 의하여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 개시된다. 이 경우, 용기 배출구(3a4)가 셔터(4B)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된 상태로 유지된 그대로, 셔터 개구(4j)가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의 연직 방향 상방에 도달한다. 단, 도 3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부(30C)는 대략 수평 상태로 유지된 그대로이므로, 현상제 도입부(11)는 초기 위치로부터 변위되어 있지 않으며,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C)의 용기 배출구(3a4)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계속해서, 도 38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C)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면, 도 3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 용기(1C)가 셔터(4B)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또한 인입 부재(50)는 커버(7)를 통하여 보급 용기(1C)에 의하여 장착 방향으로 밀려서 회동함으로써, 도 3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부(30C)의 피걸림 지지부(30Ca)를 걸림 지지하고 리프트부(30C)를 들어올린다. 이것에 의하여, 리프트부(30C)의 도입 지지부(30Cc)가 실질적으로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리프트부(30C)의 도입 지지부(30Cc)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지지되어 있는 점에서,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 개시된다. 단, 도 3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구(11a)는 보급 용기(1C)의 용기 배출구(3a4)와 아직 이격된 상태이다.
계속해서, 도 39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C)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면, 도 4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금 전과 마찬가지로 보급 용기(1C)가 셔터(4B)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급 용기(1C)는 장착 완료 위치에 도달한다. 이 경우, 리프트부(30C)는, 도 4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 지지부(30Cc)가 최대 높이 위치까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인입 부재(50)에 의한 회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도입 지지부(30Cc)에 피지지부(11b)가 지지되는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C)의 용기 배출구(3a4)와 접속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제를 보급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때, 도 4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배출구(3a4)와 리프트부(30C)의 위치 관계는, 용기 배출구(3a4)를 통과하는 평면 L(회전축선 P에 직교하는 평면)이 리프트부(30C)를 지나는 관계에 있다. 또한 리프트부(30C)의 도입 지지부(30Cc)(도 36의 (b) 참조)를 포함하는 평면은, 회전축선 P와 용기 배출구(3a4)의 사이에 배치되는 관계에 있다.
이상과 같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도입부(1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보급 용기(1C)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는 리프트부(30C)의 동작을 인입 부재(50)에 의하여 행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연직 방향 상방(보급 용기측)으로 들어올리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인입 부재(50)는, 인입 가압 부재(51)의 가압력에 의하여 보급 용기(1C)를 장착 방향으로 끌어들일 뿐 아니라, 리프트부(30C)를 회동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리프트부(30C)가 현상제 도입부(11)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시킬 때, 인입 가압 부재(51)의 가압력이 관여하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예에 비해 적은 힘이어도 족하다. 즉,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되므로, 이에 따라 보급 용기의 원활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인입 부재(50)를 이용하여 리프트부(30C)를 회동시키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리프트부(30C)를 회동시키는 데 인입 부재(50)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즉, 현상제 도입 장치(8A)의 장착 방향 안쪽측의 벽면에 리프트부(30C)의 연결부(30C2)의 단부면을 맞닿게 하고, 리프트부(30C)를 현상제 도입 장치(8A)의 벽면에 미끄럼 이동시켜, 리프트부(30C)를 회동축(30Cb)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41 내지 도 45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는, 셔터를 이용하는 일 없이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에 대한 접속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술한 제3 및 제4 실시 형태와는 또 다른 실시 형태이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히 하며,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리프트부]
제5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1D)는,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용기 본체(2), 플랜지부(3D), 셔터(4D), 펌프부(5), 왕복 부재(6), 리프트부(30D), 도시하지 않은 커버, 또한 규제 부재(60), 가압 수단으로서의 가압 부재(61)를 갖는다. 플랜지부(3D)는 상측 플랜지부(31)와 하측 플랜지부(32D)로 이루어지며, 상측 플랜지부(31)와 하측 플랜지부(32D)는, 셔터(4D)가 삽입된 상태에서 일체화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하측 플랜지부(32D)에는 리프트부(30D)가 설치되어 있다. 리프트부(30D)는, 착탈 방향(화살표 A, B 방향)에 관하여 하측 플랜지부(32D)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한편, 리프트부(30D)는, 가압 부재(61)(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측 플랜지부(32D)에 설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61)는, 한쪽 단부가 하측 플랜지부(32D)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 단부가 리프트부(30D)에 고정되어서, 리프트부(30D)를 연직 방향 상방, 즉, 현상제 도입부(11)의 상기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와 연통되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프트부(30D)는 그 상면에,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도 4의 (c) 참조)를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는 도입 지지부(30Da)를 갖고 있다.
[규제 부재]
하측 플랜지부(32D)의 폭 방향 양단에는, 규제 부재(60)가 하측 플랜지부(32D)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착탈 방향(화살표 A, B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규제 부재(60)는, 리프트부(30D)를 가압 부재(6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내리누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측 플랜지부(32D)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 부재(60)에 의하여 리프트부(30D)가 내리눌려 있는 동안, 가압 부재(61)는 압축된 상태에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급 용기(1D)의 장착 동작에 따라 하측 플랜지부(32D)가 규제 부재(6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고, 그때, 리프트부(30D)가 그 상면(도입 지지부(30Da))을 규제 부재(60)에 미끄럼 이동되면서 장착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규제 부재(60)에 의한 리프트부(30D)의 압박 상태가 해제되면, 가압 부재(61)의 가압력에 의하여 리프트부(30D)는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겠지만, 규제 부재(60)와 리프트부(30D)를 상대 이동시키기 위하여, 규제 부재(60)에는, 보급 용기(1D)의 장착 시에 현상제 도입부(11)(상세하게는 이동 규제부(11c)(도 42의 (a) 참조))에 맞닿게 하는 맞닿음부(60a)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
본 실시 형태의 셔터(4D)에 대해서도, 플랜지부(3D)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단, 본 실시 형태의 셔터(4D)는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각 셔터와 달리, 현상제 도입부(11)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 장치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셔터(4D)는, 현상제 도입부(11)에 의하여 장착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셔터(4D)에는 스토퍼부(4Db)가 형성되고, 현상제 도입부(11)에는 이동 규제부(11c)(도 42의 (a)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 시에, 셔터(4D)의 스토퍼부(4Db)가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 규제부(11c)에 맞닿음으로써 셔터(4D)의 이동이 규제되어, 현상제 도입 장치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현상제 도입부의 동작]
리프트부(30D)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D)에 대한 접속 동작에 대하여, 도 42의 (a) 내지 도 45의 (b)를 이용하여 보급 용기(1D)의 장착 동작의 시계열순으로 설명한다. 도 42의 (a) 및 도 42의 (b)는 보급 용기(1D)의 장착 개시 시, 도 43의 (a) 및 도 43의 (b)는 리프트부(30D)의 상승 개시 시, 도 44의 (a) 및 도 44의 (b)는 리프트부(30D)의 상승 도중, 도 45의 (a) 및 도 45의 (b)는 보급 용기(1D)의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한다.
도 42의 (a)에 도시한 보급 용기(1D)의 장착 개시 시, 셔터(4D)의 스토퍼부(4Db)와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 규제부(11c)는 맞닿기 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현상제 도입부(11)에 있어서, 도입구(11a)를 갖는 대략 원통형의 기체부(11d)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연장 존재되며, 연직 방향 상방의 선단측에 피지지부(11b)를 갖는 L자형 암부가 이동 규제부(11c)를 형성하고 있다. 스토퍼부(4Db)와 이동 규제부(11c)가 맞닿아 있지 않는 경우, 보급 용기(1D) 내에 있어서 리프트부(30D)와 셔터(4D)는 상대 이동하지 않고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리프트부(30D)는, 연직 방향으로 보아 일부가 규제 부재(60)과 중첩된 그대로, 즉, 규제 부재(60)에 의하여 압박된 상태로 유지된 그대로, 규제 부재(60)와도 상대 이동하지 않고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이때, 리프트부(30D)는 최하방 위치에 있고, 또한 리프트부(30D)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지지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에 의하여 보급 용기(1D)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D)의 용기 배출구(3a4)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또한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D)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도 42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D)가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 안쪽으로 삽입되면, 도 43의 (a) 및 도 4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4D)의 스토퍼부(4Db)와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 규제부(11c)가 맞닿는다. 단, 규제 부재(60)의 맞닿음부(60a)와 이동 규제부(11c)는 아직 맞닿아 있지 않다. 즉,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 규제부(11c)에 대하여, 규제 부재(60)의 맞닿음부(60a)는 셔터(4D)의 스토퍼부(4Db)보다도 늦게 맞닿는다. 이 이후에는, 보급 용기(1D)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는 것에 따라, 셔터(4D)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정지되지만, 규제 부재(60)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정지되지 않는다. 또한 이때는, 도 4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부(30D)가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의 연직 방향 하방에 도달하고,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리프트부(30D)에 의하여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 개시된다. 이 경우, 용기 배출구(3a4)가 셔터(4D)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된 상태로 유지된 그대로, 셔터 개구(4j)가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의 연직 방향 상방에 도달한다. 단, 리프트부(30D)는, 규제 부재(60)에 의하여 압박된 상태로 유지된 그대로이므로, 현상제 도입부(11)는 초기 위치로부터 변위되어 있지 않으며,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계속해서, 도 43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D)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면, 도 44의 (a) 및 도 4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부재(60)의 맞닿음부(60a)와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 규제부(11c)가 맞닿는다. 이 이후에는, 보급 용기(1D)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는 것에 따라, 규제 부재(60)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정지되는 한편, 리프트부(30D)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으로의 이동이 계속된다. 즉, 리프트부(30D)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지지한 그대로 규제 부재(6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한다. 그러면, 규제 부재(60)에 의한 리프트부(30D)의 압박 상태가 해제되어(즉, 연직 방향으로 보아 규제 부재(60)와 리프트부(30D)가 중첩되어 있지 않음), 가압 부재(61)에 의한 가압력에 의하여 리프트부(30D)가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는 리프트부(30D)에 지지되어 있는 점에서, 현상제 도입부(11)는 리프트부(30D)의 연직 방향 상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 개시된다.
도 45의 (a) 및 도 45의 (b)에 보급 용기(1D)의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규제 부재(60)에 의한 압박 상태가 해제된 리프트부(30D)는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에 수반하여, 리프트부(30D)에 피지지부(11b)가 지지되는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와 접속된 상태, 즉, 현상제를 보급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급 용기(1D)의 장착 완료 시에 있어서의 가압 부재(61)에 의한 리프트부(30D)의 연직 방향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 부재(60)에 의하여 규제된다.
이상과 같이,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현상제 도입부(1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트부(30D)가 동작되므로,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되고, 이에 따라 보급 용기의 원활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가압 부재(61)에 의한 가압력에 의하여 도입구(11a)와 용기 배출구(3a4)의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에 접속될 때, 가압 부재(61)에 의한 가압력에 의하여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에 일정 충격을 가하는 점에서, 용기 배출구(3a4) 부근의 현상제를 풀어낼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제6 실시 형태>
상술한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4D)와는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규제 부재(60)로 하여금 리프트부(30D)를 압박하게 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규제 부재(60)를 셔터와 함께 이동시켜 리프트부(30D)를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제6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46의 (b) 내지 도 52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5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히 하며, 이하, 제5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6의 (a) 및 도 46의 (b)에 제6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1E)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1E)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규제 부재(60E)(도 48 참조)의 일부가 커버(7E)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규제 부재(60E)는, 하측 플랜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착탈 방향(화살표 A, B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7E)의 폭 방향의 양 측벽에는, 규제 부재(60E)의 일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7Ea)이 장착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 장치(8E)에는, 보급 용기(1E)의 장착 동작 시에 규제 부재(60E)의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8Ea)가, 현상제 도입부(11)보다도 장착 방향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60E)는 규제부(8Ea)에 맞닿아서 장착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규제 부재(60E)의 현상제 도입 장치(8E)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규제 부재(60E)의 위치가 현상제 도입 장치(8E)에 대하여 보유 지지되어, 규제 부재(60E)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으로의 이동은 정지되지만, 규제 부재(60E)를 제외한 보급 용기(1E)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으로의 이동은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도 48 참조) 셔터(4E)에 규제 부재(60E)가 설치되는 점에서, 규제 부재(60E)의 이동이 규제부(8Ea)에 의하여 규제되면, 셔터(4E)의 현상제 도입 장치(8E)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즉, 규제 부재(60E)는, 셔터(4E)의 현상제 도입 장치(8E)에 대한 상대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규제 부재]
도 48에 규제 부재(60E)와 셔터(4E)를 도시한다.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4E)는 현상제를 배출하는 셔터 개구(4j)와, 셔터(4)의 셔터 개구(4j)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현상제 밀봉부(4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셔터(4E)를 규제 부재(60E)와 일체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규제 부재(60E)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멍(4Ea)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60E)는, 장착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리프트 동작 암부(60Eb)와, 이들 리프트 동작 암부(60Eb)를 연결하는 연결부(60Ec)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60E)와 셔터(4E)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연결부(60Ec)에는, 셔터(4E)의 고정 구멍(4Ea)에 고정하는 고정부(60E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규제 부재(60E)에 의하여 셔터(4E)의 셔터 개구(4j)가 폐색되지 않도록, 1쌍의 리프트 동작 암부(60Eb)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다. 그렇게 되도록 연결부(60Ec)의 폭 방향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리프트 동작 암부(60Eb)에는, 스토퍼부(60Ea)가 장착 방향 상류측(연결부(60Ec)와 반대측)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60Ea)는 커버(7E)의 관통 구멍(7Ea)(도 46의 (b) 참조)으로부터 돌출되고, 보급 용기(1E)의 장착 동작 시에 현상제 도입 장치(8E)의 규제부(8Ea)(도 47 참조)에 맞닿도록, 폭 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프트 동작 암부(60Eb)는, 리프트부(30D)의 압박 상태를 생기게 하는 압박부(601)와, 리프트부(30D)의 압박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602)를 갖는, 도시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부(601)는, 해제부(602)보다도 장착 방향 상류측에 마련되고, 그의 폭 방향 길이는 해제부(602)보다도 길게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해제부(602)는 장착 방향에 관하여 압박부(601)와 연결부(60Ec)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이다.
[현상제 도입부의 동작]
리프트부(30D)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E)에 대한 접속 동작에 대하여, 도 49의 (a) 내지 도 52의 (b)를 이용하여, 보급 용기(1E)의 장착 동작의 시계열순으로 설명한다. 도 49의 (a) 및 도 49의 (b)는 보급 용기(1E)의 장착 개시 시, 도 50의 (a) 및 도 50의 (b)는 리프트부(30D)의 이동 도중, 도 51의 (a) 및 도 51의 (b)는 리프트부(30D)의 상승 개시 시, 도 52의 (a) 및 도 52의 (b)는 보급 용기(1E)의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한다. 또한 보급 용기(1E)의 이탈 동작에 따른 리프트부(30D)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E)로부터의 이격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접속 동작과 반대의 동작을 거쳐 가는 점에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9의 (a)에 도시한 보급 용기(1E)의 장착 개시 시, 규제 부재(60E)의 스토퍼부(60Ea)와 현상제 도입 장치(8E)의 규제부(8Ea)는 맞닿기 전이다. 그 경우, 보급 용기(1E) 내에 있어서, 리프트부(30D)는, 연직 방향으로 보아 규제 부재(60E)의 압박부(601)와 중첩된 그대로, 즉, 규제 부재(60E)에 의하여 압박된 상태로 유지된 그대로, 규제 부재(60E)와 함께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이때, 리프트부(30D)는 최하방 위치에 있고, 또한 리프트부(30D)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지지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에 의하여 보급 용기(1E)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E)의 용기 배출구(3a4)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또한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E)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도 49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E)가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 안쪽으로 삽입되면, 도 50의 (a) 및 도 5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부재(60E)의 스토퍼부(60Ea)와 현상제 도입 장치(8E)의 규제부(8Ea)가 맞닿는다. 이 이후에는, 보급 용기(1E)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는 것에 따라, 규제 부재(60E) 및 셔터(4E)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정지된다. 한편, 보급 용기(1E) 내에 있어서, 리프트부(30D)는 규제 부재(60E)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 경우, 용기 배출구(3a4)가 셔터(4E)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된 상태로 유지된 그대로, 셔터 개구(4j)가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의 연직 방향 상방에 도달한다. 단, 리프트부(30D)는, 연직 방향으로 보아 규제 부재(60E)의 압박부(601)와 중첩된 상태이다. 즉, 리프트부(30D)는 규제 부재(60E)에 의하여 압박된 상태로 유지된 그대로이므로, 현상제 도입부(11)는 초기 위치로부터 변위되어 있지 않으며,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계속해서, 도 50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E)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면, 도 51의 (a) 및 도 5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 이동하는 리프트부(30D)가 규제 부재(60E)의 해제부(602)에 도달한다. 그러면, 규제 부재(60E)에 의한 리프트부(30D)의 압박 상태가 해제되어, 가압 부재(61)에 의한 가압력에 의하여 리프트부(30D)가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때는, 리프트부(30D)가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의 연직 방향 하방에 도달하고,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리프트부(30D)에 의하여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 개시된다. 이것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는, 리프트부(30D)의 연직 방향 상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 개시된다.
도 52의 (a) 및 도 52의 (b)에 보급 용기(1E)의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규제 부재(60E)에 의한 압박 상태가 해제된 리프트부(30D)는, 가압 부재(61)의 가압력에 따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에 수반하여, 리프트부(30D)에 피지지부(11b)가 지지되는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와 접속된 상태, 즉, 현상제를 보급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현상제 도입부(1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트부(30D)가 동작되므로,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되고, 이에 따라 보급 용기의 원활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7 실시 형태>
상술한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보급 용기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장착 동작 시에 조작자에 의하여 주어지는 힘을 이용하여 리프트부를 동작시켜, 리프트부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의 보급 용기에 대한 접속 동작을 실현하였지만, 리프트부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터의 구동력이나 자석의 자력 등에 의하여 리프트부를 동작시켜도 된다. 그래서, 먼저 모터를 이용하여 리프트부를 동작시키는 제7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53의 (a) 내지 도 5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히 하며,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셔터로, 예를 들어 상술한 셔터(4B)(도 26의 (a) 참조)를 이용한 경우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53의 (a) 및 도 53의 (b)에서는 도시의 형편상, 현상제 도입 장치의 일부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보급 용기]
제7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1F)는, 도 53의 (a)나 도 5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용기 본체(2), 플랜지부(3F), 셔터(4B), 펌프부(5), 왕복 부재(6), 커버(7F), 또한 리프트부(30F), 승강 기구 K를 갖는다. 보급 용기(1F)는, 일부의 도시를 생략한 현상제 도입 장치(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보급 용기(1)의 장착 시에는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도 5의 (b) 참조)와 접속된다.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에 대하여 원근동하는 방향(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연직 방향 하방에는, 보급 용기(1)로부터 보급된 현상제를 일시적으로 저류해 두는 서브 호퍼(8C)가 마련되어 있다. 이 서브 호퍼(8c) 내에는,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스크루(14)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7F)에는, 현상제 도입 장치(8)에 형성된 돌기부(도시하지 않음)가 통과하는 구멍(7F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수단으로서의 승강 기구 K는, 상측 플랜지부(31)보다도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며, 플랜지부(3F), 펌프부(5), 왕복 부재(6) 등과 함께 커버(7F)에 덮여 있다.
[승강 기구]
승강 기구 K에 대하여 도 54의 (a) 내지 도 5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4의 (a)는, 승강 기구 K에 의한 리프트부(30F)의 이동 전을 도시하고, 도 54의 (b)는, 승강 기구 K에 의한 리프트부(30F)의 이동 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5는, 승강 기구 K의 제2 스위치(83)의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54의 (a) 및 도 5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기구 K는, 구동 모터(80), 전원(81), 제1 스위치(82), 제2 스위치(83), 모터 기어(84), 구동 기어(85), 승강 기어(86)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모터(80), 전원(81), 제1 스위치(82), 제2 스위치(83)가 에나멜선 등의 전선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구동 모터(80)는, 하측 플랜지부(32F)로부터 기립 설치된 대략 L자형의 모터 보유 지지부 Ka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모터 보유 지지부 Ka에는 구동 모터(80) 외에, 구동 모터(80)를 구동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81), 구동 모터(80)를 구동 개시시키는 제1 스위치(82), 구동 모터(80)를 구동 정지시키는 제2 스위치(83)가 보유 지지되어 있다. 제2 스위치(83)는, 대향 배치된 2매의 탄성 변형 가능한 도전성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그 2매의 금속판은 서로 접촉한 위치와 서로 이격된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모터 기어(84)는 구동 모터(80)의 모터축에 설치되며, 구동 모터(80)의 회전에 맞추어 회전한다. 구동 기어(85)는 모터 기어(84)에 맞물려서, 모터 기어(84)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한다. 또한 구동 기어(85)에는, 회전축의 둘레에 나선 홈을 갖는 원통형의 승강 기어(86)가 연직 방향 상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 기어(86)는 구동 기어(85)와 함께 화살표 V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승강 기어(86)에는 모터 기어(84) 및 구동 기어(85)를 통하여 구동 모터(80)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구동 모터(80)는, 제2 스위치(83)의 금속판이 서로 접촉한 상태일 때, 제1 스위치(82)가 눌리는 것에 따라 전원(81)으로부터 전력 공급되어 통전이 개시됨으로써 회전 개시한다. 그리고 구동 모터(80)는 전원(81)으로부터 전력 공급되어 회전 개시된 후에, 제2 스위치(83)의 금속판이 이격된 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따라 전원(81)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 회전 정지된다.
[리프트부]
리프트부(30F)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프트부(30F)는, 도입 지지부(30Fa), 회전 규제 돌기부(30Fb), 해제 돌기부(30Fc), 기어 끼워 맞춤 구멍(30Fd)을 갖는다. 도입 지지부(30Fa)는 리프트부(30F)의 폭 방향 양단측에, 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또한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입 지지부(30Fa)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기어 끼워 맞춤 구멍(30Fd)에는, 승강 기어(86)의 나선 홈과 맞물리도록 승강 기어(8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규제 돌기부(30Fb)는, 하측 플랜지부(32F)에, 연직 방향 상방을 향하여 기립 설치된 서로 대향하는 1쌍의 회전 규제부(87) 사이에 놓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리프트부(30F)는 승강 기어(86)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일 없이, 승강 기어(86)에 대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리프트부(30F)는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리프트부(30F)의 도입 지지부(30Fa)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는 경우,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된다.
[현상제 도입부의 동작]
다음으로, 리프트부(30F)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F)에 대한 접속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급 용기(1F)의 장착 개시 시에는 승강 기구 K가 동작하고 있지 않아서, 리프트부(30F)는 최하방 위치에 있고, 또한 리프트부(30F)의 도입 지지부(30Fa)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지지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에 의하여 보급 용기(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그 후, 보급 용기(1F)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면, 도 5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리프트부(30F)의 도입 지지부(30Fa)에 의하여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 개시된다. 단, 이때도 승강 기구 K는 아직 동작하고 있지 않다. 즉, 현상제 도입부(11)는 초기 위치로부터 변위되어 있지 않으며,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F)의 용기 배출구(3a4)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또한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B)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된 그대로이다.
보급 용기(1F)가 장착 완료 위치에 도달하면, 상술한 커버(7F)의 구멍(7Fa)를 통과하여 커버(7F) 내로 현상제 도입 장치(8)의 돌기부(도시하지 않음)가 침입하여 제1 스위치(82)를 누른다. 또한 셔터 개구(4j)와 용기 배출구(3a4)는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스위치(82)를 누르거나 눌림으로써 구동 모터(80)가 전원(81)으로부터 전력 공급되어 회전 개시되고, 모터 기어(84), 구동 기어(85)를 통하여 승강 기어(86)가 회전하여, 도 5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부(30F)는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리프트부(30F)의 도입 지지부(30Fa)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는 점에서,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1 스위치(82)의 조작은, 현상제 도입 장치(8)의 돌기부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급 용기(1)의 장착 완료 후에 조작자에 의하여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리프트부(30F)는,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돌기부(30Fc)가 제2 스위치(83)를 구성하는 금속판 중 1매(여기서는 연직 방향 상방에 배치된 금속판(83b))를 연직 방향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리프트부(30F)에 의한 밀어올림에 의하여 금속판(83b)가 탄성 변형되면, 금속판(83b)과 금속판(83a)은 접촉한 상태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전원(81)에 의한 구동 모터(80)에 대한 전력 공급이 끊기는 점에서, 구동 모터(80)는 회전을 정지된다. 구동 모터(80)가 회전 정지되면, 모터 기어(84), 구동 기어(85)를 통하여 회전하고 있는 승강 기어(86)의 회전도 정지되므로, 그 결과, 리프트부(30F)는 이동 정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리프트부(30F)가 이동됨으로써,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F)의 용기 배출구(3a4)와 접속된 상태까지 이동된다. 또한 그 경우에는, 용기 배출구(3a4)가 셔터(4B)로부터 노출되어, 용기 배출구(3a4)와 도입구(11a)가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제를 보급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보급 용기(1F)를 이탈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이탈시킨 경우, 리프트부(30F)의 도입 지지부(30Fa)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의 지지가 해제된다. 그렇게 하면,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의하여 연직 방향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상과 같이 제7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도입부(1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트부(30F)의 동작을 구동 모터(80)에 의하여 행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연직 방향 상방(보급 용기측)으로 들어올리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리프트부(30F)가 현상제 도입부(11)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시킬 때, 구동 모터(80)의 구동력이 부가되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예에 비해 적은 힘이어도 족하다. 즉,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되므로, 이에 따라 보급 용기의 원활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8 실시 형태>
다음으로, 자력을 이용하여 리프트부를 동작시키는 제8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56의 (a) 내지 도 6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히 하며,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면, 셔터(4G)에 셔터 경사부(4f) 대신 제1 자석(70)이 마련되어 있는 점, 리프트 보유 지지부(3b)에 일 단부에서 지지되는 리프트부(30G)에 제2 자석(71)이 마련되어 있는 점이 크게 다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1 자석(70)과 제2 자석(7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급 용기(1G)의 장착 시에 서로가 대향했을 때,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이 동일한 극성이도록 각각 마련되어 있다. 즉, 제1 자석(70)은, 셔터(4G)의 리프트부(30G)측(지지부측)이 소정의 극성이도록 배치되고, 제2 자석(71)은, 리프트부(30G)의 셔터(4G)측(셔터측)이 동일한 극성이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자석(70)과 제2 자석(71)이 대향하였을 경우, 제1 자석(70)과 제2 자석(71)은 서로 상호 반발한다. 제2 자석(71)은 도 5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 지지부(30c)의 연직 방향 하방측에 마련된다. 이에 비해, 제1 자석(70)은 도 57의 (a) 및 도 5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4G)의 스토퍼부(4b, 4c)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4d)에 마련된다. 또한 셔터(4G)는 현상제를 배출하는 셔터 개구(4j)와, 셔터(4)의 셔터 개구(4j)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현상제 밀봉부(4a)가 마련되어 있다.
[현상제 도입부의 동작]
리프트부(30G)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G)에 대한 접속 동작에 대하여, 도 58의 (a) 내지 도 61의 (b)를 이용하여, 보급 용기(1G)의 장착 동작의 시계열순으로 설명한다. 도 58의 (a) 및 도 58의 (b)는 보급 용기(1G)의 장착 개시 시, 도 59의 (a) 및 도 59의 (b)는 리프트부(30G)의 상승 개시 시, 도 60의 (a) 및 도 60의 (b)는 리프트부(30G)의 상승 도중, 도 61의 (a) 및 도 61의 (b)는 보급 용기(1G)의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한다. 또한 보급 용기(1G)의 이탈 동작에 따른 리프트부(30G)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G)에 대한 이격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접속 동작과 반대의 동작을 거쳐 가는 점에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8의 (a)에 도시한 보급 용기(1G)의 장착 개시 시에는, 보급 용기(1G) 내에 있어서 셔터(4G)와 리프트부(30G)와는 상대 이동하지 않고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셔터(4G)와 리프트부(30G)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셔터(4G)의 제1 자석(70)과 리프트부(30G)의 제2 자석(71)은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의 간격이 유지된다. 그 경우, 제1 자석(70)과 제2 자석(71)은 대향하고 있지 않아서 서로의 자력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서로가 상호 반발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리프트부(30G)는 리프트 스토퍼부(3c)에 닿은 최하방 위치에 있고, 또한 리프트부(30G)의 도입 지지부(30c)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지지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에 의하여 보급 용기(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G)의 용기 배출구(3a4)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또한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G)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도 58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G)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삽입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4G)의 제1 스토퍼부(4b)와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제1 셔터 스토퍼부(8a)가 걸림 결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셔터(4G)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셔터(4G)의 위치가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하여 보유 지지됨으로써, 셔터(4G)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의 이동은 정지되지만, 셔터(4G)를 제외한 보급 용기(1G)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으로의 이동은 유지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도 5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리프트부(30G)의 도입 지지부(30c)에 의하여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 개시된다. 이 경우, 용기 배출구(3a4)가 셔터(4G)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된 상태로 유지된 그대로, 셔터 개구(4j)가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의 연직 방향 상방에 도달한다. 단, 제1 자석(70)과 제2 자석(71)은 대향하고 있지 않아서 서로의 자력 영향이 약하기 때문에, 현상제 도입부(11)는 초기 위치로부터 변위되어 있지 않으며,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G)의 용기 배출구(3a4)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계속해서, 도 59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G)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면, 도 6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 용기(1G)가 셔터(4G)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때,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G)로부터 노출되어 있지 않으며,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아직 밀봉된 그대로이다. 또한 이 경우, 도 6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자석(70)과 제2 자석(71)이 대향한 상태로 되므로, 동일한 극성의 제1 자석(70)과 제2 자석(71)은 상호 반발한다. 이것에 의하여, 리프트부(30G)는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리프트부(30G)의 도입 지지부(30c)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는 점에서,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1 자석(70)과 제2 자석(71)이 상호 반발하는 점에서, 셔터(4G)에 대해서도 연직 방향 하방으로의 힘이 걸린다. 그러나 셔터(4G)는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장착부(8f)에 보유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4G)는 자력의 영향을 받더라도 연직 방향의 위치가 유지된다.
계속해서, 도 60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G)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면, 도 6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금 전과 마찬가지로 보급 용기(1G)가 셔터(4G)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급 용기(1G)는 장착 완료 위치에 도달한다. 또한 도 6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자석(70)이 제2 자석(71)의 연직 방향의 대략 중앙에 도달하여, 제1 자석(70)과 제2 자석(71)의 반발력이 최대로 되므로, 리프트부(30G)는 연직 방향 상방의 최대 도달 위치에서 이동이 정지된다. 이 경우, 리프트부(30G)에 피지지부(11b)가 지지되는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G)의 용기 배출구(3a4)와 접속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제를 보급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제8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도입부(1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트부(30G)의 동작을 제1 자석(70)과 제2 자석(71)에 의하여 행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연직 방향 상방(보급 용기측)으로 들어올리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리프트부(30G)가 현상제 도입부(11)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시킬 때, 제1 자석(70)과 제2 자석(71)으로부터 발해지는 자력의 반발력이 부가되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예에 비해 적은 힘이어도 족하다. 즉,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되므로, 이에 따라 보급 용기의 원활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도입 지지부(30c)에 지지된 피지지부(11b)가 도입 지지부(30c)의 상면(대략 수평면)을 이동한다. 상술한 종래예와 같은 피지지부(11b)가 경사진 가이드부(310)에 미끄럼 이동되는 경우에 비교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지지부(11b)가 수평면에 미끄럼 이동하는 경우에는, 보급 용기(1G)를 장착할 때의 수평 방향(장착 방향)으로 걸리는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보급 용기의 보다 원활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
<제9 실시 형태>
상술한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4G)와 일체적으로 제1 자석(70)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존의 셔터에 제1 자석(70)을 용이하게 부가할 수 있도록, 셔터와는 별체의 자석 부재를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그러한 제9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62의 (a) 내지 도 63의 (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8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히 하며, 이하, 제8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2의 (a) 및 도 62의 (b)에 본 실시 형태의 설치 부재(72)를 도시한다. 설치 부재(72)는, 상술한 셔터(4B)(도 26의 (a) 참조)에 중첩되어 이용되는 것이며, 셔터(4B)의 스토퍼부(4b, 4c)에 동일한 형상의 스토퍼부(72b, 72c)와, 지지부(4d)에 동일한 형상의 지지부(72d)를 갖고 있다. 즉, 설치 부재(72)는 셔터(4B)에 중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 상방에서 보아, 외관이 셔터(4B)와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설치 부재(72)는 셔터(4B)와 마찬가지로,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셔터 스토퍼부(8a, 8b)(도 4의 (a) 참조)에 보유 지지됨으로써, 셔터(4B)와 함께 그것들 이외의 보급 용기(1G)의 일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63의 (a) 내지 도 6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 용기(1G)에 있어서, 설치 부재(72)는 셔터(4B)의 연직 방향 상방에 중첩된 상태에서 셔터(4B)에 설치된다. 그리고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착탈 시에는, 설치 부재(72)의 스토퍼부(72b, 72c)가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셔터 스토퍼부(8a, 8b)와 걸림 결합하여, 설치 부재(72)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셔터(4B)의 스토퍼부(4b, 4c)도 셔터 스토퍼부(8a, 8b)와 걸림 결합하여, 셔터(4B)도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1 자석(70)은 스토퍼부(72b, 72c)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1 자석(70)은 설치 부재(72)가 셔터(4B)에 중첩된 경우에, 상술한 셔터(4G)에 있어서의 제1 자석(70)의 배치 위치와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설치 부재(72)가 현상제 도입 장치(8)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자석(70)과 리프트부(30G)의 제2 자석(71)의 위치 관계가, 상술한 제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위치 관계로 된다. 이것에 의하면, 보급 용기(1G)의 장착 시, 자력을 이용하여 리프트부(30G)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시켜, 현상제 도입부(11)를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G)의 용기 배출구(3a4)와 접속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치 부재(72)는, 셔터를 갖고 있지 않고, 보급 용기(1G)의 용기 배출구(3a4)(도 5의 (b) 참조)를, 셔터 대신 필름형 시일 부재(도시하지 않음)로 밀봉한 구성의 것에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보급 용기(1G)가 현상제 도입 장치(8)에 장착된 후에, 조작자에 의하여 시일 부재가 잡아뽑힘으로써, 보급 용기(1G) 내의 현상제를 공급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더라도, 상술한 설치 부재(72)를 마련함으로써, 자력을 이용하여 리프트부(30G)를 동작시켜, 현상제 도입부(11)를 보급 용기(1G)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제9 실시 형태는 셔터의 유무에 관계 없이 적용 가능하다.
<제10 실시 형태>
또한 중력을 이용하여 리프트부를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러한 제10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64 내지 도 7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히 하며,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4에 제10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1H)를 도시한다. 보급 용기(1H)는 주로, 용기 본체(2), 플랜지부(3H), 셔터(4H), 펌프부(5), 왕복 부재(6), 커버(7), 리프트부(30H), 추(90)를 갖는다. 추(90)는, 상측 플랜지부(31)보다도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 하류측에, 또한 셔터(4H)의 연직 방향 상방에 배치되며, 플랜지부(3H), 펌프부(5), 왕복 부재(6) 등과 함께 커버(7)에 덮여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90)는 커버(7) 내에 있어서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셔터(4H)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추]
도 65의 (a) 및 도 65의 (b)에 추(90)를 도시한다. 추(90)는 폭 방향 양단측에 돌기부(90a)를 갖고 있다. 돌기부(90a)는 연직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90a)에는, 후술하는 와이어의 일 단부가 고정된다. 또한 추(90)는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에 관하여 중앙부보다 하류측에, 상류측의 저면보다도 연직 방향 하방으로 돌출된 셔터 피지지부(90b)를 갖고 있다. 이 셔터 피지지부(90b)에 셔터(4H)가 맞닿음으로써 추(90)가 셔터(4H)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추(90)는, 셔터 피지지부(90b)를 포함하는 연직 방향 하방측의 폭 방향 길이가 연직 방향 상방측의 폭 방향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는 와이어 등을 통과시킬 스페이스를 추(90)의 폭 방향 양단측에 확보하기 위함이다.
[플랜지부]
플랜지부(3H)에 대하여 도 6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하측 플랜지부(32H)는, 후술하는 셔터(4H)가 삽입되는 셔터 삽입부(3b1)를 구비하고 있다. 하측 플랜지부(32H)는, 셔터(4H)가 셔터 삽입부(3b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측 플랜지부(31)와 일체화되어 있다. 하측 플랜지부(32H)의 폭 방향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리프트부(30H)(도 67 참조)를 연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리프트 보유 지지부(92)가 슬릿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리프트 보유 지지부(92)보다도 장착 방향 하류측에는, 상술한 추(90)의 돌기부(90a)를 연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추 보유 지지부(93)가 슬릿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리프트부(30H)는 리프트 보유 지지부(92)에 의하여, 추(90)는 추 보유 지지부(93)에 의하여 각각 착탈 방향(화살표 A, B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상측 플랜지부(31)의 폭 방향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와이어를 통하여 보유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보유 지지부(91)가 마련되어 있다.
[리프트부]
도 67에 리프트부(30H)를 도시한다. 리프트부(30H)는, 끼워 맞춤부(30Ha)와, 와이어 접속부(30Hb)와, 도입 지지부(30c)와, 리프트 본체부(30d)를 갖는다. 리프트 본체부(30d)에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도 4의 (c) 참조)를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는 도입 지지부(30c)가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 본체부(30d)의 도입 지지부(30c)와 반대측에는, 후술하는 와이어의 일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접속부(30Hb)가 마련된다. 끼워 맞춤부(30Ha)는, 리프트 본체부(30d)의 도입 지지부(30c)와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리프트 본체부(30d)와 와이어 접속부(30Hb)를 연결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 맞춤부(30Ha)는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에 관하여, 리프트 본체부(30d), 와이어 접속부(30Hb) 각각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이 끼워 맞춤부(30Ha)가 하측 플랜지부(32H)의 리프트 보유 지지부(92)에 끼워 맞춤됨으로써, 리프트부(30H)는 플랜지부(3H)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셔터]
도 68에 셔터(4H)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력에 따라 이동하는 추(90)에 의하여 리프트부(30H)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셔터(4H)를 이용한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셔터(4H)에는 추 지지부(4H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이동 부재로서의 추 지지부(4H1)는,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의 하류측 단부에 폭 방향 전역에 걸쳐서 보급 용기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추 지지부(4H1)는, 장착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연직 방향 길이가 점차 짧아지도록 경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추 지지부(4H1)는, 장착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할수록 현상제 도입부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급 용기(1H)가 셔터(4H)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면, 추(90)도 셔터(4H)와 상대 이동한다. 그 경우에, 추(90)가 중력에 따라 추 지지부(4H1)에 미끄럼 이동하면서 이동함으로써, 추(90)에 와이어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부(30H)는 연직 방향으로 이동된다.
[와이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추(90)와 리프트부(30H)는, 도 69의 (a) 및 도 6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9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동 부재이고 또한 끈형 부재인 와이어(95)의 일 단부는 추(90)의 돌기부(90a)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리프트부(30H)의 와이어 접속부(30Hb)(도 67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95)은 상측 플랜지부(31)의 제1 와이어 보유 지지부(91)와, 하측 플랜지부(32H)의 추 보유 지지부(93)에 형성된 제2 와이어 보유 지지부(94)를 통과됨으로써, 휘지 않도록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추(90)의 변위량과 리프트부(30H)의 변위량은 대략 동일해진다. 또한 와이어(95)의 길이는, 추(90)가 연직 방향 최상방에 위치할 때 리프트부(30H)가 연직 방향 최하방에 위치하고, 추(90)가 연직 방향 최하방에 위치할 때 리프트부(30H)가 연직 방향 최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현상제 도입부의 동작]
리프트부(30H)에 의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보급 용기(1H)에 대한 접속 동작에 대하여 도 70의 (a) 내지 도 74를 이용하여, 보급 용기(1H)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장착 동작의 시계열순으로 설명한다. 도 70의 (a) 및 도 70의 (b)는 보급 용기(1H)의 장착 개시 시, 도 71의 (a) 및 도 71의 (b)는 리프트부(30H)의 상승 개시 시를 도시한다. 또한 도 72의 (a) 및 도 72의 (b)는 리프트부(30H)의 상승 도중, 도 73의 (a) 및 도 73의 (b)는 리프트부(30H)의 상승 완료 시, 도 74는 보급 용기(1H)의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한다.
도 70의 (a)에 도시한 보급 용기(1H)의 장착 개시 시에는, 보급 용기(1H) 내에 있어서 셔터(4H)와 리프트부(30H)는 상대 이동하지 않고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셔터(4H)와 리프트부(30H)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추(90)는 추 지지부(4H1)의 최상면에서 셔터(4H)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도 7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90)는 연직 방향 최상방에 위치하므로, 리프트부(30H)는 리프트 스토퍼부(3c)에 닿은 최하방 위치에 있다. 또한 리프트부(30H)의 도입 지지부(30c)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지지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에 의하여 보급 용기(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도 3의 (b) 참조), 도입구(11a)가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또한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H)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도 70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H)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삽입되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셔터(4H)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셔터(4H)를 제외한 보급 용기(1H)의 현상제 도입부(11)에 대한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유지된다. 그 때문에,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H)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도 7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리프트부(30H)의 도입 지지부(30c)에 지지된다. 단, 추(90)는 추 지지부(4H1)의 최상면에 지지된 연직 방향 최상방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된 그대로이다. 따라서 리프트부(30H)는 연직 방향 최하방에 위치한 그대로이므로, 현상제 도입부(11)는 초기 위치로부터 변위되어 있지 않으며, 도입구(11a)는 보급 용기(1H)의 용기 배출구(3a4)와 이격된 상태 그대로이다.
계속해서, 도 71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H)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면, 도 7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 용기(1H)가 셔터(4H)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때,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H)로부터 노출되어 있지 않으며,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아직 밀봉된 그대로이다. 또한 이 경우에는, 보급 용기(1H)의 장착 동작에 따라, 추(90)는 중력에 따라 추 지지부(4H1)에 미끄럼 이동되면서 연직 방향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도 7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부(30H)는 와이어(95)를 통하여 추(90)에 잡아당겨져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리프트부(30H)의 도입 지지부(30c)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가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는 점에서,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추(90)가 추 지지부(4H1)에 따라 연직 방향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리프트부(30H)는 추(90)가 변위한 변위량과 동일한 양의 변위만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한다. 단, 도입구(11a)는, 보급 용기(1H)의 용기 배출구(3a4)와 아직 이격된 상태이다. 또한 이 경우,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H)로부터 노출되어 있지 않으며,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아직 밀봉된 그대로이다.
일례로서, 추(90)는 놋쇠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체적 43㎤로 형성된다. 그 경우, 추(90)의 중량은 360g이다. 그리고 현상제 도입부(11)를 보급 용기(1H)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12)는, 가압력이, 예를 들어 300g으로 설정된다.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은, 추(90)의 중량과 리프트부(30H)의 중량(예를 들어 10g)의 가산값보다도 낮은 값으로 설정된다. 그 때문에, 추(90)의 이동에 따라 리프트부(30H)가 와이어(95)를 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추(90)의 체적이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리프트부(30H)의 중량과의 가산값이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을 상회하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계속해서, 도 72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H)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면, 도 7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 용기(1H)가 셔터(4H)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므로, 추(90)가 중력에 따라 보다 연직 방향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보급 용기(1H)의 장착 동작에 따라 추(90)가 연직 방향 최하방까지 이동하면, 리프트부(30H)는 연직 방향 최상방까지 이동하여 정지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리프트부(30H)에 피지지부(11b)가 지지되는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셔터 개구(4j)와 접속된 상태에 있지만,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H)로부터 노출되어 있지 않으며,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하여 밀봉된 그대로이다.
그리고 도 73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보급 용기(1H)가 장착 방향 안쪽으로 더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보급 용기(1H)가 셔터(4H)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보급 용기(1H)는 장착 완료 위치에 도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경우에, 도 7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배출구(3a4)가 셔터(4H)로부터 노출되고, 용기 배출구(3a4)와 도입구(11a)가 연통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제를 보급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때, 도 7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배출구(3a4)와 리프트부(30H)의 위치 관계는, 용기 배출구(3a4)를 통과하는 평면 L(회전축선 P에 직교하는 평면)이 리프트부(30H)를 지나는 관계에 있다. 또한 리프트부(30H)의 도입 지지부(30c)를 포함하는 평면은, 회전축선 P와 용기 배출구(3a4)의 사이에 배치되는 관계에 있다.
반대로, 보급 용기(1H)가 이탈될 때는, 보급 용기(1H)의 이탈 동작에 수반하여, 셔터(4H)에 의하여 추(90)가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한다. 추(90)가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리프트부(30H)는 자중과, 현상제 도입부(11)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의하여, 연직 방향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제 도입부(11)는 보급 용기(1H)와 반대측으로 이동하며, 즉, 이격된다.
이상과 같이,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도입부(1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트부(30H)의 동작을 추(90)의 이동에 의하여 행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연직 방향 상방(보급 용기측)으로 들어올리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리프트부(30H)가 현상제 도입부(11)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시킬 때, 추(90)에 의한 인장력이 부가되므로, 상술한 종래예에 비해 적은 힘이어도 족하다. 즉,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되므로, 이에 따라 보급 용기의 원활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셔터(4H)의 추 지지부(4H1)의 경사각이나, 추 지지부(4H1)의 장착 방향의 배치 위치를 바꿈으로써, 들어올림 타이밍이나 들어올림 속도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설계 자유도가 높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4H)에 추(90)를 보유 지지시키는 추 지지부(4H1)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셔터(4H)와는 별체의 부재에 상술한 추 지지부(4H1)를 마련해 두고, 이 부재를, 추 지지부(4H1)를 갖고 있지 않은, 예를 들어 셔터(4B)(도 26의 (a) 참조)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제11 실시 형태>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중력을 이용하여 리프트부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추(90)의 변위를, 와이어(95)를 이용하여 리프트부(30H)에 전달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추(90)의 변위를, 와이어(95)를 이용하는 일 없이 회동 부재를 이용하여 리프트부에 전달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와 같은 제1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75 및 도 7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5는, 본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1J)의 장착 개시 시를 도시하고, 도 76은, 본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1J)의 장착 완료 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히 하며, 이하, 제10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보급 용기(1J)는, 플랜지부(3J)에 있어서, 리프트부(30J)가 하측 플랜지부(32J)의 폭 방향 양 단부에 마련된 회동축(32Ja)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리프트부(30J)는,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는 도입 지지부(30Ja)가, 회동축(32J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리프트 본체부(30Jb)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입 지지부(30Ja)는, 회동 동작부로서의 리프트 본체부(30Jb)와 일체적으로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 상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리프트 본체부(30Jb)는 장착 방향의 하류측에서 추(90)의 돌기부(90a)에 맞닿음 가능하게, 상류측에서 도입 지지부(30Ja)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지지 가능하게,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 플랜지부(32J)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급 용기(1J)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추(90)가 중력에 의하여 셔터(4H)의 추 지지부(4H1)(도 68 참조)를 따라 연직 방향 하방으로 이동하면, 도입 지지부(30Ja)가 형성되지 않은 리프트 본체부(30Jb)의 일 단부측이 돌기부(90a)에 밀려내려간다. 그렇게 하면, 도 7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본체부(30Jb)는 회동축(32Ja)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에 앞서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지지 완료한 도입 지지부(30Ja)를 들어올린다. 그리고 보급 용기(1J)의 장착 동작에 따라 추(90)가 연직 방향 최하방까지 이동하면, 도입 지지부(30Ja)는 연직 방향 최상방까지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가 보급 용기(1J)측을 향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되므로, 보급 용기(1J)의 용기 배출구(3a4)와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를 접속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제를 보급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때, 도 7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배출구(3a4)와 리프트부(30J)의 위치 관계는, 용기 배출구(3a4)를 통과하는 평면 L(회전축선 P에 직교하는 평면)이 리프트부(30J)를 지나는 관계에 있다. 또한 리프트부(30J)의 도입 지지부(30Ja)를 포함하는 평면은, 회전축선 P와 용기 배출구(3a4) 사이에 배치되는 관계에 있다.
반대로, 보급 용기(1J)가 이탈될 때는, 보급 용기(1J)의 이탈 동작에 수반하여, 셔터(4H)에 의하여 추(90)가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한다. 추(90)가 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하면, 리프트 본체부(30Jb)는 도입 지지부(30Ja)의 중량과, 현상제 도입부(11)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12)의 가압력에 의하여, 도입 지지부(30Ja)가 형성된 타 단부측이 하방으로 내려간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제 도입부(11)는 보급 용기(1J)와 반대측으로 이동, 즉, 이격된다.
이상과 같이, 제11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리프트부(30J)의 동작을 추(90)의 이동에 의하여 행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피지지부(11b)를 연직 방향 상방(보급 용기측)으로 들어올리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이동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되므로, 이에 따라 보급 용기의 원활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점의 위치, 즉, 회동 중심을 바꿈으로써 추(90)의 무게를 가볍게 하여 변위량을 증가시키거나, 반대로 추(90)를 무겁게 하여 변위량을 감소시키는 등의 변경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등에 적합한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이 제공된다.
1: 현상제 보급 용기(보급 용기)
2c: 현상제 수용부
3a4: 배출구(용기 배출구)
3i: 안내 수단(규제 리브)
4(4A, 4B, 4D, 4E, 4G, 4H): 셔터
4f: 경사부(이동 기구, 셔터 경사부)
4g: 회전 동작부(제1 랙 기어)
4H1: 이동 부재(추 지지부)
8: 현상제 도입 장치
11: 현상제 도입부
11a: 도입구
11b: 피지지부
30(30A 내지 30H, 30J): 지지부(리프트부)
30b: 미끄럼 이동부(이동 기구, 셔터 미끄럼 이동부)
30e: 변환 전달 기구(제2 랙 기어)
30Bd: 안내 수단(보유 지지부, 걸림 결합 구멍)
30Ca: 회동 동작부(이동 기구, 피걸림 지지부)
30Cb: 회동축(이동 기구)
30Jb: 회동 동작부(리프트 본체부)
32Ja: 회동축(이동 부재)
40: 회전체(피니언 기어)
45: 슬라이드 동작부(리프트 동작 암부)
50: 인입 부재
60: 규제 부재(이동 기구)
61: 가압 수단(이동 기구, 가압 부재)
70: 제1 자석(이동 기구)
71: 제2 자석(이동 기구)
72: 설치 부재
90: 추(이동 기구)
95: 이동 부재(끈형 부재, 와이어)
200: 현상제 보급 시스템
700: 배출부
K: 구동 수단(승강 기구)

Claims (17)

  1.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된 현상제 도입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부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한 피지지부를 갖는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이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저면에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마련되고, 상기 배출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며,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에 대한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도입구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제 도입부를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부를 상방으로 상기 배출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갖는 현상제 보급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에 대한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셔터를 갖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지지부에 마련된 미끄럼 이동부와, 상기 셔터에 마련되고, 상기 셔터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미끄럼 이동부에 맞닿고, 상방으로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경사진 경사부를 갖는 현상제 보급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에 대한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셔터를 갖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배출부에 마련된 회전체와, 상기 셔터에 마련되고, 상기 셔터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동작부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지지부에 전달하는 변환 전달 기구를 갖는 현상제 보급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피니언 기어이고, 상기 회전 동작부는, 장착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제1 랙 기어이고, 상기 변환 전달 기구는,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걸림 결합하는 제2 랙 기어인 현상제 보급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도입구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를 안내하는 안내 수단과,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에 대한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지지부를 상기 안내 수단을 따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동작부를 갖는 현상제 보급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배출부와 상기 지지부 중 한쪽에 마련한 리브와, 다른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리브와 걸림 결합하여 상기 지지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갖는 현상제 보급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는,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회동하여,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를 장착 방향측으로 끌어들이는 인입 부재를 갖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지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과, 상기 인입 부재의 인입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지지부를 동작시키는 회동 동작부를 갖는 현상제 보급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도입구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지지부에 맞닿아서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상기 지지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갖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에 대한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의 이동의 규제를 해제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에 대한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셔터를 갖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셔터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셔터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에 대한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셔터를 갖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셔터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측이 소정의 극성인 제1 자석과,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셔터측이 상기 소정의 극성인 제2 자석을 갖고, 상기 셔터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에 의하여 생기는 반발력에 따라 상기 지지부를 동작시키는 현상제 보급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셔터에 설치 가능한 설치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현상제 보급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에 대한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셔터를 갖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셔터에 지지되고, 상기 셔터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중력에 따라 이동하는 추와, 상기 추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도입구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갖는 현상제 보급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추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한 끈형 부재인 현상제 보급 용기.
  14.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된 현상제 도입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부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한 피지지부를 갖는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이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저면에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마련되고, 상기 배출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며,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에 대한 장착 후에, 상기 도입구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제 도입부를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부를 상방으로 상기 배출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갖는 현상제 보급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전력의 공급에 의하여 통전이 개시되어 상기 지지부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갖는 현상제 보급 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에 대한 장착 동작에 따라 전력의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도입구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위치까지 상기 현상제 도입부가 변위되는 것에 응답하여, 전력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현상제 보급 용기.
  17.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된 현상제 도입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부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한 피지지부를 갖는 현상제 도입 장치와,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마련되고, 상기 배출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며,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에 대한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도입구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제 도입부를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부를 상방으로 상기 배출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갖는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0207010289A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34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42643A KR102462281B1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1802A JP7005250B2 (ja) 2017-09-21 2017-09-21 現像剤補給容器
JPJP-P-2017-181802 2017-09-21
PCT/JP2018/036623 WO2019059419A1 (ja) 2017-09-21 2018-09-21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643A Division KR102462281B1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487A true KR20200043487A (ko) 2020-04-27
KR102345357B1 KR102345357B1 (ko) 2021-12-31

Family

ID=6581132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643A KR102462281B1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0227037862A KR102543911B1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KR1020237019651A KR20230088852A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KR1020207010289A KR102345357B1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643A KR102462281B1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0227037862A KR102543911B1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KR1020237019651A KR20230088852A (ko) 2017-09-21 2018-09-21 현상제 보급 용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7) US10725400B2 (ko)
EP (2) EP4365681A2 (ko)
JP (1) JP7005250B2 (ko)
KR (4) KR102462281B1 (ko)
CN (10) CN114815549A (ko)
AU (3) AU2018335800A1 (ko)
BR (1) BR112020004087A2 (ko)
CA (3) CA3166827A1 (ko)
DE (2) DE112018008252B4 (ko)
EA (1) EA202090804A1 (ko)
MA (1) MA50191A (ko)
MX (5) MX2020002933A (ko)
RU (2) RU2022103808A (ko)
WO (1) WO20190594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9132B2 (ja)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0091B2 (ja) 2017-09-21 2022-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5250B2 (ja)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005249B2 (ja)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9133B2 (ja)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039226B2 (ja) 2017-09-21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51347B2 (ja) 2017-09-21 202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6862388B2 (ja) 2018-04-19 2021-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TWI727779B (zh) * 2020-05-01 2021-05-11 上福全球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碳粉匣之連動機構
JP2022158481A (ja) * 2021-04-02 2022-10-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容容器着脱方法
CN113238467A (zh) * 2021-04-02 2021-08-10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碳粉筒
JP2022158546A (ja) * 2021-04-02 2022-10-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トナー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WO2023001103A1 (zh) * 2021-07-19 2023-01-26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粉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1599A (ko) * 2011-06-06 2014-04-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JP2016102987A (ja) * 2014-11-28 2016-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9529A (ja) * 1984-11-13 1986-06-06 Tokyo Electric Co Ltd 事務機の給紙装置
JPH0795209B2 (ja) * 1985-11-30 1995-10-11 三田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S6314187A (ja) * 1986-07-04 1988-01-21 Sharp Corp 現像剤回収装置
EP0282283A3 (en) * 1987-03-10 1990-03-07 Canon Kabushiki Kaisha A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veloping device accommodating means
JP3305159B2 (ja) * 1994-06-02 2002-07-2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US5686985A (en) * 1994-08-31 1997-11-11 Kyocera Corporation Toner container and developing device with the same toner container assembled therein
JP3530625B2 (ja) * 1995-04-26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9160366A (ja) * 1995-12-14 1997-06-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484326B2 (ja) * 1997-09-08 2004-01-06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833157B2 (ja) 1997-09-30 2006-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供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316479A (ja) * 1997-12-09 1999-11-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708705B2 (ja) * 1998-03-19 2005-10-19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JP2000039764A (ja) * 1998-07-22 2000-02-08 Canon Inc 現像剤担持体の製造方法、現像装置及びこの現像装置を備え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DE60142671D1 (de) * 2000-09-01 2010-09-09 Canon Kk Einheit mit Entwicklerzufuhröffnung und damit versehenes Bilderzeugungsgerät
PT2051145E (pt) * 2001-02-19 2013-10-31 Canon Kk Recipiente de fornecimento de pó de impressão e sistema de fornecimento de pó de impressão
JP4323818B2 (ja) * 2003-01-22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US7050728B2 (en) 2003-04-25 2006-05-2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detach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detecting the amount of developer remaining in the container
JP3826110B2 (ja) * 2003-05-28 2006-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2004358914A (ja) 2003-06-06 2004-12-24 Canon Inc インクタンク
JP2005017478A (ja) * 2003-06-24 2005-01-20 Oki Data Corp 現像剤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375717B2 (ja) * 2003-09-19 2009-12-02 株式会社リコー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の供給システム及び装置
US7155138B2 (en) * 2003-12-22 2006-12-26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EP1640820B1 (en) * 2004-08-06 2011-12-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s with a projection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sing
RU2407049C2 (ru) * 2004-11-24 2010-12-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JP4134061B2 (ja) * 2005-02-14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が装着される画像形成装置
JP4603905B2 (ja) * 2005-02-24 2010-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US8190068B2 (en) * 2005-03-04 2012-05-2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with mounting attitude regulation and drive receiving member rotation suppression features
RU2398257C2 (ru) * 2005-03-04 2010-08-27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проявителя
KR20070036442A (ko) * 2005-09-2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중간전사벨트 조립체
EP1821157A3 (en) * 2006-02-20 2013-08-2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Toner cartridge, process cartridge, imag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thoses cartridges are attachable
JP2008292729A (ja) 2007-05-24 2008-12-0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トナーカートリッジ
CN201054075Y (zh) * 2007-06-21 2008-04-30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调色剂容器
JP2009058711A (ja) * 2007-08-31 2009-03-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イメージ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201130299Y (zh) * 2007-12-19 2008-10-08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碳粉瓶
JP4701266B2 (ja) * 2008-05-27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918030B2 (en) * 2008-11-27 2014-12-23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175804A (ja) * 2009-01-29 2010-08-12 Canon Inc 現像剤補給装置
EP2375293B1 (en) * 2009-02-09 2015-01-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er-accommodating vessel and developing device
CN103853011B (zh) * 2009-03-30 2017-04-12 佳能株式会社 显影剂供给容器和显影剂供给系统
KR101608062B1 (ko) * 2009-08-28 2016-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착탈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5471226B2 (ja) * 2009-09-15 2014-04-16 株式会社リコー 媒体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879948B2 (en) * 2010-08-03 2014-11-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oner cartridge
JP5569241B2 (ja) * 2010-08-09 2014-08-1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12442B2 (ja) * 2010-09-07 2013-06-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5182342B2 (ja) * 2010-09-07 2013-04-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5777469B2 (ja) * 2010-09-29 2015-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5765624B2 (ja) * 2011-08-19 2015-08-19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825009B2 (ja) * 2011-09-22 2015-1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着脱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5744830B2 (ja) * 2012-12-19 2015-07-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12341B2 (ja) * 2013-01-10 2017-04-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14149334A (ja) * 2013-01-31 2014-08-21 Ricoh Co Ltd 現像装置、トナー及び画像形成装置
JP6137882B2 (ja) 2013-03-11 2017-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6021699B2 (ja) 2013-03-11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6128908B2 (ja) 2013-03-19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キット及び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21701B2 (ja) * 2013-03-19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6180140B2 (ja) * 2013-03-19 2017-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6025631B2 (ja) 2013-03-22 2016-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6149509B2 (ja) * 2013-05-21 2017-06-2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175896B2 (ja) * 2013-05-21 2017-08-09 株式会社リコー 補給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92389B2 (ja) * 2013-07-04 2017-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50661B2 (ja) * 2013-08-12 2017-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
JP5894128B2 (ja) * 2013-08-22 2016-03-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35987B2 (ja) * 2013-08-29 2019-07-0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1314694B (zh) * 2013-12-27 2023-05-05 索尼公司 图像处理装置及方法
JP2015152769A (ja) * 2014-02-14 2015-08-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の補給容器
JP6320082B2 (ja) * 2014-02-28 2018-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04290B2 (ja) * 2014-07-30 2017-09-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429597B2 (ja) 2014-11-10 2018-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2016090932A (ja) 2014-11-10 2016-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090933A (ja) * 2014-11-10 2016-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の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385251B2 (ja) 2014-11-10 2018-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65391B2 (ja) * 2015-04-27 2018-08-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剤補給装置に装着される現像剤収容容器
KR20160143391A (ko) 2015-06-05 2016-12-1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N204631445U (zh) * 2015-06-09 2015-09-09 江西镭博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盒
JP6639156B2 (ja) 2015-08-31 2020-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JP6575502B2 (ja) * 2016-12-22 2019-09-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7039226B2 (ja) 2017-09-21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9133B2 (ja)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009132B2 (ja)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0091B2 (ja) 2017-09-21 2022-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5249B2 (ja)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51347B2 (ja) 2017-09-21 202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5250B2 (ja)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1599A (ko) * 2011-06-06 2014-04-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JP2016102987A (ja) * 2014-11-28 2016-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33388A (zh) 2020-05-08
KR102543911B1 (ko) 2023-06-16
US20190212672A1 (en) 2019-07-11
MX2023009246A (es) 2023-08-16
CN115343927A (zh) 2022-11-15
EP4365681A2 (en) 2024-05-08
US20230041483A1 (en) 2023-02-09
EA202090804A1 (ru) 2020-07-16
EP3686683C0 (en) 2024-03-13
DE112018005367T5 (de) 2020-06-25
BR112020004087A2 (pt) 2020-09-24
MX2023009254A (es) 2023-08-16
AU2023270325A1 (en) 2023-12-14
MX2023009253A (es) 2023-08-16
MX2020002933A (es) 2020-07-24
CN115356904A (zh) 2022-11-18
CN115343928A (zh) 2022-11-15
CN115343930A (zh) 2022-11-15
CA3221666A1 (en) 2019-03-28
CN115343926A (zh) 2022-11-15
AU2018335800A1 (en) 2020-04-02
JP2019056850A (ja) 2019-04-11
RU2020114151A (ru) 2021-10-21
RU2020114151A3 (ko) 2021-10-21
CN114815551A (zh) 2022-07-29
WO2019059419A1 (ja) 2019-03-28
RU2022103808A (ru) 2022-03-29
CN115343929A (zh) 2022-11-15
US11442378B1 (en) 2022-09-13
EP3686683A4 (en) 2021-07-07
KR102345357B1 (ko) 2021-12-31
EP3686683B1 (en) 2024-03-13
KR20230088852A (ko) 2023-06-20
CA3166827A1 (en) 2019-03-28
EP3686683A1 (en) 2020-07-29
US11852991B2 (en) 2023-12-26
KR20220149789A (ko) 2022-11-08
JP7005250B2 (ja) 2022-01-21
KR102462281B1 (ko) 2022-11-03
AU2021212152B2 (en) 2023-08-31
US11599042B1 (en) 2023-03-07
US10725400B2 (en) 2020-07-28
DE112018008252B4 (de) 2024-03-21
RU2767161C2 (ru) 2022-03-16
US11526098B2 (en) 2022-12-13
DE112018005367B4 (de) 2022-08-11
CN114815550A (zh) 2022-07-29
US20220276584A1 (en) 2022-09-01
AU2021212152A1 (en) 2021-08-26
KR20220002724A (ko) 2022-01-06
CN114815549A (zh) 2022-07-29
MX2023009250A (es) 2023-08-16
CA3076609A1 (en) 2019-03-28
US20220276583A1 (en) 2022-09-01
US20200341405A1 (en) 2020-10-29
CN111133388B (zh) 2022-08-26
US11392056B2 (en) 2022-07-19
US20240069468A1 (en) 2024-02-29
MA50191A (fr) 2020-07-29
US20230048946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3487A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552240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417544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470949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359671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KR102333345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JP7447333B2 (ja) 現像剤補給容器
JP7268127B2 (ja) 現像剤補給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