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869A -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869A
KR20200041869A KR1020207003757A KR20207003757A KR20200041869A KR 20200041869 A KR20200041869 A KR 20200041869A KR 1020207003757 A KR1020207003757 A KR 1020207003757A KR 20207003757 A KR20207003757 A KR 20207003757A KR 20200041869 A KR20200041869 A KR 20200041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alloy
mass
less
core material
braz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546B1 (ko
Inventor
유키에 기타다
나오키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에이씨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에이씨제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에이씨제이
Publication of KR20200041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28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950 degrees C
    • B23K35/286Al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23K35/0233Sheets,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28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950 degrees 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all layers being formed of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6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22C21/08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with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10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1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copper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22C21/14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copper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with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1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copper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22C21/16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copper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with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043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of alloys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047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of alloys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05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of alloys of the Al-Si-Mg type, i.e. containing silicon and magnesium in approximately equal propor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053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of alloys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9Coatings, claddings or bonding layer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4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36Al-base component
    • Y10T428/12764Next to Al-base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납재층과 중간층과 심재가 클래드되어 적층되어 있는 3층재이며, 상기 중간층은, Mn을 0.2질량% 이상 0.35질량% 미만, Si를 0.6질량% 이하, Fe를 0.7질량% 이하, Cu를 0.1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이며, 상기 심재는, Si를 1.2질량% 이하, Fe를 1.0질량% 이하, Cu를 0.3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Mn을 0.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이며, 상기 납재층은, Si를 4질량% 이상 13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열교환기의 부재 제작용의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본 발명은,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에 관한 것이며, 열교환기의 튜브, 헤더, 탱크 등의 내측에 반드시 폐색 공간을 갖는 부재의 제작에 이용되는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에 관한 것이다.
에바포레이터, 콘덴서, 라디에이터, 히터 등의 자동차용 열교환기에는, 일반적으로 경량성과 열전도성이 양호한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되고 있다. 그들 열교환기에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판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냉매 통로로 하고, 표면 및 접합 개소에 불화물계 플럭스를 부착시키고, 핀재 등의 부재와 소정 구조로 조립한 후,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가열로 내에 있어서 납땜 접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환경 부하 저감의 관점으로부터, 자동차의 연비 향상을 위해서 열교환기의 경량화가 행해지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튜브재 등의 부재의 박육화가 필요해지는데, 특히 각 열교환기의 외면 공기측은 혹독한 부식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부식에 의해 관통이 발생하면 냉매 등이 누설해, 즉시 그 기능이 소실되는 튜브재에 있어서는 외면측 내식성의 향상이 필요해진다.
종래 기술로서는, 희생층을 갖지 않는 튜브재로 이루어지는 냉매 튜브 외면에 대해, 보다 전위가 비(卑)한 핀을 조립하고, 핀을 희생 양극으로 하여 튜브를 방식(防蝕)하는 설계가 주류이다. 그러나, 이 경우, 핀이 부식 소모된 후나, 핀과 튜브의 접합부의 부식에 의해 핀이 튜브로부터 이탈했을 때, 또한 핀이 건전하게 접합 및 잔존하고 있어도, 핀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부위에 있어서는, 충분한 방식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2015/132482호(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0.35~1.8%의 Mn을 함유하고, 다른 원소가 0.3% 이하인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을 클래드한 튜브에 의해, 클래드 압연성을 향상시킨 브레이징 시트가 제창되고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표 2008-516090호 공보(특허문헌 2)에도 마찬가지로, 1000계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을 갖는 브레이징 시트가 나타내어져 있으며, 이는 심재를 납땜 후에 재결정시키지 않도록 하여 고강도를 확보함과 더불어, 심재와 납재를 중간층에 의해 격리하고, 중간층을 납땜 중에 재결정시킴으로써 납땜 중에 발생하는 침식(erosion)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국제 공개 제2015/132482호 일본국 특허공표 2008-51609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시장의 혹독한 부식 환경에 있어서는, 내식성이 불충분하며, 추가적인 내식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열교환기의 부재 제작용의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 (1)은, 심재의 공기측의 면에, 그 심재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중간층과 납재층이 클래드되어 적층되어 있는 3층재이며,
상기 중간층은, Mn을 0.2질량% 이상 0.35질량% 미만, Si를 0.6질량% 이하, Fe를 0.7질량% 이하, Cu를 0.1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이며,
상기 심재는, Si를 1.2질량% 이하, Fe를 1.0질량% 이하, Cu를 0.3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Mn을 0.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이며,
상기 납재층은, Si를 4질량% 이상 13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2)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이, 추가로, 0.3질량% 이하의 Ti, 0.3질량% 이하의 Zr, 및 0.3질량% 이하의 Cr 중 어느 1종류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3)은,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이, 추가로, 0.3질량% 이하의 Ti, 0.3질량% 이하의 Zr, 및 0.3질량% 이하의 Cr 중 어느 1종류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4)는, 상기 납재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이, 추가로, 0.1질량% 이하의 Sr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5)는, 상기 중간층의 클래드율이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6)은, 상기 납재층의 클래드율이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7)은,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균질화 처리되고, 상기 균질화 처리 후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되고, 또한, 상기 냉간 압연 도중에는 소둔되지 않고 최종 판두께에서만 재결정 소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8)은,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균질화 처리되고, 상기 균질화 처리 후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된 것이며, 또한, 상기 냉간 압연 도중에는 소둔되지 않고 최종 판두께에서만 회복 소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9)는,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균질화 처리되고, 상기 균질화 처리 후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된 것이며, 또한, 상기 냉간 압연 도중에 재결정 소둔 또는 회복 소둔되고, 상기 재결정 소둔 또는 상기 회복 소둔 후 최종 판두께까지 냉간 압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10)은,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균질화 처리되고, 상기 균질화 처리 후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된 것이며, 또한, 상기 냉간 압연 도중에 회복 소둔되고, 상기 회복 소둔 후 최종 판두께까지 냉간 압연되며, 상기 최종 판두께까지의 냉간 압연 후 추가로 회복 소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열교환기의 부재 제작용의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는, 심재의 공기측의 면에, 그 심재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중간층과 납재층이 클래드되어 적층되어 있는 3층재이며,
상기 중간층은, Mn을 0.2질량% 이상 0.35질량% 미만, Si를 0.6질량% 이하, Fe를 0.7질량% 이하, Cu를 0.1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이며,
상기 심재는, Si를 1.2질량% 이하, Fe를 1.0질량% 이하, Cu를 0.3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Mn을 0.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이며,
상기 납재층은, Si를 4질량% 이상 13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이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는, 열교환기의 튜브, 헤더, 탱크 등의 내측에 반드시 폐색 공간을 갖는 부재의 제작에 이용되는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이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는, 심재의 공기측의 면에, 심재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중간층과 납재층이 클래드되어 적층되어 있는 3층재이다. 즉,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에서는, 열교환기용의 부재로 성형되었을 때에, 공기측, 즉, 외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납재층, 중간층, 심재가 되도록, 납재층, 중간층 및 심재가 적층되어 있다.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에 따른 심재는, Si를 1.2질량% 이하, Fe를 1.0질량% 이하, Cu를 0.3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Mn을 0.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Mn은 강도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고용함으로써 전위를 귀(貴)화한다.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Mn 함유량은, 0.5~2.0질량%, 바람직하게는 0.8~1.8질량%이다.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Mn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심재의 강도가 높아지고 또한 전위가 적절한 값이 된다. 한편,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Mn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재료의 심재로서의 강도가 부족하고, 또, 후술하는 중간층의 Mn량과의 함유량 차가 작아져, 중간층과 심재 사이에서의 전위차를 크게 확보할 수 없게 되고, 또,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주조 시에 거대 정출물이 생성되거나, 압연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제조가 곤란해진다.
Cu는 강도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고용함으로써 전위를 귀화한다. 전위 귀화 효과는 Mn보다 Cu 쪽이 크다.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Cu 함유량은, 0.3~1.0질량%, 바람직하게는 0.4~0.9질량%이다.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Cu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심재의 강도가 높아지고 또한 전위가 적절한 값이 된다. 한편,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Cu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재료의 심재로서의 강도가 부족하고, 또, 중간층과 심재 사이에서의 전위차를 크게 확보할 수 없게 되고, 또,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주조 시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고상선 온도가 저하하여 납땜 가열 시에 용융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Si는 강도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고용함으로써 전위를 귀화한다.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Si 함유량은, 1.2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다.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Si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심재의 강도가 높아지고 또한 전위가 적절한 값이 된다. 한편,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Si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고상선 온도가 저하하여 납땜 가열 시에 용융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Fe는 강도를 향상시킨다.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Fe 함유량은, 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8질량% 이하이다.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Fe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심재의 강도가 높아진다. 한편,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Fe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Al-Fe계의 전위가 귀한 금속간 화합물의 생성량이 많아지고, 자기 내식성이 낮아진다.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에 따른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상기 원소에 더하여, 추가로, 0.3질량% 이하의 Ti, 0.3질량% 이하의 Zr, 및 0.3질량% 이하의 Cr 중 어느 1종류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해도 된다.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Ti 함유량은, 0.3질량% 이하이다. 심재가 상기 범위의 Ti를 함유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 중에, Ti의 고농도 영역과 저농도 영역이 형성되고, 이들 영역이 재료의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층형상으로 분포하고, Ti가 저농도인 영역은 고농도인 영역에 비해 우선적으로 부식하기 때문에, 부식 형태가 층형상이 되어 두께 방향으로의 부식의 진행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내공식성 및 내립계 부식성을 향상한다. 또한, 상온 및 고온에서의 강도가 향상한다. 한편,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Ti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주조 시에 거대 정출물이 생성되어, 제조가 곤란해진다.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Zr 함유량은, 0.3질량%이다. 심재가 상기 범위의 Zr을 함유함으로써, 납땜 가열 시에 재결정할 때의 결정립이 조대화한다. 이것에 의해, 입계 밀도를 낮게 하고, Al-Si 합금 액상 납이 결정립계로 침투함으로써 발생하는 침식을 억제함과 더불어, 결정립계의 우선적인 부식에 의해 발생하는 탈립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Zr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주조 시에 거대 정출물이 생성되어, 제조가 곤란해진다. Cr의 함유는, Zr의 함유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Cr 함유량은, 0.3질량%이다. 한편,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Cr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주조 시에 거대 정출물이 생성되어, 제조가 곤란해진다. 또, Zr과 Cr을 복합 첨가했을 경우는, 그 효과도 복합적으로 얻어진다.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에 따른 중간층은, Mn을 0.2질량% 이상 0.35질량% 미만, Si를 0.6질량% 이하, Fe를 0.7질량% 이하, Cu를 0.1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간층에서는, 중간층의 Mn 함유량을 심재의 Mn 함유량보다 낮게 함으로써, 중간층의 전위를 심재보다 비화시키고, 또한, 심재와의 전위차를 크게 한다.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Mn 함유량은, 0.2질량% 이상 0.35질량% 미만이다.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Mn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중간층과 심재 간의 전위차가 적절한 값이 된다. 한편,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Mn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중간층의 변형 저항이 작고, 클래드 압연성이 낮아지며, 또,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중간층의 전위가 귀화하여 심재와의 전위차가 크게 취해지지 않는다.
중간층에서는, 전위 귀화 효과가 큰 Cu 함유량을, 하기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전위를 비로 유지하여, 심재와의 전위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Cu 함유량은, 0.1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질량% 이하이다.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Cu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중간층과 심재 간의 전위차가 적절한 값이 된다.
중간층에서는, 중간층의 Si 함유량을 심재의 Si 함유량보다 낮게 함으로써, 중간층의 전위를 심재보다 비화시키고, 또한, 심재와의 전위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Si 함유량은, 0.6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3질량% 이하이다.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Si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중간층과 심재 간의 전위차가 적절한 값이 된다. 한편,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Si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중간층의 전위가 귀화하여, 심재와의 전위차가 크게 취해지지 않는다.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 중에, Fe는, 불가피 불순물로서 0.7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4질량% 이하이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Fe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Al-Fe계의 전위가 귀한 금속간 화합물의 생성량이 많아지고, 자기 내식성이 낮아진다.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에 따른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상기 원소에 더하여, 추가로, 0.3질량% 이하의 Ti, 0.3질량% 이하의 Zr, 및 0.3질량% 이하의 Cr 중 어느 1종류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해도 된다.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Ti 함유량은, 0.3질량% 이하이다. 중간층이 상기 범위의 Ti를 함유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 중에, Ti의 고농도 영역과 저농도 영역이 형성되고, 이들 영역이 재료의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층형상으로 분포하고, Ti가 저농도인 영역은 고농도인 영역에 비해 우선적으로 부식하기 때문에, 부식 형태가 층형상이 되어 두께 방향으로의 부식의 진행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내공식성 및 내립계 부식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온 및 고온에서의 강도가 향상한다. 한편,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Ti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주조 시에 거대 정출물이 생성되어, 제조가 곤란해진다.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Zr 함유량은, 0.3질량%이다. 중간층이 상기 범위의 Zr을 함유함으로써, 납땜 가열 시에 재결정할 때의 결정립이 조대화한다. 이것에 의해, 입계 밀도를 낮게 하고, Al-Si 합금 액상 납이 결정립계로 침투함으로써 발생하는 침식을 억제함과 더불어, 결정립계의 우선적인 부식에 의해 발생하는 탈립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Zr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주조 시에 거대 정출물이 생성되어, 제조가 곤란해진다. Cr의 함유는, Zr의 함유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Cr 함유량은, 0.3질량%이다. 한편,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Cr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주조 시에 거대 정출물이 생성되어, 제조가 곤란해진다. 또, Zr과 Cr을 복합 첨가했을 경우는, 그 효과도 복합적으로 얻어진다.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에 따른 납재층은, Si를 4질량% 이상 13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납재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Si 함유량은, 4~13질량%, 바람직하게는 6~13질량%이다. 한편, 납재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Si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생성하는 액상 납량이 적어, 양호한 납땜 접합을 할 수 없게 되고, 또,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Al-Si계 합금의 과공정역(過共晶域)이 되어, 주조 시에 조대 Si 입자가 생성되기 쉬워진다. 조대 Si 입자는 제품에 잔존하면, 납땜 시에 국소 용융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에 따른 납재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상기 원소에 더하여, 추가로, 0.1질량% 이하의 Sr을 함유해도 된다.
납재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Sr 함유량은, 0.1질량% 이하이다. 납재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이 Sr을 함유함으로써, Al-Si 합금의 공정 조직이 미세화되어 분산한다. 이것에 의해, 납땜 가열 시에는 보다 균일하게 액상 납이 발생하고, 납의 유동도 개선되어 납땜성이 향상하고, 또한, 조대 Si 입자의 생성도 억제하기 때문에, 국소 용융할 우려가 없어진다. 한편, 납재층을 구성하는 Sr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Al-Si-Sr계 화합물이 정출하여 공정 조직이 미세화되지 않는다.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에 있어서,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Si 함유량과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Si 함유량의 차(심재 Si-중간층 Si)는, 0질량%를 초과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Cu 함유량과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Cu 함유량의 차 및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Mn 함유량과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Mn 함유량의 차에 의해 중간층과 심재 간의 전위차가 적절한 값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간층과 심재 간의 전위차가 역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심재 Si-중간층 Si)가 0질량% 이하여도 허용된다.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에 있어서, 중간층의 클래드율은, 바람직하게는 5~30%이다. 중간층의 클래드율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희생층으로서의 체적이 작고, 내식성 향상이 불충분해지기 쉬우며, 또한 제조가 곤란해지기 쉽고, 또,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클래드 압연성이 낮아지기 쉽고, 제조가 곤란해지기 쉽다.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에 있어서, 납재층의 클래드율은, 바람직하게는 5~20%이다. 납재층의 클래드율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납재량이 불충분해지고, 납땜성의 확보가 곤란해지기 쉬우며, 또한 제조가 곤란해지기 쉽고, 또,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납재량이 과다가 되어, 납재 용융에 의한 판두께 치수 변화가 커지기 쉬우며, 클리어런스를 발생시키거나, 잉여 납이 냉매 유로로 유입해 막힘을 발생시키기 쉬워지고, 또, 클래드 압연성이 낮아져, 제조가 곤란해지기 쉽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는, 자동차용 열교환기, 공기 조화기용, 산업용 열교환기 등의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 헤더, 탱크 등의 내측에 반드시 폐색 공간을 갖는 부재의 제작에 이용되고, 공기측, 즉, 외측이 납재층이 되고, 내측이 심재의 내측면이 되도록, 내측에 폐색 공간을 갖는 부재의 형상으로 성형되고, 납땜된다. 납땜에 있어서의 분위기나 가열 온도, 시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납땜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자동차용 열교환기는, 혹독한 시장 부식 환경에 있어서도 양호한 내식성을 발휘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4개의 형태, 즉, 제조 방법 1, 제조 방법 2, 제조 방법 3, 제조 방법 4를 들 수 있다.
제조 방법 1 내지 4 중 어느 경우에서나, 우선, 소정의 조성을 갖는 심재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 및 납재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상법에 의해 제작한다.
심재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는, Si를 1.2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로, Fe를 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8질량% 이하로, Cu를 0.3~1.0질량%, 바람직하게는 0.4~0.9질량%로, Mn을 0.5~2.0질량%, 바람직하게는 0.8~18질량%로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0.3질량% 이하의 Ti, 0.3질량% 이하의 Zr, 및 0.3질량% 이하의 Cr 중 어느 1종류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이다.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는, Mn을 0.2질량% 이상 0.35질량% 미만으로, Si를 0.6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3질량% 이하로, Fe를 0.7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4질량% 이하로, Cu를 0.1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질량% 이하로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0.3질량% 이하의 Ti, 0.3질량% 이하의 Zr, 및 0.3질량% 이하의 Cr 중 어느 1종류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이다.
납재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는, Si를 4~13질량%, 바람직하게는 6~13질량%를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Sr을 0.1질량% 이하를 함유하며,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이다.
그 다음에, 제조 방법 1에서는, 적어도 심재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균질화 온도 550~620℃, 균질화 시간 3~20시간에서, 균질화 처리한다. 균질화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70~620℃이다. 균질화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20시간이다. 균질화 처리함으로써,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열교환기용의 부재로 가공할 때에 부여되는 변형량에 의해 발생하는 납땜 침식을 억제할 수 있다. 제조 방법 1에서는, 심재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의 균질화 처리를 행한 후, 심재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추가로, 400~550℃에서, 3~20시간 유지하여, 열처리해도 된다.
제조 방법 1에서는,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균질화 온도 550~620℃, 바람직하게는 570~620℃, 균질화 시간 3~20시간, 바람직하게는 5~20시간에서, 균질화 처리해도 된다. 제조 방법 1에서는,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의 균질화 처리를 행한 후,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추가로, 400~550℃에서, 3~20시간 유지하여, 열처리해도 된다.
제조 방법 1에서는, 납재층에 대해서는, 적당한 조건으로 균질화 처리를 행해도 되고, 균질화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그 다음에, 제조 방법 1에서는, 균질화 처리 후, 납재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 및 심재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이 순서대로 겹치고,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한다. 제조 방법 1에서는, 클래드 열간 압연의 압연 조건은, 개시 온도가 400~550℃이다. 제조 방법 1에서는, 냉간 압연을 복수 회 행하는데, 냉간 압연의 압연 조건 및 횟수는, 냉간 압연 후의 판두께가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적당히 선택된다.
그리고, 제조 방법 1에서는, 냉간 압연 도중에는 소둔을 행하지 않고, 최종 판두께까지 냉간 압연을 행한 후에만 재결정 소둔을 행한다. 제조 방법 1의 재결정 소둔의 온도는, 250~450℃, 바람직하게는 280~430℃이며, 재결정 소둔의 유지 시간은, 2~10시간, 바람직하게는 2~8시간이다.
제조 방법 2에서는, 적어도 심재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균질화 온도 400~550℃, 균질화 시간 3~20시간에서, 균질화 처리한다. 균질화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20~530℃이다. 균질화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20시간이다. 균질화 처리함으로써,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열교환기용의 부재로 가공할 때에 부여되는 변형량에 의해 발생하는 납땜 침식을 억제할 수 있다.
제조 방법 2에서는,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균질화 온도 400~550℃, 바람직하게는 420~530℃, 균질화 시간 3~20시간, 바람직하게는 5~20시간에서, 균질화 처리해도 된다.
제조 방법 2에서는, 납재층에 대해서는, 적당한 조건으로 균질화 처리를 행해도 되고, 균질화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그 다음에, 제조 방법 2에서는, 균질화 처리 후, 납재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 및 심재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이 순서대로 겹치고,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한다. 제조 방법 2에서는, 클래드 열간 압연의 압연 조건은, 개시 온도가 400~550℃이다. 제조 방법 2에서는, 냉간 압연을 복수 회 행하는데, 냉간 압연의 압연 조건 및 횟수는, 냉간 압연 후의 판두께가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적당히 선택된다.
그리고, 제조 방법 2에서는, 냉간 압연 도중에는 소둔을 행하지 않고, 최종 판두께까지 냉간 압연을 행한 후에만 회복 소둔을 행한다. 제조 방법 2의 회복 소둔의 온도는, 200~400℃, 바람직하게는 220~380℃이며, 회복 소둔의 유지 시간은, 2~10시간, 바람직하게는 2~8시간이다.
제조 방법 3에서는, 적어도 심재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균질화 온도 400~550℃, 균질화 시간 3~20시간에서, 균질화 처리한다. 균질화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20~530℃이다. 균질화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20시간이다. 균질화 처리함으로써,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열교환기용의 부재로 가공할 때에 부여되는 번형량에 의해 발생하는 납땜 침식을 억제할 수 있다.
제조 방법 3에서는,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균질화 온도 400~550℃, 바람직하게는 420~530℃, 균질화 시간 3~20시간, 바람직하게는 5~20시간에서, 균질화 처리해도 된다.
제조 방법 3에서는, 납재층에 대해서는, 적당한 조건으로 균질화 처리를 행해도 되고, 균질화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그 다음에, 제조 방법 3에서는, 균질화 처리 후, 납재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 및 심재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이 순서대로 겹치고,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한다. 제조 방법 3에서는, 클래드 열간 압연의 압연 조건은, 개시 온도가 400~550℃이다. 제조 방법 3에서는, 냉간 압연을 복수 회 행하는데, 냉간 압연의 압연 조건 및 횟수는, 냉간 압연 후의 판두께가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적당히 선택된다.
그리고, 제조 방법 3에서는, 냉간 압연 도중에 재결정 소둔 또는 회복 소둔을 행하고, 재결정 소둔 또는 회복 소둔 후에는, 최종 판두께까지 냉간 압연을 행한다. 제조 방법 3의 재결정 소둔의 온도는, 250~450℃, 바람직하게는 280~430℃이며, 재결정 소둔의 유지 시간은, 2~10시간, 바람직하게는 2~8시간이다. 제조 방법 3의 회복 소둔의 온도는, 200~400℃, 바람직하게는 220~380℃이며, 회복 소둔의 유지 시간은, 2~10시간, 바람직하게는 2~8시간이다.
제조 방법 4에서는, 적어도 심재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균질화 온도 400~550℃, 균질화 시간 3~20시간에서, 균질화 처리한다. 균질화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20~530℃이다. 균질화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20시간이다. 균질화 처리함으로써,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열교환기용의 부재로 가공할 때에 부여되는 변형량에 의해 발생하는 납땜 침식을 억제할 수 있다.
제조 방법 4에서는,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균질화 온도 400~550℃, 바람직하게는 420~530℃, 균질화 시간 3~20시간, 바람직하게는 5~20시간에서, 균질화 처리해도 된다.
제조 방법 4에서는, 납재층에 대해서는, 적당한 조건으로 균질화 처리를 행해도 되고, 균질화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그 다음에, 제조 방법 4에서는, 균질화 처리 후, 납재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 및 심재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이 순서대로 겹치고,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한다. 제조 방법 4에서는, 클래드 열간 압연의 압연 조건은, 개시 온도가 400~550℃이다. 제조 방법 4에서는, 냉간 압연을 복수 회 행하는데, 냉간 압연의 압연 조건 및 횟수는, 냉간 압연 후의 판두께가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적당히 선택된다.
그리고, 제조 방법 4에서는, 냉간 압연 도중에 회복 소둔되고, 회복 소둔 후는, 최종 판두께까지 냉간 압연을 행하고, 최종 판두께까지의 냉간 압연을 행한 후, 추가로 회복 소둔을 행한다. 제조 방법 4의 회복 소둔의 온도는, 200~400℃, 바람직하게는 220~380℃이며, 회복 소둔의 유지 시간은, 2~10시간, 바람직하게는 2~8시간이다.
이와 같이 해서,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는 제조된다.
즉,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는, 심재의 공기측의 면에, 그 심재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중간층과 납재층이 클래드되어 적층되어 있는 3층재이며, 심재, 중간층 및 납재층이, 상기 소정의 화학 조성을 갖고,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균질화 처리되고, 상기 균질화 처리 후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되고, 또한, 상기 냉간 압연 도중에는 소둔되지 않고 최종 판두께에서만 재결정 소둔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는, 심재의 공기측의 면에, 그 심재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중간층과 납재층이 클래드되어 적층되어 있는 3층재이며, 심재, 중간층 및 납재층이, 상기 소정의 화학 조성을 갖고,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균질화 처리되고, 상기 균질화 처리 후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된 것이며, 또한, 상기 냉간 압연 도중에는 소둔되지 않고 최종 판두께에서만 회복 소둔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는, 심재의 공기측의 면에, 그 심재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중간층과 납재층이 클래드되어 적층되어 있는 3층재이며, 심재, 중간층 및 납재층이, 상기 소정의 화학 조성을 갖고,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균질화 처리되고, 상기 균질화 처리 후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된 것이며, 또한, 상기 냉간 압연 도중에 재결정 소둔 또는 회복 소둔되고, 상기 재결정 소둔 또는 상기 회복 소둔 후 최종 판두께까지 냉간 압연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는, 심재의 공기측의 면에, 그 심재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중간층과 납재층이 클래드되어 적층되어 있는 3층재이며, 심재, 중간층 및 납재층이, 상기 소정의 화학 조성을 갖고,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균질화 처리되고, 상기 균질화 처리 후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된 것이며, 또한, 상기 냉간 압연 도중에 회복 소둔되고, 상기 회복 소둔 후 최종 판두께까지 냉간 압연되고, 상기 최종 판두께까지의 냉간 압연 후 추가로 회복 소둔된 것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열교환기의 냉매 유로를 구성하는 튜브재를 제조하기 위해서, 표 1에 나타내는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표 2에 나타내는 심재용 알루미늄 합금, 및 표 3에 나타내는 납재층용 알루미늄 합금을 주조했다.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 및 심재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에 대해, 600℃에서 10시간 유지하는 균질화 처리를 행했다.
그 후, 어느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서나 주괴 표면을 면삭(面削)하고, 납재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와 중간층용 알루미늄 합금 주괴에 대해서는, 소정의 판두께까지 열간 압연을 행하고, 표 4에 나타내는 3층 클래드재가 되도록 각각을 조합하여 클래드 열간 압연을 행했다.
그 후, 도중 소둔을 행하지 않고 0.3mm의 판두께까지 냉간 압연을 행하고, 최종 소둔에서 재결정시켜, O재 조질로 하고,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제조했다.
또한, 얻어진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는, 외면측으로부터, 납재, 중간층, 심재의 구성이다.
이들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를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 1~3을 행했다.
(평가 1)
이들 재료의 제조 결과에 대해 표 5에 나타낸다. 주조, 압연 공정에 있어서, 문제없이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던 것은 ○, 제조는 가능했으나, 곤란했던 것을 △, 제조할 수 없었던 것을 ×로 했다.
(평가 2)
평가 1에서 제조할 수 있던 것에 대해, 납재층끼리가 접합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드론 컵 타입(drawn cup type)의 형상으로 하고, 일반적인 드론 컵의 형상에서는 심재측끼리가 접합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납재층측을 꺾어접도록 굽힘 가공을 행하여 납재층끼리가 접합하도록 한 드론 컵 형상의 튜브 성형을 행하고, 일반적인 아우터 베어 핀과 일반적인 클래드 이너 핀 등의 부재와 조립하여 드론 컵 열교환기를 납땜 가열하여 제작했다. 노콜록 플럭스를 물로 현탁시킨 플럭스 혼합액을, 조립한 열교환기에 스프레이로 도포한 후에 건조시키고, 납땜 가열 조건은, 질소 가스 분위기 중에서 평균 50℃/분의 승온 속도로 600℃까지 가열하고, 3분 유지 후에 실온까지 강온했다. 그 후, 외관 관찰 및 리크 시험을 행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외관상 문제없고, 또한 누설이 없었던 것을 ○로 하고, 국소 용융이나 누설이 발생한 것을 ×로 했다.
(평가 3)
마찬가지로 평가 1에서 제조할 수 있던 것에 대해, 단판으로 납땜 가열을 행하고, ASTM-G85 A3로 규정되는 SWAAT 시험에 제공했다. 납땜 가열 조건은 평가 2와 동일 조건이며, SWAAT의 평가면은 외면측, 시험 시간은 1000h로 했다. 시험 후의 최대 부식 깊이를 측정한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최대 부식 깊이가 0.1mm 이하를 ○, 0.1mm를 초과하고 0.2mm 이하를 △, 0.2mm를 초과하고 관통까지를 ×로 했다. 또한, 평가 3에 한하여, 동일 판두께의 A4343/A3003/A4343 구성, 양면 10% 클래드의 3층재를 종래재(시험재 No.26)로 하여 비교 평가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평가 1~3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3층 클래드재의 제조 결과에 대해서는, 실시예의 재료는 모두 제조성 양호였다.
한편, 비교예의 재료에 있어서는, No.16, 17, 23, 25가 클래드 압연에서 미접합이나 균열이 발생했기 때문에 제조 불가였다. No.17은 일부 심재에서 주조 균열이 발생했다. No.22, 24는 클래드 압연이 곤란했으나, 최종적으로 제조는 가능했다.
열교환기 납땜 결과에 대해서는, 실시예의 재료는 모두 납땜성 양호였다. 한편, 비교예의 재료에 있어서는, No.19는 국소 용융이 보이고, No.20, 22는 납땜 후의 리크 시험에서 누설이 발생했다.
SWAAT 시험에 대해서는, 실시예의 재료는 모두 최대 부식 깊이가 0.1mm 이하이며, 거의 외면측의 납재와 중간층의 합계 두께까지의 부식 깊이에 머물러 있었다. 이는 1000h 경과 후여도 희생 방식 기간 내에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어, 내식성 양호였다. 한편, 비교예의 재료에 있어서는, No.15, 18, 24가 0.1mm를 초과하고 0.2mm 이하의 부식 깊이였다. 이들은 모두 중간층과 심재의 전위차가 부족하여, 충분한 희생 양극 효과가 얻어지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또, No.21은 관통했는데, 이는 또한 전위차가 작고, 희생 양극 효과가 거의 얻어져 있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종래재로서 비교 평가한 3층재 No.26도 관통해 있었다. 이 점에서, 3층재로 해도 중간층/심재 전위차를 충분히 취하면, 내식성이 향상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10)

  1. 심재의 공기측의 면에, 그 심재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중간층과 납재층이 클래드되어 적층되어 있는 3층재이며,
    상기 중간층은, Mn을 0.2질량% 이상 0.35질량% 미만, Si를 0.6질량% 이하, Fe를 0.7질량% 이하, Cu를 0.1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이며,
    상기 심재는, Si를 1.2질량% 이하, Fe를 1.0질량% 이하, Cu를 0.3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Mn을 0.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이며,
    상기 납재층은, Si를 4질량% 이상 13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이, 추가로, 0.3질량% 이하의 Ti, 0.3질량% 이하의 Zr, 및 0.3질량% 이하의 Cr 중 어느 1종류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이, 추가로, 0.3질량% 이하의 Ti, 0.3질량% 이하의 Zr, 및 0.3질량% 이하의 Cr 중 어느 1종류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납재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이, 추가로, 0.1질량% 이하의 Sr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클래드율이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납재층의 클래드율이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균질화 처리되고, 상기 균질화 처리 후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되고, 또한, 상기 냉간 압연 도중에는 소둔되지 않고 최종 판두께에서만 재결정 소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균질화 처리되고, 상기 균질화 처리 후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된 것이며, 또한, 상기 냉간 압연 도중에는 소둔되지 않고 최종 판두께에서만 회복 소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균질화 처리되고, 상기 균질화 처리 후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된 것이며, 또한, 상기 냉간 압연 도중에 재결정 소둔 또는 회복 소둔되고, 상기 재결정 소둔 또는 상기 회복 소둔 후 최종 판두께까지 냉간 압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균질화 처리되고, 상기 균질화 처리 후 클래드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된 것이며, 또한, 상기 냉간 압연 도중에 회복 소둔되고, 상기 회복 소둔 후 최종 판두께까지 냉간 압연되며, 상기 최종 판두께까지의 냉간 압연 후 추가로 회복 소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KR1020207003757A 2017-08-17 2018-07-23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KR102580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57369 2017-08-17
JP2017157369A JP6487974B2 (ja) 2017-08-17 2017-08-17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及び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の製造方法
PCT/JP2018/027422 WO2019035316A1 (ja) 2017-08-17 2018-07-23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869A true KR20200041869A (ko) 2020-04-22
KR102580546B1 KR102580546B1 (ko) 2023-09-20

Family

ID=6536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757A KR102580546B1 (ko) 2017-08-17 2018-07-23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58577B2 (ko)
EP (1) EP3670688B1 (ko)
JP (1) JP6487974B2 (ko)
KR (1) KR102580546B1 (ko)
CN (1) CN111065753B (ko)
BR (1) BR112020002150B1 (ko)
MX (1) MX2020001837A (ko)
WO (1) WO2019035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22850A (ja) * 2020-02-07 2021-08-30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ブレージングシート、ろう付け方法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CN112030043B (zh) * 2020-08-21 2022-06-14 上海华峰铝业股份有限公司 一种铝合金、铝合金复合管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4234698A (zh) * 2020-09-09 2022-03-25 格朗吉斯铝业(上海)有限公司 多通道折叠扁管和热交换器
CN114670509A (zh) * 2022-03-16 2022-06-28 江苏常铝铝业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钎焊电池液冷板的高强度铝合金复合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6090A (ja) 2004-10-13 2008-05-15 アルコ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回復された高強度複層アルミニウムブレージングシート製品
JP2009041042A (ja) * 2007-08-06 2009-02-26 Furukawa Sky Kk 自動車電子部品向け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
JP2009161826A (ja) * 2008-01-09 2009-07-23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熱交換器のチューブ材用ブレージングシート並びに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132482A1 (fr) 2014-03-06 2015-09-11 Constellium Neuf-Brisach Tôle de brasage à placages multiples
US20160319399A1 (en) * 2014-01-10 2016-11-03 Uacj Corporation Cladded aluminum-alloy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heat exchanger using said cladded aluminum-alloy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17020109A (ja) * 2015-07-08 2017-01-26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1243A (ja) 1984-05-25 1985-12-11 Kobe Steel Ltd 真空ろう付用耐水.高強度ブレ−ジングシ−ト及びこれを用いた熱交換器
JP2842665B2 (ja) * 1990-06-01 1999-01-06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
JPH07179969A (ja) 1993-12-22 1995-07-18 Mitsubishi Alum Co Ltd アルミニウム合金製熱交換器用複合ブレージングシート
US6129143A (en) * 1996-08-08 2000-10-10 Denso Corporation Brazing sheet having an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for use in a heat exchanger, and a heat exchanger using the same
US20080274367A1 (en) 2004-10-13 2008-11-06 Alcoa Inc. Recovered high strength multi-layer aluminum brazing sheet products
JP4825507B2 (ja) 2005-12-08 2011-11-30 古河スカイ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
JP5049488B2 (ja) 2005-12-08 2012-10-17 古河スカイ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の製造方法
SE533287C2 (sv) * 2008-04-18 2010-08-10 Sapa Heat Transfer Ab Sandwichmaterial för lödning med hög hållfasthet vid hög temperatur
US20170113305A1 (en) 2014-03-19 2017-04-27 Uacj Corporation Cladded aluminium-alloy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heat exchanger using said cladded aluminium-alloy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6604699B2 (ja) 2016-03-31 2019-11-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ルミニウム合金製クラッド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487973B2 (ja) 2017-08-03 2019-03-20 株式会社Uacj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及び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6090A (ja) 2004-10-13 2008-05-15 アルコ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回復された高強度複層アルミニウムブレージングシート製品
JP2009041042A (ja) * 2007-08-06 2009-02-26 Furukawa Sky Kk 自動車電子部品向け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
JP2009161826A (ja) * 2008-01-09 2009-07-23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熱交換器のチューブ材用ブレージングシート並びに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60319399A1 (en) * 2014-01-10 2016-11-03 Uacj Corporation Cladded aluminum-alloy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heat exchanger using said cladded aluminum-alloy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WO2015132482A1 (fr) 2014-03-06 2015-09-11 Constellium Neuf-Brisach Tôle de brasage à placages multiples
JP2017020109A (ja) * 2015-07-08 2017-01-26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0688B1 (en) 2024-02-14
BR112020002150A2 (pt) 2020-08-04
CN111065753B (zh) 2021-10-29
EP3670688A4 (en) 2020-12-16
CN111065753A (zh) 2020-04-24
WO2019035316A1 (ja) 2019-02-21
BR112020002150B1 (pt) 2023-09-26
US11458577B2 (en) 2022-10-04
JP2019035118A (ja) 2019-03-07
MX2020001837A (es) 2020-12-03
JP6487974B2 (ja) 2019-03-20
EP3670688A1 (en) 2020-06-24
US20200223017A1 (en) 2020-07-16
KR102580546B1 (ko)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5507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
JP5049488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の製造方法
JP6452626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を用いた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5339560B1 (ja)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065355A1 (ja) フィン用アルミニウム合金製ブレージングシート、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102580546B1 (ko)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KR102586594B1 (ko)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브레이징 시트
JP2012224923A (ja) 熱交換器用プレートフィ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プレートフィン材を用いた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68933A (ja)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
JP5578702B2 (ja)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フィン材および熱交換器
WO2019044545A1 (ja) 熱交換器フィン用ブレージン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110320A1 (ja)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084490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
JP4352457B2 (ja) 強度および耐ろう侵食性に優れたブレージングシートの製造方法
JP5576662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の製造方法
JP4352454B2 (ja) 強度および耐ろう侵食性に優れた熱交換器用ブレージングシートの製造方法
JP6970841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061546B2 (ja) ろう付け後強度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フィン材の製造方法
JP2005177826A (ja) 強度および耐ろう侵食性に優れたブレージング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8003055A (ja)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チューブ材、アルミニウム合金チュ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77827A (ja) 強度および耐ろう侵食性に優れたブレージング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