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630A - 스피커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630A
KR20200026630A KR1020180104836A KR20180104836A KR20200026630A KR 20200026630 A KR20200026630 A KR 20200026630A KR 1020180104836 A KR1020180104836 A KR 1020180104836A KR 20180104836 A KR20180104836 A KR 20180104836A KR 20200026630 A KR20200026630 A KR 20200026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rear case
fixing member
hol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253B1 (ko
Inventor
김광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4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253B1/ko
Priority to EP19857988.0A priority patent/EP3806484A4/en
Priority to PCT/KR2019/010990 priority patent/WO2020050542A1/ko
Priority to US17/263,966 priority patent/US11395056B2/en
Publication of KR20200026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92Mountings or supports fo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 사이의 이격 공간에 실장되고,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리어 케이스의 홀을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스피커가 상기 리어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상기 스피커와 상기 리어 케이스를 연결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스피커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IXING MEMBER FOR FIXING SPEAK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스피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개인용 컴퓨터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디자인적 측면에서 소형화가 요구되면서도 고 성능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할 것을 요구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고 사양의 스피커를 장착하여 음향 출력 성능을 개선하되, 전자 장치의 크기 및 무게는 증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스피커의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음향 출력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스피커가 배치되는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나 다른 부품들의 실장 영역을 축소하거나 전자 장치의 크기를 확대하지 않으면서 스피커의 배치 면적을 확보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음향 출력과 관계 없는 다른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 간의 설계 결합을 통해 전자 장치의 크기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스피커의 배치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의 배면에 배치되어 전자 장치의 외부 하우징이 바닥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러버 풋 구성을 활용하여 스피커를 전자 장치 내부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 사이의 이격 공간에 실장되고,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리어 케이스의 홀을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스피커가 상기 리어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상기 스피커와 상기 리어 케이스를 연결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 사이의 이격 공간에 실장되고,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를 연결하는 스피커 스크류; 및 상기 리어 케이스의 홀을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스피커와 상기 리어 케이스를 연결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배면이 바닥 면에 놓일 때 바닥 면에 접촉하는 전자 장치의 러버 풋 구성과, 스피커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스피커 러버 구성을 일체화하여, 전자 장치에 대한 스피커의 실장 면적 영역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크기 및 무게를 늘리지 않고도 스피커의 내부 체적(또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음향 출력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성으로 둘 이상의 구성의 기능을 대체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 감소에 따른 원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일 측부(15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자 장치(100)의 일 측부(150)를 도 1의 A-A'면을 기준으로 바라본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27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modification), 균등물 (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 (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또는 B,”“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또는 B,”“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또는 “를 할 수 있는 (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 (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 (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 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 ,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 및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본체부는 프론트 케이스(250)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25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리어 케이스(210)로 둘러싸인 하우징의 내부에 전자 부품들이 실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의 프론트 케이스(250)의 일부 영역에는 키보드 등 전자 장치(100)에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는 구성이 배치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는 대신 본체부의 프론트 케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일 측부(150)를 확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후술할 전자 장치(100)의 스피커(230), 고정 부재(270), 및 스피커 그릴부(214)의 구성은 전자 장치(100)의 여러 위치에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케이스(210)가 향하는 방향인 전자 장치(100)의 배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270)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케이스(210)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고, 고정 부재(2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외부로 일부분 노출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을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270)의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일부분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원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270)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배면이 외부 바닥면을 향하도록 전자 장치(100)가 바닥에 놓일 때, 고정 부재(270)는 외부로 노출된 일부분을 통해 외부 바닥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바닥면에 놓일 때, 리어 케이스(210) 대신 고정 부재(270)가 상기 외부 바닥면에 접촉함에 따라, 리어 케이스(210)가 접촉하는 경우보다 큰 마찰력으로 외부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어 전자 장치(100)의 흔들림이나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210)가 바닥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리어 케이스(210) 면의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바닥 면과의 이격 공간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구동 시 발생하는 내부 열을 쉽게 방출하거나 불필요한 소음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본체부의 하우징 내부에 스피커(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230)는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10)는 스피커(230)로부터 상기 음향 신호가 외부로 원활히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홀들로 형성된 스피커 그릴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 그릴부(214)는 리어 케이스(2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270)는, 스피커(230)의 스피커 홀과 리어 케이스(210)의 홀을 각각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270)는, 전자 장치(100)의 리어 케이스(210)와 스피커(230)를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리어 케이스(210)의 지정된 위치에 스피커(23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스피커(230)를을 고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일 측부(15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전자 장치(100)의 상기 일 측부(150)를 도 1의 A-A'면을 기준으로 바라본 측면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리어 케이스(210) 및 상기 리어 케이스(2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210)와 프론트 케이스(250) 사이에 전자 부품(예: 스피커(230))을 실장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10)는, 고정 부재(270)가 관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홀(212), 및 스피커(2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출구 역할을 하는 스피커 그릴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30)는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전자 부품으로, 예를 들면, 진동판, 코일, 자성체, 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구성품들(235)과 그 외의 공명을 위한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230)는 진동판의 공명을 통해 음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때 음향 신호가 공명될 수 있는 스피커(230) 내부의 공명 공간을 넓게 설계할수록 스피커(230)의 음향 출력 성능에 유리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10)의 스피커 그릴부(214)는 상기 스피커 구성품들(235)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230)는 고정 부재(270)가 관통할 수 있는 제1스피커 홀(23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270)는 리어 케이스(210)의 홀(212) 및 스피커(230)의 제1스피커 홀(232)을 관통하면서, 상기 리어 케이스(210)와 스피커를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270)는, 복수의 홈부를 포함하는 원통형 구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다르면, 고정 부재(270)는 원통형 구조 이외에도 타원 기둥 형태 또는 다각형(예: 사각형) 기둥 형태의 구조일 수도 있다.
고정 부재(270)는, 리어 케이스(210)와 스피커를 각각 통과하면서 스피커(230)를 리어 케이스(210)의 일 영역에 고정하기 위하여, 리어 케이스(210)의 홀(212)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1홈부와 스피커(230)의 제1스피커 홀(232)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2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홈부에는 리어 케이스(2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홈부에는 스피커(230)가 결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피커(230)를 프론트 케이스(250)의 일 영역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피커(230)와 프론트 케이스(250)를 연결하는, 스피커 스크류(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230)는 스피커 스크류(290)가 관통할 수 있는 제2스피커 홀(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스크류(290)는, 스피커 러버(290a, 29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프론트 케이스(250)에 돌출 마련된 결합 구조(254) 및 스피커(230)의 제2스피커 홀(234) 내측에 마련된 구조(미도시)에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프론트 케이스(250)에 스피커(230)를 고정할 수 있다.
스피커 스크류(290)는 고정 부재(270)와 달리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270)는 리어 케이스(210)의 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리어 케이스(210)와 스피커(230)를 연결하지만 스피커 스크류(290)는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는 리어 케이스(210) 내측의 일 영역에서 스피커(230)와 프론트 케이스(250)를 연결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50)는 스피커(230)를 통과하여 프론트 케이스(250)의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부재(270)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부재(27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자 장치(1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 부재(2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270)는 고무 소재로 형성되어, 외부 객체에 의해 고정 부재(270)가 눌릴 때, 상기 지지 부재(252)에 의해 지지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일부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252)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측부(예: 지지 부재(252)의 원통면의 측부)에 리브 구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252)는, 착탈 가능한 별도의 구성물로서 프론트 케이스(250)의 일면에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252)는 별도 구성물로 구성되지 않고 프론트 케이스(250)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252)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원통형 구조 이외에도 다각 기둥 구조, 중심부에 기둥을 포함하지 않고 리브 구조만으로 형성된 구조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리어 케이스(210) 및 프론트 케이스(250)가 서로 기구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체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210) 및 프론트 케이스(250)의 외곽부에는 각각 기구적 체결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 구조를 통해 리어 케이스(210)와 프론트 케이스(250)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고정 부재(270)를 통해 리어 케이스(210)와 스피커(23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된 고정 부재(270)의 일 부분을 통해 리어 케이스(2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270)는 복수의 홈부를 포함함으로써 리어 케이스(210)와 스피커(230)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100)의 스피커(230)를 관통하는 스피커 스크류(290)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리어 케이스(210), 스피커(230), 및 프론트 케이스(2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스피커(230)는 내부의 공명 공간을 가능한 넓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공간에서 스피커(230)의 최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내부에 복수의 스피커(230)들을 실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스피커(230)들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고정 부재(270)들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270)들 각각은 리어 케이스(210)의 복수의 홀들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스피커(230)들 각각을 리어 케이스(21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27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270)는, 리어 케이스(210)의 홀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리어 케이스(21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제1홈부(272), 및 스피커(230)의 제1스피커 홀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스피커(23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제2홈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270)는 상기 제1홈부(272)의 외경이 제2홈부(274)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홈부(272)의 외경을 제2홈부(274)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스피커(230)의 공명 공간을 가능한 넓게 확보하고, 한편 리어 케이스(210)의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 부재(270)의 영역을 크게 하여 고정 부재(270) 외부 바닥 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2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원통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타원 기둥 형태나 다각형 기둥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제1홈부(272)의 외경 및 제2홈부(274)의 외경은 각각 제1홈부(272)의 단면적 및 제2홈부의 단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 사이의 이격 공간에 실장되고,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리어 케이스의 홀을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스피커가 상기 리어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상기 스피커와 상기 리어 케이스를 연결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상기 스피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를 연결하는 스피커 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는, 스피커 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스피커 홀을 관통하여 상기 스피커와 상기 리어 케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리어 케이스의 홀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가 삽입 결합되는 제1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스피커의 스피커 홀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가 삽입 결합되는 제2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홈부의 외경(또는 면적)은 상기 제2홈부의 외경(또는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고정 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피커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어 케이스는, 상기 스피커에 대응하는 영역에 스피커 그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 스크류는 상기 고정 부재와 다른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일부분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가 놓이는 외부 바닥 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 사이의 이격 공간에 실장되고,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를 연결하는 스피커 스크류; 및 상기 리어 케이스의 홀을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스피커와 상기 리어 케이스를 연결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는, 제1스피커 홀 및 제2스피커 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스피커 홀을 통과하여 상기 스피커와 상기 리어 케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스피커 스크류는 상기 제2스피커 홀을 통과하여 상기 스피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는, 제1홈부 및 제2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홈부는 상기 리어 케이스의 홀에 대응하는 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제2홈부는 상기 스피커의 제1스피커 홀에 대응하는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일부분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가 놓이는 외부 바닥 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고정 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스피커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홈부의 외경은 상기 제2홈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어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서로 기구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체결 구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어 케이스는, 상기 스피커에 대응하는 영역에 스피커 그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 (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 (unit), 로직 (logic), 논리 블록 (logical block), 부품 (component), 또는 회로 (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 (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 (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 (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 (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 (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 (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 (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 (예: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 (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전자 장치 210 : 리어 케이스
230 : 스피커 250 : 프론트 케이스
270 : 고정 부재 290 : 스피커 스크류
214 : 스피커 그릴부 235 : 스피커 구성품들
232 : 제1스피커 홀 234 : 제2스피커 홀
252 : 지지 부재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 사이의 이격 공간에 실장되고,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리어 케이스의 홀을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스피커가 상기 리어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상기 스피커와 상기 리어 케이스를 연결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가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상기 스피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를 연결하는 스피커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스피커 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스피커 홀을 관통하여 상기 스피커와 상기 리어 케이스를 연결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리어 케이스의 홀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가 삽입 결합되는 제1홈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스피커의 스피커 홀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가 삽입 결합되는 제2홈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부의 외경은 상기 제2홈부의 외경보다 큰,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고정 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피커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고무 소재로 형성된,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는,
    상기 스피커에 대응하는 영역에 스피커 그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스크류는 상기 고정 부재와 다른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는, 전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일부분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가 놓이는 외부 바닥 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 사이의 이격 공간에 실장되고,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를 연결하는 스피커 스크류; 및
    상기 리어 케이스의 홀을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스피커와 상기 리어 케이스를 연결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제1스피커 홀 및 제2스피커 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스피커 홀을 통과하여 상기 스피커와 상기 리어 케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스피커 스크류는 상기 제2스피커 홀을 통과하여 상기 스피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를 연결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제1홈부 및 제2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홈부는 상기 리어 케이스의 홀에 대응하는 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제2홈부는 상기 스피커의 제1스피커 홀에 대응하는 영역에 결합되는, 전자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일부분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가 놓이는 외부 바닥 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고정 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스피커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부의 외경은 상기 제2홈부의 외경보다 큰, 전자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서로 기구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체결 구조를 각각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는,
    상기 스피커에 대응하는 영역에 스피커 그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고무 소재로 형성된, 전자 장치.
KR1020180104836A 2018-09-03 2018-09-03 스피커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14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836A KR102514253B1 (ko) 2018-09-03 2018-09-03 스피커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19857988.0A EP3806484A4 (en) 2018-09-03 2019-08-28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OUNTING ELEMENT FOR ATTACHING A SPEAKER
PCT/KR2019/010990 WO2020050542A1 (ko) 2018-09-03 2019-08-28 스피커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7/263,966 US11395056B2 (en) 2018-09-03 2019-08-28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xing member for fixing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836A KR102514253B1 (ko) 2018-09-03 2018-09-03 스피커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630A true KR20200026630A (ko) 2020-03-11
KR102514253B1 KR102514253B1 (ko) 2023-03-28

Family

ID=69722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836A KR102514253B1 (ko) 2018-09-03 2018-09-03 스피커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95056B2 (ko)
EP (1) EP3806484A4 (ko)
KR (1) KR102514253B1 (ko)
WO (1) WO2020050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630640U (zh) * 2020-02-19 2020-10-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固定组件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4922A (ja) * 2013-02-05 2014-08-25 Sharp Corp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15186122A (ja) * 2014-03-25 2015-10-2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7660Y2 (ko) * 1972-06-15 1977-06-23
KR19990001618U (ko) 1997-06-20 1999-01-15 김영환 러버 풋
KR20000004269A (ko) 1998-06-30 2000-01-25 전주범 텔레비젼의 스피커 진동방지 장치
JP4764062B2 (ja) * 2005-04-28 2011-08-3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KR20090013908A (ko) * 2007-08-03 2009-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착 구조
US8831261B2 (en) * 2012-06-08 2014-09-09 Apple Inc. Speaker features of a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03677133A (zh) 2013-12-18 2014-03-26 无锡方圆环球显示技术股份有限公司 笔记本电脑灯管模组新型闭合方式
KR102090629B1 (ko) * 2014-01-13 2020-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160035851A (ko) * 2014-09-24 2016-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102399550B1 (ko) 2015-11-20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4922A (ja) * 2013-02-05 2014-08-25 Sharp Corp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15186122A (ja) * 2014-03-25 2015-10-2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95056B2 (en) 2022-07-19
EP3806484A4 (en) 2021-09-15
KR102514253B1 (ko) 2023-03-28
EP3806484A1 (en) 2021-04-14
WO2020050542A1 (ko) 2020-03-12
US20210314689A1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8526B2 (en) Electronic device
US2018010987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housing
KR102386825B1 (ko) 실링 부재를 구비한 음향 부품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80097237A (ko) 안테나방사체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9692862B2 (en) Camera devic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73082B1 (ko) 스피커 장치
KR20170025985A (ko)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KR102444053B1 (ko) 차폐 구조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9472888B2 (en) Conne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102448336B1 (ko) 방수 구조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113170264A (zh) 包括声学模块的电子装置
KR102433755B1 (ko) 감전 방지 기능을 가지는 방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5149A (ko)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50105143A (ko) 방수 전자 장치
KR102514253B1 (ko) 스피커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84503B1 (ko) 슬림형 전자 장치
KR20190118705A (ko) 리니어 진동 모터
KR102522375B1 (ko) 모듈 착탈식 전자 장치
KR20160047965A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20140348366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Involving Distributed Mode Loudspeakers
KR20230065493A (ko)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50043716A (ko)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