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948A -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및 그것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 - Google Patents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및 그것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948A
KR20200026948A KR1020207003338A KR20207003338A KR20200026948A KR 20200026948 A KR20200026948 A KR 20200026948A KR 1020207003338 A KR1020207003338 A KR 1020207003338A KR 20207003338 A KR20207003338 A KR 20207003338A KR 20200026948 A KR20200026948 A KR 20200026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formula
polymeric
alk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467B1 (ko
Inventor
고지 다이후쿠
야스유키 사토
에츠시 오노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9/00Dyes not provided for by a single group of this subclass
    • C09B69/10Polymeric dyes; Reaction products of dyes with monomers or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B69/105Polymeric dyes; Reaction products of dyes with monomers or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 methine or polymethine dy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0/3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10The polymethine chain containing an even number of >C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9/00Dyes not provided for by a single group of this subclass
    • C09B69/10Polymeric dyes; Reaction products of dyes with monomers or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Abstract

색 특성 및 내열성, 내광성, 내용제성이 우수한 신규한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신규한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중합성기를 갖는다.
Figure pct00122

[식 중, R1,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R4-NR'-CO-L1-(OCO-R5C=CR6R7)n, -L1-NR'CO-R5C=CR6R7 및 -NR'CO-R5C=CR6R7 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성기 등을 나타낸다. X1 은 산소 원자 또는 N-Y 를 나타내고, R1 과 X1 로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Y 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X2 는 -O-, -S-, -Se-, -NR8- 또는 -CR9R10- 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및 그것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
본 발명은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및 그것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피라졸론계 색소 및 피라졸로아졸계 색소는 지금까지 많이 합성되어 있고, 그 유용성이 확인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사진 감광 재료, 감열 전사 기록 재료, 컬러 토너, 광 기록 매체, 잉크젯 등, 여러 가지 용도에 널리 적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또, 상기 용도에 필요하게 되는 성능으로는, 예를 들어, 색재현상 바람직한 분광 특성을 갖는 것, 원하는 유기 용매에 가용인 것, 분자 흡광 계수가 큰 것, 광이나 열에 견뢰한 것, 여러 가지 화학 약품에 견뢰한 것, 합성이 용이한 것, 안전한 것 등이 있다.
한편, 이들을 개량할 목적으로, 많은 피라졸론계 색소 및 피라졸로아졸계 색소가 제안되어 있고, 예를 들어, 광, 열 견뢰성의 개선이 제안되었지만 (특허문헌 1 ∼ 6), 용해성이 불충분했었기 때문에, 추가적인 개량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 특허문헌 7 에서는 용매 용해성의 개선에 대해 제안되어 있지만, 상기 용도에서는 용액, 또는 분산액의 형태로 도포하지만, 원하는 유기 용제에 가용시키기 위해 다른 유기 용제에도 가용으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이 있고, 그 결과, 도포 후의 내용제성이 취약해져 버렸다.
한편, 다른 색소에서도 내용제성의 문제가 있으며, 그 대책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8 에서는 트리페닐메탄계 색소를 고분자화함으로써, 내열성, 내용제성을 개선하고 있지만, 색소 본래의 내광성은 개선되지 않아 불충분하였다. 또, 고분자 색소에서는 용해성이 낮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용도에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9 에서는 중합성기를 갖게 함으로써 내용제성의 개선에 대해 제안되어 있지만 불충분하고, 추가적인 개량이 요망되고 있어, 검토가 필요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566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6317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2625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6297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645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071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656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62429호 9)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47825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 과제는,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열성, 내광성, 내용제성이 우수한 중합체를 가능하게 하는, 신규한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유기 용제가 우수한 용해성을 가짐으로써, 용이하게 여러 가지 용도 형태로 하고, 또한 중합성기를 갖게 함으로써, 열 또는 광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내용제성이 우수한 색소가 된다. 또, 신규한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하의 구성에 의해 상기 과제가 달성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1.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1,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R4-NR'-CO-L1-(OCO-R5C=CR6R7)n,
-L1-NR'CO-R5C=CR6R7 및 -NR'CO-R5C=CR6R7 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성기, 알킬기, 각각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낸다. R' 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L1 은,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R4 는, 단결합,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R5, R6 및 R7 은, 수소 원자, 알킬기, 카르복시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X1 은, 산소 원자 또는 N-Y 를 나타내고, R1 과 X1 로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Y 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X2 는, -O-, -S-, -Se-, -NR8- 또는 -CR9R10- 를 나타낸다. R8, R9 및 R10 은, -R4-NR'-CO-L1-(OCO-R5C=CR6R7)n, -L1-NR'CO-R5C=CR6R7 및 -NR'CO-R5C=CR6R7 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성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낸다.
Z 는, 고리를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원자군으로서, -CR11=CR12- 또는 -CR13R14-CR15R16- 를 나타낸다.
R11 ∼ R16 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11 과 R12 는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R1, R2, R3,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 또는 Y 중 적어도 1 개는, -R4-NR'-CO-L1-(OCO-R5C=CR6R7)n, -L1-NR'CO-R5C=CR6R7 및 -NR'CO-R5C=CR6R7 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성기를 갖는다.
n 은, 1 ∼ 3 의 정수 (整數) 를 나타낸다.]
2. 상기 일반식 (1) 에 있어서, 상기 R1, R2, R3,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 혹은 Y 중 적어도 2 개에 상기 중합성기를 갖거나, 또는 상기 R1, R2, R3,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 혹은 Y 중 적어도 1 개에 복수의 상기 중합성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3.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색소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R1, R2, R3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R4-NR'-CO-L1-(OCO-R5C=CR6R7)n, -L1-NR'CO-R5C=CR6R7 및 -NR'CO-R5C=CR6R7 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성기, 알킬기, 각각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낸다. R' 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L1 은,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R4 는, 단결합,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R5, R6 및 R7 은, 수소 원자, 알킬기, 카르복시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R1, R2, R3 혹은 R17 중 적어도 2 개에 중합성기를 갖거나, 또는 R1, R2, R3, 혹은 R17 중 적어도 1 개에 복수의 상기 중합성기를 갖는다.
n 은, 1 ∼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n1 은, 0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4.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 항에 기재된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중,
R18 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R19 는, -CO-L1-(OCO-R5C=CR6R7)n, -CO-R5C=CR6R7 또는 -CO-CR20R21R22 를 나타낸다.
R5, R6, R7 은, 수소 원자, 알킬기, 카르복시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R20, R21, R2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수소 원자, -OCOR23 을 나타낸다. R23 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R2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R4-NR'-CO-L1-(OCO-R5C=CR6R7)n, -L1-NR'CO-R5C=CR6R7 및 -NR'CO-R5C=CR6R7 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성기, 알킬기, 각각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낸다.
R3 은, -L1-NR'CO-R5C=CR6R7 로 나타내는 중합성기, 알킬기, 각각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R' 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L1 은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R4 는, 단결합,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R2, R3, R17 혹은 R19 중 적어도 2 개에 중합성기를 갖거나, 또는 R2, R3, R17, 혹은 R19 중 적어도 1 개에 복수의 중합성기를 갖는다.
n 은, 1 ∼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n2 는, 0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n3 은 0 ∼ 5 의 정수를 나타낸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까지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
본 발명의 상기 수단에 의해, 용해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열성, 내광성, 내용제성이 우수한 중합체를 가능하게 하는, 신규한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신규한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의 발현 기구 또는 작용 기구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하와 같이 추찰하고 있다. 본 발명의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은, 결합 부분에 아미드기를 가짐으로써 내열성의 향상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용해성에 대해서는 아미드기의 질소상의 수소 원자를 알킬기 등으로 치환함으로써 개선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하, 본 발명과 그 구성 요소, 및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양태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한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 는,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바람직한 양태로서,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2) 또는 하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중합성기를 2 개 이상 갖게 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내용제성을 갖는 색소 화합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일반식 (1), (2) 및 (3) 으로 나타내는 R1, R2, R3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R4-NR'-CO-L1-(OCO-R5C=CR6R7)n, -L1-NR'CO-R5C=CR6R7 및 -NR'CO-R5C=CR6R7 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성기, 알킬기, 각각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낸다. R' 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L1 은,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R4 는, 단결합,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R5, R6 및 R7 은, 수소 원자, 알킬기, 카르복시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n 은 1 ∼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일반식 (1), (2) 또는 (3) 으로 나타내는 L1 은, 연결기를 나타내고, 알킬렌기,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이들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일반식 (1), (2) 또는 (3) 에 있어서 L1 로 나타내는 이들 연결기의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알킬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식 (1), (2) 또는 (3) 으로 나타내는 R' 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식 (1), (2) 또는 (3) 에 있어서 R' 로 나타내는 이들 기의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알킬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식 (1), (2) 또는 (3) 으로 나타내는 R5, R6 및 R7 은, 각각 수소 원자, 알킬기, 카르복시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등을 들 수 있고, 알킬옥시카르보닐기의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헥실기, 2-에틸헥실기, 3,5,5-트리메틸헥실기, 옥틸기 등을 들 수 있고, 아릴기로는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카르복시기 및 메틸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식 (1), (2) 또는 (3) 에 있어서 R1, R2, R3, 및 R17 로 나타내는 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로는, 알킬기에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iso-프로필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옥틸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로는, 예를 들어,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복소 고리기로는, 예를 들어, 피리딘 고리, 피라졸 고리, 이미다졸 고리, 피라진 고리, 피리미딘 고리, 트리아진 고리, 티아졸 고리, 옥사졸 고리, 퀴놀린 고리, 벤조티아졸 고리, 벤조옥사졸 고리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기는 치환기를 가져도 된다.
일반식 (3) 중의 R18 로 나타내는 알킬기, 아릴기로는, 알킬기에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iso-프로필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2-에틸헥실기, 3,5,5-트리메틸헥실기, 옥틸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로는, 예를 들어,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복소 고리로는, 예를 들어, 피리딘 고리, 피라졸 고리, 이미다졸 고리, 피라진 고리, 피리미딘 고리, 트리아진 고리, 티아졸 고리, 옥사졸 고리, 퀴놀린 고리, 벤조티아졸 고리, 벤조옥사졸 고리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R19 는, -CO-CR20R21R22 를 나타내고, R20, R21, R2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카르복시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수소 원자 또는 -OCOR23 을 나타내고, R23 은, 알킬기, 아릴기를 나타낸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X1 은, 산소 원자 또는 N-Y 를 나타내고, N-Y 일 때 R1 과 X1 로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형성하는 고리로서, 하기 일반식 (4), (5), (6) 및 (7) 로 나타내는 구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일반식 (4) ∼ 일반식 (7) 중, R2' 는, 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및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R24, R25, R26 및 R27 은 수소 원자, 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및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추가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 는, 연결 부위를 나타낸다.]
일반식 (4), (5), (6) 및 (7) 에 있어서 R2' 로 나타내는, 알킬기, 아릴기, 복소 고리기 및 중합성기로는 상기 일반식 (1), (2) 및 (3) 으로 나타내는 R1, R2 및 R3 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일반식 (4), (5), (6) 및 (7) 에 있어서 R2' 로 나타내는 이들 기의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알킬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X2 는, -O-, -S-, -Se-, -NR8- 또는 -CR9R10- 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O- 또는 -S-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O- 이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R8 은 수소 원자, 알킬기,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상기 R1, R2 및 R3 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지만, R3 과 동일한 치환기가 합성상 바람직하고, 추가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일반식 (1) 에 있어서 R8 로 나타내는 이들 기의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알킬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R9 및 R10 은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중합성기는 상기 R1, R2 및 R3 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고,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3 의 알킬기이고, 추가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일반식 (1) 에 있어서 R9 및 R10 으로 나타내는 이들 기의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알킬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Z 는 5 원 (員) 고리를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원자군으로서, -CR11=CR12-, -CR13R14-CR15R16- 를 나타내고, R11 과 R12 는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R11 ∼ R16 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일반식 (1) 에 있어서 상기 Z 의 치환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킬기, 알콕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들 수 있다. 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를 들 수 있다.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에틸기, 프로필기, iso-프로필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옥틸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기로는,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iso-프로폭시기, 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iso-부톡시기, 펜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카르보닐기로는, 예를 들어,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로는, 예를 들어,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알킬기, 알콕시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알킬기이다. 또, R11 과 CR12 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예를 들어 시클로펜탄 고리, 시클로헥산 고리, 벤젠 고리, 피리딘 고리, 나프탈렌 고리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벤젠 고리이고, 추가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일반식 (1), (2) 또는 (3) 으로 나타내는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은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체이어도 되고, 모노머로는 특별히 제한없지만, 아크릴계, 스티렌계, 비닐계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일반식 (1), (2) 또는 (3) 으로 나타내는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가 갖는 구성 단위는,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일반식 (8) 로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일반식 (8) 로 나타내는 구성 단위를 갖는 중합체는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내열성이 양호해지고, 또 다른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향상되어 혼합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일반식 (8) 중, Dye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색소 화합물의 색소 구조 단위를 나타내고, M1 은 다른 모노머 구조 단위를 나타내고, n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색소 화합물의 조성을 나타내고, n2 는 다른 모노머의 조성을 나타낸다. * 는, 연결 부위를 나타낸다.]
상기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시키기 위한 중합 개시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tert-부틸퍼옥시-iso-부탈레이트, 2,5-디메틸-2,5-비스(벤조일디옥시)헥산, 1,4-비스[α-(tert-부틸디옥시)-iso-프로폭시]벤젠, 디-tert-부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비스(tert-부틸디옥시)헥센하이드로퍼옥사이드, α-(iso-프로필페닐)-iso-프로필하이드로퍼옥사이드, 2,5-비스(하이드로퍼옥시)-2,5-디메틸헥산, ter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1,1-비스(tert-부틸디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부틸-4,4-비스(tert-부틸디옥시)발레레이트, 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2,2',5,5'-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3,3',4,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3,3',4,4'-테트라(tert-아밀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3,3',4,4'-테트라(tert-헥실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3,3'-비스(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4,4'-디카르복시벤조페논,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tert-부틸디퍼옥시이소프탈레이트 등의 유기 과산화물이나, 9,10-안트라퀴논, 1-클로로안트라퀴논, 2-클로로안트라퀴논, 옥타메틸안트라퀴논, 1,2-벤즈안트라퀴논 등의 퀴논류나, 벤조인메틸, 벤조인에틸에테르, α-메틸벤조인, α-페닐벤조인 등의 벤조인 유도체나, 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트리(4-메톡시페닐)포스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트리(p-메톡시페닐)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포네이트, 트리(4-에톡시페닐)포스포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등의 트리아릴포스포늄염 화합물이나 디페닐요오드늄클로라이드, 디페닐요오드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메실레이트, 디페닐요오드늄메실레이트, 디페닐요오드늄토실레이트, 디페닐요오드늄브로마이드, 디페닐요오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 비스(p-tert-부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p-tert-부틸페닐)요오드늄메실레이트, 비스(p-tert-부틸페닐)요오드늄토실레이트, 비스(p-tert-부틸페닐)요오드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비스(p-tert-부틸페닐)요오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비스(p-tert-부틸페닐)요오드늄클로라이드, 비스(p-클로로페닐)요오드늄클로라이드, 비스(p-클로로페닐)요오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등의 디아릴요오드늄염 화합물이나 철 아렌 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식 (8) 에 있어서, n1 : n2 의 몰비율은, 100 : 0 ∼ 5 : 95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10 ∼ 10 : 90 의 범위 내이다.
이하에, 상기 일반식 (1), (2) 또는 (3) 으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의 대표적인 구체예를 들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화합물에 있어서, * 는 연결 부위를 나타낸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화학식 8]
Figure pct00008
[화학식 9]
Figure pct00009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화학식 17]
Figure pct00017
[화학식 18]
Figure pct00018
[화학식 19]
Figure pct00019
[화학식 20]
Figure pct00020
[화학식 21]
Figure pct00021
[화학식 22]
Figure pct00022
[화학식 23]
Figure pct00023
[화학식 24]
Figure pct00024
[화학식 25]
Figure pct00025
[화학식 26]
Figure pct00026
[화학식 27]
Figure pct00027
[화학식 28]
Figure pct00028
[화학식 29]
Figure pct00029
[화학식 30]
Figure pct00030
[화학식 31]
Figure pct00031
[화학식 32]
Figure pct00032
[화학식 33]
Figure pct00033
[화학식 34]
Figure pct00034
[화학식 35]
Figure pct00035
[화학식 36]
Figure pct00036
[화학식 37]
Figure pct00037
[화학식 38]
Figure pct00038
[화학식 39]
Figure pct00039
[화학식 40]
Figure pct00040
[화학식 41]
Figure pct00041
[화학식 42]
Figure pct00042
[화학식 43]
Figure pct00043
[화학식 44]
Figure pct00044
[화학식 45]
Figure pct00045
[화학식 46]
Figure pct00046
[화학식 47]
Figure pct00047
[화학식 48]
Figure pct00048
[화학식 49]
Figure pct00049
[화학식 50]
Figure pct00050
본 발명의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은, 이하의 용매에 용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을 용해시키 수 있고, 또한 성능 유지나 가공할 때의 장해가 되지 않는 것이면 각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에 대해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용매는, 톨루엔이나 자일렌 등의 방향족계 용매, 아세트산에틸이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등의 함질소계 용매, 디클로로메탄, 1,1,2-트리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트리플루오로에탄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4-디옥산,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은, 목적 및 용도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성 수지, 비수성 수지,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표면 장력 조정제, 점도 조정제, 비저항 조정제, 소포제, 방미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은, 상기 첨가제를 함유한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상태로 가공할 수 있다. 용제 중의 첨가제나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의 양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정해진다. 가공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반죽법, 바 코트, 블레이드 코트,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트, 나이프 코트, 딥 코트 등의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액을 도포하는 지지체로는, 예를 들어 유리판이나 플라스틱 등의 시트, 필름, 판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제한은 없다.
실시예
이하에 본 색소의 대표적인 합성예를 나타내지만, 이들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63171호, 동 2006-16564호, 동 2015-147825호 등, "The Cyanine Dyes and Related Compounds", F. Hamer, Interscience Publishers, 1964 에 기재된 종래 공지를 참고로 합성할 수 있다.
(실시예 1) 예시 화합물 112 의 중간체 (화합물 3A) 의 합성
[화학식 51]
Figure pct00051
실온에서 디클로로메탄 100 ㎖ 에 6.74 g 의 화합물 1A 와 1.52 g 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고, 내온 -10 ℃ 이하로 냉각 후, 3.08 g 의 화합물 2A 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0 ℃ 이하에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0 ℃ 이하에서 4 시간 반응시켰다. 15 ℃ 이하에서 1N-HCl 15 ㎖ 를 투입, 분액 깔때기로 옮기고, 수층을 제거 후, 유기층을 수세, 중화시키고, 감압 농축 후, 얻어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후, 헥산으로 결석, 여과, 건조시켜, 등적색의 고체를 얻었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2) 예시 화합물 112 의 중간체 (화합물 4A) 의 합성
[화학식 52]
Figure pct00052
아세토니트릴 100 ㎖ 에 7.57 g 의 화합물 3A 와 100 ㎖ 의 1N-HCl 과 3.32 g 의 요오드화칼륨을 첨가하고, 내온 100 ℃ 까지 가열하고 1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0 ℃ 이하로 냉각 후, 중화, 수세하고,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등적색의 고체를 얻었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3) 예시 화합물 112 의 합성
[화학식 53]
Figure pct00053
디클로로메탄 100 ㎖ 에 6.72 g 의 화합물 4A 와 3.24 g 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고, 내온 0 ℃ 이하로 냉각 후, 아크릴산클로라이드 2.72 g 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0 ℃ 이하에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내온 0 ℃ 이하 4 시간 반응시켰다. 15 ℃ 이하에서 1N-HCl 35 ㎖ 를 투입, 분액 깔때기로 옮기고, 수층을 제거 후, 유기층을 수세, 중화시키고, 감압 농축 후, 얻어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후, 헥산으로 결석, 여과, 건조시켜, 등적색의 고체를 얻었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4) 예시 화합물 113 의 합성
[화학식 54]
Figure pct00054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5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13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5) 예시 화합물 226 의 합성
[화학식 55]
Figure pct00055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6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226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6) 예시 화합물 109 의 합성
[화학식 56]
Figure pct00056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7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09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7) 예시 화합물 151 의 합성
[화학식 57]
Figure pct00057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8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51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8) 예시 화합물 153 의 합성
[화학식 58]
Figure pct00058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9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53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9) 예시 화합물 117 의 합성
[화학식 59]
Figure pct00059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10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17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10) 예시 화합물 118 의 합성
[화학식 60]
Figure pct00060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11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18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11) 예시 화합물 187 의 합성
[화학식 61]
Figure pct00061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12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87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12) 예시 화합물 188 의 합성
[화학식 62]
Figure pct00062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13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88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13) 예시 화합물 233 의 합성
[화학식 63]
Figure pct00063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14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233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14) 예시 화합물 326 의 합성
[화학식 64]
Figure pct00064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15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326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15) 예시 화합물 327 의 합성
[화학식 65]
Figure pct00065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16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327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16) 예시 화합물 336 의 합성
[화학식 66]
Figure pct00066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17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336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17) 예시 화합물 303 의 합성
[화학식 67]
Figure pct00067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18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303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18) 예시 화합물 330 의 합성
[화학식 68]
Figure pct00068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19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330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19) 예시 화합물 271 의 합성
[화학식 69]
Figure pct00069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20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271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20) 예시 화합물 4 의 합성
[화학식 70]
Figure pct00070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21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4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21) 예시 화합물 12 의 합성
[화학식 71]
Figure pct00071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22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2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22) 예시 화합물 13 의 합성
[화학식 72]
Figure pct00072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23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3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23) 예시 화합물 32 의 합성
[화학식 73]
Figure pct00073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24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32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24) 예시 화합물 40 의 합성
[화학식 74]
Figure pct00074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25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40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25) 예시 화합물 47 의 합성
[화학식 75]
Figure pct00075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26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47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26) 예시 화합물 57 의 합성
[화학식 76]
Figure pct00076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27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57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27) 예시 화합물 69 의 합성
[화학식 77]
Figure pct00077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28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69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28) 예시 화합물 73 의 합성
[화학식 78]
Figure pct00078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29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73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29) 예시 화합물 75 의 합성
[화학식 79]
Figure pct00079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30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75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30) 예시 화합물 81 의 합성
[화학식 80]
Figure pct00080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31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81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31) 예시 화합물 89 의 합성
[화학식 81]
Figure pct00081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32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89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32) 예시 화합물 121 의 합성
[화학식 82]
Figure pct00082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33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21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33) 예시 화합물 135 의 합성
[화학식 83]
Figure pct00083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34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35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34) 예시 화합물 140 의 합성
[화학식 84]
Figure pct00084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35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40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35) 예시 화합물 164 의 합성
[화학식 85]
Figure pct00085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36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64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36) 예시 화합물 182 의 합성
[화학식 86]
Figure pct00086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37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82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37) 예시 화합물 208 의 합성
[화학식 87]
Figure pct00087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38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208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38) 예시 화합물 221 의 합성
[화학식 88]
Figure pct00088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39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221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39) 예시 화합물 249 의 합성
[화학식 89]
Figure pct00089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40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249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40) 예시 화합물 255 의 합성
[화학식 90]
Figure pct00090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41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255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41) 예시 화합물 278 의 합성
[화학식 91]
Figure pct00091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42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278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42) 예시 화합물 289 의 합성
[화학식 92]
Figure pct00092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43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289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43) 예시 화합물 307 의 합성
[화학식 93]
Figure pct00093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44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307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44) 예시 화합물 311 의 합성
[화학식 94]
Figure pct00094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45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311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45) 예시 화합물 316 의 합성
[화학식 95]
Figure pct00095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46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316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46) 예시 화합물 342 의 합성
[화학식 96]
Figure pct00096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47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342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47) 예시 화합물 349 의 합성
[화학식 97]
Figure pct00097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48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349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48) 예시 화합물 353 의 합성
[화학식 98]
Figure pct00098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49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353 을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49) 예시 화합물 365 의 합성
[화학식 99]
Figure pct00099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화합물 4A 대신에, 화합물 50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365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50) 예시 화합물 78 의 합성
[화학식 100]
Figure pct00100
10 g 의 화합물 29A 를 아세토니트릴 150 ㎖ 에 용해시킨 후, 2.8 g 의 화합물 51A, 0.68 g 의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및 0.01 g 의 p-메톡시페놀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기를 워터 배스로 50 ℃ 로 가온하고, 5 시간 반응시켰다. 실온까지 냉각 후,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함으로써, 예시 화합물 78 을 얻었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51) 예시 화합물 102 의 합성
[화학식 101]
Figure pct00101
실시예 50 에서 사용한 화합물 29A 대신에, 화합물 52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02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52) 예시 화합물 115 의 합성
[화학식 102]
Figure pct00102
실시예 50 에서 사용한 화합물 29A 대신에, 화합물 53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15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53) 예시 화합물 129 의 합성
[화학식 103]
Figure pct00103
실시예 50 에서 사용한 화합물 29A 대신에, 화합물 54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129 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MASS, 1H-NMR 및 IR 스펙트럼에 의해 동정하였다.
(실시예 54) 공중합체 (1) 의 합성
[화학식 104]
Figure pct00104
디옥산 30 ㎖ 에 2.6 g 의 예시 화합물 112 와 0.29 g 의 메틸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 중 교반 혼합하였다. 교반 혼합 후, 질소 기류 중 0.03 g 의 tert-부틸퍼옥시-iso-부탈레이트를 첨가하고, 80 ℃ 로 가열하고, 4 시간 중합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냉각시키고, 300 ㎖ 의 헥산을 사용하여 재침 정제를 실시함으로써 공중합체 (1) 을 2.5 g 얻었다. 또한, 이하의 구조식에 있어서 * 는 연결 부위를 나타낸다.
(실시예 55) 공중합체 (2) 의 합성
[화학식 105]
Figure pct00105
실시예 54 에서 사용한 예시 화합물 112 대신에, 2.5 g 의 예시 화합물 11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4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공중합체 (2) 를 2.4 g 얻었다.
(비교예 1) 비교 화합물 A 의 합성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47825호에 기재된 하기 비교 화합물 A 를 합성하였다.
[화학식 106]
Figure pct00106
(비교예 2) 비교 화합물 B 의 합성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47825호에 기재된 하기 비교 화합물 B 를 합성하였다.
[화학식 107]
Figure pct00107
(비교예 3) 비교 화합물 C 의 합성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6564호에 기재된 하기 비교 화합물 C 를 합성하였다.
[화학식 108]
Figure pct00108
(비교예 4) 공중합체 (3) 의 합성
실시예 54 에서 사용한 예시 화합물 112 대신에, 2.5 g 의 상기 비교 화합물 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4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공중합체 (3) 을 2.4 g 얻었다.
[화학식 109]
Figure pct00109
(비교예 5) 공중합체 (4) 의 합성
실시예 54 에서 사용한 예시 화합물 112 대신에, 2.5 g 의 상기 비교 화합물 B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4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공중합체 (4) 를 2.4 g 얻었다.
[화학식 110]
Figure pct00110
《용해성의 평가》
본 발명의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그것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 (본 발명의 공중합체) 및 비교 (비교 화합물 및 비교의 공중합체) 의 각각을 메탄올,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에틸렌글리콜 및 N-메틸-2-피롤리돈 (NMP) 에, 3 질량%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키고, 그 용해성을 육안 평가로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4 단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I 및 II 에 나타낸다.
◎ : 즉시 완용 (完溶)
○ : 실온에서 하룻밤 진탕함으로써 완전히 용해되어 있다.
△ : 가온함으로써 완전히 용해되어 있다.
× : 가온해도 용해 잔여물이 존재하고 있다.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111
Figure pct00112
《도포 시료의 제조》
(실시예 56)
본 발명의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과, 광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톨루엔과 메틸에틸케톤 (MEK) 의 1 : 1 혼합 용액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착색 용액을 150 ㎛ 의 두께를 갖는 합성지 (유포 FPG-150 : 오지 유화사 제조) 상에, 각각 웨트 막두께 60 ㎛ 로 도포·건조 후, 고압 수은등으로 노광하여 (3 ㎾, 200 mJ/㎠), 도포 시료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용액의 색소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최대 흡수 파장의 반사 농도가 1 이 되는 도포 시료를 제조 (이하, 도포막 A) 하고,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57)
본 발명의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을, 톨루엔과 MEK 의 1 : 1 혼합 용액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착색 용액을 150 ㎛ 의 두께를 갖는 합성지 (유포 FPG-150 : 오지 유화사 제조) 상에, 각각 웨트 막두께 60 ㎛ 로 도포·건조시켜, 도포 시료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용액의 색소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최대 흡수 파장의 반사 농도가 1 이 되는 도포 시료를 제조 (이하, 도포막 B) 하고,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 색소 A ∼ C (비교 화합물) 에 있어서도, 실시예 56 및 57 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 시료 (도포막 A 및 B) 를 제조하였다. 또, 공중합체 (1) ∼ (4) 에 대해서는 실시예 57 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 시료 (도포막 B) 를 제조하였다.
《내광성의 평가》
도포막 A 와 실시예 56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비교 색소 (비교 화합물 A ∼ C) 및 실시예 57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공중합체 (1) ∼ (4) 를 도포한 시료에 대해, 크세논 페이드미터로 120 시간 폭사 (曝射) 한 후, 미폭사 시료의 가시 영역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반사 스펙트럼 농도로부터의 잔존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III 및 IV 에 나타낸다.
내광성 (%) = (폭사 시료의 극대 흡수 파장 농도/미폭사 시료의 극대 흡수 파장 농도) × 100 에 따라 구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4 단계 평가하였다.
◎ : 내광성이 95 % 이상
○ : 내광성이 90 % 이상, 95 % 미만
△ : 내광성이 80 % 이상, 90 % 미만
× : 내광성이 80 % 미만
○ 이상이면 실용상 문제 없다.
Figure pct00113
Figure pct00114
《내열성의 평가》
도포막 A 와 실시예 56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비교 색소 (비교 화합물 A ∼ C) 및 실시예 57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공중합체 (1) ∼ (4) 를 도포한 시료에 대해, 77 ℃, 10 %RH 이하의 조건하 7 일간 보존하고, 보존 개시 전후의 농도비로부터의 잔존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V 및 VI 에 나타낸다.
내열성 (%) = (보존 후의 농도/보존 개시 전의 농도) × 100 에 따라 구하고, 이하의 표준 기준에 기초하여 4 단계 평가하였다.
◎ : 내열성이 95 % 이상
○ : 내열성이 80 % 이상, 95 % 미만
△ : 내열성이 60 % 이상, 80 % 미만
× : 내열성이 60 % 미만
○ 이상이면 실용상 문제 없다.
Figure pct00115
Figure pct00116
《내용제성의 평가》
얻어진 도포막 A, 도포막 B 및 각각의 비교 (비교 화합물 및 비교의 공중합체) 의 각각을, 메탄올,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에틸렌글리콜 및 NMP 에 25 ℃, 30 분간 침지시켰다. 이 처리 전후의 시료에 대해, 침지 전의 가시 영역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반사 스펙트럼 농도로부터의 잔존율을 평가하고, 표 VII 및 표 VIII 에 나타낸다.
내용제성 (%) = (침지 시료의 극대 흡수 파장 농도/미침지 시료의 극대 흡수 파장 농도) × 100 에 따라 구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4 단계 평가하였다.
◎ : 내용제성이 90 % 이상
○ : 내용제성이 80 % 이상, 90 % 미만
△ : 내용제성이 60 % 이상, 80 % 미만
× : 내용제성이 60 % 미만
○ 이상이면 실용상 문제 없다.
Figure pct00117
Figure pct00118
표 I, 표 II, 표 III, 표 IV, 표 V, 표 VI, 표 VII 및 표 VIII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은 유기 용제에 대해 높은 용해성을 갖고, 또한 그것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는, 내광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 중합성기를 1 개 이상 도입함으로써 내용제성을 대폭 개선시키는 것에 성공하였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해, 종래의 피라졸론계 색소 및 피라졸로아졸계 색소와 비교하여 내광성, 내열성 및 내용제성에 대해 보다 우수한 색소를 제공할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은, 용해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열성, 내광성, 내용제성이 우수한 중합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유기 용제에 우수한 용해성을 가짐으로써, 용이하게 여러 가지 용도 형태로 할 수 있다.

Claims (5)

  1.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Figure pct00119

    [식 중,
    R1,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R4-NR'-CO-L1-(OCO-R5C=CR6R7)n, -L1-NR'CO-R5C=CR6R7 및 -NR'CO-R5C=CR6R7 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성기, 알킬기, 각각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낸다. R' 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L1 은,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R4 는, 단결합,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R5, R6 및 R7 은, 수소 원자, 알킬기, 카르복시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X1 은, 산소 원자 또는 N-Y 를 나타내고, R1 과 X1 로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Y 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X2 는, -O-, -S-, -Se-, -NR8- 또는 -CR9R10- 를 나타낸다.
    R8, R9 및 R10 은, -R4-NR'-CO-L1-(OCO-R5C=CR6R7)n, -L1-NR'CO-R5C=CR6R7 및 -NR'CO-R5C=CR6R7 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성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낸다.
    Z 는, 고리를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원자군으로서, -CR11=CR12- 또는 -CR13R14-CR15R16- 를 나타낸다.
    R11 ∼ R16 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11 과 R12 는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R1, R2, R3,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 또는 Y 중 적어도 1 개는, -R4-NR'-CO-L1-(OCO-R5C=CR6R7)n, -L1-NR'CO-R5C=CR6R7 및 -NR'CO-R5C=CR6R7 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성기를 갖는다.
    n 은, 1 ∼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 에 있어서, 상기 R1, R2, R3,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 혹은 Y 중 적어도 2 개에 상기 중합성기를 갖거나, 또는 상기 R1, R2, R3,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 혹은 Y 중 적어도 1 개에 복수의 상기 중합성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색소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Figure pct00120

    [식 중,
    R1, R2, R3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R4-NR'-CO-L1-(OCO-R5C=CR6R7)n, -L1-NR'CO-R5C=CR6R7 및 -NR'CO-R5C=CR6R7 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성기, 알킬기, 각각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낸다. R' 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L1 은,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R4 는, 단결합,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R5, R6 및 R7 은, 수소 원자, 알킬기, 카르복시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R1, R2, R3 혹은 R17 중 적어도 2 개에 중합성기를 갖거나, 또는 R1, R2, R3, 혹은 R17 중 적어도 1 개에 복수의 상기 중합성기를 갖는다.
    n 은, 1 ∼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n1 은, 0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Figure pct00121

    [식 중,
    R18 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R19 는, -CO-L1-(OCO-R5C=CR6R7)n, -CO-R5C=CR6R7 또는 -CO-CR20R21R22 를 나타낸다.
    R5, R6, R7 은, 수소 원자, 알킬기, 카르복시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R20, R21, R2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수소 원자, -OCOR23 을 나타낸다. R23 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R2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R4-NR'-CO-L1-(OCO-R5C=CR6R7)n, -L1-NR'CO-R5C=CR6R7 및 -NR'CO-R5C=CR6R7 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성기, 알킬기, 각각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낸다.
    R3 은, -L1-NR'CO-R5C=CR6R7 로 나타내는 중합성기, 알킬기, 각각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R' 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L1 은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R4 는, 단결합,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R2, R3, R17 혹은 R19 중 적어도 2 개에 중합성기를 갖거나, 또는 R2, R3, R17, 혹은 R19 중 적어도 1 개에 복수의 중합성기를 갖는다.
    n 은, 1 ∼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n2 는, 0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n3 은 0 ∼ 5 의 정수를 나타낸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
KR1020207003338A 2017-09-15 2018-09-13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및 그것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 KR102328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7293 2017-09-15
JPJP-P-2017-177293 2017-09-15
PCT/JP2018/033941 WO2019054436A1 (ja) 2017-09-15 2018-09-13 重合性基を有する色素化合物及びそれをモノマー単位として含有する重合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948A true KR20200026948A (ko) 2020-03-11
KR102328467B1 KR102328467B1 (ko) 2021-11-17

Family

ID=6572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338A KR102328467B1 (ko) 2017-09-15 2018-09-13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및 그것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15489B2 (ko)
KR (1) KR102328467B1 (ko)
CN (1) CN111065691B (ko)
WO (1) WO2019054436A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259A (ja) 1995-12-20 1997-09-02 Konica Corp 感熱転写記録材料及び感熱転写記録方法
JPH1062978A (ja) 1996-08-21 1998-03-06 Konica Corp 光開始剤、光重合組成物、ラジカル発生方法、平版印刷版作成用感光性材料及び平版印刷版の作成方法
JPH10264541A (ja) 1997-03-28 1998-10-06 Konica Corp 感熱転写記録材料
JP2000162429A (ja) 1998-08-28 2000-06-16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06015668A (ja) 2004-07-05 2006-01-19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感熱転写記録材料及び感熱転写記録方法
JP2006016564A (ja) 2004-07-05 2006-01-1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ピラゾロン色素
JP2006063171A (ja) 2004-08-26 2006-03-0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金属錯体色素、カラートナー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2006307161A (ja) 2005-03-28 2006-11-09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液、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カラートナー、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金属キレート色素
JP2015147825A (ja) 2014-02-05 2015-08-20 コニカミノルタケミカル株式会社 重合性基を有する新規色素化合物
JP2016001276A (ja) * 2014-06-12 2016-01-07 Jsr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硬化膜、表示素子及び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剤分散液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586A (ja) * 1992-07-24 1994-02-18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DE10111731A1 (de) * 2001-03-09 2002-09-12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nsymmetrischen Methinfarbstoffen
DE102004036609A1 (de) * 2004-07-28 2006-03-23 Wella Ag Kationische Pyrazolonfarbstoff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Färbemittel für Keratinfasern
JP5215538B2 (ja) * 2006-06-30 2013-06-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ゾ色素、着色組成物、感熱転写記録用インクシート、感熱転写記録方法、カラートナー、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2008176176A (ja) * 2007-01-22 2008-07-3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電子写真用トナ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259A (ja) 1995-12-20 1997-09-02 Konica Corp 感熱転写記録材料及び感熱転写記録方法
JPH1062978A (ja) 1996-08-21 1998-03-06 Konica Corp 光開始剤、光重合組成物、ラジカル発生方法、平版印刷版作成用感光性材料及び平版印刷版の作成方法
JPH10264541A (ja) 1997-03-28 1998-10-06 Konica Corp 感熱転写記録材料
JP2000162429A (ja) 1998-08-28 2000-06-16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06015668A (ja) 2004-07-05 2006-01-19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感熱転写記録材料及び感熱転写記録方法
JP2006016564A (ja) 2004-07-05 2006-01-1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ピラゾロン色素
JP2006063171A (ja) 2004-08-26 2006-03-0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金属錯体色素、カラートナー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2006307161A (ja) 2005-03-28 2006-11-09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液、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カラートナー、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金属キレート色素
JP2015147825A (ja) 2014-02-05 2015-08-20 コニカミノルタケミカル株式会社 重合性基を有する新規色素化合物
JP2016001276A (ja) * 2014-06-12 2016-01-07 Jsr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硬化膜、表示素子及び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剤分散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054436A1 (ja) 2020-10-29
CN111065691A (zh) 2020-04-24
KR102328467B1 (ko) 2021-11-17
CN111065691B (zh) 2022-05-03
WO2019054436A1 (ja) 2019-03-21
JP7115489B2 (ja)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8265A (en) Fluorinated ionic sulfonylimides and sulfonylmethylides, process of preparing same and use thereof as photoinitiators
KR101932450B1 (ko) 착색 조성물, 경화막, 컬러 필터,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고체 촬상 소자, 화상 표시 장치 및 화합물
CN102838578B (zh) 盐及着色固化性组合物
CN103360790B (zh) 着色剂分散液
TWI476517B (zh) Coloring th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KR102231572B1 (ko) 칼라필터용 착색 조성물 및 칼라필터
TWI466867B (zh) Compounds
CN105263968B (zh) 着色固化性树脂组合物
CN106019836A (zh) 着色固化性树脂组合物
TW201035677A (en) Colore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N102636957B (zh) 着色感光性树脂组合物及化合物
KR102314688B1 (ko) 조성물 및 신규 화합물
CN109426075A (zh) 着色固化性树脂组合物、滤色器和显示装置
TWI766152B (zh) 著色硬化性樹脂組合物、彩色濾光片及顯示裝置
JP2016534179A (ja) Lcdのカラーフィルタに使用されるフタロシアニン染料
KR20200026948A (ko) 중합성기를 갖는 색소 화합물 및 그것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
CN102736412B (zh) 着色感光性树脂组合物
TWI577748B (zh) Dye with salt
KR20170116565A (ko) 신규 화합물 및 착색 감광성 조성물
CN102344691B (zh) 染料及着色组合物
JP4490367B2 (ja) 近赤外線吸収化合物、それを用いる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KR102400064B1 (ko) 화합물, 착색 조성물, 섬유 재료, 컬러 필터 및 표시 장치
TWI707921B (zh) 鹽及著色硬化性樹脂組合物
KR20000014038A (ko) 디아릴에텐이 치환된 스티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제조방법 및 광기록 박막의 제조 방법
JP2015147825A (ja) 重合性基を有する新規色素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