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504A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504A
KR20200025504A KR1020180102945A KR20180102945A KR20200025504A KR 20200025504 A KR20200025504 A KR 20200025504A KR 1020180102945 A KR1020180102945 A KR 1020180102945A KR 20180102945 A KR20180102945 A KR 20180102945A KR 20200025504 A KR20200025504 A KR 20200025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shoe
foot
foot support
i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694B1 (ko
Inventor
정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Priority to KR1020180102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694B1/ko
Priority to JP2019015784A priority patent/JP6770113B2/ja
Priority to US17/272,612 priority patent/US20210267312A1/en
Priority to PCT/KR2019/011209 priority patent/WO2020046071A1/ko
Publication of KR2020002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specially adapted for sweaty feet; wat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bottom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신발은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발 삽입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연장되어 있는 공기 통로부, 그리고 상기 공기 통로부의 폭 방향으로 위치하는 발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SHO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내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습기를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통기성을 개선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이족 보행을 하면서 발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신발은 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소재가 개발되면서 오늘날에는 가정용, 보행용, 산악용, 신체 교정용, 특수 운동용 등 다양한 활동에 적합하도록 여러 가지 신발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신발은 이를 착용하는 사람의 발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의 편의성을 추구하도록 만들어진다.
이 때, 신발 내에 삽입되는 발은 사람의 전체 땀 구멍의 약 20%를 차지하는 50만개 정도의 땀샘 분포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마를 제외하고 땀을 가장 많이 분비하는 부위이다.
이에 따라,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평소 때보다 약 12 배까지 많은 땀을 분비하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고 착용의 편의성을 추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통기성을 확보하지 않으면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로 인해 신발에 땀이 차고 발 냄새도 발생하게 된다. 결국 신발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땀을 효과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표면이 노출되는 외피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에어홀을 형성함으로써, 깔창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20-0192510호(공기배출신발),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35118호(공기호스가 설치된 신발 깔창) 및 등록특허공보 제10-0470751호(외부와의 공기순환이 가능한 신발)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신발 바닥이나 신발의 측면을 통해서 통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면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에는 신발 내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장화와 같이 방수 기능이 요구되는 신발에 매우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발등과 발목 부분을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내피와 외피에 각각 통공이 형성된 이중 구조의 신발을 제시한 바가 있다. 이는 등록특허공보 제10-1737910호(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와 등록특허공보 제10-1711881호(설포 통기성 신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2645호(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을 통해 공개되었으며,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767884호(통기성 장화 제조방법)에서는 이러한 신발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 바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92510호(2000.08.16)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35118호(20001.10.05) 등록특허공보 제10-0470751호(2005.03.08) 등록특허공보 제10-1737910호(2017.05.19) 등록특허공보 제10-1711881호(2017.03.13)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2645호(2017.11.06) 등록특허공보 제10-1767884호(2017.08.23)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신발의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신발의 굽힘 현상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신발은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발 삽입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연장되어 있는 공기 통로부, 그리고 상기 공기 통로부의 폭 방향으로 위치하는 발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신발은 상기 공기 통로부와 상기 발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 지지부는 복수 개일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발 지지부는 상기 공기 통로부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발 지지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 지지부는 바 형상이나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 지지부는 상기 공기 통로부의 폭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 지지부는 상기 공기 통로부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 지지부는 바나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공기 통로부의 폭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 발 지지부와 상기 공기 통로부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돌기 형태를 갖는 제2 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 지지부와 상기 제2 발 지지부는 서로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신발은 상기 발 삽입 공간 내에 위치하는 안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창은 복수 개의 수분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수분 배출부는 각각 상기 안창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안창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안창은 상기 안창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바닥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발바닥이 위치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창과 대면하는 상기 바닥부의 상부면은 요부와 철부를 구비한 요철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요부는 상기 수분 배출부와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상기 공기 통로부 및 상기 발 지지부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와 인접한 상기 발 지지부의 부분은 섬유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신발 내측에 공기 통로가 위치하므로, 신발 내에서 발생하는 땀, 열 또는 냄새 등의 배출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발 건강이 향상되며, 신발의 착용감이 뛰어나다.
또한, 공기 통로가 형성된 공기 통로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발 지지부에 의해 신발에 발이 삽입되는 발 삽입 공간이 한정되므로, 신발의 전방 가운데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공기 통로부에 발 삽입 공간의 증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신발 착용 시 신발이 헐거워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신발의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공기 통로부는 신발의 몸체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공기 통로부로 인한 신발의 굽힘 동작이 방해받지 않고 사용자의 발 동작에 따라 용이하고 부드럽게 신발의 굽힘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신발의 편리성이 향상되며 신발의 무게 감소로 인해 신발의 착용감 또한 좋아진다.
이에 더하여, 신발 내에서 발생하는 땀을 바닥부 쪽으로 배출하거나 땀을 수집하는 깔창이 구비되므로, 신발의 착용감과 위생성이 좋아져 발 건강 역시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한 신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Ⅳ-Ⅳ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한 예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1의 Ⅲ-Ⅲ 선과 동일한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각각 도 6에 도시한 안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다른 예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1의 Ⅲ-Ⅲ 선과 동일한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또 다른 예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1의 Ⅲ-Ⅲ 선과 동일한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각각 도 9에 도시한 신발의 바닥부에 대한 다양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또 다른 예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1의 Ⅲ-Ⅲ 선과 동일한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단면도로서, 도 1의 Ⅲ-Ⅲ 선과 동일한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3는 도 12에 도시한 신발의 한 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신발의 다른 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단면도로서, 도 1의 Ⅲ-Ⅲ 선과 동일한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단면도로서, 도 1의 Ⅲ-Ⅲ 선과 동일한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을 참고로 하여,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1)은 몸체(10), 몸체(10)의 전방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공기 통로부(20) 및 공기 통로부(20)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를 구비한다.
몸체(10)는 사용자(200)의 발이 삽입되어 사용자(200)의 발에 착용되는 부분으로서, 바닥부(110), 바닥부(110)와 연결되어 있는 발등부(120) 및 발등부(120)와 연결되어 있는 발목부(130)를 구비한다.
바닥부(110)는 사용자(200)의 발바닥이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신발 착용시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한다.
발등부(120)는 사용자(200)의 발등을 감싸는 부분으로서, 바닥부(110)와 발등부(120)로 에워싸여져 있는 공간 내에 사용자(200)의 발이 삽입되어 신발 착용이 이루어진다.
발목부(130)는 발등부(120)의 단부와 끊김없이 연결되어 사용자(200)의 몸통 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발목부(130)의 돌출 길이에 따라 사용자의 발목뿐만 아니라 다리 일부도 본 예의 신발(1) 속에 착용된다.
이때, 발목부(130)가 생략되거나 발목부(130)의 돌출 길이는 조정될 수 있고, 이러한 발목부(130)의 생략이나 돌출 길이의 조정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신발이 제조된다.
공기 통로부(20)는 발등부(120)와 발목부(130)의 전방 가운데 부분에 정해진 폭(W20)을 갖고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볼록한 부분이다.
이러한 공기 통로부(20)는 몸체(10)의 발등부(120)에서 발목부(130) 쪽을 따라 일직선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때, 공기 통로부(20)는 바닥부(110)와 발등부(120)의 연결 부분에 위치하여 발가락이 주로 위치하는 신발(1)의 앞코 부분(121)의 위쪽 부부, 즉 발등의 시작 부분과 대응하고 있는 발등부(120)의 부분(즉, 발등 시작 부분)(122)에서부터 발목부(130)의 단부까지 끊김없이 동일한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뻗어 있다. 본 예에서, 앞코 부분(121)은 발등부(120)의 일부를 이룬다.
이때, 공기 통로부(20)의 폭(W20)은 높이에 무관하게 동일할 수 있으며, 신발(1)을 착용한 사용자(200)의 불편함과 미관을 해치지 않고 신발(1) 내에서 발생된 열이나 땀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정도의 크기면 좋다. 예를 들어, 공기 통로부(20)의 폭(W20)은 0.5㎝ 내지 2㎝일 수 있다.
공기 통로부(20)의 돌출 높이(H20)는 동일한 높이에서 폭 방향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공기 통로부(20)의 내부면과 외부면의 평면 형상이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각진 형상이 아닌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동일한 높이에서 공기 통로부(20)는 가운데 부분의 돌출 높이(H20)가 가장자리 부분의 돌출 높이(H20)보다 클 수 있다.
본 예에서, 돌출 높이(H20)는 발등 시작 부분(122)에서 발목부(130) 쪽으로 연장되며 인접한 공기 통로부(20)의 내부면과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게 연장되는 가상의 선(L1)에서 공기 통로부(20)의 내부면까지의 최단 거리이고, 공기 통로부(20)의 폭(W20)은 폭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서 대면하고 있는 공기 통로부(20)의 내부면의 양 측면 사이의 최단 거리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공기 통로부(20)는 몸체(10)의 전방 가운데 부분에서 정해진 폭(W20)을 갖고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사용자(200)의 몸통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몸체(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몸체(10)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는 신발(1) 속에 삽입되어 있는 사용자(20)의 발과 다리 부분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공기 통로부(20)의 내부면 양 측면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공기 통로부(20)의 연장 방향(즉, 폭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서, 발등부(120)에서 발목부(130) 쪽으로의 방향) 따라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발 지지부(30)는 바(bar) 형상이나 밴드(band) 형상과 같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지만, 위치하는 위치에 따라 발 지지부(30)의 형상과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할 수 있다. 위치에 따라 형상과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경우, 발 지지부(30)의 형상과 크기는 발 지지부(30)의 접하는 사용자의 신체 형상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발 지지부(30)의 일측면은 공기 통로부(20)의 내부면 일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발 지지부(30)의 타측면은 공기 통로부(20)의 내부면 타측면과 연결되어 있어, 각 발 지지부(30)는 공기 통로부(20)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한다.
이때, 인접한 두 발 지지부(30)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는 공기 통로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인접한 두 발 지지부(30)의 이격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는 공기 통로부(20)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일정하게 위치하는 대신, 정해진 특정 위치에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과 대응하고 있는 공기 통로부(20)의 부분 사용자의 다리 부분과 대응하고 있는 공기 통로부(20)의 부분에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발의 굽힘 현상이 주로 발생하는 발목 부분에 대응하는 공기 통로부(20)의 부분에는 발 지지부(30)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발 지지부(30)가 위치하고 있는 부분에서의 이격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통로부(20)의 정해진 특정 위치에만 복수의 발 지지부(30)가 위치할 경우,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는 신발(1) 속에 위치하고 있는 발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미 기술한 것처럼 공기 통로부(20)에서 신발(1)의 굽힘 동작이 주로 이루어지지 부분, 즉 발목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발 지지부(30)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정해진 특정 위치에 복수의 발 지지부(30)가 위치할 경우, 신발(1)의 활동성이 향상되며, 신발(1)의 발목 부분에 대한 접힘 동작 시 발 지지부(30)와 피부와의 접촉으로 인한 피부 손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공기 통로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가 위치함에 따라, 각 발 지지부(30)가 위치하고 있는 공기 통로부(20)의 개방된 부분은 해당 발 지지부(30)에 의해 막히게 되어 발등부(120)와 발목부(130)로 에워싸여져 있는 공간과 분리된다.
따라서, 하부와 측부는 몸체(10)의 바닥부(110), 발등부(120), 발목부(130) 및 공기 통로부(20)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신발(1) 내의 공간은 바닥부(110), 발등부(120), 발목부(130) 및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S10)과 공기 통로부(20)와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S10)으로 나눠진다.
이때, 공간(S10)은 사용자(200)의 발이 삽입되는 발 삽입 공간이고, 공간(S20)은 신발(1) 내부와 외부와의 공기 흐름이 이루어지는 공기 통로가 되므로, 공기 통로부(20)와 발 지지부(30) 사이에 공기 통로(S20)가 형성된다.
이때, 공기 통로(S20)는 발 지지부(30)가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몸체(10)의 발 삽입 공간(S10)과 분리되지만, 발 지지부(30)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발 삽입 공간(S10)과 통해 있어 발 삽입 공간(S10)은 공기 통로(S20)를 통해 외부와 통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 통로(20)의 형성으로 인해, 신발(1) 속과 외부 간의 공기 흐름이 이루어져 신발(1) 속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땀이 공기 통로(20)를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어 신발(1) 속의 환경을 쾌적하게 만들어 준다.
또한, 신발(1)의 몸체(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공기 통로부(20)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각각 위치하는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가 위치함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실질적으로 사용자(200)의 발이 삽입되어 위치하는 발 삽입공간(S1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본체(10)와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이다.
따라서, 발 삽입 공간(S10)에 발이 삽입되면, 신발(1)의 전방 부분에 위치하는 사용자(200)의 발등과 정강이는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에 의해 위치가 한정되므로, 몸체(10)의 외측 부분으로 돌출된 공기 통로부(20)로 인해 발 삽입 공간(S10)이 증가하는 문제가 방지된다.
이로 인해, 공기 통로부(20)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공기 통로부(20)에 의한 발 삽입 공간(S10)은 증가하지 않으므로, 사용자(200)의 발과 다리의 크기에 접합하게 발 삽입공간(S10)의 크기가 정해져 공기 통로부(20)로 인해 신발(1)의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본 예의 신발(1)에서 몸통(10), 공기 통로부(20) 및 발 지지부(30)는 모두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독성이고 내화학성이 뛰어나며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 에틸렌(PE), 내광성,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비점착성이고 비유성 및 높은 절연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고무, 내한성 및 산이나 알칼리 성분에 강한 TPR(Thermoplastic Rubber), 내열성이 우수하고 저온에서도 유연성이 우수한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밖에도 몸통(10), 공기 통로부(20) 및 발 지지부(30)는 SEPS(styrene ethylene propylene styrene), SEEBS, SEEPS(styrene-ethylene-ethylene/propylene-styrene), EVA(ethylene vinyl acetate),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PU(polyurethane), PS(polystyrene), PP(polypropylene), TPO, TPV(열가소성 경화고무)등의 고무나 발포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몸통(10)의 바닥부(120)는 몸통(10)의 다른 부분(120, 130)과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도 바닥부(120), 발등부(120) 및 발목부(130)는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몸통(10)과 공기 통로부(20)는 서로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지만, 발 지지대(30)의 일부는 몸통(10) 및 공기 통로부(20)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몸통(10)과 공기 통로부(20)는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사용자의 신체와 인접하여 피부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발 지지대(30)의 부분에는 섬유 등이 덧붙인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외의 부분의 발 지지대(30)는 몸체(10)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예에서, 발 지지부(30)의 개수는 복수 개이지만, 이와 달리 하나일 수도 있다.
다음, 도 6 내지 도 16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1a-1f)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신발(1)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신발(1)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6 내지 도 7b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예에 대한 신발(1a)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신발(1)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1a)은 몸체(10)의 바닥부(110)에 위치하는 안창(50)을 더 구비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에 다른 신발(1a)은 바닥부(110), 발등부(120) 및 발목부(130)를 구비한 몸체(10), 몸체(10)의 전방 가운데 부분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하고 있는 공기 통로부(20), 공기 통로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 및 바닥부(110)와 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안창(50)을 구비한다.
이러한 안창(50)은 바닥부(11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있으며 신발(1a)의 발 삽입 공간(S10)을 에워싸고 있는 바닥부(110) 내에 위치하므로 바닥부(11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본 예에서, 안창(50)은 도 7a 및 도 7b와 같은 수분 배출부(5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수분 배출부(51)는 안창(50)의 두께 방향으로 안창(50)을 완전히 관통하는 구멍 형태이거나 안창(50)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안창(50)의 표면에 형성된 홈 형태일 수 있다.
안창(50)에 형성된 수분 배출부(51)의 형상은,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이 직선 형상이거나 도 7b와 같은 원형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직선형이나 원형 이외에도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이나 타원 형상, 물결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모두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거나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안창(50)은 바닥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위치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발 삽입 공간(S10) 내에 위치하거나 발 삽입 공간(S10) 외부로 탈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창(50)을 신발(1a)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세탁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창(50)은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하는 면에는 섬유가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창(50)이 신발(1a)에 추가로 구비될 경우, 신발(1a)을 착용한 사용자(200)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의 크기가 크게 완화되고 발의 보호 기능이 더욱 강화되어 사용자(200)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더욱이, 안창(50)에 형성된 수분 배출부(51)에 의해 발바닥에서 배출되는 땀은 수분 배출부(51)를 통해 바닥부(110) 쪽으로 배출되거나 수분 배출부(51)에 형성된 홈에 고이게 된다. 따라서, 신발(1a)의 착용감이 향상되며 땀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수분 배출부(51)가 구멍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바닥부(110)으로 배출된 땀은 기화되어 공기 통로부(20)를 통해 외부로 신속해 배출되고,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열 역시 수분 배출부(51)와 공기 통로부(20)를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신발(1a)이 안창(5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신발(1a)에서 안창(50)과 접해 있는 바닥부(110)의 해당 내부면(즉, 상부면)은 평탄면을 갖고 있다.
하지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에 따른 신발(1b)에서, 몸체(10b)의 바닥부(110b)의 내부면은 평탄면이 아닌 요철면(凹凸面)을 갖고 있고, 이 점을 제외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신발(1b)은 도 6에 도시한 신발(1a)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본 예의 안창(50)에 형성된 수분 배출부(51)는 안창(5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 형태를 갖는다.
또한, 도 8과 도 9에 도시한 신발(1b)을 서로 비교하면, 해당 신발(1b)의 바닥부(110b)의 내부면에 형성된 요철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다.
즉, 도 8의 경우 바닥부(110b)의 내부면에 형성된 요부(凹部)(111)와 철부(凸部)(112)는 반원과 같은 곡면을 갖고 있는 반면, 도 9의 경우에 바닥부(110b)의 내부면에 형성된 요부(111)와 철부(112)는 사각형과 같은 각진 면을 갖고 있다.
이때, 도 9의 신발(1b)의 바닥부(110b) 내부면에 형성된 요철면의 예는 도 10a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격자 형태로 이루어져 사각형의 요부(111)가 형성되거나 도 10b와 같이 벌집 형태로 이루어져 육각형의 요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닥부(110b)의 요철 형상은 하나의 예로서, 다양한 형상의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바닥부(110b)에 형성된 요부(111)는 수분 배출부(51)와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처럼, 안창(50)과 접해있는 바닥부(110b)의 내부면이 요부(111)와 철부(112)를 구비한 요철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안창(50)은 바닥부(110b)의 철부(112)와는 접해있지만 요부(111)와는 접하지 않아 바닥부(110b)와 안창(50) 사이 즉, 수분 배출부(51)와 요부(111) 사이에는 빈 공간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바닥과 접하는 신발의 바닥부는 사용자(200)의 발바닥 굴곡을 따라 발가락 부분, 중족골 및 발뒤꿈치 부분이 바닥에 밀착되고, 중족골과 발뒤꿈치 사이의 아치(arch) 부분은 바닥과 접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신발을 사이에 두고 바닥과 접하는 발가락, 중족골 및 발뒤꿈치 부분도 동시에 바닥에 접촉되지 않고 사용자(200)의 보행 형태나 운동 과정에 따라 차례대로 바닥과 접한다.
따라서, 신발(1b)의 바닥부(110b)는 부분적으로 바닥과의 접촉 및 비접촉이 번갈아 이루어지므로, 수분 배출부(51)를 통해 바닥부(110)의 요부(111)에 땀과 같은 수분이 고이게 되며, 고인 수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화되고, 바닥과 접하지 않는 안창(50)과 바닥부(110b)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공기 통로(S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요철면인 바닥부(110b)에 의해, 안창(50)의 수분 배출부(51)를 통과한 수분은 요철면의 요부(111)에 효율적으로 모이게 되고, 안창(50)과 바닥부(110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수분 증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땜 배출 효과는 더욱 향상된다.
또한, 안창(50)에서 바닥부(110b) 쪽으로 배출된 땀은 수분 배출부(51)와 요부(111) 사이의 빈 공간 속에 위치하므로 바닥부(110b) 쪽으로 배출된 땀이 다시 안창(5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추가로, 이미 기술한 것처럼, 바닥부(110b)의 평탄면에 의해 안창(50)과 바닥부(110b) 사이에는 서로 압착되지 않는 공간이 존재하므로 사용자(200)는 찢어짐과 같은 안창 손상없이 안전하고 쉽게 안창(50)을 신발(1b) 속에서 분리할 수 있어 안창(50)의 수면은 연장된다.
도 11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예의 신발(1c)은 도 8 및 도 9와 달리, 안창(50c)과 접하고 있는 몸체(10)의 바닥부(110)의 내부면은 도 6과 같이 평탄면을 갖는 반면, 바닥부(110)와 접하고 있는 안창(50c)의 해당 면(즉, 하부면)에 복수 개의 바닥 돌기(52)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복수 개의 바닥 돌기(52)로 인해, 안창(50c)의 하부면은 요철면을 갖는다.
이때, 바닥 돌기(52)는 구멍 형태로 이루어진 인접한 수분 배출부(51) 사이에 위치한다. 바닥 돌기(52)의 크기, 위치 및 형상은 수분 배출부(51)의 크기, 위치 및 형상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처럼, 안창(50c)의 하부면에 복수 개의 바닥 돌기(52)가 부착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1의 신발(1c)은 도 6에 도시한 신발(1a)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복수 개의 바닥 돌기(52)에 의해, 바닥부(110)의 내부면은 대부분 대응하는 안창(50c)의 바닥 돌기(52)과 접하게 되므로 안창(50c)과 바닥부(110) 사이[즉, 수분 배출부(51)와 이에 대응하는 바닥부(110)의 내부변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미 기술한 것처럼, 안창(50c)과 바닥부(11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의해 수분 배출부(51)를 통해 배출된 땀의 배출 효과 역시 크게 향상되며 바닥부(110) 쪽으로 배출된 땀이 다시 안창(50c) 쪽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바닥부(110)에 압착되지 않는 안창(50c)의 부분이 존재하여, 안창(50c)의 수명 역시 증가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예에서, 바닥부(110b)의 내부면과 안창(50c)의 하부면 중 하나가 요철면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부(110b)의 내부면과 안창(50c)의 하부면 모두 요철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바닥부(110b)의 내부면과 안창(50c)의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 철부가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여, 안창(50, 50c)에 형성된 구멍 형태의 수분 배출부(51)와 요부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1d)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신발(1)과 비교할 때,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신발(1d)은 발 지지부(30a)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4의 신발(1)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12 및 도 13의 신발(1d) 역시 바닥부(110), 발등부(120) 및 발목부(130)를 구비하는 몸체(10), 몸체(10)의 전방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공기 통로부(20) 및 공기 통로부(20)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a)를 구비한다.
이때, 복수의 발 지지부(30a)는 공기 통로부(20)의 내부면 양 측면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대신, 공기 통로부(20)의 내부면에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공기 통로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위치한다.
각 발 지지부(30a)는 사각형이나 원형과 같은 정해진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공기 통로부(20)의 내부면에서부터 발 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발 삽입 공간(S10)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공기 통로(S20)는 공기 통로부(20)의 내부면과 각 발 지지부(30a)의 단부 끝단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한 가상선(L1a) 사이의 공간이고, 발 삽입 공간(S10)은 가상선(L1a), 바닥부(110), 발등부(120), 발목부(130)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이다.
이때, 각 발 지지부(30a)의 돌출 높이는 장착 위치에 따라 상이하며, 길이(L40) 역시 장착 위치에 따라 상이하여, 각 발 지지부(30a)의 형상은 접하는 신체의 형상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또한, 공기 통로부(20)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되에 있는 발 지지부(30a)의 이격 거리를 동일하지만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어, 신발 굽힘 동작 등에 대한 신발(1d)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각 발 지지부(30a)의 표면 즉, 신체와 접하는 면은 섬유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발 지지부(30a)는 몸체(10)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공기 통로부(20)의 해당 위치에 하나의 발 지지부(30a)가 위치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4에 도시한 것처럼, 대안적인 예에서, 공기 통로부(20)의 동일한 높이에는 공기 통로부(2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a)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폭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발 지지부(30a)의 개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어, 발목 부분과 인접하는 공기 통로부(20)에는 폭 방향으로 하나의 발 지지부(30a)가 위치하지만 발등과 종아리에 인접한 공기 통로부(20)에는 폭 방향으로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a)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형상의 발 지지부(30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발 지지부(3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한 신발(1e)에서, 도 1에 도시한 발 지지부(30)에 대응되게 공기 통로부(20)의 내부면에서부터 발 삽입 공간(S10)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기(30a)가 위치한다.
따라서, 밴드나 밸트 형태로 이루어잰 발 지지부(30)는 제1 발 지지부이고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 발 지지부는 제2 발 지지부일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제1 발 지지부(30)와 각 제2 발 지지부(30a)는 서로 대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발 지지부(30, 30a)가 공기 통로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할 경우, 제1 및 제2 발 지지부(30, 30a)에 의한 발과 다리의 지지 기능이 향상되어, 신발(1e)의 활동성과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에도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제2 발 지지부(30a)는 공기 통로부(2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에 있는 복수 개의 발 지지부(30a)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또 다른 신발(1f)처럼, 공기 통로부(20)의 위치에 따라 밴드나 벨트 형태의 제1 발 지지부(30)나 돌기 형태의 제2 발 지지부(30a)가 혼재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발 지지부(30,30)와 인접하는 신체의 형태에 따라 제1 또는 제2 발 지지부(30, 30a)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한 신발(1d 내지 1f)의 경우에도 도 6, 도 8 및 도 11에 도시한 안창(50, 50c)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 바닥과 직접 접하는 신발(1, 1a 내지 1f)의 바닥부(110, 110b)의 하부면은 평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미끄럼 방지 등을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요철을 구비한 요철면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신발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1a-1f: 신발 10, 10b: 몸체
20: 공기 통로부 30, 30a: 발 지지부
110, 110b: 바닥부 120: 발등부
130: 발목부 111: 요부
112: 철부 50: 안창
51: 수분 배출부 52: 바닥 돌기
S10: 발 삽입 공간 S20: 공기 통로

Claims (18)

  1.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발 삽입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연장되어 있는 공기 통로부, 그리고
    상기 공기 통로부의 폭 방향으로 위치하는 발 지지부
    를 포함하는 신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부와 상기 발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 통로를 더 포함하는 신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부는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발 지지부는 상기 공기 통로부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위치하는 신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발 지지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신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부는 바(bar)나 밴드(band)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신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부는 상기 공기 통로부의 폭 방향으로 위치하는 신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부는 상기 공기 통로부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돌기 형태를 갖는 신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부는 바나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공기 통로부의 폭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 발 지지부와 상기 공기 통로부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돌기 형태를 갖는 제2 발 지지부를 포함하는 신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 지지부와 상기 제2 발 지지부는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는 신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 삽입 공간 내에 위치하는 안창을 더 포함하는 신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창은 복수 개의 수분 배출부를 포함하는 신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분 배출부는 각각 상기 안창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안창을 관통하는 신발.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창은 상기 안창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바닥 돌기를 더 포함하는 신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발바닥이 위치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신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창과 대면하는 상기 바닥부의 상부면은 요부와 철부를 구비한 요철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신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상기 수분 배출부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신발.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기 공기 통로부 및 상기 발 지지부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신발.
  18. 제17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와 인접한 상기 발 지지부의 부분은 섬유가 부착되어 있는 신발.
KR1020180102945A 2018-08-30 2018-08-30 신발 KR102212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945A KR102212694B1 (ko) 2018-08-30 2018-08-30 신발
JP2019015784A JP6770113B2 (ja) 2018-08-30 2019-01-31 シューズ
US17/272,612 US20210267312A1 (en) 2018-08-30 2019-08-30 Shoe
PCT/KR2019/011209 WO2020046071A1 (ko) 2018-08-30 2019-08-30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945A KR102212694B1 (ko) 2018-08-30 2018-08-30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504A true KR20200025504A (ko) 2020-03-10
KR102212694B1 KR102212694B1 (ko) 2021-02-05

Family

ID=6966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945A KR102212694B1 (ko) 2018-08-30 2018-08-30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770113B2 (ko)
KR (1) KR102212694B1 (ko)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0004A (ja) * 1991-02-11 1993-08-31 Salomon Sa 靴の敷き革
KR200178298Y1 (ko) * 1999-11-10 2000-04-15 윤영희 장화
KR20000035118A (ko) 1998-10-30 2000-06-26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원격 워크스테이션으로부터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제어하는 방법
KR200192510Y1 (ko) 2000-02-21 2000-08-16 주식회사팀웍 공기 배출 신발
JP2003024107A (ja) * 2001-07-16 2003-01-28 Yasuhiko Adachi 長 靴
KR100470751B1 (ko) 2002-07-02 2005-03-08 주식회사 한일제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US20060277785A1 (en) * 2005-06-02 2006-12-14 The Timberland Company Chimney structures for footwear and foot coverings
JP2011004959A (ja) * 2009-06-25 2011-01-13 Yoshiro Watanabe 長靴
KR20110115557A (ko) * 2011-09-08 2011-10-21 배영진 신발의 통기구조
KR20110140118A (ko) * 2011-11-25 2011-12-30 배영진 신발의 통기구조
KR101711881B1 (ko) 2016-05-25 2017-03-13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설포 통기성 신발
KR101737910B1 (ko) 2016-04-27 2017-05-19 정상옥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KR101761788B1 (ko) * 2017-02-27 2017-07-26 (주)프로젠 장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7884B1 (ko) 2016-12-12 2017-08-23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KR20170122645A (ko) 2017-01-31 2017-11-06 정상옥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0004A (ja) * 1991-02-11 1993-08-31 Salomon Sa 靴の敷き革
KR20000035118A (ko) 1998-10-30 2000-06-26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원격 워크스테이션으로부터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제어하는 방법
KR200178298Y1 (ko) * 1999-11-10 2000-04-15 윤영희 장화
KR200192510Y1 (ko) 2000-02-21 2000-08-16 주식회사팀웍 공기 배출 신발
JP2003024107A (ja) * 2001-07-16 2003-01-28 Yasuhiko Adachi 長 靴
KR100470751B1 (ko) 2002-07-02 2005-03-08 주식회사 한일제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US20060277785A1 (en) * 2005-06-02 2006-12-14 The Timberland Company Chimney structures for footwear and foot coverings
JP2011004959A (ja) * 2009-06-25 2011-01-13 Yoshiro Watanabe 長靴
KR20110115557A (ko) * 2011-09-08 2011-10-21 배영진 신발의 통기구조
KR20110140118A (ko) * 2011-11-25 2011-12-30 배영진 신발의 통기구조
KR101737910B1 (ko) 2016-04-27 2017-05-19 정상옥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KR101711881B1 (ko) 2016-05-25 2017-03-13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설포 통기성 신발
KR101767884B1 (ko) 2016-12-12 2017-08-23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KR20170122645A (ko) 2017-01-31 2017-11-06 정상옥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KR101761788B1 (ko) * 2017-02-27 2017-07-26 (주)프로젠 장화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32157A (ja) 2020-03-05
KR102212694B1 (ko) 2021-02-05
JP6770113B2 (ja)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6721B2 (en) Articles of footwear
CA2841669C (en) Footwear having independently articuable toe portions
JP5601593B2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WO2006030546A1 (ja) 靴構造の履物
US20110277218A1 (en) Performance sock
US6003246A (en) Slipper having good draining functions and providing enhanced support
WO2012099639A1 (en) Midsole and article of footwear
WO2008130839A1 (en) Article of footwear construction with binding portions
KR200481847Y1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US8490302B2 (en) Open-soled article of footwear
KR102212694B1 (ko) 신발
KR200433258Y1 (ko) 발가락 신발
JP3484118B2 (ja) 指間に仕切部材を設けた靴
JP3104246U (ja) 中敷き及び靴
US20210267312A1 (en) Shoe
KR102114165B1 (ko) 조립식 신발
KR101130975B1 (ko) 측면부에서 공기 입출이 가능한 신발깔창
KR102160594B1 (ko) 신발
KR20010070601A (ko) 구두용 누드 양말
KR101979998B1 (ko)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CN214432236U (zh) 耐磨运动鞋
KR102167555B1 (ko) 신발
JP3214236U (ja) スリッパ及び履物
KR20110065581A (ko) 기능성 신발창
KR200333446Y1 (ko) 욕실용 슬리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