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508A - 분체 함유 피부 외용제 - Google Patents

분체 함유 피부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508A
KR20200038508A KR1020207006896A KR20207006896A KR20200038508A KR 20200038508 A KR20200038508 A KR 20200038508A KR 1020207006896 A KR1020207006896 A KR 1020207006896A KR 20207006896 A KR20207006896 A KR 20207006896A KR 20200038508 A KR20200038508 A KR 20200038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ass
powder
external prepar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770B1 (ko
Inventor
나오키 오가타
히데토시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ublication of KR20200038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탄올과, 분체(粉體)와, 양이온성 폴리머와, 물을 함유하고, 에탄올의 함유량이 50.0∼80.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이다.

Description

분체 함유 피부 외용제
본 발명은, 재분산성이 뛰어난 분체(粉體) 함유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피부에 도포한 후에 보송보송한 감촉을 주는 관점에서, 물이나 알코올 등의 액체 중에 분체를 함유한 데오도런트제나 청량 화장료(청량감을 주는 화장료)로서 이용되는 분체 함유 피부 외용제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외용제는, 진탕(振蕩)하여 분체를 분산시킨 후, 신체에 도포하여 사용되지만, 보존 시에 침강한 분체 등이 단단하게 응집하여, 보존 후에 진탕해도 재분산하기 어려워지는, 소위 케이킹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무수 규산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양이온성 폴리머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12-219028호 공보
한편, 전술의 데오도런트제나 청량 화장료는, 속건성(速乾性)이나 사용감의 관점에서 에탄올을 고(高)배합(예를 들면, 50 질량% 이상)하는 경우가 있지만, 특허문헌 1에는 알코올을 고배합하는 것은 개시되어 있지 않아, 에탄올을 고배합하는 분체 함유 피부 외용제에 있어서의 분체의 재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속건성 및 분체의 재분산성을 개선한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에탄올, 분체, 양이온성 폴리머, 및 물을 함유함으로써, 에탄올을 고배합함에도 불구하고 분체의 재분산성이 뛰어난 피부 외용제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해당 피부 외용제는, 미끄러짐성도 양호하고, 백탁이 발생하지 않는 뛰어난 특성을 갖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1] 에탄올과, 분체와, 양이온성 폴리머와, 물을 함유하고,
에탄올의 함유량이 50.0∼80.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2] 분체의 함유량이 1.0∼10.0 질량%인, [1]에 기재한 피부 외용제,
[3]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이 0.005∼0.060 질량%인, [1] 또는 [2]에 기재한 피부 외용제,
[4]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0.05 질량% 미만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체 피부 외용제는, 재분산성, 속건성, 및 미끄러짐성이 양호하고, 또한 백탁이 발생하지 않는 뛰어난 특성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는, 에탄올, 분체, 양이온성 폴리머, 및 물을 필수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경우, 그 양단(兩端)의 수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에탄올)
에탄올의 함유량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 100 질량%에 대해, 50.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5.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60.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탄올의 함유량을 50.0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속건성 및 사용감이 향상된다. 한편, 양이온성 폴리머의 석출 방지의 관점에서, 에탄올의 함유량은, 80.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75.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분체)
분체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무기 분체나 유기 분체를 들 수 있다. 또, 분체는, 천연물, 조립물(造粒物), 복합 분체 등 어느 쪽의 유래여도 된다. 분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상(球狀), 인편상(燐片狀), 판상, 분말상 등을 들 수 있다.
분체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실리콘, 셀룰로오스,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실세스퀴옥산 등의 유기 분체; 실리카, 탈크, 히드록시 아파타이트, 산화 아연, 산화 티탄 등의 무기 분체를 들 수 있고, 무기 분체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탈크 및 실리카이다. 탈크나 실리카는 저코스트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탈크는, 피부 외용제를 도포한 피부에 매끄러운 감촉(매끈매끈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실리카는, 피부 외용제를 도포한 피부에 보송보송한 드라이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이들 분체는, 이와 같이 독특한 사용감을 줄 수 있는 반면, 무기 분체(특히 탈크나 실리카)는, 피부 외용제의 보존 시에 케이킹(즉, 침강한 분체가 단단하게 응집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분체에 대해서도 재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분체는, 상기 예시한 것 중 어느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분체의 평균 입자 지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부 상에서의 백탁 억제의 관점에서, 0.5∼30.0㎛가 바람직하고, 1.0∼25.0㎛가 보다 바람직하며, 2.0∼20.0㎛가 더욱 바람직하고, 4.0∼15.0㎛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 중의 분체의 함유량은, 1.0∼10.0 질량%가 바람직하고, 1.0∼8.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2∼6.0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1.5∼5.0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며, 2.0∼4.5 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분체의 함유량을 1.0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를 피부에 도포한 후의 보송보송한 감이 향상되어, 사용감이 향상된다. 또, 분체의 함유량을 10.0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보존 시의 케이킹이 보다 억제되는 동시에, 피부 상에서의 백탁 억제 효과가 한층 더 향상된다.
(양이온성 폴리머)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는,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시킴으로써, 분체가 균일하게 재분산되어, 그 응집을 억제할 수 있어, 눈막힘이 없고 사용감(보송 보송한 감, 끈적임 없음)이 뛰어난 분체 피부 외용제로 할 수 있다.
양이온성 폴리머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유도체, 양이온화 전분, 양이온화 구아검, 양이온화 구아검 유도체, 디알릴 4급 암모늄염의 호모폴리머, 4급화 폴리비닐피롤리돈 유도체, 폴리글리콜 폴리아민 축합물, 디알킬디알릴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비닐이미다졸륨 트리클로라이드/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4급화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알킬아미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알킬아미노아크릴레이트/비닐카프로락탐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아미드프로필 염화 트리메틸암모늄 공중합체, 알킬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알킬아미노알킬아크릴아미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무수 규산이 균일하게 재분산되어, 그 응집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중합체,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아크릴산/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 공중합체, 아크릴산/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폴리머로는, 적절히 합성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Merquat 10(표시 명칭 「폴리쿼터늄-10」, Lubrizol사 제조) 등의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Merquat 100, Merquat 106(모두, 표시 명칭 「폴리쿼터늄-6」, Lubrizol사 제조) 등의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중합체; Merquat 550, Merquat 550PR, Merquat S, Merquat 2200, Merquat 740(모두, 표시 명칭 「폴리쿼터늄-7」, Lubrizol사 제조) 등의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Merquat 280, Merquat 281, Merquat 295(모두, 표시 명칭 「폴리쿼터늄-22」, Lubrizol사 제조) 등의 아크릴산/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 공중합체; Merquat PLUS 3330(표시 명칭 「폴리쿼터늄-39」, Lubrizol사 제조) 등의 아크릴산/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 중의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0.005∼0.060 질량%가 바람직하고, 0.010∼0.05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0.015∼0.050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분체가 균일하게 재분산되어, 그 응집을 억제할 수 있어, 눈막힘 및 끈적임이 없는 점에서 유리하다.
(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하는 물로는, 예를 들면, 이온 교환수, 한외(限外)여과수, 역침투수, 증류수 등의 순수(純水), 초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 중의 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에탄올, 분체, 양이온성 폴리머, 및 그 외의 성분을 제외한 잔부를 그 함유량으로 할 수 있다. 양이온성 폴리머의 용해성을 담보하는 관점에서, 물의 함유량은, 3.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속건성 및 사용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물의 함유량은, 48.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40.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5.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 외의 성분)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는, 에탄올, 분체, 양이온성 폴리머, 및 물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외의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유지, 탄화수소유, 납(蠟)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고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스테롤류, 보습제, 증점제(增粘劑), 살균제, pH 조정제, 무기 안료, 색소,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비타민류, 수렴제, 미백제, 동식물 추출물, 금속 이온 봉쇄제, 방부제, 제한(制汗) 성분, 소취(消臭) 성분, 청량화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는, 증점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증점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아크릴산계 증점제 등을 들 수 있고, 셀룰로오스계 증점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증점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증점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계 증점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타)아크릴산 모노머 및/또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모노머를 필수의 구성 성분으로서 형성된 코폴리머 및 크로스 폴리머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메타)아크릴산 알킬 코폴리머,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폴리옥시에틸렌(20)세틸에테르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폴리옥시에틸렌(20)스테아릴에테르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폴리옥시에틸렌(25)베헤닐에테르 코폴리머 등의 (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 알킬/(메타)아크릴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폴리옥시에틸렌(20)세틸에테르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폴리옥시에틸렌(20)스테아릴에테르 코폴리머 등의 (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 알킬/이타콘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폴리옥시에틸렌(20)스테아릴에테르크로스폴리머 등의 (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 알킬/(메타)아크릴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네오데칸산 비닐크로스폴리머,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VP) 코폴리머, (N-비닐피롤리돈-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폴리아크릴레이트-1)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메타)아크릴산 알킬 코폴리머,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VP) 코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또한, 괄호 내의 수치는, 산화 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 중의 증점제의 함유량은, 0.1∼5.0 질량%가 바람직하고, 0.2∼2.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증점제의 함유량을 0.1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가 적절히 증점되어, 도포 후에 늘어져 떨어지기 어려워진다. 또, 증점제의 함유량을 5.0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도포 후의 불쾌한 끈적임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는, 살균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살균제는, 예를 들면, 체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생성하는 피부 상재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약제이다. 살균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염산 클로르헥시딘, 페놀,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트리클로산, 트리클로카르반, 피록톤올아민, 징크 피리치온, 살리실산, 소르빈산, 염화 라이소자임 등을 들 수 있고, 염화 벤잘코늄,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이 바람직하다. 살균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 중의 살균제의 함유량은, 0.05∼1.0 질량%가 바람직하고, 0.05∼0.5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살균제의 함유량을 0.05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살균 효과에 의한 체취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또, 살균제의 함유량을 1.0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피부 외용제의 저자극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는, 제한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상기 제한 성분은, 피부를 수렴함으로써 땀의 발생을 억제하는 약제이다. 상기 제한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염화 알루미늄, 황산 알루미늄칼륨, 황산 알루미늄, 초산(酢酸) 알루미늄,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파라페놀술폰산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는, 소취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소취 성분은, 냄새를 풍기는 물질과 반응하거나, 냄새를 풍기는 물질을 흡착하거나, 냄새를 마스크하거나 하여, 냄새를 지우는 효과를 갖는 약제이다. 상기 소취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산화 티탄 피복 활성탄, 산화 아연 등의 금속 산화물, 실리카, 알킬디에탄올아미드,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차 추출물, 향료,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보카도유, 동백유, 마카다미아넛츠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납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카르나우바납, 칸델릴라납, 호호바유, 밀랍, 라놀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유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파라핀, 바셀린,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스쿠알렌, 스쿠알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유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모노스테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린산 프로필렌글리콜, 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유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틸폴리실록산, 평균 중합도가 650∼7000인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의 쇄상(鎖狀) 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환상(環狀) 실리콘; 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카르복시 변성 실리콘, 지방산 변성 실리콘, 알코올 변성 실리콘, 지방족 알코올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등의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라우릴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2-펜 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1,2-데칸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알킬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경화 피마자유,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릴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실리콘 계면활성제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N-아실-N-메틸타우린염, 알킬에테르인산 에스테르염, N-아실아미노산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염화 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 디알킬디메틸암모늄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디메틸아미노 초산 베타인, 알킬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미노 초산 베타인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05 질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0.02 질량%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며, 0.01 질량%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 질량%(즉 함유하지 않는다)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을 상기의 범위로 해도,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한다.
상기 청량화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멘톨, 멘틸글리세릴에테르, 멘틸락테이트, 박하유, 페퍼민트유, 캄퍼, 이실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아스코르빈산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이온 봉쇄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데트산염, 인산, 폴리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구연산, 주석산(酒石酸)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는, 로션, 젤, 롤온, 워터 등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워터 또는 롤온의 제형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를, 롤온 제품으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롤 온 용기와, 해당 롤온 용기 내에 충전되어 있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를 구비한다. 롤온 용기는, 도포부에 롤을 구비한다. 롤은, 원통 부재여도 되고, 구상 부재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의 제제화(製劑化)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제조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합량은, 특기하지 않는 한, 유효 성분의 배합량이며, 피부 외용제 100 질량%에 대한 「질량%」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이용한 각종 재료를 정리하여 나타낸다.
분체 1: 닛키 쇼쿠바이 가세이(주) 제조의 SILICA PEARL 20CG(실리카), 평균 입자 지름: 5.0㎛
분체 2: AGC 에스아이테크(주) 제조의 선스페어 H-51(실리카), 평균 입자 지름: 5.0㎛
분체 3: 도시키 피그먼트(주) 제조의 PLASTIC POWDER D-800(폴리우레탄 분말), 평균 입자 지름: 5.5∼8.0㎛
분체 4: 닛폰 탈크(주) 제조의 탈크 MS(탈크), 평균 입자 지름: 20㎛
분체 5: 아이카 고교(주) 제조의 간츠펄 GPA-550(나일론 분말(ナイロン末)), 평균 입자 지름: 4.0∼6.0㎛
양이온성 폴리머 1: Lubrizol사 제조의 Merquat 550PR(표시 명칭 「폴리쿼터늄-7」,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양이온성 폴리머 2: Lubrizol사 제조의 Merquat PLUS 3330(표시 명칭 「폴리쿼터늄-39」, 아크릴산/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음이온성 폴리머: Lubrizol Advanced Materials사 제조의 CARBOPOL 980 POLYMER(표시 명칭 「카르보머」)
HPC: 니혼 소다(주) 제조의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8)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조성(배합량)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피부 외용제를 조제했다. 얻어진 각 피부 외용제에 대해서, 하기 평가를 행하였다.
(1) 재분산성
용량 120mL의 유리병(마요네즈 병)에 상기 시료를 100mL 넣고, 1000rpm으로 2분간 원심 분리하여 분체를 침강시킨 후, 15cm의 진폭으로 세로로 진탕(1 왕복/초)을 반복하여, 저면(底面)의 분체가 완전히 분산하기까지의 진탕 횟수를 계측했다. 계측 결과는,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평가 기준]
3점(우수): 10회 이내에 저면의 잔류가 없어지고, 균일 분산한다.
2점(양호): 11회 이상, 20회 이내에 저면의 잔류가 없어지고, 균일 분산한다.
1점(불충분): 21회 이상, 50회 이내에 저면의 잔류가 없어지고, 균일 분산한다.
0점(불량): 51회 이상 진탕해도 저면에 잔류를 확인할 수 있거나 또는 균일 분산할 수 없다.
(2) 속건성
각 피부 외용제 약 0.2g을 도포하고, 1분 후의 피부를 손바닥으로 어루만졌을 때의 감촉으로부터, 속건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또한, 평가는, 전문 평가원 3명에 의해, 25℃, 습도 50%RH의 항온항습의 조건하에서 실시했다.
[평가 기준]
3점(우수): 액체가 전혀 남아 있지 않다.
2점(양호): 조금 액체가 남아 있지만 말라 있다고 느낀다.
1점(사용 가능): 액체가 남아 있지만 사용상 문제 없다.
0점(불량): 액체가 남아 있어, 사용상 불쾌.
(3) 미끄러짐성
각 피부 외용제 약 0.2g을 도포하여 건조한 후의 피부를 손바닥으로 어루만졌을 때의 감촉으로부터, 미끄러짐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또한, 평가는, 전문 평가원 3명에 의해, 25℃, 습도 50%RH의 항온항습의 조건하에서 실시했다.
[평가 기준]
3점(우수): 지극히 높은 보송보송한 감을 느낀다.
2점(양호): 도포 전보다도 미끄러짐이 높고, 보송보송한 감을 느낀다.
1점(사용 가능): 조금 걸림을 느낀다.
0점(불량): 강한 걸림을 느낀다.
(4) 도포 후의 백탁
각 피부 외용제 약 0.2g을 도포하여 건조한 후의 피부의 백탁의 유무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또한, 평가는, 전문 평가원 3명에 의해, 25℃, 습도 50%RH의 항온항습의 조건하에서 실시했다.
[평가 기준]
3점(우수): 사용 후의 피부에 백탁이 없다.
2점(양호): 사용 후의 피부에 약간의 백탁을 발생시키지만, 실용상 전혀 신경 쓰이지 않는다.
1점(사용 가능): 사용 후의 피부에 백탁을 발생시키지만, 사용 가능하다.
0점(불량): 사용 후의 피부에 백탁이 현저하게 발생하여, 사용에 적합하지 않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1 및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부 외용제는, 재분산성, 속건성, 및 미끄러짐성이 양호하고, 또한 백탁이 발생하지 않는 뛰어난 특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의 처방예를 나타낸다.
처방예 1(롤온)
실리카                3.0 질량%
폴리쿼터늄-7             0.04 질량%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0.3 질량%
시멘-5-올               0.1 질량%
에탄올                70.0 질량%
정제수                  잔부
처방예 2(워터)
실리카                3.0 질량%
폴리쿼터늄-7             0.04 질량%
멘톨                 0.5 질량%
페놀술폰산 아연            0.3 질량%
에탄올                70.0 질량%
정제수                  잔부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분체 함유 피부 외용제는, 속건성 및 재분산성이 양호한 피부 외용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에탄올과, 분체(粉體)와, 양이온성 폴리머와, 물을 함유하고,
    에탄올의 함유량이 50.0∼80.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분체의 함유량이 1.0∼10.0 질량%인, 피부 외용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이 0.005∼0.060 질량%인, 피부 외용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0.05 질량% 미만인, 피부 외용제.
KR1020207006896A 2018-03-29 2019-02-08 분체 함유 피부 외용제 KR102340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64339 2018-03-29
JP2018064339 2018-03-29
PCT/JP2019/004731 WO2019187702A1 (ja) 2018-03-29 2019-02-08 粉体含有皮膚外用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508A true KR20200038508A (ko) 2020-04-13
KR102340770B1 KR102340770B1 (ko) 2021-12-17

Family

ID=6805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896A KR102340770B1 (ko) 2018-03-29 2019-02-08 분체 함유 피부 외용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09353B2 (ko)
KR (1) KR102340770B1 (ko)
CN (1) CN111093606A (ko)
WO (1) WO201918770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626A (ja) * 1993-07-19 1995-02-03 Kao Corp 頭皮化粧料
JP2012219028A (ja) 2011-04-05 2012-11-12 Lion Corp 粉体含有化粧料
WO2015146590A1 (ja) * 2014-03-28 2015-10-01 株式会社マンダム デオドラント剤又は清涼化粧料、並びに非エアゾール型スプレー製品
JP2016011287A (ja) * 2014-06-02 2016-01-21 ライオン株式会社 制汗剤組成物
JP2017132723A (ja) * 2016-01-28 2017-08-03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5178A (en) * 1985-05-02 1987-06-23 Calgon Corporation Use of cationic polymers (polydimethyldialkyl ammonium chloride-acrylamide copolymers and dimethyldialkyl ammonium chloride) to increase deposition and/or retention of active agent (S) of deodorant formulations on surfaces
JP3920785B2 (ja) * 2003-01-31 2007-05-30 株式会社マンダム 粉体含有化粧料
JP2008247752A (ja) * 2007-03-29 2008-10-16 Shiseido Co Ltd 外用組成物
WO2013150582A1 (ja) * 2012-04-02 2013-10-10 株式会社徳重 皮膚用汚れ除去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626A (ja) * 1993-07-19 1995-02-03 Kao Corp 頭皮化粧料
JP2012219028A (ja) 2011-04-05 2012-11-12 Lion Corp 粉体含有化粧料
WO2015146590A1 (ja) * 2014-03-28 2015-10-01 株式会社マンダム デオドラント剤又は清涼化粧料、並びに非エアゾール型スプレー製品
JP2016011287A (ja) * 2014-06-02 2016-01-21 ライオン株式会社 制汗剤組成物
JP2017132723A (ja) * 2016-01-28 2017-08-03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09353B2 (ja) 2021-07-28
WO2019187702A1 (ja) 2019-10-03
KR102340770B1 (ko) 2021-12-17
CN111093606A (zh) 2020-05-01
JPWO2019187702A1 (ja)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397B1 (ko) 정발제 조성물
JP6452396B2 (ja) 制汗剤組成物
JP6070571B2 (ja) デオドラント組成物
JP2003342130A (ja) 毛髪化粧料
EP1384470B2 (en) Skin cleansing composition
JP5832118B2 (ja) 粉体含有化粧料
JP5832259B2 (ja) 化粧料
WO2018074439A1 (ja) 化粧料
EP3562467B2 (en)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KR101721351B1 (ko) 정발제 조성물
KR102340770B1 (ko) 분체 함유 피부 외용제
JP6644416B2 (ja) 体臭抑制用組成物
JPH11263721A (ja) 水中油型ゴマージュ化粧料
WO2021132019A1 (ja) 皮膚常在菌叢のバランス改善剤
JP2017122059A (ja) 体臭抑制剤
JP2017171637A (ja) 乳化体臭抑制剤
JP6895584B2 (ja) 粉体含有体臭抑制剤
JP6284437B2 (ja) 体臭抑制剤
JP7475785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6837030B2 (ja) ジェル状組成物
JP4630101B2 (ja) ジェル状組成物
JP2021187825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JP2014152168A (ja) 毛髪用化粧料
JP2021059506A (ja) ミスト状化粧料
JP2022148183A (ja) 清涼化粧料組成物および清涼感の増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