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965A -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965A
KR20160047965A KR1020150026784A KR20150026784A KR20160047965A KR 20160047965 A KR20160047965 A KR 20160047965A KR 1020150026784 A KR1020150026784 A KR 1020150026784A KR 20150026784 A KR20150026784 A KR 20150026784A KR 20160047965 A KR20160047965 A KR 20160047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amera module
window
angle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701B1 (ko
Inventor
박수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683,629 priority Critical patent/US9692862B2/en
Publication of KR2016004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1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06Viewfinders with lenses with or without reflectors
    • G03B13/08Viewfinders with lenses with or without reflectors with reflected image of fram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6Viewfinders combined with focus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04N5/225
    • H04N5/22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렌즈 어셈블리를 실장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일면에 제공되며, 카메라 모듈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고,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는 투영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윈도우를 포함하고, 투영부는 카메라 모듈의 화각에 대응되는 크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CAMER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 / 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전자 장치 하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목적의 전자 장치 중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나 전자 지갑 등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의 전자 장치에는 다양한 모듈이 실장되는데,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촬상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이하 '카메라 모듈'또는 '카메라 장치'라고 함.)가 상용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웨어러블 기기라고 하는 전자 장치에도 카메라 장치가 실장되고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하거나 소형화된 전자 장치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등에 실장되는 카메라 장치는 전자 장치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전자 장치의 표면에서 오픈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카메라 장치가 전자 장치의 표면에 노출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전자 장치의 내측에 실장된 카메라 장치를 보호하면서 카메라 장치로 상이 맺힐 수 있도록 전자 장치의 오픈된 개구 측으로 투명한 윈도우 창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가 전자 장치에 실장될 때, 카메라 장치는 전자 장치의 표면과 동일 방향을 가지도록 구비될 것이다. 즉, 전자 장치의 표면과 윈도우, 카메라 장치는 카메라 장치로 상이 유입되는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될 것이다.
그러나, 최근 전자 장치는 그 표면이 곡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는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같이 신체 착용을 위해 소형화된 전자 장치의 경우, 신체 착용을 위해 인체 공학적으로 디자인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표면 및 윈도우와 카메라 장치가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고 실장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은 카메라 장치가 전자 장치와 소정 각도를 가지며 실장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카메라 장치가 전자 장치와 소정 각도를 가지는 경우 화각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카메라 장치가 전자 장치와 소정 각도를 가지는 경우 투영부를 통해 유입되는 잡광에 따른 내면 반사된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 예를 들어 와치타입 웨어러블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10)에 제공되는 카메라 장치(11)를 보면, 전자 장치(10)의 경사진 표면을 통해 이미지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카메라 장치(11)가 실장될 수 있다.
앞서서 언급하였듯이, 카메라 장치(11)는 전자 장치(10)의 표면에서 소정각도를 가지게 전자 장치(10)의 내측면에 실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의 표면으로 카메라 장치(10)의 일면에는 카메라 장치(11)를 보호하며 카메라 장치(11)로 상이 맺힐 수 있도록 카메라 윈도우(12)가 전자 장치(10)의 표면에 실장될 수 있다.
카메라 윈도우(12)는 전자 장치(10)의 표면과 동일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의 내부에 실장된 카메라 장치(11)는 카메라 윈도우(12)의 표면과 서로 평행하지 못하고, 소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의 카메라 윈도우(12)에는 카메라 장치(11)의 렌즈로 상이 유입될 수 있도록 소정 형상, 예를 들어 원형 또는 네모진 형상의 투영부(12a)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1)와 카메라 윈도우(12)는 서로 경사지게 구비됨에 따라 카메라 장치와 카메라 위치에 따라 이들의 거리가 달라지고, 화각(angle of view: AOV)이 달라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장치(11)의 화각을 위치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즉, 각각 A위치, B위치, C위치라고 한다면, A위치는 카메라 장치(11)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C는 상대적으로 A에 비해 가장 먼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1)와 카메라 윈도우(12)의 실장 각도가 발생됨에 따라 카메라 장치(11)의 화각 형상은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11)의 해상도가 1280 X 1080인 경우 정면에서 보았을 때 16 : 9 비율의 사각뿔 형상으로 화각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투명창(12a)은 이러한 카메라 장치(11)의 실장 각도에 따라 발생되는 화각을 고려하지 않고 직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윈도우(12)에 형성된 투명창(12a)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즉 C위치를 기준으로 직사각형을 형성하면, A위치에서는 실제 화각 대비 투명창(12a)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카메라 장치(12)의 화각 밖에 위치한 광원으로부터 카메라 장치(11)의 렌즈로 잡광이 유입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와 카메라 윈도우가 소정 각도로 위치되는 경우, 윈도우 창은 카메라 장치의 화각보다 큰 위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 창이 화각보다 크게 형성되는 부분에서 카메라 장치의 렌즈로 잡광이 유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면 반사 등과 같은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장치가 카메라 윈도우와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구비되는 경우, 카메라 윈도우에 형성된 윈도우 창의 형상을 카메라 장치의 카메라 화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카메라 장치가 카메라 윈도우와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구비되는 경우, 카메라 장치의 렌즈로 잡광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렌즈 어셈블리를 실장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일면에 제공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는 투영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투영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각에 대응되는 크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렌즈 어셈블리를 실장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일면에 제공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각에 대응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는 투영부와, 상기 투영부의 주변부를 차폐하는 베젤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윈도우; 및 상기 투영부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윈도우와 상기 카메라 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차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 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부 내측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경사부 표면에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커버하는 카메라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윈도우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각에 대응되는 투명한 투영부와, 상기 투영부의 주변둘레로 불투명한 베젤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일측 방향에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카메라 윈도우; 상기 카메라 윈도우에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각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투영부; 상기 카메라 윈도우와 상기 카메라 모듈 사이에 실장되는 차폐부재(shielding portion); 및 상기 차폐부재에 구비되며, 일면은 상기 투영부에 대응되고, 타면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개구에 대응되어 화각 형상으로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는 본체부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에는 상기 카메라 윈도우가 장착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카메라 윈도우의 윈도우 창을 카메라 장치의 화각에 맞게 형성함으로써, 카메라 장치의 렌즈로 잡광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창의 형상을 카메라 렌즈의 화각에 대응된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카메라 장치의 이미지 상에 내면 반사와 같은 플레어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는 화각 형상, 구체적으로 사각뿔 형상의 중공부를 형성한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카메라 모듈로 인입되는 촬상 이미지 이외의 잡광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카메라 장치가 전자 장치와 소정 각도를 가지며 실장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카메라 장치가 전자 장치와 소정 각도를 가지는 경우 화각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카메라 장치가 전자 장치와 소정 각도를 가지는 경우 투영부를 통해 유입되는 잡광에 따른 내면 반사된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카메라 윈도우와 카메라 모듈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투영부를 형상화할 수 있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차폐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카메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의 분리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가 구비된 전자 장치는 앞서 살펴보았던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장치, 게임기, TV,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으며,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 예는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카메라 장치의 적층 상태나, 형태 등은 물론 전자 장치의 적층 상태 구조, 형상 등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 윈도우(120) 및 카메라 모듈(110)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와치타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를 신체와 연결하는 밴드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220)는 본체부(210)와 밴드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카메라 모듈(110)은 경사부(220)의 내측으로 실장될 수 있다.
본체부(21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11)가 구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11)의 주변부로 입력 버튼이나 전원 버튼, 스피커, 마이크 장치 및 카메라 장치(100) 등과 같은 다양한 주변부 모듈들이 실장 될 수 있다.
경사부(220)는 밴드부의 꺽임이나 신체 착용 시 편의성을 위해 본체부(210)에서 신체 방향으로 밴딩되어 본체부(210)에 대비하여 소정 곡률로 형성되거나 또는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220)에는 본체부(210) 내부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110)로 이미지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카메라 윈도우(120)가 실장되는 개구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카메라 윈도우(120) 및 카메라 모듈(110)은 경사부(220)를 통해 이미지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본체부(210)의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에 제공된 렌즈 모듈은 카메라 윈도우(120)와 소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와치타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며, 카메라 모듈(110)이 전자 장치의 곡률이 있는 표면이나, 경사진 표면을 가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성이라면 전자 장치(200)는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110)과, 카메라 윈도우(120) 및 차폐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은 렌즈 어셈블리(미도시), 렌즈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하우징(미도시), 데코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렌즈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 적층되는 렌즈모듈과, 이미지 모듈과, 연성회로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모듈의 자동 초점이나 이미지 보정을 위한 구동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상기의 렌즈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구성이며, 도시되진 않았으나 전자 장치(200)의 본체부(210)의 내측에 구비된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실장될 수 있다. 하우징은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코부는 카메라 윈도우(120)의 외측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본체부(210)와 카메라 윈도우(120)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디자인을 고급스럽게 구현할 수 있다.
카메라 윈도우(120)는 본체부(210)에 구비된 경사부(220)의 개구부(221)를 커버하도록 실장되어 경사부(220)의 표면과 동일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 윈도우(120)는 개구부(221)에 실장됨에 따라 개구부(221) 내측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110)의 일면을 커버한다. 카메라 윈도우(120)는 경사부(220)와 동일 표면을 형성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110)과 소정 각도로 형성되게 기울어질 수 있다. 카메라 윈도우(120)는 투영부(121)와 베젤부(122)로 구획될 수 있다.
투영부(121)는 외부의 이미지를 경사부(220) 내부에 실장된 카메라 모듈(110)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카메라 윈도우(120)에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윈도우(120)와 카메라 모듈(110)은 경사지게 구비됨에 따라 카메라 윈도우(120)와 카메라 모듈(110) 사이에 소정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과 카메라 윈도우(120)가 소정 각도로 형성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110)로의 화각(View of Angle)에 대응될 수 있도록 투영부(121)는 기울어진 카메라 모듈(110)의 화각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영부(121)는 렌즈 어셈블리와 카메라 윈도우(120) 사이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직사각형, 원형 또는 사다리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윈도우(120)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며, 카메라 모듈(11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경우, 투영부(121)는 도 5를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윈도우(120)가 카메라 모듈(110)과 경사지게 구비됨에 따라 투영부(121)가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윈도우(120)가 카메라 모듈(110)의 일면에 볼록하면서 경사지게 구비되거나 또는 오목하면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투영부(121)의 형상은 카메라 모듈(110)에서 볼록 또는 오목하면서 경사진 카메라 윈도우(120)의 실장 형태에 대응되어 발생되는 카메라 모듈(110)의 화각에 맞게 둘레면이 곡면 형상을 가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투영부(121)는 카메라 모듈(110)과 카메라 윈도우(120) 사이의 거리, 형상, 구조 등에 따라 마름모, 직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형상뿐만 아니라 이들의 주변둘레가 직선이 아닌 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카메라 모듈(110)의 화각 형상에 대응되어 얼마든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베젤부(122)는 투영부(121)의 주변둘레로 불투명하게 카메라 윈도우(120)에 구비될 수 있다. 베젤부(122)는 카메라 모듈(110) 이외의 실장 공간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베젤부(122)는 카메라 윈도우(120)의 내측면으로 검정색 또는 메탈 색상 또는 디자인 따라 소정의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젤부(122)는 인쇄, 스프레이, 코팅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카메라 윈도우와 카메라 모듈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투영부를 형상화할 수 있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20)와 카메라 모듈(110)이 경사지게 구비되어 투영부(121)가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과 카메라 윈도우(120) 사이의 길이 및 카메라 모듈(110)의 화각을 알면, 투영부(121)의 상면의 길이(A)와 투영부(120)의 하면의 길이(B)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듈(110)의 초점에서 화각의 크기는 '2α'이며, 화각 범위 중 상측의 카메라 윈도우(120)까지의 거리를 'a' 로 계산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110)의 초점에서 화각 범위 중 하측의 카메라 윈도우(120)까지의 거리를 'b'로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사다리꼴의 투영부(121)의 상측변 길이 A는'A= 2a tan α'로 계산할 수 있으며, 투영부(121)의 하측변 길이 B는 'B=2b tan α'로 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110)의 화각의 크기, 및 카메라 윈도우(120)의 경사짐에 따른 카메라 모듈(110)의 초점에서 상측 및 하측까지의 거리를 통해 투영부(121)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차폐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폐부재(130)는 카메라 윈도우(120)와 카메라 모듈(1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재(130)는 카메라 모듈(110)로 이미지를 가이드 할 수 있으며, 카메라 윈도우(120), 구체적으로 투영부(121)와 카메라 모듈(110)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실장됨에 따라 이들 사이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재(130)는 투영부(121) 형상, 구체적으로 화각 형상의 중공(131)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부가 하부(도 5 및 도 6의 도면을 기준으로 함.)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재(130)가 투영부(121)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110)과 투영부(121) 사이의 공간에 의한 잡광 유입이나 광 반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차폐부재(130)는 카메라 모듈(110)과 투영부(121) 사이의 공간에 의한 잡광 유입 또는 광의 반사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부재나 폴리카보네이트 부재와 같은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130)는 그 중공(131)을 통해 카메라 모듈(110)의 화각에 맞게 외부 이미지를 카메라 모듈(11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잡광이 유입되는 경우 이의 반사를 방지하고 흡수될 수 있도록 블랙과 같은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카메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20)는 카메라 모듈(110)의 일면, 구체적으로 전면으로 카메라 모듈(110)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윈도우(120)에 형성되는 투영부(121)는 카메라 모듈(110)의 화각에 대응되는 형상, 구체적으로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투영부(121)와 카메라 모듈(110) 사이로 차폐부재(130)가 실장될 수 있다. 투영부(121)는 카메라 윈도우(121)와 카메라 모듈(110) 사이의 경사에 따라 사다리꼴로 형성되므로, 투영부(121)는 카메라 모듈(110)의 화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투영부(121)를 통해 잡광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 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10)과 카메라 윈도우(120)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곡면지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선명하고, 잡광이 유입되지 않는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차폐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130)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130)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100)의 분리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130)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100)의 결합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는 앞서 언급한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나, 차폐부재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에, 앞서 설명한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와 동일한 구성 및 구조 등은 앞선 설명을 준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구성에서 필요한 부분을 간략하게 설명하며, 차이점이 있는 구성이나 구조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는 앞선 실시 예와 같이,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 윈도우(120) 및 카메라 모듈(110)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220)는 본체부(210)와 밴드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카메라 모듈(110)은 경사부(220)의 내측으로 실장될 수 있다(도 4, 도 5 및 후술하는 도 12 함께 참조).
경사부(220)는 카메라 모듈(110)의 전면에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220)에는 개구부(2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221)에는 카메라 윈도우(120)가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는 앞선 실시 예에서와 같이, 카메라 모듈(110)과, 카메라 윈도우(120) 및 차폐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은 렌즈 어셈블리(112), 렌즈 어셈블리(112)를 수용하는 하우징(113), 데코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112)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 적층되는 렌즈 모듈과, 이미지 모듈과, 연성회로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모듈의 자동 초점이나 이미지 보정을 위한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3)은 상기의 렌즈 어셈블리(112)를 수용하며, 그 전면으로 렌즈 어셈블리(111), 구체적으로 렌즈 어셈블리(112)를 통해 촬상 이미지가 이미지 센서로 유입될 수 있도록 렌즈 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윈도우(120)는 개구부(221)를 커버하도록 실장되어 경사부(220)의 표면과 동일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 윈도우(120)는 투영부(121)와 베젤부(122)로 구획될 수 있다.
앞선 실시 예에서와 같이, 투영부(121)는 외부의 이미지를 카메라 모듈(110)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투영부(121)는 카메라 모듈(110)의 전면에서 경사부(220)의 기울어짐에 따라 이미지를 렌즈 어셈블리로 유입 시 화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화각 영역 이외의 주변부로부터 유입되는 잡광을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영부(121)는 상단면이 하단면에 비해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앞서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10)이 1280 x 1080의 해상도를 구비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110), 구체적으로 렌즈 어셈블리의 정면에서 볼 때, 화각 형상은16:9의 사각 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투영부(121)는 상기 화각 형상에 대응될 수 있게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젤부(122)는 사다리꼴 형상의 투명한 투영부(121)의 주변둘레로 불투명하게 카메라 윈도우(120)에 구비될 수 있다. 베젤부(122)는 투영부(121) 이외에는 이미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광의 유입이나 이미지의 유입을 차폐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130)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100)의 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130)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130)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130)는 카메라 윈도우(120)와 카메라 모듈(1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130)는 몸체부(135, body portion)와, 돌출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선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130), 즉 몸체부(135)와 돌출부(136)는 실리콘 부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부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35)는 카메라 모듈(110)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135)는 내측으로 카메라 모듈(110)을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으로 렌즈 개구(111)에 대응되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6)는 몸체부(135)의 전면에서 돌출 연장되며, 내측으로 중공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는 카메라 모듈(110)의 하우징(113) 전면과 경사부(2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그 길이를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돌출부(136)는 몸체부(135)의 전면에서 사각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되, 돌출부(136)의 상면이 돌출부(136)의 하면보다 짧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36)의 상면과 하면의 양측면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중공부(131)도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측면의 길이가 길어지게 구비될 것이다.
돌출부(136)의 전면부는 투영부(121) 후면의 주변 둘레에 밀착되게 구비되며, 투영부(121)의 내측면에서 몸체부(135) 사이를 차폐하여 촬상 이미지 이외의 잡광이 카메라 모듈(1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6)는 카메라 모듈(110)과 경사부(2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몸체부(135)와 카메라 윈도우(120) 사이에서 돌출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와 같이, 돌출부(136)는 상면과 하면의 길이를 서로 달리하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듈(1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카메라 모듈(110)의 전면과 카메라 윈도우(120) 사이의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돌출부(136) 하면(136b)의 돌출길이는 돌출부(136) 상면(136a)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136)의 양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31)는 상기 돌출부(136)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투영부(121), 구체적으로 투영부(121)의 후면과 상기 렌즈 개구(111) 사이에서 위치될 수 있다. 중공부(131)의 전면은 투영부(121)의 주변부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중공부(131)의 후면은 렌즈 개구(111)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중공부(131)는 전면의 투영부(121) 크기와 후면의 렌즈 개구(111)의 크기 사이에서 화각 형상으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각 형상은 사각 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중공부(131)는 투영부(121)에서 렌즈 개구(111)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31)는 돌출부(136) 내측에 형성되는 화각 형상을 가지는 관통 홀로서, 돌출부(136)와 같이, 카메라 모듈(110)과 경사부(2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투영부(121)와 렌즈 개구(111) 사이에서 돌출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와 같이, 카메라 모듈(1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카메라 모듈(110)의 전면과 카메라 윈도우(120) 사이의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돌출부(136)는 상면과 하면의 길이를 서로 달리하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공부(131)는 그 상부 내측면(131a)의 돌출길이와 하부 내측면(131b)의 돌출길이를 달리함은 물론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사각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130)는 몸체부(135)와 돌출부(136)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차폐부재(130)는 하우징(113)의 전면으로 중공부(131)를 구비한 돌출부(136)만 형성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얼마든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카메라 장치 110: 카메라 모듈
120: 카메라 윈도우 121: 투영부
122: 베젤부 200: 전자 장치
210: 본체부 220: 경사부

Claims (18)

  1.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렌즈 어셈블리를 실장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일면에 제공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는 투영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투영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각에 대응되는 크기를 구비하는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부는 원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카메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윈도우와 상기 카메라 모듈 사이에는 화각 형상을 가지며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 모듈로 관통시키는 차폐부재가 더 포함되는 카메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실리콘 부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부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장치.
  5.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렌즈 어셈블리를 실장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일면에 제공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각에 대응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는 투영부와, 상기 투영부의 주변부를 차폐하는 베젤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윈도우; 및
    상기 투영부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윈도우와 상기 카메라 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6.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부 내측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경사부 표면에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커버하는 카메라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윈도우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각에 대응되는 투명한 투영부와, 상기 투영부의 주변둘레로 불투명한 베젤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부는 원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윈도우와 상기 카메라 모듈 사이에는 화각 형상의 중공을 가지며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 모듈로 관통시키는 차폐부재가 더 포함되는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실리콘 부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부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10.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일측 방향에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카메라 윈도우;
    상기 카메라 윈도우에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각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투영부;
    상기 카메라 윈도우와 상기 카메라 모듈 사이에 실장되는 차폐부재(shielding portion); 및
    상기 차폐부재에 구비되며, 일면은 상기 투영부에 대응되고, 타면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개구에 대응되어 화각 형상으로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감싸는 몸체부(body portion); 및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돌출 연장되고, 상기 카메라 윈도우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중공부를 구비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투영부 후면의 주변 둘레에 밀착되며,
    상기 돌출부 하면의 돌출길이는 상기 돌출부 상면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윈도우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게 구비되는 카메라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투영부와 상기 렌즈 개구 사이에서 위치되고,
    상기 중공부 하부의 내측면 돌출길이는 상기 중공부 상부의 내측면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카메라 윈도우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게 구비되며,
    상기 중공부의 전면은 상기 투영부의 크기에 대응되며, 상기 중공부의 후면은 상기 렌즈 개구의 크기에 대응되는 카메라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실리콘 부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부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장치.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는 본체부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에는 상기 카메라 윈도우가 장착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0150026784A 2014-10-23 2015-02-25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332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83,629 US9692862B2 (en) 2014-10-23 2015-04-10 Camera devic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4175 2014-10-23
KR1020140144175 2014-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965A true KR20160047965A (ko) 2016-05-03
KR102332701B1 KR102332701B1 (ko) 2021-12-01

Family

ID=5602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784A KR102332701B1 (ko) 2014-10-23 2015-02-25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7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530A1 (ko) * 2020-06-12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부 보임 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3250A (ja) * 2012-03-28 2013-10-07 Denso Corp 車載カメラ
JP2013255064A (ja) * 2012-06-06 2013-12-19 Denso Corp 写り込み低減車載カメラシステム
US20140226062A1 (en) * 2013-02-11 2014-08-14 Matthew B. Parrill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3250A (ja) * 2012-03-28 2013-10-07 Denso Corp 車載カメラ
JP2013255064A (ja) * 2012-06-06 2013-12-19 Denso Corp 写り込み低減車載カメラシステム
US20140226062A1 (en) * 2013-02-11 2014-08-14 Matthew B. Parrill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530A1 (ko) * 2020-06-12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부 보임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701B1 (ko)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2862B2 (en) Camera devic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50142386A (ko)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308940B1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02894B1 (ko) 평면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19569A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609099B2 (en) Mobile terminal
US11245820B2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2620508B1 (ko) 가요성 기판과 도전층 사이에 응력 완화 층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25985A (ko)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US10911848B2 (en) Sound component with seal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102444053B1 (ko) 차폐 구조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448336B1 (ko) 방수 구조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0728371B2 (en) Mobile terminal
KR20210015149A (ko)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29498A (ko) 보호 커버
KR102426365B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139241B1 (en) Mobile terminal
US2021006596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tilizing same as magnetic body
US2023033360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xing member
KR20160081450A (ko) 하우징 결합 구조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US11529789B2 (en) Mobile terminal
KR20160047965A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20220137666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housing structure
US10237988B2 (en) Electronic device
KR20190100744A (ko) 쉴드 캔 구조를 구비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