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884B1 -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884B1
KR101767884B1 KR1020160168250A KR20160168250A KR101767884B1 KR 101767884 B1 KR101767884 B1 KR 101767884B1 KR 1020160168250 A KR1020160168250 A KR 1020160168250A KR 20160168250 A KR20160168250 A KR 20160168250A KR 101767884 B1 KR101767884 B1 KR 101767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orming member
ventilation path
main body
path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Priority to KR102016016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2Boots covering the lower le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expelled to the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02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 A43D3/026Lasts for making rubber footwear or for vulcanizing rubber soles to footwea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은, 몰드 본체(200)와 통기로 형성부재(230)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몰드 본체(200)를 감싸도록 몰드 케이스(100)를 설치하는 단계; 몰드 본체(200)와 통기로 형성부재(230) 사이의 틈과 몰드 케이스(100)와 통기로 형성부재(230) 사이의 틈을 수지로 채운 후 경화시켜 장화 갑피(20)를 형성하는 단계; 몰드 케이스(100)를 장화 갑피(20)에서 분리하는 단계; 통기로 형성부재(230)를 장화 갑피(20)에서 분리하여 통기로(30)를 형성하는 단계; 및 장화 갑피(20)와 몰드 본체(200)를 분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양단이 개방되며 측면은 갑피(20)에 의해 막히는 통기로(30)가 갑피(20)에 매몰된 상태로 발등 부위에서 발목 윗단까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통기성 장화(1)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화의 발등 앞 부위에서 발목 입구에 이르도록 통기로(30)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화를 신고 있을 때에 저절로 발가락 부위의 통기성이 확보된다. 뿐만 아니라 장화의 발등 부위에 있는 통기로 입구는 장화의 내부에 자리잡고 발목 입구에 있는 통기로 입구는 지면에서 높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방수성도 확보된다.

Description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breathable boots}
본 발명은 통기성 장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기로가 장화 발등 부위에서 발목 윗단에 이르기까지 갑피에 매몰되어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통기성 장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은 인체 전체 땀구멍의 약 20%를 차지하는 50만개 정도의 땀샘 분포를 가지고 있어 이마를 제외하고 땀을 가장 많이 분비하는 부위이다.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을 때에도 발에서는 많은 양의 땀이 분비되며, 격한 운동이나 노동을 할 경우 약 12배까지 땀 분비량이 증가한다.
신발에 통기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발의 열기로 인하여 땀이 차기 쉬울 뿐만 아니라 발 냄새도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통기성 확보를 위하여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었다. 특히 장화의 경우에는 갑피가 불투수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통기성을 확보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88259호(2015.01.30.공고)에 통기성 장화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제안된 통기성 장화는 발등 부위에 형성된 통기구에 캡을 씌웠다가 캡의 분리 유무를 통해서 통기성을 확보하기 때문에, 통기성을 확보하고자 할 때에는 착용자의 인위적인 행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캡을 분리하였을 때에 통기구를 통하여 물이 장화내부로 유입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88259호(2015.01.30.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화의 발등 앞 부위에서 발목 윗단에 이르도록 통기로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장화를 신고 있을 때에 저절로 발가락 부위의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함과 동시에 방수성도 여전히 확보할 수 있는 통기성 장화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은,
수평 몸체부와 수직 발목부로 구분되어 장화의 외형을 하는 몰드 본체;
제1단은 상기 몸체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제2단은 상기 발목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상태로 상기 몰드 본체에 이격되어 상기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측단이 상기 몰드 본체에서 들뜨도록 상기 몰드 본체에 설치되는 통기로 형성부재; 및
상기 몰드 본체와 통기로 형성부재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몰드 본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몰드 케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몰드를 이용하되,
상기 몰드 본체와 통기로 형성부재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몰드 본체를 감싸도록 몰드 케이스를 설치하는 몰드 설치단계;
상기 몰드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공을 통하여 상기 몰드 본체와 통기로 형성부재 사이의 틈과 상기 몰드 케이스와 통기로 형성부재 사이의 틈을 수지로 채운 후 경화시켜 장화 갑피를 형성하는 갑피 형성단계;
상기 몰드 케이스를 상기 장화 갑피에서 분리하는 케이스 분리단계;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를 상기 장화 갑피에서 분리하여 통기로를 형성하는 통기로 형성단계; 및
상기 장화 갑피와 상기 몰드 본체를 분리시키는 갑피 탈거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양단이 개방되며 측면은 상기 갑피에 의해 막히는 통기로가 상기 갑피에 매몰된 상태로 발등 부위에서 발목 윗단까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통기성 장화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1단은 자석을 매개로 하여 상기 몸체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 설치되며, 상기 통기로 형성단계에서의 분리는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2단쪽을 선두로 하여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가 상기 장화갑피에서 빠지도록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를 잡아당김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은,
수평 몸체부와 수직 발목부로 구분되어 장화의 외형을 하는 몰드 본체;
제1단은 상기 몸체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제2단은 상기 발목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상태로 상기 몰드 본체에 이격되어 상기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측단이 상기 몰드 본체에서 들뜨도록 상기 몰드 본체에 설치되는 통기로 형성부재; 및
상기 몰드 본체와 통기로 형성부재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몰드 본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몰드 케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몰드를 이용하되,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부착위치가 될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고무시트로 상기 몰드 본체를 감싸는 제1고무시트 설치단계;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1단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면서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1단과 제2단이 상기 몰드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가 상기 제1고무시트 상에 놓이도록 설치되는 통기로 형성부재 설치단계;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가 포함되도록 제2고무시트로 상기 몰드 본체를 감싸는 제2고무시트 설치단계;
상기 제2고무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몰드 본체를 감싸도록 상기 몰드 케이스를 설치하는 케이스 설치단계;
상기 제1고무시트와 제2고무시트가 서로 달라붙어 일체화되도록 열처리 하여 장화 갑피를 형성하는 갑피 형성단계;
상기 몰드 케이스를 상기 장화 갑피에서 분리하는 케이스 분리단계;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를 상기 장화 갑피에서 분리하여 통기로를 형성하는 통기로 형성단계; 및
상기 장화 갑피와 상기 몰드 본체를 분리시키는 갑피 탈거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양단이 개방되며 측면 사방은 상기 갑피에 의해 막히는 통기로가 상기 갑피에 매몰된 상태로 발등 부위에서 발목 윗단까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통기성 장화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갑피 형성단계에서의 열처리는 140~160℃의 온도범위에서 가황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1단은 자석을 매개로 하여 상기 몸체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 설치되며, 상기 통기로 형성단계에서의 분리는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2단쪽을 선두로 하여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가 상기 장화갑피에서 빠지도록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를 잡아당김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무시트와 제2고무시트는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2단이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는 부위보다 낮은 위치까지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화의 발등 앞 부위에서 발목 입구에 이르도록 통기로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화를 신고 있을 때에 저절로 발가락 부위의 통기성이 확보된다. 뿐만 아니라 장화의 발등 부위에 있는 통기로 입구는 장화의 내부에 자리잡고 발목 입구에 있는 통기로 입구는 지면에서 높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방수성도 확보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장화(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는 통기로(30)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통기로(30)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통기로(30)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장화 제조용 몰드(2)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도 7의 몰드 본체(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0은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통기성 장화(1)]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장화(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은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발목 입구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며, 도 3은 통기로(30)의 제1단(31)을 보여주기 위한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장화(1)는 밑창(10)과 갑피(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갑피(20)는 수평 몸체부(21)와 수직 발목부(22)로 구분된다. 몸체부(21)는 발이 수용되는 부분을 말하고, 발목부(22)는 발목을 감싸도록 몸체(21)의 뒤쪽에서 위로 길게 형성되는 부분을 말한다.
통기로(30)는 갑피(20)에 매몰되어 측면은 갑피(20)에 의해 막히고 양단은 개방되도록 갑피(20) 내에 종 방향으로 길게 매몰되게 형성된다. 통기로(30)의 양단 중 하나인 제1단(31)은 몸체부(21)의 천정에 위치하고, 나머지 하나인 제2단(32)은 발목부(22)의 윗단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제1단(31)과 제2단(32)의 입구는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장화(1)에 의하면, 발가락 부분의 움직임에 의하여 발가락 부위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이로 인해 데워진 공기가 저절로 통기로(30)를 통하여 외부 배출되며, 이 때 배출된 양 만큼의 발뒤꿈치 쪽에 있는 공기가 발가락 부위로 이동함으로써 이러한 메커니즘의 선순환에 의해 통기가 이루어진다.
또한, 통기로(30)의 제1단(31)은 통기성 장화(1)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단(32)은 지면에서 높은 발목부(22)의 윗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이 고인 곳에 통기성 장화(1)를 신고 다니더라도 종래의 불투수 기능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통기로(30)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장화(1)는 제1단(31)의 입구가 복수개의 세로격벽(30a)에 의해 분획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통기로(30)의 제1단(31)의 입구가 하나의 구멍으로 개방되는 경우 발등에 의하여 제1단(31)의 입구가 눌리면서 찌그러져 막힐 우려가 많다. 그런데 도 4에서와 같이 제1단(31)의 입구가 복수개의 세로격벽(30a)에 의해 분획되도록 하면 제1단(31)의 입구가 찌그러지면서 막히는 것이 방지되어 바람직하다.
도 5는 통기로(30)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장화(1)는 제1단(31)의 입구가 세로격벽(30a)에 의해 분획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통기로(30)의 내부도 세로격벽(30a)에 의해 분획되어 복수개의 미세통로가 제2단(32)까지 길게 종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통기로(30)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장화(1)는 제1단(31)의 입구가 몸체부(21)의 밑쪽을 향하여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통기성 장화 제조용 몰드(10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장화 제조용 몰드(2)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개략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몰드 본체(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몰드 본체(200)는 발 모양을 하는 수평 몸체부(221)와 발목 모양을 하는 수직 발목부(222)로 구분되어 전체적으로 장화의 외형을 한다. 몰드 케이스(100)는 몰드 본체(200)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몰드 본체(20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몰드 케이스(100)의 내측벽에는 장화 형상이 음각화 된다.
몰드 케이스(100)는 좌측케이스(110), 우측케이스(120), 및 발판(150)이 조립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좌측 케이스(110)와 우측 케이스(120)는 세로축을 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300) 상에 거꾸로 세워지게 설치된다. 몰드 본체(200)는 베이스(300) 상에서 좌측 케이스(110)와 우측케이스(1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도록 좌측 케이스(110)와 우측 케이스(120) 사이에 거꾸로 세워지게 설치된다.
좌측 케이스(100)와 우측 케이스(120)가 제대로 결합되도록 베이스(300) 상에는 기준봉(140)이 설치되고, 좌측 케이(110)와 우측케이스(120) 각각에는 기준봉(140)이 끼워질 기준홈(130)이 음각으로 형성된다.
몰드 케이스(100)의 주입공(151)을 통하여 몰드 본체(200)와 몰드 케이스(100) 사이의 이격 틈에 액상의 수지를 부어 넣고 굳히면 장화 갑피(20)가 얻어진다. 액상의 수지 대신에 고상의 수지 팰릿을 부어 넣고 몰드 케이스(100)를 가열하여 팰릿을 녹인 후에 굳히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장화 갑피(20)를 얻을 수도 있다.
통기로 형성부재(230)는 몰드 본체(200)에 이격되어 들뜨도록 몰드 본체(200)에 설치된다.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1단(231)은 몰드 본체(200)의 몸체부(221)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제2단(232)은 몰드 본체(200)의 발목부(222)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며, 제1단(231)과 제2단(232) 사이의 측단은 몰드 본체(200)에서 들떠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1단(231)과 제2단(232)이 몸체부(221)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화의 성형 후에 통기로 형성부재(230)를 장화 갑피(20)에서 빼내야하기 때문이다.
통기로 형성부재(230)와 몸체부(221)의 이러한 분리 가능 결합은 자석(235, 236)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235, 236)은 몸체부(221)에 매립되게 설치될 수도 있고, 통기성 형성부재(230)의 단부에 매립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설치위치가 신뢰성 있게 한정되도록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1단(231)이 끼워질 수 있는 홈부(238)가 몸체부(22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부(238)에 제1단(231)을 끼우기만 하면 제1단(231)의 결합부위가 항상 신뢰성 있게 정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통기로 형성부재(230)와 몸체부(221)가 자석이 붙을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면 자석(235)은 제1단(231) 및 홈부(238)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면 족할 것이다. 자석(235)이 제1단(231)과 홈부(238) 양쪽에 설치되면 자석(235)의 인력에 의하여 제1단(231)의 제위치 부착이 더욱 신속하고 강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도 8에서와 같이, 몸체부(221)의 발등부위에 단턱부(237)를 형성하고 단턱부(237)의 측면에 홈부(238)가 형성되면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1단(231)이 평평한 상태를 할 수가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화 성형 후에 장화 갑피(20)에서 통기로 형성부재(230)를 빼 낼 때에 통기로 형성부재(230)를 장화 갑피(20)에서 쉽게 빼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통기로(30)의 제1단(31)은 몸체부(21)의 앞쪽을 향하여 입구가 형성될 것이다.
도 10은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1단(231)에 복수개의 핑거(239)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핑거(239)가 몸체부(221)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 설치될 것이다. 그러면 도 4에서와 같이 통기로(30)의 제1단(31)의 입구가 복수개의 세로격벽(30a)에 분획되는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도 11은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로 형성부재(230)는 복수개의 미세통기로 형성부재(230a)가 병렬로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통기로(30)의 제1단(31) 입구뿐 만 아니라 제2단(32)에 이르기까지 통기로(30)의 내부가 세로격벽(30a)에 의해 분획되어 복수개의 미세통로가 병렬로 형성될 것이다.
도 12는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238)가 몸체부(221)의 발등 부위에 형성되고,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1단(231) 밑면에 돌기부(234a)가 형성되어, 돌기부(234a)가 홈부(238)에 끼워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홈부(238)에 고정 결합되는 자석(235)을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2단(232) 밑면에도 돌기부(234b)가 형성되어 홈부(233)에 끼워지면 돌기부(234a, 234b)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통기로 형성부재(230)가 몸체부(221)에서 들뜬 상태가 되어 바람직하다.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1]
도 13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성 장화 제조용 몰드(2)를 준비하고, 몰드 본체(200)에 양말이나 스타킹 형태의 라이닝재(미도시)를 끼운다.
다음에,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케이스(100)가 몰드 본체(200)를 감싸도록 한 후에, 주입공(151)을 통하여 몰드 케이스(100)와 몰드 본체(200) 사이의 틈에 액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부어 넣는다. 액상의 수지 대신에 고상의 팰릿을 부어 넣은 후에 몰드 케이스(100)를 가열하여 녹여도 좋다.
이 때 몰드 본체(200)와 통기로 형성부재(230) 사이의 틈뿐 만 아니라 몰드 케이스(100)와 통기로 형성부재(230) 사이의 틈에 수지가 채워진다.
이후, 수지가 굳도록 적당히 처리한다.
이어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가 굳은 후에 몰드 케이스(100)를 연다. 그러면 몰드 본체(200)에 장화 갑피(20)가 끼워진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2단(232)쪽이 선두가 되도록 통기로 형성부재(230)를 밑으로 잡아당기면서 뺀다. 통기로 형성부재(230)는 자석(235, 236)을 매개로 하여 몸체부(221)와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상태일 뿐만 아니라 장화 갑피(20)가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통기로 형성부재(230)는 장화 갑피(20)에서 어렵지 않게 빼낼 수 있다. 베이스(300)의 존재로 인하여 밑 공간이 좁더라도 약간 사선으로 잡아당기면서 뺄 수 있다.
만약에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1단(231)이 몰드 본체(200)에서 분리할 수 없게 결합되어 있다면 통기로 형성부재(230)를 장화 갑피(20)에서 빼낼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통기로 형성부재(230)를 장화 갑피(20)에서 빼내면 통기로 형성부재(230)가 있던 자리에 통기로(30)가 형성되며, 이 때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1단(231) 자석결합부위가 통기로(30)의 제1단(31) 입구가 된다.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2단(232) 자석결합부위 보다 낮은 위치인 도 8의 참조부호 H 부분에서 장화 갑피(20)의 목 부위를 잘라 내거나 아니면 애초부터 참조부호 H 부분까지만 장화 갑피(20)가 형성되도록 하면, 추후에 결국 통기로(30)의 제2단(32) 입구가 발목부(22)의 윗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는 또한 통기로 형성부재(230)를 잡아당기면서 뺄 때에 제2단(232) 부위를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도 13e에서와 같이 장화 갑피(20)를 위로 잡아 당겨서 몰드 본체(200)에서 장화 갑피(20)를 벗겨낸다. 장화 갑피(20)는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탈거가 가능하다. 장화 갑피(20)의 밑을 위로 말아 올리면서 탈거시킬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몰드 본체(200)에서 벗겨진 장화 갑피(20)의 발바닥 부위에 밑창(10)을 덧붙여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장화(1)를 완성한다.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2]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직 통기로 형성부재(23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몰드 본체(200)를 제1고무시트(410)로 감싼다. 제1고무시트(410)에는 추후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1단(231)이 통과하여 몰드 본체(20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도록 관통공(411)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성 형성부재(230)의 제1단(231)과 제2단(232)이 몰드 본체(20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면서 통기성 형성부재(230)가 제1고무시트(410) 상에 놓이도록 몰드 본체(200)에 통기로 형성부재(230)를 설치한다. 이 때,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1단(231)은 관통공(411)을 통하여 몰드 본체(200)에 부착된다.
이어서,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로 형성부재(230)를 포함한 상태로 몰드 본체(200)를 감싸도록 제2고무시트(420)를 설치한다.
제1고무시트(410)와 제2고무시트(420)는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2단(232)이 발목부(222)에 부착되는 부위보다 낮은 위치까지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추후에 통기로(30)의 제2단(32) 입구가 발목부(22)의 윗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통기로 형성부재(230)를 잡아당기면서 뺄 때 제2단(232) 부위를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다음에,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케이스(110), 우측케이스(120), 및 발판(150)을 닫아 제2고무시트(320)를 감싸도록 몰드 케이스(100)를 설치한 후, 제1고무시트(410)와 제2고무시트(420)가 서로 달라붙으면서 일체화되도록 140~160℃의 온도범위에서 가황 열처리하여 장화 갑피(20)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케이스(100)를 해체하여 장화 갑피(20)에서 몰드 케이스(100)를 분리한다. 그러면 몰드 본체(200)에 장화 갑피(20)가 끼워진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 14f에서와 같이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2단(232)쪽이 선두가 되도록 통기로 형성부재(230)를 밑으로 잡아당기면서 뺀다. 이렇게 통기로 형성부재(230)를 장화 갑피(20)에서 빼내면 통기로 형성부재(230)가 있던 자리에 통기로(30)가 형성되며, 이 때 통기로 형성부재(230)의 제1단(231) 자석결합부위가 통기로(30)의 제1단(31) 입구가 된다.
마지막으로 도 14g에서와 같이 장화 갑피(20)를 위로 잡아 당겨서 몰드 본체(200)에서 장화 갑피(20)를 벗겨낸다. 장화 갑피(20)는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탈거가 가능하다. 장화 갑피(20)의 밑을 위로 말아 올리면서 탈거시킬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몰드 본체(200)에서 벗겨진 장화 갑피(20)의 발바닥 부위에 밑창(10)을 덧붙여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장화(1)를 완성한다.
1: 통기성 장화 10: 밑창
20: 갑피 21: 수평 몸체부
22: 수직 발목부 30: 통기로
30a: 세로격벽 31: 통기로의 제1단
32: 통기로의 제2단
2: 통기성 장화 제조용 몰드 100: 몰드 케이스
110: 좌측 케이스 120: 우측 케이스
130: 기준홈 140: 기준봉
150: 발판 151: 주입공
200: 몰드 본체 221: 수평 몸체부
222: 수직 발목부 230: 통기로 형성부재
230a: 미세통기로 형성부재 231: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1단
232: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2단 233, 238: 홈부
234a, 234b: 돌기부 235, 236: 자석
237: 단턱부 239: 핑거
300: 베이스 410: 제1고무시트
420: 제2고무시트 411: 관통공

Claims (6)

  1. 수평 몸체부와 수직 발목부로 구분되어 장화의 외형을 하는 몰드 본체;
    제1단은 상기 몸체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제2단은 상기 발목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상태로 상기 몰드 본체에 이격되어 상기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측단이 상기 몰드 본체에서 들뜨도록 상기 몰드 본체에 설치되는 통기로 형성부재; 및
    상기 몰드 본체와 통기로 형성부재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몰드 본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몰드 케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몰드를 이용하되,
    상기 몰드 본체와 통기로 형성부재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몰드 본체를 감싸도록 몰드 케이스를 설치하는 몰드 설치단계;
    상기 몰드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공을 통하여 상기 몰드 본체와 통기로 형성부재 사이의 틈과 상기 몰드 케이스와 통기로 형성부재 사이의 틈을 수지로 채운 후 경화시켜 장화 갑피를 형성하는 갑피 형성단계;
    상기 몰드 케이스를 상기 장화 갑피에서 분리하는 케이스 분리단계;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를 상기 장화 갑피에서 분리하여 통기로를 형성하는 통기로 형성단계; 및
    상기 장화 갑피와 상기 몰드 본체를 분리시키는 갑피 탈거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양단이 개방되며 측면은 상기 갑피에 의해 막히는 통기로가 상기 갑피에 매몰된 상태로 발등 부위에서 발목 윗단까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통기성 장화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1단이 자석을 매개로 하여 상기 몸체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 설치되며, 상기 통기로 형성단계에서의 분리는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2단쪽을 선두로 하여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가 상기 장화갑피에서 빠지도록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를 잡아당김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3. 수평 몸체부와 수직 발목부로 구분되어 장화의 외형을 하는 몰드 본체;
    제1단은 상기 몸체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제2단은 상기 발목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상태로 상기 몰드 본체에 이격되어 상기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측단이 상기 몰드 본체에서 들뜨도록 상기 몰드 본체에 설치되는 통기로 형성부재; 및
    상기 몰드 본체와 통기로 형성부재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몰드 본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몰드 케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몰드를 이용하되,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1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고무시트로 상기 몰드 본체를 감싸는 제1고무시트 설치단계;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1단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면서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1단과 제2단이 상기 몰드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가 상기 제1고무시트 상에 놓이도록 설치되는 통기로 형성부재 설치단계;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가 포함되도록 제2고무시트로 상기 몰드 본체를 감싸는 제2고무시트 설치단계;
    상기 제2고무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몰드 본체를 감싸도록 상기 몰드 케이스를 설치하는 케이스 설치단계;
    상기 제1고무시트와 제2고무시트가 서로 달라붙어 일체화되도록 열처리 하여 장화 갑피를 형성하는 갑피 형성단계;
    상기 몰드 케이스를 상기 장화 갑피에서 분리하는 케이스 분리단계;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를 상기 장화 갑피에서 분리하여 통기로를 형성하는 통기로 형성단계; 및
    상기 장화 갑피와 상기 몰드 본체를 분리시키는 갑피 탈거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양단이 개방되며 측면 사방은 상기 갑피에 의해 막히는 통기로가 상기 갑피에 매몰된 상태로 발등 부위에서 발목 윗단까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통기성 장화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형성단계에서의 열처리는 140~160℃의 온도범위에서 가황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1단이 자석을 매개로 하여 상기 몸체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 설치되며, 상기 통기로 형성단계에서의 분리는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2단쪽을 선두로 하여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가 상기 장화갑피에서 빠지도록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를 잡아당김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무시트와 제2고무시트는 상기 통기로 형성부재의 제2단이 상기 발목부에 부착되는 부위보다 낮은 위치까지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KR1020160168250A 2016-12-12 2016-12-12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KR101767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250A KR101767884B1 (ko) 2016-12-12 2016-12-12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250A KR101767884B1 (ko) 2016-12-12 2016-12-12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884B1 true KR101767884B1 (ko) 2017-08-23

Family

ID=5975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250A KR101767884B1 (ko) 2016-12-12 2016-12-12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8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388A (ko)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조립식 신발
KR20200025504A (ko)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신발
KR102160594B1 (ko) 2019-07-24 2020-09-28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신발
KR102167555B1 (ko) 2019-07-24 2020-10-19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신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304A (ja) 2000-11-24 2002-06-04 Daiichi Rubber Kk 手貼りゴム長靴とその製造方法及び成形金型
US8375600B2 (en) 2007-06-20 2013-02-19 W. L. Gore & Associates, Inc. Ventilating footwear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304A (ja) 2000-11-24 2002-06-04 Daiichi Rubber Kk 手貼りゴム長靴とその製造方法及び成形金型
US8375600B2 (en) 2007-06-20 2013-02-19 W. L. Gore & Associates, Inc. Ventilating footwear devic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388A (ko)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조립식 신발
KR20200025504A (ko)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신발
KR102160594B1 (ko) 2019-07-24 2020-09-28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신발
KR102167555B1 (ko) 2019-07-24 2020-10-19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884B1 (ko)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US11666114B2 (en) Polyurethane injected boot assembly and associated manufacturing method
TWI679947B (zh) 鞋類物品及其形成的方法
CA2951402A1 (en) Comprehensive wrapping and environment-friendly shoes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RU2010102142A (ru) Обувная подошва, способ и форм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упомянутой подошвы
US20150150335A1 (en) Waterproof shoe with size and shape-adjustable bootie
CN101804686A (zh) 二次一体成型鞋及制鞋模具和制造方法
WO2007109208A2 (en) Ventilated shoe sole construction with improved medial support
KR101737910B1 (ko)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US20110099854A1 (en) Article of footwear
KR20220123520A (ko)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KR20180012941A (ko)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가지는 부츠
KR100564792B1 (ko) 바닥면과 외주연부에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밑창
TWM464033U (zh) 鞋體結構改良
EP0956789A2 (en) Transpiring shoe structure
ES2625396T3 (es) Suela ventilada de artículo de calzado y su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y artículo de calzado obtenido que integra tal suela
EP0793921A2 (en) Innerboot particularly for sports shoes
KR101549561B1 (ko) 통풍구멍이 형성된 장화 갑피용 금형장치 및 그 금형장치를 이용한 통풍구멍이 형성된 장화 갑피 제조방법
JPH03141903A (ja) 通気靴およびその製造法
EP2873338B1 (en) Shoe with luminous effect
KR100500530B1 (ko) 통풍구조를 갖는 신발
JP2006192129A (ja) 釣り用履き物
KR200378073Y1 (ko) 통풍구가 형성된 신발
KR100526294B1 (ko) 통풍고어텍스신발
KR200313791Y1 (ko) 통풍구조를 갖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