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077A - 분쇄기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분쇄기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077A
KR20200030077A KR1020207003418A KR20207003418A KR20200030077A KR 20200030077 A KR20200030077 A KR 20200030077A KR 1020207003418 A KR1020207003418 A KR 1020207003418A KR 20207003418 A KR20207003418 A KR 20207003418A KR 20200030077 A KR20200030077 A KR 20200030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agent
housing
pressure
fuel
rapid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109B1 (ko
Inventor
요스케 오니시
고키 마츠자키
히로아키 가네모토
유타카 다케노
요시키 야마구치
쇼고 사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007Mills with rollers pressed against a rotary horizontal dis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04Mills with pressed pendularly-mounted rollers, e.g. spring pres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4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2Pneumatic feeding arrangements, i.e. by air bl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급속 연소가 발생한 것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인 것을 검지하여 적정한 위치와 타이밍으로 소화제를 분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쇄부(1A)의 근방에 설치되어, 하우징(31)의 내부의 압력을 검지하는 제1 압력 검지부와, 분급부(1B)의 근방에 설치되어, 하우징(31)의 내부의 압력을 검지하는 제2 압력 검지부와, 분쇄부(1A)의 근방에 설치되어, 제1 압력 검지부 또는 제2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분쇄부에 대하여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제 분사기(51)와, 분급부(1B)의 근방에 설치되어, 제1 압력 검지부 또는 제2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분급부(1B)에 대하여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제 분사기(5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분쇄기 및 그 운용 방법
본 발명은, 소화 설비를 구비한 분쇄기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력 발전 설비 등에서 사용되는 석탄이나 바이오매스 등의 고체 연료는, 밀(분쇄기)로 미분상으로 분쇄되어 보일러 등의 연소 장치에 공급된다. 밀은, 급탄관(또는 바이오매스 공급관)으로부터 분쇄 회전 테이블에 투입된 석탄이나 바이오매스 등의 고체 연료를, 분쇄 회전 테이블과 분쇄 롤러 사이에서 잘게 부숨으로써 분쇄한다. 그리고, 분쇄 회전 테이블의 외주로부터 공급되는 반송 가스에 의해, 분쇄되어서 미분상으로 된 연료가, 뿜어 올려져, 분급기에서 입경 사이즈에 따라서 체 분류할 수 있다. 입경 사이즈가 작은 연료는, 연소 장치로 반송된다.
바이오매스 연료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 등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삭감 대책의 하나로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매스 연료는, 펠릿상으로 밀에 공급되어서 분쇄되지만, 예를 들어 정전기에 의해 착화되기 쉽기 때문에 급속 연소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그 때문에, 바이오매스가 연료로 되는 경우, 석탄(미분탄)보다도 급속 연소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안전 관리의 강화가 필요해진다.
특허문헌 1에는, 수직형 롤러 밀에 압력 센서를 배치하고, 압력 센서가 급속 연소의 발생을 검지하면, 즉시 소화제를 분출하여 급속 연소가 심각한 일로 이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42999호 공보 미국 특허 제9421551호 명세서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급속 연소의 발생을 압력 센서에 의해 검지하여 소화제를 분출한다는 개시는 있지만, 급속 연소의 억제를 고려한 소화제 분사기의 설치 위치나 압력 센서의 설치 위치에 관한 기재가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에 대해서도, 복수의 소화제 분사기의 설치에 관한 개시가 있지만, 소화계 설비 상호의 동작 관련성이나, 조작 수순, 제어의 요령과 같은 밀의 운용 조건에 관한 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다.
급속 연소는, 화염이 급속하게 전파되기 때문에, 소화제 분사기를 다수 설치함으로써, 급속 연소의 억제 효과가 높아지는 것이 추측되지만, 비용 상승으로 된다. 이 때문에, 소화제 분사기의 설치 수와 소화제의 양을 적정화하여, 최대한 저감해 두는 것이 요망된다.
단, 소화제 분사기가 소화제를 분사하는 시간은, 예를 들어 수십 밀리 초로 단시간이고, 소화제의 분사 가능 범위도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급속 연소의 발생 장소만에 소화제를 분사하는 것만으로는, 전파해 가는 화염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다. 소화제 분사기로 화염까지의 거리가 너무 먼 경우, 화염이 크게 발달해 버려, 다량의 소화제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급속 연소의 발생 장소뿐만 아니라, 화염이 전파되기 쉬운 장소에 급속 연소의 방지 대책을 미리 실시하여 둘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급속 연소가 발생한 것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인 것을 검지하여 적정한 위치와 타이밍으로 소화제를 분사하지 않으면, 급속 연소를 억제할 수 없고, 밀의 각 기기에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급속 연소가 발생한 것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인 것을 검지하여 적정한 위치와 타이밍으로 소화제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한 분쇄기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분쇄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천장부에 접속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관과, 상기 연료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연료가 상면에 유도됨과 함께 중심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회전 테이블 및 상기 회전 테이블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전동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기 상면 사이에서 상기 연료를 분쇄하여 미분쇄물을 생성하는 분쇄 롤러를 갖는 분쇄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접속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부터 유도된 공기에 의해 감아 올려진 상기 미분쇄물을 분급하는 분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천장부에 접속되어, 상기 분급부에서 분급된 상기 미분쇄물을 외부로 유도하는 미분쇄물 송출관과, 상기 분쇄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압력을 검지하는 제1 압력 검지부와, 상기 분급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압력을 검지하는 제2 압력 검지부와, 상기 분쇄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압력 검지부 또는 제2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상기 분쇄부에 대하여 소화제를 분사하는 제1 소화제 분사부와, 상기 분급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제1 압력 검지부 또는 상기 제2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상기 분급부에 대하여 소화제를 분사하는 제2 소화제 분사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급속 연소의 발화 기인원으로 될 가능성이 있는 분쇄부의 근방과 분급부의 근방에, 압력을 검지하는 제1 압력 검지부와 제2 압력 검지부가 마련되고, 발화 기인원 및 급속 연소가 전파될 우려가 있는 분쇄부의 근방과 분급부의 근방에 소화제 분사부가 마련된다.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분쇄부와 분급부에 대하여 소화제가 분사되기 때문에, 밀에 있어서의 급속 연소의 발생이나 화염 전파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관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상기 연료 공급관에 상기 연료를 공급하는 공급기와, 상기 공급기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기의 내부의 압력을 검지하는 제3 압력 검지부와, 상기 공급기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상기 공급기에 대하여 소화제를 분사하는 제3 소화제 분사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급속 연소의 발화 기인원으로 되고, 급속 연소가 전파될 우려가 있는 공급기에, 압력을 검지하는 제3 압력 검지부가 마련되고, 발화 기인원 및 분쇄부의 근방과 분급부의 근방에 소화제 분사부가 마련된다.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공급기에 대하여 소화제가 분사되기 때문에, 밀에 있어서의 급속 연소의 발생이나 화염 전파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를 소정량마다 공급하는 로터리 피더와, 상기 연료 공급관에 설치된 상기 로터리 피더의 전류측 및/또는 후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압력 검지부 또는 상기 제2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상기 연료 공급관 내에 소화제를 분사하는 제4 소화제 분사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급속 연소가 전파될 우려가 있는 연료 공급관에 설치된 로터리 피더의 전류측 및/또는 후류측에 소화제 분사부가 마련된다.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연료 공급관 내에 소화제가 분사되기 때문에, 밀에 있어서의 급속 연소에 의한 화염 전파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미분쇄물 송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압력 검지부 또는 상기 제2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상기 미분쇄물 송출관에 대하여 소화제를 분사하는 제5 소화제 분사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급속 연소가 전파될 우려가 있는 미분쇄물 송출관에 소화제 분사부가 마련된다.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미분쇄물 송출관에 대하여 소화제가 분사되기 때문에, 밀에 있어서의 급속 연소에 의한 화염 전파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분쇄 롤러와 상기 분급부 사이에 연장 설치된 통 형상 부재인 벽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벽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있어서, 상기 미분쇄물이 상기 공기와 함께 감아 올려지는 환상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벽재보다도 내부의 공간에 대하여, 상기 제1 소화제 분사부가 상기 소화제를 분사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부에 있어서 분쇄 롤러와 회전 분급기 사이에 연장 설치된 벽재와, 하우징 사이에 있어서, 미분쇄물이 공기와 함께 감아 올려지는 환상 유로가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 벽재보다도 내부의 공간에 대하여 소화제가 분사되기 때문에, 밀에 있어서의 급속 연소의 발생이나 화염 전파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압력 검지부와 복수의 상기 제2 압력 검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상하에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제1 소화제 분사부와 복수의 상기 제2 소화제 분사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상하에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분쇄기의 운용 방법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천장부에 접속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관과, 상기 연료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연료가 상면에 유도됨과 함께 중심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회전 테이블 및 상기 회전 테이블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전동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기 상면 사이에서 상기 연료를 분쇄하여 미분쇄물을 생성하는 분쇄 롤러를 갖는 분쇄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접속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부터 유도된 공기에 의해 감아 올려진 상기 미분쇄물을 분급하는 분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천장부에 접속되어, 상기 분급부에서 분급된 상기 미분쇄물을 외부로 유도하는 미분쇄물 송출관을 구비한 분쇄기의 운용 방법이며, 상기 분쇄부의 근방에 설치된 제1 압력 검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압력을 검지하고, 상기 분급부의 근방에 설치된 제2 압력 검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압력을 검지하고, 상기 제1 압력 검지부 또는 상기 제2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상기 분쇄부의 근방에 설치된 제1 소화제 분사부가, 상기 분쇄부에 대하여 소화제를 분사하고, 상기 제1 압력 검지부 또는 상기 제2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상기 분급부의 근방에 설치된 제2 소화제 분사부가, 상기 분급부에 대하여 소화제를 분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속 연소가 발생한 것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인 것을 검지하여 적정한 위치와 타이밍으로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밀을 구비한 보일러 설비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밀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밀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도 2의 III-III선으로 절단한 화살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밀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도 2의 IV-IV선으로 절단한 화살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밀의 하우징, 소화제 분사기 및 감압 센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밀의 하우징 및 소화제 분사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밀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밀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도 7의 VIII-VIII선으로 절단한 화살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밀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도 2의 III-III선으로 절단한 화살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밀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도 2의 IV-IV선으로 절단한 화살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보일러 설비(10) 및 보일러 설비(10)에 적용되는 밀(1)에 대해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밀(1)을 구비한 보일러 설비(10)가 도시되어 있다.
보일러 설비(10)는, 보일러 본체(3)에 공급하는 바이오매스 연료를 분쇄하는 밀(1)을 구비하고 있다. 밀(1)은, 바이오매스 연료만을 분쇄하는 형식이어도 되고, 석탄과 함께 바이오매스 연료를 분쇄하는 형식이어도 된다. 여기서, 바이오매스 연료란, 재생 가능한 생물 유래의 유기성 자원이고, 예를 들어 간벌재, 폐재목, 유목, 풀류 등의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료, 폐기물, 탈수 오니, 타이어 등의 비목질계 바이오매스 연료 등이다. 또한, 바이오매스 연료는, 이들을 원료로 한 펠릿상이나 칩상의 리사이클 연료 등을 포함하고, 여기에 제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밀(1)에는, 사일로(5)에 저장된 바이오매스 연료 등이, 벙커(7), 공급기(6) 및 급탄관(4)을 통해 유도된다. 밀(1)에는, 센터 슈트(33)가 접속되어 있고, 바이오매스 연료가 센터 슈트(33)를 통해 밀(1)의 내부에 공급된다. 급탄관(4) 및 센터 슈트(33)는, 본 발명에 관한 연료 공급관을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탄관(4)의 내부는 분쇄 전의 바이오매스 연료가 유통하여, 분쇄 전 연료 공급관으로 칭할 수도 있지만, 종래의 석탄용 밀에 따라서 급탄관(4)으로 칭한다.
밀(1)에는, 1차 공기 덕트(공기 공급관)(13)가 접속되어 있다. 1차 공기 덕트(13)는, 1차 공기 팬(15)에 접속되어 있고, 공기 예열기(21)에 의해 예열된 공기와, 공기 예열기(21)를 바이패스한 공기가 혼합된 공기가 유도된다. 또한, 1차 공기 덕트(13)에는, 배기 가스 재순환 팬(17)을 통해 전기 집진기(23)를 통과한 배기 가스의 일부가 유도된다. 따라서, 밀(1)에는, 1차 공기 덕트(13)를 통해 공기 예열기(21)에 의해 온도 조정되고, 또한, 배기 가스에 의해 산소 농도가 조정된 혼합 기가 유도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 혼합기를 1차 공기 덕트(공기 공급관)(13)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로서 표현하지만, 실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체이고, 용도는, 밀(1)로 분쇄된 연료를 반송하는 반송용 기체이다.
1차 공기 덕트(13)에 있어서의 밀(1)의 하우징(31)과의 접속 개구부는, 밀(1)의 내부를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밀(1) 내부의 미분쇄물이 1차 공기 덕트(13) 내에 퇴적되기 어렵다.
밀(1)에는, 송탄관(미분쇄물 송출관)(9)이 접속되어 있고, 밀(1)로 분쇄된 입자상의 미분쇄물이 송탄관(9)을 통해 버너(11)로 유도된다.
보일러 본체(3)의 화로에서 미분쇄물이 연소되어, 버너(11)에 의해 화염이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열 교환기에 의해 증기가 생성된다. 생성된 증기는, 예를 들어 증기 터빈(도시하지 않음)에 유도되어, 증기 터빈에서 발전이 행하여진다.
보일러 본체(3)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탈초 장치(19)에 의해 탈초된 후, 공기 예열기(21)에서 1차 공기 팬(15)으로부터 유도된 공기를 가열한다. 그 후, 배기 가스는, 전기 집진기(23)에 유도되어, 전기 집진기(23)로 탈진된 후에 유인 팬(25)을 통해 탈황 장치(27)로 유도된다. 유인 팬(25)의 상류측에서, 일부의 배기 가스가 추기되고, 추기된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재순환 팬(17)을 통해 1차 공기 덕트(13)로 유도된다.
또한, 배기 가스를 추기하는 위치는 반드시 도 1에 도시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일러 본체(3)로부터 굴뚝(29)에 이르는 배기 가스 계통의 어느 것으로부터 추기하면 된다.
유인 팬(25)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유도된 배기 가스는, 탈황 장치(27)에서 탈황된 후에 굴뚝(29)으로 유도되어서 대기로 방출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한 밀(1)의 상세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원료(연료)인 바이오매스 연료를 미분쇄하는 밀(분쇄 장치)(1), 그리고, 밀(1)의 원료 공급계 및 미분쇄물 반송계를 포함하는 밀 설비를 도시하고 있다. 밀 설비에는, 급속 연소를 억제하는 소화계 설비가 마련되어 있다. 밀(1)은, 하방부의 분쇄부(1A) 및 상방부의 분급부(1B)로 크게 나뉜다.
밀(1)은, 수직형 밀로 되어 있고, 고형물인 바이오매스 연료, 예를 들어 펠릿상의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료를 분쇄한다.
밀(1)의 하우징(31)은, 수직형의 원통 중공 형상을 이루고, 천장부(32)의 중앙부에 센터 슈트(33)가 설치되어 있다. 공급기(6)와 센터 슈트(33) 사이에는, 급탄관(4)이 접속된다. 센터 슈트(33)는, 급탄관(4)과 접속되어, 벙커(7)로부터 유도된 바이오매스 연료 및/또는 석탄을 하우징(31) 내에 공급한다. 센터 슈트(33)는, 하우징(31)의 중심 위치에 상하 방향(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하단부가 하우징(31) 내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31)의 하부에는 가대(34)가 설치되고, 이 가대(34) 상에 분쇄 회전 테이블(35)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분쇄 회전 테이블(35)의 중앙에 대하여 센터 슈트(33)의 하단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센터 슈트(33)는, 바이오매스 연료 및/또는 석탄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공급한다.
급탄관(4)에는, 로터리 피더(43)가 장착되어 있고, 로터리 피더(43)는, 정량의 바이오매스 연료를 잘라내는, 즉, 바이오매스 연료를 소정량마다 공급한다.
분쇄 회전 테이블(35)은, 상하 방향(연직 방향)의 중심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함과 함께,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분쇄 회전 테이블(35)의 상면은, 중심부가 높고, 중심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낮아지는 것과 같은 경사 형상을 이루고, 외주부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상방으로 만곡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분쇄 회전 테이블(35)의 상방에는, 분쇄 회전 테이블(35)에 대향하여 복수, 예를 들어 3대의 분쇄 롤러(36)가 배치되어 있다. 각 분쇄 롤러(36)는, 분쇄 회전 테이블(35)의 외주부 상방에, 주위 방향으로 균등 간격(3대의 분쇄 롤러(36)의 경우, 120°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설명상, 2대의 분쇄 롤러(36)를 대칭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3대의 분쇄 롤러(36)가 120°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 분쇄 롤러(36)의 배치는, 도 2의 도시와는 다르다.
분쇄 롤러(36)는, 브래킷(38)을 통해 가압 암(37)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브래킷(38)은, 가압 암(37)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가압 암(37)은, 평면으로 보아 형상이 거의 육각형 형상을 갖고, 인접하는 분쇄 롤러(36) 사이의 3점으로 각각 텐션 로드(39)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가압 암(37) 및 텐션 로드(39)를 일부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브래킷(38)이 가압 암(37)에 의해 지지되고, 분쇄 롤러(36)가 브래킷(38)에 의해 가압 암(37)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압 암(37)은, 텐션 로드 박스(40)에 수용된 텐션 로드(39)와 접속되어 있고, 가압 암(37)은, 텐션 로드(39)에 의해 상하 방향(연직 방향)의 위치가 조정된다. 이에 의해, 분쇄 롤러(36)에 의해, 분쇄 회전 테이블(35) 상의 고형물에 대하여 작용하는 부하가 변경 가능하다.
분쇄 회전 테이블(35)이 회전하면, 분쇄 롤러(36)는, 분쇄 회전 테이블(35)이나 고형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종동하고, 분쇄 롤러(36)의 회전축 주위로 전동한다. 바이오매스 연료는, 분쇄 롤러(36)와 분쇄 회전 테이블(35)의 맞물림에 의해, 양자 간에서 압박되어서 분쇄된다. 바이오매스 연료가 분쇄됨으로써, 미분쇄물이 생성된다.
하우징(31)의 하부에는, 1차 공기 덕트(13)가 접속되어 있다. 1차 공기 덕트(13)에 의해 공급된 1차 공기(60)는, 하우징(31) 내로 유도되어, 분쇄 회전 테이블(35)의 하방에 위치하는 공간에 공급된다.
분쇄 롤러(36)을 지지하는 브래킷(38)의 외주측의 공간, 즉, 하우징(31)의 내면을 따른 공간은, 내부 월(45)과 하우징(31)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 유로(46)로 되어 있다. 환상 유로(46)를 통과하는 미분쇄물은, 내부 월(45)이 설치되지 않는 밀과 비교하여 높은 유속으로 뿜어 올려진다. 내부 월(45)은, 통 형상 부재이고, 하우징(31)의 내부에 있어서, 분쇄 롤러(36)의 외주측의 측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회전 분급기(41)의 하부 근방까지 연장 설치된다.
하우징(31)의 상부에는, 회전 분급기(41)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 분급기(41)는, 센터 슈트(33)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센터 슈트(33)의 주위를 회전한다. 회전 분급기(41)의 회전에 수반하여, 그 외주측에 설치된 복수의 핀(42)이 주위 방향으로 주행한다. 분쇄 회전 테이블(35)과 분쇄 롤러(36)에 의해 분쇄된 미분쇄물은, 분쇄 회전 테이블(35)의 하방으로부터 분쇄 회전 테이블(35)의 외주측을 통해 상승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방으로 감아 올려진다. 감아 올려진 미분쇄물 중 비교적 큰 직경의 미분쇄물은, 핀(42)에 의해 때려 떨어뜨려져, 분쇄 회전 테이블(35)로 복귀되어 다시 분쇄된다. 이에 의해, 회전 분급기(41)에 의해 미분쇄물이 분급된다.
천장부(32)에는 복수개의 송탄관(9)이 접속되어 있고, 송탄관(9)은, 회전 분급기(41)에 의해 분급된 후의 미분쇄물을 배출하고, 배출된 미분쇄물을 보일러 본체(3)로 유도한다. 복수개의 송탄관(9)은, 천장부(32)에 대응하여 마련된 복수의 개구부에 각각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탄관(9)의 내부는 분쇄된 바이오매스 연료가 유통하고, 미분 연료 공급관으로 칭할 수도 있지만, 종래의 석탄용 밀에 따라서 송탄관(9)으로 칭한다. 송탄관(9)은, 밀(1)의 사이즈나 분쇄 용량에 따라서 변화하지만, 2개 내지 8개의 범위에 있고, 4개 내지 6개의 경우가 많다.
바이오매스 연료를 미분쇄하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밀(1) 및 밀 설비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벙커(7) 내에 저장되어 있는 바이오매스 연료는, 공급기(6) 내에 내장된 벨트 피더(8)의 벨트에 의해 운반되어(a), 급탄관(4) 및 센터 슈트(33)에 송급된다(b).
급탄관(4)에 장착된 로터리 피더(43)는, 정량의 바이오매스 연료를 잘라내어, 바이오매스 연료가 밀(1) 내를 향하여 낙하한다(c).
밀(1) 내에 공급된 바이오매스 연료는, 분쇄 회전 테이블(35) 상에 낙하하고(d), 원심력으로 외주측으로 이동하고, 복수의 분쇄 롤러(36)와 분쇄 회전 테이블(35) 사이에서 분쇄된다. 분쇄된 바이오매스 연료의 미분쇄물은, 1차 공기 덕트(13) 및 스로트 베인(44)을 통하여 밀(1) 내에 불어 넣어지는 1차 공기(60)에 의해, 밀(1) 중, 특히 환상 유로(46)를 상승한다(e). 환상 유로(46)를 통과하는 미분쇄물은, 내부 월(45)이 설치되지 않은 밀과 비교하여 높은 유속으로 뿜어 올려진다. 그 후, 미분쇄물은, 내부 월(45)의 상방 단으로부터 튀어나온다.
분쇄부(1A)의 상부에서는, 복수의 핀(블레이드)(42)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분급기(41)가 회전하고 있어서, 거칠고 무거운 미분쇄물은, 핀(42)의 원심력에 의해, 튕겨지도록 때려 떨어뜨려진다(f). 미분쇄물은 미세해질 때까지 분쇄부(1A)에서 재분쇄가 반복된다. 미세해진 미분쇄물(fineness)은, 회전 분급기(41)를 관통하고, 밀(1)로부터 나와, 송탄관(9)을 통하여 외부로 공기 반송된다(g). 공기 반송된 미분쇄물은, 보일러 본체(3)의 버너(11)에 보내져서 연소한다.
밀 설비에는, 급속 연소의 발화 기인원으로 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 이상 압을 검지하는 감압 센서(61, 62, 63)이 마련되고, 발화 기인원 및 급속 연소가 전파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소화제 분사기(51, 52, 53, 54, 55)가 마련된다.
소화제 분사기(51 내지 55)는, 순시(예를 들어 수십 밀리 초)라고 하는 단기간 사이에 소화제를 고속으로 밀(1) 등의 내부에 분사한다. 소화제 분사기(51 내지 55)에 의해 분사되는 소화제는, 예를 들어 분말상의 탄산수소나트륨(일반적으로 중조라고도 불림)이고, 가압된 불활성 기체(예를 들어 질소(N2))에 의해 고압 분사된다.
소화제로서의 탄산수소나트륨의 분사량은, 하나의 예를 설명하면, 1대의 밀(1)에 설치된 소화제 분사기(51, 52)가 갖는 양을 합계하여, 약 100kg 내지 300kg이다. 이 조건은, 밀(1)의 사이즈나 분쇄 용량 등에 의해 적절히 결정된다. 탄산수소나트륨은, 소화 능력이 높을뿐만 아니라, 강재로 이루어지는 밀(1)이 각 부위를 부식시키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분사된 소화제의 청소 후에, 밀(1)의 하우징(31)의 내벽면 등에 탄산수소나트륨이 부착된 채로도, 부식의 우려가 없다. 또한, 부착한 탄산수소나트륨은, 새롭게 공급된 바이오매스 연료에 의해 문질러 씻겨져, 보일러 본체(3)의 버너(11)로 반송된다. 바이오매스 연료에 비하여 반송되는 탄산수소나트륨의 양은 미량이기 때문에, 버너(11)에 있어서의 연소를 저해하거나 하는 일은 없다.
소화제 분사기(51) 및 감압 센서(6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1)의 하우징(31)의 측면 하부에 있어서, 하우징(31) 내의 분쇄부(1A) 근방, 예를 들어 밀(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분쇄 롤러(36)와 가압 암(37) 사이에 마련된다. 하나의 소화제 분사기(51)와 하나의 감압 센서(61)는 인접해서 1조의 세트로서 마련되어도 된다. 소화제 분사기(51)는, 소화제를 분쇄부(1A)에 분사한다. 감압 센서(61)는, 하우징(31) 내의 압력을 검출한다. 감압 센서(61)는, 특히 분쇄부(1A) 근방의 압력의 변화를 보다 검지하기 쉽다. 발생 기인원으로 될 가능성이 높은 분쇄부(1A) 근방에서 압력의 변화를 검지하고 있는 점에서, 타이밍의 어긋남을 회피하여, 소위 때 놓침에 빠지는 일이 없다. 감압 센서(61)는, 미분쇄물이 감압 센서(61)의 본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검출관이 하우징(31)의 내부로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분쇄부(1A) 근방에서는, 센터 슈트(33)로부터 공급된 바이오매스 연료나, 분쇄된 미분쇄물이 저류되고, 또한, 일부 날려 올려진 상태에서 고농도로 존재하고 있다. 또한, 고온의 1차 공기(60)가 바이오매스 연료나 미분쇄물과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분쇄부(1A) 근방은, 급속 연소가 발생할 포텐셜이 높다. 소화제가 분쇄부(1A) 근방에 분사됨으로써, 분쇄부(1A) 근방을 발생 기인원으로 하는 급속 연소나, 전파된 급속 연소에 의한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소화제 분사기(5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화제가 유통하는 배관 부재(56)가 내부 월(45)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배관 부재(56)의 선단부가 하우징(31)에 마련된다. 이에 의해, 내부 월(45)로 둘러싸인 공간의 내부에 소화제를 확실하게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소화제 분사기(51)의 배관 부재(56)가 환상 유로(46)를 유통하는 미분쇄물에 의해, 감압 센서(61)의 마모나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배관 부재(56)의 하면에는, 강도가 높은 보호재 등이 설치되면 된다.
감압 센서(61)의 선단부는, 하우징(31)의 벽부에 위치한다. 내부 월(45)에 있어서, 감압 센서(61)의 선단부 위치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관통 구멍(66)이 마련된다. 환상 유로(46)에 감압 센서(61)의 부재를 마련하지 않고, 환상 유로(46)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감압 센서(61)의 선단부가 마련됨으로써, 환상 유로(46)를 유통하는 미분쇄물에 의한 감압 센서(61)의 마모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소화제 분사기(52) 및 감압 센서(62)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1)의 하우징(31)의 측면 상부에 있어서, 하우징(31) 내의 분급부(1B) 근방, 예를 들어 회전 분급기(41)에 대향한 면, 즉, 회전 분급기(41)의 수평 방향의 가로 위치에 마련된다. 하나의 소화제 분사기(52)와 하나의 감압 센서(62)는 인접하여 1조의 세트로서 마련되어도 된다. 소화제 분사기(51)는, 소화제를 분급부(1B)에 분사한다. 감압 센서(62)는, 하우징(31) 내의 압력을 검지한다. 감압 센서(62)는, 특히 분급부(1B) 근방의 압력 변화를 검지하기 쉽다. 발생 기인원으로 될 가능성이 높은 분급부(1B) 근방에서 압력의 변화를 검지하고 있는 점에서, 타이밍의 어긋남을 회피하여, 소위 때 놓침에 빠지는 일이 없다. 감압 센서(62)는, 미분쇄물이 감압 센서(62)의 본체측에 유입하지 않도록, 검출관이 하우징(31)의 내부로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하우징(31) 내의 분급부(1B) 근방은, 뿜어 올려진 미분쇄물의 분급 분기점에 상당하고, 회전 분급기(41)에 들어가려고 하는 미분쇄물과, 핀(42)에 의해 튀겨 내어진 미분쇄물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미분쇄물의 유동 궤적이 복잡하게 서로 혼잡한 영역이다. 또한, 회전 분급기(41)의 핀(42)과 미분쇄물의 충돌도 있고, 마찰이 격렬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 때문에, 분급부(1B) 근방은, 급속 연소가 발생하는 포텐셜이 높다. 소화제가 분급부(1B) 근방에 분사됨으로써, 분급부(1B) 근방을 발생 기인원으로 하는 급속 연소나, 전파된 급속 연소에 의한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소화제 분사기(52)는, 배관 부재(57)의 선단부가 하우징(31)에 마련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31)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내부에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다.
1조의 소화제 분사기(51) 및 감압 센서(61)나, 1조의 소화제 분사기(52) 및 감압 센서(62)는, 하우징(31)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이격하여 설치된다. 하우징(31)의 하방에서 원주 방향으로 합계 3조의 소화제 분사기(51) 및 감압 센서(61), 하우징(31)의 상방에서 원주 방향으로 합계 3조의 소화제 분사기(52) 및 감압 센서(62)가 설치되는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등피치 각도(120°) 떨어진 위치에 마련된다.
하부에 설치된 복수조의 소화제 분사기(51) 및 감압 센서(61)나, 상부에 설치된 복수조의 소화제 분사기(52) 및 감압 센서(62)는, 밀(1)의 하우징(31)의 주위 방향으로 번갈아, 즉, 상부 열과 하부 열의 양쪽을 맞춰서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소화제 분사기(51) 및 감압 센서(61)의 각 조나, 소화제 분사기(52) 및 감압 센서(62)의 각 조가 원주 방향으로 등피치 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밀(1)의 하우징(31)에 설치되거나, 밀(1)의 주위에 설치되거나 하고 있는 크레인, 호이스트, 배관, 보행 통로 등의 기계나 기구의 영향에 의해, 등피치 각도나 지그재그상으로 소화제 분사기(51) 및 감압 센서(61)의 각 조나, 소화제 분사기(52) 및 감압 센서(62)의 각 조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밀(1)의 하우징(31)의 내부에 있어서, 소화제를 비교적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면,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화제 분사기(51) 및 감압 센서(61)의 각 조나, 소화제 분사기(52) 및 감압 센서(62)의 각 조는, 등피치 각도나 지그재그상의 배치가 아니고, 서로 이격되거나 근접된 위치여도 된다.
또한, 소화제 분사기(51, 52)의 설치 수는, 밀(1)의 하우징(31) 내부의 공간의 용적에 의해 증감시키는 경우가 있고, 감압 센서(61, 62)의 설치 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반드시 감압 센서(61)와 소화제 분사기(51)가 1조가 되고 있는 것, 및/또는, 감압 센서(62)와 소화제 분사기(52)가 1조가 되어 있는 것을 요하지 않는다.
각각이 1조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바람직하게는, 감압 센서(61)와 감압 센서(62)가 하우징(31) 내부의 상하에 번갈아, 즉,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소화제 분사기(51)와 소화제 분사기(52)가 하우징(31) 내부의 상하에 번갈아, 즉,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원료 공급계인 공급기(6)에는, 소화제 분사기(53) 및 감압 센서(63)가 마련된다. 소화제 분사기(53)는, 소화제를 공급기(6) 내에 분사한다. 감압 센서(63)는, 공급기(6) 내부의 압력 변화를 검지한다. 이에 의해, 공급기(6) 내에 존재하는 바이오매스 연료를 발생 기인원으로 하는 급속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벙커(7) 내에 대량으로 저장된 바이오매스 연료가 승온하고, 연기만 낸 상태(소위 불씨)이 되어, 그대로 공급기(6)의 벨트 피더(8) 상에 낙하하고, 공기와 접촉하면, 급속 연소 발생의 기인원으로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공급기(6)에 소화제 분사기(53)와 감압 센서(6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급기(6)에 설치된 소화제 분사기(53)는, 하우징(31) 내에서 발생하여 전파된 급속 연소에 의한 연소도 억제할 수 있다.
소화제 분사기(54)는, 급탄관(4)에 설치된 로터리 피더(43)의 전류측 및/또는 후류측에 마련되어, 소화제를 급탄관(4)의 내부 또는 로터리 피더(43)의 내부에 분사한다. 급속 연소에 의해 하우징(31) 내에서 발생한 화염은, 센터 슈트(33)를 소상하고, 로터리 피더(43)에 저류된 바이오매스 연료에 연소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급속 연소에 의해 공급기(6) 내에서 발생한 화염은, 공급기(6)를 유하하고, 로터리 피더(43)에 저류된 바이오매스 연료에 연소될 우려가 있다. 소화제가 급탄관(4)의 내부 또는 로터리 피더(43)의 내부에 분사됨으로써, 하우징(31)의 내부 또는 공급기(6)의 내부에서 발생한 급속 연소에 의한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소화제 분사기(55)는, 미분쇄물 반송계인 송탄관(9)에 마련되어, 소화제를 송탄관(9) 내에 분사한다. 송탄관(9)에는 보일러 설비(10)를 향하여 공기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급속 연소에 의해 하우징(31) 내에서 발생한 화염은, 송탄관(9) 내부를 유하할 우려가 있다. 소화제가 송탄관(9) 내에 분사됨으로써, 하우징(31) 내에서 발생하여 전파된 급속 연소에 의한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감압 센서(61, 62, 63)는, 밀(1) 내, 또는, 공급기(6) 내에서 바이오매스 연료가 착화하여 급속 연소가 발생한 때의 압력 상승을 검출한다. 감압 센서(61, 62, 63)에서 검지된 압력값에 관한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 송신된다. 제어부에서는, 감압 센서(61, 62, 63)에서 검지된 압력값에 기초하여(검출된 압력값이 소정의 역치 이상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급속 연소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소화제 분사기(51 내지 55)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하방의 분쇄부(1A) 근방에 설치된 3개의 감압 센서(61), 또는, 상방의 분급부(1B) 근방에 설치된 3개의 감압 센서(62)가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경우, 급속 연소 발생에 의한 이상 압력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급속 연소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6개의 소화제 분사기(51 내지 55)의 모두에 있어서, 소화제의 분사가 동시에 또한 일제히 실행된다. 즉,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감압 센서(61, 62)에 인접하는 소화제 분사기(51, 52)뿐만 아니라, 모든 소화제 분사기(51 내지 55)로부터 소화제가 분사된다. 이에 의해, 발생 기인원으로 될 가능성이 높은 밀(1)의 하우징(31)에서 압력의 변화를 검지하고 있는 점에서, 타이밍의 어긋남을 회피하여, 소위 때 놓침에 빠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급속 연소의 발생과 거의 동시에 급속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급속 연소의 발생 기인원뿐만 아니라, 급속 연소가 전파하기 쉬운 장소에도 소화제가 분사되는 점에서, 밀(1)의 막대한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드시 6개의 소화제 분사기(51 내지 55)의 모두에 있어서 소화제를 분사하지 않아도 되고, 적어도 밀(1)에 설치된 소화제 분사기(51, 52)에 있어서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해도 된다.
제어부는, 공급기(6)에 설치된 감압 센서(63)가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경우, 급속 연소 발생에 의한 이상 압력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급속 연소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6개의 소화제 분사기(51 내지 55)의 모두에 있어서, 소화제의 분사가 동시에 또한 일제히 실행된다. 이에 의해, 발생 기인원으로 될 가능성이 높은 공급기(6)로 압력의 변화를 검지하고 있는 점에서, 타이밍의 어긋남을 회피하여, 소위 때 놓침에 빠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급속 연소의 발생과 거의 동시에 급속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급속 연소의 발생 기인원뿐만 아니라, 급속 연소가 전파하기 쉬운 장소에도 소화제가 분사되는 점에서, 밀(1)의 막대한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드시 6개의 소화제 분사기(51 내지 55)의 모두에 있어서 소화제를 분사하지 않아도 되고, 적어도 공급기(6)에 설치된 소화제 분사기(53)에 있어서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감압 센서(61, 62, 63)가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경우에 급속 연소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정의 역치는, 급속 연소가 발생하기 직전의 압력값으로 하고, 감압 센서(61, 62, 63)가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경우, 급속 연소가 발생하기 직전이라고 판단하고, 소화제를 분사해도 된다. 이 경우, 운전 계속에 의해 급속 연소가 발생하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이상 압력이 검출된 것에 의해, 급속 연소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소화제 분사기(51 내지 55)에 의한 소화제의 분사가 실시된 경우, 밀(1)의 운전을 순시에 정지시킨다. 밀(1)의 운전 정지에는, 1차 에어의 공급 정지, 바이오매스 연료의 공급 정지, 분쇄 회전 테이블(35)의 운전 정지, 회전 분급기(41)의 운전 정지, 미분쇄물의 반송 정지 그 밖의 모든 밀(1) 및 밀 설비에 관한 기계가 모두 정지되는 경우와, 그 일부만이 정지되는 경우의 양자를 생각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는, 일례로서,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기억 매체 등에 기억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을 CPU가 RAM 등에 판독하여, 정보의 가공·연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이 실현된다. 또한, 프로그램은, ROM이나 그 밖의 기억 매체에 미리 인스톨해 두는 형태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된 상태에서 제공되는 형태,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통신 수단을 통해 배신되는 형태 등이 적용되어도 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란,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DVD-ROM, 반도체 메모리 등이다.
<작용 효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속 연소의 발화 기인원으로 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 이상압을 검지하는 감압 센서(61, 62, 63)가 마련되고, 발화 기인원 및 급속 연소가 전파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소화제 분사기(51, 52, 53, 54, 55)가 마련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밀(1)뿐만 아니라, 밀 설비의 원료 공급계 및 미분쇄물 배출계까지 포함하여, 급속 연소의 발생으로부터 화염 전파까지를 전체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근년, 화력 발전소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료가 원료(연료)로서 사용되게 되고, 대규모 화력 발전소에서도 바이오매스 연료가 단체로 사용되거나 사용의 검토가 되거나 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대형의 밀(1)이라도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료를 분쇄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급속 연소의 발생으로부터 화염 전파까지의 억제에 대하여 고도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들 요구에도 따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의 효과에 의해, 밀(1) 자체나 밀(1)에 부속되는 기계 및 기구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밀(1)이 설치된 발전소 등의 작업원의 안전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의 효과에 의해, 밀(1)이나 화력 발전소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연료의 종류가 확대된다. 따라서, 화력 발전소의 운용 폭이 크게 넓어져 경제적 효과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밀(1)이나 밀 설비에 설치되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소화계 설비의 구성이 간소하기 때문에, 신설 플랜트뿐만 아니라, 기설의 밀(1)이나 밀 설비에도 적용 가능하다.
<변형예>
이하,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급속 연소가 발생하기 쉬운 펠릿상의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료가 공급, 분쇄 및 배출되는 밀(1)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탈수 오니 등의 비목질계 바이오매스 연료, 휘발분이 많은 아역청탄이나 갈탄, 또는, 이들이 혼합된 연료를 분쇄하는 밀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가 적용 가능한 밀(1)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형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의 밀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내부 월(45)이 설치되지 않고, 내부 월(45)과 하우징(31)의 내면 사이에 있어서의 환상 유로(46)가 형성되지 않는 밀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화제 분사기(51) 및 감압 센서(61)가, 밀(1)의 하우징(31)의 측면 하부에 있어서, 하우징(31) 내의 분쇄부(1A) 근방, 예를 들어 밀(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분쇄 롤러(36)와 가압 암(37) 사이에 마련되는 점은 마찬가지이다. 단, 소화제 분사기(51)의 선단부가 하우징(31)에 마련된다.
이 형식의 경우에 있어서도, 분쇄부(1A) 근방은, 급속 연소가 발생하는 포텐셜이 높다. 그리고, 소화제가 분쇄부(1A) 근방에 분사됨으로써, 분쇄부(1A) 근방을 발생 기인원으로 하는 급속 연소나, 전파된 급속 연소에 의한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브래킷(38)이 가압 암(37)에 의해 지지되고, 분쇄 롤러(36)가 브래킷(38)에 의해 가압 암(37)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압 암(37)이나 브래킷(38)이 설치되지 않고, 하우징(31)에 대하여 캔틸레버식으로 직접 설치된 지지재에 의해, 분쇄 롤러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구성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1: 밀
1A: 분쇄부
1B: 분급부
3: 보일러 본체
4: 급탄관
5: 사일로
6: 공급기
7: 벙커
8: 벨트 피더
9: 송탄관
10: 보일러 설비
11: 버너
13: 1차 공기 덕트
15: 1차 공기 팬
17: 배기 가스 재순환 팬
19: 탈초 장치
21: 공기 예열기
23: 전기 집진기
25: 유인 팬
27: 탈황 장치
29: 굴뚝
31: 하우징
32: 천장부
33: 센터 슈트
34: 가대
35: 분쇄 회전 테이블
36: 분쇄 롤러
37: 가압 암
38: 브래킷
39: 텐션 로드
40: 텐션 로드 박스
41: 회전 분급기
42: 핀
43: 로터리 피더
44: 스로트 베인
45: 내부 월
46: 환상 유로
51, 52, 53, 54, 55: 소화제 분사기
56, 57: 배관 부재
60: 1차 공기
61, 62, 63: 감압 센서
66: 관통 구멍

Claims (7)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천장부에 접속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관과,
    상기 연료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연료가 상면에 유도됨과 함께 중심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회전 테이블 및 상기 회전 테이블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전동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기 상면 사이에서 상기 연료를 분쇄하여 미분쇄물을 생성하는 분쇄 롤러를 갖는 분쇄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접속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부터 유도된 공기에 의해 감아 올려진 상기 미분쇄물을 분급하는 분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천장부에 접속되어, 상기 분급부에서 분급된 상기 미분쇄물을 외부로 유도하는 미분쇄물 송출관과,
    상기 분쇄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압력을 검지하는 제1 압력 검지부와,
    상기 분급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압력을 검지하는 제2 압력 검지부와,
    상기 분쇄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압력 검지부 또는 상기 제2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상기 분쇄부에 대하여 소화제를 분사하는 제1 소화제 분사부와,
    상기 분급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압력 검지부 또는 상기 제2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상기 분급부에 대하여 소화제를 분사하는 제2 소화제 분사부를
    구비하는 분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관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상기 연료 공급관에 상기 연료를 공급하는 공급기와,
    상기 공급기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기의 내부의 압력을 검지하는 제3 압력 검지부와,
    상기 공급기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상기 공급기에 대하여 소화제를 분사하는 제3 소화제 분사부를
    더 구비하는 분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를 소정량마다 공급하는 로터리 피더와,
    상기 연료 공급관에 설치된 상기 로터리 피더의 전류측 및/또는 후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압력 검지부 또는 상기 제2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상기 연료 공급관 내에 소화제를 분사하는 제4 소화제 분사부를
    더 구비하는 분쇄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쇄물 송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압력 검지부 또는 상기 제2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상기 미분쇄물 송출관에 대하여 소화제를 분사하는 제5 소화제 분사부를 더 구비하는 분쇄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분쇄 롤러와 상기 분급부 사이에 연장 설치된 통 형상 부재인 벽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벽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있어서, 상기 미분쇄물이 상기 공기와 함께 감아 올려지는 환상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벽재보다도 내부의 공간에 대하여, 상기 제1 소화제 분사부가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분쇄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압력 검지부와 복수의 상기 제2 압력 검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상하에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제1 소화제 분사부와 복수의 상기 제2 소화제 분사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상하에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분쇄기.
  7.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천장부에 접속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관과,
    상기 연료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연료가 상면에 유도됨과 함께 중심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회전 테이블 및 상기 회전 테이블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전동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기 상면 사이에서 상기 연료를 분쇄하여 미분쇄물을 생성하는 분쇄 롤러를 갖는 분쇄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접속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부터 유도된 공기에 의해 감아 올려진 상기 미분쇄물을 분급하는 분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천장부에 접속되어, 상기 분급부에서 분급된 상기 미분쇄물을 외부로 유도하는 미분쇄물 송출관을
    구비한 분쇄기의 운용 방법이며,
    상기 분쇄부의 근방에 설치된 제1 압력 검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압력을 검지하고,
    상기 분급부의 근방에 설치된 제2 압력 검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압력을 검지하고,
    상기 제1 압력 검지부 또는 상기 제2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상기 분쇄부의 근방에 설치된 제1 소화제 분사부가, 상기 분쇄부에 대하여 소화제를 분사하고,
    상기 제1 압력 검지부 또는 상기 제2 압력 검지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의 급속 연소가 발생한 또는 급속 연소의 발생 직전이라고 판단된 때, 상기 분급부의 근방에 설치된 제2 소화제 분사부가, 상기 분급부에 대하여 소화제를 분사하는 분쇄기의 운용 방법.
KR1020207003418A 2017-08-25 2018-08-24 분쇄기 및 그 운용 방법 KR102403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2572A JP6827894B2 (ja) 2017-08-25 2017-08-25 粉砕機及びその運用方法
JPJP-P-2017-162572 2017-08-25
PCT/JP2018/031289 WO2019039579A1 (ja) 2017-08-25 2018-08-24 粉砕機及びその運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077A true KR20200030077A (ko) 2020-03-19
KR102403109B1 KR102403109B1 (ko) 2022-05-30

Family

ID=6543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418A KR102403109B1 (ko) 2017-08-25 2018-08-24 분쇄기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827894B2 (ko)
KR (1) KR102403109B1 (ko)
CN (1) CN111050917B (ko)
PH (1) PH12020500208A1 (ko)
TW (1) TWI682130B (ko)
WO (1) WO20190395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2007A1 (de) 2020-03-11 2021-09-16 Mando Corporation Stossdämpfer mit kontinuierlicher dämpfungsregel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46932A (zh) * 2023-01-09 2023-03-07 羚羊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褐煤烘干提质及制粉生产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700401A (ko) * 1987-03-18 1989-04-24 석탄 분쇄기용 불활성화 및 소화시스템
JP2010242999A (ja) 2009-04-02 2010-10-28 Babcock Hitachi Kk 木質バイオマス直接粉砕燃焼方法と装置とボイラシステム
JP2013141584A (ja) * 2012-01-12 2013-07-22 Morita Holdings Corp 爆発抑制装置
US9421551B2 (en) 2012-05-01 2016-08-23 Innovative Combustion Technologies, Inc. Pulverizer mill protection system
JP2016168518A (ja) * 2015-03-11 2016-09-23 株式会社栗本鐵工所 分級機能付粉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2015A (en) * 1974-06-17 1975-10-14 Armco Steel Corp System for the safe handling of pulverized coal
IN172603B (ko) * 1987-03-25 1993-10-23 O Connell Michael Oliver
JP2001134016A (ja) * 1999-11-09 2001-05-18 Canon Inc トナー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4716217B2 (ja) * 2005-10-28 2011-07-06 宇部テクノエンジ株式会社 竪型粉砕機およびその粉砕方法
JP2009189909A (ja) * 2008-02-12 2009-08-27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ーラミル構造
JP5385849B2 (ja) * 2010-05-14 2014-01-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粉砕機の発火防止方法及び発火防止装置
US9604226B2 (en) * 2012-05-01 2017-03-28 Innovative Combustion Technologies, Inc. Pulverizer mill protection system
CN103909006B (zh) * 2013-01-08 2016-12-2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磨煤机出口煤粉管道内爆燃检测方法及其检测系统
KR101355691B1 (ko) * 2013-06-26 2014-01-2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미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석탄 연소 시스템
CN103537355B (zh) * 2013-10-11 2015-06-17 陕煤集团神木张家峁矿业有限公司 一种超细煤粉的制备系统及方法
CN104138781A (zh) * 2014-08-21 2014-11-12 张家港市艾克沃环境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防火功能的固体废物破碎机系统
JP6657589B2 (ja) * 2015-04-21 2020-03-04 宇部興産機械株式会社 竪型粉砕機及びそ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700401A (ko) * 1987-03-18 1989-04-24 석탄 분쇄기용 불활성화 및 소화시스템
JP2010242999A (ja) 2009-04-02 2010-10-28 Babcock Hitachi Kk 木質バイオマス直接粉砕燃焼方法と装置とボイラシステム
JP2013141584A (ja) * 2012-01-12 2013-07-22 Morita Holdings Corp 爆発抑制装置
US9421551B2 (en) 2012-05-01 2016-08-23 Innovative Combustion Technologies, Inc. Pulverizer mill protection system
JP2016168518A (ja) * 2015-03-11 2016-09-23 株式会社栗本鐵工所 分級機能付粉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2007A1 (de) 2020-03-11 2021-09-16 Mando Corporation Stossdämpfer mit kontinuierlicher dämpfungsrege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27894B2 (ja) 2021-02-10
TWI682130B (zh) 2020-01-11
TW201920880A (zh) 2019-06-01
CN111050917B (zh) 2021-08-10
JP2019037940A (ja) 2019-03-14
PH12020500208A1 (en) 2020-10-12
KR102403109B1 (ko) 2022-05-30
WO2019039579A1 (ja) 2019-02-28
CN111050917A (zh)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42999A (ja) 木質バイオマス直接粉砕燃焼方法と装置とボイラシステム
JP4576365B2 (ja) 石炭・バイオマス混焼システム及び混焼方法
KR101473281B1 (ko) 회전식 분급기
JP5886031B2 (ja) バイオマス燃料燃焼方法
JP7171177B2 (ja) 粉砕機及び粉砕機の運用方法
KR102403109B1 (ko) 분쇄기 및 그 운용 방법
KR102373306B1 (ko) 분쇄기 및 그 운용 방법
JP4791701B2 (ja) バイオマス燃料の燃焼装置及び方法
JP7005230B2 (ja) 粉砕機及びその運用方法
KR101355691B1 (ko) 미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석탄 연소 시스템
JP7475876B2 (ja) 排出装置、固体燃料粉砕装置及びボイラシステム並びに排出装置の運転方法
KR102400696B1 (ko) 분쇄기 및 분쇄기의 운전 방법
WO2020158092A1 (ja) 粉砕機及びボイラシステム並びに粉砕機の運転方法
JP6942563B2 (ja) 粉砕機の急速燃焼抑制装置及びその保守方法
KR20200062035A (ko) 고체 연료 공급 장치 및 방법 및 분쇄기, 보일러
JP2023095072A (ja) 排出装置、固体燃料粉砕装置および排出装置の制御方法
KR101619442B1 (ko) 혼소용 바이오매스 연료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0322699Y1 (ko) 미분기의 석탄 유출 저감구조
JPH1119529A (ja) ローラミル及びそのエアパージ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