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720A - 음용 빨대 기구 - Google Patents

음용 빨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720A
KR20200026720A KR1020190105694A KR20190105694A KR20200026720A KR 20200026720 A KR20200026720 A KR 20200026720A KR 1020190105694 A KR1020190105694 A KR 1020190105694A KR 20190105694 A KR20190105694 A KR 20190105694A KR 20200026720 A KR20200026720 A KR 20200026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elastic sheet
bend
tube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아-치엔 쨔이
Original Assignee
애플 주 스튜디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7130139A external-priority patent/TWI697305B/zh
Priority claimed from TW108122819A external-priority patent/TWI744656B/zh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주 스튜디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애플 주 스튜디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00026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응용 빨대 기구는 곡선형 베이스부(11), 제1 절곡부(12) 및 제2 절곡부(13)를 구비하는 성형 탄성 시트(10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절곡부(12, 13)는 곡선형 베이스부(11)의 두 개의 반대측 사이드들에 배치되어 제1 절곡부(12)의 내측 표면(121)이 제2 절곡부(13)의 외측 표면(132)과 중첩되게 한다. 제1 절곡부(12)의 내측 표면(121) 및 제2 절곡부(13)의 외측 표면(132)이 서로 마찰 및 접촉 계합됨으로써 성형 탄성 시트(100)가 튜브 축선(T)을 따라 연장하는 빨대 튜브(1)를 구성하게 하도록, 제1 및 제2 절곡부(12, 13)는 각각 내측 편향력 및 외측 편향력을 받는다.

Description

음용 빨대 기구{DRINKING STRAW DEVICE}
본 발명은 음용 빨대 기구, 특히 재사용을 위해 쉽게 세척될 수 있는 음용 빨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상의 일회용 음용 빨대와 관련된 환경 이슈가 더욱 관심을 끌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환경 친화적 음용 빨대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환경 친화적 음용 빨대들은 플라스틱, 금속, 유리, 종이, 대나무, 식용 재료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러한 음용 빨대들 중 일부는 재사용을 위해, 예를 들어 브러시를 사용하여, 세척될 수 있다. 통상의 음용 빨대의 내부는 세척이 잘 안될 수 있다.
US 2015/0014431 A1 및 JP 2014-155524 A가 또한 통상의 음용 빨대들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재사용을 위해 잘 세척될 수 있는 신규의 음용 빨대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음용 빨대 기구가 곡선형 기부,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를 구비하는 성형 탄성 시트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굴곡부들은 곡선형 기부의 서로 반대인 양 측부에 배치되어 제1 굴곡부의 내면이 제2 굴곡부의 외면과 겹쳐진다. 제1 및 제2 굴곡부들은 각각 내측 편향력 및 외측 편향력을 받아서 제1 굴곡부의 내면과 제2 굴곡부의 외면이 서로 마찰 및 접촉 계합됨으로써 성형 탄성 시트가 관 축선을 따라 연장하는 빨대관을 구성하게 된다.
본 개시의 다른 피처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 빨대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자연 상태에 있는, 음용 빨대 기구의 빨대관을 구성하기 위한, 성형 탄성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곡률을 갖는 성형 탄성 시트의 제1 굴곡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곡률을 갖는 성형 탄성 시트의 제2 굴곡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과 유사하지만, 제3 곡률을 갖는 성형 탄성 시트의 제2 굴곡부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5와 유사하지만, 제4 곡률을 갖는 성형 탄성 시트의 제1 굴곡부를 도시한다.
도 9는 음용 빨대 기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음료수 병과 함께 사용되는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개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적절한 것으로 생각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가질 수 있는 상응하거나 혹은 유사한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도면 번호들이 도면들에서 반복된다는 점에 유의하자.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 빨대 기구는 곡선형 기부(11), 제1 굴곡부(12) 및 제2 굴곡부(13)를 구비하는 성형 탄성 시트(1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곡선형 기부(11), 제1 굴곡부(12) 및 제2 굴곡부(13)는 각각 내면(111, 121, 131) 및 외면(112, 122, 132)을 구비한다. 제1 굴곡부(12) 및 제2 굴곡부(13)는 곡선형 기부(11)의 서로 반대인 양 측부들에 배치되어 제1 굴곡부(12)의 내면(121)이 제2 굴곡부(13)의 외면(132)과 겹쳐지게 한다. 제1 굴곡부(12)의 내면(121)과 제2 굴곡부(13)의 외면(132)이 서로 마찰 및 접촉 계합됨으로써 성형 탄성 시트(100)가 관 축선(T)을 따라 연장하는 빨대관(1)을 구성하도록 제1 굴곡부(12) 및 제2 굴곡부(13)는 각각 내측 편향력과 외측 편향력을 받는다.
성형 탄성 시트(100)는 변형 상태와 자연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 상태에서, 제2 굴곡부(13)는 제1 굴곡부(1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치되어 제2 굴곡부(13)의 내면(131)이 슬릿(15)에 의해 제1 굴곡부(12)의 외면(122)으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사용자는 성형 플라스틱 시트(100)를 슬릿(15)으로부터 안에서 밖으로 뒤집어 곡선형 기부(11)의 내면(111)이 노출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곡선형 기부(11), 제1 굴곡부(12) 및 제2 굴곡부(13)의 내면들(111, 121, 131)이 세척제 및/또는 세척 툴을 이용하여 잘 세척될 수 있다. 세척 및 사용자가 성형 탄성 시트(100)를 놓은 후에, 성형 탄성 시트(100)는 자동으로 굽혀져서 자연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성형 탄성 시트(100)는 비교적 고온, 산 및 염기에 민감한 의료용 열가소성 재료(예컨대 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열가소성 성형 가공에 의해, 열가소성 재료가 자연 상태의 성형 탄성 시트(100)로 가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굴곡부(12)의 내면(121) 상에 있는 네 개의 단부 지점들이 협동하여 기준 평면(P1)을 획정하고, 제2 굴곡부(13)의 내면(131) 상에 있는 네 개의 단부 지점들이 협동하여 기준 평면(P2)을 획정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자연 상태에서, 제1 굴곡부(12)는 제1 곡률을 가지며, 제1 최단 거리(L1)는 기준 평면(P1) 및 기준 평면(P1)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제1 굴곡부(12)의 내면(121)의 지점 사이에서 정해진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자연 상태에서, 제2 굴곡부(13)는 제2 곡률을 가지며, 제2 최단 거리(L2)는 기준 평면(P2) 및 기준 평면(P2)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제2 굴곡부(13)의 내면(131) 상의 지점 사이에서 정해진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변형 상태에서, 제2 굴곡부(13)는 제3 곡률을 가지며, 제3 최단 거리(L2’)는 기준 평면(P2) 및 기준 평면(P2)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제2 굴곡부(13)의 내면(131) 상의 지점 사이에서 정해지되 제2 최단 거리(L2)보다 크다. 이는 제3 곡률이 제2 곡률(도 6)보다 크고, 제2 굴곡부(13)는 변형 상태에서 외측 편향력에 대항하여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변형 상태에서, 제1 굴곡부(12)는 제4 곡률을 가지며, 제4 최단 거리(L1’)는 기준 평면(P1) 및 기준 평면(P1)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제1 굴곡부(12)의 내면(121)의 지점 사이에서 정해지되 제1 최단 거리(L1)보다 작다. 이는 제4 곡률이 제1 곡률(도 5)보다 작고, 제1 굴곡부(12)가 변형 사애에서 내측 편향력에 대항하여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의미한다.
자연 상태에서 제2 굴곡부(13)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1 굴곡부(12)는 변형 상태에서 그 내측 편향력에 대항하여 제2 굴곡부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변형된다. 자연 상태에서 제1 굴곡부(1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2 굴곡부(13)는 변형 상태에서 그 외측 편향력에 대항하여 제1 굴곡부(12)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변형 상태에서, 제1 굴곡부(12) 및 제2 굴곡부(13)는 서로 마찰 및 접촉 계합될 수 있다. 또한, 성형 탄성 시트(100)가 가요성이며 금속 재료와 비교하여 더 큰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성형 탄성 시트(100)는 제1 굴곡부(12) 및 제2 굴곡부(13) 간의 마찰력에 의해 변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빨대관(1)은 사용자가 음료를 빨아들이기 위해 빨대관(1)을 사용할 때 제1 굴곡부(12)와 제2 굴곡부(13) 사이에서 공기가 누설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굴곡부(12)와 제2 굴곡부(13)는 관 축선(T)의 방향(D1)으로 그 길이가 동일하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제1 굴곡부(12)와 제2 굴곡부(13)는 그 길이가 다를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음용 빨대 기구는 제1 굴곡부(12)와 곡선형 기부(11) 간의 연결점에 형성되고 제2 굴곡부(13)가 곡선형 기부(11)와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 축선(T)의 방향(D1)으로 연장하는 멈춤 리브(14)를 더 포함한다. 이렇게 해서, 빨대관(1)은 음료 내의 입자들(예컨대 타피오카 볼들, 섬유들, 펄프 등)을 빨아들이기 위해 사전에 정해진 치수를 유지할 수 있다.
멈춤 리브(14)는 성형 탄성 시트(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멈춤 리브(14)는 방향(D1)으로 길이가 제2 굴곡부(13)의 세장형 자유 단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높이는 제2 굴곡부(13)의 세장형 자유 단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음용 빨대 기구는 성형 탄성 시트(100)의 재료보다 더 강성인 재료로 만들어지고 빨대관(T)을 따라 연장하는 세장형 부재(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부재(2)는 관 축선(T)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더 연장함으로써 성형 탄성 시트(100)를 빨대관(1)의 형태로 유지하고 보유한다. 따라서 세장형 부재(2)는 빨대관(1)의 구조를 유지하고 보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2)는 관 축선(T)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C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장형 부재(2)는 길이가 빨대관(1)의 길이보다 약간 짧고, 내면(21), 외면(22), 세장형 개구(23), 상측 단부(24) 및 경사진 하측 단부(25)를 구비한다. 내면(21)은 빨대관(1)이 변형되어 끼워 맞춰짐으로서 빨대관(1)의 세장형 부재(2)에 대한 활주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홈을 획정한다. 세장형 개구(23)가 방향(D1)으로 연장함으로써 빨대관(1)이 내면(21)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상측 단부(24)는 빨대관(1)의 상측 단부의 하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경사진 하측 단부(25)는 음료 용기의 밀봉 필름을 관통하기 위해 빨대관(1)의 하측 단부의 하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세장형 부재(2)는 또한 음료 내부의 입자들을 들어 올리거나, 찌르거나, 운반하거나 혹은 혼합하는 툴의 역할을 한다. 음용 빨대 기구의 전체 길이는 빨대관(1)과 세장형 부재(2) 사이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안전에 대한 우려에 기초하여, 세장형 부재(2)가 비금속 재료, 예를 들어 비교적 고온과 산 및 염기에 민감한 의료용 비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세장형 부재(2)가 다수의 비가요성 세그먼트 및 비가요성 세그먼트들과 번갈아서 배치되는 다수의 가요성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음용 빨대 기구는 약간의 가요성을 가질 수 있고, 세장형 부재(2)는 용이한 보관을 위해 접힐 수 있다.
도 9는 세장형 부재(2)가 빨대관(1)보다 훨씬 짧은 음용 빨대 기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병 몸체(91)와 뚜껑(92)을 포함하는 음료수 병(9)용으로 사용되는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음용 빨대 기구는 병 몸체(91)의 바닥에 있는 음료를 빨아들이기 위해 그 길이가 병 몸체(91)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뚜껑(92)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경우, 빨대관(1)의 상측 단부가 음용을 위한 병 몸체(91)의 음용 포트 밖으로 연장될 수 있다. 뚜껑(92)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경우, 빨대관(1)은 음료수 병(9)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목적으로, 실시예(들)를 완전히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을 많이 기재했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가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 중 일부가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일 실시예(one embodiment)”, “실시예(embodiment)”, 서수로 지시되는 실시예 등에 대한 언급은 특정 피처, 구조 또는 특징이 개시의 실시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을 또한 알아야 한다.
상세한 설명에서, 자연스러운 개시 및 여러 가지 발명적인 측면들의 이해를 목적으로 여러 가지 피처들이 때로는 단일 실시예, 도면 또는 설명에서 함께 그룹화됨을 그리고 개시의 실시에 있어서 적절하다면 하나의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피처 또는 구체적인 세부 사항이 다른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피처 또는 구체적인 세부 사항과 함께 실시될 수 있음을 또한 알아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를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간주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가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모든 변형 실시예들 및 균등한 배열 형태들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 배열 형태를 커버하도록 의도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7)

  1. 음용 빨대 기구로,
    곡선형 기부,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를 구비하는 성형 탄성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굴곡부들이 상기 곡선형 기부의 서로 반대인 양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굴곡부의 내면이 상기 제2 굴곡부의 외면과 겹쳐지고, 상기 제1 및 제2 굴곡부들이 각각 내측 편향력 및 외측 편향력을 받아서 상기 제1 굴곡부의 상기 내면과 상기 제2 굴곡부의 상기 외면이 서로 마찰 및 접촉 계합됨으로써 상기 성형 탄성 시트가 관 축선을 따라 연장하는 빨대관을 구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빨대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와 상기 곡선형 기부 간의 내부 연결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굴곡부가 상기 곡선형 기부와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 축선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멈춤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빨대 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성형 탄성 시트보다 더 강성인 재료로 만들어지고 관 축선을 따라 연장하는 세장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세장형 부재가 관 축선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더 연장함으로써 성형 탄성 시트를 빨대관의 형태로 유지하고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빨대 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가 비금속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빨대 기구.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가 관 축선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C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빨대 기구.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가 상기 빨대관의 하측 단부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경사진 하측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빨대 기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탄성 시트는, 상기 성형 탄성 시트가 상기 빨대관을 구성하는 변형 상태와, 상기 제2 굴곡부가 상기 제1 굴곡부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 굴곡부의 내면이 슬릿에 의해 상기 제1 굴곡부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자연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빨대 기구.
KR1020190105694A 2018-08-29 2019-08-28 음용 빨대 기구 KR202000267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7130139A TWI697305B (zh) 2018-08-29 2018-08-29 易清洗式吸管
TW107130139 2018-08-29
TW108122819 2019-06-28
TW108122819A TWI744656B (zh) 2019-06-28 2019-06-28 吸管組合件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720A true KR20200026720A (ko) 2020-03-11

Family

ID=6777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694A KR20200026720A (ko) 2018-08-29 2019-08-28 음용 빨대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34543B2 (ko)
EP (1) EP3616570A1 (ko)
JP (1) JP2020032186A (ko)
KR (1) KR20200026720A (ko)
CN (1) CN1108706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09111T3 (es) * 2016-10-21 2022-05-0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Pajita para beber y método para fabricar una pajita para beber
CN212165530U (zh) * 2019-09-29 2020-12-18 科安研创(深圳)股份有限公司 一种可清洗的高实用性吸管
US11542074B1 (en) 2021-07-02 2023-01-03 Munchkin, Inc. Flip straw cup assembly
WO2023001657A1 (de) * 2021-07-20 2023-01-26 Klaus Peter Raunecker Trinkhal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7702A (en) * 1966-07-08 1970-06-30 Amp Inc Flexible material to form a tubular member
CN201630883U (zh) 2009-12-29 2010-11-17 上海市杨浦高级中学 一种新型吸管
CN202179393U (zh) 2011-09-05 2012-04-04 薛宜 一种卷制吸管
JP2014155524A (ja) 2013-02-14 2014-08-28 Toppan Printing Co Ltd ストロー
US20150014431A1 (en) 2013-07-14 2015-01-15 Tracy A. Whittaker Drinking Straw and Embellishment System
CN204394064U (zh) 2014-12-12 2015-06-17 张馨予 勺叉吸管组合餐具
CN206423934U (zh) 2016-11-18 2017-08-22 光明乳业股份有限公司 一种可弯伸缩管
JP6295457B1 (ja) 2017-03-22 2018-03-20 紘 荻野
TWM570084U (zh) 2018-06-29 2018-11-21 蔡淑寬 Straw structure
TWM573193U (zh) 2018-10-08 2019-01-21 劉觀生 Pre-molded crimped straw structure
DE202018106851U1 (de) 2018-11-30 2018-12-18 Frank Healey Trinkhalm
TWM579935U (zh) * 2019-01-25 2019-07-01 王啟宗 Removable stra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69094A1 (en) 2020-03-05
EP3616570A1 (en) 2020-03-04
JP2020032186A (ja) 2020-03-05
CN110870652A (zh) 2020-03-10
US11234543B2 (en) 202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6720A (ko) 음용 빨대 기구
JP3420249B2 (ja) 挿入手段を備えたコンタクトレンズ容器装置
JP6178726B2 (ja) 哺乳瓶用の乳首
US9708098B2 (en) Fully eversible beverage receptacle
KR20140103336A (ko) 패키지된 구강 관리 기구
KR102085887B1 (ko) 수납 용기
WO2016194473A1 (ja) 二重容器
JP2013529460A (ja) 積重ねを形成する係止手段を含むペトリ皿
JP6900011B2 (ja) 内装部品
US10856645B2 (en) Interdental brush bendable within oral cavity
KR101602759B1 (ko) 식기건조대용 스트랩
TW200408593A (en) Container for receiving plates
JP2016084157A (ja) 詰替え可能な容器及び包装体
US20090230082A1 (en) Cup adhesion device for fluid containment bottle
JP5019828B2 (ja) 洗眼用容器
JP6558781B2 (ja) 化粧品容器
JP6763751B2 (ja) ハードコンタクトレンズ用収納ケース
JP4912784B2 (ja) 合成樹脂製ボトル
KR101676399B1 (ko) 이중 보틀
JP2012086776A (ja) 容器敷きパッド及びカップホルダ
KR102034098B1 (ko) 굽힘의 유지가 가능한 빨대
JP2013082349A (ja) 容器敷きパッド及びカップホルダ
JP2008273575A (ja) 医療器具用容器
JP6502448B2 (ja) 皿状容器
JP2018012541A (ja) 蓋体及びそれを備えた細胞取扱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