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065A - 알카리성 복합 식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카리성 복합 식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065A
KR20200033065A KR1020180112504A KR20180112504A KR20200033065A KR 20200033065 A KR20200033065 A KR 20200033065A KR 1020180112504 A KR1020180112504 A KR 1020180112504A KR 20180112504 A KR20180112504 A KR 20180112504A KR 20200033065 A KR20200033065 A KR 20200033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alkaline
food
present
ke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광엽
Original Assignee
라이프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프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이프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3065A/ko
Publication of KR2020003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하기 위해 우수한 알카리성을 나타내는 식품 재료들로부터 이들을 적정한 방법에 의해 처리하고 일정비율로 조성하여 정제 또는 환제로 제조하여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섭취자의 체질을 알카리성으로 개선하여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진할 수 있는, 알카리성 복합 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알카리성 복합 식품은 엉겅퀴, 다시마, 미나리, 질경이, 오미자, 옥수수수염, 민들레, 개다리열매분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알카리성 복합 식품 및 그 제조방법은 상기한 알칼리성인 식물성 식품 재료를 특정한 방법으로 일정비율로 조성하여 정제 또는 환제로 제조하므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알카리성을 나타내는 식품 재료들로 구성하여 섭취자의 체질을 알카리성으로 개선하고 이에 의해 장내에 유익한 미생물의 활동성을 증진하는 반면 유해한 미생물은 억제하므로 인체의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진할 수 있는 알카리성 복합 식품을 제공하므로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Description

알카리성 복합 식품 및 그 제조방법{Alkaline complex fo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알카리성 복합 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인체의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하기 위해 우수한 알카리성을 나타내는 식품 재료들로부터 이들을 적정한 방법에 의해 처리하고 일정비율로 조성하여 정제 또는 환제로 제조하여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섭취자의 체질을 알카리성으로 개선하여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진할 수 있는, 알카리성 복합 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생물체는 다양한 미생물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으며 생존을 영위해가는데, 이러한 미생물들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에 대체로 유익한 호기성 미생물과 나쁜 영향을 미치는 혐기성 미생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유익한 호기성 미생물은 주로 알카리성 환경에서 활동이 왕성해지고 그 수가 늘어나는 반면 산성 환경에서는 활동이 중지되고 대부분 소멸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반대로 주로나쁜 영향을 미치는 혐기성 미생물은 알카리성 환경에서 그 증식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체에 유익한 호기성 미생물의 성장을 활발하게 하고, 악영향을 미치는 혐기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 및 소멸시키기 위해서는 인체의 위 및 장내 환경을 적당한 정도의 알카리성으로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질병에 대한 내성을 증진하는데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체내 환경을 알카리성으로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식품 또는 그 제조 방법 등이 제안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998-0008062호(특허문헌 1)에서는, 어육(잘게 썰은 것)에 해조류(다시마나 미역 분말 10~20%), 양파(즙 15~20%), 소금, 감미료, 보존료 등을 넣고 골고루 섞어 2시간 이상 재었다가 건조(수분함량 15~30%)시킨 재료에 양파(즙 15~20%)에 전분(7~12%), 난백(2~5%), 소금, 결착제, 조미료, 보존료 약간의 물을 넣고 골고루 섞어 1~2시간 방치하였다가 성형기에 넣어 익히는 제조방법으로 되는, 어육, 양파, 해조류 (다시마, 미역)를 이용한 식품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0019218호(특허문헌 2)에서는, 다시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환상 식이영양식품이라는 명칭으로, "식이영양식품에 있어서, 다시마 55~60중량부, 동규자잎 1.5~2.5중량부, 누에동충하초 1.5~2.5중량부, 구기자 1.5~2.5중량부, 마 1.5~2.5중량부, 백출 1.5~2.5중량부, 키토산 1.5~2.5중량부, 곤약 10~20중량부, 솔잎 3.0~4.6중량부, 율무 3.0~4.0중량부를 혼합한 후 여기에 녹용액기스 2중량부, 푸로폴리스 수용액 2중량부를 첨가하고 밀가루 페이스트를 상기 혼합물에 30중량부를 첨가하여 환(丸)으로 성형한 다시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식이영양식품"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120069호(특허문헌 3)에서는, 기능성 식품으로 제공되는 인삼 다시 및 그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으로, "기능성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인삼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패각류를 고온에서 소성시켜 얻은 분말로 CaO 함량이 95.0w% 이상의 산화칼슘을 1.0~5 w% 범위로 물에 녹인 알카리성 수용액을 이용하여 인삼의 잔류농약 성분을 분해/제거하여 정제인삼을 얻는 인삼 정제공정; 상기 정제공정을 통하여 얻은 수삼을 수분이 10∼15%되게 건조하여 증숙하고 올리고당이나 과당, 정백당, 천연꿀 중에서 선택되는 당액에 증숙한 인삼을 넣고 30℃-40℃온도에서 24시간 이상 당침시키는 인삼 숙성공정; 상기 인삼숙성물을 -20 ~ -25℃ 범위에서 동결시키고 70-76cmHg의 진공하에 30-40℃에서 수분 5%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다음 50~150 mesh 범위로 분쇄하여 인삼을 분말화하는 인삼 분말화공정; 상기 인삼분말 10 내지 50 중량부에 식용가능한 조미성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품첨가제가 5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배합되는 인삼 다시 배합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함유 인삼 다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나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방법 등은 일반적으로 알카리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몇몇 식품 재료들을 이용하여 건강 증진에 효과가 있는 식품 또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체의 위 또는 장내 환경을 적당한 정도의 알카리성으로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유익한 미생물인 호기성 미생물이 적절하게 번식하여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게 하면서 유해균인 혐기성 미생물을 억제하므로 인체의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알카리성 식품과 그 제조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한 식품 재료들로부터 이들을 적정한 방법에 의해 처리하고 일정비율로 조성하여 정제 또는 환제로 제조하여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섭취자의 위 및 장내 환경을 알카리성으로 개선하여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진할 수 있는 알카리성 복합 식품의 구성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998-0008062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0019218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12006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기술적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인체의 위 또는 장내 환경을 적당한 정도의 알카리성으로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유익한 미생물인 호기성 미생물이 적절하게 번식하여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게 하면서 유해균인 혐기성 미생물을 억제하므로 인체의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할 수 있는 알카리성 복합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인체의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하는 알카리성 복합 식품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정제 또는 환제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알카리성 복합 식품은;
엉겅퀴, 다시마, 미나리, 질경이, 오미자, 옥수수수염, 민들레, 개다리열매분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복합 식품은 감미제, 향제, 및 기타 식품 첨가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알카리성 복합 식품의 제조 방법은;
엉겅퀴, 다시마, 미나리 및 질경이를 각각 건조 후 분말화하는 단계;
오미자, 옥수수수염, 민들레를 추출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개다리열매분을 추출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상기 각 단계에서 얻어진 분말을 엉겅퀴분말 27.5%, 다시마분말 27.9%, 미나리분말 2.8%, 질경이분말 2.8%, 오미자분말 1.4%, 옥수수수염 0.7%, 민들레분말 36.8%, 개다리열매분말 0.1%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혼합물을 정제 또는 환제로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알카리성 복합 식품 및 그 제조방법은 상기한 알칼리성인 식물성 식품 재료를 특정한 방법으로 일정비율로 조성하여 정제 또는 환제로 제조하므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알카리성을 나타내는 식품 재료들로 구성하여 섭취자의 체질을 알카리성으로 개선하고 이에 의해 장내에 유익한 미생물의 활동성을 증진하는 반면 유해한 미생물은 억제하므로 인체의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진할 수 있는 알카리성 복합 식품을 제공하므로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알카리성 복합 식품의 제조 공정을 간략히 나타내는 공정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알카리성 복합 식품은 엉겅퀴, 다시마, 미나리, 질경이, 오미자, 옥수수수염, 민들레, 개다리열매분으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복합 식품은 감미제, 향제, 및 기타 식품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구성요소인 감미제, 향제, 및 기타 식품 첨가물은 이 분야의 통상인이 그 의도에 따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합 식품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엉겅퀴분말 25 내지 30중량부, 다시마분말 25 내지 30%, 미나리분말 2 내지 3%, 질경이분말 2 내지 3%, 오미자분말 1 내지 2%, 옥수수수염 0.7%, 민들레분말 30 내지 40%, 개다리열매분말 0.1%의 비율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비율의 조성물이 유익한 미생물의 활성화에 가장 효과적인 알카리성을 나타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복합 식품은 엉겅퀴분말 27.5, 다시마분말 27.9%, 미나리분말 2.8%, 질경이분말 2.8%, 오미자분말 1.4%, 옥수수수염 0.7%, 민들레분말 36.8%, 개다리열매분말 0.1%의 비율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알카리성 복합 식품의 제조 공정을 간략히 나타내는 공정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알카리성 복합 식품의 제조 방법을 도 1을 참고로, 설명하면, 먼저 알카리성 복합 식품을 얻기 위해 선별된 엉겅퀴, 다시마, 미나리, 질경이를 각각 바람이 잘 통하는 장소에서 충분히 건조한 후 마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통해 각 성분의 분말을 얻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 오미자, 옥수수수염, 민들레를 추출하여 분말화하는 단계와, 개다리열매를 추출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통하여 각각의 분말을 얻는다. 이와 같은 각각의 분말을 얻는 구체적인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각 단계에서 얻어진 분말을 엉겅퀴분말 27.5%, 다시마분말 27.9%, 미나리분말 2.8%, 질경이분말 2.8%, 오미자분말 1.4%, 옥수수수염 0.7%, 민들레분말 36.8%, 개다리열매분말 0.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고, 이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 또는 환제로 성형하여 알카리성 식품 정제 또는 환제를 얻는다.
상기 알카리성 식품 분말 혼합물로부터 정제 또는 환제로 타정하고 성형하는 방법은 특정한 공정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정제 또는 환제의 제조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자세하게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1
엉겅퀴, 다시마, 미나리, 질경이를 각각 선별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장소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함유 수분이 각각 2%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였다. 이렇게 건조된 것을 분쇄기 안에서 마쇄하여 100메쉬 이상의 분말로 분말화하여 각각의 분말을 얻었다.
오미자, 옥수수수염, 민들레, 개다리열매는 각각 별도의 추출기에 넣고 각각의 추출물을 각각 얻었다. 얻어진 각 추출물은 농축기에서 약 120℃의 온도에서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각각의 농축 분말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분말을 각각 엉겅퀴분말 27.5%, 다시마분말 27.9%, 미나리분말 2.8%, 질경이분말 2.8%, 오미자분말 1.4%, 옥수수수염 0.7%, 민들레분말 36.8%, 개다리열매분말 0.1%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거쳐 알카리성 식품 분말 혼합물을 얻고, 이를 환제로 성형하여 알카리성 식품 환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엉겅퀴분말 30%와 다시마분말 25.4%로 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알카리성 식품 환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엉겅퀴분말 26%와 다시마분말 29.4%로 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알카리성 식품 환제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카리성 복합 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형태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사용부호 없음)

Claims (1)

  1. 엉겅퀴, 다시마, 미나리 및 질경이를 각각 건조 후 분말화하는 단계;
    오미자, 옥수수수염, 민들레를 추출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개다리열매분을 추출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상기 각 단계에서 얻어진 분말을 엉겅퀴분말 27.5%, 다시마분말 27.9%, 미나리분말 2.8%, 질경이분말 2.8%, 오미자분말 1.4%, 옥수수수염 0.7%, 민들레분말 36.8%, 개다리열매분말 0.1%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혼합물을 정제 또는 환제로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성 복합 식품의 제조 방법.
KR1020180112504A 2018-09-19 2018-09-19 알카리성 복합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3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504A KR20200033065A (ko) 2018-09-19 2018-09-19 알카리성 복합 식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504A KR20200033065A (ko) 2018-09-19 2018-09-19 알카리성 복합 식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065A true KR20200033065A (ko) 2020-03-27

Family

ID=6995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504A KR20200033065A (ko) 2018-09-19 2018-09-19 알카리성 복합 식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306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062A (ko) 1996-07-23 1998-04-30 이영일 어육, 양파, 해조류(다시마, 미역)를 이용한 식품제조 방법
KR20010019218A (ko) 1999-08-25 2001-03-15 주동관 다시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환(丸)상 식이영양식품
KR20130120069A (ko) 2012-04-25 2013-11-04 박인진 기능성 식품으로 제공되는 인삼 다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062A (ko) 1996-07-23 1998-04-30 이영일 어육, 양파, 해조류(다시마, 미역)를 이용한 식품제조 방법
KR20010019218A (ko) 1999-08-25 2001-03-15 주동관 다시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환(丸)상 식이영양식품
KR20130120069A (ko) 2012-04-25 2013-11-04 박인진 기능성 식품으로 제공되는 인삼 다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leurence Seaweeds as food
KR100937707B1 (ko) 해삼 가공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180642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한 어묵 및 그 제조 방법
CN103494013B (zh) 一种香椿肉鸡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980323B1 (ko) 식용곤충을 이용한 고단백질 식품의 제조방법
KR102241976B1 (ko) 반려동물 간식 및 그 제조방법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7175A (ko) 자리공을 함유하는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축용 사료
KR101813270B1 (ko) 산란계 사료 첨가제를 이용한 산란계 사육방법
KR102296137B1 (ko) 반려동물용 영양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영양사료 제조방법
KR100730291B1 (ko) 양파와 생약제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20180039510A (ko) 식용 곤충 오일이 함유된 떡갈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2617A (ko) 칼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2045703B1 (ko) 소시지의 제조방법
CN104082683A (zh) 一种琴鱼饲料
KR102219335B1 (ko) 식이섬유가 함유된 양념 및 그 제조 방법
CN107006697B (zh) 一种以香茅草为功能性原料的山羊tmr饲料及加工工艺
KR101418843B1 (ko) 흑마늘 박 및 흑마늘 엑기스를 포함하는 어류 또는 가축용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33065A (ko) 알카리성 복합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753350B1 (ko) 게 또는 새우 발효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천일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KR20180023214A (ko) 해초와 키토산을 이용한 돌산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KR101300794B1 (ko) 뿌리 부추 천연 조미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811852B1 (ko) 산란계 사료 첨가제
KR102215379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한 면류 및 그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