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985A -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985A
KR20170025985A KR1020150123178A KR20150123178A KR20170025985A KR 20170025985 A KR20170025985 A KR 20170025985A KR 1020150123178 A KR1020150123178 A KR 1020150123178A KR 20150123178 A KR20150123178 A KR 20150123178A KR 20170025985 A KR20170025985 A KR 20170025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window
electronic device
disposed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256B1 (ko
Inventor
문희철
백상인
손권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3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256B1/ko
Priority to US15/196,583 priority patent/US9948343B2/en
Priority to EP16177998.8A priority patent/EP3136693B1/en
Priority to CN201610727574.8A priority patent/CN106487969B/zh
Publication of KR20170025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95Mechanical mounting details of display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2001/3894Waterproofing of transmiss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disposed on or over)되고, 제 1 변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 1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바깥 부분에 대응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2 영역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부재의 제 1 높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폭 또는 상기 제 2 부재의 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ELECTRONIC DEVICE HAVING A WATERPROOF STRUCT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PDA, 넷북, 노트북,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 등의 각종 휴대용 단말기는 과학 및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점차 소형화, 다기능화되어 가능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중 스마트 폰을 예로 들면, 터치 윈도우의 활성화 영역(active area)은 점점 커지는 추세에 있는 반면, 터치 윈도우를 사면에서 감싸는 프레임의 폭, 즉 베젤 부분은 점점 축소되고 있고, 이와 동시에 스마트 폰의 두께 역시 줄이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베젤 부분의 크기를 줄이게 되면, 즉 베젤리스(bezel-less)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베젤 부분의 크기가 줄어든 만큼 화면 사이즈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고,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다.
전자 장치는 윈도우 측면 구조물과 윈도우 사이에서 침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전자 장치의 방수를 위해 윈도우와 그 측면 구조물 사이의 갭(gap) 또는 윈도우가 세트에 고정되는 면에 테이프(tape), 스폰지(sponge), 본딩(bonding) 등의 방법으로 침수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하지만, 본딩이 외관에 노출되어 외관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본딩을 하기 위해 전자 장치의 폭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베젤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서 수분 차단을 행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크기를 증가함이 없이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disposed on or over)되고, 제 1 변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 1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바깥 부분에 대응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2 영역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부재의 제 1 높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폭 또는 상기 제 2 부재의 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제 1 변 및 상기 제 1 변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제 2 변을 갖는 디스플레이; 상기 윈도우 상에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배치된 제 1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 상에 배치된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1 변의 외측에 배치된 제 1 개구 및 상기 제 2 변의 외측에 배치된 제 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상기 윈도우의 상부 좌우와 하부 좌우 영역에 배치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윈도우의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배면에서 수분 차단을 행하여 전자 장치의 크기의 증가를 방지하면서,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에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상세히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B" 부분을 상세히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제 1 방향, 즉 외부에 노출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window)(122)와, 상기 윈도우(122)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24)(도 2에 도시함)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와,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140)과, 메인 프레임(140) 하부에서 안테나 회로와 스피커가 결합되는 서브 프레임(160)과, 메인 프레임(140)과 서브 프레임(160) 사이에 수납 결합되는 배터리(182)와 PCB(184)등의 전기 구조물(180)과, 서브 프레임(160) 하부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40)에 결합되는 백 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40)과 서브 프레임(160)은 하우징(150)을 구성하며, 윈도우(122)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백 케이스(200)는 전자 장치(100)의 제 2 방향, 즉 배면에 투명 재질의 윈도우(window)와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배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형성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122)와, 윈도우(122)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24)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122)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용 커버이고, 디스플레이(124)는 그 화면 영역이 상기 윈도우(122)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122)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124)가 부착되지 않으며, 윈도우(122)의 배면에는 디스플레이(124)가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4)는 윈도우(122)의 배면 상에 배치(disposed on or over)되고, 제 1 변과 상기 제 1 변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윈도우(122)는 배면에 디스플레이(124)가 배치되는 제 1 영역(121)과 스피커, 카메라 등의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에 디스플레이(124)가 없는 제 2 영역(123)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22)의 제 2 영역(123)은 디스플레이(124)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영역 또는 디스플레이(124)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윈도우(122)와 디스플레이(124)의 크기가 비슷해짐으로써 베젤이 작아진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베젤이 작아짐에 따라 종래와 같이 디스플레이(124)의 전면을 덮는 윈도우(122)의 측면을 테이프, 스폰지, 본딩의 방법으로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윈도우(122) 측면에 "ㅁ"자 형태의 폐 곡선으로 이루어진 방수 테이프를 부착하여 방수를 구현하였지만, 베젤이 작아진 전자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124)의 측면 영역이 확장되어, "ㅁ"자 형태의 방수 테이프 중 좌/우측 영역이 삭제되므로, 삭제되는 해당 부분으로 침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베젤이 작은 구조에서 방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4) 배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방수 부재(300)를 수분 차단막으로 접착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방수 부재(300)는 테이프, 스폰지, 본딩 등을 이용하여 수분 차단막을 구현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 부재(300)는 디스플레이(124)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메인 프레임(140)과 서브 프레임(160)으로 구성되는 하우징(150)의 메인 프레임(140) 상부에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결합되면, 윈도우(122)의 제 2 영역(123)(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4)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영역 및/또는 하부 영역)과 제 1영역(121)(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4)의 상부 및/또는 하부 단부)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124)의 존재 유무에 따른 단차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단차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24) 배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방수 부재(300)를 수분 차단막으로 접착하는 것 만으로는,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디스플레이(124)의 바깥 부분, 즉 윈도우(122)의 제 2 영역(123)의 적어도 일 부분에 단차 보상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단차를 보상함으로써, 윈도우(122)의 제 1 영역(121)과 제 2영역(123)에 “ㅁ”자 형태의 방수 테이프를 부착하여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윈도우(122)의 제 1 영역(121)(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4)에 대응하는 부분)과 제 2 영역(123)(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4)의 바깥 부분)의 단차를 보상하기 위한 복수의 단차 보상 구조물(예를 들어, 410, 412, 414 또는 4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제 1 영역(121)과 제 2영역(123)의 단차를 보상하기 위한 복수의 단차 보상 구조물(410, 412, 414, 416)로 이루어진 단차 보상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 보상부재(400)는 PC 시트(sheet), 테이프(tape), 스폰지(sponge)를 포함할 수 있고, 윈도우(122)의 각각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과 디스플레이(124)의 상하부 단부사이의 좌우 모서리 부분에 제 1 내지 제 4의 단차 보상 구조물(410)(412)(414)(4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4) 배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방수 부재(300)를 수분 차단막으로 접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수분을 차단하기 위해, 제 1 부재로서의 단차 보상부재(400) 및 제 2 부재로서 방수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재로서 단차 보상부재(400)는 윈도우(122)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고, 제 2 부재로서 방수 부재(300)는 제 1 부재인 단차 보상부재(400)의 적어도 일부 및 디스플레이(124)의 적어도 일부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 보상부재(400)의 높이와 디스플레이(124)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단차 보상부재(400)와 방수 부재(300)의 폭은 디스플레이(124)의 제 1 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4)의 제 1 변의 길이는 윈도우(122)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 보상부재(400)는 윈도우(122)와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부착되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방수 부재(300)는 윈도우(122)의 실질적으로 모든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재로서의 단차 보상부재(400)는 아치형일 수 있고, 제 2 부재로서의 방수 부재(300)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치형의 단차 보상부재(400)는 윈도우(122)의 상부의 좌우에 위치하는 단차 보상 구조물(410, 412) 또는 하부의 좌우에 위치하는 단차 보상 구조물(414)(4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재로서의 단차 보상부재(400)는 제 1 폭을 가지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폭보다 넓은 제 2 폭을 가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부분은 제 1 부분보다 디스플레이(124)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 2 부분이 디스플레이(124)에 인접함에 따라, 즉 디스플레이(124)에 넓은 폭을 가지는 부분이 인접함에 따라, 수분 등을 더욱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재로서의 단차 보상부재(400)는 비접착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 2 부재로서의 방수 부재(300)는 접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 1 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부재(400)의 각각의 단차 보상 구조물(412)과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디스플레이(124) 사이에 충진재(420)(예를 들어, 본딩, 실리콘 또는 수지 등)를 개재하여 실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재(420)는 단차 보상 구조물(412)과 디스플레이(124)사이에 수분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122)와 단차 보상부재(400)의 사이에는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3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124)와 단차 보상부재(400)의 사이에도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4 부재(예: 충진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부재는 단차 보상부재(400)와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전자 장치의 본체(main set)에 접착되도록 본드 또는 레진 등과 일체로 형성되어, 단차 보상부재(400)와 디스플레이(124) 사이의 틈을 한번의 작업으로 막을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6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방수 부재(300)는 접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7은 그 중간 부분이 생략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장치(520)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디스플레이용 커버인 윈도우(522)와, 윈도우(522)의 배면에 배치되는 단차 보상부재(500)가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52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24)에 일체로 형성되는 단차 보상부재(500)는 도 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윈도우(522)의 각각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과 디스플레이(524)의 상하부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에 대응하도록 윈도우(522)의 각각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과 디스플레이(524)의 상하부 단부사이의 좌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단차 보상 구조물(510)(514)과, 우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단차 보상 구조물(512)(5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24)의 배면에는 FPCB(540)를 포함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FPCB(540)의 좌측 모서리 부분에 단차 보상 구조물(510)(514)과 우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단차 보상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장치(520)는, 디스플레이(524) 배면의 좌우측 상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는 단차 보상 구조물(510)(514)에 대해 테이프, 스폰지, 본딩 등을 이용하는 방수 부재(300)로서 접착함으로서 수분 차단막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C-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B" 부분을 확대하여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520)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520)는 다층구조의 측면 또는 다층구조와 윈도우(522)를 부착한 후의 측면을 레진, 코팅 등의 화학물질(530)을 사용하여 발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520)의 측면을 레진, 코팅 등의 화학물질(530)로 발수 처리함에 의해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524)의 배면의 전체에 대해 테이프, 스폰지, 본딩 등을 이용하는 방수 부재(300)만을 사용하여 접착하더라도 수분 차단막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disposed on or over)되고, 제 1 변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 1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바깥 부분에 대응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2 영역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부재의 높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폭 또는 상기 제 2 부재의 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변의 길이는 상기 윈도우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윈도우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윈도우의 둘레의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부재는 아치형이고, 상기 제 2 부재는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부재는 비접착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상기 윈도우 및 상기 제 1 부재 사이에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3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1 부재 사이에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4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부재는 제 1 폭을 갖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폭보다 넓은 제 2 폭을 갖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보다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20)는 윈도우에 단차 보상부재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720)는 윈도우(722)에 오목(dent)부(730)를 형성하되, 오목부(730)에 단차 보상부재(400)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오목부(730)에 매립되는 디스플레이(724)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724)가 오목부(730)에 매립됨에 따라 생성되는 오목부(730)와 디스플레이(724)의 경계부를 따라 방수부재(300)가 부착됨에 따라, 윈도우(722)의 오목부(730)에 디스플레이(724)가 들어가고, 윈도우(722) 또는 윈도우(722)와 디스플레이(724)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수분 차단막이 둘러싸는 구조가 구현되므로, 별도의 단차 보상부재를 사용함이 없이 수분 차단막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부재(1000)는 "ㅁ"자 형상으로, 그 상하 좌우 모서리에 일체로 형성된 단차 보상 구조물(1010, 1012, 1014, 10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b는, 단차 보상 부재(1000)를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단차 보상 구조물(1010, 1012, 1014, 1016)을 포함하는 단차 보상부재(1000)를 부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상하 영역의 좌우 모서리에서 윈도우(122)와 디스플레이(124)로 인해 단차가 발생되는 영역에 대한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c는 도10b의 "C"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상기 윈도우의 상부 좌우와 하부 좌우 영역에 배치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윈도우의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부재는 아치형이고, 상기 제 2 부재는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된 비접착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상기 윈도우 및 상기 제 1 부재 사이에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3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1 부재 사이에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4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부재는 제 1 폭을 갖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폭보다 넓은 제 2 폭을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보다 바깥쪽에 형성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방수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도시되지 않음)와, 윈도우에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는 제 1 변과 제 1 변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제 2 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윈도우 상에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배치된 제 1 부재(1110) 및 제 1 부재(1110) 상에 배치된 제 2 부재(1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재(1110)는 스피커나 마이크를 가지는 소자들이 위치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윈도우의 전체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제 1 부재(1110)는 디스플레이의 제 1 변의 외측에 배치된 제 1 개구(1110a) 및 디스플레이의 제 2 변의 외측에 배치된 제 2 개구(1110b)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부재(1120)는 방수 부재로서, 실질적으로 가장 외곽을 둘러싸는 구조의 제 2 부재(1120)에 의해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재(1110)는 단차 보상부재가 생략된 구조로서, 윈도우에 전반적으로 깔려 있는 차폐층, 방열판, FPCB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제 1 변 및 상기 제 1 변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제 2 변을 갖는 디스플레이; 상기 윈도우 상에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배치된 제 1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 상에 배치된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1 변의 외측에 배치된 제 1 개구 및 상기 제 2 변의 외측에 배치된 제 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부재는 차폐층, 방열판, FPCB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변의 길이는 상기 윈도우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윈도우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윈도우의 둘레의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 장치의 전면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와 달리,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자 장치의 전면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 케이스에 개재되어 전자 장치의 후면에 적용되거나 또는 백 케이스의 개제없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자 장치의 후면에 바로 적용될 수 있으며, 전면 또는 후면에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 모두는 메인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젤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수구조와 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자 장치의 본체에 결합되는 방식 및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배면에 수분 차단막 적용 구간을 적용하되, 전자 장치의 크기를 증가함이 없이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각 부재들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과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전자 장치 120 : 디스플레이 장치
122 : 윈도우 124 : 디스플레이
140 : 메인 프레임 160 : 서브 프레임
180 : 전기 구조물 182 : 배터리
184 : PCB 200 : 백 케이스
300 : 방수 부재 400, 500 : 단차 보상부재
410, 412, 414, 416 : 단차 보상 구조물 420 : 충진재
520, 620, 720, 1100 : 디스플레이 장치 522, 622, 722 : 윈도우
524, 624, 724 : 디스플레이 530 : 화학물질
730 : 오목부 1000 : 단차 보상부재
1010, 1012, 1014, 1016 : 단차 보상 구조물
1110 : 제 1 부재 1120 : 제 2 부재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disposed on or over)되고, 제 1 변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 1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바깥 부분에 대응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2 영역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부재의 높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폭 또는 상기 제 2 부재의 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의 길이는 상기 윈도우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윈도우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윈도우의 둘레의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아치형이고, 상기 제 2 부재는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비접착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및 상기 제 1 부재 사이에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3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1 부재 사이에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4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제 1 폭을 갖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폭보다 넓은 제 2 폭을 갖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보다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제 1 변 및 상기 제 1 변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제 2 변을 갖는 디스플레이;
    상기 윈도우 상에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배치된 제 1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 상에 배치된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1 변의 외측에 배치된 제 1 개구 및 상기 제 2 변의 외측에 배치된 제 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차폐층, 방열판, FPCB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의 길이는 상기 윈도우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윈도우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윈도우의 둘레의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상기 윈도우의 상부 좌우와 하부 좌우 영역에 배치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윈도우의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아치형이고, 상기 제 2 부재는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된 비접착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및 상기 제 1 부재 사이에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3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1 부재 사이에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4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제 1 폭을 갖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폭보다 넓은 제 2 폭을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보다 바깥쪽에 형성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50123178A 2015-08-31 2015-08-31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KR102506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78A KR102506256B1 (ko) 2015-08-31 2015-08-31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US15/196,583 US9948343B2 (en) 2015-08-31 2016-06-29 Electronic device having waterproof structure
EP16177998.8A EP3136693B1 (en) 2015-08-31 2016-07-05 Electronic device having waterproof structure
CN201610727574.8A CN106487969B (zh) 2015-08-31 2016-08-25 具有防水结构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78A KR102506256B1 (ko) 2015-08-31 2015-08-31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85A true KR20170025985A (ko) 2017-03-08
KR102506256B1 KR102506256B1 (ko) 2023-03-07

Family

ID=5636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178A KR102506256B1 (ko) 2015-08-31 2015-08-31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48343B2 (ko)
EP (1) EP3136693B1 (ko)
KR (1) KR102506256B1 (ko)
CN (1) CN10648796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410A (ko) * 2017-07-03 2019-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49745B1 (ko) * 2017-08-10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9225944A1 (ko) * 2018-05-24 2019-1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성 인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40209A (ko) * 2018-06-11 2019-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0726B (zh) * 2014-01-10 2016-04-20 深圳市宝尔爱迪科技有限公司 三防结构及使用该三防结构的手机
USD832230S1 (en) * 2014-12-31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84279S1 (en) * 2014-12-31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03806S1 (en) * 2015-07-15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97089S1 (en) * 2015-11-13 201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93984S1 (en) * 2015-11-13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13854S1 (en) * 2015-11-13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83586S1 (en) * 2016-04-14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782457S1 (en) * 2016-04-14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783567S1 (en) * 2016-04-14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KR102570830B1 (ko) * 2016-06-29 202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의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5847370U (zh) * 2016-07-18 2016-12-28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手机保护套
USD818462S1 (en) * 2016-12-09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17912S1 (en) 2016-12-09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1919803B1 (ko) * 2017-08-10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308940B1 (ko) * 2017-04-21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D854527S1 (en) * 2017-05-17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54526S1 (en) * 2017-05-17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54525S1 (en) * 2017-05-17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62406S1 (en) * 2017-05-17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55041S1 (en) * 2017-05-17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54524S1 (en) * 2017-05-17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72044S1 (en) * 2017-06-01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KR102420019B1 (ko) * 2017-08-07 202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
CN108322584B (zh) * 2018-01-24 2020-06-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KR102545479B1 (ko) * 2018-07-31 2023-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89832B1 (ko) * 2018-08-17 2023-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82316B1 (ko) * 2018-08-20 202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51690B1 (ko) * 2018-12-06 2023-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착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32789B1 (ko) * 2019-04-22 2024-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0439A1 (en) * 2004-12-27 2006-06-29 Takahiro Nakagawa Gasket member, diaphragm, flat panel speaker, method of mounting same flat panel speaker, and method of assembling electronic device
KR20080099854A (ko) * 2006-02-09 2008-11-13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보호패널을 부착한 전자기기
US20090257010A1 (en) * 2008-04-11 2009-10-15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40177154A1 (en) * 2012-12-20 2014-06-26 Pantech Co., Ltd. Portable terminal
KR101516766B1 (ko) * 2014-09-02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3833B2 (ja) * 2005-09-22 2010-06-16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保護部材、保護部材の製造方法
EP3836128B1 (en) * 2006-07-14 2024-05-01 Dexerials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and display apparatus
JP5888241B2 (ja) 2010-12-21 2016-03-16 日本電気株式会社 防水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端末
KR102117890B1 (ko) 2012-12-28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20140262847A1 (en) * 2013-03-15 2014-09-18 The Joy Factory, Inc. Case structur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4185391A (zh) 2013-05-24 2014-12-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JP6266263B2 (ja) * 2013-08-09 2018-01-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6219650B2 (ja) 2013-09-26 2017-10-2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9189026B2 (en) 2013-10-14 2015-11-17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Waterproof structure
CN104797110B (zh) * 2014-01-20 2017-08-25 富泰华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移动终端壳体
CN204131561U (zh) * 2014-07-08 2015-01-28 闻泰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防水手机及其防水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0439A1 (en) * 2004-12-27 2006-06-29 Takahiro Nakagawa Gasket member, diaphragm, flat panel speaker, method of mounting same flat panel speaker, and method of assembling electronic device
KR20080099854A (ko) * 2006-02-09 2008-11-13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보호패널을 부착한 전자기기
US20090257010A1 (en) * 2008-04-11 2009-10-15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40177154A1 (en) * 2012-12-20 2014-06-26 Pantech Co., Ltd. Portable terminal
KR101516766B1 (ko) * 2014-09-02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410A (ko) * 2017-07-03 2019-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26573A (ko) * 2017-07-03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04136A (ko) * 2017-07-03 2022-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008014A (ko) * 2017-07-03 2023-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672139B2 (en) 2017-07-03 2023-06-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1949745B1 (ko) * 2017-08-10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9225944A1 (ko) * 2018-05-24 2019-1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성 인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33963A (ko) * 2018-05-24 2019-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성 인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363733B2 (en) 2018-05-24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print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90140209A (ko) * 2018-06-11 2019-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63421A1 (en) 2017-03-02
EP3136693B1 (en) 2019-02-27
CN106487969A (zh) 2017-03-08
US9948343B2 (en) 2018-04-17
CN106487969B (zh) 2021-05-25
EP3136693A1 (en) 2017-03-01
KR102506256B1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5985A (ko)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US10134540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US11555657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heat collection/diffusion structure
KR20220119569A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14770B1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08940B1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20101B1 (ko) 케이블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EP3347791B1 (en) Flexible display window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70112790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11224B2 (en) Display device with anti-reflection lay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US10109946B2 (en) Sealed circuit board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102433755B1 (ko) 감전 방지 기능을 가지는 방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80291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59214A (ko) 차폐 구조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160105227A (ko) 관통 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57954A (ko) 쉴드캔 구조
KR102474082B1 (ko) 음향 실링 구조를 가지는 웨어러블 장치
KR20180042650A (ko)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524831B1 (ko)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94574B1 (ko) Rf 케이블 연결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KR20180035339A (ko) 방수 구조를 구비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